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미야
Karramiyya카라미야(아랍어: كرّاي,,, 로마자: Karramiyah)는 원래 이슬람 세계의 중앙과 동부, 특히 이란 지역에서 9세기부터 13세기 몽골 침략까지 번성했던 하나피-무르지아 종파였다.
이 종파는 9세기 후라산에서 인기 있는 설교자였던 무함마드 이븐 카람[3](d. 896년)이라는 시스타니가 니사푸르 인근 지역에서 창시했다. 그는 후에 많은 추종자들과 함께 예루살렘으로 이민을 갔다. 그에 따르면, 카람 족은 "아부 압달라의 추종자"(아부 압달라)라고도 불렸다.[4] 주요 유통지역은 이란의 대호라산, 트란소시아나, 동부 주변지역이었다. 초기 가즈나비드 왕조와 초기 구리드 왕조는 카라므얀 통치권을 부여했다. 공동체의 가장 중요한 중심은 11세기 말까지 남아 있었다. 그 쇠퇴 후, 카람쥐야는 오늘날의 아프가니스탄 지역에 있는 가즈니와 고르에서만 살아남았다.
교리
카라미야 교리는 문학주의와 의인화로 구성되었다. 이븐 카람은 신이 물질이며, 그가 왕위와 접촉할 때 특정한 방향으로 유한한 신체(지즘)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다.[5][6][7] This belief was rejected by orthodox Sunni Muslim scholars such as: Abu Bakr al-Samarqandi (d. 268/881–2), al-Hakim al-Samarqandi (d. 342/953), 'Abd al-Qahir al-Baghdadi (d. 429/1037–8), and the Ash'ari-Maturidi scholars in general.
이븐 하자르 알헤이타미는 "하나님은 왕좌에 앉아 그것을 만지고 쉬고 계신다고 믿고 있다가 밤 마지막 3분의 1 동안 매일 밤 천상으로 내려갔다가 새벽에 그의 자리로 돌아간다"[8]고 진술했다.
그들은 또한 문카르와 나키르 천사들이 사실 모든 사람의 좌우에 있는 수호천사와 같다고 믿었다.[6]
카라미야도 세상은 영원하고 신의 힘은 한정되어 있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5]
이러한 믿음들은 많은 수니파 신학자들에게 이단적인 것으로 거부당했고 결국 사라졌다. 카라미야는 예배당을 운영하고 금욕주의를 전파했다.[9]
다른 집단주의 단체들과는 달리, 카라미야는 그들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 이성의 사용을 강조했다. [10][11][12][13]
참고 항목
참조
- ^ KERAMI ̇YE, TDV Islam Ansiklopedisi, v. 25, 페이지 294-296, 2002.
- ^ Karrāmiyya. BRILL. Retrieved August 28, 2014.
- ^ 이란어 백과사전, "카르라미야"
- ^ 인식되지 않는 카람 문자 두 통. 1988년 페이지 580년
- ^ Jump up to: a b Lewis, B.; Menage, V.L.; Pellat, Ch.; Schacht, J. (1997) [1st. pub. 1978]. Encyclopaedia of Islam. Volume IV (Iran-Kha) (New ed.). Leiden, Netherlands: Brill. p. 667. ISBN 9004078193.
volume=
추가 텍스트(도움말) - ^ Jump up to: a b J. Hoffman, Valerie (2012). The Essentials of Ibadi Islam. Syracuse University Press. p. 328. ISBN 978-0815650843. Retrieved August 28, 2014.
- ^ Fleming, Benjamin; Mann, Richard (2014). Material Culture and Asian Religions: Text, Image, Object. Routledge. p. 333. ISBN 978-1-135013738. Retrieved August 28, 2014.
- ^ 요세프 라포포르트와 샤하브 아흐메드, 이븐 타이미야와 히스 타임즈의 소개, 에드. 요세프 라포포르트와 샤하브 아흐메드(카라치: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10), 278
- ^ Porter Berkey, Jonathan (2003). The Formation of Islam: Religion and Society in the Near East, 600-1800. 2 (illustrated, reprint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286. ISBN 9780521588133. Retrieved August 28, 2014.
- ^ 하심, 압둘 쿠두스, 압둘 라흐만 마흐무드. "이수 멜리하트 알라 SWT 디 아크히라트 안타라 알부타 단 살라피야 세마사." 피키란 마샤라캇 5.1(2017): 41-49.
- ^ Zysow, Aron (15 October 2011). "KARRĀMIYA". Iranica. 15. Encyclopædia Iranica Foundation. pp. 590–601. Retrieved 1 October 2020.
Among later Muslim thinkers Ebn Taymiya (d. 728/1328) stands out as a sympathetic, if critical, student of Karrāmi theology, and he took it upon himself to write an extensive commentary on Faḵr-al-Din Rāzi’s anti-Karrāmi work Asās al-taqdis, in which he defended the traditionist and Karrāmi positions on the key points of dispute
- ^ A group of researchers under the supervision of 'Alawi ibn Abd al-Qadir as-Saqqaf. "كتاب موسوعة الفرق المنتسبة للإسلام - الدرر السنية". dorar.net.
وقام أيضا أبو عبدالله محمد بن كرام بسجستان ونواحيها ينصر مذهب أهل السنة والجماعة، والمثبتة للصفات والقدر وحب الصحابة وغير ذلك، ويرد على الجهمية والمعتزلة والرافضة وغيرهم، ويوافقهم على أصول مقالاتهم التي بها قالوا ما قالوا، ويخالفهم في لوازمها، كما خالفهم ابن كلاب والأشعري، لكن هؤلاء منتسبون إلى السنة والحديث، وابن كرام منتسب إلى مذهب أهل الرأي
- ^ Ibn Taymiyyah. Bayan al-Talbis al-Jahmiyyah (in Arab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