히드록시진

Hydroxyzine
히드록시진
Hydroxyzine.svg
Hydroxyzine-3d-sticks.png
임상 데이터
발음/ha() dr(하) dr(하) kszi(지엔)/
상호아타락스, 비스타릴 [1]
기타 이름UCB-4492
AHFS/Drugs.com모노그래프
Medline Plusa682866
라이선스 데이터
의존성
책임
없음
루트
행정부.
경구주사
약물 클래스제1세대 항히스타민제[3]
ATC 코드
법적 상태
법적 상태
  • AU: S4 (처방만)
  • 일반 : ( (처방만)
약동학 데이터
바이오 어베이러빌리티높은
단백질 결합93%
대사간염
대사물세티리진, 기타
반감기 제거성인: 20.0시간[4][5]
연장자: 29.3시간[6]
아동: 7.1시간[4]
배설물소변, 대변
식별자
  • (±)-(2-{4μ(4-클로로페닐)-페닐메틸]아진-1-일}에톡시)-아연산
CAS 번호
PubChem CID
IUPHAR/BPS
드러그뱅크
켐스파이더
유니
케그
체비
첸블
CompTox 대시보드 (EPA )
ECHA 정보 카드100.000.630 Edit this at Wikidata
화학 및 물리 데이터
공식C21H27당분이나 지방 말고도N2O2
몰 질량374.91 g/g−1/sqm
3D 모델(JSmol)
  • Clc1cc(cc1)C(c2cc2)N3CCN(CC3)CCCO
  • InChI=1S/C21H27ClN2O2/c22-20-8-6-19(7-9-20)21(18-4-2-1-3-5-18)24-12-10-23(11-13-24)14-16-26-15-25/1-1-9-21,1725,10-21,10H
  • 키: ZQDWXGKKHFNSQK-UHFFFAOYSA-N checkY
(표준)

아타락스, 비스타릴 등의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히드록시진은 항히스타민제이다.[7]멀미[7]인한 가려움, 불안, 메스꺼움 등의 치료에 사용합니다.구강이나 [7]근육에 주사하여 사용한다.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졸음, 두통, [7][8]입마름 등이 있다.심각한 부작용으로는 QT [8]연장이 포함될 수 있다.임신 중이나 수유 [7]중 사용이 안전한지는 불분명하다.히드록시진은 히스타민[8]효과를 차단함으로써 작용한다.그것은 피페라진 계열의 [7][3]1세대 항히스타민제이다.

그것은 1956년 유니언 키미크 벨지의해 처음 만들어졌고 그 [7][9]해 말 미국에서 화이자에 의해 판매 승인을 받았다.2019년에는 미국에서 9백만 건 이상의 [10][11]처방으로 75번째로 많이 처방된 의약품이었다.

의료 용도

히드록시진은 [7]멀미로 인한 가려움, 불안, 메스꺼움 치료에 사용된다.

체계적 검토 결과 히드록시진은 일반화된 불안장애 치료에서 위약을 능가하는 것으로 결론났다.벤조디아제핀부스피론[12]약물을 비교하기에는 데이터가 불충분했다.

히드록시진은 만성 두드러기, 아토피 또는 접촉성 피부병, 히스타민 매개성 가려움증 등의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다.이것들은 또한 간, 혈액, 신경계, 또는 [13]요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최근과 과거의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진정제로서 사전의약품에 히드록시진을 사용하는 은 아트로핀과 같은 트로판 알칼로이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전신마취 후 메페리딘바르비투르산염을 증강할 수 있으며, 마취전 보조요법에 사용하는 [13]것은 개인의 상태에 따라 수정되어야 한다.

다른 경우에 히드록시진의 사용은 정신신경증 및 기타 형태의 불안 또는 긴장 [14]상태와 같은 신경학적 장애의 수술 전 진정 및 치료에 사용되는 비 바르비투산성 신경안정제의[14] 한 형태이다.

수면을 위해 사용되는 염산 히드록시진 선량은 25~100mg이다.[15][16][17]

금지 사항

임신 시작 중 섭취 또는 근육 내 투여에 의한 다량의 히드록시진의 투여는 태아 이상을 야기할 수 있다. 즉, 임신한 쥐, 쥐, 토끼에게 히드록시진을 투여할 경우 인간 치료 [18]범위보다 상당히 높은 용량으로 저고나디즘(hydroxyzine)과 같은 이상을 야기할 수 있다.사람의 경우 연구에서 유의한 선량이 아직 확립되지 않았으며, 기본적으로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는 히드록시진에 [18]관한 금기 지침을 도입했다.마찬가지로 이전에 과민증의 징후를 보이거나 그로 인해 위험에 처한 사람들의 사용도 [18]금지된다.히드록시진은 용혈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정맥주사(IV)를 위해 금지된다.

다른 금지 사항으로는 중추신경계에 [18]영향을 미치는 억제제 및 다른 화합물과 함께 히드록시진을 투여하는 것이 포함된다. 절대적으로 필요한 경우, 적은 [18]용량에서만 병행 투여해야 한다.언급된 것과 같은 다른 물질과 함께 소량 투여할 경우, [18]환자는 안전법에 따라 위험한 기계, 자동차 또는 절대적인 집중이 요구되는 기타 관행의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

히드록시진의 장기 처방이 수년 후에 지각성 운동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도 수행되었지만, [19]7.5개월의 기간 후에 지속적인 머리 굴림, 립 핥기 및 다른 형태의 무신 운동과 같은 운동장애와 관련된 영향도 일화적으로 보고되었다.특정한 경우, 페노티아 진 파생 상품 또는 기존 항정신병 약물 치료로 고령의 환자들의 이전 상호 작용 히드록의 행정부에 과민증은 장기 treatment,[19]고 그래서 사용 금지 사유는 단기 admini에게 수여된다 때문에 인한 dyskinesia을 향해 어느 정도 기여했을 수도 있다.공백이이전에 페노티아딘을 [19]사용한 사람들에 대한 히드록시진의 이온.

부작용

제조자 가이드라인에는 저혈압, 이명[20]두통과 같은 다른 반응뿐만 아니라 어린이와 성인의 숙면, 부조절, 진정, 침착 및 어지럼증 등 여러 가지 반응이 보고되었다.위장관 효과도 관찰되었으며, 히드록시진의 가벼운 항무스카린 [20]성질에 의한 구강 건조와 변비 등의 덜 심각한 영향도 관찰되었다.

환각이나 혼란과 같은 중추신경계 문제가 드문 경우에서 관찰되었으며,[21][20] 대부분 과다 복용에 기인한다.이러한 특성은 특히 신경심리학적 질환으로 치료된 환자뿐만 아니라 과다 복용이 관찰된 경우에 히드록시진에 기인한다.히드록시진의 "할루시노겐" 또는 "최고" 특성에 대한 보고가 있는 반면, 몇몇 임상 데이터 시험은 히드록시진의 단독 섭취에서 그러한 부작용을 보고하지 않고 오히려 망막 형태 내 영역의 자극을 통해 설명되는 전반적인 진정 효과를 기술했다.환각 또는 최면 특성은 리튬 또는 [22]에탄올과 같은 다른 CNS 작용제에 의한 전체적인 중추신경계 억제 효과의 추가 효과로 설명되어 왔다.

선명한 꿈이나 악몽이 있거나 없는 졸음은 다른 CNS 억제제와 함께 항히스타민 민감성을 가진 사용자들에게 발생할 수 있다.히드록시진은 많은 정신과 환자들에게서 불안진정 특성을 보인다.다른 연구들은 히드록시진이 급성 최면제로 작용하여 수면 시작 지연 시간을 줄이고 수면 지속 시간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제시했습니다 - 또한 약간의 졸음이 일어났다는 것을 보여줍니다.이것은 최면 반응이 [23]더 큰 여성 환자들에게서 더 많이 관찰되었다.히드록시진과 함께 진정제를 사용하면 다량으로 투여될 경우 과다 복용과 혼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진정제와 함께 어떤 형태의 치료도 [14][21]의사의 감독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더 심각한 부작용의 가능성 때문에,[24] 이 약은 노인들에게 피해야 할 약이다.

2015년 유럽 의약품청(EMA)은 히드록시진의 사용과 관련된 QT 연장 위험은 작지만 확실한 수준이라고 발표했다.이 부작용은 이미 심장질환이 있거나 QT 간격을 연장하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약물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

약리학

약역학

히드록시진[25]
위치 Ki(nM) 종. 참조
5-HT2A 170()IC50 쥐. [26]
5-HT2C ND ND ND
α1 460()IC50 쥐. [26]
D1. 10,000 이상 마우스 [27]
D2. 378
560()IC50
마우스
쥐.
[27]
[26]
H1 2.0–19
6.4
100()IC50
인간

쥐.
[28][29][30]
[31]
[26]
H2 ND ND ND
H3 ND ND ND
H4 10,000 이상 인간 [29]
mACh 4,600
10,000
10,000()IC50
6,310 (pA2)
3,800
인간
마우스
쥐.
기니피그
[32]
[27]
[26]
[33]
[31]
VDCC ()IC503,400 ( ) 쥐. [26]
특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는 한 값은 K(nMi)입니다.값이 작을수록 약물이 사이트에 강하게 결합됩니다.

히드록시진의 주요 작용 메커니즘강력하고 선택적히스타민1 H 수용체 역작용제이다.[34][35]이 작용은 항히스타민제진정작용[34][35]원인이 된다.다른 많은 1세대 항히스타민류와는 달리 히드록시진은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친화력이 낮으며, 이에 따라 항콜린성 [31][35][36][37]부작용의 위험이 낮다.히드록시진은 항히스타민 활성 외에도 세로토닌 5-HT2A 수용체, 도파민2 D 수용체α-아드레날린1 [26][34]수용체길항제로서 더 약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히드록시진의 약한 항혈청 작용 효과는 그러한 성질이 없는 다른 항히스타민제가 [38][39]불안 치료에 효과적이지 않기 때문에 항불안제로서의 유용성의 기초가 될 수 있다.

히드록시진은 혈액-뇌 장벽을 쉽게 넘고 중추신경계[34]영향을 미친다.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연구에 따르면 단일 30mg 용량 [40]히드록시진에 대해 H 수용체의1 뇌 점유율은 67.6%였다.또한, 주관적인 졸음은 뇌1 H 수용체 [40]점유와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한 PET 연구는 50% 이상의 뇌 H1 수용체 점유율이 높은 졸음인지 저하와 관련이 있는 반면 20% 미만의1 뇌 H 수용체 점유율은 [41]비진정적인 것으로 간주됩니다.

약동학

히드록시진은 경구 투여 또는 근육 내 주입을 통해 투여될 수 있다.경구 투여 시 히드록시진은 위장관에서 빠르게 흡수된다.히드록시진의 효과는 30분 [citation needed]만에 나타난다.

히드록시진은 경구 투여 및 근육 내 투여에 의해 신속하게 흡수되어 보급되어 간에서 대사되며, 알코올 탈수소효소에 의한 카르본산으로의 알코올 부분 산화에 의해 주요 대사물(45%)인 세티리진이 형성되어 투여 후 1시간 이내에 전체적인 효과를 관찰할 수 있다.혈장보다 피부에서 더 높은 농도가 발견됩니다.쎄티리진은 덜 진정되기는 하지만, 투석성이 없고 유사한 항히스타민 성질을 가지고 있다.확인된 다른 대사물로는 N-탈알킬화 대사물 및 혈장 반감기가 59시간인 O-탈알킬화 1/16 대사물이 있다.이러한 경로는 주로 CYP3A4CYP3A5[42][43]의해 매개된다. "동물에서 히드록시진과 그 대사물은 담도 [44]제거를 통해 대변에 배설된다."

히드록시진의 Tmax 성인과 어린이 모두 약 2.0시간이며, 제거 반감기는 성인 약 20.0시간(평균 연령 29.3세), [4][5]어린이 7.1시간이다.그것의 제거 반감기는 [4]어른들에 비해 어린이들의 수명이 짧다.또 다른 연구에서, 노인의 히드록시딘의 반감기는 [6]29.3시간이었다.한 연구는 성인의 히드록시딘의 반감기가 3시간 정도로 짧다는 것을 발견했지만, 이것은 단지 방법론적 [45]한계 때문일 수도 있다.히드록시진은 제거 반감기가 길고 항히스타민제를 24시간 동안 생성하지만, 히드록시진과 긴 반감기를 가진 다른 항히스타민제의 CNS 효과는 8시간 [46]후에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노인학에서의 투여는 젊은 환자의 히드록시진 투여와 다르다. FDA에 따르면, 65세 이상의 인구 집단을 포함하는 중요한 연구(2004)는 행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고령 환자와 다른 젊은 집단을 구별한다.히드록시진은 [21]노인에게 조심스럽게 투여되어야 하며 제거가 감소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화학

히드록시진은 항히스타민류의 디페닐메틸피페라진 클래스의 구성원이다.

히드록시진은 주로 디염산염(염산히드록시진)으로서 공급되지만 엠보네이트염(파모에이트)[47][48][49]으로서도 공급된다.히드록시진, 히드록시진디염산염, 히드록시진파모에이트의 분자량은 각각 [50]374.9g/mol, 447.8g/mol, 763.3g/mol이다.분자량의 차이로 인해 염산히드록시진 1mg은 파모에이트 약 1.7mg에 해당한다.[51]

아날로그

히드록시진의 유사물은 부클리진, 세티리진, 신나리진, 시클로진, 에토드록시진, 메클리진피폭시진을 포함한다.

합성

히드록시진은 1-(4-클로로벤츠히드릴) 피페라진과 2-(2-클로로에톡시)[52] 에탄올의 알킬화에 의해 합성된다.

Hydroxyzine synthesis.png

사회와 문화

브랜드명

히드록시진 제제의사의 처방이 필요하다.이 약물은 파모산염(안키솔루션)과 염산염 또는 염산염(항히스타민)의 두 가지 제제로 제공됩니다.Vistaril, Equose, Masmoran, Paxistil은 파모에이트 소금의 제제이며, Atarax, Alamon, Aterax, Durrax, Tran-Q, Orgatrax, Quiess, Tracizine은 염산염이다.

레퍼런스

  1. ^ "Drugs@FDA: FDA-Approved Drugs".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Retrieved 5 August 2020.
  2. ^ Hubbard JR, Martin PR (2001). Substance Abuse in the Mentally and Physically Disabled. CRC Press. p. 26. ISBN 9780824744977.
  3. ^ a b "Hydroxyzine". pubchem.ncbi.nlm.nih.gov. Retrieved 4 March 2020.
  4. ^ a b c d Paton DM, Webster DR (1985). "Clinical pharmacokinetics of H1-receptor antagonists (the antihistamines)". Clin. Pharmacokinet. 10 (6): 477–97. doi:10.2165/00003088-198510060-00002. PMID 2866055. S2CID 33541001.
  5. ^ a b Simons FE, Simons KJ, Frith EM (1984). "The pharmacokinetics and antihistaminic of the H1 receptor antagonist hydroxyzine". J. Allergy Clin. Immunol. 73 (1 Pt 1): 69–75. doi:10.1016/0091-6749(84)90486-x. PMID 6141198.
  6. ^ a b Simons KJ, Watson WT, Chen XY, Simons FE (January 1989).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studies of the H1-receptor antagonist hydroxyzine in the elderly". Clin Pharmacol Ther. 45 (1): 9–14. doi:10.1038/clpt.1989.2. PMID 2562944. S2CID 24571876.
  7. ^ a b c d e f g h "Hydroxyzine Hydrochloride Monograph for Professionals". Drugs.com.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Retrieved 21 November 2018.
  8. ^ a b c British national formulary : BNF 74 (74 ed.). British Medical Association. 2017. p. X. ISBN 978-0857112989.
  9. ^ Shorter E (2009). Before Prozac: the troubled history of mood disorders in psychiatry. Oxford [Oxfordshire]: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368741.
  10. ^ "The Top 300 of 2019". ClinCalc. Retrieved 16 October 2021.
  11. ^ "Hydroxyzine - Drug Usage Statistics". ClinCalc. Retrieved 16 October 2021.
  12. ^ Guaiana G, Barbui C, Cipriani A (8 December 2010). "Hydroxyzine for generalised anxiety disorder". Cochrane Database Syst. Rev. (12): CD006815. doi:10.1002/14651858.CD006815.pub2. PMID 21154375.
  13. ^ a b 미국 식품의약국, (2004), 페이지 1
  14. ^ a b c Dolan CM (1958). "Management of Emotional Disturbances — Use of Hydroxyzine (Atarax) in General Practice". Calif. Med. 88 (6): 443–4. PMC 1512309. PMID 13536863.
  15. ^ Smith E, Narang P, Enja M, Lippmann S (2016). "Pharmacotherapy for Insomnia in Primary Care". Prim Care Companion CNS Disord. 18 (2). doi:10.4088/PCC.16br01930. PMC 4956432. PMID 27486547.
  16. ^ Matheson E, Hainer BL (July 2017). "Insomnia: Pharmacologic Therapy". Am Fam Physician. 96 (1): 29–35. PMID 28671376.
  17. ^ Lippmann S, Yusufzie K, Nawbary MW, Voronovitch L, Matsenko O (2003). "Problems with sleep: what should the doctor do?". Compr Ther. 29 (1): 18–27. doi:10.1007/s12019-003-0003-x. PMID 12701339. S2CID 1508856.
  18. ^ a b c d e f 미국 식품의약국, (2004), 페이지 2
  19. ^ a b c Clark BG, Araki M, Brown HW (1982). "Hydroxyzine‐associated tardive dyskinesia". Ann. Neurol. 11 (4): 435. doi:10.1002/ana.410110423. PMID 7103423. S2CID 41117995.
  20. ^ a b c UCB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2004)
  21. ^ a b c 미국 식품의약국, (2004), 페이지 3
  22. ^ Anderson PO, Knoben JE, Troutman WG (2002). Handbook of Clinical Drug Data.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Vol. 128 (10th ed.). New York: McGraw-Hill Medical. pp. 794-6. ISBN 9780071363624. PMC 1875767. PMID 20313924.
  23. ^ Alford C, Rombaut N, Jones J, et al. (1992). "Acute effects of hydroxyzine on nocturnal sleep and sleep tendency the following day: A C‐EEG study". Human Psychopharmacology. 7 (1): 25–35. doi:10.1002/hup.470070104. S2CID 143580519.
  24. ^ "NCQA's HEDIS Measure: Use of High Risk Medications in the Elderly" (PDF). NCQA.org.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 February 2010. Retrieved 22 February 2010.
  25. ^ Roth BL; Driscol J. "PDSP Ki Database". Psychoactive Drug Screening Program (PDSP).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and the United States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Retrieved 14 August 2017.
  26. ^ a b c d e f g Snowman AM, Snyder SH (1990). "Cetirizine: actions on neurotransmitter receptors". J. Allergy Clin. Immunol. 86 (6 Pt 2): 1025–8. doi:10.1016/S0091-6749(05)80248-9. PMID 1979798.
  27. ^ a b c Haraguchi K, Ito K, Kotaki H, et al. (1997). "Prediction of drug-induced catalepsy based on dopamine D1, D2, and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occupancies". Drug Metab. Dispos. 25 (6): 675–84. PMID 9193868.
  28. ^ Gillard M, Van Der Perren C, Moguilevsky N, et al. (2002). "Binding characteristics of cetirizine and levocetirizine to human H1 histamine receptors: contribution of Lys191 and Thr194" (PDF). Mol. Pharmacol. 61 (2): 391–399. doi:10.1124/mol.61.2.391. PMID 11809864. S2CID 130758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9 February 2019.
  29. ^ a b Lim HD, van Rijn RM, Ling P, et al. (2005). "Evaluation of histamine H1-, H2-, and H3-receptor ligands at the human histamine H4 receptor: identification of 4-methylhistamine as the first potent and selective H4 receptor agonist". J. Pharmacol. Exp. Ther. 314 (3): 1310–21. doi:10.1124/jpet.105.087965. PMID 15947036. S2CID 24248896.
  30. ^ Anthes JC, Gilchrest H, Richard C, et al. (2002).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desloratadine, a potent antagonist of the human histamine H1 receptor". Eur. J. Pharmacol. 449 (3): 229–37. doi:10.1016/s0014-2999(02)02049-6. PMID 12167464.
  31. ^ a b c Kubo N, Shirakawa O, Kuno T, et al. (1987). "Antimuscarinic effects of antihistamines: quantitative evaluation by receptor-binding assay". Japanese Journal of Pharmacology. 43 (3): 277–82. doi:10.1254/jjp.43.277. PMID 2884340.
  32. ^ Cusack B, Nelson A, Richelson E (1994). "Binding of antidepressants to human brain receptors: focus on newer generation compounds". Psychopharmacology. 114 (4): 559–65. doi:10.1007/bf02244985. PMID 7855217. S2CID 21236268.
  33. ^ Orzechowski RF, Currie DS, Valancius CA (2005). "Comparative anticholinergic activities of 10 histamine H1 receptor antagonists in two functional models". Eur. J. Pharmacol. 506 (3): 257–64. doi:10.1016/j.ejphar.2004.11.006. PMID 15627436.
  34. ^ a b c d Szepietowski J, Weisshaar E (2016). Itin P, Jemec GB (eds.). Itch - Management in Clinical Practice. Current Problems in Dermatology. Vol. 50. Karger Medical and Scientific Publishers. pp. 1–80. ISBN 9783318058895.
  35. ^ a b c Hosák L, Hrdlička M, et al. (2017). Psychiatry and Pedopsychiatry. Charles University in Prague, Karolinum Press. p. 364. ISBN 9788024633787.
  36. ^ Berger FM (1957). "The Chemistry and Mode of Action of Tranquilizing Drugs". Ann. N. Y. Acad. Sci. 67 (10): 685–700. Bibcode:1957NYASA..67..685B. doi:10.1111/j.1749-6632.1957.tb46006.x. PMID 13459139. S2CID 12702714.
  37. ^ Tripathi KD (2013). Essentials of Medical Pharmacology. JP Medical Ltd. p. 165. ISBN 9789350259375.
  38. ^ Stein DJ, Hollander E, Rothbaum BO, eds. (2009). Textbook of Anxiety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p. 196. ISBN 9781585622542.
  39. ^ Lamberty Y, Gower AJ (2004). "Hydroxyzine prevents isolation-induced vocalization in guinea pig pups: comparison with chlorpheniramine and immepip". Pharmacol. Biochem. Behav. 79 (1): 119–24. doi:10.1016/j.pbb.2004.06.015. PMID 15388291. S2CID 23593514.
  40. ^ a b Tashiro M, Kato M, Miyake M, et al. (2009). "Dose dependency of brain histamine H1 receptor occupancy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of cetirizine hydrochloride measured using PET with [11C]doxepin". Human Psychopharmacology. 24 (7): 540–8. doi:10.1002/hup.1051. PMID 19697300. S2CID 5596000.
  41. ^ Yanai K, Tashiro M (2007). "The physiological and pathophysiological roles of neuronal histamine: an insight from human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tudies". Pharmacol. Ther. 113 (1): 1–15. doi:10.1016/j.pharmthera.2006.06.008. PMID 16890992.
  42. ^ "Ucerax (hydroxyzine hydrochloride) 25 mg film-coated tablets.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PDF). Irish Medicines Board.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2 February 2014. Retrieved 9 February 2014.
  43. ^ Foye's principles of medicinal chemistry. Foye, William O., Lemke, Thomas L., Williams, David A., 1938- (7th ed.). Philadelphia: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3. ISBN 978-1-60913-345-0. OCLC 748675182.{{cite book}}: CS1 유지보수: 기타 (링크)
  44. ^ "VISTARIL (hydroxyzine pamoate) Capsules and Oral Suspension" (PDF). pfizer.com.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3 July 2007. Retrieved 7 March 2007. The extent of renal excretion of VISTARIL has not been determined
  45. ^ Kacew S (1989). Drug Toxicity & Metabolism In Pediatrics. CRC Press. p. 257. ISBN 9780849345647.
  46. ^ Estelle, F.; Simons, R. (1994). "H1-Receptor Antagonists". Drug Safety. 10 (5): 350–380. doi:10.2165/00002018-199410050-00002. ISSN 0114-5916. PMID 7913608. S2CID 12749971.
  47. ^ J. Elks (14 November 2014). The Dictionary of Drugs: Chemical Data: Chemical Data, Structures and Bibliographies. Springer. pp. 671–. ISBN 978-1-4757-2085-3.
  48. ^ Index Nominum 2000: International Drug Directory. Taylor & Francis. 2000. pp. 532–. ISBN 978-3-88763-075-1.
  49. ^ I.K. Morton; Judith M. Hall (6 December 2012). Concise Dictionary of Pharmacological Agents: Properties and Synonym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147–. ISBN 978-94-011-4439-1.
  50. ^ "PubChem".
  51. ^ "Hydroxyzine Pamoate 5 mg/ML Oral Suspens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October 2020.
  52. ^ H. Morren, 미국 특허 2,899,436(1959); H. Morren,DE 1049383(1954년), H. Morren, DE 1061786(1954년), H. Morren, DE 1068262(1954년), H. Morren, DE 1072624(1954년), H. Morren, DE 1075116(1954년).

외부 링크

  • "Hydroxyzine". Drug Information Portal.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