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클로베미드
Moclobemide![]() |
![]() | |
![]() | |
임상자료 | |
---|---|
상명 | 아미라, 오로릭스, 클로베믹스, 데프닐, 마네릭스 |
AHFS/Drugs.com | 마이크로메덱스 상세 소비자 정보 |
임신 범주 |
|
경로: 행정 | 입으로 |
ATC 코드 | |
법적현황 | |
법적현황 | |
약동학 데이터 | |
생체이용가능성 | 55~95%(반복 행정 시 포함)[1][2] |
단백질 결합 | 50%[2][3] |
신진대사 | 간[6][4] |
제거 반감기 | 1~2시간,[4] 4시간(시간)[2][5] |
배설 | 신장, 페칼 (<5%)[3] |
식별자 | |
| |
CAS 번호 | |
펍켐 CID | |
IUPHAR/BPS | |
드러그뱅크 | |
켐스파이더 | |
유니 | |
케그 | |
체비 | |
켐벨 | |
CompTox 대시보드 (EPA) | |
ECHA InfoCard | 100.163.935 ![]() |
화학 및 물리적 데이터 | |
공식 | C13H17CLN2O2 |
어금질량 | 268.74 g·190−1 |
3D 모델(JSmol) | |
| |
| |
![]() ![]() |
모클로베미드(Amira, Aurorix,[7] Clobemix, Depnil, Manerix로[8] 판매)는 주로 우울증과 사회적 불안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모노아민 산화효소 A(RIMA) 약물의 가역 억제제다.[9][10][11] 미국에서는 사용이 승인되지 않지만,[12] 캐나다, 영국[11], 호주 등 다른 서구 국가에서는 승인된다(TGA 2000년 12월 승인).[13] 호프만-라로슈 제약회사의 계열사에서 생산하고 있다. 당초 오로릭스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로슈에 의해 시판됐으나 특허권이 만료돼 철회됐고 시플라메드프로의 데프닐과 파마다이나믹스의 클로릭스는 절반의 비용으로 구입할 수 있게 됐다.
모클로베미드가 티라미네 함유 식품이나 프레스아민제 등의 아민과 결합할 경우, 이러한 결합으로 혈압의 심각한 상승을 초래하는 구식 비선택성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제(MAOIs)와 달리 유의미한 상승은 일어나지 않는다.[9] 항콜리노르기가 부족하기 때문에 심혈관계, 인지, 심신장애는 심혈관질환자는 물론 노인에게도 유리하다.[9]
의학적 용법
모클로베미드와 같은 가역 선택적 MAOI는 부작용 프로파일이 되돌릴 수 없고 선택적이지 않은 MAOI와 유사하다는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광범위하게 강조되지 않는다.[14] 모클로베미드 등 MAOI는 다른 항우울제 약품 등급에 비해 비교적 빠른 작용이 시작되고,[15] 부작용 면에서도 장기 허용성이 좋은 것으로 보고됐다.[16]
내성은 일어나지 않는 것 같다; 연구는 모클로베미드가 적어도 1년 동안 우울증에 유익한 치료적 특성을 유지한다는 것을 발견했다.[17]
- 단극성 우울증. 모클로베미드는 내생성 우울증과 비내생성 우울증이 모두 반응하는 [18]등 주요 우울증 치료와 관리에 효과와 효능을 입증했다. 게다가 모클로베미드는 다른 항우울제에 비해 작용이 빠르고 삼발성 항우울제보다 훨씬 견딜만하다.[19] 안전성이 매우 우수하고 부작용인 모클로베미드 발생률이 매우 낮기 때문에 우울증을 앓고 있는 개인이 높은 수준의 수용성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20] 심한 우울증에 더 높은 용량(>450mg/day)이 더 효과적일 수 있는 반면, 낮은 용량으로 치료된 환자들은 삼주기 항우울제로 치료한 환자들보다 덜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21]
- 정신병적 우울증, 단극성 내성적 우울증, 우울증, 지체적 우울증, 동요적 우울증, 신경성 우울증 등이 모두 모클로베미드에 반응한다.[22] 비정상적인 우울증도 그렇다.[23] 단극성 내인성 우울증은 모클로베미드 치료에 가장 좋은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4][25] 우울증을 앓고 있는 모클로베미드가 투여된 사람들은 위약보다 모클로베미드가 두 배 더 개선될 가능성이 있다.[26] 항우울제 부작용의 우려는 성기능 장애지만, 모클로베미드는 실제로 성욕을 증가시키고 또한 손상된 발기, 사정, 오르가즘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27] 심혈관계 독성은 3회성 항우울제와 같은 항우울제와 돌이킬 수 없는 MAOI에 대한 걱정이다. 심혈관계 독성이 우려되는 경우 SSRI 또는 모클로베미드 같은 가역성 MAOI는 부작용뿐만 아니라 심혈관 독성의 수준이 부족하거나 현저히 감소하기 때문에 선택사항이다. 과다 [28]복용으로
- 동요성 우울증에서 모클로베미드의 효과는 이미프라민 및 아미트립티라인, 미안세린, 마프로틸린 등의 진정제 항우울제와 맞먹는다. 동요하는 우울증 개인들의 치료 반응은 비응고 우울증에서 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하지만, 항우울제를 사용한 과거 이력은 성공적인 치료 반응의 기회를 감소시킨다. 모클로베미드 요법에 벤조디아제핀을 첨가한 것이 이 인구 집단에서는 유익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29] 모클로베미드는 이미프라민보다 부작용이 적다.[30][31] TCA에 비해 더 잘 견딜 수 있다.[32][33]
- 양극성 우울증. 일반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모든 항우울제와 마찬가지로) 조울증에 대한 단일요법으로 권장되지는 않았지만, 모클로베미드가 우울증 증상 감소에 이미프라민과 동일하게 효과적이지만 매니큐어 스윙을 일으킬 위험이 현저히 낮았던 것처럼 (p=0.05의 통계적 유의성에 도달하지는 않았지만) 나타났다.가려움증 [34]이는 조울증 치료에서 한 학급 MAOI가 다른 항우울제보다 우수하다는 최근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35]
- 이 우울증; 모클로베미드는 이 우울증 장애의 치료와 관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36]
- 사회공포증. 모클로베미드는 장단기 위약 조절 임상시험에서 모두 사회불안장애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7] 모클로베미드는 효과적이지만 사회공포증 치료에 있어서 돌이킬 수 없는 MAOI만큼 효과적이지는 않다.[38] 최대 편익 실현에는 8-12주가 소요될 수 있다.[39] 그러나 동반성 알코올 사용장애가 있을 경우 치료 실패 위험이 크다.[40] 호주 의약품 핸드북에는 사회적 공포증이 허용되나 허가되지 않은 표시로 명시되어 있다.[10] 사회불안장애 치료에 모클로베미드를 사용하는 것은 위약에 비해 높은 용량(>300mg/d)으로 반응하는 경향과 함께 혼합된 결과를 낳았다.[41]
- 금연. 모클로베미드는 흡연이 주요 우울증의 자가 치료의 한 형태일 수 있다는 이론에 근거해 과의존 흡연자들을 대상으로 위약에 대한 검사를 실시했으며,[42] 따라서 모클로베미드는 담배 연기의 MAO-A 억제 효과를 모방한 모클로베미드 때문에 금욕률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모클로베미드는 3개월간 투여됐다가 중단됐고, 이후 6개월 동안 모클로베미드를 복용한 사람은 위약그룹에 비해 폐사율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2개월의 후속 조치에서는 위약 그룹과 모클로베미드 그룹의 차이가 더 이상 크지 않았다.[43]
- 공황장애. 모클로베미드는 공황장애의 치료와 관리에 유용하다.[44] 공황장애는 호주 의약품 핸드북에서 인정되지만 무면허로 표시된다.[10]
- ADHD. 주의력 결핍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서 모클로베미드의 장점을 평가하는 두 개의 작은 연구는 모클로베미드가 바람직한 결과를 만들어 낸다는 것을 발견했다.[22]
- 섬유근육종, 모클로베미드는 이 집단에서 고통과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45]
- 편두통. 모클로베미드는 편두통과 만성 긴장성 두통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46][47]
다른 MAOI와 마찬가지로, 모클로베미드 같은 가역성 MAOI도 다양한 정신 질환에 효과적일 수 있다.[22][48] 갱년기 플러싱은 또한 모클로베미드에도 반응할 수 있다.[49] 모클로베미드는 또한 l-dopa의 효과를 확장하고 강화함으로써 파킨슨병 환자들에게 유익할 수 있다.[50]
주요 우울증 치료를 위한 유효성 연구에서는 모클로베미드가 위약보다 유의미하게 더 효과적이며, 삼주순환항우제(TCAs)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s)만큼 효과적이며, 오래되고 돌이킬 수 없는 MAOIs 페넬진 및 트란실시프롬보다 다소 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허용가능성 측면에서 모클로베미드는 SSRI에 비견되고 TCA 및 기존 MAOI보다 더 잘 허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12] 모클로베미드가 단독으로 또는 SSRI와 같은 다른 항우울제와 결합하여 치료 내성 우울증에도 효과가 있으며 세로토닌 증후군의 발병 없이 그 조합을 투여할 수 있다는 일부 증거가 있으나, 그러한 결합을 권고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9][51] 후속 연구는 항우울제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우울증이 지속적으로 개선된다는 것을 보여주며, 또한 모클로베미드가 항우울제로서의 치료 효능을 최소한 1년 이상 유지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 장기적 효능은 다른 항우울제 계층에서 볼 수 있는 효능과 맞먹는다.[14]
돌이킬 수 없는 MAOI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전신마취 2주 전에 이러한 항우울제를 중단해야 하지만, 그것의 되돌릴 수 있는 성질 때문에 모클로베미드를 사용하는 것은 그러한 환자들이 항우울제 치료를 계속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52][53]
덱사메타손 억제 테스트(DST)와 혈장 및 소변 메톡시하이드록시페닐글리콜(MHPG) 테스트를 사용하여 누가 mclobemide 항우울제 치료에 반응할 가능성이 있는지 추정할 수 있다.[54]
임신과 수유
모유에서의 모클로베미드 복용량은 매우 낮으며(모크로베미드의 0.06%가 모유로 회수됨) 따라서 모클로베미드는 젖먹이 아기에게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낮다는 결론이 나왔다.[8]
아이들.
이러한 환자들의 안전성과 효능을 평가하기에 충분한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어린이용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10][11]
노인
모클로베미드와 같은 가역성 MAOI는 노르아드레날린에 대한 효과로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우울증 치료에 장점이 있을 수 있다.[55] 인지장애는 우울증을 모클로베미드(moclobemide)로 치료하면 치매환자에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22] 모클로베미드는 안전성이 우수해 노인 우울증 치료제 1호선으로 추천됐다.[56] 모클로베미드의 부작용 프로필 때문에, 다른 항우울제보다 이 하위 그룹의 사람들에게 더 좋은 선택일 수 있다.[57] 연구 결과, 모클로베미드가 항콜로네르기(스코폴라민) 유도 인지장애에 대항할 수 있어 노인 및 치매 환자의 우울증에서 모클로베미드가 좋은 선택을 할 수 있다는 증거가 나왔다.[58]
역효과
부작용의 발생은 나이와 상관관계가 없지만, 부작용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자주 발생한다.[59] 모클로베미드는 일반적으로 안전한 항우울제로 간주되며 부작용 프로필이 좋아 1선 치료제 항우울제로 간주할 수 있다.[60] 모클로베미드 부작용은 예외적으로 낮은데,[20] 모클로베미드 치료 초기에는 불면증, 두통, 현기증이 가장 많이 보고되는 부작용이다.[61] 모클로베미드는 600mg의 고선량에서도 자동차 운전 능력을 손상시키지 않는다.[8][62] 모클로베미드의 허용성은 여성과 남성이 유사하며 노인들에게도 잘 허용된다.[63] 모클로베미드는 항고콜린제, 진정제, 심혈관계 부작용을[9] 일으키지 않아 부작용 측면에서 3회 반복적이고 돌이킬 수 없는 MAOI 항우울제보다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62]
돌이킬 수 없는 MAOI와는 달리, 모클로베미드와의 간 독성의 증거는 없다.[64] 모클로베미드는 다른 항우울제와 비교했을 때 효능 프로파일이 유사하며, 내성 및 안전성 측면에서는 기존의 MAOI와 삼발성 사이클보다 우수하다.[65] Moclobemide는 사이코모터 기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66] 다른 부작용으로는 메스꺼움, 불면증, 떨림, 가벼운 머리가 있다; 정형성 저혈압(서 있을 때 지짐)은 노인들 사이에서도 드물다.[12] 400 mg 이상의 주변 반응 시간에서 손상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행동 독성 또는 일상생활과 관련된 다른 장애는 모클로베미드와 함께 발생하지 않는다.[67] 말초적 외데마는 모클로베미드와 연관되어 있다.[68]
부작용 중 일부는 일시적인 것으로 치료 후 2주 이내에 사라진다.[69] 심각한 피로, 두통, 안절부절못, 신경과민, 수면장애 등은 모클로베미드 치료의 부작용으로 설명되어 왔다.[70] 몇몇 연구에서 역설적으로 우울증을 악화시킨 것이 일부 개인에게 보고되었고,[71] 자살이나 자살 관념에 대한 보고가 모클로베미드의 희귀한 역효과로 보고되었다.[72] 전반적으로, 항우울제는 자살 위험을 감소시킨다.[73] 모클로베미드는 작은 프로콘불화 효과만 가지고 있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지만 발작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74][75] 고혈압은 모클로베미드 치료와 함께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12]
모클로베미드는 비교적 잘 용인된다. 잠재적 부작용과 각각의 발생은 다음과 같다.[13][76]
- 공통(>1% 발생) 부작용
- 메스꺼움
- 입안건조
- 변비
- 설사증
- 불면증
- 현기증
- 불안
- 안절부절못
- 일반적이지 않은/희석(<1%) 부작용
- 잠드는 어려움
- 악몽/꿈
- 환각이나.
- 기억 장애
- 혼란
- 방향 감각 상실
- 망상
- 증가된 우울증
- 흥분/불성실성
- 하이포매니아
- 마니아
- 공격적인 행동
- 무관심
- 텐션
- 자살 관념
- 자살행위
- 편두통
- 외사성 효과
- 이명
- 파라스테르시
- 디사스리아
- 속쓰림
- 위염
- 유성론
- 소화불량
- 고혈압
- 브라디카르디아
- 외피
- 협심증/통증
- 혈전증상
- 플러싱
- Exanthema/rash
- 알레르기성 피부 반응
- 가려움증
- 진기비염
- 구내염
- 건조한 피부
- 결막염
- 프루리투스
- 두드러기
- 마찰 장애(디수리아, 다뇨증, 테네시무스)
- 자궁 출혈
- 장기 생리
- 일반 악성종양
- 골격/근육통
- 변화된 미각
- 뜨거운 플러시/콜드한 느낌
- 포토피아
- 디스프노아
- 시각 장애
- 관련 임상 후속편이 없는 간 효소 증가.
콘트라인커뮤니케이션
다음 위치에서 사용하지 마십시오.[10]
다음에서 주의할 것을 권고한다.[11]
- 동요/흥분된 환자
- 흉선독성증
상호작용
- 마약
모클로베미드는 되돌릴 수 없는 MAOI보다 상호작용이 적다. 그러나 시메티딘은 모클로베미드 수치가 유의하게 상승하므로 조합을 사용할 경우 더 낮은 모클로베미드 선량을 권장했다.[77] 모클로베미드와[77] 결합할 경우 알코올의 효과는 거의 증가하지 않으며, 실제로 모클로베미드는 알코올 관련 장애를 감소시킨다.[66] 또한 Moclobemide는 펫히딘/메페리딘, [78]덱스트로프로폭시페네와 상호작용한다.[65] 에페드린과 모클로베미드가 결합하면 심혈관 부작용 위험이 증가한다.[79] 모클로베미드는 또한 와파린과 상호작용할 가능성이 있다.[80] 모클로베미드와 처방전 또는 처방전 또는 처방전 교감 약물의 조합은 유의한 약물 상호작용의 가능성 때문에 권장되지 않는다.[81]
세로토닌 증후군은 모클로베미드가 다른 세로토닌 강화 약물과 함께 복용되었을 때 보고되었다. 그러나 모클로베미드의 가역성 MAO 억제 때문에 세로토닌 증후군은 이전의 되돌릴 수 없는 MAOI보다 모클로베미드와의 발생 가능성이 현저히 낮다.[10][82][83] 세로토닌 증후군은 트라조돈이 갑자기 모클로베미드(moclobemide)로 대체되면서 보고된 바 있다.[84] 클로미프라민 또는 SSRI와 같은 다른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를 중단한 후 동시에 복용하거나 너무 빨리 모클로베미드를 시작하는 것은 세로토닌 증후군의 발달을 초래할 수 있다.[65][85] 모클로베미드와 결합한 베네팍신과 같은 SNRI도 세로토닌 증후군과 연관되어 있다.[86] 시메티딘은 모클로베미드의 혈장 수치의 두 배가 된다.[8] 트리미프라민, 마프로틸린 및 기타 삼발성 항우울제의 혈장 농도는 모클로베미드와 함께 사용할 경우 증가하며, 이 조합을 치료 내성 우울증에 사용할 경우 복용량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87] 졸미트립탄의 제거는 모클로베미드(moclobemide)에 의해 감소되며, 조합을 사용할 경우 졸미트립탄의 복용량을 줄일 것을 권고한다.[88] 모클로베미드는 덱스트로메토르판의 신진대사를 감소시킨다.[89] 모클로베미드는 CYP2C19의 억제 때문에 디아제팜, 오메프라졸, 프로과닐, 프로프라놀올 등의 신진대사를 감소시킬 수 있다.[90]
- 식이요법
돌이킬 수 없는 MAOI는 티라미네와 같은 간접적인 동조 아민이 함유된 음식이나 음료를 섭취한 후 고혈압과 같은 불쾌하고 때때로 위험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이를 '치즈 효과'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부작용은 내장과 혈관신경의 MAO에 대한 되돌릴 수 없는 억제 때문이다. 그러나 모클로베미드 같은 가역성 MAOI 항우울제는 이와 관련하여 부작용 프로필이 매우 다르다.[8] 모클로베미드에 의한 MAO-A에 대한 가역적 결합은 티라민과 같은 아민이 MAO-A에서 모클로베미드를 대체하도록 허용하여 그것의 신진대사를 허용하고 되돌릴 수 없는 MAO 억제와 함께 발생하는 고혈압 위기의 위험을 제거한다.[91] 식이요법 제한 없이 최대 600mg의 용량으로 모클로베미드 치료를 받은 복수 임상시험 2300명 중 누구도 티라마인 매개비대 반응을 경험하지 못했다.[63] 모클로베미드의 가압기 효과가 매우 낮기 때문에, 돌이킬 수 없는 MAOI와는 대조적으로, 정상적인 식단을 섭취하는 사람들에게는 식이요법 제한이 필요하지 않다.[9] 그러나 티라민 수치가 높은 일부 희귀 치즈는 가압기 효과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92] 모클로베미드에 의한 타이라민의 프레스터 효과의 위력은 되돌릴 수 없는 MAOI의 7분의 1에서 10분의 1에 불과하다.[93] 이러한 효능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클로베미드의 사후 투여(식사 후 섭취)를 권장한다.[8] 모클로베미드와 셀레길린을 결합하면 티라민이 함유된 식품의 가압기 효과에 대한 민감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식이 제한이 필요하다.[94]
모클로베미드나 혼자서 복용하는 되돌릴 수 없는 MAO-B 선택억제제 셀레길린은 가압기 효과가 거의 없고, 식이 제한이 필요 없는 반면, 셀리길린과 모클로베미드의 조합은 가압기 효과를 상당히 향상시키게 되며, 그러한 조합은 다량의 타이를 함유한 식품의 식이 제한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라민.[95] 모클로베미드(moclobemide)와 가역성 MAO-B 억제제의 조합은 티라민 식단 제한을 필요로 한다.[96]
과다 복용
모클로베미드는 삼발성 항우울제, 불가역성 및 비선택성 MAOI 등 오래된 항우울제에 비해 과다복용 독성이 적은 것으로 [9]평가돼 노인이나 신체장애인에게 더 안전한 항우울제가 된다.[62] 임상시험 중 모클로베미드를 과다 복용한 18명 중 모두 완치돼 모클로베미드는 외래 사용뿐 아니라 입원환자에게도 안전하다는 판정을 받았다.[97] 모클로베미드를 단일 약물로 사용하는 알코올은 대개 순하지만, 트리사이클릭 또는 SSRI 항우울제와 결합할 경우 과다 복용이 훨씬 더 독성이 강하며 잠재적으로 치명적이다.[98][99] 모클로베미드(Moclobemide)는 과다복용 시 모클로베미드의 독성이 낮아 자살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 의사가 선호한다.[100] 혼합 주취 환자(예: 다른 CNS 활성 약물과 함께)는 심각하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증상을 보일 수 있으므로 입원해야 한다. 치료는 대부분 증상이므로 중요한 기능의 유지보수를 목표로 해야 한다.
인출 및 공차
다른 항우울제에[citation needed] 비해 모클로베미드(moclobemide)의 경우 금단증상이 매우 드물게 나타난다; 고선량 모클로베미드 치료제의 급격한 감소 후 7일간 비교적 가벼운 독감 같은 증상이 지속되는 단일 보고가 한 환자에게 보고되었다.[101] 모클로베미드 철수는 REM 수면의 반등을 일으킨다.[8]
모클로베미드는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로 인한 금단 증상을 예방하지 못하는 것 같다.[102]
모클로베미드의 중단은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하는 것이 좋다(예: 치료 중인 상태의 빠른 복귀 및/또는 금단 증상의 출현). moclobemide를 포함한 소수의 MAOI 사용자들에게 치료 효과에 대한 내성이 보고되었다.[14]
약리학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a/Moclobemide_150_mg_tablets.jpg/220px-Moclobemide_150_mg_tablets.jpg)
morpholine,[103]의 약물학적으로 모노아민의 oxidase-A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MAOI)의 형식(RIMA)[9]는 선택적, 가역 억제제로 노르 에피네프린(noradrenaline), 도파민, 특히 신경 세포뿐만 아니라 synaptic에서 serotonin[104][105]의 수준을 증가시키게 행동하 Moclobemide은 benzamide,[12]인 파생 상품.소포,extracellul또한 모노아민 수용체 자극 증가와 REM 수면 억제, 베타-3 아드레날린 수용체 다운 조절을 유발하는 ar 레벨도 증가한다. 단 300mg의 모클로베미드 복용량은 모노아민 산화효소-A(MAO-A)의 80%, 모노아민 산화효소-B(MAO-B)의 30%를 억제해 노레피네프린, 세로토닌, 도파민의 분해를 막을 수 있다. 설치류 모델에서 신경보호성을 가진 모클로베미드가 있다는 증거도 있다.[8] 장기간 복용 시 중앙에서 모클로베미드가 누적되는 영향은 없다.[8] 모클로베미드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B-어드레노수용체에 대한 상당한 하향규제가 있다.[8] 모클로베미드 100~300mg을 1회 복용하거나 반복 투여하면 아민의 탈암 대사물 감소(예: 3,4-dihydroxyphenylacetic acid, 3,4-dihydroxyphenylethylglycol) 및 5-HIAAA. 소변을 통한 호모바닐산과 바닐만델산의 배설도 줄어든다. 또한 초기 모클로베미드 100~300mg 섭취 시 일시적으로 프로락틴이 증가하기도 한다.[8] L-dihydroxyphenylalanine도 감소한다.[106] 세로토닌 대사물의 억제는 노레피네프린 대사물보다 덜 뚜렷하며, 이는 MAO-A 이외의 세로토닌에 대한 다른 주요 대사 경로가 있음을 시사한다.[107]
그것은 '저속 결합 억제제'로 설명되어 왔으며, 모클로베미드에 대한 순응적 변화나 MAO-A에 대한 효소가 서서히 더 단단하게 결합되는 복합체를 형성하여 모클로베미드에 의한 비경쟁적 MAO 억제를 초래한다.[8] 매일 3회 복용했을 때, MAO-A에 대한 억제제는 모클로베미드와 비교적 일정했다.[108] 모클로베미드의 MAO 억제는 약 8-10시간 지속되며 복용 후 24시간까지 완전히 사라진다.[8][105] 모클로베미드에 의한 MAO-A의 억제는 되돌릴 수 없는 MAOIs 페넬진보다 10배 더 강력하며, 대략 트랜스닐시프롬과 이소카복사지드에 해당한다.[8]
모클로베미드는 세포외 모노아민 수치를 증가시키고 랫드 뇌에서 대사물의 수치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영향에 대한 내성은 모클로베미드의 만성적인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지 않는 것 같다. 모클로베미드는 항이콜린 효과가 없고 인지장애는 모클로베미드(moclobemide)로 개선할 수 있다.[109] 모클로베미드는 주요 우울증의 병태생리학에 관여한다고 여겨지는 특정 염증 사이토카인의 무절제한 방출을 억제하고 항염증 사이토카인의 방출을 자극한다.[110] moclobemide를 사용한 장기 치료는 cAMP 의존 단백질 키나아제(prote kinase, PKA)에 대한 순환 아데노신 단인산(cAMP) 결합의 증가로 이어진다.[111]
모클로베미드는 화학적으로 되돌릴 수 없는 MAOI 항우울제와 무관하며, 오직 경구 투여 티라마인의 매우 약한 가압기 효과를 가지고 있을 뿐이다.[112] 인간의 경우, 모클로베미드와 모클로베미드의 나산화 대사물 자체는 MAO-A의 억제 대부분을 생성하는 화합물이다. 다른 대사물들은 모화합물보다 훨씬 덜 강력하다.[8]
건강한 사람의 경우 모클로베미드는 REM 수면에 대한 억제 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지만, 반대로 모클로베미드 치료를 받은 우울증 환자는 4주 동안 지속적으로 수면이 개선되고, 2단계 비급속 안구 운동(NREM) 수면과 급속한 안구 운동(REM) 수면이 증가하였다.[8] 모클로베미드가 코티솔 농도를 변화시키고 모클로베미드가 성장 호르몬 농도를 증가시키는지 여부에 관해 상반된 연구 결과가 있었다.[8] 테스토스테론 수치는 우울한 남성에게서 장기간 모클로베미드를 사용함에 따라 크게 증가한다.[113]
모클로베미드는 또한 항 저산소증 또는 항산염 효과에 신경보호성 성질을 가지고 있다; 모클로베미드가 셀레길린과 유사한 신경제거 성질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것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연구가 필요하다.[8] 모클로베미드는 또한 단일 선량 연구에서도 반흡수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114]
혈소판 MAO는 MAO-B이고 이것은 인간에게 있어서 아주 작은 정도까지만 억제된다; 그 억제력은 MAO-B 억제 특성을 가진 모클로베미드의 대사물들의 낮은 수치에 기인한다.[115] 모클로베미드는 쥐에서 MAO-A/MAO-B 억제제가 혼합된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인간에서는 순수한 MAO-A 억제제로 보고되어 [116]노레피네프린, 세로토닌, 도파민의 분해를 차단하고 있다. 신경전달물질에 대한 재흡수 억제는 일어나지 않는다. 약역학적 작용은 활성화, 기분 상승, 이상증, 피로, 집중의 어려움 등의 증상의 개선을 포함한다. 수면의 지속시간과 질이 개선될 수 있다. 우울증 치료에서 항우울제 효과는 치료 첫 주(TCA/SSRIs에서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것보다 이른 시간)에 종종 명백해진다.
MAO 억제는 24시간 후에 완전히 정상으로 복귀하는데, 이것은 모클로베미드를 마지막으로 복용한 후 24시간 이내에 다른 항우울제로 바꿀 수 있다.[8]
약동학
인간에서 모클로베미드는 빠르고 거의 완전히 흡수되어 간을 통해 완전히 대사된다.[117] 최고 혈장 수치는 경구 투여 후 0.3~2시간 후에 발생한다. 치료 첫 주 동안 생체이용률은 60%에서 80% 이상으로 증가한다. 제거 반감기는 약 2시간이다.[8][118] 혈장 단백질, 특히 알부민에 적당히 결합되어 있다.[8] 그러나, 반복 투여 후 짧은 처리 반감기는 다소 증가한다. moclobemide는 전신적 간극을 위한 중간 제거 반감기와 중간 유통량을 갖는다.[117] 짧은 반감기에도 불구하고 단일 투여량의 약동학적 작용은 약 16시간 동안 지속된다. 이 약은 간에서 거의 완전히 대사된다; 그것은 CYP2C19의 기질이며 CYP2C19, CYP2D6 및 CYP1A2의 억제제다.[119] 1% 미만의 약물은 변하지 않고 배설된다; 대사된 약물의 92%는 처음 12시간 이내에 배설된다.[6] 주요 대사물은 모폴린 N-oxidation을 통해 형성된 N-oxid Ro 12-5637과 모폴린 C-oxidation을 통해 형성된 락탐 유도 Ro 12-8095이다.[120][121] 활성 대사물은 미량에서만 발견된다. 대사물뿐만 아니라 변화하지 않은 약품(1% 미만)도 신장(소변)으로 배설된다. 모클로베미드의 주요 분해 경로는 산화다.[122] 간을 통한 첫 통과 효과로 약 44%가 소실된다.[123] 나이와 신장 기능은 모클로베미드의 약동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간 기능이 현저히 저하된 환자들은 모클로베미드의 신진대사가 현저하게 느려져 선량 감소가 필요하다.[124] 음식은 흡수를 느리게 하지만 모클로베미드의 생체이용률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8]
일주일이 지나면 꾸준한 주의 농도가 설정된다.[117] 1주일 미만의 간격을 두고 선량의 변화를 일으켜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4] 모클로베미드는 투여 후 2시간 후 중추신경계 내에서 혈장수치가 최고조에 달해 혈액뇌장벽 전체에 잘 침투한다.[125]
동물독성학
- 급성 독성: 마우스와 쥐의 구강 LD50 값은 상당히 높아 치료 지수가 넓은 것을 알 수 있다. 생쥐의 LD는50 730mg/kg이고 쥐의 LD는 1300mg/kg이다. 개에서 300mg/kg을 초과한 복용량은 구토, 침윤, 아탁시아, 졸음을 유발했다.
- 만성 독성: 10mg/kg의 쥐를 대상으로 한 18개월 연구에서는 만성 독성의 징후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50mg/kg과 250mg/kg의 무게만 약간 감소했으며, 250mg/kg의 알칼리성 인산염과 감마-GT를 약간 상승시켰다. 개에 대한 연구는 인간과 관련된 독성이 없다는 것을 밝혀냈다. 간 또는 심혈관 독성에 대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역사
돌이킬 수 없는 MAOI 항우울제는 1950년대에 우연히 발견되었으나 독성, 특히 위험한 음식 상호작용이 뚜렷해지고 경쟁적인 삼주기 항우울제가 발견되면서 그 인기가 떨어졌다. 가역성 MAOI는 우울증 장애에는 효험을 발휘하지만 오래된 불가역성 화합물의 독성은 감소할 것이라는 희망으로 개발되었다; Moclobemide의 발견과 마케팅은 위험한 티라미네 식품 상호작용의 부재와 강력한 항우울제 효과로 인해 MAOI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가져왔다.[16][126] 1992년 세계 시장에 모클로베미드가 출시되었다.[127] 모클로베미드는 모클로베미드 뿐만 아니라 SSRI와 같은 다른 새로운 항우울제들이 처방 패턴의 변화를 이끌며 우울증 관리를 위한 치료 선택권을 넓힌 최초의 가역성[128] MAO-A 억제제였다.[129]
1972년 스위스에서 모클로베미드가 발견되었을 때,[12] 처음에는 항균성 또는 항생제라는 가설이 제기되었지만, 검사 결과는 음성이었다. 항고콜린제 테스트에 근거한 항우울제 품질에 대한 검색도 음성으로 판명되었고, 모클로베미드는 그 구체적이고 가역적인 MAO-A 억제 품질이 검출되기 전에 항정신병제라는 의심을 받았다. 타이라마인 압력 반응에 대한 관련 간섭이 없는 것이 확립된 후, 1977년에 임상 시험이 시작되었고 추가 실험에서 RIMA의 광범위한 항우울제 활성을 확인했다.[130] 그것은 영국과 유럽에서 MAO-A의 첫 번째 가역적이고 선택적인 억제제로서 처음 승인되었고 현재 전세계 50개 이상의 국가에서 승인되었다.[12] 후속 연구 결과, 노인 환자에게는 모클로베미드가[131] 잘 허용되며 부작용, 허용성, 과다복용 측면에서 삼발성 항우울제보다 훨씬 우수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우울증 치료의 효과에 관해서, 모클로베미드는 모든 주요 항우울제 약품 등급만큼 효과적이기로 결정되었다. 돌이킬 수 없는 MAOI에 대한 사람들과 대조적으로 식이 제한이 필요하지 않으며 SSRI와 페티딘과 같은 다른 세로토닌 강화제와의 중요한 상호작용을 제외하고, 심각한 약물 상호작용은 거의 없으며 이러한 이점 때문에 모클로베미드는 의학적으로 비소를 제거하는 데 유익한 첨가물로 간주되었다.게다가,[83][132] 모클로베미드는 시중에 유통되는 대부분의 다른 항우울제와 달리 성기능의 모든 측면을 실제로 향상시키기 위해 발견되었다.[133] 그것은 임상 실습에서 사용되는 유일한 가역형 MAOI이다.[8] 모클로베미드의 약동적 성질이 연령별로 달라지지 않고, 노년층에서 인지력이 향상되고, 모클로베미드가 식품과 약물 상호작용 가능성이 낮다는 사실은 주요 우울증 치료의 새로운 길을 열었다.[8] 승인을 얻기 위해 필요한 실험을 수행하는 비용과 같은 재정적 인센티브가 부족하기 때문에, 미국 제약 시장에서는 moclobemide를 사용할 수 없다.[12] 2016년 브라질에서는 상업적인 이유로 모클로베미드가 단종되었다.[134]
사회와 문화
브랜드
그것은 전세계적으로 많은 상표명으로 팔리고 있다.[135]
브랜드 이름 목록 |
---|
It is sold under many trade names worldwide including Apo-Moclob, Apo-Moclobemide, Auromid, Aurorix, Bei Su, Biorix, Depnil, Eutac, Hai Bei Lin, Langtian, Manerix, Mobemid, Moclamine, Moclo A, Moclobemid - 1 A Pharma, Moclobemid AL, Moclobemid HEXAL, Moclobemid ratiopharm, Moclobemida, Moclobemida Genedec, Moclobemida Teva, Moclobemide Actavis, Moclobemide Aurobindo, Moclobemide CF, Moclobemide Mylan, Moclobemide Sandoz, Moclobemide Sopharma, Moclobemide Teva, Moclobemid-neuraxpharm, Moclobemid-ratiopharm, Moclobeta, Moclod, moclodura, Moclostad, Mocrim, Moklar, Teva-Moclobemide, Tian Tai, Ya Zheng, and Zorix.[135] |
참고 항목
참조
- ^ Fitton, A; Faulds, D; Goa, KL (April 1992). "Moclobemide. A review of its pharmacological properties and therapeutic use in depressive illness". Drugs. 43 (4): 561–596. doi:10.2165/00003495-199243040-00009. PMID 1377119.
- ^ a b c Freeman, H (December 1993). "Moclobemide". Lancet. 342 (8886–8887): 1528–1532. doi:10.1016/S0140-6736(05)80090-X. PMID 7902906. S2CID 208793357.
- ^ a b Schoerlin, MP; Mayersohn, M; Korn, A; Eggers, H (October 1987). "Disposition kinetics of moclobemide, a monoamine oxidase-A enzyme inhibitor: single and multiple dosing in normal subjects".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42 (4): 395–404. doi:10.1038/clpt.1987.169. PMID 3665338. S2CID 46130982.
- ^ a b c Guentert TW, Tucker G, Korn A, Pfefen JP, Haefelfinger P, Schoerlin MP (1990). "Pharmacokinetics of moclobemide after single and multiple oral dosing with 150 milligrams 3 times daily for 15 days". Acta Psychiatr Scand Suppl. 360: 91–3. doi:10.1111/j.1600-0447.1990.tb05345.x. PMID 2248087. S2CID 8623387.
- ^ Gex-Fabry, M; Balant-Gorgia, AE; Balant, LP (February 1995). "Potential of concentration monitoring data for a short half-life drug: analysis of pharmacokinetic variability for moclobemide". Therapeutic Drug Monitoring. 17 (1): 39–46. doi:10.1097/00007691-199502000-00007. PMID 7725375. S2CID 7044652.
- ^ a b Jauch R, Griesser E, Oesterhelt G, et al. (1990). "Biotransformation of moclobemide in humans". Acta Psychiatr Scand Suppl. 360: 87–90. doi:10.1111/j.1600-0447.1990.tb05344.x. PMID 2248086. S2CID 41595227.
- ^ Scheen AJ (May 1994). "[Drug of the month. Moclobemide (Aurorix)]". Revue Médicale de Liège (in French). 49 (5): 291–2. PMID 8023056.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Nair NP, Ahmed SK, Kin NM (November 1993). "Bio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reversible inhibitors of MAO-A agents: focus on moclobemide". J Psychiatry Neurosci. 18 (5): 214–25. PMC 1188542. PMID 7905288.
- ^ a b c d e f g h Fulton B, Benfield P (September 1996). "Moclobemide. An update of its pharmacological properties and therapeutic use". Drugs. 52 (3): 450–74. doi:10.2165/00003495-199652030-00013. PMID 8875133.
- ^ a b c d e f Rossi, S, ed. (2013). Australian Medicines Handbook (2013 ed.). Adelaide: The Australian Medicines Handbook Unit Trust. ISBN 978-0-9805790-9-3.
- ^ a b c d Joint Formulary Committee (2013). British National Formulary (BNF) (65 ed.). London, UK: Pharmaceutical Press. ISBN 978-0-85711-084-8.
- ^ a b c d e f g h Lotufo-Neto F.; Trivedi M.; Thase M.E. (1999). "Meta-analysis of the reversible inhibitors of monoamine oxidase type A moclobemide and brofaromine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PDF). Neuropsychopharmacology. 20 (3): 226–247. doi:10.1016/S0893-133X(98)00075-X. PMID 10063483. S2CID 13181486.
- ^ a b "PRODUCT INFORMATION MOCLOBEMIDE SANDOZ® 150mg and 300mg TABLETS". TGA eBusiness Services. Sandoz. 6 March 2012. Retrieved 16 October 2013.
- ^ a b c Kennedy SH (March 1997). "Continuation and maintenance treatments in major depression: the neglected role of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J Psychiatry Neurosci. 22 (2): 127–31. PMC 1188835. PMID 9074307.
- ^ Cesura AM, Pletscher A (1992). "The new generation of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Progress in Drug Research / Fortschritte der Arzneimittelforschung / Progrès des recherches pharmaceutiques. Prog Drug Res. Vol. 38. pp. 171–297. doi:10.1007/978-3-0348-7141-9_3. ISBN 978-3-0348-7143-3. PMID 1609114.
- ^ a b Roth M, Guelfi JD (September 1992). "The efficacy of reversible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in depressive illness". Can J Psychiatry. 37 Suppl 1: 18–24. PMID 1394027.
- ^ Amrein, R.; Hetzel, W.; Stabl, M.; Schmid-Burgk, W. (Jan 1993). "RIMA--a new concept in the treatment of depression with moclobemide". Int Clin Psychopharmacol. 7 (3–4): 123–32. doi:10.1097/00004850-199300730-00001. PMID 8468432. S2CID 41433853.
- ^ Mitchell PB, Mitchell MS (September 1994). "The management of depression. Part 2. The place of the new antidepressants". Aust Fam Physician. 23 (9): 1771–3, 1776–81. PMID 7980178.
- ^ Lecrubier Y, Guelfi JD (1990). "Efficacy of reversible inhibitors of monoamine oxidase-A in various forms of depression". Acta Psychiatr Scand Suppl. 360: 18–23. doi:10.1111/j.1600-0447.1990.tb05319.x. PMID 2248063. S2CID 25480681.
- ^ a b Priest RG, Baldwin DS, Bullock T, Kibel D, Smeyatsky N, Steinert J (June 1992). "Recent advances in antidepressant drugs". S. Afr. Med. J. Suppl: 1–4. PMID 1609337.
- ^ Angst, J; Amrein, R; Stabl, M (August 1995). "Moclobemide and tricyclic antidepressants in severe depression: meta-analysis and prospective studies". Journal of Clinical Psychopharmacology. 15 (4 Suppl 2): 16S–23S. doi:10.1097/00004714-199508001-00004. PMID 7593725.
- ^ a b c d Priest, RG; Gimbrett, R; Roberts, M; Steinert, J (1995). "Reversible and selective inhibitors of monoamine oxidase A in mental and other disorders". Acta Psychiatr Scand Suppl. 386: 40–3. doi:10.1111/j.1600-0447.1995.tb05923.x. PMID 7717094. S2CID 25115362.
- ^ Spoov J, Suominen JY, Lahdelma RL, et al. (February 1993). "Do reversed depressive symptoms occur together as a syndrome?". J Affect Disord. 27 (2): 131–4. doi:10.1016/0165-0327(93)90086-Y. PMID 8440808.
- ^ Angst, J.; Scheidegger, P.; Stabl, M. (1993). "Efficacy of moclobemide in different patient groups. Results of new subscales of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Clin Neuropharmacol. 16 Suppl 2: S55–62. PMID 8313398.
- ^ Woggon, B. (Jan 1993). "The role of moclobemide in endogenous depression: a survey of recent data". Int Clin Psychopharmacol. 7 (3–4): 137–9. doi:10.1097/00004850-199300730-00003. PMID 8468434. S2CID 25765092.
- ^ Silverstone, T. (Jan 1993). "Moclobemide--placebo-controlled trials". Int Clin Psychopharmacol. 7 (3–4): 133–6. doi:10.1097/00004850-199300730-00002. PMID 8468433. S2CID 30905866.
- ^ Philipp M, Kohnen R, Benkert O (January 1993). "A comparison study of moclobemide and doxepin in major depress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effects on sexual dysfunction". Int Clin Psychopharmacol. 7 (3–4): 149–53. doi:10.1097/00004850-199300730-00005. PMID 8468436. S2CID 19429752.
- ^ Tikal K, Hrabánková M (June 1993). "[Indications for antidepressive agents in relation to disease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Cesk Psychiatr (in Czech). 89 (3): 163–5. PMID 8353831.
- ^ Delini-Stula A, Mikkelsen H, Angst J (October 1995). "Therapeutic efficacy of antidepressants in agitated anxious depression--a meta-analysis of moclobemide studies". J Affect Disord. 35 (1–2): 21–30. doi:10.1016/0165-0327(95)00034-K. PMID 8557884.
- ^ Versiani, M.; Oggero, U.; Alterwain, P.; Capponi, R.; Dajas, F.; Heinze-Martin, G.; Marquez, C. A.; Poleo, M. A.; Rivero-Almanzor, L. E. (1989). "A double-blind comparative trial of moclobemide v. imipramine and placebo in major depressive episode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Supplement (6): 72–77. ISSN 0960-5371. PMID 2695129.
- ^ Baumhackl, U.; Bizière, K.; Fischbach, R.; Geretsegger, C.; Hebenstreit, G.; Radmayr, E.; Stabl, M. (1989).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moclobemide compared with imipramine in depressive disorder (DSM-III): an Austrian double-blind, multicentre study".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Supplement (6): 78–83. ISSN 0960-5371. PMID 2695130.
- ^ Stabl, M.; Biziére, K.; Schmid-Burgk, W.; Amrein, R. (1989). "Review of comparative clinical trials. Moclobemide vs tricyclic antidepressants and vs placebo in depressive states". Journal of Neural Transmission. Supplementum. 28: 77–89. ISSN 0303-6995. PMID 2677244.
- ^ Amrein, Roman; Stabl, Max; Henauer, Stephan; Affolter, Eva; Jonkanski, Iris (1997-12-01).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Moclobemide in Comparison with Placebo, Tricyclic Antidepressants, and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in Elderly Depressed Patients: A Clinical Overview". The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42 (10): 1043–1050. doi:10.1177/070674379704201005. ISSN 0706-7437. PMID 9469236. S2CID 18651277.
- ^ a b Silverstone, T (August 2001). "Moclobemide vs. imipramine in bipolar depression: a multicentre double-blind clinical trial".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04 (2): 104–109. doi:10.1034/j.1600-0447.2001.00240.x. PMID 11473503. S2CID 5555349.
- ^ Mallinger, AG; Frank, E; Thase, ME; Barwell, MM; Diazgranados, N; Luckenbaugh, DA; Kupfer, DJ (2009). "Revisiting the effectiveness of standard antidepressants in bipolar disorder: are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superior?". Psychopharmacology Bulletin. 42 (4): 64–74. PMC 3570273. PMID 19629023.
- ^ Versiani M, Nardi AE, Figueira I (July 1998). "Pharmacotherapy of dysthymia: review and new findings". Eur. Psychiatry. 13 (4): 203–9. doi:10.1016/S0924-9338(98)80005-9. PMID 19698626.
- ^ Nutt D, Montgomery SA (June 1996). "Moclobemide in the treatment of social phobia". Int Clin Psychopharmacol. 11 Suppl 3 (3): 77–82. doi:10.1097/00004850-199606000-00013. PMID 8923114. S2CID 2463856.
- ^ Blanco, C.; Bragdon, L. B.; Schneier, F. R.; Liebowitz, M. R. (2012). "The evidence-based pharmacotherapy of social anxiety disorder".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Neuropsychopharmacology. 16 (1): 235–249. doi:10.1017/S1461145712000119. PMID 22436306.
- ^ Versiani M, Nardi AE, Mundim FD, Alves AB, Liebowitz MR, Amrein R (September 1992). "Pharmacotherapy of social phobia. A controlled study with moclobemide and phenelzine". Br J Psychiatry. 161 (3): 353–60. doi:10.1192/bjp.161.3.353. PMID 1393304.
- ^ Versiani M, Amrein R, Montgomery SA (September 1997). "Social phobia: long-term treatment outcome and prediction of response--a moclobemide study". Int Clin Psychopharmacol. 12 (5): 239–54. doi:10.1097/00004850-199709000-00001. PMID 9466158. S2CID 7144850.
- ^ 우도 보닛. 독일 에센 에센 대학의 정신의학과 심리치료학. "모클로베미드: 치료적 사용과 임상 연구" 114-116.
- ^ Berlin, I.; Saïd, S.; Spreux-Varoquaux, O.; Launay, JM.; Olivares, R.; Millet, V.; Lecrubier, Y.; Puech, AJ. (Oct 1995). "A reversible monoamine oxidase A inhibitor (moclobemide) facilitates smoking cessation and abstinence in heavy, dependent smokers". Clin Pharmacol Ther. 58 (4): 444–52. doi:10.1016/0009-9236(95)90058-6. PMID 7586937. S2CID 25252395.
- ^ Hughes, JR.; Stead, LF.; Lancaster, T. (2007). Hughes, John R (ed.). "Antidepressants for smoking cessation". Cochrane Database Syst Rev (1): CD000031. doi:10.1002/14651858.CD000031.pub3. PMID 17253443.
- ^ Tiller JW, Bouwer C, Behnke K (October 1997). "Moclobemide for anxiety disorders: a focus on moclobemide for panic disorder". Int Clin Psychopharmacol. 12 Suppl 6: S27–30. doi:10.1097/00004850-199710006-00006. PMID 9466172. S2CID 23852733.
- ^ Heymann, RE.; Paiva, Edos S.; Helfenstein, M.; Pollak, DF.; Martinez, JE.; Provenza, JR.; Paula, AP.; Althoff, AC.; Souza, EJ.; Neubarth, Fernando; Lage, Lais Verderame; Rezende, Marcelo Cruz; Assis, Marcos Renato de; Lopes, Maria Lucia Lemos; Jennings, Fabio; Araújo, Rejane Leal C. da Costa; Cristo, Valéria Valim; Costa, Evelin Diana Goldenberg; Kaziyama, Helena Hideko S.; Yeng, Lin Tchia; Iamamura, Marta; Saron, Thais Rodrigues Pato; Nascimento, Osvaldo J. M.; Kimura, Luiz Koiti; Leite, Vilnei Mattioli; Oliveira, Juliano; Araújo, Gabriela Tannus Branco de; Fonseca, Marcelo Cunio Machado (2010). "Brazilian consensus on the treatment of fibromyalgia". Rev Bras Reumatol. 50 (1): 56–66. doi:10.1590/S0482-50042010000100006. PMID 21125141.
- ^ Claman JM (June 1993). "The potential effectiveness of moclobemide, the new monoamine oxidase inhibitor, in the prophylaxis of migraine". Headache. 33 (6): 339. doi:10.1111/j.1526-4610.1993.hed3306339.x. PMID 8349478. S2CID 31179729.
- ^ Meienberg O, Amsler F (July 1997). "[Preventive treatment of migraine and chronic tension headache with moclobemide]". Praxis (Bern 1994) (in German). 86 (27–28): 1107–12. PMID 9324719.
- ^ Liebowitz MR, Hollander E, Schneier F, et al. (1990). "Reversible and irreversible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in other psychiatric disorders". Acta Psychiatr Scand Suppl. 360: 29–34. doi:10.1111/j.1600-0447.1990.tb05321.x. PMID 2248064. S2CID 30319319.
- ^ Menkes DB, Thomas MC, Phipps RF (September 1994). "Moclobemide for menopausal flushing". Lancet. 344 (8923): 691–2. doi:10.1016/S0140-6736(94)92131-8. PMID 7915384. S2CID 43226134.
- ^ Sieradzan K, Channon S, Ramponi C, Stern GM, Lees AJ, Youdim MB (August 1995).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moclobemide, a reversible selective monoamine oxidase A inhibitor in Parkinson's disease". J Clin Psychopharmacol. 15 (4 Suppl 2): 51S–59S. doi:10.1097/00004714-199508001-00010. PMID 7593732.
- ^ Baumann P (December 1996). "Pharmacokinetic-pharmacodynamic relationship of the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Clin Pharmacokinet. 31 (6): 444–69. doi:10.2165/00003088-199631060-00004. PMID 8968657. S2CID 31923953.
- ^ Hill S, Yau K, Whitwam J (1992). "MAOIs to RIMAs in anaesthesia--a literature review". Psychopharmacology. 106 Suppl: S43–5. doi:10.1007/bf02246234. PMID 1546140. S2CID 11555131.
- ^ Blom-Peters, L.; Lamy, M. (1993).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and anesthesia: an updated literature review". Acta Anaesthesiol Belg. 44 (2): 57–60. PMID 8237297.
- ^ Alevizos B, Hatzimanolis J, Markianos M, Stefanis CN (April 1993). "Clinical, endocrine and neurochemical effects of moclobemide in depressed patients". Acta Psychiatr Scand. 87 (4): 285–90. doi:10.1111/j.1600-0447.1993.tb03373.x. PMID 8488751. S2CID 7859228.
- ^ Chan-Palay V (1992). "Depression and senile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a role for moclobemide". Psychopharmacology. 106 Suppl: S137–9. doi:10.1007/bf02246259. PMID 1546130. S2CID 22599717.
- ^ De Vanna, M; Kummer, J; Agnoli, A; Gentili, P; Lorizio, A; Anand, R (1990). "Moclobemide compared with second-generation antidepressants in elderly people". Acta Psychiatr Scand Suppl. 360: 64–6. doi:10.1111/j.1600-0447.1990.tb05335.x. PMID 2248077. S2CID 25514792.
- ^ Tiller JW (1992). "Post-stroke depression". Psychopharmacology. 106 Suppl: S130–3. doi:10.1007/bf02246257. PMID 1546128. S2CID 7694939.
- ^ Wesnes K, Anand R, Lorscheid T (1990). "Potential of moclobemide to improve cerebral insufficiency identified using a scopolamine model of aging and dementia". Acta Psychiatr Scand Suppl. 360: 71–2. doi:10.1111/j.1600-0447.1990.tb05338.x. PMID 2248080. S2CID 43677453.
- ^ Guentert TW, Banken L, Hilton S, Holford NH (August 1995). "Moclobemide: relationships between dose, drug concentration in plasma, and occurrence of adverse events". J Clin Psychopharmacol. 15 (4 Suppl 2): 84S–94S. doi:10.1097/00004714-199508001-00014. PMID 7593736.
- ^ Swinkels JA, de Jonghe F (January 1995). "Safety of antidepressants". Int Clin Psychopharmacol. 9 Suppl 4: 19–25. doi:10.1097/00004850-199501004-00003. PMID 7622819. S2CID 37450365.
- ^ Moll E, Neumann N, Schmid-Burgk W, Stabl M, Amrein R (1994). "Safety and efficacy during long-term treatment with moclobemide". Clin Neuropharmacol. 17 Suppl 1: S74–87. doi:10.1097/00002826-199417001-00009. PMID 7954486. S2CID 33885246.
- ^ a b c Fitton A, Faulds D, Goa KL (April 1992). "Moclobemide. A review of its pharmacological properties and therapeutic use in depressive illness". Drugs. 43 (4): 561–96. doi:10.2165/00003495-199243040-00009. PMID 1377119.
- ^ a b Versiani M, Nardi AE, Figueira IL, Stabl M (1990). "Tolerability of moclobemide, a new reversible inhibitor of monoamine oxidase-A, compared with other antidepressants and placebo". Acta Psychiatr Scand Suppl. 360: 24–8. doi:10.1111/j.1600-0447.1990.tb05320.x. PMID 2123366. S2CID 46436750.
- ^ Amrein R, Hetzel W, Stabl M, Schmid-Burgk W (September 1992). "RIMA: a safe concept in the treatment of depression with moclobemide". Can J Psychiatry. 37 Suppl 1: 7–11. PMID 1394030.
- ^ a b c Norman TR, Burrows GD (January 1995). "A risk-benefit assessment of moclobemide in the treatment of depressive disorders". Drug Saf. 12 (1): 46–54. doi:10.2165/00002018-199512010-00004. PMID 7741983. S2CID 37305194.
- ^ a b Tiller JW (1990). "Antidepressants, alcohol and psychomotor performance". Acta Psychiatr Scand Suppl. 360: 13–7. doi:10.1111/j.1600-0447.1990.tb05318.x. PMID 2248062. S2CID 40365188.
- ^ Hindmarch I, Kerr J (1992). "Behavioural toxicity of antidepressant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moclobemide". Psychopharmacology. 106 Suppl: S49–55. doi:10.1007/bf02246236. PMID 1546141. S2CID 27815494.
- ^ Alderman CP, Callary JA, Kent AL (July 1992). "Peripheral oedema associated with moclobemide". Med. J. Aust. 157 (2): 144. doi:10.5694/j.1326-5377.1992.tb137069.x. PMID 1630391.
- ^ Tiller JW, Johnson GF, Burrows GD (August 1995). "Moclobemide for depression: an Australian psychiatric practice study". J Clin Psychopharmacol. 15 (4 Suppl 2): 31S–34S. doi:10.1097/00004714-199508001-00006. PMID 7593727.
- ^ Rimón, R.; Jääskeläinen, J.; Kaartinen, P.; Kalli, A.; Kilponen, E.; Koskinen, T.; Nikkilä, H.; Pirttiperä, V.; Seppälä, J. (Jan 1993). "Moclobemide versus imipramine in depressed out-patients: a double-blind multi-centre study". Int Clin Psychopharmacol. 7 (3–4): 141–7. doi:10.1097/00004850-199300730-00004. PMID 8468435. S2CID 41323843.
- ^ "Moclobemide: a reversible MAO-A-inhibitor showing weaker antidepressant effect than clomipramine in a controlled multicenter study. Danish University Antidepressant Group". J Affect Disord. 28 (2): 105–16. June 1993. doi:10.1016/0165-0327(93)90039-M. PMID 8354766.
- ^ Gram LF (September 1994). "[Antidepressive drug therapy,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2 cases reported in connection with moclobemide (Aurorix) therapy]". Ugeskrift for Læger (in Danish). 156 (38): 5542. PMID 7941097.
- ^ Isacsson G, Holmgren P, Druid H, Bergman U (August 1997). "The utilization of antidepressants--a key issue in the prevention of suicide: an analysis of 5281 suicides in Sweden during the period 1992-1994". Acta Psychiatr Scand. 96 (2): 94–100. doi:10.1111/j.1600-0447.1997.tb09912.x. PMID 9272192. S2CID 32663665.
- ^ Curran S, de Pauw K (February 1998). "Selecting an antidepressant for use in a patient with epilepsy. Safety considerations". Drug Saf. 18 (2): 125–33. doi:10.2165/00002018-199818020-00004. PMID 9512919. S2CID 32592676.
- ^ Bisserbe JC, Lépine JP (1994). "Moclobemide in social phobia: a pilot open study. GRP Group. Groupe de Recherche en Psychopharmacologie". Clin Neuropharmacol. 17 Suppl 1: S88–94. doi:10.1097/00002826-199417001-00010. PMID 7954487. S2CID 27531475.
- ^ "NAME OF THE DRUG AURORIX". TGA eBusiness Services. Meda Valeant Pharma Australia Pty Limited. 7 January 2013. Retrieved 16 October 2013.
- ^ a b Zimmer R, Gieschke R, Fischbach R, Gasic S (1990). "Interaction studies with moclobemide". Acta Psychiatr Scand Suppl. 360: 84–6. doi:10.1111/j.1600-0447.1990.tb05343.x. PMID 2248085. S2CID 46550463.
- ^ Amrein R, Güntert TW, Dingemanse J, Lorscheid T, Stabl M, Schmid-Burgk W (1992). "Interactions of moclobemide with concomitantly administered medication: evidence from pharmacological and clinical studies". Psychopharmacology. 106 Suppl: S24–31. doi:10.1007/bf02246229. PMID 1546135. S2CID 10570722.
- ^ Dingemanse J (January 1993). "An update of recent moclobemide interaction data". Int Clin Psychopharmacol. 7 (3–4): 167–80. doi:10.1097/00004850-199300730-00008. PMID 8468439. S2CID 11427093.
- ^ Duncan D, Sayal K, McConnell H, Taylor D (March 1998). "Antidepressant interactions with warfarin". Int Clin Psychopharmacol. 13 (2): 87–94. doi:10.1097/00004850-199803000-00006. PMID 9669190. S2CID 39487146.
- ^ Livingston MG, Livingston HM (April 1996).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An update on drug interactions". Drug Saf. 14 (4): 219–27. doi:10.2165/00002018-199614040-00002. PMID 8713690. S2CID 46742172.
- ^ Hilton SE, Maradit H, Möller HJ (1997). "Serotonin syndrome and drug combinations: focus on MAOI and RIMA". Eur Arch Psychiatry Clin Neurosci. 247 (3): 113–9. doi:10.1007/BF03033064. PMID 9224903. S2CID 25320878.
- ^ a b Tiller JW (September 1993). "Clinical overview on moclobemide".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17 (5): 703–12. doi:10.1016/0278-5846(93)90054-V. PMID 8255982. S2CID 8473676.
- ^ Zivanović O, Till E (1992). "[Serotonin syndrome--a case account]". Med. Pregl. 45 (3–4): 116–8. PMID 16104086.
- ^ Spigset O, Mjörndal T, Lövheim O (January 1993). "Serotonin syndrome caused by a moclobemide-clomipramine interaction". BMJ. 306 (6872): 248. doi:10.1136/bmj.306.6872.248. PMC 1676747. PMID 8443525.
- ^ Roxanas MG, Machado JF (May 1998). "Serotonin syndrome in combined moclobemide and venlafaxine ingestion". Med. J. Aust. 168 (10): 523–4. doi:10.5694/j.1326-5377.1998.tb141428.x. PMID 9631680.
- ^ König F, Wolfersdorf M, Löble M, Wössner S, Hauger B (July 1997). "Trimipramine and maprotiline plasma levels during combined treatment with moclobemide in therapy-resistant depression". Pharmacopsychiatry. 30 (4): 125–7. doi:10.1055/s-2007-979497. PMID 9271778.
- ^ Rolan P (October 1997). "Potential drug interactions with the novel antimigraine compound zolmitriptan (Zomig, 311C90)". Cephalalgia. 17 Suppl 18 (18_suppl): 21–7. doi:10.1177/0333102497017S1804. PMID 9399014. S2CID 30479192.
- ^ Härtter S, Dingemanse J, Baier D, Ziegler G, Hiemke C (January 1998). "Inhibition of dextromethorphan metabolism by moclobemide". Psychopharmacology. 135 (1): 22–6. doi:10.1007/s002130050481. PMID 9489930. S2CID 19450106.
- ^ "Moclobemide". go.drugbank.com. DrugBank online. Retrieved 7 March 2021.
Accession Number DB01171
- ^ Lavian, G.; Finberg, JP.; Youdim, MB. (1993). "The advent of a new generation of monoamine oxidase inhibitor antidepressants: pharmacologic studies with moclobemide and brofaromine". Clin Neuropharmacol. 16 Suppl 2: S1–7. PMID 8313392.
- ^ Da Prada M, Zürcher G, Wüthrich I, Haefely WE (1988). "On tyramine, food, beverages and the reversible MAO inhibitor moclobemide". J. Neural Transm. Suppl. 26: 31–56. PMID 3283290.
- ^ Zimmer R (1990). "Relationship between tyramine potentiation and monoamine oxidase (MAO) inhibition: comparison between moclobemide and other MAO inhibitors". Acta Psychiatr Scand Suppl. 360: 81–3. doi:10.1111/j.1600-0447.1990.tb05342.x. PMID 2248084. S2CID 9041656.
- ^ Heinonen EH, Myllylä V (July 1998). "Safety of selegiline (deprenyl) in the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Drug Saf. 19 (1): 11–22. doi:10.2165/00002018-199819010-00002. PMID 9673855. S2CID 9632549.
- ^ Korn A, Wagner B, Moritz E, Dingemanse J (1996). "Tyramine pressor sensitivity in healthy subjects during combined treatment with moclobemide and selegiline". Eur. J. Clin. Pharmacol. 49 (4): 273–8. doi:10.1007/BF00226327. PMID 8857072. S2CID 39823545.
- ^ Dingemanse J, Hussain Y, Korn A (April 1996). "Tyramine pharmacodynamics during combined administration of lazabemide and moclobemide". Int J Clin Pharmacol Ther. 34 (4): 172–7. PMID 8861736.
- ^ Hetzel W (1992). "Safety of moclobemide taken in overdose for attempted suicide". Psychopharmacology. 106 Suppl: S127–9. doi:10.1007/bf02246256. PMID 1546127. S2CID 26798620.
- ^ Myrenfors PG, Eriksson T, Sandsted CS, Sjöberg G (February 1993). "Moclobemide overdose". J. Intern. Med. 233 (2): 113–5. doi:10.1111/j.1365-2796.1993.tb00662.x. PMID 8433071. S2CID 221919828.
- ^ Neuvonen PJ, Pohjola-Sintonen S, Tacke U, Vuori E (December 1993). "Five fatal cases of serotonin syndrome after moclobemide-citalopram or moclobemide-clomipramine overdoses". Lancet. 342 (8884): 1419. doi:10.1016/0140-6736(93)92774-N. PMID 7901695. S2CID 39514927.
- ^ Isacsson G, Redfors I, Wasserman D, Bergman U (December 1994). "Choice of antidepressants: questionnaire survey of psychiatrists and general practitioners in two areas of Sweden". BMJ. 309 (6968): 1546–9. doi:10.1136/bmj.309.6968.1546. PMC 2541721. PMID 7819894.
- ^ Curtin, F.; Berney, P.; Kaufmann, C. (Sep 2002). "Moclobemide discontinuation syndrome predominantly presenting with influenza-like symptoms". J Psychopharmacol. 16 (3): 271–2. doi:10.1177/026988110201600314. PMID 12236637. S2CID 23038043.
- ^ Coupland NJ, Bell CJ, Potokar JP (October 1996).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withdrawal". J Clin Psychopharmacol. 16 (5): 356–62. doi:10.1097/00004714-199610000-00003. PMID 8889907.
- ^ Ghanbarpour A, Hadizadeh F, Piri F, Rashidi-Ranjbar P (April 1997). "Synthesis, conformational analysis and antidepressant activity of moclobemide new analogues". Pharm Acta Helv. 72 (2): 119–22. doi:10.1016/S0031-6865(97)00004-6. PMID 9112832.
- ^ Nair, N. P.; S. K. Ahmed; N. M. Kin (November 1993). "Bio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reversible inhibitors of MAO-A agents: focus on moclobemide". Journal of Psychiatry & Neuroscience. 18 (5): 214–225. PMC 1188542. PMID 7905288.
- ^ a b Haefely W, Burkard WP, Cesura AM, et al. (1992). "Bio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moclobemide, a prototype RIMA". Psychopharmacology. 106 Suppl: S6–14. doi:10.1007/bf02246225. PMID 1546143. S2CID 23563947.
- ^ Radat F, Berlin I, Spreux-Varoquaux O, Elatki S, Ferreri M, Puech AJ (October 1996). "Initial monoamine oxidase-A inhibition by moclobemide does not predict the therapeutic response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A double blind, randomized study". Psychopharmacology. 127 (4): 370–6. doi:10.1007/bf02806017. PMID 8923574. S2CID 52872435.
- ^ Holford NH, Guentert TW, Dingemanse J, Banken L (May 1994). "Monoamine oxidase-A: pharmacodynamics in humans of moclobemide, a reversible and selective inhibitor". Br J Clin Pharmacol. 37 (5): 433–9. doi:10.1111/j.1365-2125.1994.tb05710.x. PMC 1364898. PMID 7519866.
- ^ Dingemanse J, Berlin I, Payan C, Thiede HM, Puech AJ (1992).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moclobemide and toloxatone on monoamine oxidase activity and psychometric performance in healthy subjects". Psychopharmacology. 106 Suppl: S68–70. doi:10.1007/bf02246239. PMID 1546145. S2CID 22329953.
- ^ Haefely, W.; Burkard, WP.; Cesura, A.; Colzi, A.; Kettler, R.; Lorez, HP.; Martin, JR.; Moreau, JL.; et al. (1993). "Pharmacology of moclobemide". Clin Neuropharmacol. 16 Suppl 2: S8–18. PMID 8313402.
- ^ Lin A, Song C, Kenis G, et al. (April 2000). "The in vitro immunosuppressive effects of moclobemide in healthy volunteers". J Affect Disord. 58 (1): 69–74. doi:10.1016/S0165-0327(99)00076-2. PMID 10760560.
- ^ Mori S, Zanardi R, Popoli M, et al. (1998). "cAMP-dependent phosphorylation system after short and long-term administration of moclobemide". J Psychiatr Res. 32 (2): 111–5. doi:10.1016/S0022-3956(98)00003-X. PMID 9694007.
- ^ Da Prada M, Kettler R, Keller HH, Burkard WP, Haefely WE (1989). "Preclinical profiles of the novel reversible MAO-A inhibitors, moclobemide and brofaromine, in comparison with irreversible MAO inhibitors". J. Neural Transm. Suppl. 28: 5–20. PMID 2677242.
- ^ Markianos M, Alevizos V, Stefanis C (1991). "Plasma sex hormones and urinary biogenic amine metabolites during treatment of male depressed patients with the monoamine oxidase inhibitor moclobemide". Neuro Endocrinology Letters. 13 (1): 49–55. ISSN 0172-780X.
- ^ Coquoz D, Porchet HC, Dayer P (September 1993). "Central analgesic effects of desipramine, fluvoxamine, and moclobemide after single oral dosing: a study in healthy volunteers". Clin. Pharmacol. Ther. 54 (3): 339–44. doi:10.1038/clpt.1993.156. PMID 8375130. S2CID 8229797.
- ^ Bitsios P, Langley RW, Tavernor S, et al. (June 1998).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moclobemide and selegiline on tyramine-evoked mydriasis in man". Br J Clin Pharmacol. 45 (6): 551–8. doi:10.1046/j.1365-2125.1998.00729.x. PMC 1873648. PMID 9663810.
- ^ Vallès B, Coassolo P, De Sousa G, Aubert C, Rahmani R (October 1993). "In vitro hepatic biotransformation of moclobemide (Ro 11-1163) in man and rat". Xenobiotica. 23 (10): 1101–11. doi:10.3109/00498259309059425. PMID 8259692.
- ^ a b c Mayersohn M, Guentert TW (November 1995). "Clinical pharmacokinetics of the monoamine oxidase-A inhibitor moclobemide". Clin Pharmacokinet. 29 (5): 292–332. doi:10.2165/00003088-199529050-00002. PMID 8582117. S2CID 25628650.
- ^ Leikin, Jerrold B.; Paloucek, Frank P. (2007). "Moclobemide". Poisoning and toxicology handbook (4th ed.). Informa Health Care. p. 1331. ISBN 978-1-4200-4479-9. Retrieved 26 May 2009.
- ^ Gram L. F.; Guentert T. W.; Grange S.; et al. (June 1995). "Moclobemide, a substrate of CYP2C19 and an inhibitor of CYP2C19, CYP2D6, and CYP1A2: A panel study". Clinical Pharmacology & Therapeutics. 57 (6): 670–677. doi:10.1016/0009-9236(95)90230-9. ISSN 0009-9236. PMID 7781267. S2CID 24783014.
- ^ Härtter S.; Dingemanse J.; Baier D.; et al. (August 1996). "The role of cytochrome P450 2D6 in the metabolism of moclobemide". European Neuropsychopharmacology. 6 (3): 225–230. doi:10.1016/0924-977X(96)00023-5. PMID 8880082. S2CID 34201446.
- ^ Gram LF, Brøsen K (June 1993). "Moclobemide treatment causes a substantial rise in the sparteine metabolic ratio. Danish University Antidepressant Group". Br J Clin Pharmacol. 35 (6): 649–52. doi:10.1111/j.1365-2125.1993.tb04196.x. PMC 1381610. PMID 8329293.
- ^ Schoerlin MP, Guentert TW (August 1989). "[Pharmacokinetics and metabolism of reversible MAO-A inhibitors in the human]". Psychiatr Prax (in German). 16 Suppl 1: 11–7. PMID 2685852.
- ^ Raaflaub J, Haefelfinger P, Trautmann KH (1984). "Single-dose pharmacokinetics of the MAO-inhibitor moclobemide in man". Arzneimittelforschung. 34 (1): 80–2. PMID 6538424.
- ^ Goldberg RJ (August 1997). "Antidepressant use in the elderly. Current status of nefazodone, venlafaxine and moclobemide". Drugs Aging. 11 (2): 119–31. doi:10.2165/00002512-199711020-00004. PMID 9259175. S2CID 24440475.
- ^ Berlin I, Zimmer R, Thiede HM, et al. (December 1990). "Comparison of the monoamine oxidase inhibiting properties of two reversible and selective monoamine oxidase-A inhibitors moclobemide and toloxatone, and assessment of their effect on psychometric performance in healthy subjects". Br J Clin Pharmacol. 30 (6): 805–16. doi:10.1111/j.1365-2125.1990.tb05445.x. PMC 1368300. PMID 1705137.
- ^ Rudorfer MV (1992).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reversible and irreversible". Psychopharmacol Bull. 28 (1): 45–57. PMID 1609042.
- ^ Hilton S, Jaber B, Ruch R (August 1995). "Moclobemide safety: monitoring a newly developed product in the 1990s". J Clin Psychopharmacol. 15 (4 Suppl 2): 76S–83S. doi:10.1097/00004714-199508001-00013. PMID 7593735.
- ^ Volz HP, Gleiter CH, Möller HJ (May 1996).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in psychiatry. Status of current knowledge]". Nervenarzt (in German). 67 (5): 339–47. PMID 9005342.
- ^ Mitchell PB, Mitchell MS (August 1994). "The management of depression. The place of the new antidepressants. Part 1. General overview". Aust Fam Physician. 23 (8): 1555–9, 1562. PMID 7980156.
- ^ Angst J, Amrein R, Stabl M (June 1996). "Moclobemide: a paradigm of research in clinical psychopharmacology". Int Clin Psychopharmacol. 11 Suppl 3: 3–7. doi:10.1097/00004850-199606003-00002. PMID 8923103. S2CID 37604541.
- ^ Amrein R, Stabl M, Henauer S, Affolter E, Jonkanski I (December 1997).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moclobemide in comparison with placebo, tricyclic antidepressants, and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in elderly depressed patients: a clinical overview". Can J Psychiatry. 42 (10): 1043–50. doi:10.1177/070674379704201005. PMID 9469236. S2CID 18651277.
- ^ Bech P (August 1993). "Acute therapy of depression". J Clin Psychiatry. 54 Suppl: 18–27, discussion 28. PMID 8253702.
- ^ Chebili S, Abaoub A, Mezouane B, Le Goff JF (1998). "[Antidepressants and sexual stimulation: the correlation]". Encephale (in French). 24 (3): 180–4. PMID 9696909.
- ^ "Aurorix®(moclobemida) - Meda". www.medapharma.com.br (in Brazilian Portuguese). Retrieved 2018-09-17.
- ^ a b "Moclobemide International Brands". Drugs.com. Retrieved 3 June 2017.
추가 읽기
- 오로릭스에 관한 과학 정보 (독일어)
- PubChem 물질 요약: Moclobemide National Center for Biology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