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타미딘
Pentamidine![]() | |
![]() | |
임상자료 | |
---|---|
상명 | 네부펜트, 펜텀 등[1] |
기타 이름 | 펜타미딘 디이시온산, 펜타미딘 디메시온산염 |
AHFS/Drugs.com | 모노그래프 |
경로: 행정 | IV, IM, 흡입 |
ATC 코드 | |
법적현황 | |
법적현황 |
|
약동학 데이터 | |
단백질 결합 | 69% |
제거 반감기 | 6.4~9.4시간 |
식별자 | |
| |
CAS 번호 | |
펍켐 CID | |
드러그뱅크 | |
켐스파이더 | |
유니 | |
케그 | |
체비 | |
켐벨 | |
CompTox 대시보드 (EPA) | |
ECHA InfoCard | 100.002.583 ![]() |
화학 및 물리적 데이터 | |
공식 | C19H24N4O2 |
어금질량 | 340.427 g·190−1 |
3D 모델(JSmol) | |
녹는점 | 186 °C(367 °F) (결국) |
| |
| |
(iii) |
펜타미딘은 아프리카 트라이파노소미아시스, 라이프마니아시스, 발라무티아스 감염증,[2] 바베시아시스증 등을 치료하고 면역기능이 떨어지는 사람에게 폐렴성 폐렴(PCP)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항균제다.[1] 아프리카의 트라이파노소미아시스에서는 중추신경계가 관여하기 전의 초기 질병에 쓰이며, 수라민에 대한 두 번째 선택사항으로 사용된다.[1] 그것은 본능적인 라이프마니아와 피부적인 라이프마니아 둘 다에 대한 선택사항이다.[1] 펜타미딘은 정맥이나 근육에 주사하거나 흡입하여 투여할 수 있다.[1]
주사형식의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저혈당, 주사부위 통증, 메스꺼움, 구토, 저혈압, 신장질환 등이 있다.[1] 흡입된 형태의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헐떡거림, 기침, 메스꺼움 등이 있다.[1] 신장이나 간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복용량을 변경해야 할지는 불분명하다.[1] 펜타미딘은 임신 초기에는 권장되지 않지만 임신 후반에는 사용할 수 있다.[1] 모유 수유 시 안전성이 불분명하다.[3] 펜타미딘은 방향족 약품군에 속한다.[4] 약의 작용 방식이 완전히 명확하지는 않지만, DNA, RNA, 단백질의 생산을 감소시키는 것을 수반한다고 여겨진다.[1]
펜타미딘은 1937년에 의학적으로 사용되었다.[5] 그것은 세계보건기구의 필수 의약품 목록에 올라 있는데, 건강 시스템에 필요한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의약품이다.[6] 그것은 일반적인 약으로 이용할 수 있다.[1] 이 질병이 흔한 세계 지역에서는 세계보건기구(WHO)가 펜타미딘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7] 미국에서는 2016년 현재 흡입 분말이 122.84달러, 주사용 바이알은 1회 복용량에 45.31달러가 든다.[8] PCP 폐렴에 유용한 것으로 밝혀진 이후 그 가격은 10배 이상 올랐다.[5]
의학적 용법
- 폐렴구균에 의한[9] PCP의 치료
- 다음 중 하나 또는 둘 다 있는 HIV 감염 성인의 PCP 예방:
- PCP의 역사
- CD4+ 카운트 ≤ 200mm³[10]
- 라이프마니아시스[11] 치료
- Trypanosoma bruisi gambiense에[11] 의한 아프리카 트라이파노소마증 치료
- 발라무티아 감염증[12]
- 펜타미딘은 미국 식품의약국[13](FDA)에서 고아 약물로 분류하고 있다.
기타 용도
특수 모집단
임신
정맥 주사를 맞았을 때 동물 연구에서 선천적 결함을 유발하는 것으로 드러나지 않았다. 펜타미딘이 임산부의 태아를 해칠 수 있는지 여부를 보여주는 통제된 연구는 없다. 선택약인 트리메토프림술파메트호사졸이 억제된 경우에만 권장된다.[16]
모유수유
모유에 함유된 펜타미딘의 배설과 관련한 정보는 없지만 현재 모유수유아에 대한 부작용은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제조사에서 모유수유를 하지 않거나 산모가 약을 끊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 결정을 내릴 때 산모에 대한 위험 대 편익을 고려해야 한다.[16]
아이들.
Pentamidine은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을 참지 못하고 분무기를 사용할 수 있는 HIV 어린이의 PCP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펜타미딘의 무정맥 용액은 다른 치료법을 사용할[17] 수 없는 2세 이상의 HIV 어린이에게만 사용되어야 한다.
노인
이 특정 모집단에는 펜타미딘의 사용에 대한 데이터가 없다.[16]
콘트라인커뮤니케이션
- 아나필락시즘 이온산염에 대한[9] 과민성 또는 과민성 이력이 있는 환자
부작용
공통의
- 타는 듯한 통증, 건조함 또는 목구멍의 혹감
- 가슴통증
- 기침
- 호흡 곤란
- 삼키기 어려움
- 피부 발진
- 헉헉거리며[18]
희귀한
- 메스꺼움과 구토
- 상복부 통증, 등에 방사될 수 있음
- 가슴 옆구리가 심하게 아프다.
- 호흡곤란[18]
다른이들
- 혈액: 펜타미딘은 백반증을 자주 일으키며 혈소판증을 적게 일으켜 증상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엽산 결핍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빈혈의 몇몇 사례들이 설명되어 왔다.[18]
- 심혈관계: 저혈압, 심할 수도 있다. 심각하거나 치명적인 부정맥과 심부전은 꽤 빈번하다.[9]
- 신장: 25%는 경증, 무증상 아조타혈증(세럼 크레아티닌과 요소 증가)부터 돌이킬 수 없는 신부전까지 신독성의 징후를 발생시킨다. 충분한 유체나 정맥내 수분은 신독성을 예방할 수 있다.[9]
- 간: 상승된 간 효소는 펜타미딘의 정맥 사용과 관련이 있다. 간염과 간염은 장기간 펜타미딘 흡입의 예방적 사용에 직면해 왔다.[9]
- 신경계: 현기증, 졸음, 신경통, 혼란, 환각, 발작, 기타 중추적인 부작용이 보고된다.[9]
- 췌장: 증상적 치료가 필요한 저혈당증이 자주 나타난다. 반면에 펜타미딘은 당뇨병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9]
- 호흡기: 기침과 기관지 경련, 흡입과 함께 가장 많이 나타난다.[9]
- 피부: 정맥주사 용액의 과대 산포나 근육내 주사 치료 후의 심각한 국소 반응이 관찰되었다. 펜타미딘 자체가 발진을 일으킬 수도 있고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또는 리엘 증후군.[9]
- 눈의 불편함, 결막염, 목의 자극, 비장, 헥스하이머 반응, 전해질 불균형(예: 저칼슘혈증)[9]
약물 상호작용
아미노글리코사이드, 암포테리신 B, 카프레오마이신, 콜리스틴, 폴리미신 B, 반코마이신, 포스카넷 또는 시스플라틴과 같은 다른 신독성 약물의 추가 또는 순차적 사용은 가능한 한 철저히 감시하거나 완전히 피해야 한다.[9]
작용기전
그 메커니즘은 다른 유기체에 따라 다른 것 같고 잘 이해되지 않는다. 그러나 펜타미딘은 DNA, RNA, 인지질, 단백질 합성에 있어 중요한 기능의 간섭을 다양한 방법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9][19] 펜타미딘은 트라이파노소마 기생충 DNA의 아데닌-시민이 풍부한 지역에 결합되어 4-5개의 염기쌍이 떨어져 있는 두 아데닌 사이에 교차연계를 형성한다. 이 약은 또한 폐렴구균 지로베ccsi의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토포아세머레이즈 효소를 억제한다. 마찬가지로 펜타미딘은 트라이파노소마 기생충의 미토콘드리아에서 타입 II topoisomerase를 억제하여 깨지고 읽을 수 없는 미토콘드리아 게놈을 발생시킨다.[19]
저항
펜타미딘에 내성이 있는 트라이파노소마 브루시 기생충 변종이 발견됐다. 펜타미딘은 운반체 단백질을 통해 미토콘드리아로 유입되며, 이러한 운반체가 없으면 약물이 작용 부위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19]
약동학
흡수: 펜타미딘은 정맥주사 또는 근육주사로 투여하면 완전히 흡수된다. 분무기를 통해 흡입하면 펜타미딘이 주입에 비해 높은 농도로 폐의 기관지극액에 축적된다. 흡입된 형태는 혈액에 최소한으로 흡수된다.[10] 구두로 말하면 흡수를 신뢰할 수 없다.[11]
분포: 펜타미딘을 주사하면 혈장 내 조직과 단백질에 결합한다. 신장, 간, 폐, 췌장, 비장, 부신 등에 축적된다.[20] 또한, 펜타미딘은 뇌척수액의 치료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다.[11] 정맥주사는 286-1356리터, 정맥주사는 1658-3790리터의 유통량을 가지고 있다.[21] 흡입된 펜타미딘은 주로 폐의 브론초올보랄 라바지 액에 침전된다.[20]
신진대사: 펜타미딘은 주로 간에서 사이토크롬 P450 효소에 의해 대사된다.[21][22] 펜타미딘의 12%까지 변변치 않은 소변에서 제거된다.[9]
제거: 펜타미딘은 정맥주사 시 평균 5~8시간, 근육주사 시 평균 7~11시간의 반감기를 가진다. 하지만, 이것들은 심각한 신장 질환과 함께 증가할 수 있다.[20] 펜타미딘은 1차 주사 후 8개월까지 체내에 남아 있을 수 있다.[19]
화학
주입을 위한 펜타미딘 이센틴은 멸균수 또는 덱스트로스 5%로 재구성하기 위한 라오필화 백색 결정 가루로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다. 재구성 후, 혼합물은 변색과 침수가 없어야 한다. 침전물의 형성으로 인해 염화나트륨을 사용한 재조정은 피해야 한다. 펜타미딘의 정맥내 용액은 지도비딘과 같은 정맥내 HIV 약물과 딜티아젬과 같은 정맥내 심장 약물과 혼합될 수 있다. 그러나 항바이러스 포스카넷과 항정신병 플루코나졸의 정맥내 용액은 펜타미딘과 양립할 수 없다.[9] 정맥 투여와 관련된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 히스타민의 분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용액을 천천히 주입해야 한다.[19]
역사
펜타미딘은 1950년 펜타미딘 메실레이트로 등록되기 전인 1937년 아프리카 트라이파노소미아시스 치료에 처음 사용됐고 1940년 라이프마니아시스(Leishmaniasis)가 치료됐다. 폐렴구균 지로벡시균에 대한 효능은 1984년 현재의 이뇨제 형태로 의약품 시장에 재등장한 데 이어 1987년 입증됐다.[11]
상호 및 선량 양식
경구 흡입 및 분무기 사용의 경우:[8]
- 네부펜트 네불라이저(APP 제약 LLC - 미국)
정맥 및 근육 내 사용의 경우:[8]
- 미국 및 캐나다:
- Pentacarinat 300 주입 분말 300 mg 바이알(Abantis Pharma Inc. - 캐나다)
- Pentam 300(APP 제약 LLC - 미국)
- Pentamidine isetionate 300mg 주입(David Bull Laboratories LTD - Canada, Hospira Healthcare Corporation - Canada)
- 국제 브랜드:[8]
- 펜타미딘 이세션산염(Abbott)
- 펜타카리나트(사노피아벤티스)
- 펜타크리나트(아보트)
- 펜텀(애벗)
- 폐렴제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d e f g h i j k "Pentamidine Isethionate".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December 2016. Retrieved 3 December 2016.
- ^ "Treatment Balamuthia Parasites CDC". 5 September 2019.
- ^ "Pentamidine Use During Pregnancy". www.drug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November 2016. Retrieved 3 December 2016.
- ^ Cohen J, Powderly WG, Opal SM (2016). Infectious Diseases. Elsevier Health Sciences. p. 1368. ISBN 978070206338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03-08.
- ^ a b Magill AJ, Strickland GT, Maguire JH, Ryan ET, Solomon T (2012). Hunter's Tropical Medicine and Emerging Infectious Disease (9 ed.). Elsevier Health Sciences. p. 723. ISBN 978-145574043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12-20.
-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25771. WHO/MVP/EMP/IAU/2019.06. License: CC BY-NC-SA 3.0 IGO.
- ^ "Trypanosomiasis, human African (sleeping sickness)". World Health Organization. February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December 2016. Retrieved 7 December 2016.
- ^ a b c d DrugBank, ed. (2016-08-17). "Pentamidine". DrugBan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11-04.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DailyMed - PENTAM 300- pentamidine isethionate injection, powder, lyophilized, for solution". dailymed.nlm.nih.go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11-04. Retrieved 2016-11-07.
- ^ a b "DailyMed - NEBUPENT- pentamidine isethionate inhalant". dailymed.nlm.nih.go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11-04. Retrieved 2016-11-07.
- ^ a b c d e "Drugs". World Health Organiz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8-19. Retrieved 2016-11-04.
- ^ "Treatment Balamuthia Parasites CDC". 5 September 2019.
- ^ "Drugs@FDA: FDA Approved Drug Products". www.accessdata.fda.go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8-13. Retrieved 2016-11-07.
- ^ Lee MS, Johansen L, Zhang Y, Wilson A, Keegan M, Avery W, Elliott P, Borisy AA, Keith CT (December 2007). "The novel combination of chlorpromazine and pentamidine exerts synergistic antiproliferative effects through dual mitotic action". Cancer Research. 67 (23): 11359–67. doi:10.1158/0008-5472.CAN-07-2235. PMID 18056463.
- ^ Penumutchu SR, Chou RH, Yu C (2014). "Structural insights into calcium-bound S100P and the V domain of the RAGE complex". PLOS ONE. 9 (8): e103947. Bibcode:2014PLoSO...9j3947P. doi:10.1371/journal.pone.0103947. PMC 4118983. PMID 25084534.
- ^ a b c "Pentamidine Use During Pregnancy Drugs.com". www.drug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11-09. Retrieved 2016-11-10.
- ^ "Pneumocystis jirovecii Pneumonia Pediatric OI Prevention and Treatment Guidelines AIDSinfo". AIDSinf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11-07. Retrieved 2016-11-07.
- ^ a b c "Pentamidine Side Effects in Detail - Drugs.com". www.drug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11-04. Retrieved 2016-11-04.
- ^ a b c d e Lemke TL, Williams DA, eds. (2013). Foye's Principles of Medicinal Chemistry (Seven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ISBN 9781609133450.
- ^ a b c "Pentamidine (Oral Inhalation) (Professional Patient Advice) - Drugs.com". www.drug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11-04. Retrieved 2016-11-04.
- ^ a b "NebuPent, Pentam (pentamidine) dosing, indications, interactions, adverse effects, and more". reference.medscap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11-06. Retrieved 2016-11-06.
- ^ Pubchem. "pentamidine C19H24N4O2 - PubChem". pubchem.ncbi.nlm.nih.go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11-07. Retrieved 2016-11-06.
외부 링크
- "Pentamidine". Drug Information Portal.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