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피증

Scleroderma
강피증
MercMorphea.JPG
모르페아라고 알려진 국소성 강피증의 일종
전문류마티스학
통상적인 개시중년[1]
종류들국소적인 전신성[2] 강피증
원인들불명[2]
위험요소가족력, 특정 유전적 요인, 실리카[3][4][5] 노출
진단 방법증상, 피부 생검, 혈액[6] 검사 등을 근거로 합니다.
차동 진단혼합결합조직질환,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다발성근염, 피부근염[1]
치료지원 케어[1]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메토트렉세이트,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2]
예후현지화: 표준 수명[7]
시스템:기대수명[3] 감소
빈도수.연간 100,000건당 3건([3]최소)

강피증피부, 혈관, 근육, 내부 [2][6][8]장기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자가면역질환의 집단이다.이 질병은 피부에 국한되거나 다른 장기와 [2]관련될 수 있다.증상으로는 피부가 두꺼워지고, 뻣뻣하고, 피로감을 느끼며, 차가운 [1]노출로 손가락이나 발가락으로 가는 혈류가 원활하지 않은 부분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CREST 증후군으로 알려진 이 질환의 한 가지 형태는 전형적으로 칼슘 침전, 레이노 증후군, 식도 문제, 손가락과 발가락의 피부의 두꺼움, 그리고 작고 확장[1]혈관의 영역야기합니다.

원인은 알 수 없지만 면역 반응이 [2]이상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위험 요인에는 가족력, 특정 유전적 요인, [3][4][5]실리카에 대한 노출 등이 포함됩니다.근본적인 메커니즘은 결합조직의 비정상적인 성장을 수반하는데, 이는 면역체계가 건강한 [6]조직을 공격한 결과로 여겨진다.진단은 피부 생검이나 혈액 [6]검사로 뒷받침되는 증상에 근거합니다.

치료법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치료를 통해 [2]증상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사용되는 약물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메토트렉세이트, 그리고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2]를 포함한다.결과는 [3]질병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국소적인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정상적[7]수명을 가지고 있다.전신질환자의 경우 기대수명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3] 이는 아형에 따라 달라집니다.폐, 위장,[3] 심장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매년 인구 100,000명당 3명꼴로 시스템 [3]형태가 발달합니다.이 질환은 대부분 [1]중년에 시작된다.여성이 [1]남성보다 더 자주 영향을 받는다.강피증상은 카를로 쿠르지오에 의해[9] 1753년에 처음 기술되었고 1842년에 [10]잘 문서화되었다.이 용어는 "딱딱한"을 뜻하는 그리스어 skleros와 "피부"[11][12]를 뜻하는 더마에서 유래했다.

징후 및 증상

피부병변이 있는 강피증 환자의 팔
전신성 경화증의 양손 원위 지골에 검고 빛나는 피부

잠재적인 징후 및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13][14][15]

원인

강피증은 유전적,[4][5][16][17]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HLA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일부 사례의 병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찬가지로 실리카, 방향족염소화 용제, 케톤, 트리클로로에틸렌, 용접 가스 및 백령 노출은 소수의 영향을 [4][5][16][17][18]받는 사람들의 상태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병태생리학

콜라겐 합성 증가(경화증을 유발), 소혈관 손상, T 림프구 활성화 및 변경된 결합 [19]조직 생성으로 특징지어진다.제안된 병인은 다음과 같습니다.[20][21][22][23][24]

  • 혈관 구조, 아마도 내피 수준에서 자극적인 사건으로 시작합니다.절개 사건은 아직 해명되지 않았지만 바이러스제, 산화 스트레스 또는 자가면역일 수 있다.내피세포 손상과 아포토시스가 뒤따르면서 조직 부종으로 초기 임상 단계에서 나타나는 혈관 누출을 초래한다.이 단계에서는 주로 Th1과 Th17 매개 질환이다.
  • 그 후 혈관신생 장애와 혈관형성 장애(내피 전구 세포 수가 적음)에 의해 혈관구조가 더욱 손상되며, 이는 항내피 세포 항체(AECA)의 존재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이러한 혈관신생 장애에도 불구하고, PDGFVEGF와 같은 혈관신생 전 성장 인자의 높은 수준은 이 질환을 가진 사람에게서 종종 나타난다.혈관확장과 혈관수축의 균형이 흐트러져 결과적으로 혈관수축이 된다.손상된 내피는 혈액 응고 형성의 원점 역할을 하며 허혈증 재발활성산소 생성에 기여합니다.이러한 후기는 Th2 극성으로 특징지어집니다.
  • 손상된 내피는 백혈구를 유인하기 위해 접착 분자와 화학물질을 상향 조절하여 토포이소머라아제 I을 포함한 다양한 산화 항원에 대한 내성 상실을 포함한 선천적이고 적응적인 면역 반응을 발달시킵니다.B세포 형질 세포로는 질병의 자가 면역 성분 furthers 성숙한다.T세포 하위 집합으로 발전했고 조직 섬유증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Th2 세포를 구별하다.Anti–topoisomerase 1항체, 차례로, 유형 Iinterferon 생산을 돋우다
  • 섬유아세포는 여러 사이토카인과 성장인자에 의해 모집 및 활성화되어 근섬유아세포를 생성한다.섬유아세포와 근섬유아세포에서 조절 불량 변환 성장인자 β(TGF-β) 신호전달은 강피증에 감염된 개인에 대한 여러 연구에서 관찰되었다.섬유아세포와 근섬유아세포의 활성화는 콜라겐 및 기타 관련 단백질의 과도한 축적을 초래하여 섬유화를 일으킨다.이 단계에서 B세포가 관여하고, B세포에 의해 생성된 IL-6 및 TGF-β가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여 세포외 매트릭스 생성을 증가시킨다.엔도셀린 신호 전달은 섬유증의 [25]병태 생리학에 관련되어 있다.

비타민 D는 그 질병의 병태 생리학에 관련되어 있다.비타민 D의 혈장 수치와 강피증 심각도 사이의 역상관관계가 알려져 있으며, 비타민 D는 면역계의 [26]작용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단.

전형적인 강피증은 전형적인 대칭성 피부 비후로 정의되며, 약 70%의 사례가 레이노 현상, 손톱 접힌 모세관 변화, 항핵 항체를 동반한다.영향을 받는 사람들은 전신 장기에 관여할 수 있다.강피증에 대한 단일 검사가 항상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진단은 종종 제외됩니다.비정형 강피증은 피부 변화 없이 또는 손가락이 붓는 경우에만 [27]이러한 변화의 변화를 보일 수 있다.

실험실 테스트는 항스크롤70(확산 전신 형태를 유발함) 또는 항원소체 항체(제한 전신 형태와 CREST 증후군을 유발함)와 같은 항이성질화효소 항체를 보여줄 수 있다.항U3 또는 항RNA 중합효소 [28]같은 다른 자가항체를 볼 수 있다.항중가닥 DNA 자가항체는 [citation needed]혈청에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차동

종종 다른 질병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29]

분류

강피증은 움직일 수 없고 국소적 및 [30]전신적 형태 모두에서 발생하는 질병인 피부와 같은 외형 또는 확산, 단단하고 매끄러운 상아색 부위의 출현으로 특징지어진다.

치료

증상이 완화되는 경우가 많지만, 강피증에 대한 치료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13][31]

면역 억제제에 의한 전신 질환 수정 치료가 자주 사용된다.[16][32][33][34][35][36]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억제제는 아자티오플린, 메토렉세이트, 시클로포스파미드, 마이코페놀레이트, 정맥면역글로불린, 리툭시맙, 시롤리머스, 에일페이스렙트 및 티로신인산화효소 억제제, 이미니브,[16][31][32][33][34][35][36][37] 닐로티니브다사티닙을 포함한다.

연구 중인 실험 치료법에는 엔도셀린 수용체 길항제, 티로신인산화효소 억제제, 베타글리칸 펩타이드, 할로푸기논, 바실릭시마브, 알렘투주맙, 아바타셉트조혈모세포 [38][39]이식이 포함된다.

강피증 치료용 면역조절제
작용[40][41] 메커니즘 투여[40] 경로 임신[40][42] 카테고리 주요 독성[40]
알레페이스프트 인간 백혈구 기능 항원-3의 CD2 부분에 결합함으로써 T림프구 활성화를 억제하는 모노클로널 항체. IM B(미국) 악성종양, 주사부위 반응, 혈전, 림프감소증, 간독성 및 감염.
아자티오프린 메르캅토푸린으로의 전환을 통해 림프구 증식을 억제하는 푸린 유사체 PO, IV D(Au) 골수 억제드물게 악성 종양, 간염, 감염, 간정현파 폐색 증후군 및 과민성 반응.
시클로포스파미드 DNA 염기쌍을 가교하는 질소 머스터드, 조혈세포의 파괴와 아포토시스를 유발합니다. PO, IV D(Au) 구토, 골수억제, 출혈성 방광염드물게 심부전, 폐섬유화, 간정현파폐쇄증후군, 악성종양, SIADH
다사티닙 다양한 혈관신생성장인자(PDGF 및 VEGF 포함)에 대한 티로신인산화효소 억제제. PO D(Au) 체액유지, 골수억제, 출혈, 감염, 폐고혈압, 전해질 이상 및 특이한 간독성, 심장기능장애/부전, 심근경색, QT 간격 연장, 신부전 및 과민증.
이마티닙 위와 같이 PO D(Au) 위와 같이 드물게 GI 천공, 무혈성 괴사, 횡문근융해증
면역글로불린 면역글로불린은 면역체계를 조절해 IV 없음 다르다
메토트렉세이트 부동액: 디히드로폴산 환원효소를 억제합니다. PO, IV, IM, SC, IT D(Au) 근억제, 폐독성, 간독성, 신경독성 및 드물게 신부전, 과민반응, 피부 및 뼈괴사, 골다공증
마이코페놀레이트 이노신1인산탈수소효소억제제, 림프구에서의 푸린생합성저하. PO, IV D(Au) 골수 억제, 혈전, 흔하지 않은 GI 천공/출혈 및 드물게 췌장염, 간염, 재생불량성 빈혈 및 순수 적혈구 무형성.
닐로티니브 dasatinib에 따라 PO D(Au) imatinib에 따라
리턱시마브 B림프구에 발현되는 CD20에 대한 모노클로널 항체 IV C(Au) 주입 관련 반응, 감염, 호중구 감소, 면역글로불린 수치 감소, 부정맥, 빈혈, 덜 흔하게 빈혈, 협심증, 심근경색, 심부전, 그리고 드물게 용혈성 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혈청 질환, 심각한 피부 질환, 폐침윤, 폐렴, 두개골 신경증(시 또는 청력 손실)진행성 다초점 뇌증.
시롤리무스 mTOR 억제제를 통해 사이토카인 유도 림프구 증식을 저감한다. PO C(Au) 호중구 감소증, 저칼라혈증, 간질성 폐질환, 심막유출, 흉수, 폐출혈, 신증후군, 간독성과 림프부종이 거의 없다.
PO = 구강.IV = 정맥주사.IM = 근육 내.SC = 피하.IT = 척추내.

위의 바람직한 임신 범주는 호주산이다(가능한 경우.사용할 수 없는 경우 미국 제품이 대체됩니다.

예후

2012년 현재 전신성 강피증의 5년 생존율은 약 85%인 반면, 10년 생존율은 70%[43]를 약간 밑돌았다.이것은 아형에 따라 다르다; 국소적인 강피증이 사망을 초래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전신 형태는 사망할 수 있고, 확산성 전신 형태는 제한된 형태보다 예후가 좋지 않다.주요 사망 원인폐고혈압, 폐섬유화증, 강피신위기다.[28]강피증이 있는 사람들은 또한 암 (특히 간, 폐, 혈액학, 방광암)에 걸릴 위험이 높으며 아마도 심혈관 [44][45][46][47][48][49][excessive citations]질환에 걸릴 수 있다.

호주의 한 코호트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1985년부터 2015년 사이에 강피증이 있는 사람의 평균 수명은 66세에서 74세로 증가했다(호주 평균 수명 [50]82세보다 약 8년 짧다.

역학

강피증은 20세에서 50세 사이에 가장 흔하게 나타나지만, 어떤 연령대도 영향을 [13][28]받을 수 있다.여성은 [28]남성보다 강피증에 걸릴 확률이 4배에서 9배 더 높다.

이 병은 [28]전 세계적으로 발견된다.미국에서, 유병률은 백만 명당 240명으로 추정되며, 연간 강피증 발병률은 백만 [28]명당 19명이다.마찬가지로 미국에서도 백인보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에게서 약간 더 흔하다.촉토 원주민들은 유럽계 미국인들보다 내부 [28]장기에 영향을 미치는 강피증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다.독일에서는 인구 100만명당 1000~150명,[43] 연간 발병률은 300~28명이다.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에서 연간 발병률은 인구 100만명당 233명이고 유병률은 100만명당 233명이다.[51]강피증은 아시아 [52]인구에서 덜 흔하다.

임신

임신 중 강피증은 복잡한 상황입니다; 그것은 엄마와 [53]아이 모두에게 위험을 증가시킵니다.전반적으로, 강피증은 임신 [53]연령의 태아 체중 감소와 관련이 있다.강피증 치료에는 종종 시클로포스파미드, 메토렉세이트, 마이코페놀레이트 등과 같은 알려진 테라토겐이 포함되므로 임신 중에는 이러한 약물을 주의 깊게 피하는 것이 [53]좋습니다.이러한 경우 히드록시클로로킨과 저용량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사용하여 질병을 [53]제어할 수 있습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c d e f g "Scleroderma". NORD (National Organization for Rare Disorders).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September 2016. Retrieved 14 July 2017.
  2. ^ a b c d e f g h "Scleroderma". GARD.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anuary 2017. Retrieved 14 July 2017.
  3. ^ a b c d e f g h Jameson, Larry (2018). "Chapter 353".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20th ed.). McGraw Hill.
  4. ^ a b c d Barnes J, Mayes MD (March 2012). "Epidemiology of systemic sclerosis: incidence, prevalence, survival, risk factors, malignancy, and environmental triggers". Current Opinion in Rheumatology. 24 (2): 165–70. doi:10.1097/BOR.0b013e32834ff2e8. PMID 22269658. S2CID 24050211.
  5. ^ a b c d Greenblatt MB, Aliprantis AO (January 2013). "The immune pathogenesis of scleroderma: context is everything". Current Rheumatology Reports. 15 (1): 297. doi:10.1007/s11926-012-0297-8. PMC 3539168. PMID 23288576.
  6. ^ a b c d "Handout on Health: Scleroderma". NIAMS. August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July 2017. Retrieved 15 July 2017.
  7. ^ a b Unsal, Erbil (2006). Current Opinions in Pediatric Rheumatology. Nova Publishers. p. 302. ISBN 97815945487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09-06.
  8. ^ Denton, Christopher P; Khanna, Dinesh (October 2017). "Systemic sclerosis". The Lancet. 390 (10103): 1685–99. doi:10.1016/s0140-6736(17)30933-9. PMID 28413064. S2CID 22247432.
  9. ^ Mackay, Ian R.; Rose, Noel R. (2006). The Autoimmune Diseases. Academic Press. p. 369. ISBN 9780080454740.
  10. ^ Firestein, Gary S.; Kelley, William N.; Budd, Ralph C. (2012). Kelley's Textbook of Rheumatology. Elsevier Health Sciences. p. 1366. ISBN 978-143771738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08-04.
  11. ^ Harper, Douglas. "scleroderma". Online Etymology Dictionary.
  12. ^ κκα μα.Liddell, Henry George, Scott, Robert; 페르세우스 프로젝트 그리스 영어 사전.
  13. ^ a b c Hajj-ali, RA (June 2013). "Systemic Sclerosis". Merck Manual Professional. Merck Sharp & Dohme Corp.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rch 2014. Retrieved 5 March 2014.
  14. ^ Jimenez, SA; Cronin, PM; Koenig, AS; O'Brien, MS; Castro, SV (15 February 2012). Varga, J; Talavera, F; Goldberg, E; Mechaber, AJ; Diamond, HS (eds.). "Scleroderma Clinical Presentation". Medscape Reference. WebM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rch 2014. Retrieved 5 March 2014.
  15. ^ Longo, D; Fauci, A; Kasper, D; Hauser, S; Jameson, J; Loscalzo, J (2011).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8th ed.). New York: McGraw-Hill Professional. ISBN 978-0-07174889-6.{{cite book}}: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페이지 필요]
  16. ^ a b c d Balbir-Gurman A, Braun-Moscovici Y (February 2012). "Scleroderma – new aspects in pathogenesis and treatment".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Rheumatology. 26 (1): 13–24. doi:10.1016/j.berh.2012.01.011. PMID 22424190.
  17. ^ a b Dospinescu P, Jones GT, Basu N (March 2013). "Environmental risk factors in systemic sclerosis". Current Opinion in Rheumatology. 25 (2): 179–83. doi:10.1097/BOR.0b013e32835cfc2d. PMID 23287382. S2CID 37543720.
  18. ^ Marie I, Gehanno JF, Bubenheim M, Duval-Modeste AB, Joly P, Dominique S, Bravard P, Noël D, Cailleux AF, Weber J, Lagoutte P, Benichou J, Levesque H (February 2014). "Prospective study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systemic sclerosis and occupational exposur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Autoimmunity Reviews. 13 (2): 151–56. doi:10.1016/j.autrev.2013.10.002. PMID 24129037.
  19. ^ Valančienė G, Jasaitienė D, Valiukevičienė S (2010). "Pathogenesis and treatment modalities of localized scleroderma" (PDF). Medicina. 46 (10): 649–56. doi:10.3390/medicina46100092. PMID 21393982.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14-03-06.
  20. ^ Katsumoto TR, Whitfield ML, Connolly MK (2011). "The pathogenesis of systemic sclerosis". Annual Review of Pathology. 6: 509–37. doi:10.1146/annurev-pathol-011110-130312. PMID 21090968.
  21. ^ Liakouli V, Cipriani P, Marrelli A, Alvaro S, Ruscitti P, Giacomelli R (August 2011). "Angiogenic cytokines and growth factors in systemic sclerosis". Autoimmunity Reviews. 10 (10): 590–94. doi:10.1016/j.autrev.2011.04.019. PMID 21549861.
  22. ^ Cipriani P, Marrelli A, Liakouli V, Di Benedetto P, Giacomelli R (August 2011). "Cellular players in angiogenesis during the course of systemic sclerosis". Autoimmunity Reviews. 10 (10): 641–46. doi:10.1016/j.autrev.2011.04.016. PMID 21549220.
  23. ^ Bosello S, De Luca G, Tolusso B, Lama G, Angelucci C, Sica G, Ferraccioli G (August 2011). "B cells in systemic sclerosis: a possible target for therapy". Autoimmunity Reviews. 10 (10): 624–30. doi:10.1016/j.autrev.2011.04.013. PMID 21545850.
  24. ^ Hunzelmann N, Krieg T (May 2010). "Scleroderma: from pathophysiology to novel therapeutic approaches". Experimental Dermatology. 19 (5): 393–400. doi:10.1111/j.1600-0625.2010.01082.x. PMID 20507361. S2CID 40400573.
  25. ^ Leask A (June 2011). "The role of endothelin-1 signaling in the fibrosis observed in systemic sclerosis". Pharmacological Research. 63 (6): 502–03. doi:10.1016/j.phrs.2011.01.011. PMID 21315153.
  26. ^ Arnson Y, Amital H, Agmon-Levin N, Alon D, Sánchez-Castañón M, López-Hoyos M, Matucci-Cerinic M, Szücs G, Shapira Y, Szekanecz Z, Shoenfeld Y (June 2011). "Serum 25-OH vitamin D concentrations are linked with various clinical aspects in patients with systemic sclerosi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Autoimmunity Reviews. 10 (8): 490–94. doi:10.1016/j.autrev.2011.02.002. PMID 21320645.
  27. ^ Jimenez, SA; Cronin, PM; Koenig, AS; O'Brien, MS; Castro, SV (15 February 2012). Varga, J; Talavera, F; Goldberg, E; Mechaber, AJ; Diamond, HS (eds.). "Scleroderma Workup". Medscape Reference. WebM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rch 2014. Retrieved 6 March 2014.
  28. ^ a b c d e f g Jimenez, SA; Cronin, PM; Koenig, AS; O'Brien, MS; Castro, SV (15 February 2012). Varga, J; Talavera, F; Goldberg, E; Mechaber, AJ; Diamond, HS (eds.). "Scleroderma". Medscape Reference. WebM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rch 2014. Retrieved 5 March 2014.
  29. ^ Jimenez, SA; Cronin, PM; Koenig, AS; O'Brien, MS; Castro, SV (15 February 2012). Varga, J; Talavera, F; Goldberg, E; Mechaber, AJ; Diamond, HS (eds.). "Scleroderma Differential Diagnoses". Medscape Reference. WebM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rch 2014. Retrieved 6 March 2014.
  30. ^ Elston, William D. James, Timothy G. Berger, Dirk M. (2006). Andrew's diseases of the skin: clinical dermatology (10 ed.). Philadelphia, PA: Saunders Elsevier. pp. 169–172. ISBN 978-0808923510.
  31. ^ a b Walker KM, Pope J (August 2012). "Treatment of systemic sclerosis complications: what to use when first-line treatment fails--a consensus of systemic sclerosis experts". Seminars in Arthritis and Rheumatism. 42 (1): 42–55. doi:10.1016/j.semarthrit.2012.01.003. PMID 22464314.
  32. ^ a b Fett N (July–August 2013). "Scleroderma: nomenclature, etiology, pathogenesis, prognosis, and treatments: facts and controversies". Clinics in Dermatology. 31 (4): 432–37. doi:10.1016/j.clindermatol.2013.01.010. PMID 23806160.
  33. ^ a b Shah AA, Wigley FM (April 2013). "My approach to the treatment of scleroderma". Mayo Clinic Proceedings. 88 (4): 377–93. doi:10.1016/j.mayocp.2013.01.018. PMC 3666163. PMID 23541012.
  34. ^ a b Kowal-Bielecka O, Bielecki M, Kowal K (2013). "Recent advances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systemic sclerosis" (PDF). Polskie Archiwum Medycyny Wewnetrznej. 123 (1–2): 51–58. PMID 23344666.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14-03-06.
  35. ^ a b Beyer C, Dees C, Distler JH (January 2013). "Morphogen pathways as molecular targets for the treatment of fibrosis in systemic sclerosis". Archives of Dermatological Research. 305 (1): 1–8. doi:10.1007/s00403-012-1304-7. PMID 23208311. S2CID 25073736.
  36. ^ a b Leask A (June 2012). "Emerging targets for the treatment of scleroderma". Expert Opinion on Emerging Drugs. 17 (2): 173–79. doi:10.1517/14728214.2012.678833. PMID 22533795. S2CID 29026417.
  37. ^ Manno R, Boin F (November 2010). "Immunotherapy of systemic sclerosis". Immunotherapy. 2 (6): 863–78. doi:10.2217/imt.10.69. PMC 3059511. PMID 21091117.
  38. ^ Postlethwaite AE, Harris LJ, Raza SH, Kodura S, Akhigbe T (April 2010). "Pharmacotherapy of systemic sclerosis". Expert Opinion on Pharmacotherapy. 11 (5): 789–806. doi:10.1517/14656561003592177. PMC 2837533. PMID 20210685.
  39. ^ Ong VH, Denton CP (May 2010). "Innovative therapies for systemic sclerosis". Current Opinion in Rheumatology. 22 (3): 264–72. doi:10.1097/BOR.0b013e328337c3d6. PMID 20190640. S2CID 24631979.
  40. ^ a b c d Rossi, S, ed. (2013). Australian Medicines Handbook (2013 ed.). Adelaide: The Australian Medicines Handbook Unit Trust. ISBN 978-0-9805790-9-3.[페이지 필요]
  41. ^ Brunton, L; Chabner, B; Knollman, B (2010).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12th ed.). New York: McGraw-Hill Professional. ISBN 978-0-07-162442-8.[페이지 필요]
  42. ^ "Medscape Multispecialty – Home page". WebM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November 2013. Retrieved 27 November 2013.[인용필수]
  43. ^ a b Sticherling M (October 2012). "Systemic sclerosis-dermatological aspects. Part 1: Pathogenesis, epidemiology, clinical findings". Journal der Deutschen Dermatologischen Gesellschaft. 10 (10): 705–18, quiz 716. doi:10.1111/j.1610-0387.2012.07999.x. PMID 22913330. S2CID 7422759.
  44. ^ Alenghat FJ (February 2016). "The Prevalence of Atherosclerosis in Those with Inflammatory Connective Tissue Disease by Race, Age, and Traditional Risk Factors". Scientific Reports. 6: 20303. Bibcode:2016NatSR...620303A. doi:10.1038/srep20303. PMC 4740809. PMID 26842423.
  45. ^ Ngian GS, Sahhar J, Wicks IP, Van Doornum S (August 2011). "Cardiovascular disease in systemic sclerosis--an emerging association?". Arthritis Research & Therapy. 13 (4): 237. doi:10.1186/ar3445. PMC 3239376. PMID 21888685.
  46. ^ Szekanecz É, Szamosi S, Horváth Á, Németh Á, Juhász B, Szántó J, Szücs G, Szekanecz Z (October 2012). "Malignancies associated with systemic sclerosis". Autoimmunity Reviews. 11 (12): 852–55. doi:10.1016/j.autrev.2012.02.021. PMID 22410174.
  47. ^ Shah AA, Rosen A (November 2011). "Cancer and systemic sclerosis: novel insights into pathogenesis and clinical implications". Current Opinion in Rheumatology. 23 (6): 530–35. doi:10.1097/BOR.0b013e32834a5081. PMC 3373179. PMID 21825998.
  48. ^ Onishi A, Sugiyama D, Kumagai S, Morinobu A (July 2013). "Cancer incidence in systemic sclerosis: meta-analysis of population-based cohort studies". Arthritis and Rheumatism. 65 (7): 1913–21. doi:10.1002/art.37969. PMID 23576072.
  49. ^ Bonifazi M, Tramacere I, Pomponio G, Gabrielli B, Avvedimento EV, La Vecchia C, Negri E, Gabrielli A (January 2013). "Systemic sclerosis (scleroderma) and cancer risk: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Rheumatology. 52 (1): 143–54. doi:10.1093/rheumatology/kes303. PMID 23175568.
  50. ^ Kennedy N, Walker J, Hakendorf P, Roberts-Thomson P (23 March 2018). "Improving life expectancy of patients with scleroderma: results from the South Australian Scleroderma Register". Internal Medicine Journal. 48 (8): 951–56. doi:10.1111/imj.13799. PMID 29573101. S2CID 4230441.
  51. ^ Nikpour M, Stevens WM, Herrick AL, Proudman SM (December 2010). "Epidemiology of systemic sclerosis".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Rheumatology. 24 (6): 857–69. doi:10.1016/j.berh.2010.10.007. PMID 21665131.
  52. ^ Gelber AC, Manno RL, Shah AA, Woods A, Le EN, Boin F, Hummers LK, Wigley FM (July 2013). "Race and association with disease manifestations and mortality in scleroderma: a 20-year experience at the Johns Hopkins Scleroderma Center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Medicine. 92 (4): 191–205. doi:10.1097/MD.0b013e31829be125. PMC 4553970. PMID 23793108.
  53. ^ a b c d Lidar M, Langevitz P (May 2012). "Pregnancy issues in scleroderma". Autoimmunity Reviews. 11 (6–7): A515–19. doi:10.1016/j.autrev.2011.11.021. PMID 2215519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