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니케민
Lanicemine![]() | |
![]() | |
임상자료 | |
---|---|
ATC 코드 |
|
법적현황 | |
법적현황 |
|
식별자 | |
| |
CAS 번호 | |
펍켐 CID | |
IUPHAR/BPS | |
켐스파이더 | |
유니 | |
화학 및 물리적 데이터 | |
공식 | C13H14N2 |
어금질량 | 198.269 g·1998−1 |
3D 모델(JSmol) | |
| |
|
라니케민(AZD6765)은 중증 및 치료 저항성 우울증 관리를 위해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 중인 저트래핑 NMDA 수용체 길항제다.[1][2] 라니케민은 저트래핑 NMDA 수용체 길항제라는 점에서 케타민과 다른 점이 있어 임상시험에서는 케타민과 유사한 신속작용 항우울제 효과를 보이나 정신운동학적 부작용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3] 그러나 라니케민은 연구 끝점을 충족시키지 못했고, 2013년 아스트라제네카에 의해 개발이 종료되었다.[4]
참고 항목
참조
- ^ "Lanicemine". AdisInsight. Retrieved 18 June 2017.
- ^ Machado-Vieira R, Henter ID, Zarate CA (May 2017). "New targets for rapid antidepressant action". Progress in Neurobiology. 152: 21–37. doi:10.1016/j.pneurobio.2015.12.001. PMC 4919246. PMID 26724279.
- ^ Zarate CA, Mathews D, Ibrahim L, Chaves JF, Marquardt C, Ukoh I, et al. (August 2013). "A randomized trial of a low-trapping nonselective N-methyl-D-aspartate channel blocker in major depression". Biological Psychiatry. 74 (4): 257–64. doi:10.1016/j.biopsych.2012.10.019. PMC 3594049. PMID 23206319.
- ^ Flowers S. "Return to growth: AstraZeneca's CEO Pascal Soriot says 2013 was year of "momentum" for the company". Retrieved 6 February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