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요리
Indonesian cuisine![]() |
이 기사는 에 관한 시리즈의 일부입니다. |
인도네시아 요리 인도네시아 마사칸 |
---|
![]() ![]() |
의 시리즈의 일부 |
인도네시아의 문화 |
---|
![]() |
역사 |
사람 |
언어들 |
요리. |
문학. |
스포츠 |
인도네시아 요리는 인도네시아 군도를 형성한 다양한 지역 요리 전통의 집합체이다.인도네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큰 [1][2]군도에 있는 17,508개의 섬 중 약 6,000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고 1,300개 이상의 민족 [3]집단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레시피와 요리가 있다.많은 지역 음식들이 존재하며, 종종 외국의 영향을 [2]받은 토착 문화를 기반으로 한다.인도네시아에는 약 5,350개의 전통 요리법이 있으며, 그 중 30개가 가장 [4]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인도네시아의 요리에는 보통 지역 음식점의 쌀, 국수, 수프 요리와 길거리 간식, 최고가 접시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요리 크게 지역별 그리고 다른 많은 영향을 미치는 다양하다.[2][5][6]반면Javanese 요리 대부분 중국의 영향력도 약간의 힌트와 indigenous,[2]은 수마트라 요리, 예를 들어, 자주, 카레로 맛을 낸 고기와 gulai 및 카레와 같은 야채를 소재로 중동과 인도 영향을 줄 수 있다.동부 인도네시아의 요리 특색을 폴리네시아와 멜라네시아 요리와 비슷하다.중국 요리의 요소들 인도네시아 요리에:국수, 고기 공, 봄 롤과 같은 음식 완전히 동화되어 왔다 볼 수 있다.
오랜 역사에 걸쳐서 인도네시아는 그 위치와 천연 자원 때문에 무역에 관여해 왔다.또한 인도네시아의 토착 기술과 재료 인도, 중동, 중국, 마침내 유럽의 영향을 받았다.심지어 전에 네덜란드는 군도의 대부분의를 식민지로 만든 왔다 스페인 인과 포르투갈인 상인들 신세계를 만들어 냈다.그 인도네시아는" 있는 스파이스 섬"로 유명하다는 몰루카 제도(말루쿠주)도 정향, 육두구와 같은 토종 향신료,와 세계 인도네시아 요리의 도입 부분에 기여했다 islands.
인도네시아 음식은 복잡한 flavour,[7]어떤 특정한 재료와bumbu 향신료 혼합물로 얻는 방법을 보여 줍니다.인도네시아 요리;가장 가장 종종, 매우 덥고 매콤하며,, 짠맛, 신맛과 쓴맛의 같은 기본적인 취향도 조합 맛으로 묘사된 부유한 맛을 가지고 있다.대부분의 인도와 매운 음식sambal, 인도네시아, 매운 칠리 소스를 다양한 선택적 재료로 뜨거운, 특히 새우 반죽을, 대파, 그리고 다른 사람들, 주요 양념 모든 인도네시아 식단에서를 선호한다.[8]7주요 인도네시아 요리 방법 볶는 것,,, 끓이고 찌기 sautéing 굽기 건조한 로스팅을 튀기고 있다.
nasi goreng,[9]gado-gado,[10][11]satay,[12]과 soto[13] 같은 몇몇 인기 있는 인도네시아 요리에 나라에서 국가 음식으로 여겨진다 어디서나 존재한다.인도네시아의 공식적인 국민 음식, 2014년에 인도네시아 관광부는과 창조 경제에 의해는 인도네시아의 다양한 요리 전통의 다양성을 하나로 묶는 접시로 선정되tumpeng 있다.[4]나중에 2018년에는 똑같은 부처, 그들이 rendang,는 사테이,nasi goreng, gado-gadosoto은 인도네시아의 5국민 음식을 선택했다.[14]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d/Sate_Ponorogo.jpg/260px-Sate_Ponorogo.jpg)
오늘날, 인도네시아에서 유래한 인기 있는 음식들은 이웃 나라인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서는 사테이, 소고기 렌당, 삼발 등의 인도네시아 요리를 선호한다.두부나 템페 등 콩을 사용한 요리도 인기가 있습니다.템페는 콩을 기반으로 한 식품 발효 및 생산을 현지화한 자바어 발명품으로 여겨진다.또 다른 발효음식은 온컴으로, 템페와 어떤 면에서는 비슷하지만 다양한 베이스(콩뿐만 아니라)를 사용하며, 다른 곰팡이에 의해 만들어지며, 웨스트 자바에서 특히 인기가 있다.
역사
인도네시아 요리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대부분의 기록은 잘 되어 있지 않지만, 현지의 관습과 구전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꽤 잘 기록된 요리 전통을 가지고 있는 자바 요리에 의해 드문 예가 증명됩니다.인도네시아 동부의 파푸아 부족이 행하던 고대 바카르 바투 또는 돌구이 참마와 멧돼지부터 현대 인도네시아 퓨전 요리까지 다양합니다.인도네시아 군도의 민족적 다양성은 현지 자바어, 순다어, 발리어, 미낭어, 말레이어 및 기타 토착 요리 전통과 수세기 동안 인도 무역상, 중국인 이민자 및 네덜란드 식민지와 [15]접촉하는 등 다양한 조합을 제공합니다.
쌀은 9세기 보로부두르와 프람바난의 부조가 고대 자바에서 쌀 농사를 묘사하기 때문에 인도네시아 사회의 필수 주식이었다.많은 자바어 비문에 고대 요리가 언급되었고 역사가들은 그 중 일부를 해독하는 데 성공했다.메당 마타람 시대의 비문에는 여러 가지 고대 요리가 언급되어 있는데, 그 중 하다안 하라(hadaanan hara (, 오늘날의 발리산 사틸과 비슷한 물소 고기), 하다안 마두라(hada madan madura, 달콤한 야자수로 끓인 물소 고기), 둔두 푸옌간(du puyengan) 등이 있다.또, 돼지, 물소, 사슴고기, [16]곰고기 등 다양한 종류의 하라하라구이.고대 음료로는 나라카 라사(설탕 주스), 자티 왕기(재스민 음료), 킨카(타마린드 주스)가 있다.또한 다양한 쿠루반(오늘날의 우랍과 비슷한 양념을 곁들인 삶은 야채)과 팔라물라(액상 [17]야자탕을 곁들인 삶은 참마와 덩이줄기)도 있다.다른 고대 채소 요리로는 럼와럼와(랄랍), 두두탄(생야채), 테티스가 [18]있다.
9세기 자바 카카윈 라마야나는 트라이자타가 시타에게 약간의 음식(17.101캔)과 랜드가 타틀라틸라(기름으로 요리)와 모다칸다 사굴라(설탕 별미)[18]를 제공하면서 요리 기술을 언급했다.
10세기에서 15세기 사이의 몇몇 자바어 비문에 몇 가지 음식이 언급되었다.이 요리들 중 일부는 오늘날의 자바 음식과 동일시된다.그중에는 페셀, 핀당,[19] 라라완, 루작, 쿠루북, 와직, 도돌 등의 단 음료도 있다.
15세기 순다인의 필사본 상향식사칸당카레시안에는 라와나(짠맛), 카두카(뜨겁고 매운맛), 트리카(쓴맛), 암바(우리의 맛), 카사야(간맛),[20] 마두라(달콤한맛) 등 그 시대의 일반적인 순다인의 음식 맛이 언급되었다.
13세기부터 15세기까지 인도네시아 연안 지방은 인도와 중동의 요리 영향을 흡수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이 지역에서 카레와 비슷한 조리법이 채택된 증거이다.이것은 특히 아체 해안 도시, 서수마트라의 미낭카바우 땅, 그리고 수마트라와 말레이 반도의 말레이 항구들에서 긍정적이었다.그 후, 이러한 요리 전통은 카레, 로티 지팡이, 굴라이와 같은 전형적인 인도 요리 영향을 보여주었다.이는 이슬람 신앙의 채택과 맞물려 돼지고기를 생략하는 할랄 무슬림 식법을 장려했다.반면, 내륙에 거주하는 원주민인 바탁스족과 다야크족은 그들의 일상 식단에 부시미트, 돼지고기, 피를 포함하는 오래된 오스트로네시아 요리 전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술탄 아궁의 자바 마타람 [i]궁정 주재 VOC 대사 리클로프 반 고엔스의 17세기 기록에 따르면 자바에서 축하할 때 고기를 가공하는 기술(양, 염소, 버팔로)은 양념한 고기를 굽고 튀기는 것이었다.유럽인들과 달리 자바인들은 버터 [18]대신 코코넛 오일을 주로 사용한다.
중국 이민자들은 마자파히트 시대인 서기 15세기경에 인도네시아 군도에 정착하여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에 가속화되었다.중국 정착민들은 중국 웍과 소량의 [18]식용유를 사용해야 하는 볶음 기술을 도입했다.그들은 또한 간장,[ii] 국수, 두부를 만드는 콩 가공 기술을 포함한 새로운 중국 요리도 소개했다.그 후 콩 가공으로 템페(발효된 콩케이크)가 우연히 발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템페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815년 세라트 센티니의 [21]자바어 필사본에 나타나 있다.
탐험 시대의 향신료 무역의 활기가 유럽 무역업자들을 인도네시아 해안으로 불러왔다.그 후, 유럽의 식민주의는 19세기 네덜란드 동인도 제도에서 확립되었다.특히 포르투갈과 네덜란드의 유럽 요리의 영향으로 특히 빵 만들기, 페이스트리, 쿠키, 케이크 제빵에 유럽 기술이 도입되었습니다.
인도네시아의 요리 전통은 다양한 영향을 받아왔다.식품 가공 방법에 대해서는, 지역 마다 특색이 있어, 최종적으로 지역 [18]맛의 현지화로 연결되고 있다.
관세, 서빙, 소비
인도네시아의 전통 음식은 보통 야채와 국, 고기나 생선 반찬으로 둘러싸인 찐 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전형적인 가족 식사에서는, 가족들이 밥과 다른 음식들로 [1]가득 찬 식탁에 모인다.각각의 접시는 별도의 공동 큰 접시 또는 그릇에 담겨진다.이 요리들은 각자 접시에 담긴 숟가락을 가지고 있으며, 그릇의 일부를 자신의 접시에 담는 용도로만 사용됩니다.가족 구성원 각각은 먼저 찐 쌀로 채워진 그들만의 개인 접시를 가지고 있다.보통 가장 나이 많은 가족이나 남편이 식사를 [22]시작할 권리가 있고, 나머지 가족들이 설거지를 스스로 할 권리가 있다.각자 접시의 일부를 각자 접시에 담는다.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d/Indonesian_Food.png/220px-Indonesian_Food.png)
그들의 개인적인 접시에, 찐 밥은 곧 야채, 생선 또는 고기, 그리고 아마도 튀긴 음식인 삼발과 크루묵으로 둘러쌀 것이다.인도네시아 풍습에서는 일본 풍습과는 달리 여러 가지 향미를 가진 요리를 하나의 개인 접시에 섞어 먹는 것이 매우 허용된다.나시 캄푸르, 나시 파당, 뷔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습관입니다.수프가 많은 이 요리는 별도의 작은 개인 그릇에 담겨 제공될 수 있다.오늘날 인도네시아의 현대식 레스토랑에서는 종종 세트메뉴가 제공된다.이로 인해 일식과 마찬가지로 개인 접시를 쟁반, 등나무, 대나무 용기에 담아 밥을 싸는 개인 서빙이 행해지고 있다.이는 나시발리의 발표에서 찾을 수 있다.
인도네시아 음식은 보통 오른손에 숟가락을 들고 왼손에 포크를 들고 숟가락에 음식을 밀어올리는 방식으로 먹는다.유럽의 식사 풍습과는 달리 식탁에는 칼이 없기 때문에,[22] 야채나 고기 등 대부분의 재료는 요리 전에 한 입 크기로 잘라져 있습니다.서자바나 서수마트라 같은 많은 지역에서는 맨손으로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해산물 포장마차, 순다네즈, 미낭카바우 전통 음식점, 동자바네시안 페셀레레레(삼발메기 튀김), 아얌고렝(닭튀김) 등 맨손으로 먹는 식당이나 가정에서 코보칸은 보통 음식과 함께 제공된다.코보칸은 신선한 향을 내기 위해 석회를 한 조각 넣은 수돗물 그릇으로, 이 물은 먹는 것이 아니라 먹기 전후에 손을 씻을 때 사용합니다.젓가락으로 먹는 것은 일반적으로 인도네시아에서 중국 요리를 개조한 음식 포장마차나 식당에서만 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팡시트와 미에고렝,[23] 그리고 콰티아우고렝이 그것이다.
스테이플
밥
쌀은 현대 인도네시아의 [5][24]모든 계층의 주식이며 인도네시아 문화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쌀은 풍경을 형성하고, 시장에서 판매되며, 대부분의 식사에서 풍미와 달콤한 음식으로 제공됩니다.인도네시아 문화에서 쌀의 중요성은 고대 자바와 발리의 쌀 여신 데위 스리(Dewi Sri)의 숭배를 통해 증명된다.전통적으로 쌀 재배와 관련된 농업 주기는 세렌 타운 쌀 수확 축제와 같은 의식을 통해 기념되었다.
밥은 반찬으로 단백질과 야채 요리가 조금밖에 없는 일반 밥으로 가장 많이 먹는다.또한 나시우덕(야자우유 쌀), 나시쿠닝(야자우유와 강황으로 만든 쌀), 케투팟(야자우유와 강황으로 짠 쌀), 론통(바나나잎으로 찐 쌀), 인티프 또는 랭기낭(쌀과자루), 디저트, 버미셀리, 국수, 아라크베라(쌀볶음밥),[25] 나시고레(쌀) 등으로도 제공된다.나시고랭은 인도네시아에 널리 퍼져 있으며 국민 [9]음식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쌀은 그것을 재배하는 기술이나 다른 곳에서 쌀을 살 수 있는 능력을 얻었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포함되었을 뿐이다.술라웨시 섬에 야생 쌀이 있었다는 증거는 기원전 3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최초의 재배에 대한 증거는 8세기 자바섬의 돌 비문으로부터 나온 것인데, 이것은 왕이 쌀에 세금을 부과했다는 것을 보여준다.보로부두르의 카르마위방가 부조에는 벼농사, 벼농사, 해충쥐가 논에 서식하는 모습이 뚜렷하게 나타난다.아직도 인도네시아 쌀 재배에 종사하고 있는 남성, 여성, 동물 사이의 분업들은 중앙 자바에 있는 9세기 프람바난 사원에서 구호용 프리즈에 조각되었다: 쟁기에 부착된 물소, 모종을 심고 곡식을 찧는 여성, 그리고 그의 장대 양 끝에 벼를 나르는 한 남성.ulders(오울란)16세기에 인도네시아 섬을 방문한 유럽인들은 의식과 [24]잔치 동안 쌀을 귀족들에게 대접하는 새로운 위신 음식으로 보았다.
인도네시아 역사에서 쌀 생산은 철기 개발, 밭 경작용 물소, 비료용 거름으로서의 야생 물소 사육과 관련이 있다.쌀 생산은 햇빛을 쬐어야 한다.한때 울창한 숲으로 덮여있었던 인도네시아 풍경은 지난 1500년 [24]동안 쌀 재배가 발달하면서 영구적인 밭과 정착지로 점차 개간되었다.
밀
밀은 인도네시아의 토종 식물이 아니다.수입과 외국의 영향(특히 중국과 네덜란드)을 통해 인도네시아인들은 밀을 기반으로 한 식품, 특히 중국 국수, 인도 로티, 네덜란드 빵에 대한 취향을 발전시키기 시작했다.인도네시아에 사는 중국인들은 일반적인 찐 밥 외에 국수, 박파오, 카쿠에를 주식으로 여겼다.그러나 인도네시아, 특히 자바와 수마트라에서는 쌀 문화가 매우 만연하여 면과 같은 밀을 기반으로 한 음식들이 반찬으로 취급되어 쌀과 함께 소비되는 반면, 중국 빵과 카쿠와 같은 다른 음식들은 간식으로 취급된다.유럽인들, 특히 포르투갈인들과 네덜란드인들은 빵과 다양한 종류의 빵집과 페이스트리를 소개했다.이 유럽산 스테이플들은 이제 간단한 아침식사를 위한 대체품이 되었다.
인도네시아의 밀 소비는 1970년대 인도네시아 라면 산업이 등장한 이후 최고조에 달했다.그 이후 인도네시아는 세계 주요 라면 생산국이자 소비국이 되었다.인도네시아는 2018년 [26]125억4000만 인분의 수요가 있을 정도로 중국에 이어 세계 2위의 라면 시장이지만, 오늘날 인도네시아 가정에서는 라면이 빠른 따뜻한 식사의 주류가 되고 있다.인디미와 같은 특정 브랜드는 유명해졌다.
기타 스테이플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8/Papeda%2C_Kuah_Kuning%2C_Ikan_Tude_Bakar_1.jpg/220px-Papeda%2C_Kuah_Kuning%2C_Ikan_Tude_Bakar_1.jpg)
인도네시아의 다른 주식은 참마, 고구마, 감자, 토란, 카사바와 같은 많은 녹말 덩이줄기를 포함합니다.빵과일이나 잭과일 같은 전분질의 과일과 옥수수 같은 곡물을 먹는다.파페다라고 불리는 사고 죽은 특히 말루쿠와 파푸아에서 주식이다.Sago는 종종 물과 섞여서 간단한 팬케이크로 요리된다.사고 다음으로, 인도네시아 동부의 사람들은 야생 덩이줄기를 주식으로 소비합니다.
탈라스(talas, 그러나 크고 더 싱거운 토란)나 빵과일 같은 많은 종류의 덩이줄기가 인도네시아가 원산지이며, 다른 곳에서 들여온 것도 있다.감자는 아프리카에서, 감자, 고구마, 카사바, 옥수수는 스페인의 영향을 받아 아메리카에서 유입되어 17세기에 자바에 도달했다.카사바는 보통 삶거나, 찌거나, 튀기거나 인기 있는 스낵인 크리픽 싱콩으로 가공됩니다.현지에서는 티울로 알려진 말린 카사바는 구웅 키둘과 원기리와 같은 자바 지방의 건조한 지역에서 대체 주식이며, 다른 뿌리와 덩이줄기는 특히 어려울 때 먹는다.옥수수는 마두라 같은 건조한 지역과 소순다 제도 같은 월러스 라인 동쪽의 섬들에서 먹는다.
야채들
인도네시아 요리에는 강궁, 시금치, 겐저, 멜린조, 파파야, 카사바 잎과 같은 많은 잎 채소가 널리 사용된다.이것들은 종종 마늘과 함께 소테된다.시금치와 옥수수는 테무쿤치, 마늘, 샬롯으로 맛을 낸 단순하고 맑은 야채 수프 세이우르 바야밍에 사용된다.맑은 야채 수프에는 사유르오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칼라바시, 차요테, 켈로르, 야드롱빈, 가지, 감바스, 벨루스트루와 같은 다른 채소들은 잘라서 새우아셈, 사유르 로데, 락사와 같은 볶음 튀김, 카레, 수프에 사용된다.Daun Ubi tumbuk은 카사바 잎을 찧은 음식으로 수마트라, 칼리만탄, 술라웨시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사유르솝은 양배추, 콜리플라워, 감자, 당근으로, 닭고기 또는 쇠고기 육수에 흑후추, 마늘, 샬롯으로 양념을 한 마카로니입니다.비슷한 혼합 채소는 중국 인도네시아 요리의 인기 요리인 캡차이로도 볶아진다.투미스강쿵은 인기 있는 물 시금치 볶음 요리입니다.
날개가 있는 콩, 토마토, 오이, 그리고 쓴 멜론의 작은 종류와 같은 야채들은 라랍에서처럼 일반적으로 날 것으로 먹는다.쌉쌀한 멜론의 종류는 보통 삶는다.케콤브랑과 파파야 꽃봉오리는 인도네시아의 흔한 채소입니다.우랍은 야채에 버무린 양념과 향신료를 곁들인 코코넛으로, 미나리베타위는 보존된 야채입니다.가도가도와 페셀은 삶은 채소를 땅콩으로 양념한 샐러드이고 카레덕은 생 소스이다.
인도네시아의 채식주의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1/Tempe_Burger.jpg/220px-Tempe_Burger.jpg)
인도네시아에서는 채식 요리와 고기 대용품이 다양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채식주의가 잘 나타난다.가도가도, 카레덕, 케토프락, 타우게고랭, 페셀, 우라프, 루작, 아시난 등의 음식은 채식주의 음식이다.하지만, 가도가도, 카레독, 케토프락과 같은 땅콩 소스를 사용한 요리들은 맛을 위해 "테라시"라고 불리는 소량의 새우 페이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새우 페이스트는 또한 라랍 모듬 신선한 야채와 함께 제공되는 매운 삼발 고추장에 맛을 더하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발효된 콩 제품인 템페, 두부, 온컴은 고기 대용품이나 식물성 단백질의 공급원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현대 퓨전 요리에서 템페는 고기 패티를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며 템페 [27]버거로 제공됩니다.
대부분의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엄격한 채식주의를 실천하지 않으며, 그들의 취향, 선호도, 경제적, 건강상의 이유로 야채나 채식을 섭취할 수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종교적 이유로 채식을 하는 소수의 인도네시아 불교 신자들이 있다.
고기와 생선
인도네시아 식단의 주요 동물 단백질 공급원은 대부분 가금류와 생선이고, 소고기, 물소, 염소, 양고기와 같은 고기는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흔히 발견된다.
가금류
가장 많이 소비되는 가금류는 닭과 오리이며 비둘기, 메추라기, 물닭 같은 야생 늪조류도 소비된다.전통적으로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아얌캄퐁(마을 치킨)으로 알려진 마을에서 자유롭게 재배한 닭을 기른다.일반적인 사육 닭에 비해, 이 마을 닭은 얇고, 고기는 약간 단단하다.튀긴 닭고기와 구운 닭고기의 다양한 조리법이 인도네시아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튀기거나 굽는 것 외에 닭고기는 수프나 소토 아얌과 같은 수프로 요리되거나 코코넛 밀크로 오포르 아얌으로 요리될 수 있다.닭고기 사테이는 인도네시아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데, 꼬치에 꽂아 땅콩 [8]소스와 함께 제공되는 바비큐 고기입니다.족자카르타의 아얌고랭 칼라산, 파당의 아얌바카르파당, 롬복의 아얌탈리왕, 발리의 아얌베투, 아얌고랭렝쿠아스 등 인기 치킨 레시피.
고기
소고기와 염소 고기는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소비되는 고기이며, 물소는 논을 갈 때 더 유용하고 양은 양털을 얻기 위해 또는 전통적인 숫양 싸움의 오락에 사용되기 때문에 커바우(물소)와 가축 양 또한 덜 소비된다.이슬람이 다수를 차지하는 나라로서, 인도네시아 이슬람교도들은 돼지고기 소비를 금지하는 이슬람 할랄 식단법을 따르고 있다.비이슬람교도 수가 많은 인도네시아의 다른 지역에서는 멧돼지와 돼지고기가 일반적으로 소비된다.발리, 북수마트라, 북술라웨시, 동누사 텐가라, 말루쿠, 서칼리만탄, 센트럴 칼리만탄, 북칼리만탄, 서파푸아, 파푸아, 인도네시아 주요 도시 차이나타운 등에서도 볼 수 있다.오늘날, 더 큰 이슬람 시장을 겨냥하여, 인도네시아의 대부분의 식당과 음식점은 돼지고기나 비할랄 고기를 제공하지 않으며, 요리에 라드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할랄 표지를 붙였다.무슬림 인구가 압도적이고 상대적으로 소의 개체수가 적은 오늘날 인도네시아인들은 호주, 뉴질랜드, 미국에서 수입된 쇠고기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소고기 가격이 종종 상승하고 있다.
고기는 소고기, 염소 또는 양고기 렌당과 같은 풍부한 향신료와 코코넛 밀크, 꼬치, 양념 및 구운 닭고기, 사테이, 바비큐 고기, 얇게 썰어 소토 수프로 조리할 수 있다.소토 수프나 굴라이 카레의 재료로 양고기나 각종 오뎅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발리에서는 힌두교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바비굴링(돼지구이)은 현지인뿐만 아니라 비이슬람 방문객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있는 반면, 북수마트라의 바타크인들은 비슷한 요리인 바비팡강을 가지고 있다.멧돼지는 파푸아에서도 흔히 소비된다.그 고기는 또한 얇게 썰어서 덴뎅으로 말리거나 아본으로 만들 수 있다.Dendeng 셀렝은 인도네시아의 "건조하고 퉁겨진" 멧돼지 [28]고기입니다.인도네시아 산악지대에서 사육된 토끼는 먹이로도 소비된다.
사슴고기와 같은 몇몇 사냥용 고기는 인도네시아의 일부 지역에서 판매되고 소비될 수 있다.칼리만탄, 서누사텐가라, 동누사텐가라, 파푸아 등에서는 사슴고기가 발견되는데, 보통 사냥에 의해 마구잡이로 얻어진다.다른 희귀하고 종종 논란이 되는 이국적인 고기로는 중국 인도네시아와 자바 요리에서 소비되는 개구리 다리와 부드러운 껍질 거북, 요기아카르타와 서누사 텐가라에서 소비되는 말고기, 발리와 동인도네시아에서 소비되는 거북이 고기, 뱀, 비아왁(모니터 도마뱀), 파니키(과일 박쥐), 개고기, 고양이고기, 들쥐 등이 있다.술라웨시 북부에 있는 미나하산 요리에서요.북수마트라의 바탁 요리도 개고기를 요리하는 것에 익숙하지만, 중부 자바에서는 그 소비가 줄어들고 있다.악어, 다람쥐, 사향고기와 원숭이와 같은 이국적이고 희귀한 사냥용 고기도 인도네시아의 더 야생 지역에서 판매되고 소비될 수 있다.
물고기.
군도 국가에서는 해산물이 풍부하고, 특히 해안 지역의 인도네시아 주민들이 많이 소비한다.생선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부로 일하는 인도네시아 동부 술라웨시와 말루쿠 지역에서 특히 인기가 있다.두 지역 모두 넓은 바다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29]해산물을 가져다 준다.인도네시아 요리에서 인기 있는 해산물은 스킵잭 참치, 참치, 고등어, 폼프레트, 와후, 밀크피쉬, 트레벌리, 토끼피쉬, 가루파, 홍합, 황새치, 상어, 가오리, 오징어 또는 갑오징어, 새우, 게, 꽃게, 홍합 등이다.해산물은 일반적으로 인도네시아 전역에서 소비되지만, 특히 말루쿠 섬과 미나하사(술라웨시 북부) 요리에서 인기가 있습니다.해산물은 보통 굽거나 삶거나 튀깁니다.이칸바카르는 인도네시아 전역에서 볼 수 있는 인기 있는 생선구이 요리입니다.양념이나 국물에 볶은 것처럼 요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젓갈은 소금에 절여 보존한 해산물로 인도네시아 시장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민물 어업은 내륙 지역이나 큰 강이나 호수가 있는 지역에서 발견될 수 있다.민물고기는 서자바의 순다 요리, 북수마트라 바타크 지방의 토바 호수에서 잡히거나 사육되거나 말레이의 리아우, 잠비, 남수마트라 지방의 큰 강이나 칼리만탄의 큰 강에서 잡힌다.인기 민물고기로는 잉어, 구라미, 메기, 팡가시우스, 뱀머리, 트리초거스터, 등반구라미, 나일틸라피아, 모잠비크틸라피아 등이 있습니다.
곤충들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1/Botoktawon.jpg/220px-Botoktawon.jpg)
태국과 달리 인도네시아에서는 곤충이 인기 있는 식재료도 아니고 길거리 음식으로도 널리 이용되지 않는다.자바에서는 현지인들이 특정 종의 곤충을 잡아서 번식시키고 판매하는데, 보통 신선한 곤충이나 살아있는 곤충은 애완용 새의 먹이로 판매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네시아의 몇몇 문화권에서는 곤충, 특히 메뚜기, 크리켓, 흰개미, 그리고 사고야자벌레, 벌, 잠자리의 애벌레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자바와 칼리만탄에서 메뚜기와 귀뚜라미는 보통 가볍게 두드려 바삭바삭한 크리픽 간식으로 팜오일에 [30]튀긴다.작은 메뚜기, 귀뚜라미, 흰개미는 곤충 화석과 비슷한 렘페크 반죽 크래커로 만들어질 수 있다.장마철에는 날아다니는 흰개미들이 짝짓기를 위해 전구에 끌려다니며 풍성하다.지역 주민들은 날아다니는 흰개미를 가두고, 날개를 뽑고, 단백질이 풍부한 간식으로 흰개미를 구울 때 보통 램프 아래에 물 한 통을 놓는다.동자바의 반유왕기에서는 꿀벌 애벌레가 들어 있는 벌통인 보톡 타원(꿀벌 보톡)이라는 특산 요리가 있는데, 잘게 썬 코코넛과 향신료로 간을 하고 바나나 잎 포장에 싸서 [31]찐다.칼리만탄의 다야크 부족과 인도네시아 동부의 몰루칸족과 파푸안족도 울라트 사구(sagoo caterpiller) 또는 사구야자벌레의 유충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 단백질이 풍부한 유충은 파푸아에서 별미로 여겨지며 종종 먹기 전에 구워진다.현지인들은 또한 애벌레를 생으로 또는 [32]산 채로 먹을 수도 있다.발리에서는 잠자리를 페페로 가공하여 소비하기도 합니다.
향신료 및 기타 향신료
"렘파"는 향신료를 뜻하는 인도네시아 단어인 반면, "범부"는 향신료 혼합물이나 조미료를 뜻하는 인도네시아 단어이며, 일반적으로 특정 향신료 혼합물, 소스, 조미료 [33]페이스트의 이름으로 나타난다."스파이스 제도"로 세계적으로 알려진 인도네시아의 말루쿠 섬은 세계 요리에 고유의 향신료를 도입하는 데 기여했습니다.육두구 또는 메이스, 정향, 판단 잎, 켈루왁, 갈랑갈과 같은 향신료는 인도네시아가 원산지입니다.흑후추, 강황, 레몽그라스, 샬롯, 계피, 캔들넛, 고수, 타마린드는 인도에서, 생강, 파, 마늘은 중국에서 들여온 것으로 추정된다.이 향신료들은 아시아 본토에서 일찍 전해져 인도네시아 요리에 없어서는 안 될 재료가 되었다.
고대에는 순다 왕국과 이후 반텐 술탄국이 세계의 주요 후추 생산국으로 잘 알려져 있었다.스리비자야와 마자파히트의 해양 제국들 또한 중국과 인도와의 향신료 섬들 사이의 수익성 있는 향신료 무역으로부터 이익을 얻었다.나중에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인도네시아와 세계 사이의 향신료 무역을 통제했다.
삼발
뜨겁고 매운 음식에 대한 인도네시아인들의 애착은 16세기에 스페인인들이 신대륙의 고추들을 이 지역에 소개하면서 더욱 풍부해졌다.그 후 뜨겁고 매운 삼발은 인도네시아 [34]요리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인도네시아는 아마도 가장 풍부한 종류의 삼발이 있을 것이다.인도네시아 군도에는 300여 종의 삼발이 [35]있다.강도는 약한 것부터 매우 더운 것까지 다양합니다.삼발은 인도네시아 전역에서 많은 변종으로 진화했고, 가장 인기 있는 것 중 하나는 삼발 테라시와 삼발 망고 무다입니다.삼발테라시는 고추, 날카로운 발효 새우 페이스트(테라시), 톡 쏘는 라임 주스, 설탕, 그리고 소금이 모두 절구와 절굿공이로 [8]찧어진 조합이다.다부다부는 잘게 썬 신선한 토마토, 칠리, 라임 주스를 곁들인 북술라웨시 스타일의 삼발입니다.
삼발, 특히 삼발 울렉 또는 삼발 테라시는 다른 것들보다 삼발 라자, 테롱 발라도, 덴뎅 발라도, 아얌 품부 루작, 삼발 고렝 아티와 같은 많은 요리의 기본 재료가 될 수 있습니다.
소스 및 양념
간장은 인도네시아 요리에서 중요한 향미료이기도 하다.케캅아신은 중국 요리에서 채택됐지만 인도네시아인은 간장에 야자당을 듬뿍 넣은 케캅마니를 개발했다.달콤한 간장은 사테이와 생선구이 등 고기나 생선을 바비큐 할 때 중요한 양념장입니다.달콤한 간장은 반숙인 인도네시아 스튜의 중요한 재료이기도 합니다.
땅콩소스
인도네시아 요리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사타이, 가도가도, 카레독, 케토프락, 페셀과 같은 많은 인도네시아 대표 요리에 땅콩이 폭넓게 적용된다는 것입니다.이 모든 요리들은 향신료를 위해 풍성한 봄부 카캉을 사용했습니다.예를 들어 가도와 사타이는 인도네시아의 국민 [11][12]음식으로 여겨져 왔다.
16세기 포르투갈과 스페인 상인들이 멕시코에서 들여온 땅콩은 인도네시아 요리의 핵심 재료로 자리 잡았다.땅콩은 동남아시아의 열대 환경에서 번성했고, 오늘날에는 많은 요리법에서 발견되고, 구워지고, 잘게 다져질 수 있다.통째로, 반으로, 또는 으깨진 땅콩은 다양한 요리의 고명으로 사용되며, 오탁오탁이나 케탄을 위한 삼발 카캉과 같은 양념장과 찍어 먹는 소스에 사용된다.땅콩에서 추출한 땅콩기름은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식용유 중 하나이다.
봄부 카캉 또는 땅콩 소스는 달콤하고 글로피한 [36]소스보다는 정교하고 흙 같은 조미료를 나타냅니다.튀긴 땅콩, 굴라자와(코넛 설탕), 마늘, 샬롯, 생강, 타마린드, 레몬즙, 레몬즙, 레몽그라스, 소금, 칠리, 후추콘, 달콤한 간장, 갈아서 물과 같은 다양한 성분에서 얻은 향미, 단맛, 신맛, 매운맛의 섬세한 균형을 가져야 한다.땅콩소스의 좋은 비결은 "너무 두껍지도 않고 너무 묽지도 않다"입니다.인도네시아 땅콩 소스는 혼합된 태국 버전보다 덜 단 경향이 있다.가도가도는 특히 범부카캉과 관련된 인기 있는 음식으로 인도네시아 전역에서 먹는다.
코코넛 밀크
코코넛은 열대 인도네시아에 풍부하며, 예로부터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이 식물을 여러 가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코코넛 밀크를 군도 전체에서 폭넓게 사용하는 것도 인도네시아 요리의 또 다른 공통적인 특징이다.그것은 렌당, 소토, 굴라이, 미에 꼬클로크, 사유르 로데, 구데, 오포르 아얌과 같은 맛깔스러운 요리부터 에스 센돌과 에스 도거와 같은 디저트까지 다양한 요리법에 사용된다.소토는 인도네시아 어디에서나 볼 수 있으며 인도네시아의 국민요리 [13]중 하나로 여겨진다.
코코넛 밀크의 사용은 인도네시아 요리의 전유물이 아니다.인도, 사모아,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브라질 요리에서도 먹을 수 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코코넛 밀크의 사용은 인도네시아, 특히 미낭카바우 요리에서 상당히 광범위하지만, 미나하산(술라웨시 북부) 요리에서는 코코넛 밀크가 미나하산 케이크와 클라페르타르트와 같은 디저트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없다.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d/Gulai-Indonesian_curry-01.jpg/220px-Gulai-Indonesian_curry-01.jpg)
인도네시아 요리에는 얇은 코코넛 밀크와 두꺼운 코코넛 밀크의 두 종류가 있습니다.그 차이는 수분과 기름의 함량에 따라 달라집니다.얇은 코코넛 밀크는 보통 사유르 로데나 소토와 같은 수프에 사용되며, 진한 코코넛 밀크는 렌당과 디저트에 사용된다.그것은 전통 시장에서 갓 잘게 썬 코코넛 고기로 만들 수도 있고, 슈퍼마켓에서 상자로 가공된 것을 발견할 수도 있다.
코코넛 밀크를 만들기 위해 잘게 썬 코코넛 살에서 우유를 추출한 후에도, 앰파스 켈라파(남은 코코넛 살)는 야채와 함께 우랍, 양념, 향신료를 섞은 코코넛 살에 여전히 사용될 수 있습니다.남은 코코넛은 잘게 썬 코코넛을 세룬뎅으로 만들기 위해 요리되고, 소테되고, 양념될 수 있다.연당을 걸쭉하게 하기 위해 첨가된 케리식 페이스트는 코코넛 과육의 또 다른 사용법이다.진한 맛을 얻기 위해, 일부 가정에서는 남은 코코넛 대신 갓 잘게 썬 코코넛을 우랍과 세룬뎅에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세룬뎅은 세룬뎅 다잉과 같은 요리에 고기와 섞이거나 소토나 케탄과 같은 다른 요리 위에 뿌려질 수 있다.코코넛의 많은 사용의 예로는 마카사르의 부라사가 있는데, 이것은 코코넛 밀크로 요리되고 세룬뎅과 비슷한 분말 코코넛을 뿌린 바나나 잎으로 쌀이다.
조리법
인도네시아 요리는 대부분 주재료와 조리법에 따라 이름이 붙여진다.예를 들어, 아얌고랭은 닭튀김을 뜻하는 아얌이고 고랭은 닭튀김을 의미합니다.미에고랭은 볶음면, 이칸바칼은 생선구이, 우당리버스는 삶은 새우, 바비팡강은 구운 돼지고기, 투미스캉쿵은 볶은 물 시금치입니다.인도네시아 주방의 조리법은 소량의 기름으로 튀기거나 식용유를 듬뿍 뿌린 튀김, 투미스(튀김), 상라이(소테)입니다.로스팅 방법은 보통 숯, 장작 또는 코코넛 껍질을 사용하는 바카르(구이)이고, 빵강(구이/구이)은 보통 오븐을 사용하는 베이킹을 말합니다.다른 방법으로는 rebus(끓임), kukus(찜) 및 asap/salai(흡연)가 있습니다.
요리에 사용되는 불은 강한 불일 수도 있고 천천히 요리하기 위한 작은 불일 수도 있습니다.나시고랭을 요리하는 것은 보통 강한 불을 사용하는 반면, 진짜 렌당은 고기가 카라멜화되고 코코넛 밀크의 액체가 모두 증발할 때까지 쇠고기, 향신료, 코코넛 밀크의 느린 조리를 위해 작은 불을 필요로 한다.전통적인 인도네시아의 다푸르(주방)는 보통 장작 연료로 된 부엌 난로를 사용하는 반면, 오늘날의 가정은 액화 석유 가스 연료로 된 난로 또는 전기 난로를 사용합니다.재료는 조각으로 자르거나 얇게 썰거나 반죽으로 갈아 넣을 수 있다.조리기구는 와잔, 팽고렌간, 판치, 칼, 여러 종류의 숟가락과 포크, 파루탄, 코벡, 울레칸이다.인도네시아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돌 모르타르와 절굿공이를 사용하여 향신료와 재료를 거칠거나 고운 페이스트에 빻습니다.오늘날 대부분의 가정은 그 일을 위해 믹서기나 푸드 프로세서를 사용한다.인도네시아 전통 요리 기구는 보통 돌, 도자기, 나무, 대나무 또는 직조된 등나무 용기 또는 필터로 만들어지며, 현대 요리 기구는 철, 주석,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도자기, 플라스틱, 그리고 유리를 사용한다.
국민요리
인도네시아 독립 초기 몇 년 동안, 비록 [37][9]그 당시에는 비공식적이었지만, 어디서나 볼 수 있고 매우 인기 있는 나시고랭은 공화국의 국민 음식으로 여겨졌다.그 단순함과 다재다능함이 그 인기에 기여했고 인도네시아 가정들 사이에서 주요 요리로 자리잡았습니다. 정확하고 엄격한 조리법이 없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 [38]요리로 원하는 것을 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가장 "민주적인" 요리로 여겨집니다.인도네시아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먹는 나시고랭은 인도네시아 가족을 대표하는 요리로 여겨졌다.1964년 뉴욕 세계박람회 인도네시아 파빌리온 내 인도네시아 극장 레스토랑에서 소개, 제공 및 제공됩니다.1960년대 중반 수카르노 집권 말기에 인도네시아 주재 미국 대사였던 하워드 팰프리 존스 씨는 회고록 '인도네시아:그는 나시고랭을 좋아한다고 말했다.그는 수카르노의 아내 중 한 명인 하티니가 만든 나시고랭을 즐겨 먹으며 그가 맛본 [37]나시고랭 중 가장 맛있다고 칭찬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테이,[12] 소토[13], 가도가도와[11] 같은 다른 널리 인기 있는 인도네시아 음식들도 강력한 경쟁자로 여겨진다.
2014년 인도네시아 관광창조경제부는 인도네시아 요리를 홍보하기 위해 텀펑을 인도네시아 공식 국민요리로 선정했다.엄밀히 말하면, 텀펑은 중앙에 있는 쌀 원뿔을 가리키며, 주변의 다양한 요리들은 다양한 인도네시아 음식 중에서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인도네시아의 다양한 [4]요리 전통의 다양성을 묶는 국가 요리로 이상적인 것으로 여겨졌습니다.그 후 인도네시아의 단일 국가 요리로 텀펑을 지정하는 것은 인도네시아 요리 전통의 다양성을 설명하기에 불충분하다고 여겨졌다.이후 2018년, 같은 부처는 인도네시아의 또 다른 5가지 국민요리를 선택했습니다: 소토, 사타이, 나시고랭, 렌당, 가도가도입니다.[14]
사타이와 소토는 인도네시아의 무수한 민족의 문화적 경계를 초월한 인도네시아 국민요리로 널리 알려진 자연스런 선택이며, 이들 요리는 매우 현지화되어 전국적으로 다양한 레시피로 발전하고 있다.예를 들어, 인도네시아에는 수마트라에서 동부 인도네시아에 이르는 다양한 사테이와 소토 요리법이 있습니다.각 문화, 민족학, 심지어 도시도 이러한 요리를 채택하여 그들 자신의 문화, 전통, 창의성, 현지화된 맛과 선호도, 그리고 지역 식재료의 가용성에 따라 그들만의 버전을 개발하였다.
향토 요리
자카르타
다양하고 다양한 자카르타의 베타위 요리는 중국, 말레이, 순다어, 아랍, 인도,[39] 유럽에 이르기까지 음식의 영향을 받습니다.인기 있는 베타위는 나시우덕, 사유르아셈, 아시난, 가도가도, 케토프락, 케토프락(야채, 두부, 쌀버미셀리, 떡) 등이 있다.크레올 또는 잡종 현상에서 탄생한 베타위 요리는 페라나칸 요리와 상당히 유사합니다.
서자바 주
순다(서자바)의 질감은 긴 콩과 콩나물, 오이를 매콤한 땅콩소스로 만든 신선한 샐러드 카레독이다.매운 삼발소스와 함께 제공되는 라랍 싱싱한 야채는 순다네 가정과 음식점 어디에나 있습니다.다른 순다 요리로는 소고기 계란국수인 미에코콕과 무 레몬잔디가 들어간 소토반둥 등이 있다.행상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것은 쿠팟타후입니다.콜레낙(달콤한 코코넛 소스와 함께 구운 발효 카사바 타파이)과 울렌(땅콩 소스와 함께 구운 찹쌀로 만든 구운 벽돌)은 보통 따뜻하게 먹는 음식이다.
중앙 자바
센트럴 자바의 음식은 달콤하기로 유명하고, 잭 프루트로 만든 카레인 구데그 요리는 특히 달콤합니다.족자카르타는 튀긴 닭고랭과 클레폰으로 유명합니다.수라카르타의 특선 요리는 나시 리웨트(코넛 밀크, 익지 않은 파파야, 마늘, 샬롯을 곁들인 밥)와 세라비(초콜릿, 바나나, 잭 프루트를 얹은 코코넛 밀크 팬케이크)가 있다.다른 중앙 자바 특산품인 페셀(시금치와 콩나물을 넣은 피넛 소스), 로텍(야채와 압착된 쌀로 만든 피넛 소스), 오포르 아얌(코넛 소스로 구운 닭고기).
동자바
동자바의 음식은 중앙자바의 음식과 비슷하다.동부 자바 음식은 중부 자바 음식에 비해 덜 달고 매운 경향이 있다.생선 및 생선/해산물 제품은 데라시(건조 새우 페이스트)와 페티스 우당(새우 페이스트)과 같이 상당히 광범위합니다.인기 있는 음식으로는 론통쿠팡, 론통발랍, 사테클로포[40], 세망기수라바야, 페셀렐레, 라원 등이 있다.말랑의 음식은 바칸말랑과 아렘(압착미, 템페, 새싹, 간장, 코코넛, 땅콩)을 포함한다.
마두라
마두라는 자바 북동부 해안에 있는 섬으로 동자바 주의 일부로 관리된다.마두라 음식에는 페티스 우당을 사용한 동부 자바 음식처럼 새우 대신 생선으로 만든 페티스 이칸이 첨가되어 있습니다.마두라식 사타이는 아마도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사타이의 변형일 것이다.인기 메뉴로는 사테아얌마두라[41], 소토마두라 등이 있다.마두라 사테이의 양고기 변종인 마두라 염소 사테이도 있습니다.마두라에서도 수프 캠빙 양고기 수프가 인기입니다.인도네시아 군도의 주요 소금 생산지로서 마두라 요리는 다른 동 자바 음식에 비해 짜다.
발리
발리 요리에는 로아르(다진 코코넛, 마늘, 칠리, 돼지고기 또는 닭고기와 피)가 있습니다.베베크 베투투는 바나나 잎과 코코넛 껍질로 감싼 향신료로 속을 채운 오리입니다.사테 릴트라고 알려진 발리산 사테는 꼬치에 눌린 향신료 다진 다진 것으로 만들어지는데, 이 다진 꼬치는 종종 레몬 풀 스틱으로 만들어집니다.바비굴링은 고추, 강황, 마늘, 생강으로 속을 채운 침구이 돼지입니다.바사게데 또는 바사라장은 많은 발리 [42]요리의 기본 재료인 향신료 페이스트입니다.
아체
아랍, 페르시아, 그리고 인도 무역상들은 맛이 원래 모양대로 많이 바뀌었지만 아체 지역의 음식에 영향을 끼쳤다.이 중에는 카레와 굴라이로 알려진 카레 요리도 있는데, 이것은 전통적으로 소고기, 염소, 생선 또는 가금류로 만들어졌지만 지금은 두부, 야채, 잭 프루트로도 만들어진다.로티 지팡이, 미에 아체, 나시구리 등 인기 있는 아체 음식.
북수마트라 주
바탁 사람들은 삭상을 만들기 위해 돼지고기나 심지어 개를 사용한다.또 다른 바탁 돼지고기는 바비팡강으로 고기를 볶기 전에 식초와 돼지 피를 넣고 끓여 먹는 것입니다.또 다른 바탁 요리인 아얌 나마르고타는 양념과 피로 요리된 닭고기이다.또 다른 주목할 만한 바탁 요리는 향신료와 허브로 요리된 잉어인 아르식이다.라다 림바는 바탁스가 사용하는 강한 고추입니다.
서수마트라 주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2/Minangkabau_cuisine_Bukittingi.jpg/220px-Minangkabau_cuisine_Bukittingi.jpg)
버팔로는 서수마트라의 상징으로 풍부하고 매운 버팔로 고기 또는 소고기 요리인 렌당에 사용되며, 미낭카바우 문화의 대표 요리이기도 합니다.2017년에는 CNN Travel 독자가 선정한 [43]"세계에서 가장 맛있는 음식"에 선정되기도 했다.파당 음식은 서 수마트라에서 왔고, 그들은 아마도 가장 풍부한 종류의 굴라이, 카레 고기, 내장, 생선 또는 채소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파당은 아삼파데(새콤한 생선찌개), 사테파당(파당 사테이), 소토파당(파당 소토), 카투팍사유아(채소국밥 만두)를 좋아한다.이 지역의 음식으로는 파당 요리와 비슷하지만 더 많은 야채를 사용하는 부키팅기의 나시카파우가 있다.암피앙 다디아(야자당 시럽, 코코넛 살과 쌀로 만든 버팔로 요구르트)와 부부르 캄피운(바나나와 쌀 요구르트를 넣은 멍콩죽)도 웨스트 수마트라 특산품이다.
전통적으로 미낭카바우족은 메란타우(이주) 문화를 고수하고 있으며, 그들은 열렬한 레스토랑 창업가입니다.그 결과, 파당 푸드 레스토랑 체인은 인도네시아 전역과 인근 국가에서 볼 수 있으며,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지역 음식이 될 것입니다.자바 등 서수마트라 이외의 지역에서는 아직도 대부분의 파당 레스토랑이 버팔로를 사용해 렌당을 만들고 있지만, 버팔로 고기로 인해 렌당 사피가 소고기보다 열등하고 저렴하다고 주장하고 있다.버팔로 고기는 딱딱하기 때문에 최소 3시간 이상 조리하는 렌당에 적합하고, 식감도 거칠고, 소고기보다 색이 빨갛다.
동수마트라 주
수마트라 동해안의 요리는 말라카 해협에 면한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지방의 말레이계 민족들의 요리 전통을 가리키는 것으로, 메단과 그 주변 멜라유 델리 지역의 리아우, 리아우 제도, 잠비 주, 북수마트라 해안 등이 포함된다.말레이시아계 말레이시아인과 가까운 혈연관계로 인해 두 나라 사이에 많은 음식이 공유되고 있다.예를 들면, 말레이시아의 국민 요리인 나시 레막이나 나시 울람도 리아우나 잠비의 토속 음식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말레이 요리는 또한 굴라이, 아삼페다, 핀당, 카리, 레망, 렌당을 공유하는 등 서수마트라, 남수마트라의 이웃 미낭카바우 요리와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이는 미낭카바우족이 말레이시아인과 문화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수마트라와 말레이 반도에서는 템포약 발효 두리안 소스와 삼발 벨라칸이 친숙한 조미료입니다.락사 매운 국수, 오탁오탁 등 페라나칸 요리의 변종도 리아우 군도와 메단에서 볼 수 있다.군도 리아우 제도에서는 해산물 요리가, 리아우나 잠비에서는 파틴, 메기, 잉어, 구라미 등 수마트라 강에서 나는 민물고기가 인기입니다.페칸바루의 대표 음식인 굴라이 이칸파틴, 메단의 대표 음식인 굴라이 케탐과 나시고랭테리 메단.
남수마트라 주
팔렘방 시는 남수마트라의 요리 중심지이며 펨펙, 튀긴 생선, 엠펙이라고도 알려진 사고 만두로도 유명하다.펨펙은 야자수, 칠리, 타마린드, 식초로 만든 달콤하고 신맛이 나는 매운 소스인 독특한 쿠아쿠코에 제공됩니다.펨펙 파생 요리는 펨펙 만두, 버섯, 야채, 새우, 렝강 또는 펨펙 슬라이스를 오믈렛에 넣은 테관 수프입니다.미에 셀로르는 코코넛 밀크와 말린 새우에 달걀을 넣은 면요리로 팔렘방 특산품입니다.
팔렘방 요리는 팔렘방 말레이 원주민의 맛부터 중국과 자바인의 영향까지 다양한 영향을 보여준다.펨펙은 스리미와 비슷한 중국 어묵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부드러운 단맛을 선호하는 것은 자바인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남부 수마트라는 간장과 타마린드로 만든 달고 신 매운 생선 수프인 핀당의 본고장입니다.보통 민물고기와 해산물을 재료로 사용합니다.이칸 브렝게스는 두리안 베이스의 매운 소스를 사용한 생선입니다.튀김은 새우 페이스트, 라임 주스, 칠리, 발효된 두리안 소스이고, 삼발 부아는 과일로 만든 칠리 소스입니다.
북술라웨시 주
술라웨시 북부의 미나하산 사람들의 마나도 요리는 돼지고기, 닭고기, 해산물과 같은 고기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국'은 향신료를 듬뿍 사용한 해산물 요리의 일종으로, 요리의 반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다.재료는 레몽그라스, 라임 잎, 고추, 파, 샬롯, 고기 소테 또는 생선 둘레에 싸 바나나 잎으로 덮인 구이입니다.강황이나 생강 등의 다른 재료를 첨가하여 국을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미나하산의 다른 대표 음식으로는 티누투안, 치킨 투투루가, 리카리카, 카칼랑푸가 있습니다.
미나하산 요리를 만드는 데는 외국의 식민지의 영향이 작용했다.몇몇 케이크와 페이스트리는 클라페르타르트, 파나다와 같은 네덜란드, 포르투갈, 스페인의 영향을 분명히 보여준다.브레네본(네덜란드어 "브루인" (갈색)과 "분" (콩)에서 유래)은 육두구와 정향으로 양념한 돼지고기 생크빈 스튜입니다.필리핀의 레촌이나 하와이의 돼지구이와 비슷한 미나하산 로스트 돼지고기는 특별한 행사, 특히 결혼식에 제공된다.개, 박쥐, 숲쥐와 같은 다른 특이하고 이국적인 고기들이 북술라웨시 지역에서 정기적으로 제공됩니다.파니키는 미나하사의 박쥐 요리입니다.
술라웨시 남부
마카사르는 인도네시아의 요리 중심지 중 하나입니다.코토, 곤로, 팔루바사, 미에케링 등 부기스와 마카사르의 별미집.이 모든 마카사르 음식들은 보통 바나나 잎에 싸인 코코넛 밀크 쌀 만두인 부라사와 함께 찐 밥이나 케투팟을 대체하기 위해 소비된다.큰 어시장 중심지로써, 마카사르는 해산물로도 유명하다.마카사르 식당, 와룽, 이칸볼루 바카르 등 포장마차에서는 다양한 이칸 바카르 또는 생선구이가 인기입니다.팡케프의 소프 사우다라와 팔로포의 카푸룽도 술라웨시 남부의 유명한 요리입니다.마카사르의 또 다른 인기 있는 요리는 Ayam Goreng Sulawese (Celebes fried chicken)이다. 닭은 황금색으로 튀기기 전에 전통 간장에 최대 24시간 동안 재워진다.이 요리는 보통 닭고기 육수, 밥 그리고 특별한 삼발과 함께 나옵니다.
또한, 마카사르는 피상 에페(압착 바나나)와 피상 이조(녹색 바나나)와 같은 전통적인 달콤한 과자의 본고장이기도 합니다.피상 에페는 납작하게 구워진 바나나로 야자수 소스를 바르고 두리안과 함께 먹기도 한다.많은 노점상들이 피상 에페를 팔고 있는데, 특히 로사리 해변 일대에서 그렇습니다.피상 이조는 초록색 가루, 코코넛 밀크, 시럽으로 덮인 바나나입니다.피상 이조는 가끔 얼음으로 제공되며 라마단 기간 동안 단식을 깨기 위해 종종 이프타르로 판매되고 소비된다.
누사텐가라
누사텐가라 군도는 기후가 건조해 쌀이 적고 사고, 옥수수, 카사바, 토란 등이 인도네시아 중서부에 비해 많다.코코넛과 영망고 소스에 생선을 채썬 세팟(Trichogaster)을 비롯해 생선이 많이 소비된다.롬복 사삭 사람들은 땅콩, 토마토 칠리, 라임 딥을 곁들인 구운 치킨인 아얌 탈리왕과 같은 매운 음식을 즐겨 먹습니다.펠레싱은 칠리, 새우 페이스트, 토마토로 만든 많은 요리에 사용되는 매운 소스입니다.렝카레라고 불리는 현지 새우 페이스트는 롬복 섬에서 사용된다.사레스는 칠리, 코코넛 주스, 바나나 팜피스로 만들어지며 때때로 고기와 섞인다.고기 이외의 요리로는 켈로르(채소가 들어간 뜨거운 수프), 세레북(야채와 코코넛을 섞은 야채), 티문우랍(코넛, 양파, 마늘을 넣은 수프)이 있다.
히가시누사텐가라에서는 주민의 대부분이 가톨릭 신자이기 때문에 돼지고기를 많이 먹는다.인기 있는 티모르 요리는 세이 훈제 고기(보통 돼지고기)와 케이트막 야채 수프입니다.
말루쿠와 파푸아
말루쿠 제도의 요리는 해산물이 풍부하고, 파푸아 토속 음식은 보통 구운 멧돼지와 고구마 같은 덩이줄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매운 콜로콜로 조미료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생선구이 또는 해산물을 먹는다.말루쿠와 파푸아의 주식은 파페다라고 불리는 팬케이크나 사고 죽으로, 보통 참치, 홍도미 또는 강황, 라임, 그리고 다른 양념으로 양념된 다른 생선으로 만든 노란 수프와 함께 먹습니다.
외국의 영향
인도의 영향
인도의 영향은 4세기 초에 인도네시아에서 관찰될 수 있다.이슬람이 인도네시아로 확산된 후, 이슬람 인디언과 아랍의 영향이 인도네시아 요리에 유입되었다.예를 들어, 베타위와 연안 자바 요리 외에 아체, 미낭카바우, 말레이의 수마트라 요리에 영향을 준 인도 마타박과 카리(카리)가 있다.로티 지팡이, 나시 비랴니, 나시 케불리, 굴라이 캄빙 등 아체 요리와 미낭카바우 요리의 일부는 인도의 영향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중국의 영향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2/Siomay_Bandung.jpg/220px-Siomay_Bandung.jpg)
중국인들의 인도네시아 이민은 7세기부터 시작되어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에 가속화되었고, 이로 인해 중국 요리와 인도네시아 고유의 양식을 융합시켰다.인접한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서도 페라나칸 요리로 비슷한 중국 토종 퓨전 요리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인도네시아에서 인기 있는 음식 중에는 박미, 박소, 소토 미에, 소토, 박파우, 나시고랭, 타후고렝, 시오마이, 펨페크, 룸피아, 나시팀, 카프카이, 푸융하이, 스와이키와 같은 중국의 영향을 거슬러 올라가기도 한다.중국의 영향을 받은 이 요리 중 일부는 인도네시아의 주류 요리에 잘 녹아들었기 때문에 오늘날 많은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그들의 중국 기원을 인정하지 않고 그들의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네덜란드의 영향
네덜란드인들은 향신료를 찾아 16세기에 인도네시아에 도착했다.1800년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파산했을 때 인도네시아는 네덜란드의 [44]소중한 식민지가 되었다.식민주의를 통해 유럽인들은 빵, 치즈, 바비큐 스테이크와 팬케이크를 도입했다.빵, 버터, 마가린, 햄, 치즈 또는 과일 잼으로 채워진 샌드위치, 포퍼제스, 파네코크, 네덜란드 치즈는 식민지 시대에 네덜란드인과 인도인들이 흔히 소비했다.상류층 원주민인 Ningrat(귀족)과 교육받은 원주민 중 일부는 유럽 요리에 노출되었다.이 요리는 네덜란드 동인도 사회의 상류층의 요리로 높이 평가되었다.이것은 유럽 요리의 채택과 인도네시아 요리의 융합으로 이어졌다.식민지 시대에 만들어진 몇몇 음식들은 네덜란드 요리의 영향을 받았는데, 로티 바카르(구이빵), 로티 부야(로티 부야), 셀라트 솔로(솔로 샐러드), 마카로니 쇼텔(마카로니 캐서롤), 파스텔 튜탑(양치기 파이), 비스티크자와(네덜란드산 쇠고기 스테이크), 세무르텐본(베른 수프) 등이 있다.
쿠에볼루, 라피스 레귤류, 스파이쿠, 카스텐겔스 같은 많은 페이스트리와 케이크, 쿠키들은 네덜란드의 영향에서 유래되었다.일부 레시피는 네덜란드령 인도 퓨전 요리로 개발되었으며, 토종 재료를 사용하지만 유럽의 페이스트리 기술을 사용했다.이것들은 판단 케이크와 클라페르타르트를 포함한다.학교나 시장에서 간식으로 흔히 팔리는 큐빗은 포퍼제스에서 [45]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해외에서의 영향
반대로, 인도네시아 요리는 네덜란드인들이 공유하는 식민지 유산을 통해 영향을 끼쳤다.인도네시아 요리는 해협을 건너 말레이시아로 이주하는 인도네시아인들을 통해 이웃 국가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요리는 근접성, 역사적 이주, 문화적 친족관계로 인해 인근 요리 전통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말레이시아 요리에 영향을 미쳤다.인도네시아의 영향력은 서수마트라에서 온 미낭카바우족에 의해 주로 정착되어 그들의 문화, 역사, [46]요리에 반영되어 있는 중부 네게리 섬빌란 주에 널리 퍼져 있다.미낭카바우 요리의 영향은 말레이 요리 전통에서 매우 깊으며, 그 결과 두 전통은 렌당, 굴라이, 아삼페다, 튀김 등 같은 요리를 공유합니다.Rendang은 말레이시아의 주류 요리에 잘 녹아들어 지금은 그들만의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특히 Hari Raya Aidil Fitri에서 인기가 있다.20세기 초 쿠알라룸푸르 등 말레이시아의 중심지로 수마트라인이 대거 유입되면서 말레이시아뿐만 아니라 [47]싱가포르에서도 나시파당(서수마트라 파당시 원산)이 인기를 끌었다.
최남단 조호르주의 말레이 요리는 지난 2세기 [47]동안 그곳에 정착한 자바인들의 영향을 반영한다.조호르에서 자바에서 유래한 인기 있는 요리로는 아얌페네, 나시암벵, 텔루르핀당, 사유르로데, 미레부스, 페찰 [46]등이 있습니다.
태국.
인도네시아 요리는 자바에서 수마트라, 말레이 반도,[48] 그리고 태국에 이르는 사타이의 소개와 같이 아마도 말레이시아의 매개체를 통해 태국 요리에도 영향을 미쳤다.Achat (Thai: อาจาด pronounced [ʔāː.t͡ɕàːt]), is a Thai pickles which believed to be derived from Indonesian acar.그것은 오이, 홍고추, 홍양파 또는 샬롯, 식초, 설탕, 소금으로 만들어진다.It is served as a side dish with the Thai version of satay (Thai: สะเต๊ะ).
네덜란드
식민지 기간 동안 네덜란드인들은 국내외에서 [44]인도네시아 요리를 받아들였다.인도네시아 요리는 식민지 네덜란드와 인도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쳐 인도네시아 [45]독립 이후 본국으로 인도 음식을 가져왔다.
C. 판 림부르크 슈티럼 백작 부인은 그녀의 책 "더치 요리의 예술"(1962)에서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인도네시아 요리는 셀 수 없을 정도로 많고, 그 중 일부는 몇 시간이 걸리는 음식이지만, 몇 가지 쉬운 음식은 "국민 요리"로 여겨질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그리고 나서 그녀는 나시고랭, 피상고랭, 룸피아고랭, 바미, 사테이, 사테이 소스, 그리고 [49]삼발올렉의 요리법을 제공한다.
네덜란드-인도네시아 퓨전 요리도 존재하며,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리스트타펠(Rijstatafel)로, 많은 작은 요리(최대 수십 개)로 이루어진 정교한 식사이다(이 때문에 "전체 테이블"[45]을 채운다).네덜란드에서는 인기가 있지만 인도네시아에서는 거의 볼 수 없습니다.오늘날 네덜란드, 특히 암스테르담, 헤이그, 위트레흐트, [44]로테르담과 같은 대도시에는 많은 인도네시아 음식점이 있다.
요리 외교
인도네시아 요리는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호주와 같은 인접 국가뿐만 아니라 네덜란드, 수리남,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같은 역사적 관계를 공유하는 국가에서도 전통적으로 인기를 누렸다.그것은 [50][51]또한 일본과 한국에서 점점 더 인기가 있다.
2021년 태국, 한국, 일본의 요리외교 성공을 통해 인도네시아 정부는 위장외교 협력의 [52][53]한 형태인 "인도네시아 스파이스 업 더 월드" 프로그램을 시작했다.이 프로그램은 인도네시아 요리를 해외에 알리고, 인도네시아 요리 산업을 지원하며, 현지 향신료 제품과 가공 식품이 세계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돕고,[54] 해외의 인도네시아 레스토랑을 지원하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인도네시아 스파이스 업 더 월드" 프로그램에는 정부 부처간 기관, 인도네시아 식품 산업 및 일반 대중이 참여합니다.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인도네시아 향신료와 허브의 수출 가치를 20억 달러로 끌어올리고 [52][54]2024년까지 해외에 4000개의 인도네시아 레스토랑의 존재를 늘리는 것입니다.
식사 시간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하루 종일 간식을 먹거나 여러 가지 작은 음식을 먹을 수 있다.만약 따로 정해진 더 큰 식사를 한다면, 그들은 보통 사라판이나 마칸파지로 구성되어 있고, 종종 점심은 그날의 주요 식사이고, 그 다음에 마칸말람이 뒤따른다.[1]식사 시간은 일반적으로 평범하고 고독한 일이며, 지역에 따라 다르게 지켜질 수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서부와 중부에서는 보통 늦은 아침에 주요 식사를 요리하고 정오쯤에 소비합니다.많은 가정에서 모든 구성원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되는 식사 시간은 정해져 있지 않다.이 때문에 대부분의 음식은 상온에서 오랫동안 식탁에 올려져 있어도 먹을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같은 요리를 저녁에 마지막 식사를 위해 다시 데운다.대부분의 식사는 원뿔 모양의 긴 알갱이 모양의 고도로 정제한 쌀 더미를 중심으로 만들어진다.식사는 수프, 샐러드, 그리고 다른 메인 요리를 포함할 수 있다.어떤 음식이든지 간에, 그것은 삼발이라고 불리는 적어도 한 가지, 그리고 종종 여러 가지 맛을 동반한다.특히 자바 가족에게는 식탁 위에 케루푸크, 렘페익 또는 다른 칩을 항상 함께 먹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기후가 더 건조한 파푸아 섬과 티모르 섬과 같은 동부 인도네시아에서는, 식사가 사고나 뿌리 채소, 녹말 덩이줄기와 같은 다른 탄수화물 공급원에 집중될 수 있다.월러스 선에서 동쪽에 있기 때문에 생물 지리학적 영역과 동식물군은 서쪽의 섬들과 상당히 다르며, 따라서 음식도 마찬가지입니다.
잔치
텀펑
많은 인도네시아의 전통 관습과 의식에는 음식과 잔치가 포함되어 있는데, 가장 좋은 예 중 하나는 텀펑입니다.자바에서 유래한 텀펑은 다양한 요리로 둘러싸인 원뿔 모양의 쌀더미로 2014년 인도네시아 [4]국민요리로 공식 선정되었습니다.전통적으로 슬라메탄 의식에 등장하는 쌀의 원추는 원추형 용기에 엮은 대나무 잎을 사용하여 만들어집니다.쌀 자체는 흰 쌀밥, 우덕(코넛 밀크로 조리된 쌀) 또는 황미(강황으로 염색된 쌀)일 수 있습니다.쌀콘은 모양을 만든 후 우랍야채, 닭튀김, 반숙, 테리카캉, 새우튀김, 텔루르핀당(대리석 삶은 달걀), 계란말림, 템페오렉(단맛, 건더기 튀김), 페케텔켄탕(감자튀김) 등 다양한 요리로 둘러싸여 있다.rkedel jagung (옥수수 튀김), 삼발고렝아티 (칠리소스 간) 등 많은 음식들이 있습니다.나시 툼펑은 아마도 산이 조상들과 신들의 거주지였던 것을 뒤집는 고대 인도네시아의 전통에서 유래했을 것이다.쌀콘은 신성한 산을 상징합니다.그 축제는 풍성한 수확이나 다른 축복에 대한 일종의 감사절 역할을 했다.축제와 축하의 가치 때문에, 지금도 종종 인도네시아에서 생일 케이크를 대신해서 텀펑이 사용되고 있다.
나시파당
나시파당을 축제용 히당(서빙) 스타일로 하면 다양한 파당 음식을 한 번에 맛볼 수 있습니다.나시파당은 서수마트라 파당시에서 유래한 다양한 사전 조리 요리와 함께 제공되는 밥입니다.그것은 흰 쌀밥과 함께 먹는 고기, 생선, 야채, 매운 삼발의 미니어처 잔치이다.그것은 미낭카바우가 인도네시아 [55]요리에 크게 기여한 것이다.
고객이 착석한 후에는 주문할 필요가 없습니다.접시를 쌓아올린 웨이터가 바로 접시를 테이블로 가져다 줍니다.식탁에는 쇠고기 렌당, 각종 굴레, 생선구이, 나물조림, 고추가지, 간구이, 내장, 족저근, 폐튀김, 닭튀김, 삼발 등 풍미가 풍부한 음식들이 가득 차게 차려질 것이다.보통 12개라면 14개 이상에 달할 수 있습니다.Nasi Padang은 식탁에 있는 뷔페입니다.[55]고객은, [56]이 어레이로부터 소비한 것만을 구입해, 지불합니다.
리슈타펠
또 다른 인도네시아의 축제인 Rijstatafel은 식민지 시대의 풍요로움과 인도네시아 요리의 다양성을 동시에 보여준다.클래식한 스타일의 Rijstatafel은 40명의 남성 웨이터에 의해 40가지까지 다양한 요리를 제공했지만, 맨발로 정장된 흰색 제복을 입고 머리에 블랑콘(자바 전통 모자)을 [57]쓰고 허리에는 바틱 천을 둘렀다.현대 인도네시아 요리에서는 서양식 프라즈마난 뷔페로 개조되었습니다.
프라즈마난
인도네시아 전통 결혼 피로연, 사무실 점심 모임, 세미나 또는 저녁 모임에 참석하면 대개 인도네시아 음식들로 가득 찬 긴 테이블인 인도네시아 프라즈마난에 줄을 서게 된다.프라즈마난은 리스트타펠과 상당히 비슷하지만, 의례적인 웨이터를 제외하고, 대개 화려한 식민지 시대 이전 것에 비해 더 적은 음식을 제공합니다.인도네시아 뷔페로, 긴 테이블 위에 맛과 단맛의 다양한 요리가 준비되어 있습니다.그것은 보통 결혼식이나 다른 축제에서 발견될 수 있다.인도네시아 결혼식 뷔페의 배치는 보통 접시, 식기, 종이 냅킨이 한쪽에 놓여 있고, 이어서 밥(플레인 또는 튀김), 인도네시아 요리, 삼발과 크루묵(때로는 국제 요리), 그리고 다른 한쪽 끝에는 물잔이 놓여 있다.
음료수
무알코올 음료
인도네시아의 가장 일반적이고 인기 있는 음료와 음료는 테(tea)와 코피(kopi)입니다.인도네시아의 가정에서는 보통 손님들에게 테마니스(스위트티)나 코피 터브룩(커피 잔에 설탕과 뜨거운 물을 섞어서 커피잔을 분리하지 않고 바로 따르는 커피)을 대접한다.네덜란드 동인도 식민지 시대 이후, 특히 자바의 농장은 커피, 차, 설탕의 주요 생산지였습니다.그 이후로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뜨겁고 달콤한 커피와 차 음료를 즐겨 마셨다.자스민차는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차 품종이지만, 최근 건강 의식 증진으로 녹차가 인기 있는 선택지가 되었다.보통 커피와 차는 뜨겁게 제공되지만 차가운 얼음 단차 또한 자주 마신다.Kopi luwak은 아시아 야자 사향고양이(Paradoxurus hermaproditus)와 다른 관련 [58]사향고양이들이 먹어온 커피 열매의 콩으로 만든 인도네시아의 이국적이고 비싼 커피 음료이다.병에 든 달콤한 자스민 차인 테 보톨은 현재 매우 인기가 있고 코카콜라나 환타 [59]같은 국제적인 병에 든 탄산음료와 지역적으로 유리하게 경쟁하고 있다.코피수(연유를 넣은 커피)는 인도네시아 버전의 카페오레입니다.es 켈라파 무다 또는 어린 코코넛 얼음은 차가운 어린 코코넛 물, 코코넛 과육, 시럽으로 만든 신선한 음료이다.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좋아하는 음료 중 하나입니다.
과일 주스(쥬스)는 매우 인기가 있다.오렌지(jus jeruk), 구아바(jus jambu), 망고(jus mangga), 수솝(jus sirsak), 아보카도(jus alpokat)가 있으며, 마지막은 보통 연유와 초콜릿 시럽과 함께 디저트와 같은 간식으로 제공됩니다.두리안은 에스두리안이라고 불리는 아이스크림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8/Es_Teller_77.jpg/170px-Es_Teller_77.jpg)
많은 인기 음료는 얼음을 기반으로 하며 디저트로 분류될 수도 있습니다.대표적인 예로는 어린 코코넛(es kelapa muda), 잔디 젤리(es cincau), 센돌(es cendol 또는 es dawet), 아보카도, 잭프루트, 코코넛(s teler), 혼합 얼음(es campur), 강낭콩(es kacang merah), 머스크 멜론(es blowah), 미역(es rump laut) 등이 있습니다.
서부 자바에서 특히 인기 있는 바지구르나 밴드렉과 같은 뜨겁고 달콤한 음료도 찾을 수 있습니다.둘 다 코코넛 밀크 또는 코코넛 슈가(굴라자와) 기반의 뜨거운 음료로 다른 향신료와 혼합되어 있습니다.땅콩, 다진 빵, 파카 시나를 포함한 생강 기반의 뜨거운 음료인 Sekoteng은 자카르타와 서자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웨당자헤(뜨거운 생강 음료)와 웨당론드(고구마 볼이 들어간 뜨거운 음료)는 특히 요기아카르타, 중앙 자바, 동 자바에서 인기가 있습니다.
알코올 음료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1/Balinese_brem_Eagle_brand.jpg/170px-Balinese_brem_Eagle_brand.jpg)
이슬람교도가 많은 나라로서 인도네시아 이슬람교도들은 알코올 음료를 금지하는 이슬람 식법을 공유하고 있다.예로부터 이 군도에서는 현지 알코올 음료가 개발되었습니다.중국 소식통에 따르면 고대 자바 사람들은 팜 와인이라고 불리는 팜 수액으로 만든 와인을 마셨다고 한다.오늘날 투악은 북수마트라 바탁 지역에서 계속 인기가 있다.투악을 제공하는 전통적인 바탁 바는 라포 투악이라고 불립니다.중앙 자바 주 솔로에서는 시우(중국 와인의 현지 변형)가 알려져 있습니다.병으로 만든 브렘 발리는 발리에서 인기가 있습니다.누사텐가라 제도나 말루쿠 제도에서도 팜 와인을 마십니다.이것들은 [60]현지에서는 소피라고 알려져 있습니다.술라웨시 북부의 미나하사 지역에서 사람들은 캡 티쿠스라고 불리는 알코올 중독성이 강한 음료를 마신다.인도네시아 사람들은 빈탕맥주와 앙커맥주와 같은 지역 맥주 브랜드를 개발했다.
Eating establishment
In Indonesia, dishes are served from a fine dining restaurant in five-star hotel, a simple restaurant downtown, humble street side warung under the tent, to street hawker peddling their gerobak (cart) or pikulan (carrying using rod).
Restaurant and warung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0/0e/Ampera_Bridge_at_Late_Afternoon%2C_Palembang.jpg/220px-Ampera_Bridge_at_Late_Afternoon%2C_Palembang.jpg)
In Indonesia rumah makan means restaurant, while warung means small and humble shop.[1] From these eating establishments, a warteg (warung Tegal) and rumah makan Padang are particularly notable for their ubiquitousness in Indonesian cities and towns.
A warteg or warung tegal is a more specific warung nasi, established by Javanese people from the town Tegal in Central Java. They sells favourite Javanese dishes and rice, the wide array of pre-cooked dishes are arranged in glass windowed cupboard. They are well known on selling modestly-priced meals, popular among working class such as low-skilled labours in the cities. While rumah makan Padang is a Padang restaurant, a smaller scale Padang eateries might be called warung Padang.
Most of Indonesian restaurants are based upon specific regional cuisine tradition. For example, rumah makan Padang are definitely Minangkabau cuisine. Sundanese saung restaurant or colloquially called as kuring restaurants are selling Sundanese dishes. This includes Bataks' lapo, Manado and Balinese restaurants. While other restaurants might specifically featuring their best specific dishes, for example Ayam goreng Mbok Berek, Bakmi Gajah Mada, Satay Senayan, Rawon Setan Surabaya, Pempek Pak Raden, etc.
Street food
Indonesian street food are usually cheap, offer a great variety of food of different tastes, and can be found on every corner of the city.[61] Street and street-side vendors are common, in addition to hawkers peddling their goods on bicycles or carts. These carts are known as pedagang kaki lima. These food hawkers on carts or bicycles might be travelling on streets, approaching potential buyers through residential areas whilst announcing their presence, or stationing themselves on a packed and busy street side, setting simple seating under a small tent and waiting for customers. Many of these have their own distinctive call, tune, or noise to announce their presence. For example, bakso sellers will hit the side of a soup bowl using a spoon, whereas nasi goreng sellers announce themselves by hitting their wok.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d/Indonesian_travelling_meatball_vendor_on_bike.jpg/220px-Indonesian_travelling_meatball_vendor_on_bike.jpg)
In most cities, it is common to see Chinese dishes such as bakpao (steamed buns with sweet and savoury fillings), bakmie (noodles), and bakso (meatballs) sold by street vendors and restaurants, often adapted to become Indonesian-Chinese cuisine. One common adaptation is that pork is rarely used since the majority of Indonesians are Muslims. Other popular Indonesian street food and snacks are siomay and batagor (abbreviated from Bakso Tahu Goreng), pempek (deep fried fish cake), bubur ayam (chicken congee), bubur kacang hijau (mung beans porridge), satay, nasi goreng (English: fried rice), soto mie (soto noodle), mie ayam (chicken noodle) and mie goreng (fried noodle), taoge goreng (mung bean sprouts and noodle salad), asinan (preserved vegetables or fruits salad), laksa, kerak telor (spicy omelette), gorengan (Indonesian assorted fritters) and Bakwan (fried dish of beansprouts and batter).
Indonesian street snacks include iced and sweet beverages, such as es cendol or es dawet, es teler, es cincau, es doger, es campur, es potong, and es puter. Indonesian cakes and cookies are often called jajanan pasar (market munchies).
Snacks
Kue
Indonesia has a rich collection of snacks called kue (cakes and pastry), both savoury and sweet. Traditional kue usually made from rice flour, coconut milk, coconut sugar and mostly steamed or fried instead of baked. Traditional kue are popularly known as kue basah ("wet kue") that has moisty and soft texture because of rich coconut milk. The kue kering (dried kue) is local name for cookies.
Indonesia has rich variations of kue, both native-origin or foreign-influenced. Popular ones include Bika Ambon, kue pisang, kue cubit, klepon, onde-onde, nagasari, kue pandan, lupis, lemang, lemper, lontong, tahu isi, getuk, risoles, pastel, lumpia, bakpia, lapis legit, soes, poffertjes and bolu kukus.
Traditional crackers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d/Kaleng_kerupuk.jpeg/220px-Kaleng_kerupuk.jpeg)
Traditional crackers are called krupuk, made from bits of shrimp, fish, vegetables or nuts, which are usually consumed as a crunchy snack or to accompany main meals.[62] These crispy snacks sometimes are added upon the main meal to provide crunchy texture; several Indonesian dishes such as gado-gado, karedok, ketoprak, lontong sayur, nasi uduk, asinan and bubur ayam are known to require specific type of krupuk as toppings. There are wide variations of krupuk available across Indonesia. The most popular ones would be krupuk udang (prawn crackers) and krupuk kampung or krupuk putih (cassava crackers).
Other popular types include krupuk kulit (dried buffalo-skin crackers), emping melinjo (gnetum gnemon crackers), and kripik (chips or crisps), such as kripik pisang (banana chips) and keripik singkong (Cassava chips), rempeyek, is a flour-based cracker with brittle of peanuts, anchovies or shrimp bound by crispy flour cracker, rengginang or intip (Javanese) is rice cracker made from sun-dried and deep fried leftover rice.
Fruits
Indonesian markets abound with many types of tropical fruit. These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Indonesian diet, either eaten freshly, or made into juices (such as jus alpukat), desserts (such as es buah and es teler), processed in savoury and spicy dishes like rujak, fried like pisang goreng (fried banana), cooked into cakes (such as kue pisang or bika ambon), sweetened and preserved such as sale pisang and manisan buah, or processed into kripik (crispy chips) as snacks like jackfruit or banana chips.
Many of these tropical fruits such as mangga (mango), manggis (mangosteen), rambutan, cempedak, nangka (jackfruit), durian, jambu air, duku (langsat), jeruk bali (pomelo), belimbing (carambola), kedondong and pisang (banana), are indigenous to Indonesian archipelago; while others have been imported from other tropical countries, although the origin of many of these fruits might be disputed. Klengkeng (longan) were introduced from India, semangka (watermelon) from Africa, kesemek from China, while alpukat (avocado), sawo, markisa (passionfruit), sirsak (soursop), nanas (pineapple), jambu biji (guava) and pepaya (papaya) were introduced from the Americas. Many of these tropical fruits are seasonally available, according to each species flowering and fruiting seasons. While certain fruits such as banana, watermelon, pineapple and papaya are available all year round.
Today, Indonesian markets is also enrichen with selections of home-grown non-tropical fruits that is not native to Indonesia. Strawberry, melon, apple, pear and dragonfruit are introduced and grown in cooler Indonesian highlands such as Malang in mountainous East Java, Puncak and Lembang near Bandung, to mimic their native subtropics habitat.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c/Rambutan_Binjai.jpg/220px-Rambutan_Binjai.jpg)
In the last few years, fruit chips have been more and more various. In the old times, banana and jackfruit chips were the most common, but now Indonesian fruit chips are also made from strawberry, apple, dragonfruit, pepino, watermelon, melon, more. Malang, a city in East Java, is the centre of fruit chip production aside from tempeh chips.
Banana and coconut are particularly important, not only to Indonesian cuisine, but also in other uses, such as timber, bedding, roofing, oil, plates and packaging. Banana leaf and janur (young coconut leaf) are particularly important for packaging and cooking process, employed to make pepes, lontong and ketupat.
Health
Nutrition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f/Tempe_mendoan_fried_tempeh.jpg/220px-Tempe_mendoan_fried_tempeh.jpg)
Much carbohydrate intake in Indonesian cuisine comes from rice, while in eastern parts of Indonesia, yam and sago are common. Indonesian protein intake comes from soy bean products that are processed into tofu and tempeh. Chicken eggs, poultry and meats are also consumed. Most of the fat intake comes from cooking oil (coconut oil) of fried dishes, coconut milk, peanuts, as well as meats and offals.[citation needed]
Some Indonesian fruit and vegetable dishes such as fruit rujak, gado-gado, karedok, pecel, lalab, capcay, tofu and tempeh are foods with low fat and high fibre. Tempeh, for example, is a vegetarian substitute for meat.[63] Some dishes, especially gorengan (deep-fried fritters) and those dishes infused or caramelised with coconut milk, such as rendang and gulai, might taste succulent but are rich in saturated fat.
Food safety
The authentic traditional Indonesian home cooking is freshly made and consumed daily with minimal or no processed, canned or preserved foods, which means there is a minimal amount of preservatives and sodium. Most ingredients are bought fresh very early in the morning from local traditional markets, cooked around the late morning and consumed mainly for lunch. The leftovers are stored in the cupboard or on the table covered with tudung saji (weaved bamboo food cover to protect the food from insects or other animals), all in room temperature to be heated and consumed again for dinner.[1] Traditionally, Indonesian dishes are rarely stored for long periods of time, thus most of these dishes are cooked and consumed in the same day. Some exceptions apply to dried, salted, and processed food. For example, dry rendang may still be safe to consume for several days. Modern refrigeration technology is available in most households.
Hygiene
While most of Indonesian grocery products and food served in mid to upperscale eating establishments maintain food hygiene standard ranges from good to acceptable — regulated and supervised by Badan Pengawasan Obat dan Makanan (Indonesi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some warung traditional foodstalls and street vendors might have poor hygiene. The tropical microbes also might contribute to food poisoning cases mostly gastroenteritis, especially among foreigners during their stay in Indonesia.[64] It is advisable to drink bottled or boiled drinking water, or choose cooked hot food instead of uncooked room temperatured ones sold by street vendors. For example, when consuming food sold by street vendors, consuming hot cooked mie ayam or soto is much safer than having gado-gado or fruit rujak.
See also
Notes
- ^ as mentioned in Anthony Reid "Southeast Asia in Commerce 1450–1680 Volume I: The Land Below the Winds"
- ^ later was localized as kecap manis (sweet soy sauce) with generous addition of palm sugar
References
- ^ a b c d e "Food in Indonesia". Food by Country.
- ^ a b c d "Indonesian Cuisine." Archived 23 August 2017 at the Wayback Machine Epicurina.com . Accessed July 2011.
- ^ "Mengulik Data Suku di Indonesia". Badan Pusat Statistik. 18 November 2015. Retrieved 12 February 2020.
- ^ a b c d Nadya Natahadibrata (10 February 2014). "Celebratory rice cone dish to represent the archipelago". The Jakarta Post. Retrieved 9 July 2014.
- ^ a b "Indonesian food." Archived 10 September 2011 at the Wayback Machine Belindo.com Archived 7 September 2011 at the Wayback Machine. Accessed July 2011.
- ^ "Indonesian Cuisine". Diner's Dige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April 2011. Retrieved 11 July 2010.
- ^ "Flavours of Indonesia, Balinese Food". Destination As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August 2014. Retrieved 26 August 2014.
- ^ a b c Sara Schonhardt (25 February 2016). "40 Indonesian foods we can't live without". CNN.
- ^ a b c "Nasi Goreng: Indonesia's mouthwatering national d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ly 2010. Retrieved 5 July 2010.
- ^ Gado-Gado Gado-Gado Recipe Online Indonesian Food and Recipes at IndonesiaEats.com
- ^ a b c "National Dish of Indonesia Gado Gad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June 2010. Retrieved 5 July 2010.
- ^ a b c "Indonesian food recipes: Sata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August 2010. Retrieved 5 July 2010.
- ^ a b c "A Soto Crawl". Eating Asia. Retrieved 5 July 2010.
- ^ a b Media, Kompas Cyber. "Kemenpar Tetapkan 5 Makanan Nasional Indonesia, Ini Daftarnya - Kompas.com". KOMPAS.com (in Indonesian). Retrieved 18 April 2018.
- ^ Buxton, Kira Jane. "Incredible Indonesian dishes you need to try immediately". Mashed.com. Retrieved 11 December 2017.
- ^ "Makanan Zaman Kuno". Jawa Kuno (in Indonesian).
- ^ "Hanya Ada Di Candi Sojiwan: Menu Hidangan Raja Mataram Kuno". TEMPO.CO (in Indonesian). 22 February 2017.
- ^ a b c d e Yudi Anugrah Nugroho (18 December 2013). "Cita Rasa Kuliner Nusantara". Historia (in Indonesian).
- ^ "Menguak Fakta Menu Lalapan Sunda Lewat Prasasti Taji". beritasatu.com (in Indonesian). Retrieved 23 December 2017.
- ^ "Terungkap, Asal Mula Menu Lalapan Dream.co.id". Dream.co.id (in Indonesian). Retrieved 23 December 2017.
- ^ The Book of Tempeh, 2nd ed., by W. Shurtleff and A. Aoyagi (2001, Ten Speed Press, p. 145)
- ^ a b Mike, Lininger. "International Dining Etiquette — Indonesia". Etiquette Scholar. Retrieved 28 May 2015.
- ^ Heinz Von Holzen (2014). A New Approach to Indonesian Cooking. Marshall Cavendish International Asia Pte Ltd. p. 15. ISBN 9789814634953.
- ^ a b c Taylor, Jean Gelman (2003). Indonesia: Peoples and Histories.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pp. 8–9. ISBN 0-300-10518-5.
- ^ Witton, Patrick (2002). World Food: Indonesia. Melbourne: Lonely Planet. p. 29. ISBN 1-74059-009-0.
- ^ "Global Demand, World Instant Noodles Association". instantnoodles.org. Retrieved 12 January 2020.
- ^ "Grilled tempeh burgers". Rachael Ray. 21 July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February 2015.
- ^ Scott, Janny (20 April 2011). "Obama's Young Mother Abroad". The New York Times.
- ^ "Ikan Bakar". Tasty Indonesian Food.com. Tasty Indonesian Food.com. Retrieved 11 August 2013.
- ^ "Mencicipi Gurihnya Keripik Olahan Jangkrik". Kompas.com (in Indonesian). 13 September 2016.
- ^ Ira Rachmawati (12 December 2014). "Menikmati Sepincuk Botok Tawon di Banyuwangi". Kompas.com (in Indonesian).
- ^ Fidel Ali (18 June 2017). "Apa Rasanya Makan Ulat Sagu Hidup-hidup di Raja Ampat?". Kompas.com (in Indonesian).
- ^ Kumar's Curries & Bumbus (2011). "Curries and Bumbus". Verstegen. Retrieved 24 October 2011.
- ^ Elliott, Petty (2011). "Food Talk: Spice Up Your Prawns With Sambal". Jakarta Globe, Indonesian Embassy in Athens. Retrieved 24 October 2011.
- ^ "Some Like It Hot! Bali Safari and Marine Park Holds Its 3rd Chili Festival". Bali Discovery Tours.
- ^ James Oseland, Cradle Of Flavor (W.W. Norton & Co., 2006)
- ^ a b Sitompul, Martin (28 July 2017). "Pesona Nasi Goreng". Historia – Obrolan Perempuan Urban (in Indonesian). Retrieved 19 September 2018.
- ^ "Indonesian Nasi Goreng: Stir-Fried Rice in Soy Sauce". asianfoodnetwork.com. Retrieved 21 August 2020.
- ^ Maria Endah Hulupi (22 June 2003). "Betawi cuisine, a culinary journey through history". The Jakarta Po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September 2015. Retrieved 30 January 2015.
- ^ Sate Klopo Sate Klopo Recipe Online Indonesian Food and Recipes at IndonesiaEats.com
- ^ Sate Ayam Madura Sate Ayam Madura Recipe Online Indonesian Food and Recipes at IndonesiaEats.com
- ^ Bali: A Day At The Market And Cooking Class
- ^ Cheung, Tim (12 July 2017). "Your pick: World's 50 best foods". CNN Trave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October 2017. Retrieved 11 October 2017.
- ^ a b c "A Guide to Dutch Indonesian Cuisine". Awesome Amsterda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ly 2014. Retrieved 15 August 2014.
- ^ a b c d Luke Nguyen (5 December 2016). "Crocodile bread and spekkoek: the tasty intersection of Dutch-Indo food". SBS.
- ^ a b "Cuisine of the southern states". Food and Travel.
- ^ a b Kosaku Yoshino. "Malaysian Cuisine: A Case of Neglected Culinary Globalization" (PDF). Sophia University Institute of Comparative Culture, Tokyo. p. 3. Retrieved 2 May 2014.
- ^ "Consumers love succulent Satay, Peanut ingredients for global success" (PDF). USA Peanuts. p. 1. Retrieved 2 May 2014.
- ^ C. Countess van Limburg Stirum: The Art of Dutch Cooking; First published in 1962 by Andre Deutsch Limited, London; p.179-p.185
- ^ "Check Out Indonesian Food in Seoul: Lilin Indonesian Restaurant". KoreabyMe. 12 May 2021. Retrieved 27 March 2022.
- ^ "Indonesian Food Popular among North Koreans". Tempo.co. 17 May 2015.
- ^ a b "Indonesia Spice Up the World, Homepage". Indonesia Spice Up the World. 29 October 2021. Retrieved 27 March 2022.
- ^ BeritaSatu.com (29 July 2021). "Oktober, Jokowi Akan Luncurkan "Indonesia Spice Up The World" dalam Expo Dubai". beritasatu.com (in Indonesian). Retrieved 27 March 2022.
- ^ a b Rochman, Fathur (20 July 2021). ""Indonesia Spice Up the World" to boost culinary industry: Uno". Antara News. Retrieved 27 March 2022.
- ^ a b "Padang's Feast Fit for a King". Eating Asia. 10 July 2006. Retrieved 20 August 2013.
- ^ "A Unique of Padang". Padangbaycity.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December 2010. Retrieved 22 September 2010.
- ^ Fadly Rahman (16 December 2010). "Rijsttafel: The History of Indonesian Foodways". Kompasiana. Kompasian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September 2013.
- ^ Hyon Jung Lee (20 June 2007). "Most Expensive Coffee". Forbes.com. Retrieved 24 October 2011.
- ^ P.T. Data Consult, Inc (1999). "The Sinar Sosro Group: The Market Leader for Traditional Drinks". The Free Library. Retrieved 24 October 2011.
- ^ Andreas D. Arditya (14 April 2013). "A taste for spirits". The Jakarta Post. Retrieved 22 June 2017.
- ^ "Most popular 'kaki lima' in Jakarta". The Jakarta Post. Jakarta. 18 June 2016.
- ^ Heinz Von Holzen; Lother Arsana (2015). Food of Indonesia: Delicious Recipes from Bali, Java and the Spice Islands. Tuttle Publishing. ISBN 9781462914913.
- ^ Mandy Oaklander (21 May 2015). "Should I Eat Tempeh?". TIME Health.
- ^ "Gastroenteritis and Food/Waterborne Diseases". Living in Indonesia.
Bibliography
- Owen, Sri. "Indonesian Food and Cookery" ISBN 978-0907325000 Prospect Books, 1980
- Owen, Sri. "Sri Owen's Indonesian Food" ISBN 978-1910496718 Pavilion Books, 2015
- Wongso, William. "Flavors of Indonesia: William Wongso's Culinary Wonders" ISBN 978-9798926327 Bab Publishing, 2016
- Ford, Eleanor. "Fire Islands: Recipes from Indonesia" ISBN 978-1911632047 Murdoch Books, 2019
External links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en/thumb/4/4a/Commons-logo.svg/30px-Commons-logo.svg.png)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f/Wikibooks-logo-en-noslogan.svg/40px-Wikibooks-logo-en-noslogan.svg.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