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우슈족

Tausūg people
타우슈족
타우 수그
تَو سُوگْ (타우수그)
천달레이 춤을 추는 타우수그 여성.
총인구
c. 230만
인구가 많은 지역
필리핀 1,615,823[1]
(방사모로, 다바오 지역, 북부 민다나오, 잠보앙가 반도, 팔라완, 마닐라, 세부)
말레이시아 70만[2]
(사바 북동부, 라부안, 셀랑고르, 쿠알라룸푸르, 조호르)
인도네시아 71,000
(북칼리만탄)
브루나이
언어들
타우쑤그, 세부아노, 타갈로그어, 영어,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
종교
수니파가 지배적인 이슬람교
관련 민족
비자얀족, 부투아논족, 모로족, 필리핀인, 말레이시아인 및 기타 오스트로네시아인

The Tausūg (Tausug: 타우 수그(Tau Sug)는 필리핀말레이시아의 민족입니다. 인도네시아 북칼리만탄의 북쪽 지역에서도 적은 개체수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타우수그족은 서부 민다나오, 술루 군도, 남부 팔라완무슬림 필리핀인들의 더 넓은 정치적 정체성의 일부이며, 이들을 총칭하여 모로족이라고 합니다. 타우수그족은 원래 술루 술탄국으로 알려진 독립 국가로, 한때 현재의 바실란, 팔라완, 술루, 타위-타위, 잠보앙가시, 북칼리만탄말레이시아 사바주(옛 북보르네오)의 동부 지역에 주권을 행사했습니다. 그들은 말레이어술룩이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어원

"Tausug" (Tausug: 타우 수그(Tau Sug)는 "해류의 사람들"을 의미하며, "사람" 또는 "사람"을 의미하는 타우(tau)와 "해류"를 의미하는 수그(sug)를 의미하며,[3] 술루 군도에 있는 그들의 고향을 의미합니다. Sugsulug는 둘 다 같은 의미를 갖는데, 전자는 후자의 Sulu에서 음성학적 진화를 의미합니다(L이 떨어져 두 개의 짧은 U가 하나의 긴 U로 합쳐집니다). 사바의 타우족들은 자신들을 타우족이라고 부르지만, 사바의 공식적인 정부 기록에서 "술룩"(말레이어로 마지막 "k"는 글로탈 스톱)이라고 불립니다.

역사

이슬람 이전 시대

13세기 동안 타우수그 민족은 민다나오 북동부의 고향에서 오늘날 잠보앙가술루 군도로 이주하기 시작했습니다. 윌리엄 스콧(William Scott, 1994)은 타우수그족을 남쪽으로 이주하여 술루에 향신료 무역항을 설립한 부투안 라자나테 출신의 고대 부투안족수리가오논족의 후손이라고 부릅니다. 1600년에 통치했던 술탄 바타라 텐가는 부투안 출신이었다고 합니다.[4] 타우수그어족의 부투아논-수리가오논 어원은 부투아논어, 수리가오논어, 타우수그어족이 모두 남비사얀족 하위 어군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그들 언어의 관계에 의해 제안됩니다. 따라서 타우수그어는 부투아논어와 같은 남부 비사야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부투아논어는 오늘날까지도 민다나오 북동부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5]

술탄국이 세워지기 전에 타우수그는 반와(banwa)라고 불리는 공동체에 살았습니다. 각 반와는 만군구밧이라는 무당과 함께 팡리마라는 지도자가 이끌었습니다. 무당은 남자일 수도 있고 여자일 수도 있습니다. 각각의 반와는 아시아의 다른 도시 국가들처럼 독립적인 국가로 여겨졌습니다. 그 시대의 타우수그는 이웃한 타우수그반와스, 바실란야칸족, 유목민 사마-바자우와 무역 관계를 맺었습니다.

타우수그족은 14세기에 이슬람화되어 15세기에 술루 술탄국을 세웠고,[6][7] 결국 술루 군도의 지역 사마-바자우족을 지배했습니다.

술탄국 시대

19세기 후반 술루 술탄국의 국기.
필리핀 제도의 술루 족장들(c. 1899).

1380년 아샤리 아케에다와 샤피 마드하브의 무슬림 선교사인 수니파 수피파 학자 카림울 막둠(Karim-ul Makhdum)이 술루에 도착했습니다. 그는 이슬람 신앙을 소개하고 죽을 때까지 시무눌의 투비그 인단간에 정착했습니다. 그가 투빅-인단간에 세운 모스크의 기둥은 아직도 서 있습니다. 1390년, 라자 바긴다 알리는 부안사에 상륙했고, 막둠의 선교를 연장했습니다. 조호르 태생의 아랍 모험가 세이이드 아부바카르 아비린은 1450년에 도착했고 바긴다의 딸 다양다양 파라미술리와 결혼했습니다. 라자 바긴다가 죽은 후, 사이이드 아부바카르는 술탄이 되었고, 술탄국을 정치 체제(술루 술탄국)로 도입했습니다. 파랑, 판술, 라티, 기퉁, 루크에 정치적 지역구가 만들어졌고, 각각 팡리마 또는 구청장이 이끌었습니다. 수니파 수피파 학자 사이이드 아부바카르가 죽은 뒤 술루에는 이미 술탄 체제가 잘 갖춰진 상태였습니다. 스페인 사람들이 오기 전에, 술루의 민족들 - 타우수그족, 사말족, 야칸족, 바자우족 - 은 수니파 이슬람교에 이어 술루 술탄국 하에서 다양한 정도로 연합되었고, 그들은 수피즘의 수행자들일 뿐만 아니라 아케에다의 아샤리와 마드하브의 샤피이족이었습니다.[8]

술탄국의 정치 체제는 가부장적이었습니다. 술탄은 술탄의 유일한 주권자였고, 그 뒤로 다양한 마하라자와 라자라는 칭호를 가진 세분 군주들이 뒤따랐습니다. 더 아래쪽에는 수많은 팡리마 또는 지방 수장들이 있었는데, 이는 바랑가이 시스템에서 바랑가이 선장의 현대 필리핀 정치 직책과 기능이 유사했습니다.

술루 술탄국(파란색)이 최대치입니다.

술루 군도는 14세기부터 남중국과 동남아시아 여러 지역의 상인들을 끌어들인 항구였습니다.[9] "술루"라는 이름은 일찍이 원나라 말기([10]1271년-1368년)인 1349년에 중국의 역사적 기록에서 증명되고 있으며, 이 시기에 무역 관계가 존재했음을 시사합니다.[11] 무역은 명나라 초기 (1368–1644)까지 계속되었고, 중국에 여러 사절단을 보내 무역을 하고 황제에게 경의를 표했습니다. 술루 상인들은 종종 중국 무슬림들과 상품을 교환했고, 아랍계, 페르시아계, 말레이계 또는 인도계 무슬림들과의 무역도 있었습니다.[9] 이슬람 역사가 세자르 아디브 마줄은 14세기 후반 중국과 아랍 상인들과 명 중국 출신 선교사들에 의해 술루 군도에 이슬람이 유입되었다고 주장합니다.[10][11] 게다가, 이 7명의 아랍 선교사들은 타우수그에 의해 "룸팡 바시"라고 불렸고, 그들은 예멘의 바 알라위 사다 출신의 수니파 수피 학자들이었습니다.[12]

이 무렵, 아랍의 저명한 판사가메카 출신의 수니파 수피종교학자 카림마흐둠[note 1] 말라카에 도착했습니다. 그는 국민들에게 이슬람교, 특히 아샤리 아케에다와 샤피이 마드하브는 카디리야 타리카뿐만 아니라 이슬람교를 전파했고, 말라카의 통치자를 포함한 많은 시민들이 이슬람교로 개종했습니다.[13] 술루 지도자 파두카 파할라와 그의 아들들은 중국으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그는 사망했고, 중국 이슬람교도들은 그들의 후손들이 살고 있고 안씨와 원씨 성을 가지고 있는 더저우에서 그의 아들들을 길렀습니다. 서기 1380년,[note 2] 카림울-마흐둠은 다시 아랍 무역상들과 함께 말라카에서 시무눌 섬에 도착했습니다. 학자였던 것 외에도 그는 무역업자로 일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그를 메카에서 온 수피 선교사로 보고 있습니다.[14] 그는 그 지역에서 이슬람교를 설파했고, 그래서 핵심 무슬림 공동체에 의해 받아들여졌습니다. 그는 투안 마샤이카에 이어 이 지역에서 이슬람교를 전파한 두 번째 인물이었습니다. 불신자들의 개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는 시무눌의 투빅-인다간에 모스크를 설립했고, 이 모스크는 이 지역에 건설된 최초의 이슬람 사원이자 필리핀 최초의 사원이 되었습니다. 이것은 나중에 쉐이크 카리말 막둠 모스크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15] 그는 그의 무덤의 정확한 위치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술루에서 사망했습니다. 부안사에서 그는 투안 샤리프 아울리야(Tuan Sharif Awliyā)로 알려졌습니다. 졸로의 버드 아가드(Bud Agad)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그의 무덤에는 "모하둠 아미눌라 알 니카드(Mohadum Aminullah Al-Nikad)"라는 비문이 쓰여졌습니다. 루구스에서 그는 압두라흐만이라고 불립니다. 시부투에서는 그의 이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7]

카디리 샤이크 카림 울-마흐둠이 술루해의 여러 섬을 돌아다니며 이슬람교를 전파했기 때문에 그의 무덤 위치에 대한 다른 믿음이 생겨났습니다. 군도의 많은 곳에서 그는 사랑을 받았습니다. 타풀 사람들은 그를 기리기 위해 모스크를 지었다고 하며, 그들은 카림 울-마흐둠의 후손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리하여 술루에서 이슬람을 전파한 카리물-마흐둠의 성공은 필리핀의 이슬람 역사에 새로운 빛을 던졌습니다. 국민들의 관습, 신념, 정치법은 이슬람 전통을 채택하기 위해 변화하고 맞춤화되었습니다.[18]

술루는 1424년 갑자기 명나라에 공물을 보내는 것을 중단했습니다.[11] 안토니오 피가페타(Antonio Pigafetta)는 그의 일기에 브루나이의 술탄이 나라를 정복하고 일찍이 브루나이로부터 약탈한 두 개의 신성한 진주를 되찾기 위해 술루를 침략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19] 브루나이의 술탄인 볼키아는 술루의 공주인 푸테리 라일라 멘차나이(Puteri Laila Menchanai)와 결혼했고, 그들은 스페인이 그들을 식민지로 만들고 그들을 이슬람에서 기독교로 개종시키기 전에 마닐라는 이슬람 도시 국가이자 브루나이의 봉신이었기 때문에, 이슬람 왕자인 라자 마탄다(Rajah Matanda)의 조부모가 되었습니다.[citation needed] 이슬람 마닐라는 무슬림 카팜팡안 사령관 타릭 술레이만의 공격이 마할리카스 음모의 실패로 끝난 후, 과거 무슬림 마닐라 귀족들이 필리핀에서 스페인인들을 추방하기 위해 일본 막부와 브루나이 술탄국(마닐라와 술루 동맹국과 함께)[20]과 비밀 동맹을 시도했을 때. 술루 술탄국의 많은 타우수그와 다른 토착 무슬림들은 이미 브루나이에 기반을 둔 루조네스라고 불리는 카팜팡안과 타갈로그 무슬림들과 교류했고, 그들 사이에는 결혼이 있었습니다. 스페인인들은 브루나이가 침입했을 때 이슬람에 저항한 힌두 톤도처럼 정복한 옛 이슬람교도들에 맞서 토착 동맹을 맺었고, 마닐라를 이슬람 도시 국가로 세워 힌두 톤도를 대체했습니다.

1578년부터 1898년까지 스페인 식민지 정부와 민다나오모로족술루 군도 사이에 간헐적으로 전투와 교전이 벌어졌습니다.[citation needed] 1578년 프란시스코 산데 총독이 파견하고 로드리게스 데 피게로아 선장이 이끄는 원정대가 타우수그 부부와 스페인 당국 사이의 300년 전쟁을 시작했습니다. 1579년 스페인 정부는 데 피게로아에게 민다나오를 식민지로 만들 수 있는 유일한 권리를 주었습니다. 모로인들은 이들 지역에서 스페인군이 징집한 보병들을 알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복으로 파나이, 네그로스, 세부의 비사얀 마을들을 습격했습니다. 그런 모로의 습격은 스페인군과 비자야군에 의해 격퇴되었습니다. 17세기 초, 마라나오, 마구인다나오, 타우수그, 그리고 다른 모로족과 루마드족으로 구성된 가장 큰 동맹은 다바오 만에서 잠보앙가 반도의 다피탄에 이르는 영토의 통치자인 마구인다나오의 술탄 쿠다라트 또는 카칠 코랄라트에 의해 형성되었습니다. 몇몇 스페인 원정대는 그들의 손에 패배를 당했습니다. 1635년, Juan de Chaves 선장은 요새를 세우고 잠보앙가에 정착지를 세웠습니다. 1637년, 총독 세바스티안 후르타도 코르쿠에라는 직접 쿠다라트를 상대로 원정을 이끌었고, 라미탄과 일리아나 만에서 일시적으로 그의 군대를 제압했습니다. 1638년 1월 1일, 80척의 배와 2000명의 병사를 거느린 후르타도 데 코르쿠에라는 모로 타우수그를 격파하고 욜로를 점령했으며, 주로 점령된 코타스 안에 머물렀습니다.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지만 술루에 대한 스페인의 주권은 여전히 확고하게 확립되지 않았으며, 스페인 점령군이 떠난 직후인 1646년 타우수그는 조약을 폐지했습니다.[21] 1705년이 되어서야 술탄국은 스페인에게 팔라완 남부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했고, 1762년에도 마찬가지로 바실란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했습니다. 19세기 마지막 4분의 1 동안 술탄국은 공식적으로 스페인의 주권을 인정했지만, 이 지역들은 스페인의 부분적인 지배를 받았고, 그들의 주권은 잠보앙가와 코타바토(마구인다나오 술탄국의 통치하에 있는 후자)의 군소, 수비대, 그리고 민간인 거주지에 국한되었습니다. 결국 스페인-미국 전쟁에서 패배한 결과 스페인은 이 지역을 완전히 포기해야 했습니다.[citation needed]

1737년 술탄 알리무드 디니 1세는 자신의 개인적 이익을 증진시키기 위해 총독 F와 "영구적인" 평화 조약을 체결했습니다. 발디 타몬(Valdessy Tamon); 그리고 1746년 그는 필립 왕에 의해 졸로에게 보내진 예수회들과 친구가 되었습니다. 술탄 아지무딘 1세(*제1차 후계자)의 "허락"으로 인해 가톨릭 예수회는 졸로에 들어갈 수 있었지만, 그의 동생 라자 무다 마하라자 아딘다 다투 반틸란(*제2차 후계자)은 술루에 있는 모로인들 사이에서 가톨릭 예수회가 이슬람 신앙을 방해하거나 망신을 주는 것을 원치 않는다며 이에 반대했습니다. 두 형제의 의견 충돌로 술탄 아지무딘-1세는 결국 졸로를 떠나 잠보앙가로 이주한 뒤 1748년 마닐라에 도착했습니다. 그가 떠나자, 그의 형 라자 무다 마하라자 아딘다 다투 반틸란은 술탄으로 선포되었고, 술탄 반틸란 뮤즈딘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습니다.

1899년 12월 30일 술루의 타우수그 기병.

1893년 후계 논란 속에 아미룰 키람은 술탄 자말룰 키람 2세가 되었고, 스페인 당국에 의해 공식적으로 이 칭호를 인정받았습니다. 1899년 스페인-미국 전쟁에서 스페인이 패망하자 술루의 마지막 총독이었던 루이스 후에르타 대령은 주둔지를 미국에게 양도했습니다(Orosa 1970:25–30).

북보르네오(오늘날 사바)에서 널리 알려진 바자우 술루크족 전사 매트 살레("X"로 표시됨).

보르네오섬 북부에서는 사바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시민 가정이 술탄 시대부터 이 지역에 거주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22][note 3] 현지 북보르네오 기록에 따르면 영국 통치 기간 동안 주목할 만한 바자우-술루크 전사가 매트 살레 반란에 참여하여 사망할 때까지 분쟁에 참여했습니다. 일본보르네오 북부 지역을 점령제2차 세계대전 당시 중국계 이민자와 함께 일본의 침략과 점령에 대항한 예셀턴 반란많은 술루크인들이 일본군에게 학살당했습니다.[citation needed]

근세

필리핀

'유치 정책'이 도입돼 무슬림의 필리핀 사회 통합을 촉진하는 개혁이 시작됐습니다. 1919년 공공토지법에 의해 '대리식민지주의'가 합법화되어 이슬람 샤리아에 근거한 타우슈푸사카(상속재산)법이 무효화되었습니다. 이 법은 또한 주에 토지 소유권을 부여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했습니다. 이슬람교도들은 "더 발전된" 기독교 필리핀인들로부터 "배움"을 받고, 필리핀 주류 사회에 더 쉽게 통합될 것이라고 생각되었습니다. 1920년 2월 필리핀 상·하원은 민다나오와 술루 부서를 폐지하고 내무부 산하 비기독교 부족국에 그 책임을 전가하는 법률 제2878호를 통과시켰습니다. 기독교 필리핀인들에게 권력이 이동하면서 무슬림들의 불만이 커졌습니다. 1921년에서 1924년 사이에 무슬림 지도자들이 민다나오와 술루를 미국이 직접 관리해 줄 것을 요청하는 청원서를 보냈습니다. 이 청원들은 허가되지 않았습니다. 무장 저항의 무용성을 깨닫고 일부 이슬람교도들은 이 상황을 최대한 활용하려고 했습니다. 1934년 술루의 아롤라스 툴라위, 코타바토의 다투 마난당 피앙과 다투 블라 신수아트, 라나오의 술탄 알라오야 알론토가 1935년 헌법 협약에 선출되었습니다. 1935년, 두 명의 이슬람교도가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싸웠고, 그 후에 필리핀 정부에 대항하여 그 자신의 봉기를 일으켰던 Tausug 자유 투사인 Datu Hadji Kamlon.

술루의 타우쑤그족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민다나오와 술루일본 점령에 맞서 싸웠고 결국 그들을 쫓아냈습니다. 영연방은 이전 미국 행정부 하에서 무슬림들이 누려왔던 특권을 종식시키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민다나오에 대한 행정 법규에 명시된 일부 국내법에 대한 무슬림의 면제와 모로 이사회에 명시된 이슬람 전통 법정을 사용할 수 있는 무슬림의 권리가 종료되었습니다. 기독교인인 필리핀인보다 이슬람인으로서 더 오랜 문화적 역사를 가진 무슬림들이 자신들의 정체성을 포기할 것 같지 않았습니다. 이 사건은 무슬림 독립운동(MIM), 안사르 엘 이슬람, 이슬람 세력과 조직 연합(체맨 1990:74-75) 등 다양한 분리주의 운동의 발흥에 기여했습니다.안사룰 이슬람교의 창시자는 선장이었습니다.칼링갈란 칼루앙, 라시드 뤽만, 살리파다 펜다툰, 도모카오 알론토, 하미드 캄리안, 웃토그 마탈람, 아티. 마카판툰 아바스 주니어1969년 모로민족해방전선(MNLF)은 교육을 받은 젊은 이슬람교도들에 의해 방사 모로 공화국이라는 개념으로 설립되었습니다.그때 사바의 최고 장관은 툰 무스타파로, 그는 형제 같았고 칼링갈란 "아푸잉갈" 칼루앙과 좋은 관계를 맺었습니다. 툰 무스타파(Tun Mustapha)의 도움을 통해 MNLF(Al Hussein Caluang)의 첫 번째 전사들은 술루(Sulu)의 루크(Luuk)에 머문 후 사바(Sabah)에서 훈련을 받았습니다. 누르 미수아리는 UN 교수로서의 좋은 평판 때문에 안사룰 이슬람교의 일원이 되었습니다. 이 최초의 MNLF 전투기들의 훈련이 끝난 후, 야히야 칼루앙(칼루앙 칼루앙의 아들)은 칼루앙으로부터 사바에 있는 MNLF 전투기들을 데려오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야히야 칼루앙이 도착하자 누르 미수아리가 그 자리를 이어받아 자신을 MNLF의 지도자라고 선언했습니다. 누르 미수아리는 결국 칼링갈란의 "아푸잉갈" 칼루앙에게 용서를 구했고, 아푸잉갈은 그를 용서합니다.[23]

1976년, 트리폴리에서 필리핀 정부와 MNLF 간의 협상은 민다나오의 자치 지역을 제공하는 트리폴리 협정으로 이어졌습니다. 누르 미수아리는 임시정부의 의장으로 초대되었지만, 그는 거절했습니다. 국민투표는 이슬람교도들 스스로가 거부했습니다. 회담은 결렬되었고, 싸움은 계속되었습니다. 1989년 8월 1일에 공화국법 673호 또는 민다나오를 위한 유기농법에 의해 마구인다나오, 라나오 델 수르, 술루, 타위-타위를 아우르는 민다나오 자치구가 탄생했습니다.[citation needed]

말레이시아

무스타파 하룬(Mustapha Harun)은 타우수그-바자우(Tausug-Bajau) 혈통의 사바의 초대 주지사입니다.

말레이시아에 있는 대부분의 타우수그인들은 사바의 일부 지역에서 술루 술탄의 통치 이후 살았는데, 그들 중 일부는 술탄이 이미 많은 첩들을 가지고 있지만 술탄이 1850년대 술탄을 아내로 삼으려 했을 때 술탄으로부터 탈출한 술루 공주(다양 다양)의 후손들입니다.[24] 필리핀에서 새로이 도착한 타우수그 이민자들과 차별화하기 위해, 그들 대부분은 "술룩"이라고 불리는 것을 선호합니다.[25]

그러나 1970년대 모로 반란(대부분 불법 이민자)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더 최근의 타우수그 이민자들과 난민들은 종종 사바에서 차별에 직면합니다. 2013년 라하드 다투 사태 이후, 유효한 서류를 가진 타우수그 이주민들에 대해서도 산다칸에서 단속을 하는 동안 말레이시아 당국에 의해 특히 타우수그 민족에 대한 학대가 보고되었습니다.[26][27] 2013년 1월부터 11월까지 약 9000명의 필리핀 타우수그가 추방되었습니다.[28][29][30]

인구통계

물 위의 타우수그 난민 아이들.

2010년 필리핀의 타우수그 수는 1,226,601명이었습니다.[31] 필리핀 술루 지방이 다수를 차지하고, 잠보앙가 수르 주, 바실란 주, 타위타위 주, 팔라완 주, 세부 주, 마닐라 주가 소수를 차지합니다. 많은 필리핀계 타우수그들은 더 나은 삶을 찾아 말레이시아 사바의 이웃에서 건설 노동자로 일자리를 구했습니다. 그러나,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불법 체류를 함으로써 법을 위반하고 때때로 범죄 활동에 관여합니다.[25] 필리핀-타우수그족은 사바 원주민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note 3][32]

술루나 타우수그 술탄 시대에 이미 사바에 토착민으로 살고 있는 타우수그족은 북쪽의 쿠닷 마을에서 남동쪽의 타우에 이르기까지 동부의 많은 지역에 정착했습니다.[22] 그들의 수는 약 30만 명이고, 그들 중 많은 수는 사바의 다른 민족들, 특히 바하우스 민족들과 결혼을 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바에 새로 도착한 필리핀 친척들과 구별하기 위해 원주민인 타우수그보다 말레이어 민족명인 술루크를 출생 증명서에 사용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주로 사바에서 유입된 이주는 또한 그레이터 쿠알라룸푸르에 상당한 술루크 공동체를 만들었습니다. 인도네시아에 있는 동안 대부분의 공동체는 전통적인 영역과 가까운 누누칸타라칸과 같은 북칼리만탄의 북쪽 지역에 주로 정착했습니다. 약 12,000개(1981년 추정)가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타우쑤그.[33]

종교

타우수그의 압도적인 대다수는 이슬람교를 따르는데, 이슬람교는 필리핀 남부로 전파된 이후부터 술루 원주민들의 문화를 정의하는 요소였습니다. 그들은 이슬람의 전통적인 수니파 샤피이 섹션을 따르지만, 그들은 이슬람 이전의 종교적 관습을 유지하고 종종 그들의 광고에서 이슬람애니미즘의 혼합을 실행합니다. 기독교 소수파가 존재합니다. 스페인의 점령 기간 동안, 술루 군도에 예수회 선교사들의 존재는 가족 전체, 심지어 타우수그와 다른 술루 원주민들의 부족과 씨족들을 기독교로 개종시킬 수 있게 했습니다. 예를 들어, 술루의 19대 술탄인 아지무드딘 1세기독교로 개종하여 돈 페르난도 데 알리무드딘으로 세례를 받았지만, 그는 사망 직전에 이슬람교로 돌아갔습니다.

타우수그계의 일부 동화된 필리핀 연예인과 정치인들도 조상들의 종교 대신 대다수의 기독교 종교를 따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필리핀 대법원의 24대 대법원장 마리아 루르드 세레노(Maria Lourdes Sereno)는 타우수그(Tausug) 혈통이 다시 태어난 기독교인입니다. 가수 시티(Sitti)는 타우쑤그(Tausug) 출신이고 사말(Samal)계 혈통이며, 마푼(Mapun)계 혈통이라고 주장하며, 술루(Sulu) 출신이기도 합니다.

The Tausug used to be Hindus before converting to Islam.[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excessive citations] 나지브 살레비는 그들이 여전히 힌두교의 관습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54] 살레비는 모로인들이 이슬람 교리에 무지하고, 기도를 거의 하지 않거나 모스크에 갔으며, 그들의 배심원들은 종교가 아니라 점령한 적에 대한 민족주의에 의해 추진되었다고 말했습니다.[55][56]

전통적인 정치구조

타우수그의 정치적 구조는 주로 파리아논(땅에 사는 사람들)과 기바논(에 사는 사람들)이라는 민족 집단의 두 경제적 분열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술루의 술탄국이 세워지기 전, 이슬람 이전의 토착민 타우수그는 반와(banwa)라고 불리는 다양한 독립적인 공동체 또는 공동체 국가로 조직되었습니다. 이슬람이 도착하고 술탄국이 세워지자 반와는 팡리마(시장)가 관리하는 구역으로 나뉘었습니다. 팡리마는 술탄(왕)의 휘하에 있습니다. 술탄과 팡리마스와 함께 공동체의 안정을 유지했던 사람들은 루마 비추라(국무회의 고문), 다투 라자 무다(왕세자), 다투 마하라자 아덴숙(궁장), 다투 라드자 라우트(제독), 다투 마하라자 라일라(세관장), 다투 아미르 바하르(루마 비추라 연설가), 다투마공(간사), 다투주한(정보부 장관), 다투물룩 반다라사(상무부 장관), 다투 사와잔(내무부 장관), 다투 반다할라(재무부 장관), 마마네호(inspector 장군), 다투 사칸달(sultan 개인 특사), 다투 나(ordinance 또는 무기 사령관), 와질(총리). 망우바트(치료사)는 영적 영역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고 여겨져 공동체 내에서도 특별한 지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공동체의 사람들은 귀족(술탄의 가족과 궁정), 평민(자유민), 노예(전쟁 포로, 노예로 팔려가거나 노예의 자녀)의 세 계층으로 나뉩니다.[57]

언어들

타우수그가 제1, 제2언어로 사용되는 지역을 보여주는 술루 군도의 지도.

타우수그어는 언어를 뜻하는 바하사와 함께 "시누그"라고 불립니다. 타우수그어비콜라노어, 타갈로그어, 비사얀어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수리가오델노르트어, 수리가오델수르어, 아구산델수르어의 수리가오논어민다나오 북동부의 부투아논어, 특히 아랍어의 영향이 없는 어근 타우수그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많은 공통어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타우족이 로마 가톨릭 신자인 수리가오논 형제와 대조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타우족의 대부분이 이슬람교도라는 점을 감안할 때 타우족은 자신을 비사야어 사용자로 간주하지 않습니다. 타우수그는 와레이-와레이 언어와도 관련이 있습니다.[citation needed] 타갈로그어(전국에서 사용되는 언어) 외에도 많은 타우수그어족이 잠보앙게뇨 차바카노어(특히 잠보앙가 시에 거주하는 언어)와 기타 비사야어(특히 민다나오로 세부아노 이주자가 대량 유입되어 세부아노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의 말레이어; 그리고 제2외국어로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의 영어.[citation needed]

술루 술탄국사바 동부를 통치했을 때 주민의 후손인 말레이시아인 타우수그는 술루크어, 말레이시아어, 일부 영어나 시무눌어의 사바한 방언을 구사하거나 이해합니다. 바자우족과 정기적으로 접촉하는 사람들은 또한 바자우 방언을 사용합니다. 2000년이 되자, 특히 사바 서부의 마을에 있는 대부분의 타우수그 아이들은 더 이상 타우수그어를 사용하지 않았고, 대신에 그들은 말레이어와 영어의 사바한 방언을 사용합니다.[citation needed]

영어 타우수그 수리가온 세부아노
네 이름이 뭐니? Hisiyu in ngān mu? 우난가얀 무? Unsa'y ngalan nimo?
제 이름은 무함마드 입니다. 잉간쿠 무함마드 앙가얀 카이 무함마드 앙갈란나코아이 무함마드
어떻게 지내세요? Maunu-unu nakaw? Ya-unu nakaw? 쿠무스타카?
저도 괜찮습니다. 마라요다[이사브] 마다요우다 [isab] aku (탄다가논)/마라죠우다 [isab] aku (수리가온온) Maayo da/ra [usab] 'ko
아흐마드는 어디 있습니까? 하누히 아흐마드? 하인시 아흐마드? 아시 아흐마드?
그는 집에 있습니다. Ha bāy siya 사베이시야/시야 사발라이시야
감사해요. 마그수쿨 살라마트 살라마트
I'm stay at 또는 'I'm live at' 나후굴라 아쿠하 Yaghuya aku sa Nagpuyo ako sa
저는 여기 집에 있습니다. 야리아쿠하 만. 야디아쿠사 만. 디아코사발라이.
나는 배고파요. Hiyapdi' aku. In-gutom aku. 기구톰쿠.
그는 학교에 있습니다. Yadtu siya ha iskul. Yadtu siya/sija sa iskul. 아토아시야사퉁한
물고기. 이스타' 이시다 이스다/이타
다리 스키 스키 빳빳한
리마 알리마 카무트
사람인 타우 타우 타우/타우
(바다/강) 해류 Sūg/Sulug/Suluk 수그 수그/술로그

문화들

Tausugs는 뛰어난 전사이자 장인입니다. 그들은 여성 무용수들이 놋쇠나 으로 만든 인공적으로 길쭉한 손톱을 쓰고 이슬람 이전의 불교 전설의 비디아다리 (바하사 수그: 비다달리)에 기반한 동작을 수행하는 판갈레이 춤 (사바어로 달링-달링이라고도 함)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타우수그는 또한 남성들이 전통적으로 머리 장식이나 액세서리로 착용하는 다양한 색상의 직물인 물고기자리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요즘, 물고기자리는 여성과 학생들도 착용합니다. 2011년 국가문화예술위원회는 정부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등재할 수 있는 전통공예품 부문에 필리핀의 무형문화유산 중 하나로 꼽았습니다.[58] 타우수그는 또한 전통적인 쿠링탕 음악의 한 종류인 타공고와 연관되어 있습니다.[59]

타우수그 모로 무슬림은 사촌간 결혼과 부계 병행 사촌간 결혼을 모두 실천합니다.[60][61][62][63][64][65][66][67][68][69]

주목할 만한 타우쥐스

캘리포니아 포모나에서 열린 미국-필리핀 엑스포에서 공연 중인 타우수그와 사마계 필리핀 가수 시티 나바로.

참고 항목

메모들

  1. ^ 카리물 막둠, 카리말 막둠, 혹은 막둠 카림과의 인터체인지도 모릅니다. 마흐둠은 아랍어로 "마스터"를 의미하는 makhdum īn에서 유래되었습니다.
  2. ^ 필리핀 이슬람 역사에서 또 하나의 불확실한 날짜는 카리물-마흐둠이 도착한 해입니다. 다른 이슬람 학자들은 이 연대를 단순히 "14세기 말"로 보고 있지만, 살레비는 카리물-마흐둠의 도래 시기가 라자 바긴다의 도래 시기보다 10년 앞선 1380년을 타르실라의 묘사에 해당하는 서기로 계산했습니다. 1380년의 언급은 이슬람 역사에서 엄청난 수의 마흐둠 ī가 인도에서 동남아시아로 여행하기 시작했을 때 일어난 사건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브라힘의 "동남아시아의 이슬람에 관한 독서"를 참조하십시오.
  3. ^ a b 사바의 대부분의 술루크 원주민들은 말레이시아가 형성되기 전부터 그곳에 살았습니다. 당시 말레이시아 국경 내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들은 자동으로 시민권을 얻었는데, 필리핀에서 온 후 이민들이 필리핀이 형성된 후에 도착했던 것과 대조적입니다.

참고문헌

  1. ^ "Ethnicity in the Philippines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Retrieved 4 July 2023.
  2. ^ "Cara Hidup Orang Suluk di Lahad Datu". Astro Awani. Retrieved 3 February 2021.
  3. ^ Jim Haskins (1982). The Filipino Nation: , or Tausug could also mean, strong people from the word "tau" means – people, "sug" from the word " kusug – strong. The Philippines : lands and peoples, a cultural geography. Grolier International. p. 190. ISBN 9780717285099.
  4. ^ Scott, William Henry (1994). Barangay Sixteenth Century Philippine Culture And Society. Quezon City, Philippines: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ress. p. 164. ISBN 971-550-135-4.
  5. ^ Zorc, R. David Paul. "Glottolog 3.3 – Tausug". Glottolog. Retrieved 12 March 2019.
  6. ^ Alfred Kemp Pallasen (1985). Culture Contact and Language Convergence (PDF). LSP Special Monograph Issue 24. Linguistic Society of the Philippin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1 May 2015.
  7. ^ Rodney C. Jubilado (2010). "On cultural fluidity: The Sama-Bajau of the Sulu-Sulawesi Seas". Kunapipi. 32 (1): 89–101.
  8. ^ Morales, Yusuf. "PEACETALK: The different Islamic schools of thought in the Philippines". MindaNews. Retrieved 20 May 2023.
  9. ^ a b 도노소 2022, 페이지 505
  10. ^ a b Abinales & Amoroso 2005, p. 43
  11. ^ a b c 건 2011, 93페이지
  12. ^ Quiling, Mucha-Shim (2020). "Lumpang Basih". Journal of Studies on Traditional Knowledge in Sulu Archipelago and Its People, and in the Neighboring Nusantara. 3. Retrieved 20 May 2023.
  13. ^ Salee by 1908, 페이지 158-159
  14. ^ 라루스 2001, 페이지 40
  15. ^ Mawallil, Amilbahar; Dayang Babylyn Kano Omar (3 July 2009). "Simunul Island, Dubbed As 'Dubai of the Philippines', Pursues Ambitious Project". The Mindanao Examin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uly 2011. Retrieved 22 December 2010.
  16. ^ Ibrahim, Ahmad; Siddique, Sharon; Hussain, Yasmin (1985), Readings on Islam in Southeast Asia,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p. 51, ISBN 978-9971-988-08-1
  17. ^ 곤다 1975, 페이지 91
  18. ^ Salee by 1908, p. 159
  19. ^ 브루나이 재발견: 로버트 니콜의 초기 시대 조사 45페이지
  20. ^ de Marquina, Esteban (1903). Blair, Emma Helen; Robertson, James Alexander (eds.). Conspiracy Against the Spaniards: Testimony in certain investigations made by Doctor Santiago de Vera, president of the Philipinas, May–July 1589. Vol. 7. Ohio, Cleveland: Arthur H. Clark Company. pp. 86–103. {{cite book}}: work= 무시됨(도움말)
  21. ^ Cf. 또한 Paulo Bonavides, 정치학 (Ciencia Política), p. 126.[verification needed]
  22. ^ a b "Sabah's People and History". Sabah State Government. Retrieved 25 March 2015. The Kadazan-Dusun is the largest ethnic group in Sabah that makes up almost 30% of the population. The Bajaus, or also known as "Cowboys of the East", and Muruts, the hill people and head hunters in the past, are the second and third largest ethnic group in Sabah respectively. Other indigenous tribes include the Bisaya, Brunei Malay, Bugis, Kedayan, Lotud, Ludayeh, Rungus, Suluk, Minokok, Bonggi, the Ida'an, and many more. The largest non-indigenous group of the population are Chinese.
  23. ^ Espaldon, Senator Ernesto (1997). WITH THE BRAVEST The Untold Story of the Sulu Freedom Fighters of World War II. p. 210. Retrieved 20 May 2023.
  24. ^ Philip Golingai (26 May 2014). "Despised for the wrong reasons". The Star. Retrieved 22 January 2015.
  25. ^ a b Daphne Iking (17 July 2013). "Racism or anger over social injustice?". The Star. Retrieved 17 July 2013.
  26. ^ Saceda, Charlie (6 March 2013). "Pinoys in Sabah fear retaliation". Rappler. Retrieved 12 January 2020.
  27. ^ Manlupig, Karlos (9 March 2013). "If you are Tausug, they will arrest you". Rappler. Retrieved 12 January 2020.
  28. ^ "Deported Filipinos forced to leave families". Al Jazeera. 20 March 2013. Retrieved 20 September 2013.
  29. ^ "11,992 illegals repatriated from Sabah between January and November, says task force director". The Malay Mail. 22 November 2013. Retrieved 7 January 2014.
  30. ^ Jaymalin Mayen (25 March 2014). "Over 26,000 Filipino illegal migrants return from Sabah". The Philippine Star. ABS-CBN News. Retrieved 21 June 2014.
  31. ^ "201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Report No. 2A: Demographic and Housing Characteristics (Non-Sample Variables) – Philippines" (PDF).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Retrieved 19 May 2020.
  32. ^ Fausto Barlocco (4 December 2013). Identity and the State in Malaysia. Routledge. pp. 77–85. ISBN 978-1-317-93239-0.
  33. ^ "Languages of Indonesia PDF Java Bali". Scribd. Retrieved 8 September 2023.
  34. ^ Salee by 1908, p. 44
  35. ^ Philippines. Division of Ethnology (1908). Division of Ethnology Publications, Volume 4, Part 2. Division of Ethnology Publications, Philippines. Division of Ethnology. Bureau of Printing. p. 152. In conPage 5 is a copy of a Sulu document issued by Sultan Jamalul - Kiram I in the year 1251 A. H. , or about seventy ... The first person who lived on the Island of Sulu is Jamiyun Kulisa . ... 5 One of the names of the wife of Vishnu ...
  36. ^ Philippines. Bureau of Science. Division of Ethnology (1905). Publications, Volume 4. p. 152. Page 5 is a copy of a Sulu document issued by Sultan Jamalul - Kiram I in the year 1251 A. H. , or about seventy - three years ago . It confers the title of Khatib or Katib ? on a Sulu pandita ? named Adak . ... the wife of Vishnu .
  37. ^ Sulu Studies, Volume 3. Sulu studies, Notre Dame of Jolo College. Coordinated Investigation of Sulu Culture. Contributors Notre Dame of Jolo College. Coordinated Investigation of Sulu Culture, Notre Dame of Jolo College. Notre Dame of Jolo College. 1974. p. 152. Mohammad Daud Abdul , a research assistant of the Coordinated Investigation of Sulu Culture ( CISC ) collaborated with ... A vehicle of Vishnu , he is " depicted with a white face , red wings and body of gold " ; he " became famous in ...{{cite book}}: CS1 메인트: 기타(링크)
  38. ^ The Kadatuan I Conference Proceedings. Contributor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Unibersidad ng Pilipinas. 1997. p. 52. The political institutions of pre - Islamic Sulu and Mindanao were patriarchal in form , resembling in many ways the ... Sulu and Mindanao were Hindu - influenced , especially if we deduce that Vitnuism , the cult of God Vishnu or ...{{cite book}}: CS1 메인트: 기타(링크)
  39. ^ Rasul, Jainal D. (1999). Rasul, Al-Gazel (ed.). Still Chasing the Rainbow: Selected Writings of Jainal D. Rasul, Sr. on Filipino Muslims' Politics, History, and the Law (Shari'ah). FedPil Pub. p. 286. From these sources , it is clear that the original inhabitants of pre - Islamic Sulu and Mindanao were Hindu - influenced , especially if we deduce that Vitnuism , the cult of God Vishnu or Narayena , was evidently practised .
  40. ^ Frothingham, Robert (1925). Around the World: A Friendly Guide for the World Traveler. Park Street library of letters, diaries and memoirs. Houghton Mifflin. p. 319.
  41. ^ Galang, Zoilo M. (1936). Galang, Camilo; Osias (eds.). Encyclopedia of the Philippines: Education and religion. Vol. 5 of Encyclopedia of the Philippines: The Library of Philippine Literature, Art and Science, Zoilo M. Galang. Philippine Education Company. p. 504.
  42. ^ Indian Antiquary: A Journal of Oriental Research in Archaeology, History, Literature, Languages, Folklore Etc. Times of India. 1872. p. 331. ... ( verse 82 of my MS ) where it is said : -Ohu bê sulu Siri Sanga - bo raja Piyangul - wehera âdi wihâra karawâ Dewnuwara Dew ... Vishnu commonly called in this ( Anuradhapura ) district , ' Utpala waruna diwya rajayan wahanse ...
  43. ^ Scribe I Am (2014). Terrah: Damnation. X libris Corporation. ISBN 978-1493136483. Vishnu, Sokol, Thor, Zeus, Baal, Sulu, Diva, Hawk and Lark Squadrons took off, all except the suspiciously absent Hunters. It was only as the pilots of the Solitude's fighter wings filled the airwaves with their chatter, that the truth ...
  44. ^ Salee by 1908, p. 47
  45. ^ Philippines. Division of Ethnology (1905). Publications, Volume 1, Part 4. Division of Ethnology Publications, Philippines. Division of Ethnology. p. 155. CHAPTER III RISE AND PROSPERITY OF SULU SULU BEFORE ISLAM ور The Genealogy of Sulu is a succinct analysis of the tribes or ... the highest places in its pantheon to Indra , the sky ; Agni , the fire ; Vayu , the wind ; Surya , the sun .
  46. ^ Philippines. Division of Ethnology (1908). Division of Ethnology Publications, Volume 4, Part 2. Division of Ethnology Publications, Philippines. Division of Ethnology. Bureau of Printing. p. 155. RISE AND PROSPERITY OF SULU SULU BEFORE ISLAM The Genealogy of Sulu is a succinct analysis of the tribes or elements which ... the highest places in its pantheon to Indra , the sky ; Agni , the fire ; Vayu , the wind ; Surya , the sun .
  47. ^ Boomgaard, Peter, ed. (2007). A World of Water: Rain, Rivers and Seas in Southeast Asian Histories. NUS Press. p. 366. ISBN 978-9971693718. ... 113 , 118 , 131-2 , 283 Sulu 31 , 42 , 127-9 , 131-3 , 148 , 172 Sulu Archipelago see Sulu Islands Sulu Islands 36 ... 338 , 345-6 Surapura 248 Surat 39 Surigao 171 Surya Agung Kertas ( SAK ) 328 Sutherland , Heather 4 Swahili coast ...
  48. ^ Galang, Zoilo M., ed. (1950). Encyclopedia of the Philippines: Religion. Vol. 10 of Encyclopedia of the Philippines, Zoilo M. Galang (3 ed.). E. Floro. p. 50. ... the highest places in its pantheon to Indra , the sky ; Agui , the fire ; Vayu , the wind ; Surya , the sun . ... married the daughter of Raja Sipad the Younger , Iddha , ' and became the forefather of the principal people of Sulu .
  49. ^ Galang, Zoilo M., ed. (1957). Encyclopedia of the Philippines: History. Vol. 15 of Encyclopedia of the Philippines, Zoilo M. Galang (3 ed.). E. Floro. p. 45.
  50. ^ Fernando-Amilbangsa, Ligaya (2005). Ukkil: Visual Arts of the Sulu Archipelago (illustrated ed.). Ateneo University Press. p. 23. ISBN 9715504809. ... Vayu ( wind ) , and Surya ( sun ) . These elements were probably worshipped by the ancient peoples of the Sulu Archipelago whose former religion is presumed to be of Hindu origin ( Saleeby , 1963 : 38 ) , now obscured by Islam .
  51. ^ Balfour, Edward (1885). The Cyclopædia of India and of Eastern and Southern Asia, Commercial Industrial, and Scientific: Products of the Mineral, Vegetable, and Animal Kingdoms, Useful Arts and Manufactures, Volume 3 (3 ed.). Bernard Quaritch. p. 1188. Sringa takamu , TEL . , Trapa bispi- Su - hoh - hiang , C'HIN . , Storax , Rose Surya - kund - Tapta - kund . maloes . Suryavansa . See Orissa ; Solar Race . Sringeri . See Adwaita . Sulu , LEPCH . , Inuus rhesus . Susa in Khuzistan .
  52. ^ Cerdas jelajah Internet. Niaga Swadaya. p. 110. ISBN 9791477655. Tangan , Melan Surya Sulu Ouh aku bingung Tidak tau harus bagaimana mengatakannya pada suami ku . Baru beberapa hari kemarin dia menikahiku , dan sekarang aku resmi menjadi Cyberlove , Selingku Bukan Ya ? Jangan Lupa Jemurannya Helloow ...
  53. ^ Surya, Hendra (May 2007). Reinhart: Titisan Lima Ksatria Agung Eirounos. Yayasan Pustaka Obor Indonesia. p. 54. ISBN 978-6024333447. Titisan Lima Ksatria Agung Eirounos Hendra Surya. Jenderal Sulu terdiam mendengar keluhan Raja Bian, dia tak dapat memungkiri kenyataan yang dikatakan Raja Bian. "Kini apa yang harus kami lakukan, Baginda?" tanya Teguilla memberanikan ...
  54. ^ Marr1, Timothy (2014). "DIASPORIC INTELLIGENCES IN THE AMERICAN PHILIPPINE EMPIRE: THE TRANSNATIONAL CAREER OF DR. NAJEEB MITRY SALEEBY". Mashriq & Mahjar. 2 (1). doi:10.24847/22i2014.27. ISSN 2169-4435.{{cite journal}}: CS1 메인트: 숫자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55. ^ Saleeby, Najeeb (1913). The Moro problem; an academic discussion of the history and solution of the problem of the government of the Moros of the Phillipine Islands. P. I. [Press of E. C. McCullough & Company ]. pp. 23, 24, 25.
  56. ^ https://quod.lib.umich.edu/p/philamer/afj2200.0001.001?view=text&seq=17 https://books.google.com/books?id=lEaOgkGazTUC&dq=An%20Acad&source=gbs_book_other_versions https://books.google.com/books?id=JiKToUHvWH4C&q=An%20Acad
  57. ^ Post (30 June 2013). "Tausug Architecture". Slideshare.net. Retrieved 2 October 2019.
  58. ^ "Tausug Architecture" (PDF). www.ichcap.org. 30 June 2013. Retrieved 2 October 2019.
  59. ^ "Artists explore state of Filipino art, culture in the diaspora". usa.inquirer.net. 7 June 2017. Retrieved 5 January 2019.
  60. ^ Philippine Quarterly of Culture and Society, Volume 2. University of San Carlos. 1974. pp. 129, 126, 132. Tausug practice preferential cousin marriage , with no particular preference for patrilateral or matrilateral cousins . The practice is explicitly justified in terms of the ease of the marriage negotiations in an arranged marriage : in ...
  61. ^ Kiefer, Thomas M. (1969). Tausug Armed Conflict: The Social Organization of Military Activity in a Philippine Moslem Society. Research Series No. 7 Series (reprint ed.). Philippine Studies Program, University of Chicago. pp. 28, 75. ISBN 0598448330. There is also a tendency towards kindred epdogany , normatively sanctioned through preferential cousin marriage . This preference is Justified by such practical considerations as the ease of the marriage negotiations if the parents of ...
  62. ^ U.S. Army Special Forces Language Visual Training Materials – TAUSUG. Jeffrey Frank Jones. p. 7. Traditionally, marriages are arranged to first or second cousins; however, most young adults are now starting to choose their own spouses. In the Tausug society, there is no generally approved method for courting.
  63. ^ Kiefer, Thomas M. (1986). The Tausug: Violence and Law in a Philippine Moslem Society (illustrated, reprint, reissue, revised ed.). Waveland Press. pp. 40, 44, 81. ISBN 0881332429. A marriage with a first cousin is considered ideal for several reasons . First , there is the ease of negotiation when the transaction is arranged between the parents ( who would be siblings ) of first cousins .
  64. ^ an- Naʾīm, ʿAbdallāh Aḥmad, ed. (2002). "1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The Region and Its History". Islamic Family Law in a Changing World: A Global Resource Book. Vol. 2 van Global resource book (illustrated ed.). Zed Books. p. 255. ISBN 1842770934. Among the Tausug communities , marriages are ideally arranged by parents , in line with Islamic law . First and second cousins are favoured spouses since their parents are kinsmen and the problems of inheritance are simplified .
  65. ^ Kiefer, Thomas M. (1972). Tausug of the Philippines. Descriptive ethnography series Ethnocentrism series, Human Relations Area Files Ethnocentrism series. HRAFlex book OA16-001. Contributor Bijdrager. Human Relations Area Files. pp. 109, 140, 142. It is not likely for a sister to feed her sister's child as this might interfere with first – cousin marriage . ' Grandparents are very likely to feed . M.2.4.Q : What things would make little boys cry ? Little boys would cry if they ...
  66. ^ Johnson, Mark (2020). Beauty and Power: Transgendering and Cultural Transformation in the Southern Philippines. Explorations in Anthropology (reprint ed.). Routledge. p. 106. ISBN 978-1000184570. Technically it is the usba of either side who negotiate the marriage transactions; the woman's father's kindred is ... given the preference of many Tausug and some Sama for first-cousin marriage, incest (sumbang) at once inscribing and ...
  67. ^ Ethnology, Volume 10. University of Pittsburgh. 1971. pp. 88, 81, 89. MARRIAGE Tausug marriage involves a complex sequence of activities , of both a ritual and secular nature . ... Marriage Preferences The preferred marriage is between first cousins ; the next preference is between second cousins ...
  68. ^ Hassan, Irene (1975). Tausug-English Dictionary: Kabtangan Iban Maana. Vol. 4 of Sulu studies. Contributors Notre Dame of Jolo College. Coordinated Investigation of Sulu Culture, Philippines. Bureau of Public Schools,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Coordinated Investigation of Sulu Culture. p. 23.
  69. ^ Madale, Nagasura T. (1981). The Muslim Filipinos: A Book of Readings. Alemar-Phoenix Publishing House. p. 67. Like most Philippine ethnolinguistic groups , Tausug kinship was bilateral , emphasizing relationships derived from ... There was a tendency toward marriage within the kindred and a marked tendency toward preferential cousin marriage ...
  70. ^ Tobias, Maricris Jan. "GAMABA: Darhata Sawabi". National Commission for Culture and the Arts. Retrieved 2 April 2021.

원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