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Fall of Constantinople![]() | 해당 기사를 프랑스어로 번역한 텍스트로 이 기사를 확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2022년 12월) 중요한 번역 지침은 [쇼]를 클릭하세요.
|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 |||||||||
---|---|---|---|---|---|---|---|---|---|
비잔티움-오스만 전쟁과 오스만 제국 전쟁의 일부 | |||||||||
![]() 1455년 이후 장 르 타베르니에의 프랑스 미니어처 콘스탄티노플 포위전 (1453). | |||||||||
| |||||||||
Belligerents | |||||||||
지휘관 및 지도자 | |||||||||
| |||||||||
힘 | |||||||||
지상군: 해군 병력: | |||||||||
사상자 및 손실 | |||||||||
200–18,000[10] (첫날) 헤비: 15,000–50,000 (논쟁) | 전사자 4,500명 (군 및 민간인 모두)[11][12][13] 30[14][15][16],000~50,000명의 시민이 노예가 되었습니다. |
비잔티움 제국의 역사 |
---|
![]() |
선행 |
초기 (330–717) |
중기(717~1204) |
후기 (1204–1453) |
|
타임라인 |
주제별 |
![]() |
콘스탄티노플 정복으로도 알려진 콘스탄티노플의 함락은 오스만 제국에 의해 비잔틴 제국의 수도가 함락된 것입니다. 이 도시는 4월 6일 시작된 53일간의 포위전의 절정으로 1453년 5월 29일 함락되었습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수비수보다 훨씬 많은 오스만 군대를 공격한 오스만 군대는 21세의 술탄 메흐메드 2세(훗날 '정복자'로 불림)가 지휘했고, 비잔티움 군대는 콘스탄티누스 11세 팔라이올로고스 황제가 지휘했습니다. 도시를 정복한 후, 메흐메드 2세는 아드리아노플을 대신하여 콘스탄티노플을 새로운 오스만의 수도로 만들었습니다.
콘스탄티노플 정복과 비잔티움 제국의 멸망은 중세 후기의 분수령이었고, 기원전 약 27년에 시작되어 거의 1500년 동안 지속된 로마 제국의 실질적인 종말을 알렸습니다. 많은 현대 역사학자들에게 콘스탄티노플의 몰락은 중세 시대의 종말과 근대 초기의 시작을 의미합니다.[17][18] 그 도시의 몰락은 또한 군사 역사의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예로부터, 도시와 성들은 침입자들을 물리치기 위해 성벽과 성벽에 의존해 왔습니다. 콘스탄티노플 성벽, 특히 테오도시아 성벽은 당시 세계에서 가장 진보한 방어 체계 중 하나였습니다. 역사학자들이 고대와 중세 시대에 가장 강하고 가장 요새화된 성벽으로 간주하는 테오도시우스 성벽은 800년 동안 콘스탄티노플을 공격으로부터 보호했습니다.[19] 그러나 이 요새들은 특히 오스만 제국의 대포와 폭탄을 사용하여 화약을 사용하여 포위전의 변화를 예고했습니다.[20] 오스만 대포는 1.5km(0.93마일)에 걸쳐 500kg(1,100파운드)의 거대한 대포알을 반복적으로 발사하여 오스만 제국의 포위를 위해 테오도시아 성벽에 틈을 만들었습니다.[21][22]
비잔티움 제국
콘스탄티노플은 330년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 치하에서 즉위한 이래 제국의 수도였습니다. 그 후 11세기 동안 이 도시는 여러 번 포위되었지만 1204년 제4차 십자군 전쟁 중 콘스탄티노플의 자루가 점령되었습니다.[23] 십자군은 콘스탄티노폴리스와 그 주변에 불안정한 라틴 국가를 세웠고, 비잔티움 제국의 나머지는 니케아, 에피루스, 트레비존드를 포함한 많은 후계 국가로 분열했습니다. 그들은 라틴 지배층에 대항하는 동맹자로서 싸웠지만, 비잔티움의 왕좌를 위해 그들끼리도 싸웠습니다.
결국 니케아인들은 1261년에 라틴 제국으로부터 콘스탄티노플을 재탈환하여 팔라이올로고스 왕조의 비잔티움 제국을 재건했습니다. 그 후, 라틴계, 세르비아계, 불가리아계, 오스만 튀르크계의 연속적인 공격을 막아내면서 많이 약화된 제국에 평화는 거의 없었습니다.[24][page needed][25][26][27][page needed]
1346년에서 1349년 사이에 흑사병이 콘스탄티노플 주민의 거의 절반을 죽였습니다.[28] 이 도시는 제국의 전반적인 경제적, 영토적 쇠퇴로 인해 인구가 더욱 감소했고, 1453년까지 이 도시는 5세기 테오도시안 성벽으로 둘러싸인 광대한 들판으로 분리된 일련의 성벽으로 구성되었습니다.
1450년경, 제국은 지쳤고,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도시 자체, 마르마라 해의 왕자의 섬들, 그리고 문화 중심지가 미스트라스에 있는 펠로폰네소스 반도 밖의 몇 제곱 킬로미터까지 축소되었습니다. 당시 흑해 연안에는 제4차 십자군 전쟁의 여파로 형성된 독립적인 후계 국가인 트레비존드 제국도 존재했습니다.
준비사항
메흐메드 2세가 1451년 그의 아버지의 뒤를 이었을 때, 그는 19세였습니다. 많은 유럽 법원들은 젊은 오스만 제국의 통치자가 발칸 반도와 에게 해의 기독교 패권에 심각하게 도전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29] 사실, 유럽은 메흐메드가 왕위에 오른 것을 축하했고, 그의 경험 부족이 오스만을 오도하기를 바랐습니다.[30] 이러한 계산은 메흐메드가 자신의 새 궁정에서 유럽 사절들에게 우호적인 제안을 한 것에 의해 강화되었습니다.[31] 그러나 메메드의 온화한 말은 그의 행동과 일치하지 않았습니다. 1452년 초, 콘스탄티노플에서 북쪽으로 몇 마일 떨어진 보스포루스의 유럽 쪽에 두 번째 요새(Rumeli hisar ı)를 건설하는 작업이 시작되었습니다. 새로운 요새는 메흐메드의 증조부 바예지드 1세가 세운 아나돌루 히사르 ı 요새의 바로 건너편에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이 요새는 보스포루스의[31] 해상 교통을 완벽하게 통제하고 북쪽의 흑해 연안에서 제노바 식민지의 공격을 막아냈습니다. 사실, 이 새로운 요새는 보 ğ즈케센이라고 불렸는데, 이것은 "직선을 막는 것" 또는 "목을 자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단어는 전략적인 위치를 강조합니다: 터키어 보 ğ라즈는 "줄"과 "목"을 동시에 의미합니다. 1452년 10월 메흐메드는 토마스와 데메트리오스가 콘스탄티노폴리스 포위가 임박한 동안 그들의 형제 콘스탄티누스 11세 팔라이올로고스에게 원조를 제공하는 것을 막기 위해 펠로폰네소스에 대규모 수비대를 주둔시키라고 투라칸 베그에게 명령했습니다.[note 3] 루멜리아의 베일러베이인 카라카 파샤는 다리들이 거대한 대포에 대처할 수 있도록 아드리아노플에서 콘스탄티노플까지의 도로를 준비하기 위해 사람들을 보냈습니다. 목수 50명과 장인 200명도 필요한 곳에 길을 다졌습니다.[12] 그리스 역사학자 미하엘 크리토불루스는 메흐메드 2세가 포위전 전에 병사들에게 한 연설을 인용하고 있습니다.[34]
나의 친구들이여, 나의 제국의 사람들이여! 여러분은 우리의 조상들이 수많은 투쟁과 큰 위험을 감수하면서 우리가 지금 가지고 있는 이 왕국을 확보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의 아버지에게서 아버지에게서 아들로 차례로, 그것을 물려받은 후에, 그들은 그것을 저에게 물려주었습니다. 너희 가운데서 가장 나이가 많은 사람들 중에는, 그들이 이룬 많은 공훈을 공유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적어도 나이가 많은 사람들 중에는, 너희 아버지들에게서 이런 일을 들은 적이 있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것들은 아주 오래된 사건도 아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잊혀질 만한 그런 종류의 사건도 아닙니다. 그래도 어제나 전날에 있었던 행위의 심리보다는 본 사람들의 목격자가 증언을 더 잘합니다.
유럽의 지원
비잔티움 황제 콘스탄티누스 11세는 메흐메드의 진의를 금방 파악하고 서유럽으로 눈을 돌려 도움을 청했지만, 이제 동서 교회 간의 수세기에 걸친 전쟁과 앙숙의 대가를 치러야 했습니다. 1054년 상호 파문 이후, 로마의 교황은 동방 교회와의 결속을 다지는 데 전념했습니다. 1274년 제2차 리옹 공의회에서 비잔티움 제국 황제 미카엘 8세 팔라이올로고스가 이 연합에 동의했고, 실제로 일부 팔라이올로고스 황제들은 이후 라틴 교회에 받아들여졌습니다. 요한 8세 팔라이올로고스 황제도 최근 교황 에우제니오 4세와 연합을 협상했고, 1439년 피렌체 공의회는 연합의 황소를 선포했습니다. 통일을 강요하는 제국의 노력은 콘스탄티노플에서 강력한 저항에 부딪혔습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반연합파 정교회주의자들은 선동적인 선전 계획을 자극했고, 비잔티움 교회의 평신도와 지도층은 크게 분열되었습니다. 1182년 그리스인에 의한 라틴인 학살 사건과 1204년 라틴인에 의한 콘스탄티노플 함락 사건에서 비롯된 그리스인과 이탈리아인 사이의 잠재된 민족적 증오가 큰 역할을 했습니다. 결국 동서 통합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고, 교황 니콜라오 5세와 로마 교회의 위계질서를 크게 거슬리게 했습니다.[citation needed]
1452년 여름, 루멜리 히사르 ı이 완성되고 오스만 제국의 위협이 임박하자 콘스탄티누스는 교황에게 편지를 보내 연합을 실행할 것을 약속했고, 1452년 12월 12일에 반신반의한 제국 법원에 의해 유효하다고 선언되었습니다. 교황 니콜라오 5세는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를 열망했지만, 비잔티움 제국이 생각하는 서방의 왕들과 왕자들에 대한 영향력을 갖지 못했고, 그들 중 일부는 교황의 지배력이 증가하는 것을 경계했습니다. 게다가, 이러한 서구의 통치자들은 특히 백년 전쟁으로 인해 약화된 프랑스와 영국의 상태, 스페인의 레콘키스타 개입, 신성 로마 제국의 내부 전투, 그리고 헝가리와 폴란드가 1444년 바르나 전투에서 패배한 것에 비추어 볼 때, 그 노력에 기여할 여지가 없었습니다. 이탈리아 북부의 상업도시 국가들에서 일부 병력이 도착했지만, 오스만 군대의 힘을 상쇄하기에는 서방의 기여가 충분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일부 서양인들은 자신들의 책임으로 도시를 방어하는 것을 돕기 위해 왔습니다. 교황의 재정 지원을 받은 이시도레 추기경은 200명의 궁수들과 함께 1452년에 도착했습니다.[30] 제노바 출신의 뛰어난 군인인 지오바니 주스티니아니는 제노바 출신 400명과 제노바 출신 키오스 출신 300명과 함께 1453년 1월에 도착했습니다.[35] 성벽을 방어하는 전문가로서, Giustiniani는 즉시 황제로부터 성벽 방어에 대한 전반적인 지휘권을 받았습니다. 비잔티움 사람들은 유명한 6세기 비잔티움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대제의 이름을 딴 "존 유스티니아누스"라는 그의 이름의 라틴어 철자로 그를 알고 있었습니다.[36] 비슷한 시기에 황금 뿔에 배를 타고 있던 베네치아 선박의 선장들은 베네치아의 명령을 어기고 황제에게 자신들의 일을 바쳤고, 교황 니콜라오는 식량을 실은 세 척의 배를 보내 3월 말에 출항했습니다.[37] 나폴리 왕국과 시칠리아 왕국에서 200명의 나폴리 궁수들과 함께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도착했습니다. 그들은 비잔티움 제국의 수도를 지키기 위해 싸우다 죽은 200명의 나폴리 궁수들과 함께 베노사의 공작이자 우겐토의 백작이었던 콘도티에로 가브리엘레 오르시니 델 발조입니다.[5]
한편 베네치아에서는 공화국이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어떤 도움을 줄 것인가에 대한 심의가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원로원은 1453년 2월에 함대를 파견하기로 결정했지만, 함대의 출항은 4월로 늦춰졌고, 이때는 이미 배들이 전투를 돕기에는 너무 늦었습니다.[38][page needed][39] 비잔티움의 사기를 더욱 떨어뜨려,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지키겠다고 맹세했음에도 불구하고 700여 명이 탄 이탈리아 선박 7척이 유스티니아니가 도착하자마자 수도를 빠져나갔습니다. 그와 동시에 콘스탄티누스는 선물로 술탄을 달래려는 시도는 황제의 대사들을 처형하는 것으로 끝이 났습니다.[31][40][41][42][43][44][45]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b/bd/Hali%C3%A7_zinciri_%282%29.jpg/200px-Hali%C3%A7_zinciri_%282%29.jpg)
황금 뿔 해안을 따라 해전이 발생할 것을 우려한 콘스탄티누스 11세 황제는 항구 어귀에 방어용 쇠사슬을 두라고 명령했습니다. 통나무 위에 떠 있는 이 사슬은 어떤 터키 선박도 항구에 들어올 수 없을 정도로 튼튼했습니다. 이 장치는 비잔티움 제국에게 가능한 외국의 도움이 도착할 때까지 포위를 연장할 수 있는 희망을 준 두 가지 중 하나였습니다.[46] 이 전략은 1204년 제4차 십자군의 군대가 뿔을 마주하고 있는 황금 뿔 성벽을 무너뜨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육지 방어를 성공적으로 막아냈기 때문입니다. 비잔티움 제국의 또 다른 전략은 토지 장벽(테오도시안 성벽)을 보수하고 요새화하는 것이었습니다.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블라허내 지역의 성벽이 북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성벽이 가장 견고한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여겼습니다. 육지 요새는 45~55m마다 탑이 박혀 있는 내부와 외부의 18m 너비의 해자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47]
힘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2/Siege_of_Constantinople_1453_map-fr.svg/220px-Siege_of_Constantinople_1453_map-fr.svg.png)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방어하는 군대는 약 7,000명으로 비교적 적었고, 그 중 2,000명이 외국인이었습니다.[note 4] 인구 감소는 콘스탄티노플의 방어 능력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1453년 3월 말, 콘스탄티누스 11세 황제는 도시에 얼마나 많은 신체 건강한 사람들이 있는지와 각각 방어를 위해 어떤 무기를 가지고 있는지 기록하기 위해 각 지역의 인구 조사를 명령했습니다. 마지막 황제의 충실한 재상 조지 스프란츠는 "우리 도시의 거대한 크기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방어자들은 단지 200명의 외국인뿐만 아니라 4,773명의 그리스인들을 차지했다"고 기록했습니다. 게다가 외부에서 온 자원봉사자들, "게노인들, 베네치아인들, 그리고 방어를 돕기 위해 갈라타에서 몰래 온 사람들"이 있었는데, 그 수는 "거의 3천 명"에 달했고, 12마일의 성벽을 방어하기 위해 총 8천 명 미만에 달했습니다.[48] 포위가 시작되었을 때, 주변 지역에서 온 난민들을 포함하여, 아마도 5만명 미만의 사람들이 벽 안에 살고 있었을 것입니다.[49] [note 5] 황제를 위해 콘스탄티노플에 있던 터키군 사령관 도르고노도 임금으로 터키군과 함께 바다 쪽에 있는 도시의 숙소 중 한 곳을 지키고 있었습니다. 이 투르크족들은 황제에게 충성을 다했고, 이후 벌어진 전투에서 목숨을 잃었습니다. 방어군의 제노바 군단은 훈련과 장비가 잘 갖추어진 반면, 나머지 군대는 훈련을 잘 받은 병사, 무장한 민간인, 외국 공동체의 수병과 의용군, 그리고 마지막으로 승려로 구성되었습니다. 수비대는 몇 개의 작은 칼리브레 포병을 사용했는데, 결국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나머지 시민들은 벽을 수리하고 감시초소를 지키며 식량을 모으고 배급했으며 교회에서 금과 은으로 만든 물건을 모아 동전으로 녹여 외국 군인들에게 상납했습니다.
오스만 제국은 훨씬 더 큰 힘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최근의 연구들과 오스만 제국의 기록 자료들에 따르면 5,000~10,000명의 재니세리,[6][page needed] 70개의 대포와 [50][51][page needed][52][page needed]정예 보병대, 그리고 수천 명의 기독교 군대, 특히 1,000명의 기독교 군대를 포함하여 약 5만~8만 명의 오스만 군대가 있었다고 합니다.500명의 세르비아 기병대 두라지 브란코비치는 오스만 술탄에[1][2] 대한 의무의 일환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성벽 재건을 위한 자금을 지원했습니다.[1][2] 술탄의 군사력을 과장하는 경향이 있는 당시 서구의 공성전 목격자들은 16만 명에서 30만 명 사이의 이질적이고 높은 숫자를 제공합니다(니콜 ò 바르바로: 16만 명, 피렌체 상인 야코포 테달디와 대 로고테 조지 스프란츠: 200명,000; 키예프의[56] 이시도레 추기경과 미틸렌 레오나르도 디 키오 대주교: [57]300,000).[58]
오스만 제국의 성향과 전략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0/Dardanelles_Gun_Turkish_Bronze_15c.png/220px-Dardanelles_Gun_Turkish_Bronze_15c.png)
메흐메드는 [51][page needed]바다에서 도시를 포위하기 위해 함대를 만들었습니다. 오스만 함대의 병력은 현재 110척에서 430척까지 다양합니다(테달디:[54][page needed] 110척, 바르바로:[53] 145척, 우베르티노 푸스쿨로:[59] 160척, 키예프의[56] 이시도레와 레오나르도 디 키오:[60] 200-250척, (스프란츠:[55][page needed] 430척). 보다 현실적인 현대적인 추정은 70척의 대형 갤리선, 5척의 일반 갤리선, 10척의 소형 갤리선, 25척의 대형 노 젓는 보트, 75척의 말 수송선으로 구성된 110척의 함대 강도를 예측합니다.[61]
콘스탄티노플 공성전에 오스만 제국은 중형 대포를 던질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알려졌지만, 사격할 수 있는 일부 조각의 범위는 방어자들의 예상을 훨씬 뛰어넘었습니다.[62] 오스만 제국은 12~62문의 대포를 배치했습니다. 터키의 대포 제조업체와 기술자, 특히 Saruca, 그리고 적어도 한 명의 외국 대포 제조업체인 Orban(어반이라고도 함)을 고용한 주조 공장에서 건설되었습니다. 포위망에 있던 대포의 대부분은 사루카의 대규모 폭격을 포함하여 터키 기술자들에 의해 만들어졌고, 대규모 폭격에도 기여한 오르반에 의해 하나의 대포가 만들어졌습니다.[63][64]
헝가리 사람인 오르반은 다소 신비로운 인물이었습니다.[62] 그의 27피트 길이의 (8.2미터) 대포는 "바실리카"라고 이름 지어졌고 1마일 (1.6킬로미터)을 넘어 600파운드 (270킬로그램)의 돌덩이를 던질 수 있었습니다.[65] 오르반은 처음에는 비잔티움 제국에 자신의 공을 팔려고 했지만, 그들은 그를 고용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확보할 수 없었습니다. 오르반은 이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떠나 메흐메드 2세에게 접근하여 그의 무기가 "바빌론의 성벽 자체를 폭파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풍부한 자금과 재료를 감안할 때 헝가리 엔지니어는 에디르네에서 3개월 만에 총을 만들었습니다.[66] 그러나 이 대포는 오르반이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오스만 군대를 위해 만든 유일한 대포로,[63][64] 재장전에 3시간이 걸렸고, 대포알이 매우 부족했으며, 대포알은 6주 후에 자체 반동으로 무너졌다고 합니다. 대포의 붕괴에 대한 설명은 레오나르도 디 키오[57] 대주교의 편지와 네스토르 이스칸데르의 후기, 그리고 종종 신뢰할 수 없는 러시아 연대기에만 보고되었다는 [6][page needed]점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3/Conquest_of_Constantinople%2C_Zonaro.jpg/310px-Conquest_of_Constantinople%2C_Zonaro.jpg)
이전에 약 150마일(240km) 떨어진 곳에 대형 주조 공장을 설립했던 Mehmed는 이제 그의 거대한 포병을 운반하는 수고스러운 과정을 수행해야 했습니다. 메흐메드는 최후의 공격에 대비해 에디르네에 있는 사령부에서 70개의 대형 포병을 끌고 왔고, 그 자리에 던져진 폭탄도 있었습니다.[67] 이 열차에는 오르반의 거대한 대포가 실려 있었는데, 60마리의 소와 400명이 넘는 선원들이 에디르네에서 끌고 왔다고 합니다.[62][66] 터키의 기술자인 Saruca가 독자적으로 만든 또 다른 대형 폭격이 전투에 사용되기도 했습니다.[63][64]
메흐메드는 서방의 공격으로부터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보호하고 물에 둘러싸여 있지 않은 도시의 유일한 지역인 테오도시우스 성벽을 공격할 계획이었습니다. 그의 군대는 부활절 다음 날인 1453년 4월 2일에 도시 밖에서 진을 쳤습니다.
오스만 군대의 대부분은 골든 혼 남쪽에 진을 치고 있었습니다. 성벽 전체를 따라 늘어선 정규 유럽군은 카라자 파샤가 지휘했습니다. 이샤크 파샤가 이끄는 아나톨리아의 정규군은 리쿠스 남쪽에서 마르마라 해까지 주둔했습니다. 메흐메드 자신은 총과 정예 야니사리 연대가 주둔하고 있는 메소티치온 근처에 자신의 적금 천막을 세웠습니다. 바시바주크는 전선 뒤에 펼쳐져 있었습니다. 자간 파샤 휘하의 다른 부대들은 골든 혼 북쪽에서 고용되었습니다. 통신은 호른의 늪 같은 머리 위에 파괴된 도로에 의해 유지되었습니다.[68]
오스만 제국은 도시를 포위하는 데 전문가였습니다. 그들은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시체를 태워야 하고, 배설물을 위생적으로 처리해야 하며, 그들의 수원을 조심스럽게 조사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30]
비잔티움의 성향과 전술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f/Fall-of-constantinople-22.jpg/220px-Fall-of-constantinople-22.jpg)
그 도시는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요새화된 벽들 중 하나인 약 20 km (육벽: 5.5 km; 골든 혼을 따라 있는 해벽: 7 km; 마르마라 해를 따라 있는 해벽: 7.5 km)의 벽들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요새의 성벽은 (요한 8세 치하에서) 최근에 보수되었고 상당히 양호한 상태였기 때문에 방어자들은 서방의 도움이 도착할 때까지 버틸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69] 게다가 수비대는 제노바에서 5척, 베네치아에서 5척, 베네치아 크레타에서 3척, 안코나에서 1척, 아라곤에서 1척, 프랑스에서 1척, 제국 자체에서 10척 정도로 26척의 함대를 비교적 잘 갖추고 있었습니다.[70]
4월 5일, 술탄 자신이 최후의 군대를 이끌고 도착했고, 방어자들은 그들의 위치를 차지했습니다. 비잔티움 제국의 수는 성벽 전체를 차지하기에는 부족했기 때문에, 외벽만을 지키는 것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콘스탄티누스와 그의 그리스 군대는 성벽의 중간 부분인 메소테히온을 지켰고, 그곳에서 리쿠스 강을 건넜습니다. 이 구역은 성벽에서 가장 약한 곳으로 여겨졌고 이곳에서 공격이 가장 우려되었습니다. 주스티니아니는 황제의 북쪽인 카리시아 문(미리아드리온)에 주둔했고, 공성전 동안 그는 콘스탄티누스에 합류하기 위해 메소테히온으로 옮겨졌고, 미리아드리온은 보키아르디 형제의 책임으로 남겨졌습니다. 미노토 ; es; 와 그의 베네치아인들은 테오도로 카리스토(Teodoro Caristo), 랑가스코 형제, 키오스 대주교 레오나르도(Leonardo of Chios)와 함께 블라허네 궁전에 주둔했습니다.[71]
황제의 왼쪽, 더 남쪽에는 제노바 군대를 이끌던 지휘관 카타네오와 그리스 병사들과 함께 페개문을 지키는 테오필루스 팔레올로고스가 있었습니다. 데메트리오스 칸타쿠제누스는 테오도시아 성벽의 최남단에 위치한 반면, 페개문에서 금문까지의 성벽은 (마누엘이라고 불리는 제노아인이 지키고 있는) 베네치아 필리포 콘타리니에 의해 방어되었습니다.[71] 바다 벽은 더 드문드문 지켜졌는데, 그의 왼손에는 그리스 수도승들의 임시 방어군인 슈투디온에 있는 자코보 콘타리니와 엘레우테리오스 항구에 있는 오르한 왕자가 있었습니다. 제노바 군대와 카탈루냐 군대가 대궁전에 주둔했고, 키예프의 이시도레 추기경은 붐 근처의 반도 끝을 지켰습니다. 마침내, 골든 혼 남쪽 해안의 바다 벽은 가브리엘레 트레비사노 휘하의 베네치아와 제노바의 선원들에 의해 지켜졌습니다.[72]
도시에는 성벽 바로 뒤에 있는 페트라 지구와 성 사도 교회 근처에 각각 루카스 노타라스와 니스포스 팔레올로고스가 지휘하는 두 개의 전술 예비군이 남겨졌습니다. 베네치아의 알비소 디도는 항구에 있는 배들을 지휘했습니다.[73] 비잔티움 제국도 대포를 가지고 있었지만 무기는 오스만 제국보다 훨씬 작았고, 반동으로 인해 벽이 손상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57] 다비드 니콜에 따르면, 많은 역경에도 불구하고 콘스탄티노플은 어쩔 수 없이 멸망했다는 생각은 틀렸고, 상황은 지도를 한 번 보는 것만큼 일방적이지 않았습니다.[74] 또한 당시 콘스탄티노플은 "유럽에서 가장 방어가 잘 된 도시"였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습니다.[75]
공성전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0/Kusatma_Zonaro.jpg/260px-Kusatma_Zonaro.jpg)
포위전이 시작되자 메흐메드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외곽에 남아있는 비잔티움의 요새들을 줄이기 위해 그의 최정예 부대를 보냈습니다. 보스포루스강에 있는 테라피아 요새와 마르마라해 근처의 스튜디우스 마을에 있는 작은 성이 며칠 안에 함락되었습니다. 마르마라해에 있는 왕자의 섬들은 발토글루 제독의 함대에 의해 점령되었습니다.[76] 메흐메드의 대규모 대포는 몇 주 동안 벽에 불을 질렀지만, 그들의 부정확함과 극도로 느린 발사 속도 때문에, 비잔티움군은 오스만 포병의 효과를 완화시키면서, 매 번의 사격 후에 대부분의 피해를 복구할 수 있었습니다.[77]
약간의 탐색 공격에도 불구하고 발토글루가 지휘하는 오스만 함대는 입구를 가로지르는 사슬 때문에 골든 혼에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 함대의 주요 임무 중 하나는 어떤 외국 선박도 골든 혼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는 것이었지만, 4월 20일, 4척의 기독교 선박으로 이루어진 작은 함대가 약간의 격전 끝에 가까스로 진입할 수 있었고, 이 사건은 방어자들의 사기를 북돋우고 술탄에게 당혹감을 안겨주었습니다.[77][note 6] 발토글루는 교전 중에 눈에 부상을 입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메흐메드는 발토글루의 재물과 재산을 빼앗아서 재니세리들에게 주고 채찍질을 백 번 명했습니다.[30]
메흐메드는 Golden Horn 북쪽의 Galata를 가로질러 기름을 바른 통나무 도로를 건설하라고 명령했고, 4월 22일 그의 배들을 언덕 위로 끌고 가 사슬 장벽을 우회하여 Golden Horn으로 바로 들어갔습니다.[77] 이 행동은 명목상 중립 식민지인 페라에서 제노바 선박의 보급품 흐름을 심각하게 위협했고 비잔틴 방어군의 사기를 떨어뜨렸습니다. 4월 28일 밤, 소방선을 이용하여 이미 골든 혼에 있는 오스만 제국의 배들을 파괴하려고 시도했지만, 오스만 제국은 많은 사상자와 함께 기독교인들을 퇴각시켜야 했습니다. 40명의 이탈리아인들이 가라앉고 있는 배를 피해 북쪽 해안으로 헤엄쳐 갔습니다. 메흐메드의 명령에 따라, 그들은 금빛 뿔을 가로질러 성벽에 있는 도시의 수비대들을 보고 말뚝에 박혔습니다. 그에 대한 보복으로, 수비대는 오스만 포로들을 성벽으로 데려갔고, 성벽에서 그들은 하나씩 처형당했습니다.[79][80] 오스만 선박에 대한 공격이 실패함에 따라 방어군은 골든 혼을 따라 바다 벽을 방어하기 위해 병력의 일부를 분산해야 했습니다.
오스만 군대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성벽을 정면으로 몇 차례 공격하기도 했지만 비용이 많이 드는 실패작이었습니다.[81] 베네치아의 외과의사 니콜 ò 바르바로는 그의 일기에서 재니세리족에 의한 그러한 육지 공격을 묘사했습니다.
그들은 터키군이 성벽 바로 아래로 다가와 전투를 벌이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특히 재니세리들은 그들 중 한 명이나 두 명이 살해당했을 때, 즉시 더 많은 터키군이 와서 죽은 자들을 빼앗아갔습니다. 그들이 성벽 근처에 얼마나 가까이 왔는지는 신경 쓰지 않았습니다. 우리 병사들은 총과 석궁으로 그들을 향해 총을 쏘았고, 그들은 죽은 자국민을 데리고 가는 투르크족을 향해 총을 쏘았고, 그들 둘은 모두 죽은 채로 땅에 쓰러질 것입니다. 그리고 나서 다른 투르크족들이 와서 그들을 빼앗았는데, 아무도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터키인 시체 한구를 벽에 남겨두는 수치심을 겪기 보다는 열구나 죽도록 기꺼이 내버려 두었습니다.[53]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1/Siege_constantinople_bnf_fr2691.jpg/260px-Siege_constantinople_bnf_fr2691.jpg)
이 결정적인 공격이 있은 후, 오스만 제국은 5월 중순부터 25일까지 터널을 건설하여 벽을 뚫으려고 했습니다. 많은 광부들은 자간 파샤(Zagan Pasha)의 지휘 아래 노보 브르도(Novo Brdo)에서 파견된 세르비아 출신의 광부들이었습니다.[83] 제노바 파견대와 함께 온 독일인 요하네스 그랜트라는 엔지니어가 대광산을 파서 비잔티움 군대가 광산에 들어가 광부들을 죽일 수 있었습니다.[note 7] 비잔티움 제국은 5월 16일 밤에 첫 번째 터널을 가로챘습니다. 이후의 터널은 5월 21일, 23일, 25일에 중단되었고 그리스군의 포격과 격렬한 전투로 파괴되었습니다. 5월 23일, 비잔티움 제국은 터키 장교 2명을 붙잡아 고문했고, 그들은 파괴된 터키 터널의 위치를 밝혔습니다.[85]
5월 21일, 메흐메드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대사를 보내, 그들이 그에게 도시를 준다면 포위를 풀겠다고 제안했습니다. 그는 황제와 다른 주민들이 그들의 소유물을 가지고 떠나는 것을 허락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그는 황제를 펠로폰네소스의 총독으로 인정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그는 도시에 남아 있기로 선택할 수 있는 사람들의 안전을 보장했습니다. 콘스탄티누스 11세는 술탄에게 더 높은 공물을 바치기로 동의했을 뿐, 정복된 모든 성과 터키인의 손에 있는 땅의 지위를 오스만 제국의 소유물로 인정했습니다. 황제는 싸움 없이 도시를 떠나려 하지 않았습니다.
그 성읍을 너희에게 양보하는 것은, 내가 결정할 일도 아니고, 그 성읍의 다른 사람을 위해서도 아닙니다. 우리 모두는 우리의 생명을 생각하지 않고, 우리의 자유의지로 죽기로 서로 결정한 것입니다.[note 8]
이 무렵, 메메드는 그의 고위 장교들과 마지막 협의회를 가졌습니다. 여기서 그는 약간의 저항에 부딪혔는데, 그의 비지에 중 한 명인 베테랑 할릴 파샤는 메흐메드의 도시 정복 계획을 항상 부정해왔던 그에게 최근의 역경에 맞서서 포위를 포기하라고 충고했습니다. 자간 파샤는 할릴 파샤에게 맞서서 즉각 공격을 주장했습니다. 비잔티움 제국의 방어력이 이미 충분히 약화되었다고 생각한 메흐메드는 순수한 힘으로 성벽을 제압할 계획을 세우고 최후의 총공세를 준비하기 시작했습니다.
최후의 폭행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e/Theofilos_Palaiologos.jpg/260px-Theofilos_Palaiologos.jpg)
마지막 공격에 대한 준비는 5월 26일 저녁부터 시작되어 다음날까지 계속되었습니다.[87] 전쟁위원회가 공격을 결정한 후 36시간 동안 오스만 제국은 총공세를 위해 대대적으로 인력을 동원했습니다.[87] 그리고 나서 마지막 공격이 시작되기 전 5월 28일에 병사들에게 기도와 휴식이 주어졌습니다. 비잔티움 쪽에서는 12척의 배로 이루어진 베네치아의 작은 함대가 에게 해를 탐색한 후 5월 27일 수도에 도착하여 황제에게 베네치아의 큰 구호 함대가 오고 있지 않다고 보고했습니다.[88] 5월 28일, 오스만 군대가 최후의 공격을 준비하는 동안, 도시에서 대규모 종교 시위가 열렸습니다. 저녁에는 하기아 소피아 성당에서 라틴 교회와 그리스 교회의 대표와 귀족들이 참석한 가운데 베스페르스의 엄숙한 마지막 의식이 열렸습니다.[89] 지금까지 오스만 제국은 대포에서 5만 5천 파운드의 화약을 사용하여 5천 발을 발사했습니다. 기병들은 기병들을 울리며 경적을 울리는 소리에 맞춰 진을 돌아다녔습니다.[90][page needed]
5월 29일 화요일 자정 직후, 공세가 시작되었습니다.[36][91] 오스만 제국의 기독교 군대가 먼저 공격했고, 이어서 훈련과 장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비정규 아자프들과 도시의 북서쪽에 있는 손상된 블라허내 성벽의 한 부분에 집중한 아나톨리아 투르크멘 베일리크 군대가 차례로 파도를 일으켰습니다. 성벽의 이 부분은 11세기에 더 일찍 지어졌고 훨씬 더 약했습니다. 투르크멘 용병들은 이 구역의 성벽을 뚫고 도시로 들어갔지만 수비대에 의해 그만큼 빠르게 밀렸습니다. 마침내 엘리트 재니세리들로 구성된 마지막 물결이 도시 성벽을 공격했습니다. 육지에서 수비를 맡고 있던 제노바 장군 지오반니 주스티니아니는 공격 과정에서 심하게 부상을 입었고, 성벽에서 대피하는 바람에 수비진의 대열은 패닉에 빠졌습니다.[6][page needed][56][57][note 9]
Giustiniani의 제노바군이 도시로, 항구로 후퇴하면서, 이제 자신들의 손에 맡겨진 콘스탄티누스와 그의 부하들은 계속해서 재니세리에 맞서 그들의 진지를 유지했습니다. 콘스탄티누스의 부하들은 결국 오스만 군대의 도시 진입을 막지 못했고 방어군은 성벽을 따라 여러 지점에서 압도당했습니다. 울루바틀 ı 하산이 이끄는 재니세리가 앞으로 다그쳤습니다. 많은 그리스 군인들이 가족을 지키기 위해 집으로 돌아왔고, 베네치아 사람들은 배로 후퇴했고, 제노바 사람들 중 몇 명은 갈라타로 탈출했습니다. 나머지는 항복하거나 성벽에서 뛰어내려 자살했습니다.[93] 성벽에서 가장 가까운 그리스의 집들은 오스만 제국에 가장 먼저 시달렸습니다. 콘스탄티누스는 자신의 자주색 제국의 레갈리아를 제쳐두고, 그 뒤의 거리 전투에서 병사들과 함께 끝이 난 오스만 제국을 상대로 최후의 돌격을 이끌었다고 합니다. 베네치아의 니콜 ò 바르바로는 일기에서 콘스탄티누스가 터키군이 산 로마노 문을 침입하는 순간 목을 매 숨졌다고 주장했습니다. 결국 그의 운명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note 10]
최초의 공격 이후, 오스만 군대는 도시의 주요 도로인 메세를 따라 거대한 포럼과 성 사도 교회를 지나갔고, 메흐메드 2세는 새로 임명된 총대주교가 자신의 기독교 신자들을 더 잘 통제할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하기를 원했습니다. 메흐메드 2세는 이 주요 건물들을 보호하기 위해 사전 경비대를 보냈습니다. 황제가 부여한 성벽 부분에서 자신들의 위치를 유지한 카탈루냐인들은 최후의 최후의 군대가 되는 영광을 누렸습니다. 술탄은 페레 훌랴와 그의 아들들, 그리고 집정관 요안 드 라 비아 등을 참수했습니다.
몇몇 민간인들이 탈출에 성공했습니다. 베네치아인들이 그들의 배로 후퇴했을 때, 오스만은 이미 황금 뿔의 성벽을 점령했습니다. 운 좋게도, 오스만 제국은 잠재적으로 가치 있는 노예들을 죽이는 데 관심이 없었고, 오히려 도시의 집들을 습격하여 얻을 수 있는 전리품에 관심이 없었기 때문에 대신 도시를 공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베네치아 선장은 부하들에게 황금 뿔의 문을 부수라고 명령했습니다. 그렇게 해서 베네치아 사람들은 군인들과 난민들로 가득 찬 배를 타고 떠났습니다. 베네치아 사람들이 떠난 직후, 제노바의 배 몇 척과 황제의 배들까지 황금 뿔에서 그들을 따라나갔습니다. 이 함대는 오스만 해군이 황금 뿔을 장악하기 전에 가까스로 탈출했고, 정오가 되어서야 완성되었습니다.[93]
군대는 신의 보호를 바라는 시민들의 거대한 군중에 의해 청동 문이 봉쇄된 하기아 소피아 성당을 앞에 둔 거대한 광장인 아우구스툼으로 모였습니다. 문이 뚫린 후, 군대는 노예 시장을 어떤 가격으로 들여올 수 있는지에 따라 신도들을 분리했습니다.[citation needed] 오스만 제국의 사상자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오스만 제국의 여러 번의 포위 공격과 최후의 공격으로 인해 사상자가 심각하다고 믿고 있습니다.[citation needed] 베네치아 바르바로족은 도시에 피가 "갑작스러운 폭풍 후에 시궁창에 빗물처럼" 흐르고 터키인과 기독교인의 시체가 "운하를 따라 멜론처럼" 바다에 떠다니는 것을 관찰했습니다.[53]
만행
æ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따르면, 메흐메드 2세는 "많은 정교회들이 파괴되는 것을 목격한 초기 약탈 기간을 허용했지만, 도시의 완전한 약탈을 막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도시의 특정 지역에서는 약탈이 매우 철저했습니다. 6월 2일, 술탄은 도시가 거의 폐허가 되었고, 교회들이 신성모독되고 벗겨졌으며, 집들은 더 이상 거주할 수 없게 되었고, 상점들과 가게들은 비워졌습니다. 그는 이 말에 "도굴과 파괴를 위해 우리가 넘겨준 도시가 얼마나 큰지"라며 눈물을 흘렸다고 유명합니다.[95]
정문 너머에 있던 정규군에 의해 진압되기 전에 다른 성벽을 통해 도시로 들어온 수병들과 해병들이 대규모로 약탈을 감행했습니다. 다비드 니콜에 따르면, 보통 사람들은 1204년 당시 십자군에 의해 자신들의 조상들보다 오스만 정복자들에 의해 더 나은 대우를 받았고, 베네치아 원로원 보고서에 따르면, 약 4,000명의 그리스인들만 포위전에서 사망했다고 한 반면, 베네치아의 귀족 50명과 다른 500명 이상의 베네치아 민간인들이 포위전 동안 사망했다고 합니다.[96] 도시의 많은 부를 이미 1204년에 약탈당했고, 오스만에게 제한된 전리품만 남겨두었습니다.[97]
다른 자료들은 오스만 제국의 침략자들에 의한 훨씬 더 잔인하고 성공적인 약탈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키오스의 레너드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 이후 오스만 제국의 침략자들이 도시를 약탈하고, 수만 명의 사람들을 살해하거나 노예로 삼았으며, 수녀, 여성, 어린이들을 강간했다고 진술했습니다.
모든 귀중품들과 그 밖의 장물들은 그들의 진영으로 옮겨졌고, 사로잡힌 기독교인들은 무려 6만 명에 달했습니다. 교회의 지붕이나 벽에 놓여 있던 십자가가 허물어지고 짓밟혔습니다. 여성들은 강간을 당했고, 처녀들은 꽃을 피웠고, 젊은이들은 수치스러운 외설에 참여하도록 강요 받았습니다. 두고 간 수녀들, 심지어 그런 수녀들조차 더러운 방탕함으로 망신을 당했습니다.[98]
오스만 제국의 침략자들은 3일 동안 약탈을 일삼는 동안 아이들을 붙잡아 그들의 천막으로 데려갔고, 황궁과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집들을 약탈하여 부자가 되었습니다. 오스만 제국의 관리 투르순 베그는 이렇게 썼습니다.
적을 완전히 물리치고 난 뒤, 병사들은 도시를 약탈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소년과 소녀들을 노예로 삼았고, 은과 금으로 된 그릇들, 귀중한 돌들과 온갖 귀중한 물건들과 직물들을 황궁과 부자들의 집에서 가져갔습니다. 모든 텐트는 잘생긴 소년들과 아름다운 소녀들로 가득 찼습니다.[99]
콘스탄티노플 시민들 중 누구라도 저항하려 한다면, 그들은 학살당했습니다. 니콜 ò 바르바로(Nicol Barbaro)에 따르면, "하루 종일 터키인들이 도시를 통해 기독교인들을 대규모 학살했다"고 합니다. 마카리오스 멜리세노스에 따르면:
투르크군은 성 안에 들어가자마자, 자기 앞으로 오는 모든 사람을 붙잡아 노예로 삼기 시작했고, 저항을 하려는 사람들은 모두 칼에 찔렸습니다. 많은 곳에서 땅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시체가 수북이 쌓여 있었기 때문입니다.[100]
콘스탄티노플의 여자들은 오스만 군대의 손에 의해 강간에 시달렸습니다.[101] 역사학자 필립 만셀([14]Philip Mansel)에 따르면 도시의 시민들에 대한 광범위한 박해가 발생하여 수천 명의 살인과 강간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콘스탄티노플 시민의 대다수(3만~5만)는 노예가 될 수밖에 없었습니다.[14][16][102][15][103]
"그들은 도시의 사람들을 노예로 만들고 그들의 황제를 죽였고, 가신들은 그들의 예쁜 딸들을 끌어안았습니다."라고 오스만 연대기는 확인합니다.[104]
Nicolas de Nicolay에 따르면, 노예들은 도시의 노예 시장에서 벌거벗은 채 전시되었고, 어린 소녀들은 살 수 있었다고 합니다.[105] 하기아 소피아의 노인 난민들은 학살당했고 여성들은 강간당했습니다.[106] 조지 스프랜츠(George Sprantzes)는 하기아 소피아(Hagia Sophia) 안에서 남녀 모두 강간을 당했다고 말합니다. Steven Runciman에 따르면 교회 안에서 피난민이었던 대부분의 노인들과 병든 사람들은 죽임을 당했고, 나머지는 사슬로 묶여 노예로 팔렸습니다.[107]
메흐메드가 도시에 들어왔을 때 "불행이 있는 곳마다 모두가 고통에 감동했습니다." "집집집마다 개탄과 울부짖음이 있었고, 갈림길에서 비명을 지르며, 모든 교회에서 슬픔이 있었고, 어른 남자들의 신음소리와 여자들의 비명소리는 약탈, 노예화, 이별, 강간을 동반했습니다."[108] 메흐메드는 대성당의 "그 광경에 경탄"하며 소피아 성당에 들어갔습니다. 가지가 대리석 바닥을 마구 두드리는 것을 보고 그는 무엇을 하고 있는지 물었습니다. 가지는 "그것은 신앙을 위한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메흐메드는 그의 킬리지로 그를 베었습니다. `너희는 부뚜막과 포로들에게 만족하라. 그 성읍의 건물들은 나의 것이다.'[109]
축제 기간 동안, "그리고 그가 그의 방문객들과 그의 다른 장교들을 약속했듯이, 메흐메드는 "콘스탄티노플의 광란의 시민들"을 그들 앞에 끌고 갔고 "흥미를 위해,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을 조각조각 해킹하도록 명령했습니다."[110][page needed][111]
비잔티움의 역사가 두카스는 승리 연회 도중 술에 취한 상태에서 술탄이 루카스 노타라스 대공에게 자신의 막내아들을 자신의 기쁨으로 주라고 명령했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그에게 멸시당하는 것이 내 아이를 넘겨주는 것보다 내가 죽는 것이 훨씬 나을 것"이라고 대답했습니다. 이 말을 들은 메흐메드는 분노하여 루카스를 처형하라고 명령했습니다. 노타라스는 죽기 전에 "우리를 위해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자와 일어나신 자"라고 말하고, 공포에 질린 아들들에게 메흐메드의 전진을 거부하고 결과를 두려워하지 말라고 당부했다고 합니다. 그들의 아버지의 말은 그들을 격려했고, 그들은 또한 "죽을 준비가 되어 있었습니다". 그들은 또한 처형되었다고 합니다.[112] 그러나 미국인 연구자이자 교수인 월터 G. 앤드류는 성 펠라기우스의 초기 이야기와 유사한 점을 들어 이 이야기의 진위를 의심하고 있습니다. "두카스의 이야기는 성 펠라기우스와 콘스탄티노플/이스탄불 정복 중에 실제로 일어난 것보다 무슬림을 도덕적으로 열등한 존재로 묘사하려는 오랜 시도의 역사에 더 큰 빚을 지고 있을 것입니다."[113]
후폭풍
메흐메드 2세는 병사들에게 약속한 대로, 당시의 관례대로 사흘 동안 성을 약탈할 수 있도록 허락했습니다.[114][115] 군인들은 전쟁 전리품의 일부를 소유하기 위해 싸웠습니다.[116] 정복 3일째 되는 날, 메흐메드 2세는 모든 약탈을 중단할 것을 명령하고, 포로로 잡히지 않거나 몸값을 받은 모든 기독교인들은 더 이상의 추행 없이 집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선언을 발표했습니다. 많은 이들이 돌아갈 집이 없었고, 더 많은 이들이 포로로 잡혀 몸값을 받지 못했습니다.[117]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의 목격자인 비잔틴 역사가 조지 스프란츠는 술탄의 행동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습니다.[118][page needed][119][page needed]
우리 도시가 함락된 지 사흘째 되는 날, 술탄은 크고 기쁜 승리로 승리를 자축했습니다. 예수께서 선포하셨다. 발각을 면할 수 있었던 모든 연령대의 백성들은, 그들이 자유롭게 지내도록 하고, 어떠한 질문도 하지 않도록 하여, 그들의 은신처를 성읍 곳곳으로 떠나, 공개된 곳으로 나오게 하였다. 그는 나아가 포위전 이전에 우리 도시를 버린 사람들에게 집과 재산의 복구를 선언했습니다. 그들이 집으로 돌아온다면, 그들은 아무 것도 변하지 않은 것처럼 신분과 종교에 따라 대우를 받을 것입니다.
— George Sphrantzes
메흐메드 자신이 넘어져서 소피아 성당의 제단을 짓밟았습니다. 그리고 나서 그는 무진을 시켜 강단에 올라가 기도를 올리게 했습니다.[120][121] 하기아 소피아 성당은 모스크로 개조되었지만,[122] 그리스 정교회는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 허용되었고, 게나디우스 스콜라리우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로 임명되었습니다. 이것이 한때 오스만 밀레 제도의 기원으로 여겨졌지만, 지금은 신화로 여겨지고 15세기에는 그런 제도가 없었습니다.[123][124]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5/Hagia-Sophia-Laengsschnitt.jpg/310px-Hagia-Sophia-Laengsschnitt.jpg)
콘스탄티노플의 함락은 많은 유럽인들에게 충격을 주었고, 그들은 콘스탄티노플을 그들의 문명에 재앙적인 사건으로 여겼습니다.[125] 많은 사람들은 다른 유럽 기독교 왕국들이 콘스탄티노플과 같은 운명을 겪을 것을 두려워했습니다. 그 시대의 인본주의자들과 교회 사람들 사이에서 두 가지 가능한 반응이 나타났습니다: 십자군 전쟁 또는 대화. 교황 비오 2세는 또 다른 십자군 원정을 강력히 주장했고, 독일의 쿠사 니콜라스는 오스만 제국과의 대화를 지지했습니다.[126]
과거 우리는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상처를 입었습니다. 외국에서 말이죠. 그러나 이번에는 유럽에서, 우리 땅에서, 우리 집에서 공격을 받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오래 전에 터키인들이 아시아에서 그리스로 이주했고, 몽골인들이 유럽에 정착했고, 아랍인들이 지브롤터 해협을 통해 접근해 스페인의 일부를 점령했다고 항의할 것입니다. 우리는 콘스탄티노플에 필적하는 도시나 장소를 잃은 적이 없습니다.
— Pope Pius II[127]
콘스탄티누스의 형제 토마스와 데메트리오스가 다스리던 미스트라스의 모란(펠로폰네소스) 요새는 메흐메드가 결국 그들도 침략할 것을 알고 계속해서 서로 갈등했습니다.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함락되기 훨씬 전, 데메트리오스는 토마스, 콘스탄티누스, 그리고 그들의 다른 형제 요한, 테오도르와 함께 왕위를 위해 싸웠습니다.[128] 오스만 제국이 모레아를 침공했을 때 토마스는 로마로 탈출했고 데메트리오스는 괴뢰 국가를 통치하기를 기대했지만, 대신 투옥되어 평생 그곳에 머물렀습니다. 로마에서, 토마스와 그의 가족은 1503년까지 망명중인 비잔틴 황제로서 교황과 다른 서양 통치자들로부터 약간의 금전적인 지원을 받았습니다. 1461년 트레비존드의 독립적인 비잔틴 국가는 메흐메드에게 함락되었습니다.[128]
콘스탄티누스 11세는 후계자를 낳지 못하고 죽었고,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함락되지 않았다면 죽은 형의 아들들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함락시킨 후 메흐메드의 궁전으로 끌려갔을 것입니다. 무라드로 개명된 가장 나이 많은 소년은 메흐메드가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소년이 되었고 루멜리(발칸 반도)의 베일러베이(총독)를 역임했습니다. 메시 파샤(Messih Pasha)로 개명된 작은 아들은 오스만 함대의 제독이 되었고, 갈리폴리 지방의 산카크 베그(Sancak Beg)가 되었습니다. 그는 결국 메흐메드의 아들 바예지드 2세의 통치하에서 두 번이나 그랑 비지에를 역임했습니다.[129]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하면서 메흐메드 2세는 비록 수년간의 전쟁으로 쇠퇴했지만 그의 왕국의 미래 수도를 획득했습니다. 도시를 잃은 것은 크리스텐돔에게 심각한 타격이었고, 기독교 서부는 강력하고 공격적인 동부의 적에게 노출되었습니다. 오스만 제국에 함락된 이후에도 서유럽에서 기독교의 콘스탄티노플 재점령은 오랜 세월 동안 목표로 남아있었습니다. 콘스탄티누스 11세의 생존과 그에 따른 천사의 구출에 대한 소문은 많은 이들이 언젠가 이 도시가 기독교의 손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희망으로 이끌었습니다. 교황 니콜라오 5세는 십자군의 형태로 즉각적인 반격을 요구했지만,[citation needed] 유럽 열강들은 참여를 원하지 않았고, 교황은 도시를 지키기 위해 10척의 배로 구성된 소규모 함대를 파견하는 것에 의지했습니다. 짧았던 십자군 전쟁은 곧바로 끝이 났고 서유럽이 16세기에 들어서면서 십자군 전쟁의 시대는 막을 내리기 시작했습니다.
한동안 그리스 학자들은 이탈리아의 도시 국가들로 갔고, 1396년에 플로렌스 대학에서 강의하기 위해 마누엘 크리솔로라스를 초대했던 플로렌스의 수상 콜루치오 살루타티에 의해 문화 교류가 시작되었습니다.[130] 정복 후, 존 아르기로풀로스와 콘스탄틴 라스카리스와 같은 많은 그리스인들은 도시를 떠나 라틴 서부로 피난처를 찾았고, 그들에게 그리스-로마 전통의 지식과 문서들을 이탈리아와 다른 지역들로 가져와 르네상스를 더욱 촉진시켰습니다.[131][132] 콘스탄티노플에 남아있던 그리스인들은 대부분 도시의 파나르와 갈라타 지역에 살았습니다. 파나리오테스는 그들이 부르는 대로 오스만 제국의 통치자들에게 유능한 조언자들을 많이 제공했습니다.
비잔티움 황제 콘스탄티누스 11세 팔라이올로고스의 것으로 알려진 잘린 머리가 발견되어 메흐메드에게 선물되었고 기둥에 못박혔습니다. 술탄은 머리 앞에 서서 연설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133]
존경하는 장병 여러분, 이런 승리의 영광을 완성하기에는 이 한 가지가 부족했습니다. 지금 이 행복하고 즐거운 순간에 우리는 그리스인들의 부를 갖게 되었고, 우리는 그들의 제국을 쟁취했고, 그들의 종교는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우리 조상들은 이것을 이루기를 간절히 원하였습니다. 주님의 용맹함이 우리를 위해 이 나라를 얻은 것이니, 이제 기뻐하시기 바랍니다.
이 소식은 이슬람 세계에 빠르게 퍼졌습니다. 이집트에서는 "정복 중 가장 위대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좋은 소식이 선포되었고 카이로는 장식되었습니다". 메카의 샤리프는 메흐메드에게 편지를 보내 술탄을 "이슬람과 무슬림을 도와준 자, 모든 왕과 술탄의 술탄"이라고 불렀습니다. 메카의 샤리프가 말했듯이 오랫동안 '만인의 눈에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불굴의 [134]불굴의
제3로마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6/Gentile_Bellini_003.jpg/220px-Gentile_Bellini_003.jpg)
비잔티움은 근대 역사가들이 후기 로마 제국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한 용어입니다. 비록 이것이 공식적인 칭호가 아닌 칭호였고 단순히 "로마 제국"이라고 여겨졌지만, 그 시대에 제국은 콘스탄티노폴리스(또는 몇몇 사람들이 말하는 "새로운 로마")로부터 지배를 받았습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은 경쟁하는 파벌들이 제국의 맨틀을 계승하는 것을 주장하도록 이끌었습니다. 비잔티움 유산에 대한 러시아의 주장은 오스만 제국의 주장과 충돌했습니다. 메흐메드가 보기에, 그는 로마 황제의 후계자였고, 문자 그대로 "로마의 카이사르", 즉 로마 제국의 카이사르라고 선언했지만, 그는 "정복자"로 기억되었습니다.
세르비아의 차르 스테판 두샨과 불가리아의 차르 이반 알렉산더는 둘 다 자신들을 로마 제국의 합법적인 계승자로 간주하며 비슷한 주장을 폈습니다. 베네치아 공화국과 신성 로마 제국과 같은 다른 잠재적인 주장자들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습니다.[135]
교회에 미치는 영향
교황 비오 2세는 오스만 제국이 그리스 정교회 신자들을 박해할 것이라고 믿었고, 1459년 만토바 공의회에서 또 다른 십자군 전쟁을 주장했습니다.[125][136]
레거시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7/Siege_of_Constantinople_fresco%2C_Moldovi%C8%9Ba_monastery%2C_Vatra_Moldovi%C8%9Bei%2C_2017.jpg/220px-Siege_of_Constantinople_fresco%2C_Moldovi%C8%9Ba_monastery%2C_Vatra_Moldovi%C8%9Bei%2C_2017.jpg)
전설들
그리스에는 콘스탄티노플 함락을 둘러싼 많은 전설들이 있습니다. 1453년 5월 22일에 일어난 부분월식은 이 도시의 종말에 대한 예언이 실현된 것이라고 합니다.[137]
4일 후, 도시 전체가 짙은 안개로 인해 파괴되었는데, 이는 5월에 세계 그 지역에서 알려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그날 저녁 안개가 걷히자, 하기아 소피아 성당의 돔 주변에서 이상한 빛이 흘러나오는 것이 목격되었는데, 어떤 사람들은 이를 성령이 도시에서 출발한 것으로 해석했습니다. "이것은 분명히 신성이 구름 속에 숨어 있다가 다시 나타났다 사라지기 때문에, 신성의 존재가 떠나고 그것이 완전한 포기와 이탈로 도시를 떠난다는 것을 나타냈습니다."[138]
다른 이들에게는 그 불빛이 도시를 구원하러 온 존 후냐디 부대의 모닥불이 아니었을까 하는 먼 희망이 남아 있었습니다. 이 모든 현상들이 포위 공격 무렵에 일어난 대재앙 1452/1453 미스터리 폭발의 국지적인 영향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보이는 '불'은 대기권 높은 화산재 구름에 의해 강렬하게 붉은 황혼 빛이 반사돼 착시현상이었을지도 모릅니다.[139]
또 다른 전설에 따르면, 군중 위에 신성한 전례를 말하는 두 명의 사제가 첫 터키 병사들이 들어오면서 성당 벽 안으로 사라졌다고 합니다. 전설에 따르면 콘스탄티노플이 기독교인의 손으로 돌아가는 날 사제들이 다시 나타난다고 합니다.[107] 또 다른 전설은 대리석 황제(콘스탄티누스 11세)를 언급하는데, 오스만 제국이 도시에 진입하자 천사가 황제를 구해 대리석으로 만들어 금문 근처 땅 밑 동굴에 안치하고, 그곳에서 그가 다시 살아나기를 기다린다고 합니다(잠자는 영웅 전설의 변형).[140][141] 그러나 콘스탄티누스의 실종을 둘러싼 많은 신화들은 나중에 발전되었고 심지어 포위 공격에 대한 우호적인 주요 기사에서도 그것들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거의 찾을 수 없습니다.
문화적 영향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b/b6/Zonaro_GatesofConst.jpg/220px-Zonaro_GatesofConst.jpg)
기욤 뒤파이는 동방 교회의 몰락을 애도하는 노래를 여러 곡 작곡했고, 부르고뉴 공작 필립 선왕은 투르크에 맞서 무기를 들겠다고 다짐했습니다. 그러나 이 날부터 오스만 제국의 세력이 커져가는 것이 개신교 개혁과 그에 따른 반종교 개혁과 맞물리면서 콘스탄티노플 탈환은 요원한 꿈이 되었습니다. 한때 십자군 전쟁에 열렬히 참여했던 프랑스도 오스만 제국의 동맹국이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연합이 도시를 점령했다는 묘사와 죽은 황제가 다시 부활했다는 묘사는 계속되었습니다.[142]
1453년 5월 29일, 콘스탄티노플 함락일은 화요일이었고, 그 이후로 화요일은 그리스인들에게 불운한 날로 여겨졌습니다.[143]
르네상스에 미친 영향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함락되고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함락된 이후 비잔티움 학자들과 에미그리스인들의 이주 물결은 르네상스 인문학과[132][better source needed] 과학의 발전을 이끈 그리스 로마 학문의 부흥에 핵심적인 것으로 많은 학자들은 생각합니다. 이들은 문법학자, 인문학자, 시인, 작가, 프린터, 강사, 음악가, 천문학자, 건축가, 학자, 예술가, 필경사, 철학자, 과학자, 정치가, 신학자였습니다.[144][better source needed] 그들은 비잔틴 문명의 보존과 축적된 지식을 서유럽에 훨씬 더 많이 가져다 주었습니다. æ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따르면, "많은 현대 학자들도 이 사건의 결과로 그리스인들이 이탈리아로 이주한 것이 중세의 종말과 르네상스의 시작을 의미한다는 것에 동의합니다."
도시의 이름을 바꾸다
오스만 제국은 도시 이름인 "코스 القسطنطينية ṭī니예"(ṭ) 또는 "코스탄티니예"(Kostantiniye)를 아랍어로 번역하여 사용했습니다. 이슬람교로 가득 찬 이슬람 (이슬람교, اسلامبول) 또는 이슬람교 (이슬람교를 찾아서) 또는 이슬람교 (옛 튀르크어: Be Islam)는 모두 1453년 오스만 제국의 정복 후 이스탄불의 민속학적 적응물이었습니다. 그것은 정복 직후에 처음으로 증명되었고, 그것의 발명은 일부 현대 작가들에 의해 메흐메드 2세 자신에게 기인했습니다.[145]
이스탄불의 이름은 그리스어 문구인 ī스 t īmbol ī(n)(그리스어: εἰς τὴν πόλιν, transit)에서 유래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ē폴린("the City")은 오스만 제국의 터키인들 사이에서 이미 정복 이전에 전파되었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이스탄불은 1930년 개정된 터키 우편법에 의해 겨우 도시의 공식 명칭이 되었습니다.[146][147][148]
주출처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에 대해, 마리오스 필리피데스와 발터 하나크는 15개의 목격자 진술(기독교인 13명, 터키인 2명)과 20개의 동시대 비 목격자 진술(이탈리아인 13명)을 열거하고 있습니다.[149]
목격자 진술
- 메흐메드 ş엠 엘-밀레브 딘, 편지로 설명하는 수피의 성스러운 남자
- Tursun Beg, Tarih-i Abu'l Fath라는 제목의 역사를 썼습니다.
- 그리스의 유일한 목격자인 조지 스프란츠는 이에 대해 글을 썼지만, 그의 서정적인 묘사는 거의 전적으로 부족합니다.
- 키오스의 레너드는 교황 니콜라오 5세에게 보고서를 썼습니다.
- 베네치아 갤리선 의사 니콜 ò 바르바로가 일기를 썼습니다
- 1453년 6월 24일자 보고서를 작성한 페라의 베네치아 포데스타 안젤리노 지오바니 로멜리니
- 피렌체 상인 야코포 테탈디
- 이탈리아에 여덟 통의 편지를 쓴 정교회 신자 키예프의 이시다레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안코니탄 영사 벤베누토
- 도시에서 그리스어를 배우는 이탈리아 시인 우베르티노 푸스콜로는 서사시를 썼습니다.
- 에파르코스와 디플로바츠, 여러 번역을 통해 계정이 갈팡질팡한 두 난민.
- 네스토르 이스칸데르, 슬라브어로 된 이야기를 쓴 젊은 목격자
- 에파르코스와 디플로바츠처럼 왈라키아로 망명한 블라딕 주교 사밀레.
- 오스만 제국 측에서 싸웠던 세르비아인 콘스탄틴 미하일로비치
- 나중에 볼로냐에 온 몇몇 프란치스코 전쟁포로들의 보고서.
목격자가 아닌 진술
- 비잔티움 그리스 역사가인 두카스는 비잔티움 제국이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고 지난 수십 년간 가장 중요한 자료 중 하나입니다.
- 비잔티움 그리스 역사가 라오니코스 칼코콘딜레스
- 비잔티움 그리스 역사가 미카엘 크리토불로스
- 16세기 역사학자 마카리오스 멜리스부르고스는 슈프란츠에 대한 설명을 늘렸지만, 그다지 확실하지는 않았습니다.
- 구두 보고에 근거한 설명을 하는 크레타의 베네치아 관리 파올로 도티.
- 크레타에서 도메니코 카프라니카에게 보내는 프라 지롤라모의 편지
- 라우로 퀴리니, 구술 보고서에 근거하여 크레타 출신 교황 니콜라오 5세에게 보고서를 썼습니다.
- 아이네이아스 실비우스 피콜로미니(교황 비오 2세)는 기록된 자료를 바탕으로 기록을 썼습니다.
- Soemmern의 Henry는 1453년 9월 11일자 편지를 써서 그의 정보원을 인용했습니다.
- Nicola della Tuccia 1453년 가을에 쓰여진 Cronaca di Viterbo는 독특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 니콜 ò 티뇨시 다 폴리뇨, 엑스포지션 콘스탄티노폴리스,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의 일부.
- 필리포 다 리미니, 엑시듐 콘스탄티노폴리타네 우르비스 퀘원담 비잔티움 페레바투르
- 안토니오 이바니 다 사르자나, 콘스탄티노폴리타나, 우르비노 공작에게 보내는 편지의 일부
- 니콜라오스 세쿤디노스, 베네치아 상원, 교황 및 나폴리 법원에서 보고서 낭독
- 조르지 돌핀의 베네치아 연대기에 기록된 자코모 랑구스키는 목격자들에게 접근할 수 있었습니다.
- 존 모스코스는 루카스 노타라스를 기리기 위해 시를 썼습니다.
- 독특한 정보를 담고 있는 Adamo di Montaldo, De Constantinopolitano excidio ad nobilissimum iuvenem Melladucam Cicadam
- 아시크파샤데, 그의 타리-이-이 오스만에[150] 정복에 관한 장을 수록했습니다.
- 네쉬리는 그의 보편적인[150] 역사에 정복에 관한 장을 포함시켰습니다.
- 정복의[150] 지역 전통을 수집한 17세기 여행가 에블리야 셀레비
메모들
- ^ 오스만 제국의 봉신이었던 주라지 브란코비치는 메흐메드 2세의 콘스탄티노폴리스 포위전을 돕기 위해 1,500명의 병사를 보내야 했습니다.[1][2]
- ^ 일부 현대 서양 자료들은 16만에서 30만 사이의 과장된 수치를 제시했습니다.[6]
- ^ 메흐메드 2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포위전을 착실히 준비하는 동안, 옛 장군 투라칸과 그의 두 아들인 아흐메드 베그와 오마르 베그를 보내 모레아를 침공하고, 토마스와 데메트리오스가 콘스탄티누스 11세에게 도움을 주는 것을 막기 위해 겨울 내내 그곳에 머물렀습니다.[33]
- ^ 콘스탄티누스가 인구조사를 하라고 명령한 스프란츠에 따르면, 무기를 가질 수 있는 원주민의 수가 4,983명에 불과했을 때 황제는 경악했습니다. Leonardo di Chio는 6,000명의 그리스인들을 주었습니다.[39]
- ^ 스페인의 크리스토발 데 비야론은 터키인 6만 가구, 그리스인과 아르메니아인 4만 가구, 유대인 1만 가구가 있었다고 주장합니다.[39]
- ^ 이것들은 교황이 보낸 제노바의 배 세 척으로, 공성전에 시칠리아로 수렵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파견되어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돌아오는 길에 있던 커다란 제국 수송선과 함께했습니다.[78]
- ^ Runciman은 그가 스코틀랜드 사람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합니다.[84]
- ^ Original text: Τὸ δὲ τὴν πόλιν σοῖ δοῦναι οὔτ' ἐμὸν ἐστίν οὔτ' ἄλλου τῶν κατοικούντων ἐν ταύτῃ• κοινῇ γὰρ γνώμῃ πάντες αὐτοπροαιρέτως ἀποθανοῦμεν καὶ οὐ φεισόμεθα τῆς ζωῆς ἡμῶν.[86]
- ^ 그러나 제노바에 적대적인 소식통들(예를 들어 베네치아의 니콜 ò 바르바로)은 롱고가 가벼운 상처를 입었을 뿐 전혀 다치지 않았다고 보고하지만, 두려움에 압도되어 전장을 버리기 위해 상처를 모의하여 도시의 함락을 결정지었습니다. 이러한 비겁함과 반역죄의 혐의는 너무나 광범위해서 제노바 공화국은 영국, 프랑스, 부르고뉴 공국 등의 총리들에게 외교 서한을 보내 이를 부인해야만 했습니다.[92] 주스티니아니는 키오스로 옮겨졌고, 며칠 후 그는 상처에 굴복했습니다.
- ^ 바르바로는 이후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일기에 황제의 영웅적인 마지막 순간에 대한 설명을 덧붙였습니다. 오스만 제국의 몇몇 소식통에 따르면 콘스탄틴은 바다로 탈출하기 위해 마르마라 해로 가던 중 남쪽으로 조금 더 떨어진 곳에서 터키 해병대와 우연히 만나 사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94]
참고문헌
- ^ a b c Buc (2020).
- ^ a b c 이바노비치(2019).
- ^ a b Gardinetto (2022).
- ^ "Mahmud Paş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June 2023. Retrieved 26 June 2023.
- ^ a b c 릴리 (2005), 464쪽.
- ^ a b c d e Pertusi, Agostino, ed. (1976). La Caduta di Costantinopoli, I: Le testimonianze dei contemporanei. (Scrittori greci e latini) [The Fall of Constantinople, I: The Testimony of the Contemporary Greek and Latin Writers] (in Italian). Vol. I. Verona: Fondazione Lorenzo Valla.
- ^ a b c "Fall of Constantinople". Encyclopædia Britanni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August 2020. Retrieved 2 August 2020.
- ^ "İstanbul'un fethinde 600 Türk askeri, Fatih'e karşı savaştı" [In the Conquest of Istanbul 600 Turkish Military Fought Against the Conqueror]. Osmanlı Arauştırmalarlı (in Turk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April 2015. Retrieved 29 April 2015.
- ^ 니콜(2002), 57쪽.
- ^ 크롤리 (2013b), 페이지 104: "항상 사상자 수는 천차만별이었지만, 네스코르-이스칸데르는 오스만 제국의 사망자 수를 18,000명으로 나타냈고, 바르바로는 더 현실적인 200명이었습니다."
- ^ "Geographical Record". Geographical Review. 11 (4): 611–629. 1921. ISSN 0016-7428. JSTOR 208254.
Less excusable still is the treatment accorded to the statements of Kritopoulos, that 4,500 were killed at the fall of Constantinople.
- ^ a b 니콜(2000), 41쪽.
- ^ Labatt, Annie (October 2004). "Constantinople after 126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June 2022. Retrieved 30 June 2022.
- ^ a b c Mansel, Philip. "Constantinople: City of the World's Desire 1453–1924". Washington Po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July 2019. Retrieved 7 August 2020.
- ^ a b Akbar(2002), p. 86: "약 3만 명의 기독교인들이 노예가 되거나 팔렸습니다."
- ^ a b Davis, Paul K. (2003). Besieged: 100 Great Sieges from Jericho to Sarajevo. Oxford University Press. p. 84. ISBN 978-0-19-52193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anuary 2024. Retrieved 10 April 2022.
- ^ Frantzes, Georgios; Melisseidis (Melisseides), Ioannis (Ioannes) A.; Zavolea-Melissidi, Pulcheria (2004). Εάλω η ΠόλιςΤ•ο χρονικό της άλωσης της Κωνσταντινούπολης: Συνοπτική ιστορία των γεγονότων στην Κωνσταντινούπολη κατά την περίοδο 1440 – 1453 [The City has Fallen: Chronicle of the Fall of Constantinople: Concise History of Events in Constantinople in the Period 1440–1453] (in Greek) (5 ed.). Athens: Vergina Asimakopouli Bros. ISBN 960-7171-91-8.
- ^ Foster, Charles (22 September 2006). "The Conquest of Constantinople and the end of empire". Contemporary Revie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June 2009.
It is the end of the Middle Ages
) - ^ Cartwright, Mark. "Theodosian Walls". World History Encyclope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April 2023. Retrieved 30 April 2023.
- ^ "The fall of Constantinople". The Economist. 18 June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une 2017. Retrieved 30 April 2023.
- ^ Cartwright, Mark. "1453: The Fall of Constantinople". World History Encyclope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ne 2023. Retrieved 30 April 2023.
- ^ Silverburg, Sanford R. (26 January 2007). "The Middle East Online: Series 1: Arab-Israeli Relations, 1917–1970. Edited by Eugene Rogan. Farmington Hills, MI: Thomson Gale". Microform & Imaging Review. 36 (2). doi:10.1515/mfir.2007.75. ISSN 0949-5770. S2CID 162273820.
- ^ Norwich (1997), p. 304.
- ^ 노리치(1997).
- ^ Madden, Thomas (2005). Crusades: The Illustrated History.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ISBN 978-0-472-11463-4.
- ^ Haldon, John (2000). Byzantium at War 600 – 1453. New York: Osprey.
- ^ 망고(2002).
- ^ "The Black Deat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une 2008. Retrieved 13 August 2008."The Black Deat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une 2008. Retrieved 13 August 2008.
{{cite web}}
CS1 maint: bot: 원본 URL 상태 알 수 없음(링크), Channel 4 – History. - ^ Runciman (1965), p. 60.
- ^ a b c d 크롤리(2005).
- ^ a b c d Norwich (1997), p. 373.
- ^ "Bosphorus (i.e. Bosporus), View from Kuleli, Constantinople, Turkey". World Digital Library. 1890–190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October 2013. Retrieved 20 October 2013.
- ^ 세튼 (1978), 146쪽.
- ^ 크리토불로스 (1954), p. 23.
- ^ Runciman (1965), pp. 83–84.
- ^ a b "Σαν σήμερα "έπεσε" η Κωσταντινούπολη". NewsIT. 29 May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March 2023. Retrieved 31 October 2020.
- ^ Runciman (1965), 81쪽.
- ^ 니콜(1993).
- ^ a b c Runciman (1965), p. 85.
- ^ Frank W. Thackeray; John E. Findling (31 May 2012). Events That Formed the Modern World. ABC-CLIO. p. 213. ISBN 978-1-59884-9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April 2020. Retrieved 13 February 2020.
- ^ John Julius Norwich (29 October 1998). A Short History of Byzantium. Penguin Books Limited. p. 453. ISBN 978-0-14-192859-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April 2020. Retrieved 13 February 2020.
Constantine made one last effort: his ambassadors were executed on the spot.
- ^ Kathie Somerwil-Ayrton (2007). The Train that Disappeared into History: The Berlin-to-Bagdad Railway and how it Led to the Great War. Uitgeverij Aspekt. p. 117. ISBN 978-90-5911-573-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April 2020. Retrieved 13 February 2020.
The Byzantine emperor, then Constantine XI, sent his ambassadors in an attempt to conciliate: they were executed on ...
- ^ John Roberts (1973). Civilization: The emergence of man in society. CRM Books. p. 391. ISBN 978-0-87665-156-8.
It became obvious that Mehmed's messages of peace were false, when he had the Byzantine ambassador executed.
- ^ Lars Brownworth (15 September 2009). Lost to the West: The Forgotten Byzantine Empire That Rescued Western Civilization. Crown. p. 291. ISBN 978-0-307-46241-1.
When Constantine sent emissaries to remind Mehmed that he was breaking his oath and to implore him to at least spare the neighboring villages, Mehmed had the ambassadors executed.
- ^ 노리치(1995), 415쪽.
- ^ 니콜(1993), 380쪽.
- ^ 유출(2010), p. 187.
- ^ Crowley (2013a), pp. 95–110.
- ^ 니콜(2000), 32쪽.
- ^ Lanning (2005), pp. 139–140.
- ^ a b 니콜(2000).
- ^ İnalcıkt, Halil (2001). Osmanlı İmparatorluğu Klasik Çağ (1300–1600) [The Ottoman Empire, The Classical Age, 1300–1600]. Translated by Itzkouritz, Norman; Imber, Colin. London: Orion.
- ^ a b c d 니콜 ò 바르바로, 조르날레 델 '아세디오 디 코스탄티노폴리, 1453. 사인본은 베니스에 있는 마르키아나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Barbaro의 일기는 John Melville-Jones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습니다 (New York: Exposition Press, 1969).
- ^ a b 콘카스티 (1955).
- ^ a b Sphrantzes, George. Οικτρός Γεώργιος ο Φραντζής ο και Πρωτοβεσιαρίτης Γρηγόριος τάχα μοναχός ταύτα έγραψεν υπέρ των καθ' αυτών και τινων μερικών γεγονότων εν τώ της αθλίας ζωής αυτε χρόνω [The Pitiful George Frantzes Who was Protovestiaros, Now a Monk, Wrote This for the Βetterment of Others and as Recompense for Some Deeds in His Miserable Life, This Chronicle] (in Greek).
- ^ a b c Rutheniae, Isidorus (6 July 1453). "Epistola reverendissimi patris domini Isidori cardinalis Ruteni scripta ad reverendissimum dominum Bisarionem episcopum Tusculanum ac cardinalem Nicenum Bononiaeque legatum [Letter of the Most Reverend Lord Father Isidore of Ruthenia, Cardinal, Written to the Most Reverend Lord Bessarion Bishop of Tusculum and Cardinal of Nicaea and Bologna]" (in Latin). Letter to Bisarion.
- ^ a b c d 1453년 8월 16일 교황 니콜라오 5세에게 보낸 편지, J.-P.에 의해 편집되었습니다. Migne, Patrologia Graeca, 159, 923A–944B.
- ^ 레오나르도 디 키오, 편지, 927B: "30만 이상".
- ^ 1464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우베르티노 푸스쿨로
- ^ Leonardo di Chio, Letter, 930C.
- ^ 니콜(2000), 44쪽.
- ^ a b c Norwich (1997), p. 374.
- ^ a b c Steele, Brett D. (2005). The Heirs of Archimedes: Science and the Art of War Through the Age of Enlightenment. MIT Press. p. 106. ISBN 978-0-262-19516-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December 2019. Retrieved 9 September 2019.
- ^ a b c Hammer, Paul E. J. (2017). Warfare in Early Modern Europe 1450–1660. Routledge. p. 511. ISBN 978-1-351-87376-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December 2019. Retrieved 9 September 2019.
- ^ Davis, Paul (1999). 100 Decisive Battles. Oxford. p. 166. ISBN 978-0-19-514366-9.
- ^ a b Runciman (1965), pp. 77–78.
- ^ 아놀드 (2001), 페이지 111.
- ^ Runciman (1965), pp. 94–95.
- ^ 니콜(2000), 39쪽.
- ^ 니콜(2000), p. 45.
- ^ a b Runciman (1965), 92쪽.
- ^ Runciman (1965), 93쪽.
- ^ Runciman (1965), 페이지 94.
- ^ 니콜(2000), 40쪽.
- ^ "The fall of Constantinople". The Economist. 23 December 199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June 2011. Retrieved 11 December 2010.
- ^ Runciman (1965), 96-97쪽.
- ^ a b c Norwich (1997), p. 376.
- ^ Runciman (1965), p. 100.
- ^ Runciman (1965), 108쪽.
- ^ Crowley (2005), pp. 150-154
- ^ Philipides & Hanak (2011), 페이지 520.
- ^ 장 샤티에, 프랑스 왕 샤를 7세의 연대기, MS Bnf Français 2691, f. 246v [1] 2016년 4월 17일 웨이백 기계에서 보관
- ^ 마리오스 필리피데스, 정복자 메흐메드 2세와 오스만 투르크에 대한 프랑코-비잔틴 레반트의 몰락: 약간의 서구적 견해와 증언, (ACMRS/아리조나 중세 및 르네상스 연구 센터, 2007), 83.
- ^ Runciman (1965), 84쪽.
- ^ Crowley (2005), 168-171쪽
- ^ "29 Μαϊου 1453: Όταν "η Πόλις εάλω..." [29 May 1453: When the City Fell...]. iefemerida.com (in Greek). 29 May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May 2017. Retrieved 5 June 2017.
- ^ a b Norwich (1997), p. 378.
- ^ Norwich (1997), p. 377.
- ^ Vasiliev (1928), pp. 651–652.
- ^ 크롤리(2013b).
- ^ Durant(2011), p. 227.
- ^ Desimoni (1874), pp. 296–297.
- ^ a b 니콜(1993), 388쪽.
- ^ 니콜(2000), 81쪽.
- ^ Runciman (1965), p. 152.
- ^ 니콜(2000), 81-84쪽.
- ^ Crowley (2013a), p. 191
- ^ 멜빌 존스 (1972), 39쪽.
- ^ 베그 (1978), p. 37.
- ^ Melissenos (1980), 130쪽.
- ^ Smith, Cyril J. (1974). "History of Rape and Rape Laws". Women Law Journal. No. 60. p. 18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April 2020. Retrieved 12 October 2020.
- ^ Roger Crowley (6 August 2009). Constantinople: The Last Great Siege, 1453. Faber & Faber. p. 226. ISBN 978-0-571-25079-0.
The vast majority of the ordinary citizens - about 30,000 - were marched off to the slave markets of Edirne, Bursa and Ankara.
- ^ Jim Bradbury (1992). The Medieval Siege. Boydell & Brewer. p. 322. ISBN 978-0-85115-312-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January 2023. Retrieved 7 August 2020.
- ^ Lewis, Bernard (1976). "Islam, from the Prophet Muhammad to the Capture of Constantinople: Religion and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March 2023. Retrieved 19 March 2023 – via Google Books.
- ^ Fisher, Alan (2010). "The Sale of Slaves in the Ottoman Empire: Markets and State Taxes on Slave Sales, Some Preliminary Considerations". A Precarious Balance. Piscataway, NJ, US: Gorgias Press. p. 151.
- ^ Calian, Florin George (25 March 2021). "The Hagia Sophia and Turkey's Neo-Ottomanism". The Armenian Weekl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November 2021. Retrieved 5 November 2021.
- ^ a b Runciman (1965), 147쪽.
- ^ Geōrgios Phrantzēs (1980). The Fall of the Byzantine Empire: A Chronicl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ISBN 978-0-87023-29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March 2023. Retrieved 19 March 2023 – via Google Books.
- ^ The Siege of Constantinople 1453: Seven Contemporary Accounts. Hakkert. 1973. ISBN 978-90-256-0626-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anuary 2024. Retrieved 2 January 2023 – via Google Books.
- ^ 멜빌 존스 (1972).
- ^ Diary of the Siege of Constantinople, 1453. Exposition Press. 1969. ISBN 978-0-682-4697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March 2023. Retrieved 19 March 2023.
- ^ Decline and Fall of Byzantium to the Ottoman Turks.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15 January 1975. ISBN 978-0-8143-1540-8. Retrieved 15 January 2023 – via Google Books.
- ^ Andrews, Walter; Kalpakli, Mehmet (13 January 2005). The Age of Beloveds: Love and the Beloved in Early-Modern Ottoman and European Culture and Society. Duke University Press. p. 2. ISBN 978-0-8223-3424-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April 2023. Retrieved 29 January 2023.
Some people who are familiar with the history of stories about sex and love will recognize close parallels to the story of Saint Pelagius, the thirteen-year- old Christian martyr of the early tenth century, said to have been a beautiful and pious youth, who was tortured and dismembered by the Cordoban caliph 'Abdu'r-Rahman III when he refused the caliph's sexual advances." It is easy to see how it could have seemed meaningful and hopeful to a Greek mourning lost Byzantium to reference the cult of Saint Pelagius, which for centuries provided spiritual energy to the Spanish Reconquista. Thus, although it is likely that Doukas's tale owes more to Saint Pelagius and a long history of attempts to portray Muslims as morally inferior than to anything that actually happened during the conquest of Constantinople/Istanbul...
- ^ Runciman (1965), p. 145.
- ^ 스미스, 마이클 르웰린, 콘스탄티노플의 몰락, 히스토리메이커스 매거진 5호, 마셜 캐번디시, 시드윅 & 잭슨(런던).
- ^ Reinert (2002), p. 283.
- ^ Runciman (1965), pp. 150–151.
- ^ 스프랜츠 (1980).
- ^ 크리토불로스 (1954).
- ^ Hillenbrand, Carole (21 November 2007). Turkish Myth and Muslim Symbol: The battle of Mazikert. p. 175. ISBN 978-0-7486-3115-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March 2023. Retrieved 23 March 2023.
- ^ The Siege of Constantinople 1453: Seven Contemporary Accounts. Hakkert. 1973. p. 103-112. ISBN 978-90-256-0626-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anuary 2024. Retrieved 2 January 2023 – via Google Books.
- ^ Freeman, Evan (2021). "Hagia Sophia in Istanbul". Smarthistory Guide to Byzantine Ar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December 2023. Retrieved 30 December 2023.
- ^ Braude, Benjamin (1982). "Foundation Myths of the Millet System". In Braude, Benjamin; Lewis, Bernard (eds.). Christians and Jews in the Ottoman Empire. Vol. 1. New York: Holmes & Meier. pp. 69–90. ISBN 0-8419-0519-3.
- ^ Masters, Bruce (2009). "Millet". In Ágoston, Gábor; Bruce Masters (eds.).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Facts On File. pp. 383–384. ISBN 978-0-8160-6259-1.
- ^ a b Hyslop, Stephen Garrison; Daniels, Patricia; Society (U.S.), National Geographic (2011). Great Empires: An Illustrated Atlas. National Geographic Books. p. 284. ISBN 978-1-4262-0829-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August 2020. Retrieved 2 June 2020.
- ^ Volf, Miroslav (2010). "Body counts: the dark side of Christian history". The Christian Century. 127 (Journal Article): 11–. ISSN 0009-528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July 2020. Retrieved 27 July 2020.
- ^ Jones, Erik; Genugten, Saskia van (2018). Europe and Islam. Routledge. ISBN 978-1-317-20724-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March 2023. Retrieved 19 March 2023 – via Google Books.
- ^ a b Norwich (1995), p. 446.
- ^ 라우리, 히스 W. (2003) 오스만 제국 초기 국가의 성격 뉴욕 올버니: SUNY Press. 115-116쪽.
- ^ N.G. 윌슨, 비잔티움에서 이탈리아까지. 이탈리아 르네상스에서의 그리스 연구, 런던, 1992. ISBN 0-7156-2418-0
- ^ "John Argyropoulos". britannica.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April 2008. Retrieved 2 October 2009.
- ^ a b "Byzantines in Renaissance Ital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September 2003. Retrieved 10 April 2007.
- ^ The Siege of Constantinople 1453: Seven Contemporary Accounts. Hakkert. 15 January 1973. ISBN 978-90-256-0626-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anuary 2024. Retrieved 15 January 2023 – via Google Books.
- ^ Nadia Maria El-Cheikh (2004). Byzantium Viewed by the Arabs. Harvard CMES. ISBN 978-0-932885-3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anuary 2024. Retrieved 19 March 2023 – via Google Books.
- ^ "Saving the Third Rome. "Fall of the Empire", Byzantium and Putin's Russia". IWM. 9 November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July 2014. Retrieved 13 February 2016.
- ^ 플로레수, 맥널리, 드라큘라, 129쪽
- ^ Guillermier, Pierre; Koutchmy, Serge (1999). Total Eclipses: Science, Observations, Myths, and Legends. Springer. p. 85. ISBN 1-85233-160-7. Retrieved 27 February 2008.
- ^ 크리토불로스 (1954), p. 59.
- ^ "#1543" (Press release). Pasadena, California: Public Information Office, Jet Propulsion Laboratory,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National Aeronautics & Space Administration (NASA). 199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December 2016. Retrieved 5 June 2017.
- ^ "The Marble Kin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December 2012.
- ^ Hatzopoulos, Dionysios. "Fall of Constantinople, 1453". Hellenic Electronic Cent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09. Retrieved 25 July 2014.
- ^ 망고(2002), 280쪽.
- ^ "The fall of Constantinople". The Economist. 23 December 199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rch 2019. Retrieved 27 January 2019.
- ^ "Greeks in Italy". how-to-learn-any-languag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une 2013.
- ^ Sakaoğlu, Necdet (1993–1994). "İstanbul'un adları" [The names of Istanbul]. Dünden bugüne İstanbul ansiklopedisi (in Turkish). Istanbul: Türkiye Kültür Bakanlığı.
- ^ 로빈슨, 리처드 D. (1965) 터키 제1공화국: 국가발전 사례연구 캠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 Room, Adrian, (1993), 지명 변경 1900–1991, (메투첸, 뉴저지, & London:허수아비 출판사), ISBN 0-8108-2600-3 페이지 46, 86.
- ^ "Timeline: Turkey". BBC News. 10 December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June 2010. Retrieved 18 January 2010.
- ^ Philipides & Hanak (2011), pp. 10–46 (목격자), 46 (그리스), 88–91 (터키).
- ^ a b c 오스만 제국에 콘스탄티노플 함락, 마이클 앤골드 문맥과 결과(Routledge, 2012), pp. 150–152, 163.
책들
- Akbar, M. J. (3 May 2002). The Shade of Swords: Jihad and the Conflict Between Islam and Christianity. Routledge. ISBN 978-1-134-45259-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October 2020. Retrieved 6 August 2020.
- Arnold, Thomas (2001). The Renaissance at War. Cassell & Co. ISBN 0-304-35270-5.
- Beg, Tursun (1978). The History of Mehmed the Conqueror. Translated by Inalcik, Halil; Murphey, Rhoads. Chicago: Biblioteca Islamica.
- Concasty, Marie-Louise (1955). Les 'Informations' de Jacques Tedaldi sur le siège et la prise de Constantinople (in French). OCLC 459382832.
- Crowley, Roger (2005). 1453: The Holy War for Constantinople and the Clash of Islam and the West. Hyperion. ISBN 978-1-4013-0558-1.
- Crowley, Roger (2013b). 1453: The Holy War for Constantinople and the Clash of Islam and the West. Hachette Books. ISBN 978-1-4013-0558-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December 2023. Retrieved 1 August 2022.
- Crowley, Roger (2013a). Constantinople. Faber & Faber. ISBN 978-0-571-2982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anuary 2024. Retrieved 2 March 2021.
- Desimoni, C. (1874). Adamo di Montaldo. Atti della Società Ligure di Storia Patria (Proceedings of the Ligurian Society for Homeland History) (in Italian). Vol. X. Genoa.
{{cite book}}
: CS1 maint: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Durant, Will (7 June 2011). The Reformation: The Story of Civilization, Volume VI. Simon and Schuster. ISBN 978-1-4516-4763-1.
- Emecen, Feridun M. (2012). Fetih ve kıyamet, 1453: İstanbul'un fethi ve kıyamet senaryoları. İstanbul: Timaş. ISBN 9786051149318.
- Kritovoulos, Michael (1954). History of Mehmed the Conqueror. Translated by Riggs, C. T.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1979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August 2020. Retrieved 29 May 2020.
- Lanning, Michael Lee (2005). The Battle 100: The Stories Behind History's Most Influential Battles. Sourcebooks, Inc. ISBN 1-4022-2475-3.
- Lilie, Ralph-Johannes (2005). Bisanzio la seconda Roma. Rome: Newton Compton.
- Mango, Cyril (2002). The Oxford History of Byzantium.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Melissenos, Makarios (1980). "The Chronicle of the Siege of Constantinople, April 2 to May 29, 1453". In Philippides, Marios (ed.). The Fall of the Byzantine Empire, A Chronicle by George Sphrantzes, 1401–1477. Amhers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 Melville-Jones, John R. (1972). The Siege of Constantinople 1453: Seven Contemporary Accounts. Amsterdam: Adolf M. Hakkert. ISBN 90-256-0626-1.
- Nicol, Donald M. (1993). The Last Centuries of Byzantium, 1261–1453 (2nd e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4399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October 2022. Retrieved 3 October 2022.
- Nicol, Donald M. (2002). The Immortal Emperor: The Life and Legend of Constantine Palaiologos, Last Emperor of the Roma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89409-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ly 2019. Retrieved 9 January 2018.
- Nicolle, David (2000). Constantinople 1453: The End of Byzantium (Campaign). Vol. 78. Oxford: Osprey Publishing. ISBN 1-84176-091-9.
- Norwich, John Julius (1995). Byzantium: The Decline and Fall. New York: Alfred A. Knopf. ISBN 0-679-41650-1.
- Norwich, John Julius (1997). A Short History of Byzantium. New York: Vintage Books.
- Philippides, Marios; Hanak, Walter K. (2011). The siege and the fall of Constantinople in 1453. Farnham Burlington, Vermont: Ashgate. ISBN 9781409410645.
- Reinert, Stephen (2002). The Oxford History of Byzantium. New York: Oxford UP.
- Runciman, Steven (1965). The Fall of Constantinople, 1453 (Canto ed.).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39832-9.
- Setton, Kenneth M. (1978). The Papacy and the Levant (1204–1571): The Fifteenth Century. Vol. 2. DJane Publishing. ISBN 0-87169-127-2.
- Sphrantzes, George (1980). The fall of the Byzantine Empire: a chronicle. Translated by Philippides, Marios. Amhers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ISBN 978-0-87023-290-9.
- Spilling, Michael, ed. (2010). Battles That Changed History: Key Battles That Decided the Fate of Nations. London: Amber Books Ltd. ISBN 9781906842123.
- Vasiliev, Alexander (1928). A History of the Byzantine Empire, Vol. II. Vol. II. Translated by Ragozin, S.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저널 기사
- Buc, Philippe (14 March 2020). "One among many renegades: the Serb janissary Konstantin Mihailović and the Ottoman conquest of the Balkans". Journal of Medieval History. 46 (2): 217–230. doi:10.1080/03044181.2020.1719188. ISSN 0304-4181. S2CID 214527543.
- Ivanović, Miloš (2019). "Militarization of the Serbian State under Ottoman Pressure". The Hungarian Historical Review. 8 (2): 390–410. ISSN 2063-8647. JSTOR 26902328.
웹사이트
- Giardinetto, Armando (29 May 2022). "29 maggio 1453 – Una cronaca della caduta di Costantinopol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May 2023. Retrieved 17 May 2023.
더보기
- 바빙거, 프란츠 (1992): 정복자 메흐메드와 그의 시대. 프린스턴 대학 출판부. ISBN 0-691-01078-1.
- 플레처, 리처드 A. 십자가와 초승달 (2005) 펭귄 그룹 ISBN 0-14-303481-2.
- 해리스, 조나단(2007): 콘스탄티노플: 비잔티움의 수도. 햄블던/연속 ISBN 978-1-84725-179-4.
- 해리스, 조나단(2010): 비잔티움 제국의 종말. 예일대 출판부. ISBN 978-0-300-11786-8.
- Momigliano, Arnaldo; Schiavone, Aldo (1997). Storia di Roma, 1 (in Italian). Turin: Einaudi. ISBN 88-06-11396-8.
- Murr Nehme, Lina (2003). 1453: The Conquest of Constantinople. Aleph Et Taw. ISBN 2-86839-816-2.
- Pertusi, Agostino, ed. (1976). La Caduta di Costantinopoli, II: L'eco nel mondo [The Fall of Constantinople, II: The Echo in the World] (in Italian). Vol. II. Verona: Fondazione Lorenzo Valla.
- 필리핀, 마리오스, 월터 K. 하나크, 1453년 콘스탄티노플 공성전과 함락, 애쉬게이트, 판넘, 벌링턴 2011.
- 스미스, 마이클 르웰린, "콘스탄티노플의 몰락", 히스토리 메이커스 매거진 5호(런던, 마셜 캐번디시, 시드윅 & 잭슨, 1969) 192쪽.
- Whitcroft, Andrew (2003): 인피델: 기독교와 이슬람 사이의 갈등, 638–2002. 바이킹 출판 ISBN 0-670-86942-2.
- 윈틀, 저스틴(2003): 이슬람의 대략적인 안내 역사. 대략적인 안내서. ISBN 1-84353-018-X.
외부 링크
라이브러리 리소스 정보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
Wikimedia Commons에서 콘스탄티노플 함락 관련 미디어 (1453)
- 이슬람 세계가 2021년 4월 22일 웨이백 기계에 보관된 콘스탄티노플 포위전
- 세계사 백과사전 – 1453: 콘스탄티노플 함락
- 콘스탄티노플 공성전과 가을, BBC 라디오 4에서 로저 크롤리, 주디스 헤린 & 콜린 임버와 토론 (In Our Time, 2006년 12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