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리크레인

Kallikrein

칼리크레인은 단백질에서 펩타이드 결합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세린 단백질 분해효소의 하위 그룹이다.사람의 경우 혈장 칼리크레인(KLKB1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됨)은 알려진 패러로그가 없는 반면 조직 칼리크레인 관련 펩티드가수분해효소(KLKs)는 밀접하게 관련된 15개의 세린 단백질 분해효소 패밀리를 암호화한다.이 유전자들은 19q13 염색체에 국소화되어 인간 게놈 내에서 가장 큰 연속적인 단백질 분해효소 클러스터를 형성한다.칼리크라인은 혈압, 정액화, 피부 박리다양한 생리 기능의 조정을 담당합니다.

발생.

1934년, Eugen Werle은 인간과 다양한 동물들의 췌장에서 췌장이 기원으로 사용될 수 있을 만큼 많은 양의 물질을 발견했다고 보고했다.그는 췌장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여 칼리크레인이라고 이름 붙였다.그 이후로, 유사한 효소가 인간과 다른 포유류의 생물학적 액체에서 발견되었고, 일부 뱀 [1]독에서도 발견되었다.

베놈

라고아 크리스파타라고 알려진 애벌레는 피하 가시에 붙어 있는 독샘을 가지고 있는데,[2] 이것은 자연에서 칼리크레인이라고 특징지어지는 독을 생산하고 주입합니다.

솔레노돈북부짧은꼬리쥐와 같은 일부 랫드의 독은 칼리크레인 1 세린 단백질 [3]분해효소의 여러 복사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KLK1은 바이퍼와 같은 독사에게서 발견되는 세린 단백질 분해효소(serine protease)와 매우 유사하며 [5]생체 내에서 저혈압 효과를 일으키는 일반적인 독소 [4]전구체에서 병렬로 진화했다.

플라즈마 칼리크레인

혈장 칼리크레인을 코드하는 KLKB1 유전자는 염색체 4q34-35에 위치한다.활성되기 위해서는 단백질 분해 처리를 거쳐야 하는 불활성 전구체인 프리칼리크레인으로 합성된다.는 인자 XII, PRCP 또는 기타 자극에 의해 촉진된다.

혈장 칼리크레인은 [6][7]키니노겐으로부터 키닌(브래디키닌칼리딘)을 해방시켜 혈압 조절 및 염증 활성화를 담당하는 펩타이드입니다.또한 플라스미노겐에서 플라스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섬유소 분해(간단화).파란색 화살표는 자극을 나타내고 빨간색 화살표는 억제를 나타냅니다.

구조.

칼리크레인(Kallikrein)은 XI 인자와 상동성이며 4개의 사과 도메인과 1개의 세린 단백질 분해효소 도메인으로 구성됩니다.

조직 칼리크레인

혈장 칼리크레인과는 달리 조직 칼리크레인(KLKs)은 인체 전체에 발현되어 다양한 생리학적 역할을 수행합니다.일부 칼리크레인들은 다른 칼리크레인들의 활성화를 촉매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단백질 분해 효소와 관련된 몇 가지 캐스케이드가 항상성 기능의 조절에 관련되었다.

기능.

KLKB1과 마찬가지로 세 조직 칼리크레인 KLK1, KLK2, KLK12도 브라디키닌의 활성화를 [8]통한 혈압 조절에 관여한다.KLK2, KLK3, KLK4, KLK5, KLK14는 전립선에서 발현되며, 정액화 조절은 정액화[9][10]가수분해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피부의 탈진은 표피의 최외층에 발현되어 세포 접착 단백질을 절단하는 [11]KLK5, KLK7, KLK14에 의해 제어될 가능성이 있다.또한 KLK6KLK8은 중추신경계의 [12]신경가소성과 관련이 있다.

유전자

KLK1, KLK2, KLK3, KLK4, KLK5, KLK6, KLK7, KLK8, KLK9, KLK10, KLK11, KLK12, KLK13, KLK15개의 인체조직이 알려져 있습니다.

임상적 의의

칼리크레인 관련 펩티드가수분해효소는 [13][14]암의 가능한 바이오마커로서 약물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조사 대상이다.

전립선암종양 마커로서 전립선 특이항원(PSA; hk3, 인간 칼리크레인 유전자 3)과 인간선 칼리크레인(hK2)을 이용한다.

에칼란타이드, 라나델루맵, 베로트랄스탯은 칼리크레인(Kallikrein)을 억제하는 FDA 승인 약물로 유전성 혈관부종 관리에 사용할 수 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Raspi G (September 1996). "Kallikrein and kallikrein-like proteinases: purification and determination by chromatographic and electrophoretic methods". Journal of Chromatography. B, Biomedical Applications. 684 (1–2): 265–287. doi:10.1016/0378-4347(96)00144-2. PMID 8906477.
  2. ^ Lamdin JM, Howell DE, Kocan KM, Murphey DR, Arnold DC, Fenton AW, et al. (September 2000). "The venomous hair structure, venom and life cycle of Lagoa crispata, a puss caterpillar of Oklahoma". Toxicon. 38 (9): 1163–1189. doi:10.1016/s0041-0101(99)00195-6. PMID 10736472.
  3. ^ Casewell NR, Petras D, Card DC, Suranse V, Mychajliw AM, Richards D, et al. (December 2019). "Solenodon genome reveals convergent evolution of venom in eulipotyphlan mammal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6 (51): 25745–25755. doi:10.1073/pnas.1906117116. PMC 6926037. PMID 31772017.
  4. ^ Barua A, Koludarov I, Mikheyev AS (December 2021). "Co-option of the same ancestral gene family gave rise to mammalian and reptilian toxins". BMC Biology. 19 (1): 268. doi:10.1186/s12915-021-01191-1. PMC 8705180. PMID 34949191.
  5. ^ Kita M, Okumura Y, Ohdachi SD, Oba Y, Yoshikuni M, Nakamura Y, et al. (February 2005). "Purific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blarinasin, a new tissue kallikrein-like protease from the short-tailed shrew Blarina brevicauda: comparative studies with blarina toxin". Biological Chemistry. 386 (2): 177–182. doi:10.1515/BC.2005.022. hdl:2115/7398. PMID 15843162. S2CID 2884850.
  6. ^ Bhoola KD, Figueroa CD, Worthy K (March 1992). "Bioregulation of kinins: kallikreins, kininogens, and kininases". Pharmacological Reviews. 44 (1): 1–80. PMID 1313585.
  7. ^ Stefan Offermanns; Walter Rosenthal (2008). Encyclopedia of Molecular Pharmacology. Springer. pp. 673–. ISBN 978-3-540-38916-3. Retrieved 11 December 2010.
  8. ^ Giusti B, Serratì S, Margheri F, Papucci L, Rossi L, Poggi F, et al. (November 2005). "The antiangiogenic tissue kallikrein pattern of endothelial cells in systemic sclerosis". Arthritis and Rheumatism. 52 (11): 3618–3628. doi:10.1002/art.21383. PMID 16255054.
  9. ^ Michael IP, Pampalakis G, Mikolajczyk SD, Malm J, Sotiropoulou G, Diamandis EP (May 2006). "Human tissue kallikrein 5 is a member of a proteolytic cascade pathway involved in seminal clot liquefaction and potentially in prostate cancer progression".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1 (18): 12743–12750. doi:10.1074/jbc.M600326200. PMID 16517595.
  10. ^ Emami N, Diamandis EP (February 2008). "Human kallikrein-related peptidase 14 (KLK14) is a new activator component of the KLK proteolytic cascade. Possible function in seminal plasma and skin".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3 (6): 3031–3041. doi:10.1074/jbc.M707253200. PMID 18056261.
  11. ^ Ovaere P, Lippens S, Vandenabeele P, Declercq W (September 2009). "The emerging roles of serine protease cascades in the epidermis". Trends in Biochemical Sciences. 34 (9): 453–463. doi:10.1016/j.tibs.2009.08.001. PMID 19726197.
  12. ^ Tamura H, Ishikawa Y, Hino N, Maeda M, Yoshida S, Kaku S, Shiosaka S (February 2006). "Neuropsin is essential for early processes of memory acquisition and Schaffer collateral long-term potentiation in adult mouse hippocampus in vivo". The Journal of Physiology. 570 (Pt 3): 541–551. doi:10.1113/jphysiol.2005.098715. PMC 1479887. PMID 16308352.
  13. ^ Borgoño CA, Diamandis EP (November 2004). "The emerging roles of human tissue kallikreins in cancer". Nature Reviews. Cancer. 4 (11): 876–890. doi:10.1038/nrc1474. PMID 15516960. S2CID 382797.
  14. ^ Diamandis EP, Yousef GM (August 2002). "Human tissue kallikreins: a family of new cancer biomarkers". Clinical Chemistry. 48 (8): 1198–1205. doi:10.1093/clinchem/48.8.1198. PMID 12142373.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