샹샹 방언
Xiangxiang dialect샹샹 방언 | |
---|---|
湘乡话 | |
네이티브: | 중국 |
지역 | 후난 성 샹샹 시 |
언어 코드 | |
ISO 639-3 | – |
샹샹 방언(중국어: 湘乡话; pinyin: Xiangxiang hua)은 중국 후난성 샹샹에서 사용되는 샹 중국어의 방언이다. 센트럴 시앙 방언이라 불리는 방언의 모임의 일부다.[1]
지리 분포
아래의 언어 지도는 중국어의 방언의 유통을 종합적으로 분류하고 도표로 만든 최초의 지도책인 '중국어의 언어 지도'에서 파생된 중국의 디지털 언어 지도에서 따온 것이다.[2][3][4] 이 지도책자는 샹샹 시와 그 주변에 있는 두 개의 주요 방언인 창이(長yi/ /益)와 루사오(Loushao)를 가리킨다.
샹을 뉴샹과 올드샹으로 나눈 것은 위안자화(元家華)에 의해 도입되었으나,[5] 중국 언어 지도 분류로 대체되었다.[6]
중국[2] 언어 지도에 따른 후난 성의 방언 지도 |
---|
중국 언어 아틀라스는 바오후싱과 천휘의 많은 연구를 포함하여 시앙 방언들을 더 자세히 설명하고 지도화, 분류하기 위한 많은 노력의 출발점 역할을 한다.[7][8]
첸과 바오(2007)[9]에 따른 후난 성의 방언지도 |
---|
셴샹 시와 주변 군 언어지도[3] |
---|
샹샹 방언 연구의[1][3][10][11] 표본 위치 |
---|
역사와 전략적 가치
샹 방언 집단은 중국 북방 방언과 남방 방언 사이의 과도기를 이룬다.[5]
선사시대에는 바, 난만, 바이유, 그리고 언어를 연구할 수 없는 다른 부족들이 주요 거주지였다. 국가 전쟁 기간 동안, 많은 수의 추가 후난으로 이주했다. 그들의 언어는 원래 원주민의 언어와 혼합되어 새로운 방언 난추(남추)를 만들어냈다. 후난 중심부에 있는 샹샹의 문화는 주로 추씨로 여겨진다. 샤오산어, 루디어, 솽펑어, 샹샹어(올드샹어)는 추어어(Chu)와 원주민어(Old Shiang)의 합성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간주된다.[12]
후난으로의 이주는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5대 왕조와 10대 왕조 시대 이전에는 주로 북쪽에서 이주자들이 왔다. 오대십국 시대와 명나라 사이에 이주자들은 주로 장시성에서 왔다. 명나라 중엽 이후 이주는 점차 다양해졌다. 북쪽에서 온 이주자들은 주로 후난 북부를 중심으로 후난 서부를 따라왔다. 이러한 이유로 후난성 북부와 서부는 만다린 지역이다. 장시성에서 온 이주민들은 주로 후난성 남동부, 그리고 오늘날에는 사오양성과 신화성에 집중되었다. 그들은 두 가지 이유로 왔다.'첫 번째 이유는 장시호가 너무 붐벼서 주민들이 확장을 추구했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후난성이 몽골의 송 왕조 정복 당시 대량 살육이 있었던 시기에 큰 고통을 받았으며,[1] 그 인구를 보충할 필요가 있었다는 점이다. 명나라 초기에는 장시(江西)에서 많은 이주민들이 몰려와 오늘날에는 위양(yang陽), 창사(長士), 주저우(周州), 샹탄(샹탄), 헝양(yang陽) 지역에 정착하였다. 명나라 중엽 이후에는 이주민이 더욱 다양해졌고, 경제와 상업을 위해 더 많이 왔다.[12]
음운론
표준 중국어와의 비교
특징 | 표준 중국어 | 샹샹 로케이션 | 닌샹 로케이션 | ||||
---|---|---|---|---|---|---|---|
사전[13] | 차오[14] | 청관[1] 시 | 위산[11] 시 | 진수우[10] | 미끼안[10] | 희탕[10] | |
자음 및 이니셜 | 21 | 23 | 29 | 28 | 24 | 26 | 24 |
모음. 및 결승전 | 35 | 37 | 37 | 38 | 42 | 37 | 38 |
톤즈 | 4 | 4 | 7 | 5 | 6 | 6 | 6 |
일반
이들 음성 차트는 IPA 음성 기호에 곱슬꼬리 팔각 기호가[15] 추가돼 차오가 제시한 형식을 따른다.[14]
자음
양면성의 | 치조류의 | 치골격의 | 대정맥의 | 역행의 | 벨라르 | ||
---|---|---|---|---|---|---|---|
콧대의 | m | n | ȵ | ŋ | |||
쟁기질하다 | 목소리 있는 | b | d | ɡ | |||
무성음의 자극받지 않은 | p | t | k | ||||
무성음의 흡인된 | p | t | kʰ | ||||
냉담함 | 목소리 있는 | ɣ | |||||
무성음의 | s | ɕ | ʂ | x | |||
결속시키다 | 목소리 있는 | dz | dʑ | dʐ | |||
무성음의 자극받지 않은 | ts | t | t | ||||
무성음의 흡인된 | tsʰ | t | t | ||||
측면의 근사치 | l |
톤즈
음운학적으로 샹샹 방언은 일곱 가지 음색을 가지고 있다.[1]
톤 번호 | 톤 이름 | 톤 등고선 | 설명 |
---|---|---|---|
1 | 음 핑(음) | ˥ (55) | 높은 |
2 | 양핑(양핑) | ˩˧ (13) | 특출한 저상승. |
2' | ci 양 핑(次陽平) | ˨˧ (23) | 낮은 상승 |
3 | 샹 현(上聲) | ˨˩ (21) | 낮은 |
5 | yin qu (陰去) | ˦˥ (45) | 높은 상승 |
5' | ci yin qu (次陰去) | ˧˥ (35) | 높은 상승 |
6 | yang qu (陽去) | ˧ (33) | 중앙의 |
진소우타운[10]
자음
양면성의 | 치조류의 | 치골격의 | 대정맥의 | 역행의 | 벨라르 | 라린게알 | ||
---|---|---|---|---|---|---|---|---|
콧대의 | m | n | ȵ | ŋ | ||||
쟁기질하다 | 목소리 있는 | b | d | ɡ | ||||
무성음의 자극받지 않은 | p | t | k | Ø 油 | ||||
무성음의 흡인된 | p | t | kʰ | |||||
냉담함 | 목소리 있는 | ɣ | ||||||
무성음의 | s | ɕ | ʂ | x | ||||
결속시키다 | 목소리 있는 | dz | dʑ | dʐ | ||||
무성음의 자극받지 않은 | ts | t | t | |||||
무성음의 흡인된 | tsʰ | t | t | |||||
측면의 근사치 | l |
위산타운
톤즈
톤 번호 | 톤 이름 | 톤 등고선 | 설명 |
---|---|---|---|
1 | 음 핑(음) | ˥ (55) | 높은 |
2 | 양핑(양핑) | ˩˧ (13) | 낮은 상승 |
3 | 샹 현(上聲) | ˨˩ (21) | 낮은 |
4 | yin qu (陰去) | ˦˥ (45) | 높은 상승 |
5 | yang qu (陽去) | ˨ (22) | 중앙의 |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d e f Coblin, W. South (2011). Comparative Phonology of the Central Xiāng Dialects. Taipei, Taiwan: Institute of Linguistics, Academia Sinica. ISBN 978-986-02-9803-1.
- ^ a b Crissman, Lawrence W. "Digital Language Atlas of China". Harvard Dataverse. hdl:1902.1/18939.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 ^ a b c Lavely, William; Berman, Lex. "Language Atlas of China". Harvard Dataverse. hdl:1902.1/19004.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 ^ Cao, Zhiyun; Liu, Xiaohai (14 December 2012). "The Introduction of Linguistic Atlas of Chinese Dialects". Papers from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sian Geolinguistics: 141–151. Retrieved 7 December 2018.
- ^ a b Wu, Yunji (2011). A Synchronic and Diachronic Study of the Grammar of the Chinese Xiang Dialects. De Gruyter Mouton. ISBN 9783110927481. Retrieved 7 December 2018.
- ^ Kurpaska, Maria (2010). Chinese Languages: A Look Through the Prism of the Great Dictionary of Modern Chinese Dialects (Trends in Linguistics. Studies and Monographs). De Gruyter Mouton. ISBN 9783110219142. Retrieved 7 December 2018.
- ^ Bao, Houxing; Chen, Hui (24 August 2005). "Xiangyu de Fenqu". Fangyan. 2005 (3): 261–270.
- ^ Li, Kang-cheng (July 2014). "Comparative Study Reviews of Chinese Dialects in Hunan in Recent Thirty Years". Journal of Hunan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Social Science Edition). 17 (4): 136–143. Retrieved 7 December 2018.
- ^ Chen, Hui; Bao, Houxing (March 2007). "Hunansheng de Hanyu Fangyan (Manuscript)". Fangyan: 250–259. Retrieved 10 December 2018.
- ^ a b c d e 文, 丹 (2004). 湖南宁乡与湘乡边界东段的方言状况. Changsha, China: Hunan Normal University. Retrieved 27 November 2018.
- ^ a b c Nakajima, Motoki (1990). Report on Xiang Dialects part 2. Tokyo: Tokyo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Research Institute for Languages and Cultures of Asia and Africa. ISBN 4-87297-025-X. Retrieved 21 November 2018.
- ^ a b Jiang, Junfeng (June 2006). A Phonological Study of Xiangxiang Dialect (PhD). Hunan Normal University. Retrieved 6 December 2018.
- ^ Xiandai Hanyu Cidian (6 ed.). Beijing: The Commercial Press. 2015. ISBN 978-7100084673.
- ^ a b Chao, Yuen Ren (1968). A Grammar of Spoken Chines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0520002199.
- ^ Cook, Richard S. "On the status of the curly-tail alveolo-palatal (舌面前)symbols" (PDF). STEDT. Department of Linguistics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Retrieved 3 December 2018.
참고 문헌 목록
- 湖南省地方志编纂委员会编 (2001). 湖南省志,第二十五卷,方言志,上册. 长沙: 湖南人民出版社.
- Li, Jialong (李加龙) (2017). Hànyǔ Fāngyán Diàochá 汉语方言调查. Beijing: The Commercial Press. ISBN 978-7-100-12869-8.
- "湖南方言中它最难懂 被称为"湖南的外国话"". 潇湘晨报. 3 April 2017. Retrieved 11 January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