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바메이트

Felbamate
펠바메이트
Felbamate.svg
임상 데이터
상호펠바톨
AHFS/Drugs.com모노그래프
Medline Plusa6011
루트
행정부.
구강(태블릿, 구강 현탁)
ATC 코드
법적 상태
법적 상태
  • 일반 : ( (처방만)
약동학 데이터
바이오 어베이러빌리티90 % 이상
대사간염
반감기 제거20~23시간
식별자
  • (3-글루타모일록시-2-페닐프로필)
CAS 번호
PubChem CID
IUPHAR/BPS
드러그뱅크
켐스파이더
유니
케그
체비
첸블
CompTox 대시보드 (EPA )
ECHA 정보 카드100.042.714 Edit this at Wikidata
화학 및 물리 데이터
공식C11H14N2O4
몰 질량238.24 g/120−1
3D 모델(JSmol)
  • O=C(N)OCC(c1cc1)COC(N)=O
  • InChI=1S/C11H14N2O4/c12-10(14)16-6-9(7-17-11(13)15)8-4-2-1-3-5-8/h1-5,9H,6-7H2,(H2,12,14)(H2,13) checkY
  • 키: WKGXYQFOCVYPAC-UHFFFAOYSA-N checkY
(표준)

펠바메이트(Felbamate, MedPointe의 상표명 펠바톨)는 간질 치료에 사용되는 항경련제입니다[1]. 뇌전증성인의 부분[2][3] 발작(일반화 유무)과 어린이의 레녹스-가스타트 증후군과 관련된 부분 및 일반 발작 치료에 사용된다.그러나 치명적일 수 있는 재생불량성 빈혈 및/또는 간부전의 위험이 증가하면 약물 사용이 심각한 난치성 간질로 제한된다. 뇌전증

작용 메커니즘

펠바메이트는 GABAA 수용체[4][5] 양성 조절제 및 NMDA 수용체, 특히 NR2B 서브유닛을 [6][7][8][9]포함하는 아이소포름의 차단제로서 독특한 이중 작용 메커니즘을 갖는 것으로 제안되었다.펠바메이트가 NMDA 수용체의 약리학적 억제를 일으키는 것은 분명하지만, 인간 뇌전증의 치료 전략으로서의 NMDA 수용체 차단의 관련성은 [10]의문시되고 있다.따라서 뇌전증에서 펠바메이트의 치료 작용에 대한 NMDA 수용체에 대한 펠바메이트의 영향의 중요성은 불확실하다.

승인내역

미국

  • 1993년 8월펠바메이트는 성인의 2차 일반화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부분 발작과 소아 뇌전증의 심각한 형태인 레녹스-가스타트 증후군에 대해 승인되었다.그 다음 해에 펠바메이트 치료를 시작한 사람은 15만 명이었고 그 중 3분의 1이 확립되었다.
  • 1994년 8월 1일재생불량성 [11]빈혈이 10건이나 발생한 후 긴급히 철회되었습니다."친애하는 닥터"라는 편지가 24만 명의 의사들에게 보내졌다.
  • 1994년 9월 27일펠바메이트는 260,000명의 의사에게 보낸 또 다른 "친애하는 닥터" 편지에서 제한적인 상환을 받았다.유익성이 위해성을 초과하는 중증 뇌전증 환자들에게만 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새롭게 인식된 [12]위해성을 반영하기 위해 제품 라벨에 변경을 가할 것을 권고했다.급성 간부전(이 중 4건은 치명적)이 10건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구제는 추가적인 경고와 함께 이루어졌다.이 시점에서 1만1만2000명이 약을 복용하고 있었다.

영국

  • 그 약은 제한된 이름 있는 환자 기준으로만 구입할 수 있다.

표시 및 사용방법

  • 성인: 부분 발작 치료에 대한 단발성 요법 또는 보조 요법. 일반화와 무관하게.
  • 자녀:레녹스-가스타트 증후군과 관련된 부분 및 전신 발작 치료에 대한 보조 요법.

투여

펠바메이트는 정제(400mg 및 600mg)와 복숭아색 경구 현탁액(600mg/5mL)으로 제공됩니다.

  • 성인( 1414세): 매일 1,200mg부터 6~8시간마다 투여
  • 소아(2~14세): 1일 kg당 15~45mg (6~8시간마다 투여)

부작용

부작용으로는 식욕 저하, 구토, 불면증, 메스꺼움, 어지럼증, 졸음, 두통 등이 있습니다.많은 환자들이 그 약물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진다고 보고한다.희귀하지만 매우 심각한 두 가지 영향은 재생불량성 빈혈과 심각한 간 손상을 포함한다.재생불량성 빈혈의 위험은 1:3,600에서 1:5,000 사이이며, 그 중 30%가 치명적이다.간 손상의 위험은 1:24,000에서 1:34,000 사이이며, 이 중 40%가 [citation needed]치명적이다.

약물 상호작용

펠바메이트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여러 [13]약물의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인 CYP2C19억제제이다.펠바메이트는 페니트인, 발프로산염, 카바마제핀을 포함한 여러 다른 AED와 상호작용합니다.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 용량 조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펠바메이트와 카바마제핀의 병용 투여는 두 약물의 혈중 농도를 낮추는 한편, 카바마제핀의 [14]활성 대사물카바마제핀-10,11 에폭시드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역사

펠바메이트는 월러스 [15]연구소의 프랭크 버거에 의해 발견되었다.

레퍼런스

  1. ^ Rho JM, Donevan SD, Rogawski MA (March 1997). "Barbiturate-Like Actions of the Propanediol Dicarbamates Felbamate and Meprobamate". J. Pharmacol. Exp. Ther. 280 (3): 1383–91. PMID 9067327.
  2. ^ Leppik IE, Dreifuss FE, Pledger GW, et al. (November 1991). "Felbamate for Partial Seizures: Results of a Controlled Clinical Trial". Neurology. 41 (11): 1785–9. doi:10.1212/wnl.41.11.1785. PMID 1944909. S2CID 25245002.
  3. ^ Devinsky O, Faught RE, Wilder BJ, et al. (March 1995). "Efficacy of Felbamate Monotherapy in Patients Undergoing Presurgical Evaluation of Partial Seizures". Epilepsy Res. 20 (3): 241–6. doi:10.1016/0920-1211(94)00084-A. PMID 7796796. S2CID 21915205.
  4. ^ Rho JM, Donevan SD, Rogawski MA (Feb 1994). "Mechanism of Action of the Anticonvulsant Felbamate: Opposing Effects on N-Methyl-D-aspartate and Gamma-Aminobutyric Acid A Receptors". Annals of Neurology. 35 (2): 229–34. doi:10.1002/ana.410350216. PMID 8109904. S2CID 33913077.
  5. ^ Kume A, Greenfield LJ, Macdonald RL, Albin RL (June 1996). "Felbamate Inhibits [3H]t-Butylbicycloorthobenzoate (TBOB) Binding and Enhances Cl Current at the Gamma-Aminobutyric Acid A (GABAA) Receptor". J. Pharmacol. Exp. Ther. 277 (3): 1784–92. PMID 8667250.
  6. ^ Subramaniam S, Rho JM, Penix L, Donevan SD, Fielding RP, Rogawski MA (May 1995). "Felbamate Block of the N-Methyl-D-aspartate Receptor". The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273 (2): 878–86. PMID 7752093.
  7. ^ Kleckner NW, Glazewski JC, Chen CC, Moscrip TD (May 1999). "Subtype-Selective Antagonism of N-Methyl-D-aspartate Receptors by Felbamate: Insights into the Mechanism of Action". The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289 (2): 886–894. PMID 10215667.
  8. ^ Harty TP, Rogawski MA (March 2000). "Felbamate Block of Recombinant N-Methyl-D-aspartate Receptors: Selectivity for the NR2B Subunit". Epilepsy Research. 39 (1): 47–55. doi:10.1016/s0920-1211(99)00108-4. PMID 10690753. S2CID 25467576.
  9. ^ Chang HR, Chung-Chin Kuo CC (March 2008). "Molecular determinants of the anticonvulsant felbamate binding site in the N-methyl-D-aspartate receptor".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51 (6): 1534–45. doi:10.1021/jm0706618. PMID 18311896.
  10. ^ Rogawski MA (March 2011). "Revisiting AMPA Receptors as an Antiepileptic Drug Target". Epilepsy Currents. 11 (2): 56–63. doi:10.5698/1535-7511-11.2.56. PMC 3117497. PMID 21686307.
  11. ^ "www.fda.go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 2008. Retrieved 2008-11-15.
  12. ^ "www.fda.go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9, 2007. Retrieved 2008-11-15.
  13. ^ Flockhart DA (2007). "Drug Interactions: Cytochrome P450 Drug Interaction Table". Indian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2008년 12월 25일에 취득.
  14. ^ Curry WJ, Kulling DL (February 1998). "Newer Antiepileptic Drugs: Gabapentin, Lamotrigine, Felbamate, Topiramate and Fosphenytoin". Am Fam Physician. 57 (3): 513–20. PMID 9475899.
  15. ^ "Frank Berger". Daily Telegraph. 2008-04-07. ISSN 0307-1235. Retrieved 2018-09-2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