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아수용체

Orphan receptor

생화학에서 고아수용체는 다른 확인된 수용체와 구조가 비슷하지만 아직 내생 리간드가 확인되지 않은 단백질이다. 나중에 고아 수용체용 리간드가 발견되면 수용체를 '입양된 고아'[1]라고 부른다. 반대로 고아 리간드라는 용어는 아직 인지 수용체가 확인되지 않은 생물학적 리간드를 말한다.

고아 수용체의 예는 GPCR([2][3][4]단백질결합수용체)과 핵수용체[5][6][7] 제품군에서 찾아볼 수 있다.

내생 리간드가 발견되면 고아 수용체는 '입식'되거나 '탈형화'[8]된다. 핵수용체 파르네소이드 X 수용체(FXR)와 GPCR TGR5/GPCR19/G 단백질 커플링 담즙산 수용체가 그 예로서 담즙산에 의해 활성화된다.[9] 핵수용체군에서 채택된 고아수용체로는 FXR, 간X수용체(LXR), 과산화지질증식활성수용체(PAR) 등이 있다. 고아 수용체 부위의 또 다른 예는 리간드 게이트 이온 채널의 일종인 [10]NMDA 수용체PCP 결합 부지다. 이 사이트는 레크리에이션 약품 PCP가 작용하는 곳이지만 내생 리간드는 이 사이트에 결합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PCR 고아 수용체에는 대개 "GPR"이라는 이름이 붙고 그 뒤에 숫자(예: GPR1)가 붙는다. GPCR 계열에서는 거의 100개의 수용체 같은 유전자가 고아로 남아 있다.[11]

디스커버리

역사적으로 수용체는 리간드를 사용하여 수용체를 "어류"로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정의상 이 수용체들은 고아가 아니었다. 그러나 역 약리학, cDNA 도서관의 선별, 전체 게놈 염기서열 분석과 같은 현대적인 분자생물학 기법으로 수용체들은 그들의 리간드가 무엇인지 알지 못한 채 알려진 수용체들과의 염기서열 유사성에 기초하여 확인되었다.

참조

  1. ^ Nanduri, Ravikanth; Bhutani, Isha; Somavarapu, Arun Kumar; Mahajan, Sahil; Parkesh, Raman; Gupta, Pawan (2015-01-01). "ONRLDB—manually curated database of experimentally validated ligands for orphan nuclear receptors: insights into new drug discovery". Database. 2015: bav112. doi:10.1093/database/bav112. PMC 4669993. PMID 26637529.
  2. ^ Levoye A, Dam J, Ayoub MA, Guillaume JL, Jockers R (2006). "Do orphan G-protein-coupled receptors have ligand-independent functions? New insights from receptor heterodimers". EMBO Rep. 7 (11): 1094–8. doi:10.1038/sj.embor.7400838. PMC 1679777. PMID 17077864.
  3. ^ Civelli O, Saito Y, Wang Z, Nothacker HP, Reinscheid RK (2006). "Orphan GPCRs and their ligands". Pharmacol Ther. 110 (3): 525–32. doi:10.1016/j.pharmthera.2005.10.001. PMID 16289308.
  4. ^ Wise A, Jupe SC, Rees S (2004). "The identification of ligands at orphan G-protein coupled receptors". Annu Rev Pharmacol Toxicol. 44 (February): 43–66. doi:10.1146/annurev.pharmtox.44.101802.121419. PMID 14744238.
  5. ^ Giguère V (October 1999). "Orphan nuclear receptors: from gene to function". Endocr. Rev. 20 (5): 689–725. doi:10.1210/er.20.5.689. PMID 10529899.
  6. ^ Benoit G, Cooney A, Giguere V, Ingraham H, Lazar M, Muscat G, Perlmann T, Renaud JP, Schwabe J, Sladek F, Tsai MJ, Laudet V (2006). "International Union of Pharmacology. LXVI. Orphan nuclear receptors". Pharmacol Rev. 58 (4): 798–836. doi:10.1124/pr.58.4.10. PMID 17132856.
  7. ^ Shi Y (June 2007). "Orphan Nuclear Receptors in Drug Discovery". Drug Discov. Today. 12 (11–12): 440–5. doi:10.1016/j.drudis.2007.04.006. PMC 2748783. PMID 17532527.
  8. ^ SHI, Y (2007). "Orphan nuclear receptors in drug discovery". Drug Discovery Today. 12 (11–12): 440–445. doi:10.1016/j.drudis.2007.04.006. PMC 2748783. PMID 17532527.
  9. ^ Mi LZ, Devarakonda S, Harp JM, Han Q, Pellicciari R, Willson TM, Khorasanizadeh S, Rastinejad F (April 2003). "Structural basis for bile acid binding and activation of the nuclear receptor FXR". Mol. Cell. 11 (4): 1093–100. doi:10.1016/S1097-2765(03)00112-6. PMID 12718893.
  10. ^ Fagg GE (May 1987). "Phencyclidine and related drugs bind to the activated N-methyl-D-aspartate receptor-channel complex in rat brain membranes". Neurosci. Lett. 76 (2): 221–7. doi:10.1016/0304-3940(87)90719-1. PMID 2438606.
  11. ^ Laschet, C; Dupuis, N; Hanson, J (2018). "The G protein-coupled receptors deorphanization landscape". Biochemical Pharmacology. 153: 62–74. doi:10.1016/j.bcp.2018.02.016. PMID 29454621.

외부 링크

  • "Class A Orphans GPCRs". IUPHAR/BPS Guide to PHARMACOLOGY Database. University of Edinburgh / International Union of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 "Adhesion Class GPCRs". IUPHAR/BPS Guide to PHARMACOLOGY Database. University of Edinburgh / International Union of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 "Class C Orphans GPCRs". IUPHAR/BPS Guide to PHARMACOLOGY Database. University of Edinburgh / International Union of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