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보르네오 주
North Borneo북보르네오 주 보르네오우타라 | |||||||||||||||||||
---|---|---|---|---|---|---|---|---|---|---|---|---|---|---|---|---|---|---|---|
1877–1942 1945–1946 | |||||||||||||||||||
모토: 라틴어: Pergo et[1] Perago (나는 인내하고 [1]성취한다) | |||||||||||||||||||
앤섬: | |||||||||||||||||||
상황 | 영국 보호령 | ||||||||||||||||||
자본의 | 쿠닷(1881-1884); 산다칸(1884년-1945년); 제셀턴 (1946) | ||||||||||||||||||
공통 언어 | 영어, 가다잔두순어, 바지우어, 무루트어, 사바말레이어, 중국어 등 | ||||||||||||||||||
정부 | 특허회사, 보호국 | ||||||||||||||||||
지사 | |||||||||||||||||||
• 1881–1887 | 윌리엄 후드 배신자 (최초) | ||||||||||||||||||
• 1937–1946 | 찰스 로버트 스미스(마지막) | ||||||||||||||||||
역사 시대 | 신제국주의 | ||||||||||||||||||
• 북보르네오 임시 협회 | 1881년 8월 26일 | ||||||||||||||||||
• 왕실의 인가 | 1881년 11월 1일 | ||||||||||||||||||
• 북보르네오 차터 회사 | 1882년 5월 | ||||||||||||||||||
• 프로텍터 | 1888년 5월 12일 | ||||||||||||||||||
• 일본 침략 일본 점령 | 1942년 1월 2일 | ||||||||||||||||||
• 동맹 해방 | 1945년 6월 10일 | ||||||||||||||||||
• 왕실 식민지에 양도됨 | 1946년 7월 15일 | ||||||||||||||||||
통화 | 북보르네오 달러 | ||||||||||||||||||
| |||||||||||||||||||
오늘의 일부 | 말레이시아 |
북보르네오(보통 영국령 북보르네오, 북보르네오)[2]는 보르네오 섬 북부에 있던 영국의 보호령이었다.북보르네오의 영토는 1877년과 1878년 브루나이 술탄국과 술루 술탄이 독일 태생의 오스트리아-헝가리 대표이자 사업가이자 외교관인 구스타프 오버벡에게 양보를 얻어 설립되었습니다.
오버벡은 1866년 이후 홍콩에 영토를 판촉한 미국인 상인 조셉 윌리엄 토리로부터 1876년 보르네오 서부 해안의 작은 땅을 매입했다.오버벡은 1879년에 퇴거하기 전에 모든 권리를 알프레드 덴트에게 양도했다.1881년 덴트는 이 영토를 관리하기 위해 북보르네오 임시협회를 설립했고, 같은 해에 왕실 인가를 받았다.이듬해, 임시 협회는 북보르네오 차터 회사로 대체되었다.왕실 헌장의 수여는 스페인과 네덜란드 당국 모두에게 걱정을 끼쳤고, 그 결과 스페인은 보르네오 북부의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1885년 스페인군이 필리핀 군도에 주둔하는 것을 인정하기 위해 마드리드 의정서로 알려진 의정서가 서명되었고, 그 대가로 보르네오 북부 너머에 스페인의 영향력의 명확한 경계를 설정하였다.다른 유럽 강대국들의 더 이상의 주장을 피하기 위해, 북보르네오는 1888년에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북보르네오는 수출용 목재를 생산했고 농업과 함께 이 산업은 보르네오에서 영국인들의 주요 경제 자원으로 남아있었다.인구가 너무 적기 때문에 영국은 홍콩과 중국에서 온 중국인 노동자들이 유럽 농장에서 일하고 일본 이민자들이 북보르네오의 경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이주 계획을 후원했다.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과 일본군의 도래로 영토가 군사정권에 편입되고 그 후 왕위 식민지로 지정되는 등 행정수호의 종식을 가져왔다.
역사
설립 및 초기 연도
북보르네오는 1877-1878년 브루나이 술탄국과 술루 술탄에서 오스트리아-독일 사업가이자 외교관인 구스타프 [3][4][5]오버벡에게 일련의 보르네오 북부 토지 양허를 통해 설립되었습니다.보르네오섬 서부 연안에 있는 전 미국 무역회사는 이미 오버벡으로 [6]넘어갔고, 그는 조셉 윌리엄 [7][8][9]토레이로부터 매입한 토지를 다시 얻기 위해 브루나이로 가야 했다.William Clark Cowie는 Overbeck가 [10][11][12]보르네오 동부 해안에 땅을 추가로 사도록 돕는 데 술루 술탄국의 가까운 친구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한편, 불룬간 술탄국의 영향력은 동부 남부 [13]해안의 타와우에도 도달했지만, 더 지배적인 술루 [14]술탄국의 영향 아래 놓였다.
보르네오 북부의 서부 및 동부 지역에서 넓은 토지를 임대하는 데 성공한 후, 오버벡은 오스트리아-헝가리 및 이탈리아와 그의 조국 독일에 영토를 홍보하기 위해 유럽으로 갔지만, 아무도 실질적인 [6][15]관심을 보이지 않았다.18세기 이후 극동의 무역로를 통제하려 했던 영국만이 이에 [16][17][18]응했다.영국인들의 관심은 1846년 [19][20][21]이후 라부안의 왕관 식민지에 존재함으로써 강화되었다.그 결과, 오버벡은 영국 덴트 형제(알프레드 덴트, 에드워드 덴트)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았고 영국 [5][17][22]정부로부터 외교적, 군사적 지원을 받았다.영국 측의 지원에 따라 영국 [3]정부의 허가 없이는 양도된 영토를 다른 당사자에게 팔거나 줄 수 없다는 조항이 조약에 포함되었다.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독일 정부의 관심을 끌지 못한 오버벡은 1879년에 철수했다; 술탄과의 그의 모든 조약 권리는 알프레드 덴트에게 넘어갔고, 덴트는 1881년 동포의 루더포드 알콕, 제독 헨리 케펠, 리처드 마르틴피, 비둘피라의 지원으로 북보르네오 임시협회를 결성했다.리차드 메인과 윌리엄 헨리 리드.[23][24][25]임시협회는 1881년 [6][26][27]11월 1일 빅토리아 여왕에게 왕실 헌장을 신청했다.초대 주지사로 [28]윌리엄 후드 배반이 임명되었고, 보르네오 북쪽 끝에 있는 쿠닷이 임시 협회 행정 [29][30]수도로 선택되었습니다.왕실 헌장의 수여는 영국이 그들의 [31]식민지의 위치를 위협할까봐 두려워했던 네덜란드인과 스페인인 모두를 걱정시켰다.
1882년 5월 임시협회는 새로 설립된 North Borneo Chartered Company로 대체되었고 Alcock은 초대 사장, Dent는 전무이사가 [32]되었다.정부는 영국의 영토 취득으로 간주되지 않고 단순히 다른 유럽 [33]강대국들에 의해 영토가 침해되는 것을 막기 위한 정부 지침을 가진 민간기업으로 간주되고 있다.배신 주지사 시절, 이 회사는 [34]브루나이 술탄국으로부터 서부 해안의 더 많은 영토를 얻었다.그 후 회사는 브루나이의 술탄으로부터 통치권과 영토권을 더 얻어 푸타탄 강(1884년 5월), 파다스 지역(1884년 11월), 카왕 강(1885년 2월), 만타나니 제도(1885년 4월) 및 기타 소국 파다스 영토(1988년 [note 1]3월)로 영토를 확장하였다.
집권 초기 보르네오 북부에서는 필리핀의 스페인 당국이 영유권을 주장했고, 산다칸 상공에 스페인 국기를 게양하려는 시도가 영국 [18]군함의 방해를 받았다.더 이상의 분쟁을 방지하고 보르네오섬 북부에 대한 스페인의 영유권 주장을 끝내기 위해 1885년 마드리드에서 영국, 독일, 스페인 사이에 마드리드 의정서로 알려진 협정이 체결되어 필리핀 [27][35]군도에 스페인의 주둔을 인정하였다.이 회사는 더 이상의 외교 [31]문제에 관여하기를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36][37] 1888년 5월 12일 북보르네오는 영국 보호령이 되었다.1890년, 라부안의 크라운 식민지는 1904년 [38]영국 정부 직할 통치로 돌아오기 전에 북보르네오의 행정에 통합되었습니다.1894년부터 1900년까지 Mat Salleh와 [39]Antanum에 의해 1915년에 여러 지역 반란이 있었다.제1차 세계대전은 영토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40] 전후에는 벌목 사업이 성장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과 쇠퇴
제2차 세계 대전 때, 1941년 12월 16일 일본군이 석유 [41]공급을 확보하기 위해 미리와 세리아에 무차별 상륙하면서 보르네오 섬에 대한 일본의 침략이 시작되었다.1942년 1월 1일 일본 해군은 반대하지 않고 라부안에 [42]상륙했다.다음날인 1942년 1월 2일, 일본군은 북보르네오 영토의 멤파쿨에 상륙했다.제셀튼의 총책임자와 항복에 대한 협상 후, 그들이 병력 증원을 기다리는 동안, 제셀튼은 1월 8일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었다.또 다른 강력한 일본군 파견대가 민다나오에서 도착하여 1월 17일 산다칸으로 가기 전에 [43]타라칸 섬에 상륙하기 시작했다.일본의 도착은 강한 저항 없이 맞닥뜨렸다. 왜냐하면 보호국은 주로 영국 해군에 방어를 의존했기 때문이다.북보르네오에는 경찰력이 있지만, 그들만의 군대나 [44]해군은 없었다.1월 말까지 북보르네오는 [45]일본군에 의해 완전히 점령되었다.대일본제국의 일부로 관리되었고, 그 회사의 임원들은 일본의 [46]감독하에 계속 행정을 할 수 있었다.
일본군의 보르네오 도착과 영일 동맹의 몰락은 이미 비밀 전보를 통해 일본 선박들이 정기적으로 제셀톤에 [47]정박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냄으로써 예견되었다.말라야와 싱가포르가 함락된 후 생포된 많은 영국과 호주 병사들은 북보르네오로 끌려가 산다칸 수용소에 포로(POW)로 잡혀 있다.그 후 그들은 산다칸에서 [48][49]라나우까지 행군해야 했다.다른 포로들도 인근 사라왁의 바투린탕 수용소로 보내졌다.이 점령은 전쟁 [50]기간 동안 식량을 찾고 잔혹성을 피해 해안 지역 주민들을 내륙으로 몰아넣었고, 이로 인해 여러 저항 운동이 생겨났다. 알버트 궈크가 이끌고 [51][52]보르네오 북부의 원주민 단체들에 의해 지지된 키나발루 게릴라 운동으로 알려진 운동들 중 하나이다.
동쪽의 영토를 되찾기 위한 연합군의 캠페인의 일환으로, 연합군은 보르네오 해방을 위한 보르네오 작전 하에 보르네오에 배치되었다.호주 제국군([53]AIF)은 보르네오 [54]동부와 서부를 확보하기 위해 타라칸 섬과 라부안 섬에 파병되는 등 임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연합군 Z 특수부대는 AIF [54]상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일본군의 정보 수집과 다른 정보를 제공했고, 미국 잠수함은 호주 특공대를 [55]보르네오로 수송하는 데 사용되었다.북보르네오의 대부분의 주요 도시들은 이 [56]기간 동안 많은 폭격을 받았다.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으로 전쟁이 끝나고 [57]9월부터 영국 군사청이 북보르네오의 관리를 맡았다.회사의 공식 행정은 영토의 관리를 위해 돌아왔지만, 전쟁 후 재건 비용을 조달할 수 없었기 때문에 [1][58][59]1946년 7월 15일 보호령의 관리를 영국 식민지 정부에 이양하였다.
정부
차터드 컴퍼니의 행정체계는 표준적인 영국 식민지 제국의 행정구조를 기반으로 하며, 토지는 거주지로 분할되고 구역으로 분할되었다.처음에는 2개의 레지던스만 있었습니다.동부 해안과 서부 해안, Sandakan과 Jeselton에 각각 거점을 두고 있습니다.각 레지던스는 나중에 디스트릭트로 알려진 디스트릭트로 나뉘었고 디스트릭트는 디스트릭트에 의해 운영되었다.1922년까지 개발을 위해 개방된 새로운 지역을 수용하기 위한 5개의 거주지가 있었다.이들은 서해안, 쿠닷, 타와우, 내무 및 동해안 거주지였습니다.이 주택들은 차례로 17개의 구역으로 나뉘었다.이 제도 하에서, 영국은 최고 직책을 맡았고, 원주민 추장은 민중들을 풀뿌리 수준에서 관리했다.이는 간접통치를 심어주기 위한 영국인들의 의식적인 시도가 아니라 현지 관습과 [citation needed]정치에 익숙하지 않은 구청 공무원들을 위한 편리한 조치였다.
회사 경영진은 해적과 부족간 불화가 만연했던 북보르네오에 평화를 되찾아 경제 성장의 기반을 마련했다.그것은 노예제도를 폐지하고 사람들을 위한 교통, 보건, 교육 서비스를 설립했으며 원주민들이 그들의 전통적인 생활 [60]방식을 지속할 수 있도록 했다.1883년 영국령 북보르네오 경찰대는 유럽인 3명, 인도인 50명(펀자비족과 파슈툰족), 다야크족 30명, 소말리아인 50명, 말레이시아인 [61]20명으로 구성됐다.경찰들은 일주일에 [62]평균 3일씩 창고에서 훈련을 받았습니다.1884년에는 총 176명의 [61]대원이 있었는데, 3년 [62]동안 약 510명으로 증가하였다.보호령 하에서는 국제관계가 영국 정부의 관할 하에 놓였고, 내부적으로 북보르네오는 영국의 [2]보호를 받는 독립국가로서 북보르네오 차터 회사에 의해 통치되었다.1888년 5월 12일 체결된 조약은 다음과 같이 규정되었다.
영국 정부와 영국 북보르네오 회사 간의 영국 보호국 설립 협정 - 1888년 5월[2] 12일 런던에서 서명
I. 북보르네오 주는 해당 왕실 헌장에 명시된 영역 및 회사가 해당 헌장 제15조의 규정에 따라 취득했거나 취득할 수 있는 기타 영역을 포함한다.
9개의 주로 나누어져 있다. 즉, 다음과 같다.
- 앨콕 주
- Cunlife 주
- 덴트 주
- 듀허스트 주
- 엘핀스톤 주
- 케펠 주
- 마틴 주
- 메인 주
- 마이버그 주
II. 북보르네오 주는 영국의 보호 하에 해당 헌장의 규정에 따라 회사에 의해 계속 독립국으로서 통치 및 관리된다.다만, 그러한 보호는 여왕의 정부에 국가의 내부 행정에 더 이상 간섭할 권리를 부여하지 않는다.n은 본 계약서 또는 회사 헌장에 의해 규정됩니다.
III. 북보르네오주와 브루나이 및 사라왁주를 포함한 모든 외국과의 관계는 여왕폐하 정부에 의해 또는 그 지시에 따라 이루어진다.또, 북보르네오 정부와 기타 국가 대표로서 회사가 다른 국가와의 관계에 차이가 생겼을 경우, 동국은 동국을 대표한다.북보르네오 주의 e는 여왕 폐하의 결정을 준수하고 이를 발효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을 취하기로 동의합니다.
IV. 여왕의 정부는 해당 영토의 어느 부분에나 영국 영사관을 설치할 권리를 가진다.영사관은 북보르네오 정부의 명의로 파견된다.영사관은 통상 영사관에게 주어지는 모든 특권을 누리며, 영국 국기를 그들의 주거지와 관공서에 게양할 권리를 갖는다.
(5) 영국 국적, 통상 및 해운은 북보르네오의 국적, 통상 및 해운이 누릴 수 있는 기타 권리, 특권 및 이익과 마찬가지로 최혜국가의 국적, 통상 및 해운과 동일한 권리를 가진다.
VI. 북보르네오주 영토의 일부에 대한 양도 및 기타 양도는 국왕 정부의 동의 없이 정부가 외국, 피지배인 또는 그 시민에 대해 할 수 없다.다만, 이 제한은 개인에 대한 토지 또는 주택의 통상적인 인가, 임대에는 적용되지 않는다.주거, 농업, 상업 또는 기타 사업의 요지
경제.
영국 통치하에서 계획적인 경제 활동이 시작되면서 북보르네오 당국은 농업용 토지를 개방하기 시작했고, 토지의 권리도 [63][64]형성되기 시작했다.그러나 정부는 원주민 인구가 너무 적고 현대 발전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홍콩과 [65][66]중국에서 중국인 노동자들의 이주를 위한 다양한 계획을 후원하기 시작했다.1882년 북보르네오 당국은 [67]노동력을 제공함으로써 더 많은 사업가들이 북보르네오에 투자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월터 헨리 메드허스트를 중국 이민국장으로 임명했다.메드허스트의 노력은 비용이 많이 들었고 실패했지만, 계획의 일부가 아닌 하카족은 [67]농업 공동체를 형성한 북보르네오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18세기 이후 담배는 북보르네오에서 가장 중요한 재배 [68]산업이었다.보르네오 북부의 벌목 역사는 1870년대 [69]이후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1890년대부터 경목 [40]수출은 [70]증가하였고, 특히 전후 기간 동안 벌목이 확대되었다.1900년대에 북보르네오는 고무 붐에 합류했다.북보르네오 철도의 완공은 서부 해안의 주요 항구로 자원을 수송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1915년까지, 중국과 북보르네오의 작은 밭들 외에 약 34,828 에이커(14,094 헥타르)의 땅에 고무나무가 [67]심어졌다.같은 해 아일머 카벤디시 피어슨 보르네오 북부 주지사는 일본 이민자들을 현지 경제활동에 참여하도록 초청했다.일본 정부는 이 요청을 따뜻하게 받아들여 잠재적인 경제적 기회를 [71]찾기 위해 연구자들을 파견했다.
일본은 쌀 수입에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초기에 농부들에게 북보르네오로 쌀을 재배하도록 장려했다.일본 측의 경제적 관심이 높아지자 이들은 북보르네오 [71]정부가 소유한 고무단지를 매입했다.1937년까지 북보르네오는 178,000입방미터의 목재를 수출하여 85,000입방미터의 [70]목재를 수출하는 시암을 능가하였다.민간 소유의 일본 부동산과 기업들 중 많은 수가 영국의 [72]초청을 받아 북보르네오의 경제 분야에 관여해 왔다.일본인의 투자가 증가함에 따라 많은 일본인도 가족과 함께 북보르네오 동부 해안, 주로 타와우,[73] 쿠나크로 이주하고 있다.
통화
북보르네오의 원래 화폐 단위는 멕시코 달러로 100센트와 같다.달러는 나중에 스트레이츠 달러와 일치했고 9 스트레이츠 달러([74]당시 5달러와 동일)로 평가되었다.키나발루 산이나 회사 [75]무기를 배경으로 한 다른 지폐가 행정부 전체에서 발행되었다.
사회의
인구통계학
1881년,[65] 60,000명에서 100,000명의 원주민들이 북 보르네오에 살았다.해안의 사람들은 주로 이슬람교도들이었고 원주민들은 대부분 [74]내륙에 위치해 있었다.카다잔-두순족과 무루트는 내륙에서 가장 큰 원주민 집단이었고, 바자우족, 브루나이족, 이라눈족, 케다얀족, 술루크족이 해안 지역을 [76]지배했다.영국이 시작한 다양한 이민 계획에 따라, 인구는 1920년 [77]200,000명, [74]1930년 257,804명, [62]1935년 285,000명,[78] 1945년 331,000명으로 증가하였다.회사 지배하에 북보르네오 정부는 경제 [79]부문의 인력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중국인 근로자뿐 아니라 일본인 이민자까지 고용했다.1911년부터 1951년까지, 총 중국인 수는 27,801명에서 74,374명으로 증가했는데, 이는 객가 (44,505명), 광둥어 (11,833명), 호킨 (7,336명), 티취 (3,948명), 하이람 (3,571명), 그리고 다른 중국인 (181명)[80]으로 나뉘어져 있다.
공공 서비스 인프라스트럭처
북보르네오는 싱가포르-홍콩 해저 케이블에 라부안 섬에서 메넘복 섬까지 연결되었다.보르네오 본토에서 런던으로의 첫 메시지는 1894년 5월 19일에 발송되었다.며칠 후 서해안에서 산다칸으로 가는 전신선 공사가 시작되었다.이 선을 거의 사람이 살지 않는 내륙 지역을 통과하는데 3년이 걸렸고, 1897년 4월 7일 런던 이사회에 전달하기 위해 산타칸 주지사가 보낸 축하 메시지가 산타칸에서 라부안으로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1910년대 초 전신 회선의 기술적, 재정적 문제로 인해 회사는 독일 텔레펑켄 회사의 퀀치-스파크 시스템을 기반으로 무선 네트워크 구축에 도전하게 되었습니다.이 네트워크의 1단계는 산다칸, 제셀톤, 타와우, 쿠닷의 역으로 구성되었다.최초의 무선 통신은 1913년 10월 24일 필리핀 제도의 영국령 북보르네오와 졸로 사이에 설립되었다.내륙 통신은 1914년 1월 14일 산다칸과 제셀튼 [81][page needed]사이에 이루어졌다.
북보르네오 철도는 1914년 8월 1일 서해안 [82]지역사회의 주요 교통시설로 일반에 개통되었다.우편 서비스 또한 [83]행정부 내내 이용할 수 있었다.
미디어
왕립 아시아 학회 저널 (1820년 이후)과 영국 북 보르네오 헤럴드 (1883년 이후)는 영국 행정부 이전과 기간 동안 북 보르네오에 관한 상당한 양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 ^ 평의회에서 조약, 약속 및 브리타닉 폐하의 명령을 참조하십시오.
각주
- ^ a b c 대영제국. 1956년 식민지청, 6페이지
- ^ a b c 대영제국. 외무성 1888쪽 238쪽
- ^ a b 프라이어 2001, 페이지 11
- ^ 라이트 1988, 페이지 107
- ^ a b 둘리틀 2011, 32페이지
- ^ a b c 우이 2004, 페이지 265
- ^ 프라이어 2001, 페이지 10
- ^ 라이트 1988, 페이지 143
- ^ Saunders 2013, 87페이지
- ^ 2017년 페이지 61을 누릅니다.
- ^ 대영제국. 1958년 식민지청, 페이지 164
- ^ 크라토스카 2001, 페이지 282
- ^ 트로스트 1998, 페이지 234
- ^ 2010년 마젠다, 페이지 42
- ^ 2017년 페이지 150을 누릅니다.
- ^ 2013년 프라이, 페이지 15
- ^ a b 피츠제럴드 2016, 페이지 70
- ^ a b Barbara Watson & Leonard Y 2016, 193페이지
- ^ 홍콩일보신문사 1912년, 1504쪽.
- ^ 웹스터 1998, 130페이지
- ^ McCord & Purdue 2007, 페이지 220.
- ^ 웹스터 1998, 200페이지
- ^ 1886년 영국 북보르네오 차터 회사, 페이지 113.
- ^ Hilton & Tate 1966, 82페이지
- ^ 드 비엔 2015, 페이지 85
- ^ 둘리틀 2011, 페이지 173
- ^ a b 올슨 1991, 페이지 92
- ^ Tregonning 1965, 13페이지
- ^ 대영제국. 1958년 식민지청, 172쪽
- ^ 1965년, 페이지 25
- ^ a b Olson & Shadle 1996, 페이지 192
- ^ 웰먼 2017, 페이지 163
- ^ 프라이어 2001, 12페이지
- ^ 라이트 1988, 페이지 185
- ^ 체임버 1950년 페이지 448
- ^ 2012년 달호프, 페이지 1133
- ^ 팬튼 2015, 페이지 90
- ^ Olson & Shadle 1996, 페이지 645
- ^ 웰먼 2017, 페이지 153
- ^ a b 존스 2013, 페이지 12
- ^ 전쟁정보전보 호주 고등판무관 1942년 1월 2일, CO968/9/6, 페이지 95.
- ^ Tregonning 1967, 페이지 216. 오류: : 1967 (
- ^ 로트만 2002, 페이지 206
- ^ Tregonning 1960, 14페이지
- ^ 1991년 선, 193페이지
- ^ 에반스 2012, 페이지 16
- ^ 사야&타카시 1993, 54쪽
- ^ 1996년 비커스테스 & 힌튼, 19페이지
- ^ Braithwaite 2016, 347페이지
- ^ 임 2008, 페이지 36
- ^ 에반스 1990, 페이지 50
- ^ Kratoska 2013, 페이지 124
- ^ 2010년 오이, 페이지 201
- ^ a b 하이만 1998, 페이지 174
- ^ Feuer 2005, 페이지 27
- ^ 2013년 오이, 페이지 77
- ^ 2010년 오이, 페이지 208
- ^ 옥스포드 비즈니스 2011, 13페이지
- ^ 웰먼 2017, 페이지 159
- ^ Skutsch 2013, 679페이지
- ^ a b 애덤스 1929, 310페이지
- ^ a b c 노스웨스턴 대학교 1935, 페이지 28
- ^ 클리어리 1992, 페이지 170
- ^ Colchester 2011, 페이지 87
- ^ a b 대니 1999, 페이지 134
- ^ 워디 2016.
- ^ a b c 탈링 2003, 페이지 215
- ^ 존 & 잭슨 1973, 88페이지
- ^ Ibbotson 2014, 페이지 116
- ^ a b 딕슨 1991, 페이지 107
- ^ a b 아카시 & 요시무라 2008, 23페이지
- ^ 로버트슨 1979, 64페이지
- ^ 사바 박물관 및 국가 기록 보관부 1986, 페이지 16-22.
- ^ a b c 차선 2010, 페이지 51
- ^ 저드킨스 2016, 페이지 149
- ^ Herb & Kaplan 2008, 페이지 1215
- ^ Hose, McDougall & Haddon 1912, 페이지 28.
- ^ 비노그라도프 1980, 페이지 73
- ^ 2016년 주드
- ^ 開 2013, 2013, 페이지 67
- ^ 아라나스 2018.
- ^ 라지은 2017.
- ^ 암스트롱 1920, 32페이지
레퍼런스
- British North Borneo Chartered Company (1886). Handbook of British North Borneo. W. Clowes & Sons, Limited.
- Great Britain. Foreign Office (1888). British and Foreign State Papers. H.M. Stationery Office.
- Hong Kong Daily Press Office (1912). The Directory & Chronicle for China, Japan, Corea, Indo-China, Straits Settlements, Malay States, Sian, Netherlands India, Borneo, the Philippines, &c: With which are Incorporated "The China Directory" and "The Hong Kong List for the Far East" ... Hong Kong Daily Press Office.
- Hose, Charles; McDougall, William; Haddon, Alfred Cort (1912). The pagan tribes of Borneo: a description of their physical, moral and intellectual condition, with some discussion of their ethnic relations. Macmillan and co., limited.
- Armstrong, Douglas Brawn (1920). British & colonial postage stamps: a guide to the collection and appreciation of the adhesive postal issues of the British empire. Methuen.
- Adams, W. C. (1929). "The Constabulary of North Borneo". The Police Journal: Theory, Practice and Principles. SAGE Publications. 2 (2): 310–315. doi:10.1177/0032258X2900200211. S2CID 149341169.
- Northwestern University (1935).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etc. (Colonies, Protectorates and Mandated Territories)" (PDF). Northwestern University.
{{cite journal}}
:Cite 저널 요구 사항journal=
(도움말) - Chamber's (1950). Chamber's encyclopaedia. Vol. 2. G. Newnes.
- Great Britain. Colonial Office (1956). Annual Report on North Borneo. H.M. Stationery Office.
- Great Britain. Colonial Office (1958). Annual Report on North Borneo. H.M. Stationery Office.
- Tregonning, K. G. (1960). North Borneo. H.M. Stationery Office.
- Baker, Michael H. (1962). North Borneo: The First Ten Years 1946–1956. Malaya Publishing House.
- Tregonning, K. G. (1965). A History of Modern Sabah (North Borneo, 1881–1963). University of Singapore.
treacher.
- Yong, Leng Lee (1965). North Borneo (Sabah): A Study in Settlement Geography. Eastern Universities Press.
- Hilton, P. B.; Tate, Donna J. (1966). The modern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 John, David W.; Jackson, James C. (1973). "The Tobacco Industry of North Borneo: A Distinctive Form of Plantation Agriculture". Journal of Southeast Asian Studies. 4 (1): 88–106. doi:10.1017/S002246340001643X.
- Robertson, Eric (1979). The Japanese File: Pre-war Japanese Penetration in Southeast Asia. Heinemann Asia.
- Vinogradov, A.G. (1980). The population of the countries of the world from most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days: Demography. WP IPGEB. GGKEY:CPA09LBD5WN.
- Sabah Museum and State Archives Department (1986). Sabah Museum and Archives Journal. Sabah Museum and State Archives Department.
- Wright, Leigh R. (1988). The Origins of British Borneo. Hong Kong University Press. ISBN 978-962-209-213-6.
- Evans, Stephen R. (1990). Sabah (North Borneo): Under the Rising Sun Government. Tropical Press.
- Olson, James Stuart (1991).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Imperialism. Greenwood Publishing Group. ISBN 978-0-313-26257-9.
- Dixon, Chris (1991). South East Asia in the World-Economy.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31237-0.
- Lines, William J. (1991). Taming the Great South Land: A History of the Conquest of Nature in Austral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07830-7.
- Cleary, M. C. (1992). "Plantation Agriculture and the Formulation of Native Land Rights in British North Borneo c. 1880-1930". The Geographical Journal. 158 (2): 170–181. doi:10.2307/3059786. JSTOR 3059786.
- Saya, Shiraishi; Takashi, Shiraishi (1993). The Japanese in Colonial Southeast Asia. SEAP Publications. ISBN 978-0-87727-402-5.
- Olson, James Stuart; Shadle, Robert (1996).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ritish Empire. Greenwood Publishing Group. ISBN 978-0-313-29366-5.
- Bickersteth, Jane; Hinton, Amanda (1996). Malaysia & Singapore Handbook. Footprint Handbooks. ISBN 978-0-8442-4909-4.
- Heimann, Judith M. (1998). The Most Offending Soul Alive: Tom Harrisson and His Remarkable Life.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2199-9.
- Webster, Anthony (1998). Gentleman Capitalists: British Imperialism in Southeast Asia 1770-1890. I.B.Tauris. ISBN 978-1-86064-171-8.
- Trost, R. Haller (1998). The Contested Maritime and Territorial Boundaries of Malaysia: An International Law Perspective. Kluwer Law International. ISBN 978-90-411-9652-1.
- Danny, Wong Tze-Ken (1999). "Chinese Migration to Sabah Before the Second World War". Archipel. Persée. 58 (3): 131–158. doi:10.3406/arch.1999.3538.
- Pryer, Ada (2001). A Decade in Borneo. A&C Black. ISBN 978-0-7185-0197-6.
- Kratoska, Paul H. (2001). South East Asia, Colonial History: Empire-building in the nineteenth century. Taylor & Francis. ISBN 978-0-415-21541-1.
- Rottman, Gordon L. (2002). World War II Pacific Island Guide: A Geo-military Study. Greenwood Publishing Group. ISBN 978-0-313-31395-0.
- Tarling, Nicholas (2003). Imperialism in Southeast Asia. Routledge. ISBN 978-1-134-57082-9.
- Ooi, Keat Gin (2004). Southeast Asia: A Historical Encyclopedia, from Angkor Wat to East Timor. ABC-CLIO. ISBN 978-1-57607-770-2.
- Feuer, A. B. (2005). Australian Commandos: Their Secret War Against the Japanese in World War II. Stackpole Books. ISBN 978-0-8117-3294-9.
- McCord, Norman; Purdue, Bill (2007). British History 1815-1914. OUP Oxford. ISBN 978-0-19-926164-2.
- Herb, Guntram H.; Kaplan, David H. (2008). Nations and Nationalism: A Global Historical Overview [4 volumes]: A Global Historical Overview. ABC-CLIO. ISBN 978-1-85109-908-5.
- Lim, Regina (2008). Federal-state Relations in Sabah, Malaysia: The Berjaya Administration, 1976–85.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ISBN 978-981-230-812-2.
- Akashi, Yōji; Yoshimura, Mako (2008). New Perspectives on the Japanese Occupation in Malaya and Singapore, 1941-1945. NUS Press. ISBN 978-9971-69-299-5.
- Magenda, Burhan Djabier (2010). East Kalimantan: The Decline of a Commercial Aristocracy. Equinox Publishing. ISBN 978-602-8397-21-6.
- Ooi, Keat Gin (2010). The Japanese Occupation of Borneo, 1941-45. Routledge. ISBN 978-1-136-96309-4.
- Lane, Roger Dewardt (2010). Encyclopedia Small Silver Coins. Roger deWardt Lane. ISBN 978-0-615-24479-2.
- Doolittle, Amity A. (2011). Property and Politics in Sabah, Malaysia: Native Struggles Over Land Right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ISBN 978-0-295-80116-2.
- Colchester, Marcus (2011). Divers Paths to Justice: Legal Pluralism and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in Southeast Asia. Forest Peoples Programme. ISBN 978-616-90611-7-5.
- Oxford Business (2011). The Report: Sabah. Oxford Business Group. ISBN 978-1-907065-36-1.
- Dahlhoff, Guenther (2012). Bibliographic Set (2 Vol Set).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Digest of Judgments and Advisory Opinions, Canon and Case Law 1946 - 2011. Martinus Nijhoff Publishers. ISBN 978-90-04-23062-0.
- Evans, I. H. N. (2012). The Religion of the Tempasuk Dusuns of North Borneo.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07-64603-2.
- Skutsch, Carl (2013). Encyclopedia of the World's Minorities. Routledge. ISBN 978-1-135-19388-1.
- Jones, Geoffrey G (2013). The Multinational Traders. Routledge. ISBN 978-1-134-68001-6.
- Saunders, Graham (2013). A History of Brunei. Routledge. ISBN 978-1-136-87394-2.
- Fry, Howard T. (2013). Alexander Dalrymple and the Expansion of British Trade. Taylor & Francis. ISBN 978-1-136-60694-6.
- Ooi, Keat Gin (2013). Post-war Borneo, 1945-50: Nationalism, Empire and State-Building. Routledge. ISBN 978-1-134-05803-7.
- 林開忠 (2013). 客居他鄉-東南亞客家族群的生活與文化 [Living in a hometown - the life and culture of the Southeast Asian Hakka family]. 客家委員會客家文化發展中心 [Hakka Committee, Hakka Cultural Development Centre]. ISBN 978-986-03-7668-5.
- Kratoska, Paul H. (2013). Southeast Asian Minorities in the Wartime Japanese Empire. Routledge. ISBN 978-1-136-12506-5.
- Ibbotson, Ross (2014). "The History of Logging in North Borneo". 87 (2): 116–118. doi:10.1353/ras.2014.0011. S2CID 160334993.
{{cite journal}}
:Cite 저널 요구 사항journal=
(도움말) - Panton, Kenneth J. (2015).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ritish Empir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SBN 978-0-8108-7524-1.
- de Vienne, Marie-Sybille (2015). Brunei: From the Age of Commerce to the 21st Century. NUS Press. ISBN 978-9971-69-818-8.
- Barbara Watson, Andaya; Leonard Y, Andaya (2016). A History of Malaysia. Palgrave Macmillan. ISBN 978-1-137-60515-3.
- Judkins, Maggie (2016). Standard Catalog of World Paper Money, General Issues, 1368-1960. F+W Media, Inc. ISBN 978-1-4402-4707-1.
- Jude, Marcel (2016). "Japanese community in North Borneo long before World War II". The Borneo Post. PressReader.
- Epstein, Mortimer (2016). The Statesman's Year-Book: Statistical and Historical Annual of the States of the World for the Year 1943. Springer. ISBN 978-0-230-27072-5.
- Braithwaite, Richard Wallace (2016). Fighting Monsters: An Intimate History of the Sandakan Tragedy. Australian Scholarly Publishing. ISBN 978-1-925333-76-3.
- Fitzgerald, Robert (2016). The Rise of the Global Company: Multinationals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84974-6.
- Wordie, Jason (2016). "From settlers to snorkelling, Hong Kong has long had links to Sabah". South China Morning Po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July 2017.
- Welman, Frans (2017). Borneo Trilogy Volume 1: Sabah. Booksmango. ISBN 978-616-245-078-5.
- Lajiun, Jenne (2017). "Sabah's first railway station proposed as historical heritage site". The Borneo Po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July 2017.
- Press, Steven (2017). Rogue Empires: Contracts and Conmen in Europe's Scramble for Africa.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97185-1.
- Aranas, Uwe (2018). The History of Wireless Telegraphy in British North Borneo. Department of Sabah Museum, Kota Kinabalu, Sabah, Malaysia. ISBN 978-983-9638356.
추가 정보
- Keppel, Henry; Brooke, James; WalterKeating, Kelly (1847). "The expedition to Borneo of H.M.S. Dido for the suppression of piracy : with extracts from the journal of James Brooke, Esq., of Sarawak". University of California Libraries. London : Chapman and Hall. p. 347.
- British North Borneo Chartered Company (1878). "British North Borneo company charter". Cornell University Library. [S.l. : s.n. p. 32.
- Daly, D. D. (1888). "Explorations in British North Borneo, 1883–87". Proceedings of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Wiley on behalf of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with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10 (1): 1–24. doi:10.2307/1801441. JSTOR 1801441.
- Mayne, R. C. (1888). "Summary of Explorations in British North Borneo". Proceedings of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Wiley on behalf of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with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10 (3): 134–146. doi:10.2307/1800783. JSTOR 1800783.
- Treacher, W. H (1891). "British Borneo: sketches of Brunai, Sarawak, Labuan, and North Borneo". University of California Libraries. Singapore, Govt. print. dept. p. 190.
- Roth, Henry Ling; Low, Hugh Brooke (1896). "The natives of Sarawak and British North Borneo; based chiefly on the mss. of the late H. B. Low, Sarawak government service". University of Michigan Library. London, Truslove & Hanson. p. 503.
- British North Borneo Chartered Company (1899). "Views of British North Borneo : with a brief history of the colony, compiled from official records and other sources of information of an authentic nature, with trade returns, &c., showing the progress and development of the chartered company's territory to the latest date ." Cornell University Library. London : Printed by W. Brown & Co., Ltd. p. 76.
- Rutter, Owen (1922). "British North Borneo : an account of its history, resources, and native tribes". Cornell University Library. London : Constable & Co. Ltd. p. 496.
외부 링크
- 북보르네오 역사학회 – 북보르네오 유산에 대한 자세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