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해군 실험 다이빙 부대

United State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해군 실험 잠수 부대
NEDU insignia.jpg
활동적인1927
나라 미국
분점United States Navy Seal 미국 해군
역할.NEDU는 미 해군의 잠수 및 고압 작전 지침의 주요 원천이다.
크기120+
일부미국 해군 시스템 사령부(NAVSEA)
게리슨/본사미 해군 지원 활동, 파나마시티 비치, 플로리다
지휘관
현재의
사령관
사령관 키아 라밍

미국 해군 실험 다이빙 유닛(NEDU 또는 NAVXDIVINGU)은 미 [1][2][3]해군의 잠수 및 고압 작전 지침의 주요 소스입니다.플로리다 [3]베이 카운티 파나마시티 비치파나마시티 해군 지원부 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사명과 비전

NEDU는 그 임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해군 실험 다이빙 유닛은 다이빙, 고압 및 기타 생명 유지 시스템과 절차를 테스트하고 평가하며, 생물의학 및 환경 생리학에 대한 연구개발을 수행한다.NEDU는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해군 시스템 사령부에 우리 [3]군의 작전 요건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적 권고안을 제공한다.

NEDU의 비전은 "해군 실험 다이빙 부대는 잠수 연구, 개발, 테스트 및 평가 센터이자 해저 군사 [3]작전을 위한 생물의학 및 생명공학 솔루션의 리더십의 중심지가 될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역사

브루클린 해군 야드

미국 해군에서의 실험 다이빙은 1912년 브루클린 해군 야드에서 Gunner George D의 지휘 아래 시작되었습니다.스틸슨.[1]스틸슨의 연구 프로그램은 궁극적으로 영국 해군과의 Haldane의 감압 작업을 바탕으로 잠수 능력을 60피트(18m)에서 300피트(91m) 이상으로 증가시켰다.이로 인해 미 해군 잠수 매뉴얼이 처음 출판되었고 잠수 [1][4][5]절차의 연구 개발에 전념하는 시설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915년 스틸슨의 팀은 F-4 잠수함을 인양하기 위해 파견되었다.잠수부들은 이러한 깊은 잠수를 하면서 질소 마취의 쇠약함을 경험했고, 이로 인해 [2]호흡 혼합물에 헬륨을 첨가하려고 시도했다.해군 인양 작업은 1925년 S-51과 1927년 S-4를 인양하는 과정에서 팀을 이끈 Warrant Gunner C. L. Tibbals의 지휘 하에 이루어졌으며, 구조 작업을 [2]위한 장비, 훈련 및 절차에 대한 해군 필요성을 더욱 확고히 했다.

워싱턴 해군 야드

NEDU는 1927년 워싱턴 해군 [1][2]야드에서 설립되었다.

훈련 중 사용 중인 Momsen

이 유닛의 초기 개발에는 잠수함 탈출 폐(Momsen 폐)와 McCann 구조 [2]벨의 평가와 테스트가 포함되었습니다.이 작업은 찰스 맘슨앨런 맥캔의해 수행되었다.1929년 몸센은 200피트(61m) 깊이의 장치를 직접 시험한 공로로 해군 공로상을 받았다.USS 스컬러스호에 탑승한 잠수함을 구조하기 위한 기술은 NEDU [2][6][7]시절 몸센과 맥칸이 개발한 것으로 33명의 [6]선원 구출과 구조작업으로 이어진다.맘센과 맥캔은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로부터 표창장을 받았다. 루즈벨트스칼로스[6]노력을 위해.

최초의 의료진은 1930년대 중반 찰스 W 실링, 알버트 R 베른케, OE 반 데 오에가 일을 시작하면서 이 시설에 소개되었습니다.그들의 초기 연구는 [1][8][9]공기보다는 산소를 포함시킴으로써 감압병의 예방과 치료를 향상시켰다.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감압과 산소 [10][11]독성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었다.

1950년대까지 NEDU는 장비를 테스트하고 1953년 미 해군 감압표[12][13]포함한 잠수부들을 위한 절차를 개선했다.

1957년부터 1962년까지 조지 F 선장지도 하에 포화 다이빙이 시작되었다. 해군 잠수함 의학 연구소와 제네시스 프로젝트의 [1][14]본드.Genesis [1][15]D는 1963년 NEDU에서 공연되었다.본드는 1964년에 [16]SEALAB I 포화 프로젝트를 이끌었습니다.

로버트 D.Workman은 1965년에 과도한 조직 [17]과포화의 한계값을 추정하는 것과 관련된 감압 일정을 계산하는 새로운 방법을 발표했다.

작업은 1960년대와 1970년대 초에 걸쳐 심층 포화 잠수, 장비 테스트 및 열 보호 및 생리학 연구에 계속되었습니다.

파나마시티 해군 지원 활동

1975년 NEDU는 플로리다 [1]파나마시티에 있는 현재의 위치로 이전했다.

Kirby Morgan 37 잠수 헬멧을 사용한 미 해군 잠수부

NEDU는 스틸슨의 마크 V를 미 해군의 표준 잠수복인 마크 12 수면 공급 잠수 시스템으로 대체한 후 1970년대와 1980년대에 [1][18][19]마크 21/슈퍼라이트 17을 대체한 것을 시험하고 평가하였다.

NEDU는 연간 최소 1회의 포화 다이빙을 실시합니다.이러한 다이빙은 무엇보다도 감압 및 재압축 절차, 장비, 이산화탄소 흡수제, 능동 및 수동[20][21][22]보호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이러한 테스트의 상당수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다이빙 [23][24][25]장비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를 포함하고 있다.

1998년 해군 의학 연구 센터의 다이빙 생물의학 및 개발 그룹은 NEDU로 [1][26]이전되었다.

NEDU는 해외의 군사적 요구에 대응해 1999년부터 [27]2002년까지 온수 다이빙에 주력했다.해군 특수전 커뮤니티에 대한 이 지침은 지속적인 [1]운영 요구에 영향을 미칩니다.

NEDU [1][28]다이버들은 2001년과 2002년 USS 모니터의 잔해에서 유물을 회수하는 데 필수적이었다.

2002년, Mark 16 Mod 1 재호흡기의 인증은 300피트(91m)까지 작업 한계 연장, 헬륨-산소 및 헬륨-산소 다이빙을 위한 새로운 반복 다이빙 기능을 포함한 새로운 감압 테이블, communic을 통한 비상 호흡 시스템 테스트 등의 시스템 개선에 따라 완료되었다.통합 부력 보정 장치 추가 및 개선된 전면 마스크.[1][29]

씰 딜리버리 차량을 사용하는 씰

2004년에 NEDU는 가혹한 오염 [30]환경에서의 다이빙을 위한 운영 지침에 기여하였다.

NEDU는 미 해군 마크 16 Mod [31][32]1을 이용하여 산소 독성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왔다.

SEAL 배송 차량과 Advanced SEAL 배송 시스템위한 호흡 시스템, 열 보호 및 감압 절차 개발이 진행 [33][34]중입니다.

2011년에 잠수부들은 새로운 해군의 포화 비행 잠수 시스템(SAT FADS)[35]을 평가하기 위해 1,000 fsw 포화 다이빙을 완료했다.SAT FADS는 2006년 퇴역한 피죤급 잠수함 구조선 [35]2척을 휴대용 대체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새로운 호흡 장치의 평가와 테스트, 그리고 다이빙을 위한 다른 기술의 적용이 그들의 [36][37]임무의 핵심이다.

시설.

해양 시뮬레이션 시설

NEDU 해양 시뮬레이션 시설

Ocean Simulation Facility(OSF; 해양 시뮬레이션 시설)는 염도 수준에서 2,250피트(690m)의 바닷물에 해당하는 최대 압력까지 해양 상태를 시뮬레이션합니다.챔버 복합체는 55,000US 갤론(210,000L)의 습식 챔버와 총 3,300입방피트(93m3)의 공간이 서로 연결된 5개의 건조 거실/작업 챔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습식 및 건조 챔버 온도는 28~104°F(-2~40°C)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최신 데이터 수집 기능을 갖춘 OSF는 잠수부 생물의학 연구 및 사람뿐만 아니라 소형 잠수정 및 습식 챔버 내의 다른 기계들에 대한 테스트 등 다양한 복잡한 실험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OSF에서 30일 이상의 연속 노출 동안 포화 다이빙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오랜 기간 동안 물속에서 사람과 장비를 테스트하기 위해 다이버들은 건조한 챔버를 편안한 거처로 사용하며, 그곳에서 습식 챔버로 다이빙을 할 수 있습니다.건조 챔버는 또한 150,000피트(46,000m)[38] 높이까지 고도 시뮬레이션 연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실험 테스트 풀

NEDU 실험용 테스트 풀

Experimental Test Pool은 가로 15피트(4.6m) 세로 30피트(9.1m) 세로 15피트(4.6m) 크기의 50,000US 갤론(190,000L) 용량의 담수 탱크로 34~105°F(1~41°C)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유인 얕은 물 시험 및 해양 시뮬레이션 시설의 예비 잠수 지원을 위해 설계 및 구축되었습니다.테스트 풀은 완전히 계장된 의료 및 엔지니어링 데크에 의해 지지되며, 여기에서 다이버와 테스트 장비 모두의 안전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이 시설은 다이버 열 및 작업 부하 조건에 대한 생물의학 연구부터 잠수 장치의 장비 연구까지 광범위한 실험을 수용할 수 있다.테스트 풀에는 통신 스위트, 풀 비디오 기능, 실시간 컴퓨터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압력 및 가스 [39]모니터링 기능이 있습니다.

이 깊이는 다이버들이 자전거 에르고미터[31][32]담그고 주행하는 동안 호흡 장치에 산소 분압을 1.3bar로 유지하기에 충분합니다.

환경실

NEDU 환경실

환경 챔버는 0~130°F(-18~54°C), 습도 5~95%, 풍속 0~20mph(0~32km/h)의 광범위한 온도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챔버는 생리학적 연구를 수행하고 다양한 유형의 [40]장비를 테스트하기 위해 계측됩니다.

실험 다이빙 시설

NEDU 실험 다이빙 시설

실험 다이빙 시설(EDF)은 1,640피트(500m)의 해수까지 무인 압력 조건을 시뮬레이션하며 온도는 28~110°F(-2~43°C)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해양 시뮬레이션 시설의 보완으로서 EDF는 다이빙 및 고압 챔버 시스템 및 부품의 무인 시험 및 평가에 사용됩니다.모든 다이빙 연습과 절차는 안전, 확립된 표준에 대한 준수, 작동 적합성[41][42]한계를 결정하기 위해 테스트된다.

클래스 100,000 클린룸

NEDU 클래스 10만 클린룸

공인 기술자에 의해 운영되는 Class 100,000 Clean Room은 배관, 밸브, 조절기, 탱크 및 필터의 산소 청소와 최대 10,000psi(69,000kPa)의 정수압 테스트 등 다양한 청소 및 테스트 작업을 수행합니다.잠수 생명 유지 장치에 사용되는 모든 구성 요소는 세척되고 군사 [43][44][45]표준에 부합하도록 인증됩니다.

가스분석실

NEDU 가스 분석 연구소

기체분석실은 기체의 정밀분석을 위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배기가스 배출, 오염물질 관리 등 다이빙 관련 문제를 평가하는 데 이용된다.실험실의 분석 기능에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 적외선 분광학 등이 있습니다.이 시설은 현재 [44][45][46]Fleet을 위한 신뢰성 있고 신속한 선별 방법과 분석기를 개발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심폐연구소

심폐 실험실은 압력 및/또는 열 [47]노출 전후에 종종 기록되는 무수한 호흡 기능 테스트와 유산소 성능 측정을 수행하는 기계로 구성됩니다.

도서관

NEDU 도서관에는 [48]세계 각국의 다이빙 의학, 공학, 역사에 관한 12만 건 이상의 문서가 소장되어 있습니다.NEDU 출판물의 대부분은 스캔되어 Rubicon Research [49]Repository에서 온라인으로 입수할 수 있습니다.다른 기사들은 Duke University Medical Center Archive에서 해저 및 고압 의학회 도서관 소장품을 찾을 [50]있습니다.

인사

120명으로 구성된 NEDU 팀에는 1,000년의 다이빙 경력을 가진 숙련된 군사 잠수부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Sea-Air-Land(SEAL), 폭발물 처리 장치(EOD), Savage, Saturation, Saveee, Dambing Medical Officer(DMO), 다양 과학자들입니다.인사말입니다.[51]

2019년 6월 CDR Kiah Rahming은 [52]NEDU의 사령관으로 취임했다.

미디어 내

  • 1992년 방영된 PBS TV 시리즈 'Return to the Sea'의 "The Mystery of the Bends"는 미 해군 실험 잠수부대의 프로필을 포함하고 있다.

레퍼런스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Tranchemotagne, M (2003). "NEDU Celebrates 75 Years" (PDF). Faceplate. 7 (1): 4–5. Retrieved 2008-09-09.
  2. ^ a b c d e f Carter Jr, RC (1977). "Pioneering Inner Space: The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s First 50 Years".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NEDU-1-77. Retrieved 2020-05-21.
  3. ^ a b c d NEDU.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Retrieved 2008-09-09.
  4. ^ Stillson, GD (1915). "Report in Deep Diving Tests". US Bureau of Construction and Repair, Navy Department. Technical Report. Retrieved 2008-09-09.
  5. ^ Boycott, A. E.; G. C. C. Damant; J. S. Haldane (1908). "The Prevention of Compressed-air Illness". J. Hygiene. 8 (3): 342–443. doi:10.1017/S0022172400003399. PMC 2167126. PMID 20474365. Retrieved 2008-09-09.
  6. ^ a b c Maas, Peter (1999). The Terrible Hours: The Man Behind the Greatest Submarine Rescue in History. New York: HarperCollins Publishers. ISBN 978-0-06-019480-2. OCLC 41504915.
  7. ^ Momsen, C. (1942). "Report on Use of Helium Oxygen Mixtures for Diving".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42–02). Retrieved 2008-09-09.
  8. ^ Behnke, AR; Willmon, TL (1940). "Preliminary Report on Aeroembolism and Equipment for Oxygen Inhalation".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NEDU-1-40. Retrieved 2008-09-09.
  9. ^ Van Der Aue, OE; White Jr, WA; Hayter, R; Brinton, ES; Kellar, RJ (1945). "Physiologic Factors Underlying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compression Sickness".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NEDU-1-45. Retrieved 2008-09-09.
  10. ^ Behnke A. R.; Johnson F. S.; Poppen J. R. & Motley E. P. (1935). "The effect of oxygen on man at pressures from 1 to 4 atmospheres". Am J Physiol. 110 (3): 565–572. Retrieved 2008-09-09.
  11. ^ Yarbrough, OD; Welham, W; Brinton, ES; Behnke, AR (1947). "Symptoms of Oxygen Poisoning and Limits of Tolerance at Rest and at Work".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NEDU-1-47. Retrieved 2008-09-09.
  12. ^ Fulton, HT; Welham, W; Blockwick, TN (1951). "Nitrogen-Oxygen Self-Contained Underwater Breathing Equipment".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NEDU-8-51. Retrieved 2008-09-09.
  13. ^ Lanphier, EH; Dwyer, JV (1954). "Diving with Self-Contained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Reports 1 - 11".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NEDU-54-1 to 11. Retrieved 2008-09-09.
  14. ^ Lonsdale, MV. "Evolution of US Navy Diving". Retrieved 2008-09-09.
  15. ^ Workman, Robert D; Bond, George F; Mazzone, Walter F (1967). "Prolonged exposure of animals to pressurized normal and synthetic atmospheres". Naval Submarine Medical Research Lab Technical Report (NSMRL–374). Retrieved 2010-01-29.
  16. ^ Miller, James W; Koblick, Ian G (1984). Living and working in the sea. Best Publishing Company. p. 432. ISBN 1-886699-01-1.
  17. ^ Workman, RD (1965). "Calculation of decompression schedules for nitrogen-oxygen and helium-oxygen dives".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NEDU-6-65. Retrieved 2008-09-09.
  18. ^ Coulombe, MA (1978). "MK 12 Surface Supported Diving System (MK 12 SSDS) Mixed Gas, Technical Evaluation".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NEDU-19-78. Retrieved 2008-09-09.
  19. ^ Curley, MD (1986). "Human Factors Evaluation of the Superlite 17B Helmet in the Surface- Supplied, Open-Circuit Mode".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NEDU-11-85. Retrieved 2008-09-09.
  20. ^ Thalmann, E. D. (1985). "Development of a Decompression Algorithm for Constant Oxygen Partial Pressure in Helium Diving".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NEDU-1-85. Retrieved 2008-09-09.
  21. ^ Zumrick Jr, JL (1984). "Manned Evaluation of the MK-15 UBA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Canister Duration in 13 C Water Using a Resting Diver Scenario".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NEDU-2-84. Retrieved 2008-09-09.
  22. ^ Clarke, JR; Thompson, LD; Godgrey Jr, RJ (1998). "Lot Variability of Sofnolime 408 Carbon Dioxide Absorbent When Tested in the Cold".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NEDU-01-98. Retrieved 2008-09-09.{{cite journal}}: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23. ^ Middleton, JR (1980). "Evaluation of Commercially Available Buoyancy Compensators".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NEDU-1-80. Retrieved 2008-09-09.
  24. ^ Middleton, JR (1980). "Evaluation of Commercially Available Open Circuit Scuba Regulators".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NEDU-2-80. Retrieved 2008-09-09.
  25. ^ Sterba, JA; Hanson, RS; Stiglich, JF (1989). "Insulation, Compressibility and Absorbency of Dry Suit Undergarments".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NEDU-10-89. Retrieved 2008-09-09.
  26. ^ Department of the Navy (1995). "Defense Base Closure and Realignment Commission 1995 Report to the President : Naval Medical Research Institute, Bethesda, Maryland". Retrieved 2008-09-09.
  27. ^ Long, ET; O'Connor, PE; Liberatore, TC (2003). "Development of Exposure Guidance for Warm Water Diving. Volume 1. Physiology and Endurance".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NEDU-03-11. Retrieved 2008-09-09.
  28. ^ Cavey, R (2002). "USS Monitor turret recovery" (PDF). Faceplate. 6 (2): 3–5. Retrieved 2008-09-09.
  29. ^ Hedricks, CS; Stanek, SJ (2002). "Evaluation of the KMS 48 Replacement Full Face Mask with the Emergency Breathing System for Use with MK 16 MOD 1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NEDU-02-17. Retrieved 2008-09-09.
  30. ^ US Naval Sea Systems Command (2004). "Guidance for diving in contaminated waters". US Navy Contaminated Water Manual. SS521-AJ-PRO-010. Retrieved 2008-09-09.
  31. ^ a b Shykoff, BE (2005). "Repeated Six-Hour Dives 1.35 ATM Oxygen Partial Pressure".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NEDU-05-20. Retrieved 2008-09-09.
  32. ^ a b Shykoff, BE (2007). "Pulmonary Effects of Eight-Hour MK 16 MOD 1 Dives".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NEDU-07-10. Retrieved 2008-09-09.
  33. ^ Carlson, NA; Warkander, DE (2005). "Carbon Dioxide Washout of an Emergency Breathing System Mask Modified for Use in the Advanced Seal Delivery System (ASDS) Trainer".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NEDU-05-13. Retrieved 2008-09-09.
  34. ^ Nuckols, ML; Chao, JC; Swiergosz, MJ (2005). "Manned Evaluation of a Diver Heater for SDV Applications Using Hydrogen Catalytic Reactions".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NEDU-05-08. Retrieved 2008-09-09.
  35. ^ a b Carson, Daniel (2011-04-30). "Divers complete test of new Navy saturation diving system". Panama City News Herald. Retrieved 2011-05-03.
  36. ^ Swiergosz, MJ; Steckel, RJ (2005). "Limited Unmanned Evaluation of the DIVEX SLS MK IV Backpack at Sea Level and 1000 FSW".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NEDU-05-07. Retrieved 2008-09-09.
  37. ^ Nuckols, M. L.; Chao J. C.; Swiergosz M. J. (2005). "Manned Evaluation of a Prototype Composite Cold Water Diving Garment Using Liquids and Superinsulation Aerogel Materials". US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Technical Report. NEDU-05-02. Retrieved 2008-09-09.
  38. ^ NEDU.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Ocean Simulation Facility".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Retrieved 2008-09-09.
  39. ^ NEDU.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Experimental test pool".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Retrieved 2008-09-09.
  40. ^ NEDU.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Experimental environmental chamber".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Retrieved 2008-09-09.
  41. ^ NEDU.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Experimental experimental diving facility".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Retrieved 2008-09-09.
  42. ^ "Procedures for evaluating diving equipment involved in a diving related mishap". Navxdivingu Instruction 5102.1A.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2003. Retrieved 2008-09-30.
  43. ^ NEDU.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Experimental class 100,000 clean room".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Retrieved 2008-09-09.
  44. ^ a b NAVSEA (2005). "Cleaning and gas analysis for diving applications handbook". NAVSEA Technical Manual. NAVAL SEA SYSTEMS COMMAND. SS521-AK-HBK-010. Retrieved 2008-09-12.
  45. ^ a b Rosales, KR; Shoffstall, MS; Stoltzfus, JM (2007). "Guide for Oxygen Compatibility Assessments on Oxygen Components and Systems". NASA, Johnson Space Center Technical Report. NASA/TM-2007-213740. Retrieved 2008-09-12.
  46. ^ NEDU.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Experimental gas analysis lab".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Retrieved 2008-09-09.
  47. ^ NEDU.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Experimental cardiopulmonary lab".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Retrieved 2008-09-09.
  48. ^ NEDU.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Library".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Retrieved 2008-09-09.
  49. ^ Rubicon Foundation. "NEDU Collection". Retrieved 2008-09-12.
  50. ^ Duke University Medical Center Archives. "Undersea and Hyberbaric Medical Society Collection". Duke University Medical Center Archives. Retrieved 2008-09-12.
  51. ^ NEDU.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Personnel". Navy Experimental Diving Unit. Retrieved 2008-09-11.
  52. ^ "CDR Kiah Rahming, USN". Naval Sea Systems Command. Retrieved 26 May 202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