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론어
Kulon language쿨론 | |
---|---|
네이티브: | 타이완 |
사멸된 | (날짜 누락) |
언어 코드 | |
ISO 639-3 | uun |
글로톨로지 | kulo1237 |
(핑크, 북서쪽)사이시야트, 파제, 쿨론. 일부 중국어권에서는 서북부의 백색 지역을 이 지도에 있는 작은 분홍색 원과는 반대로 쿨론 지역으로 지정하고 있다.[1] | |
쿨론(Culon, accashionally lended Kulun)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했던 대만 원주민들의 멸종된 언어다. Kulon에 대해서는 거의 자료가 없다; 주요 출처는 Tschida (1985년)의 60쪽이다.[2] 리(2008)는 쿨론과 사이시야트를 연결하는 데 있어서 쓰치다를 추종하는 반면 블러스트(1999)는 파제와[4] 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고 제안한다.[3]
참조
- ^ "Táiwān yuán zhùmín píngpǔ zúqún bǎinián fēnlèi shǐ xìliè dìtú" 臺灣原住民平埔族群百年分類史系列地圖 [A History of the Classification of Plains Taiwanese Tribes Over the Past Century]. blog.xuite.net (in Chinese). 6 August 2009. Retrieved 4 March 2017.
- ^ 쓰치다 시게루(1985) 쿨론: 그런데도 대만의 또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 민족학 연구소 게시판, 60: 1-59.
- ^ Li, Paul Jen-kuei (2008). "Time perspective of Formosan Aborigines". In Sanchez-Mazas, Alicia; Blench, Roger; Ross, Malcolm D.; Peiros, Ilia; Lin, Marie (eds.). Past human migrations in East Asia: matching archaeology, linguistics and genetics. London: Routledge. pp. 211–218.
- ^ Blust, Robert (1999). "Subgrouping, circularity and extinction: some issues in Austronesian comparative linguistics". In Zeitoun, E.; Li, P.J.K (eds.). Selected papers from the Eigh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stronesian Linguistics. Taipei: Academia Sinica. pp. 3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