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립세포종양
Granular cell tumor과립세포종양 | |
---|---|
![]() | |
중년 여성의 복벽 덩어리로 나타난 2cm 종양 | |
전문 | 종양학 ![]() |
과립세포종양은 어떤 피부나 점막 표면에서도 발병할 수 있는 종양이지만 혀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40%에 이른다.
아브리코스소프의 종양,[1] 세밀한 세포근종양,[1] 세밀한 세포신경피복종양,[1] 세밀한 세포슈완노마(Schwannoma)로도 알려져 있다.)[1]과립세포종양(GCTs)은 남성보다 여성들에게 더 자주 영향을 미친다.[2]
병리학
미세한 세포종양은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면역항생화학 및 초구조적 증거에 의해 증명될 수 있는 신경조직에서 파생된다. 이러한 병변들은 특징적으로 싱거운 핵, 풍부한 세포질, 미세한 어시노필릭 세포질 과립을 가진 다각형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종양 세포는 Schwann 세포의 기원이기 때문에 S-100에 대해 긍정적으로 착색한다. 종양의 악성 버전과 양성 버전 모두 존재하며, 악성 종양은 스핀들링, 높은 핵 대 세포질 비율, 플롬폴리스, 괴사와 같은 특징으로 역사학적으로 특징지어진다. [3]
PTPN11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레오파드 증후군의 맥락에서 복수의 미세한 세포 종양이 나타날 수 있다.[4]
이러한 종양들은 때때로 신장에서 유래된 (신장에 관련된) 신체의 신소체 또는 다른 연조직 신소체와 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치료
치료의 일차적인 방법은 의학적 방법이 아니라 외과적인 것이다. 양성 병변에는 방사선과 화학요법이 필요하지 않으며 악성 병변에는 효과적이지 않다.
양성 과립 세포종양은 절제 여백이 종양 침투가 없다고 판단될 때 재발률이 2%~8%에 이른다. 양성 과립 세포종양의 절제 여백이 종양 침투에 양성일 경우 재발률이 20%로 증가한다. 악성 병변은 공격적이고 수술로 근절하기 어렵고 재발률이 32%에 이른다.
역학
미세한 세포 종양은 신체의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머리와 목 부분은 45%에서 65%까지 영향을 받는다. 머리와 목 케이스 중 병변의 70%가 구강 내(통, 구강 점막, 경구개)에 위치한다. 두부와 목 부위에서 병변이 발견되는 다음으로 흔한 위치는 후두(10%)[5]이다. 과립 세포 종양은 내부 장기, 특히 상부 곡예비행장에서 발견된다. 질과립 세포 종양은 일반적으로 드물다.[6]
유방 세밀한 세포 종양은 자궁내 유방 스트로마에서 발생하며 수프라클라버신경의 피하지방 가지 분포 내에서 발생한다. 그들이 피부의 내경을 따라갈 때, 그들은 수축이나 수축과 같은 피부 변화를 보여줄 수 있다. 기존의 유방암과 달리 유선세포종양은 대부분 유방의 상부 내측 사분면에서 발견된다.[7] 초음파와 유방조영술을 통해 침습성 덕트암으로 잘못 진단할 수 있으므로 침습성 덕트암 진단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표현은 느리게 성장하는 행동이며, 세포질 내에 2차 리소솜의 다각형 축적을 형성한다. 과립 세포 종양은 전형적으로 외톨이로 되어 있고 3센티미터보다 큰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증식성장과 궤양의 발육은 이러한 종류의 종양이 양성이거나 악성일 수 있기 때문에 악성일 가능성이 있다. 악성종양은 드물고 모든 미세한 세포종양의 2%에 불과하다. [8]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d Rapini, Ronald P.; Bolognia, Jean L.; Jorizzo, Joseph L. (2007). Dermatology: 2-Volume Set. St. Louis: Mosby. pp. 1796, 1804. ISBN 978-1-4160-2999-1.
- ^ "Granular cell tumor Genetic and Rare Diseases Information Center (GARD) – an NCATS Program". Genetic and rare diseases information center. Retrieved 17 April 2018.
- ^ Neelon, D.; Lannan, F.; Childs, J. (Jan 2020). "Granular Cell Tumor". StatPearls. PMID 33085297.
- ^ Schrader, KA.; Nelson, TN.; De Luca, A.; Huntsman, DG.; McGillivray, BC. (Feb 2009). "Multiple granular cell tumors are an associated feature of LEOPARD syndrome caused by mutation in PTPN11". Clin Genet. 75 (2): 185–9. doi:10.1111/j.1399-0004.2008.01100.x. PMID 19054014.
- ^ 칸, 마이클 A. 기본 경구 및 최대 경구 병리학. 제1권 2001.
- ^ Danforth's obstetrics and gynecology. Gibbs, Ronald S., 1943-, Danforth, David N. (David Newton), 1912-1990. (10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8. ISBN 9780781769372. OCLC 187289377.CS1 maint: 기타(링크)
- ^ 아오야마, K, 가미오, T, 히라노, A등. 세밀한 세포종양: 여섯 가지 경우의 보고. 월드 J Surg Onc. 2012년 9월;10일(204)
- ^ 판버그-스미스 JC, 메이스-킨드블럼 JM 등. 연조직의 악성과립세포종양: 진단기준과 클리닉병리학적 상관관계. 아, J Surg Pathol. 1998년 7월;22 (7):779-94.
외부 링크
분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