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타세크레티스
Protasekretis프로타세크레티스 또는 프로타세크레티스(그리스어: ροο[ο]ασηκ),),),),greekgreek the)는 라틴어로 프로타세크레티스 또는 프로타세크레티스로 알려진 비잔틴 관료제도의 고위 관료였다.제목은 "제1의 아섹레티스"를 의미하며, 황실 공증인 고위 계급인 아섹레티의 수장으로서의 그의 위치를 보여준다.
포스트는 서서히 진화했다.최초의 아세크레티스는 6세기부터 증명되었고, 몇몇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들과 아나스타시오스 r.2세 (713–715)라는 한 명의 황제가 그들의 [1]계급에서 뽑혔다.고해성사 막시무스가 헤라클리우스 r.황제(610–641) 치하의 원형 세크레티스에 대한 시대착오적인 언급을 제외하고, 가장 이른 것으로 확인된 것은 756년 [2]동안 교황청에서 유래한 것이다.황실 재판소장(고 로마 최초의 공증인의 실질적인 후계자)으로서, 그 지위는 매우 영향력이 있었다: 899년 필로테오스의 법정 우선 순위 목록인 클레토로지온에서, 그는 국가의 재무 장관인 세크레티코이 중 7위에 올랐다.문서와 성문학적 증거로 볼 때, 그 직책의 소유자들은 프로토스파타리오, 파트리아키오,[3] 안티파토스의 위엄을 지니고 있었다.그 중에서도 포토이오스 총대주교 (858–867, 877–886)가 그 [2]직책을 맡았다.
그의 부하들은 콘스탄티누스 7세 r.[1]포르피로게니토스의 데 세레모니에 따르면, 데카노스로 알려진 관리뿐만 아니라 아섹레티스뿐만 아니라 황제 공증인의 하급 계급도 포함시켰다.프로타세크레티스는 또한 [2]황실의 크리소불의 준비를 담당했던 것으로 보인다.그러나 1106년 이후 그는 법원에서 옮겨져 비잔틴 제국의 최고재판소 중 하나인 에파르코스, 메가스 드룬가리오스 테 비글라스, 디카이오도테스, 코이아이스터, 에피톤 크리선, 카솔리코스와 함께 최고재판소(데모사카 프라그마타)[4]를 이끌었다.아세크레티스의 계급은 12세기 이후 증명되지 않았지만, 프로타세크레티스의 지위는 팔라이올로기 [2]시대까지 존속했다.
레퍼런스
원천
- Bury, J. B. (1911). The Imperial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Ninth Century – With a Revised Text of the Kletorologion of Philotheos.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OCLC 1046639111 – via Archive.org.
- Kazhdan, Alexander (1991). "Protasekretis". In Kazhdan, Alexander (ed.). The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 1742. ISBN 0-19-504652-8.
- Magdalino, Paul (1994). "Justice and Finance in the Byzantine State, Ninth to Twelfth Centuries". In Laiou, Angeliki E.; Simon, Dieter (eds.). Law and Society in Byzantium, 9th-12th Centuries. Washington, District of Columbia: Dumbarton Oaks. pp. 93–116. ISBN 0-88402-2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