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의 모세
Moses in Islam무사 | |
---|---|
موسی | |
![]() 이슬람 서예로 무사의 이름 뒤에 평화가 따라다닌다. | |
전임자 | 슈아이브 |
후계자 | 하룬 |
배우자 | ①아푸라 |
친척들. | 유카비드(어머니) 아시야(양어머니) 미리암(누나) |
이슬람에서 무사 이븐 임란(아랍어: مسیی ' ' ' ' ' ' ', '아므람의 [1]아들 모세')은 중요한 예언자이자 신의 전령이며, 그의 이름이 136번 언급되고 있는 것 외에 그의 생애가 코란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다.
코란에 따르면, 무사는 이스라엘 가문에서 태어났다.어린 시절, 그는 나일 쪽으로 흐르는 바구니에 담겨지고, 결국 무사는 파라오의 아내 아시야에 의해 발견되는데, 아시야는 무사를 양자로 만든다.성인이 된 후, 무사는 파라오를 위협하기 위해 다시 이집트로 떠나기 전에 미디안에 거주한다.그의 예언자 기간 동안, 무사는 수많은 기적을 행했다고 전해지며, 또한 '신의 화자'(칼렘 알라)라는 칭호를 무사에게 부여한 신과 개인적으로 대화했다고 전해진다.예언자의 가장 인기 있는 기적은 하나님이 주신 기적적인 막대기로 바다를 나누는 것이다.코란 외에도, 무사는 하디스 문학에서도 묘사되고 칭송된다.
파라오가 죽은 후, 모세와 그의 추종자들은 예루살렘을 향해 여행하고, 그곳에서 예언자는 결국 죽는다.이슬람 전통에서, 그는 나비무사에 묻혔고, 결국 하늘로 올라갔다고 믿어진다.그 후, 그는 밤 여정 동안 예루살렘에서 올라간 마호메트를 일곱 하늘에서 만났다고 전해진다.[4]여행 중에, 무함마드를 반복적으로 돌려보내고, 원래 50번으로 여겨졌던 매일 필요한 기도 횟수를 5번만 [5][6]남아있을 때까지 줄여달라고 요청했다고 한다.
무사는 이슬람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로 여겨진다.이슬람 신학에 따르면, 모든 이슬람교도들은 모사와 그의 형제 하룬을 포함한 모든 예언자와 전령자에 대한 믿음을 가져야 한다.무사의 삶은 일반적으로 무함마드의 삶과 영적인 유사점으로 보여지며, 이슬람교도들은 두 개인의 삶의 많은 측면을 [1]공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이슬람 문학은 또한 그들의 민족과 그들의 생전에 일어난 사건들 사이의 평행한 관계를 묘사한다; 고대 이집트에서 이스라엘 사람들의 탈출은 본질적으로 무함마드와 그의 추종자들이 메카에서 메디나로 이주한 것과 유사하다고 여겨진다 – 이스라엘 사람들의 박해에 직면하여 전개된 사건들 - 고대 이집트인에 의해, 초기 무슬림에 의해 각각 [7]메카인에 의해.십계명과 같은 그의 계시는 구약성서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8][9]유대교와 기독교의 아브라함 종교의 중심이다.이에 따라 유대인과 기독교인은 이슬람 율법이 적용되는 곳이라면 어디서든 이 특별한 지위를 인정받게 된다.무사는 이슬람 문학에서 더욱 존경받는데, 이것은 그의 삶의 사건들과 코란과 신과의 직접적인 대화와 같은 그에게 주어진 기적들을 확장시킨다.
시리즈의 일부 |
무사 |
---|
![]() |
초기 생활
어린시절
이슬람 전통에 따르면, 무사는 이집트에 사는 이스라엘인 가정에서 태어났다.그의 가족 중, 이슬람 전통은 일반적으로 그의 아버지를 히브리 성경의 암람에 해당하는 '임란'으로 명명하고, 전통적인 족보에서는 레비를 그의 [10]조상으로 지명한다.이슬람은 무사가 예언자 유수프(요셉)의 시대 이후 통치자 파라오가 이스라엘 사람들을 노예로 삼았던 시기에 태어났다고 말한다.이슬람 문학은 무사의 탄생 시기에, 파라오에 그는 불 예루살렘의 그의 왕국에서 가장 이스라엘 자손의 땅에서 제외한 모든 것을 태우는라는 도시에서 오는 것을 목격한 꿈을 꾼다.( 다른 이야기들도 있지만은 파라오의 왕관과아서 잡는 소년의 바로 꿈 it,[11] 말한다 i.이라고 말한다sno 꿈이 실제로 일어났는지 여부에 대한 진정한 이슬람 참조)파라오는 남자 아이들 중 한 명이 자신을 전복시키기 위해 자랄 것이라는 소식을 듣고, 예언이 [12]일어나지 않도록 이스라엘 자손의 모든 신생 남성을 죽이라고 명령한다.파라오 궁정의 경제 전문가들은 이스라엘 사람들의 남자 아기를 죽이는 것은 [13]노동력을 잃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그에게 충고한다.따라서, 그들은 남자 아기들은 1년 안에 죽여야 하지만 다음 [13]해는 살려야 한다고 제안한다.모세의 동생 하룬은 영아를 살려준 해에 태어났고, 모세는 영아를 [14]죽여야 하는 해에 태어났다.
나일강에서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6/Asiya_finds_Moses.jpg/300px-Asiya_finds_Moses.jpg)
이슬람 전통에 따르면, 모세의 어머니인 요체베드가 이 기간 동안 몰래 모사를 젖먹인다.그들이 잡힐 위험에 처했을 때, 신은 그녀에게 그를 고리버들 바구니에 넣어 나일강에 [15]표류시키라고 영감을 준다.그녀는 딸에게 방주의 길을 따라가 보고하라고 지시한다.그녀의 딸이 강둑을 따라 방주를 따라가고 있을 때, 무사는 파라오의 아내인 아시야에 의해 발견되고, 아시야는 파라오에게 [16][17]그를 입양하도록 설득한다.아시야가 모세를 위해 젖먹이 간호사들에게 명령했을 때, 모유는 먹기를 거부한다.이슬람 전통은 신이 모사를 어머니와 [18]재회시키기 위해 젖먹이 간호사에게 젖을 먹이는 것을 금지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그의 누이는 모사가 한동안 먹이를 받지 못한 것을 걱정하여, 파라오에게 나타나 [19]모사를 먹여 살릴 수 있는 사람을 알고 있다고 알려준다.심문을 받은 후,[19] 그녀는 논의 중인 여성을 데려오라는 명령을 받는다.누나는 모사를 먹여 살리는 어머니를 데려오고, 그 후 [20]모사는 모사의 젖먹이 간호사로 임명된다.
![]() 이슬람에 관한 시리즈의 일부 이슬람의 예언자 |
---|
![]() |
![]() |
예언자 자격
예언 검정
이스라일랴트 하디스에 따르면, 모사가 어린 시절 파라오의 무릎 위에서 놀고 있을 때, 그는 파라오의 턱수염을 잡고 그의 얼굴을 때렸다고 한다.이 행동은 파라오가 모세를 자신을 전복시킬 이스라엘 사람으로 생각하도록 자극하고, 파라오는 모세를 죽이려고 한다.파라오의 아내는 파라오가 아기이기 때문에 그를 죽이지 말라고 설득한다.대신,[21] 그는 무사를 시험하기로 결심한다.어린 무사 앞에 두 개의 접시가 놓여 있는데, 하나는 루비가 들어 있고 다른 하나는 불타는 [21]석탄이 들어 있습니다.모사는 루비를 잡으려고 손을 뻗었지만, 천사 가브리엘은 그의 손을 석탄으로 향하게 했다.모사는 빛나는 석탄을 잡아 입에 넣고 [22]혀를 태운다.그 사건 이후, 모사는 언어 장애를 겪지만 [23][24]파라오에 의해 목숨을 건진다.
미디안으로의 탈출
코란에 따르면, 성년이 된 후, 무사는 한 도시를 지나다가 이스라엘 사람과 싸우는 이집트를 우연히 만나게 된다.성경에 나오는 사마리아인으로 알려진 이 이스라엘 사람은 자신을 학대하는 이집트에 맞서 무사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사마리아인으로 추정된다.무사는 개입을 시도하고 [25][self-published source]분쟁에 휘말린다.무사는 화가 난 상태에서 이집트인을 때리고, 그로 인해 그는 [26]죽는다.그리고 나서 모세는 신에게 회개하고, 다음날 또 다른 이집트인과 싸우고 있는 같은 이스라엘인을 만나게 된다.이스라엘인은 다시 무사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무사가 이스라엘인에게 다가가자, 그는 무사에게 자신의 과실치사 사실을 상기시키며, 무사가 이집트인을 죽일 의도가 있었는지를 묻는다.모사가 보고되었고, 파라오는 모사를 죽이라고 명령한다.하지만,[12] 무사는 그의 처벌을 받고 사막으로 도망친다.이슬람 전통에 따르면, 무사가 미디안에 도착한 후,[27] 그는 두 마리의 암컷 양치기들이 우물에서 그들의 양떼를 몰아내는 것을 목격한다.모사는 그들에게 다가가 양치기로서의 일과 우물에서 물러난 것에 대해 묻는다.그들의 대답과 아버지 슈아이브의 노후에 대해 들은 모사는 그들을 [27]위해 양떼에 물을 준다.두 양치기들은 그들의 집으로 돌아가 그들의 아버지에게 모사를 알린다.그리고 그들은 모사를 잔치에 초대한다.그 잔치에서, 그들의 아버지는 그의 [25]딸들 중 한 명과 결혼하는 대가로 무사에게 8년 동안 그를 위해 일해 달라고 부탁한다.모사는 동의하고 그를 위해 10년 [25]동안 일한다.
설교
예언자 직책 호출
코란에 따르면 무사는 계약기간을 마치고 가족과 함께 이집트로 떠난다.여행 중에 투르 근처에 들렀을 때, 무사는 큰 불을 보고 그가 그들을 위해 불을 가지고 돌아올 때까지 기다리라고 가족에게 지시한다.무사가 투와 계곡에 이르렀을 때,[28] 신은 계곡의 오른쪽에서 코란에서 알 부카 알 무바라카 ('복받은 땅')로 숭배되는 곳에 있는 나무에서 그를 부른다.모세는 신의 명령을 받고 신발을 벗으며 예언자로서의 선택, 기도의 의무, 심판의 날에 대해 알게 된다.그리고 나서 무사는 그의 지팡이를 던지고, 그것은 뱀으로 변하며, 나중에 그것을 [29]잡으라는 지시를 받는다.그리고 나서 코란은 무사가 그의 옷에 그의 손을 넣도록 명령받았고, 그가 그것을 밝혔을 때, 그것은 밝은 [30]빛을 비춘다.신은 이것이 파라오를 위한 징조라고 말하고, 모세에게 파라오를 한 [30]신의 예배에 초대하라고 명령한다.모사는 파라오에 대한 두려움을 표현하고 그의 언어장애를 치료해 달라고 신에게 요청한다.이슬람 전통에 따르면, 그들 둘 다 파라오에 대한 두려움을 말했지만, 신이 그들을 지켜보며 이스라엘 사람들을 해방시키라고 파라오에게 명령할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그래서 그들은 [27]파라오에게 설교하기 위해 떠난다.
코란에는 모사가 고대 이집트의 과거(파라오)에 맞서고, 전자의 노예가 된 이스라엘 사람들을 인도하기 위해 신이 보낸 것이라고 쓰여 있다.코란은 무사와 하룬이 신에 의해 선택된 예언자임을 직접적으로 입증한다.
그리고 성서에 언급하라, 모세.사실, 그는 선택되었고, 그는 사자였고 예언자였다.그리고 우리는 그를 오른쪽 산등성이에서 불러내어 가까이 오게 하였으니, 그에게 비밀을 털어놓게 되었노라그리고 우리는 우리의 자비를 베풀어 그의 형제 아룬을 예언자로 삼았습니다.
--
파라오의 궁정 도착
모세와 하룬이 파라오의 궁정에 도착하여 파라오에게 예언자의 역할을 선언했을 때, 파라오는 그가 따르는 신에 대해 무사에게 질문하기 시작한다.코란에는 모사가 파라오에게 모든 것을 형상으로 주시고 그들을 [32]인도하시는 하나님을 따른다고 말함으로써 대답한다고 서술되어 있다.그리고 파라오는 그들 이전 세대들에 대해 질문하고, 모사는 이전 세대들에 대한 지식이 신과 [33]함께 있다고 대답한다.쿠란은 또한 파라오가 "그리고 만유의 신은 무엇인가?"라고 묻는 것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34]모사는 하나님이 하늘과 땅 그리고 그 사이에 있는 것의 주인이라고 대답한다.파라오는 무사에게 그들과 함께 보낸 어린 시절과 그가 저지른 사람을 [35]죽인 일을 상기시킨다.모사는 자신이 무지하게 그 일을 저질렀다고 인정하지만, 이제는 용서받고 신으로부터 인도받았다고 주장한다.파라오는 그가 미쳤다고 비난하고 만약 파라오가 진정한 신이 아니라고 계속 선언한다면 그를 감옥에 가두겠다고 위협한다.모사는 그에게 [36]그가 신의 분명한 징표를 가지고 왔다고 알린다.파라오가 징조를 보라고 하자, 모사는 지팡이를 바닥에 던지고, 그것은 [37]뱀으로 변한다.그리고 손을 꺼내면 밝은 하얀 빛이 비친다.파라오의 조언자들은 이것이 마법이라고 그에게 충고하고, 그들의 조언에 따라 그는 왕국에서 가장 뛰어난 주술사들을 소환한다.파라오는 무사에게 자신과 파라오의 마술사들 사이의 전투를 요구하며, 그에게 날을 선택하라고 부탁한다.무사는 축제의 날을 골랐다.
마법사와의 대결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4/Pharaoh_watches_a_serpent_devour_a_person_in_the_presence_of_the_Moses_%286125069974%29.jpg/220px-Pharaoh_watches_a_serpent_devour_a_person_in_the_presence_of_the_Moses_%286125069974%29.jpg)
마법사들이 파라오에게 왔을 때, 그는 그들이 이기면 그의 회중에서도 존경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약속한다.이집트의 축제 당일, 무사는 마법사들에게 먼저 공연할 기회를 주고 신이 그들의 속임수를 폭로할 것이라고 경고한다.코란에는 마법사가 관찰자의 눈을 홀려 공포를 [38][self-published source]유발한다고 쓰여 있다.소환된 마법사들은 지팡이를 바닥에 던지고 마법의 영향으로 뱀으로 변하는 것처럼 보인다.처음에 모사는 마술사들의 속임수를 목격하게 되지만, 신에 의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확신하게 된다.무사가 같은 일을 할 때, 뱀은 마법사의 모든 [39]뱀을 삼켜버린다.마법사들은 자신들이 기적을 목격했다는 것을 깨닫는다.그들은 모세의 메시지에 대한 믿음을 선언하고 [citation needed]파라오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무릎을 꿇고 절한다.파라오는 이에 격분하여 그들이 무사 밑에서 일했다고 비난한다.그는 만약 그들이 모세를 믿는다고 주장한다면, 그는 파라오에 대한 배신으로 그들의 손과 발을 맞은편에서 자르고, 종려나무 줄기에 십자가에 못박을 것이라고 경고한다.그러나 마술사들은 그들의 새로운 믿음에 흔들리지 않고 [40]파라오에게 벌을 받는다.
엑소더스
이집트의 역병
모사에 패한 후, 파라오는 모사와 이스라엘 자손에 대한 계획을 계속 세우고, 대신, 왕자, 사제들과 회의를 명령한다.코란에 따르면, 파라오는 그의 목사 하만에게 "모사의 신을 볼 수 있도록"[41] 탑을 세우라고 명령했다고 한다.점차, 파라오는 모사가 자신이 진정한 신이 아니라는 것을 사람들에게 확신시킬까 두려워하기 시작하고, 모사를 죽이기를 원한다.이 협박이 있은 후, 수년 전에 모세를 경고했던 파라오 가문의 한 남자가 나와서 사람들에게 죄인에 대한 신의 응징과 정의로운 사람에 대한 보상에 대해 경고합니다.파라오는 이스라엘 사람들이 이집트를 떠나는 것을 반항적으로 거부한다.코란에는 신이 그와 그의 백성들에게 벌을 내린다고 쓰여 있다.이러한 처벌은 그들의 주거지를 파괴하는 홍수, [42]농작물을 파괴하는 메뚜기 떼, 그들의 삶을 [43]비참하게 만드는 이의 전염병, 사방에서 울부짖고 샘솟는 두꺼비, 그리고 모든 식수가 피로 변하는 형태로 내려진다.파라오가 굴욕을 당할 때마다 그의 반항은 더 커진다.코란은 신이 모세에게 밤에 이스라엘 사람들과 함께 여행하라고 지시하고 그들이 쫓길 것이라고 경고한다고 언급하고 있다.파라오는 이스라엘 사람들이 [44]밤에 떠난 것을 알고 그의 군대로 그들을 쫓는다.
바다의 갈라짐
탈출하여 이집트인들에게 쫓기던 이스라엘 사람들은 해안가에 다다르면 멈춰 선다.이스라엘 사람들은 모세에게 파라오와 그의 군대에게 추월당할 것이라고 외친다.이에 대해 신은 무사에게 그의 지팡이와 함께 홍해를 치라고 명령하고, 홍수가 나거나 바닷물에 빠져 죽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라고 가르친다.바다에 부딪히자, 모사는 바다를 두 부분으로 쪼개 이스라엘 사람들이 지나갈 수 있는 길을 만든다.파라오는 바다가 그의 군대와 함께 갈라지는 것을 목격하지만, 그들이 지나가려 할 때,[45][46] 바다가 그들에게 다가온다.그가 죽기 직전, 바로는 모세의 신과 이스라엘 자손에 대한 믿음을 선언하지만,[47] 그의 믿음은 신에 의해 거부당한다.코란에는 파라오의 몸은 모든 미래 세대를 위한 징조이자 경고로 만들어졌다고 쓰여 있다.이스라엘 사람들이 약속의 땅으로 여행을 계속하면서, 그들은 우상을 숭배하는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이스라엘 사람들은 숭배할 우상을 갖기를 요청하지만, 모세는 거부하고 다신교 신자들이 [48]신에 의해 멸망할 것이라고 말한다.그들은 신의 양식으로 만나와 메추라기를 받지만, 이스라엘 사람들은 무사에게 그들의 [49]양식으로 렌즈콩, 양파, 허브와 오이를 재배할 수 있도록 신에게 기도해 달라고 요청한다.물이 부족하여 약속의 땅으로 가는 여행을 멈추면, 모사는 신의 명령을 받고 돌을 치게 되고, 그 충격으로 이스라엘 [50]자손의 특정 지파를 위해 각각 12개의 샘이 나온다.
황야의 세월
토라의 계시
이집트를 떠난 후, 무사는 이스라엘 사람들을 시나이 산으로 이끈다.도착하자마자, 무사는 사람들을 떠나면서, 그가 없는 동안 하룬이 그들의 지도자가 될 것이라고 그들에게 지시한다.모사는 30일 동안 금식하고 투와 계곡으로 가라는 신의 명령을 받았다.신은 무사에게 다시 열흘간 금식하라고 명령한다.단식을 마친 후, 모사는 그가 처음으로 신으로부터 그의 기적을 받은 장소로 돌아간다.그는 예전처럼 신발을 벗고 시위에 들어간다.모사는 신에게 인도를 기도하고 [51]신에게 자신을 드러내 달라고 간청한다.코란에는 신이 그에게 모사가 신을 인식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그는 산에 자신을 드러내면서 "당신은 결코 나를 볼 수 없다.그러나 산을 보라. 산이 그 자리에 있으면 나를 보게 될 것이다." 신이 산에 자신을 드러냈을 때, 산은 순식간에 재로 변하고, 모세는 의식을 잃는다.그가 회복되면, 그는 완전히 굴복하여 [52]하느님께 용서를 구한다.
그리고 나서 모사는 길잡이와 자비로서 신으로부터 십계명을 받는다.한편, 그가 없는 동안, 사미리라는 이름의 남자가 황금 송아지를 만들고, 그것이 [53]모세의 신이라고 선언한다.사람들은 그것을 숭배하기 시작한다.하룬은 그들을 황금 송아지로부터 멀리 인도하려 하지만, 이스라엘 사람들은 모사가 돌아올 때까지 그것을 거부한다.이렇게 해서 모세는 백성들을 위해 경전을 받은 후, 그가 없는 동안 이스라엘 사람들이 시험을 당했고, 그들은 황금 송아지를 숭배하여 길을 잃었다는 것을 하나님으로부터 알게 된다.모사는 산에서 내려와 그의 [54]백성들에게 돌아간다.코란에는 무사가 화가 나서 하룬의 턱수염을 붙잡고 그들을 막기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고 충고하지만, 하룬이 무사에게 그들을 막으려는 그의 헛된 시도를 말했을 때, 무사는 그의 무력함을 이해했고, 그들은 둘 다 신에게 용서를 빌었다.모사는 사미리에게 황금 송아지를 만들었는지 묻는다.사미리는 그런 생각이 들었다고 대답한다.[55]사미리는 유배되고, 금송아지는 불에 타 재가 되고, 재는 바다에 던져진다.송아지를 숭배한 나쁜 사람들은 그들의 범죄에 [56]대해 벌을 받아야 한다.
그리고 나서 무사는 이스라엘 사람들 중에서 70명의 엘리트들을 골라 용서를 빌도록 명령한다.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장로들은 모세와 신의 대화를 보기 위해 모사와 함께 이동한다.두 사람 사이의 대화를 목격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자신들의 눈으로 신을 볼 때까지 믿기를 거부한다. 그래서 처벌로, 벼락이 그들을 죽인다.무사는 그들의 용서를 빌고, 그들은 부활한다.그들은 야영지로 돌아와 하룬이 토라에서 가르쳐 준 대로 신을 섬기는 천막을 설치한다.그들은 약속의 땅으로 향하는 여행을 재개한다.
이스라엘 사람과 소
이슬람 율법은 이스라엘 사람들 사이에 살면서 정직하게 생계를 유지하는 늙고 경건한 한 남자의 사건을 서술한다.그가 죽어갈 때, 그는 아내, 그의 어린 아들, 그리고 그의 유일한 재산인 신의 보살핌을 받으며, 그의 아내에게 송아지를 가져다가 [57]숲에 버리라고 가르친다.그의 아내는 시키는 대로 하고, 몇 년 후 아들이 크면 송아지에 대해 알려준다.아들은 [58]밧줄을 가지고 숲으로 여행을 간다.그는 그 송아지를 자신에게 돌려주기 위해 신에게 절하고 기도한다.아들이 기도할 때, 이제 자란 소는 그의 옆에서 멈춘다.아들은 소를 데리고 간다.그 아들은 또한 경건해서 벌목꾼으로 생계를 꾸리고 있다.
이스라엘 사람들 중에 한 부유한 남자가 죽고 그의 재산을 아들에게 남긴다.부유한 아들의 친척들은 그의 재산을 상속받기 위해 아들을 몰래 살해한다.아들의 다른 친척들은 무사에게 와서 살인자들을 추적하는 데 도움을 청한다.무사는 그들에게 소를 도살하고 혀를 도려낸 다음 시체 위에 올리라고 지시한다. 그러면 [59]살인자들이 드러난다.친척들은 모사를 믿지 않고 왜 살인자들을 찾으려고 할 때 소를 도살하라는 지시를 받는지 이해하지 못한다.그들은 모사가 농담을 했다고 비난하지만, 모사는 그가 진지하다는 것을 그들에게 납득시킨다.이 과정을 늦추고 싶어 친척들은 도축해야 할 소의 종류와 나이를 묻지만, 무사는 나이도 어린 것도 아니고 두 [60]살 사이의 소라고 말한다.그들은 묘사된 소를 찾는 대신 그 소의 색깔을 물었고, 무사는 소가 노란색이라고 [61]대답한다.그들은 모세에게 더 자세한 정보를 요구했고, 그는 그것이 농사를 짓지 않았고, 흙을 갈지도 않고, 물을 주지 않는다고 그들에게 알렸습니다.친척들과 무사는 묘사된 소를 찾지만, 그들이 발견한 인상착의에 맞는 소는 고아가 [62]된 젊은이의 것이다.그 젊은이는 그의 어머니와 상의하지 않고 소를 팔기를 거부한다.그들은 모두 함께 젊은이들의 집으로 여행한다.친척들이 계속 가격을 올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미는 소의 판매를 거부한다.그들은 고아가 된 아들에게 엄마에게 좀 더 이성적으로 말하라고 촉구한다.하지만 아들은 엄마의 동의 없이 소의 가죽을 금으로 채워주겠다고 해도 팔지 않겠다고 주장하며 판매를 거부한다.이 시점에서, 어미는 황금으로 가득 찬 그것의 피부를 위해 그것을 파는 것에 동의해요.친척들과 모사가 동의하자 소는 도살되고 시체는 [63]혀에 닿는다.시체가 살아나면서 살인자들의 정체를 드러낸다.
Khidr와의 미팅
한 하디스는 모사가 인상적인 설교를 할 때 이스라엘 사람이 [64]그보다 더 박식한 사람이 있었는지를 물어본다고 말한다.모사가 그런 사람의 존재를 부인할 때, 그는 하나님으로부터 계시를 받고, 그것은 절대적인 지식을 신에게 돌리지 않는 무사에게 훈계하고,[64] 자신보다 더 박식한 키드르라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무사에게 알려준다.문의하자, 신은 무사에게 Khidr가 두 바다가 만나는 지점에서 발견될 것이라고 알려준다.신은 무사에게 살아있는 물고기를 잡으라고 지시하고, 물고기가 탈출할 곳에서 키드르를 [64]찾을 것이다.그 후, 모사는 유샤(예슈아 빈 눈)라는 이름의 소년과 함께 떠나 여행을 하게 되고, 그들이 모사가 잠들어 있는 바위 근처에서 멈춘다.모사가 잠든 동안 물고기는 바구니에서 도망친다.무사가 잠에서 깨면, 그들은 먹기 위해 멈출 때까지 계속합니다.그 순간, 유샤는 물고기가 바위에 있는 바구니에서 미끄러져 나온 것을 기억한다.그는 무사에게 물고기에 대해 알렸고, 모사는 신의 말씀을 기억하고, 그래서 그들은 바위로 되돌아간다.저기 Khidr이 보인다.무사는 키드르에게 다가가 인사를 한다.Khidr는 대신 무사에게 그들의 나라에서 어떻게 사람들을 맞이하는지 묻는다.모사는 자신을 소개했고, 키드르는 그를 이스라엘 사람들의 예언자라고 말한다.코란에 따르면, 모세는 키드르에게 묻는다: "네가 배운 것을 나에게 가르쳐준다면, 내가 너를 가까이 따라갈까?"[65]키드르는 무사가 자신의 [64]행동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 조건으로 인내심을 갖고 동의할 수 없다고 경고한다.
그들은 해변을 걷고 배 옆을 지나간다.배의 선원들은 Khidr를 알아보고 그들에게 무료로 승선을 제안합니다.그들이 보트에 탔을 때, Khidr는 쐐기를 들고 [66]널빤지를 끌어올린다.Khidr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아챈 무사는 놀라서 그를 막는다.무사는 키드르에게 승무원들이 그들을 무료로 승선시켰다고 상기시킨다.키드르는 묻지 않겠다는 약속을 잊은 무사에게 훈계한다.모사는 잊어버렸다고 말하고 용서를 구한다.그들은 해변을 떠날 때 다른 사람들과 놀고 있는 한 소년을 지나친다.키드르는 소년의 머리를 잡고 그를 [66]죽인다.무사는 다시 이 행동에 놀라 키드르에게 그가 한 [67]일에 대해 질문한다.키드르는 다시 무사에게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고 훈계하고, 무사는 사과하며 키드르에게 다시 질문하면 그를 떠나달라고 부탁한다.두 사람 모두 마을을 우연히 발견하기 전까지 여행을 계속한다.그들은 마을 사람들에게 음식을 요구하지만, 주민들은 그들을 손님으로 접대하기를 거부한다.그들은 무너질 것 같은 벽을 보고 키드르는 벽을 고친다.모사는 키드르에게 왜 성벽을 수리했냐고 묻는다. 주민들은 그들을 손님으로 접대하고 음식을 주는 것을 거부한다.무사는 Khidr가 그의 일에 대한 임금을 받을 수 있었다고 말한다.
키드르는 무사에게 모사가 약속을 어겼기 때문에 그들은 이제 헤어져야 한다고 말한다.그리고 Khidr는 각각의 행동을 설명한다.그는 무사에게 그 지역에서 군림하는 통치자가 모든 기능하는 배들을 강제로 가져갔기 때문에 그 배를 부수었다고 전한다.; 키드르는 그들의 배가 강제로 [67]끌려가는 것을 막기 위해 결함을 만들었다.그러자 키드르는 자신이 장난을 치고 부모에게 불복종했기 때문에 아이를 죽였다고 설명하고, 키드르는 아이가 자신의 불복종으로 부모에게 과도한 부담을 줄 것을 두려워하며, 신이 더 순종적이고 애정을 가진 더 나은 아이로 대체해 줄 것이라고 설명한다.Khidr은 그 벽이 아버지가 신앙심이 깊은 불운한 두 아이의 것이었기 때문에 고쳤다고 설명한다.신은 그들의 경건함에 대해 보상하기를 원한다.Khidr는 벽 아래에 보물이 숨겨져 있으며, 벽을 수리함으로써 미래에 벽이 부서질 것이고, 무너진 벽을 다룰 때 고아들이 보물을 [68]찾을 것이라고 말한다.
기타 사고
무함마드(하디스), 이슬람 문학, 코란어 해설서 등도 무사 생애의 몇 가지 사건을 서술하고 있다.일설에 따르면 그는 함께 목욕하는 다른 이스라엘 사람들과는 떨어져 있다.이것은 바니 이스라엘이 무사가 음낭탈장 때문에 그렇게 했다고 말하도록 이끈다.어느 날, 모사가 은둔하고 있을 때, 그의 옷을 돌 위에 올려놓으면, 그 돌은 그의 옷과 함께 날아간다.모세는 돌을 뒤쫓고, 바니 이스라엘 사람들은 그를 보고, '알라의 맹세코, 모세는 몸에 아무런 결함이 없다'고 말한다.그리고 나서 무사는 옷으로 돌을 때리고 아부 후라이라는 말한다. "하느님 맙소사!그 무리한 구타로 인해 돌에 6, 7개의 자국이 남아 있다.[69]무함마드는 무사가 돌을 [69]쳤기 때문에 돌이 아직도 3~5개의 자국이 남아 있다고 말한다.
죽음.
하룬은 무사보다 먼저 죽는다.수니파 하디스에 따르면 죽음의 천사 아즈라엘이 무사에게 오면, 무사가 그의 눈을 때린다고 한다.천사는 신에게 돌아가 모세는 [70]죽고 싶지 않다고 말한다.신은 천사에게 돌아가서 모세에게 소의 등에 손을 얹으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의 손아래에 있는 모든 털에 대해, 그는 일 년의 수명을 부여받을 것이다.모사가 신에게 주어진 시간이 지나면 어떻게 되느냐고 물었을 때, 신은 그가 그 기간이 지나면 죽을 것이라고 그에게 알려준다.그래서 모사는 약속된 땅 근처에서 "약속된 [71]땅으로부터 돌을 던질 수 있는 거리"에 있는 그의 현재 나이에 신에게 죽음을 요청한다.
매장지
무사의 무덤은 예리코에서 남쪽으로 11km, 예루살렘에서 동쪽으로 20km 떨어진 유대 [73]황야 마캄 엘나비 무사([72]Maqam El-Nabi Musa)에 있다.예루살렘-제리초 간선도로의 우측 샛길은 해수면 표시에서 약 2km(1.2m) 떨어진 곳으로 이어진다.파티미드파, 타이야비파, 다우디 보흐라파도 [74]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다.
현재의 성당의 본관인 모스크, 미나렛과 일부 방은 서기 1270년 맘루크 술탄 바이바르 시대에 지어졌다.수년간 나비무사는 [74]벽으로 보호되고 확장되었으며 방문객들을 수용한 두 층의 120개의 방을 포함하고 있다.
순교
게다가, 모사가 그의 형제인 하룬과 떨어져 있기를 원한다는 것을 나타냄으로써, 많은 이스라엘 사람들은 모사가 소위 말하는 분리를 위해 하룬을 산에서 죽였다고 선언한다.그러나 알-타바리의 기록에 따르면, 하룬은 자연사한다: "무사와 하룬이 잠들었을 때, 죽음은 하룬을 데려갔다...그가 죽었을 때, 집은 빼앗기고, 나무는 사라지고, 침대는 하늘로 올라갔다.[75]모사가 하룬 없이 산에서 이스라엘 자손에게로 돌아왔을 때, 그들은 하룬에 대한 그들의 사랑이 부러워서 하룬을 죽였다고 말한다. 하룬은 그들에게 더 관대하고 관대했기 때문이다.이 개념은 모사가 신에게 기도했던 이별을 확실히 하기 위해 하룬을 죽일 수 있었다는 것을 강하게 시사한다.그러나 그의 추종자들에게 그의 믿음을 되찾기 위해, 알-타바리는 "그는 나의 형제였다.내가 그를 죽일 것 같니?[76]이슬람 백과사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무사는 그의 추종자들의 믿음을 회복하기 위해 두 개의 라크를 암송했다고 기록되어 있다.신은 하룬의 침대를 하늘에서 땅으로 내려오게 해 이스라엘 아이들이 하룬이 [77]자연사했다는 진실을 목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세의 기도에 응답한다.
하룬의 예상치 못한 죽음은 그의 죽음이 단지 무사의 신비롭고 기적적인 죽음에 대한 암시일 뿐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인다.알-타바리는 모세의 죽음에 대해 "무사가 그의 하인 조슈아와 함께 걷고 있을 때 갑자기 검은 바람이 다가왔다.조슈아가 그것을 보았을 때, 그는 최후의 심판 시간이 다가왔다고 생각했다.그는 무사에게 매달렸다.그러나 모세는 그의 셔츠 밑으로 부드럽게 몸을 빼서 그것을 조슈아의 손에 맡겼다.[78]모세의 이 불가사의한 죽음은 데우테로미 34장 5절에도 "그리고 주의 종 모세가 모압에서 죽었다"[79]고 주장됩니다.왜 모사가 죽었는지, 왜 모사가 죽도록 선택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은 없다. 단지 이 미스터리한 "사라짐"이 있을 뿐이다.이슬람 전통에 따르면 무사는 예리코의 마캄 엘-나비 무사(Maqam El-Nabi Musa)에 묻혔다.
모세의 죽음이 의문스러운 질문의 주제처럼 보이지만, 이 정보의 주안점은 아니다.그러나 순교자라는 단어의 아랍어 번역에 따르면, 샤히드는 보고, 보고, 증언하고, 모범과 패러다임이 되기 위해, 마치 순교자 자신이 물리적으로 진실을 보고, 따라서 그가 보고 듣는 것에 확고히 서 있는 것처럼 보고, 목격자이다.M.A.S. 압델 할렘이 번역한 코란의 각주에서 "샤히드라는 명사는 순교자라는 용어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샤히드의 뿌리는 '목격, 출석, 출석, 증언 및/[81]또는 증거 제공'을 전한다.또한, 할렘은 코란에 나오는 순교자들은 천국에서 그를 목격하기 위해 신에 의해 선택되었다고 지적한다.이 증인은 "세상을 희생함으로써 신앙의 깊이를 증명할 기회가 주어지고,[81] 심판의 날에 예언자들과 함께 증언할 것"을 가진 사람들에게 주어진다.이것은 3:140에서 지원됩니다.「…당신이 타격을 입었을 경우, 그들도 우위에 있습니다.우리는 그런 날들을 차례로 사람들에게 나눠주며, 하느님은 누가 진정으로 믿는지를 알아내시고, 하느님은 너희 중에서 순교자를 선택하실 것이다…"[82]
또한 코란에는 모사가 하나님으로부터 이스라엘 자손에게 인도하는 경전이 하나님 자신의 빛과 길잡이로 보인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쿠란 6장 91절).이는 모사가 순교자로 죽는다는 것을 강하게 시사한다.모사는 신의 증인으로 죽고, 모사는 신의 세속적 견해에 제물을 바치다가 죽고, 모사는 신의 메시지를 이스라엘 자손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죽는다.비록 그의 죽음은 미스터리로 남아 있고 그가 종교 싸움에서 행동하지는 않았지만, 그는 사실 성경을 통해 신의 메시지를 보여주는 전쟁인 종교 전쟁의 원인을 위해 죽는다.
이러한 관찰에 비추어 볼 때, 존 레너드는 이슬람 전통이 세 가지 종류의 초자연적인 사건을 구별한다고 주장한다."그 표식은 신만이 직접 작동했고, 기적은 예언자를 통해 작동했으며, 경이로운 것은 예언자가 아닌 [83]인물을 통해 작동했다."이 세 가지 초자연적 사건을 순교와 무사라는 이해로 되돌아보면 순교자의 면모가 이슬람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흡사하다.이슬람의 순교 개념은 이슬람의 전체 종교와 연결되어 있다.이 모든 과정은 '이슬람'이라는 용어가 [80]인식된다면 어떻게든 이해될 수 있다.이는 "항복"과 "평화"를 뜻하는 아랍어 뿌리 살라마의 파생어인 이슬람교가 신의 뜻에 대한 건강하고 평화로운 복종이기 때문이다.모사가 신에게 항복한 예인 것처럼, "마티르"라는 용어는 징조, 기적, 경이로움을 통해 신이 선택한 것들이 예언자들의 삶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개념을 더욱 강화시킨다.
결론적으로, 비록 모세의 죽음은 신에 의한[clarification needed] 불가사의한 주장이지만.무사의 틀은 [84]신과의 관계를 드러내기 위해 펼쳐지는 개인의 영혼의 영적 탐색과 진보를 묘사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행동들 때문에, 증인이 되는 그의 능력과 이스라엘 아이들의 모델이 되는 그의 성공이 순교라는 이상에 대한 축적이었다.그의 죽음과 신에 대한 그의 충실한 의무는 그의 의문의 죽음을 진정한 예언자의 모범이자 순교자의 모범으로 이끌었다.
이스라와 미라지
밤 여정 동안, 무함마드는 예수, 아브라함 그리고 다른 모든 예언자들과 [85]함께 기도를 하면서 모사를 이끈 것으로 알려져 있다.무사는 무함마드가 가브리엘과 함께 하늘로 올라가는 동안 만나는 예언자 중 한 명으로 언급된다.
모세와 무함마드는 서로 인사를 나눈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무함마드의 추종자들이 그의 [86]추종자들보다 더 많이 천국에 들어갈 것이라는 사실에 모사는 울었다고 한다.신이 무함마드와 그의 추종자들에게 공동체에 50개의 기도를 명했을 때, 무함마드는 다시 한번 신이 명령한 것을 묻는 무사를 만난다.무사는 50번의 기도에 대해 들었을 때,[87] 무함마드에게 그의 추종자들을 위한 기도를 줄여달라고 충고한다.무함마드가 신에게 돌아가 축소를 요청했을 때, 그는 그의 요청을 받아들인다.다시 한 번 그는 모사를 만나게 되는데, 모사는 신의 명령에 대해 다시 질문하게 된다.그 감축에도 불구하고, 무사는 다시 무함마드에게 감축을 요청한다.무함마드는 다시 돌아와서 감면을 요청한다.이것은 오직 다섯 번의 기도만이 남을 때까지 계속된다.무사가 다시 무함마드에게 감액을 요청하라고 하자 무함마드는 다시 요청하는 것이 부끄럽다고 대답한다.그러므로, 다섯 개의 기도가 마침내 이슬람 [88]공동체에 명령되었다.
이슬람 사상으로는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b/Musa_with_a_cane_in_his_hand.jpg/220px-Musa_with_a_cane_in_his_hand.jpg)
무사는 이슬람에서 저명한 예언자이자 전령사로 존경받고 있으며,[89] 그의 이야기는 코란에서 예언자들 중 가장 많이 언급된다.그는 이슬람교도들에 의해 예수, 아브라함, 노아, [90]무함마드와 함께 이슬람에서 가장 유명한 예언자 5명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이 다섯 예언자들은 울룰 아즈름 예언자들로 알려져 있는데, 그들은 신의 은총을 받고 코란에서 결단력과 인내심을 부여받았다고 묘사되어 있다.이슬람 전통은 무사에게 빛나는 손과 뱀으로 변하는 지팡이를 포함한 많은 기적이 주어지는 것을 묘사한다.무사의 삶은 종종 [91][92]무함마드의 삶과 유사하다고 묘사된다.둘 다 윤리적이고 모범적인 예언자로 여겨진다.두 사람 모두 국민의 입법자, 의례 지도자, 판사, 군 지도자로 여겨진다.이슬람 문학은 또한 그들의 추종자들과 그들의 역사의 사건들 사이의 유사점을 확인시켜준다.이스라엘인들의 탈출은 종종 무함마드 추종자들의 이주와 유사하다고 여겨진다.파라오와 그의 군대의 익사 및 파괴는 또한 [93]바드르 전투와 유사하다고 묘사된다.이슬람 전통에서, 무사는 특히 신의 은총을 받고 신의 계시를 중재하는 천사를 통해 받는 다른 예언자들과는 달리 그와 직접 대화한다.무사는 신으로부터 직접 토라를 받는다.신과의 대화에도 불구하고, 코란은 모사가 신을 [94]볼 수 없다고 말한다.이러한 업적으로 인해 무사는 이슬람에서 신과 대화하는 사람을 뜻하는 [95]칼림 알라로 추앙받고 있다.
계시를 받은 경전
이슬람에서, 무사는 Tawrat으로 알려진 성경의 수신자로 존경받는다.코란은 토라를 이스라엘 사람들을 위한 "지침과 빛"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그것은 신의 유일성, 예언자, 심판의 [96]날에 대한 가르침을 담고 있다.그것은 모사와 하룬이 그들에게 가르치고 실천하는 이스라엘 사람들을 위한 가르침과 법을 담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완전한 히브리 성경(창세기, 신수기, 숫자기, 레위기, 엑소더스) 중 타나크 전체나 [97]구약성서 대신 토라만이 신성한 계시를 받는 것으로 여겨진다.코란에는 십계명은 모사를 통해 이스라엘 자손에게 주어지고, 십계명은 모든 것에 대한 지침과 이해를 담고 있다고 언급되어 있다.Torah는 차이를 의미하는 "furqan"으로,[98] 그 자체로 사용되었다고 간주되는 용어이다.무사는 무함마드와 같은 메시지를 설교하고, 토라는 무함마드의 도착을 예언한다.마크 스완슨과 데이비드 리처드 토마스 같은 현대 이슬람 학자들은 무함마드의 [99]도착을 예고하는 것으로 듀테로노미 18장 15절 18절을 인용한다.
일부 이슬람교도들은 토라가 타락했다고 믿는다.[100]부패의 정확한 성격은 학자들 사이에서 논의되어 왔다.이븐 랍반과 이븐 쿠타이바를 포함한 대부분의 이슬람 학자들은 토라가 본문보다는 해석에서 왜곡되었다고 말했다.학자 타바리는 토라의 [101]의미와 해석의 왜곡이 부패를 야기한다고 생각했다.Tabari는 Torah와 함께 글을 만드는 학습된 랍비들을 고려했는데,[101] 그것은 텍스트에 대한 그들 자신의 해석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그러자 랍비들은 혀를 비틀어 마치 그들이 토라에서 온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고 한다.그렇게 함으로써, 알-타바리는 그들이 원래 그것의 일부가 아닌 것을 토라에 추가했다고 결론지었고, 이 글들은 예언자 무함마드와 그의 [101]추종자들을 비난하는데 사용되었다.타바리는 또한 랍비들의 이 글들이 일부 유대인에 [101]의해 토라의 일부로 잘못 인식되었다고 말한다.알-마크디시 같은 학자들 사이에서는 토라의 본문 자체가 부패했다는 소수의 견해가 있다.막디시는 토라가 모세의 시대에 70명의 장로들이 [102]시나이 산에서 내려왔을 때 왜곡되었다고 주장했다.막디시는 토라가 에즈라에 의해 서술된 본문에서 그의 제자들이 덧셈과 뺄셈을 했던 에즈라 시대에 토라가 더욱 타락했다고 말한다.막디시는 또한 유대교 토라, 사마리아인 토라, 그리스 신전 사이의 불일치는 토라가 [102]부패했다는 사실을 지적한다고 말했다.Ibn Hazm은 그의 시대의 토라를 위조품으로 보고 다양한 구절을 토라와 [103]코란의 다른 부분과 모순되는 것으로 여겼다.이븐 하즘은 에즈라를 토라의 위조자로 여겼는데, 그는 그의 기억에서 토라를 지시하고 본문에 [103]중요한 변화를 주었다.이븐 하짐은 무함마드의 도착을 예언하는 몇 개의 구절을 받아들였다.
종파에서는
수니파 이슬람교도들은 이스라엘인들이 [104]파라오로부터 해방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아슈라(무하람의 10일, 히즈리의 첫 달과 티슈레이의 10일, 히즈리의 첫 번째 달과 비슷한 달)에 금식한다.시아파 이슬람교도들은 무함마드와 그의 사촌 알리 이븐 아비 [93]탈리브 사이의 관계의 전조로 무사와 그의 하룬과의 관계를 본다.이스마일리 시아스는 모사를 말하는 예언자 7명(나티크) 중 네 번째라고 여겼다.나티크의 계명은 모든 신도가 [105][106]따라야 한다는 것이었다.수피즘에서, 모세는 예언자이면서 영적인 여행자로 묘사되는 특별한 지위를 가지고 있다고 여겨진다.작가 폴 은위아는 무사에 대한 코란의 서술이 수피 수행자들에게 "그의 경험이 신과의 직접적인 관계에 들어가는 것으로서 숙고하고, 나중에 수피들이 그를 신의 신비에 들어가는 완벽한 신비주의자로 간주하게 될 것"[107]이라고 영감을 주었다고 지적한다.노먼 솔로몬과 티모시 윈터와 같은 이슬람 학자들은 이름을 밝히지 않고 일부 수피 논객들이 [107]"시력을 통해 결합의 완성을 추구하도록 강요한 것은 신의 소리를 듣는 황홀함"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가 신의 비전을 허락받기를 요청한 결과로부터 무사에게 용서를 구한다고 말한다.무사와 키드르의 만남에 대한 코란의 서술은 이슬람 작가들에 의해 수피 전통에서 특히 중요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존 레너드와 필리스 G. 제이스와 같은 몇몇 작가들은 수피 수행자들이 종종 무사에게 외적 지식을 소유하는 것과 동시에 난해한 지식을 키드르에게 [108][109]귀속시킴으로써 이야기를 설명한다고 지적한다.작가 존 레너드는 수피스가 이것을 "더 높은 [108]의미에 대한 그의 명백한 엄격한 권위를 견디기 위한 교훈으로 생각한다"고 말한다.
이슬람 문학에서
여러 예언자의 혈통 이슬람 전통에 의하면 |
---|
점선은 여러 세대를 나타냅니다. |
무사는 또한 이슬람 문학에서 존경받는데, 그것은 무사의 삶의 다른 부분들을 설명하고 설명한다.페르시아의 이슬람 학자이자 신비주의자인 루미는 무사를 "정신적 친절자"라고 칭하며 그의 책 마스나비에 [22][110]모사와 양치기에 대한 이야기도 포함하고 있다.이 이야기는 모사가 [111]의인화된 신에게 헌신하는 목동과 마주치게 되는 공포를 이야기한다.모세는 양치기가 모독했다고 비난하고, 양치기가 회개하고 떠날 때, 모사는 "그의 종 중 한 명을 그분과 갈라놓았다"는 이유로 신으로부터 질책을 받는다.모사는 양치기를 찾아 그의 기도가 옳았음을 알린다.작가 노먼 솔로몬과 티모시 윈터는 이 이야기가 "의인화를 피하기 위해 신의 [22]속성을 부정하는 사람들에 대한 비판과 경고"로 간주한다.루미는 주로 불타는 나무와의 만남, 하얀 손, 파라오와의 투쟁, 시나이 산에서의 신과의 대화로 모세의 삶을 언급한다.루미에 따르면, 무사가 투와 계곡의 나무를 우연히 발견했을 때, 그는 실제로 "백 개의 새벽과 해돋이"[112]의 빛을 보았다.루미는 빛을 신의 "극장"과 신의 사랑의 의인화라고 여겼다.루미는 모사와 신의 대화에 대한 많은 버전을 제시하는데, 모든 버전에서 모사는 그의 신발을 벗으라는 명령을 받았고, 이는 세상에 대한 그의 관심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루미는 코란 4장 162절에서 하나님의 말씀이 언어적 [112]소리가 아닌 예언자만이 접근할 수 있는 형태라고 평했다.루미는 무사에게 주어진 기적을 그의 예언자직의 성공에 대한 확신과 그의 사명을 받아들이도록 그를 설득하는 수단으로 여긴다.루미는 [113]무함마드 이전의 가장 중요한 전령(前令)
시아파 코란 수행학자이자 사상가인 무함마드 후세인 타바타이(Muhammad Husayn Tabaey)는 코란 수행에 대한 그의 논평에서 신의 비전에 대한 요구와 시아파 의사 예언의 일부로서 키드르에 대한 약속을 어긴 것에 대해 무해함을 보여주려고 시도했다.타바타배이는 신에 대한 비전이 지식의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진술하기 위해 다양한 철학적, 신학적 논거를 사용하여 시각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했다.타바타바이에이에 따르면, 무사는 키드르의 [22]약속 뒤에 "신의 뜻"을 덧붙였기 때문에 키드르에게 깨진 약속에 대해 책임이 없다고 한다.이슬람 개혁가이자 활동가인 Sayyid Qutb는 또한 그의 작품인 [22]"코란의 그늘에서"에서 무사를 언급한다.Sayyid Qutb는 그의 시대에 이슬람 세계가 직면한 사회학적, 정치적 문제들을 주시하면서 무사의 이야기를 해석했다; 그는 무사의 이야기가 그의 [22]시대의 이슬람교도들이 직면했던 문제들에 대한 가르침과 교훈을 담고 있다고 생각했다.Sayyid Qutb에 따르면, 모사가 파라오에게 설교할 때, 그는 "신앙과 억압 사이의 싸움"에 들어가고 있었다.쿠트브는 무사가 이슬람 [22]신앙의 핵심 가르침이라고 여겼던 반대 폭군들의 투쟁을 포함한 "악마를 몰아내고 세상에서 정의를 확립하기 위한 투쟁"을 상징하기 때문에 이슬람 가르침에서 중요한 인물이라고 믿었다.
여섯 번째 이맘인 자파르 알 사디크는 무사가 미디안을 거쳐 투와 계곡으로 가는 여행을 영적인 [107]여행으로 여겼다.무사가 미디안 쪽으로 얼굴을 돌린 것은 그의 마음이 신 쪽으로 돌린 것이라고 한다.신에게 도움을 청하는 그의 기도는 그의 욕구에 대한 인식으로 묘사된다.그리고 여섯 번째 이맘에게 제기된 논평에는 신을 [107]제외한 모든 것을 그의 마음에서 제거하라는 명령을 상징한다고 적혀 있다.이 속성들은 그가 신의 [107]말씀에 의해 명예롭게 되는 결과를 낳도록 명시되어 있다.안달루시아의 수피족 신비주의자이자 철학자 이븐 아라비는 그의 책 지혜의 베젤에서 "무사의 말씀에 있어서의 탁월함의 지혜"에 대해 논하는 장을 헌정하는 것에 대해 썼다.이븐 아라비는 신이 각각의 아기들을 위해 선택한 영적인 보상이 모세의 성격에 나타난다고 말하면서, 무사를 파라오에 의해 살해된 아기들의 "퓨전"으로 여겼다.이븐 아라비에 따르면, 무사는 태어날 때부터 나이 든 영혼들에게 행동하는 [114]젊은 영혼들의 "아말감"이었다.이븐 아라비는 방주를 인간성의 의인화라고 생각했고 나일강의 물은 그의 상상력, 이성적 사고, 감각적 인식을 [115]상징했다.
20세기 동안, 무사가 파라오와 맞선 이야기는 이슬람주의자들에 의해 "믿지 않는" 세속 정권과 폭압적인 통치자들에 대한 그들의 반대를 정당화하기 위해 인용되었다.이집트 내 시아이드 쿠트브(1966년 사망)와 지하드(지하드) 운동은 이집트의 대통령인 자말 압드 알 나시르(1970년 사망)와 안와르 알 사다트(1981년 사망)가 무사에게 반대한 믿을 수 없는 파라오에 해당한다고 비난했고 지하드 그룹의 구성원들은 불신자라는 이유로 알 사다트를 암살했다.1978-79년 이란 혁명 당시 정부군은 파라오(샤의 정권)를 위해 무사(이슬람 반군)를 죽이지 말라는 경고를 받았다."[116]
외모
무함마드 알 부카리의 책 하디스 648장 '사히 알 부카리'에서 무함마드는 이븐 [117]우마르가 묘사한 '승천의 밤' 이후 무함마드에 의해 묘사된다.
예언자가 말했다. "나는 (내가 하늘로 올라가는 날 밤에) 모세와 예수와 아브라함을 보았다.예수님은 얼굴이 빨갛고 곱슬머리였고 가슴이 넓었다.모세는 갈색 피부, 생머리에 키가 큰 아즈주트 사람 같았다.
--
이븐 아바스에 따르면, 무함마드는 "천국에 오르던 날 밤, 나는 키가 크고 갈색인 모우사를 보았다." [알부하리와 무슬림][117]
코란 참조
무사는 코란에서 여러 번 언급된다.
- 무사 평가: 2:136; 4:164; 6:84; 6:154; 7:134; 7:142; 19:51; 20:9; 20:13; 20:36; 20:41; 25:35; 26:1; 26:21; 27:8; 28:7; 28:14; 33:17; 37:17
- Musa 속성: 7:150, 20:94, 28:15, 28:19, 28:26
- 무사 예언: 7:144, 20:10-24, 26:21, 27:7-12, 28:2-35, 28:46, 79:15-19
- 하나님이 말씀하신 예언자: Q2:253, 4:164, 7:143, 19:52, 11-24, 20:83-84, 26:10-16, 27:8-11, 28:30-35, 28:46, 79:16-19
- Torah: Q2:41-44; 2:53; 2:87; 3:3; 3:48; 3:50; 3:65; 3:93; 5:43-46; 5:66-68; 5:110; 6:91; 6:154-157; 7:145; 7:154-157; 11:11; 11:48; 21:48;
- 계곡:Q20:12, Q20:20, Q28:30, Q79:16
- Musa의 기적: Q2:56, Q2:60, Q2:92, Q2:211, Q7:107-108, Q7:117-120, Q7:160, Q11:96, Q17:101, Q20:22, Q20:67, Q:2633
- 모사와 파라오
- 무사의 궁내생활: 20:38~39, 26:18, 28:8-12
- 어머니에게 반환: Q20:4, Q28:12-13
- 신이 모세의 어머니에게 내린 계시: Q20:38-39, Q28:7-10
- Musa의 설교: Q7:103-129, Q10:84, Q20:24, Q20:42-51, Q23:45, Q26:10-22, Q28:3, Q43:46, Q44:18, Q51:38, Q73:15-17
- 무사는 파라오를 만났다: Q20:58-59, Q20:64-66, Q26:38-44
- 파라오의 마술사: Q7:111-116, Q10:79-80, Q20:60-64, Q26:37-44
- Musa vs. 마술사: Q7:115-122, Q10:80-81, Q20:61-70, Q26:43-48
- 마술사들 간의 논쟁:Q20:62, Q26:44-47
- 무사는 마술사에게 경고했다: Q10:81, Q20:61
- Musa와 Harun도 마술사로 의심되었다: Q7:109, Q7:132, Q10:77, Q17:101, Q20:63, Q40:24, Q43:49
- 마술사의 신념 Q7:119-126, Q20:70-73, Q26:46
- 아시야의 신념:질문 66:11
- 파라오 가족 재판: Q7:130-135
- 파라오의 약점: Q7:103-126, Q10:75, Q11:97-98, Q17:102, Q20:51-71, Q23:46-47, Q25:36, Q26:11, Q28:36-49, Q28:39, Q28:38, Q:37
- Musa와 그의 추종자들은 사라졌다: Q20:77, Q26:52-63, Q44:23-24
- Musa와 그의 추종자들은 안전했다: Q2:50, Q7:138, Q10:90, Q17:103, Q20:78-80, Q26:65, Q37:115-116, Q44:30-31
- 파라오의 믿음은 너무 늦었다: Q10:90
- 파라오와 그의 군대: Q2:50, Q3:11, Q7:136-137, Q8:52-54, Q10:88-92, Q17:103, Q20:78-79, Q23:48, Q25:36, Q26:64-66, Q28:40, Q:40
- 파라오 가족의 신봉자: Q40:28-45
- 파라오는 이스라엘 자손을 처벌했다.Q2:49, Q7:124-141, Q10:83, Q14:6, Q20:71, Q26:22, Q26:49, Q28:4, Q40:25
- 파라오와 하만은 거절당했다: Q10:83, Q11:97, Q28:4-8, Q28:32, Q28:42, Q29:39, Q40:36, Q44:31
- 무사는 이집트인을 죽였다.Q20:40, Q26:19-21, Q28:15-19, Q28:33
- Musa의 Median 여행:
- Musa와 Jethro: Q28:25-28
- 모세와 쇼아이브의 두 딸:질문 28: 23-27
- 모사를 모욕한 사람들:Q33:69
- 약속의 땅으로 여행
- 이스라엘 사람들은 약속의 땅에 들어갔습니다: Q2:58, Q5:21-23
- 무사와의 대화: Q2:51, Q7:142-143, Q7:155, Q20:83-84
- 이스라엘 사람들은 송아지를 숭배했다: Q2:51-54, Q2:92-93, Q4:153, Q7:148-152, Q20:85-92
- 일곱 이스라엘 사람과 모사가 신을 만났다: Q7:155
- Musa와 Samiri:문제 20:95-97
- 신이 산에 나타났다: Q7:143
- 이스라엘인 거부: Q2:246-249, Q3:111, Q5:22-24, Q59:14
- 이스라엘인의 속성:Q2:41-44; 2:55-59; 2:61-71; 2:74-76; 2:83; 2:93-6; 2:100-101; 2:108; 2:140-142; 2:24; Q3:71, Q3:75; Q3:183;Q16:118; Q17:4; Q17:101; Q20:85-87; Q20:92; Q58:8; Q59:14
- 무사 및 키디르: Q18:60-82
- Qarun: Q28:76-82, Q29:39-40
「 」를 참조해 주세요.
- 아론
- 암람
- 불타는 덤불
- 성서와 코란 이야기 » 모세 (무사)
- 호체베드
- 미리암
- 유대-헬레니즘 문헌에 나오는 모세
- 랍비 문학에 등장하는 모세
- 이슬람의 예언자와 사자
- 모세의 두루마리
- 십계명
- 토라
레퍼런스
- ^ a b Meddeb, Abdelwahab; Stora, Benjamin (27 November 2013). A History of Jewish-Muslim Relations: From the Origins to the Present Day. ISBN 978140084913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Ltd, Hymns Ancient Modern (May 1996). Third Way (magazine). p. 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June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아나벨 킬러, "무슬림의 관점에서 본 모제스"는 솔로몬, 노먼, 해리, 리처드; 윈터, 팀(eds), 아브라함의 자녀: 유대인, 기독교인, 무슬림 대화 기록 2016년 4월 29일 T&T 클라크 퍼블에서 보관.(2005), 페이지 55~66.
- ^ 사히 무슬림, 1:309, 1:314
- ^ "Shadia: From 50 prayers a day to five". Daily Pilot. 28 June 2012. Retrieved 17 July 2021.
- ^ Stacey, Aisha (16 June 2008). "The Night Journey and the Ascension (part 5 of 6): In the Presence of God". www.islamreligion.com. Retrieved 17 July 2021.
{{cite web}}
: CS1 maint :url-status (링크) - ^ Clinton Bennett (2010). Studying Islam: The Critical Issues.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p. 36. ISBN 97808264955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H. Isaacs, Ronald. "The Ten Commandments". My Jewish Learning. Retrieved 17 July 2021.
{{cite web}}
: CS1 maint :url-status (링크) - ^ "The Ten Commandments - Nature of God in Christianity - GCSE Religious Studies Revision - OCR". BBC Bitesize. Retrieved 17 July 2021.
- ^ 예언자 이야기, 이븐 카티르, 모세 이야기, 1350년 경.e.
- ^ Kelly Bulkeley; Kate Adams; Patricia M. Davis (2009). Dreaming in Christianity and Islam: Culture, Conflict, and Creativity. Rutgers University Press. p. 104. ISBN 978081354610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April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a b Islam qwZbn0C&pg=PA17. AuthorHouse. 2012. ISBN 9781456797485.
- ^ a b Brannon .M. Wheeler (2002). Prophets in the Qur'an, introduction to the Qur'an and Muslim exegesis.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p. 174. ISBN 978082644957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June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Abdul-Sahib Al-Hasani Al-'amili. The Prophets, Their Lives and Their Stories. Forgotten Books. p. 282. ISBN 978160506706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쿠란 28장 7절
- ^ "Quran translation Comparison Quran 28:9 Alim". www.alim.org. Retrieved 24 December 2020.
- ^ Ergun Mehmet Caner; Erir Fethi Caner; Richard Land (2009). Unveiling Islam: An Insider's Look at Muslim Life and Beliefs. Kregel Publications. p. 88. ISBN 978082542428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une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Avner Gilʻadi (1999). Infants, Parents and Wet Nurses: Medieval Islamic Views on Breastfeeding and Their Social Implications. Brill Publishers. p. 15. ISBN 978900411223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a b Raouf Ghattas; Carol Ghattas (2009). A Christian Guide to the Qur'an: Building Bridges in Muslim Evangelism. Kregel Academic & Professional. p. 212. ISBN 978082542688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Oliver Leaman (2 May 2006). The Qur'an: an encyclopedia. Routledge. p. 433. ISBN 978113433975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April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a b Patrick Hughes; Thomas Patrick Hughes (1995). Dictionary of Islam. Asian Educational Services. p. 365. ISBN 97881206067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a b c d e f g h Norman Solomon; Richard Harries; Tim Winter (2005). Abraham's Children: Jews, Christians, and Muslims in Conversation.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pp. 63–66. ISBN 97805670816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M. The Houtsma (1993).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Brill Academic Pub. p. 739. ISBN 978900409796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Abdul-Sahib Al-Hasani Al-'amili. The Prophets, Their Lives and Their Stories. Forgotten Books. p. 277. ISBN 978160506706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ne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a b c Naeem Abdullah (2011). Concepts of Islam. Xlibris Corporation. p. 89. ISBN 978145685243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자체 확인 소스]
- ^ Maulana Muhammad Ali (2011). The Religion of Islam. p. 197. ISBN 978193427118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une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a b c Yousuf N. Lalljee (1993). Know Your Islam. TTQ, Inc. pp. 77–78. ISBN 978094036802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Patrick Laude (2011). Universal Dimensions of Islam: Studies in Comparative Religion. World Wisdom, Inc. p. 31. ISBN 9781935493570. Retrieved 7 January 2016.
- ^ Andrea C. Paterson (2009). Three Monotheistic Faiths – Judaism, Christianity, Islam: An Analysis And Brief History. AuthorHouse. p. 112. ISBN 9781434392466. Retrieved 7 January 2016.
- ^ a b Jaʻfar Subḥānī; Reza Shah-Kazemi (2001). Doctrines of Shiʻi Islam: A Compendium of Imami Beliefs and Practices. I.B.Tauris. p. 67. ISBN 9781860647802. Retrieved 7 January 2016.
- ^ 쿠란 19:51–53
- ^ 쿠란 20:50 쿠란 20:50
- ^ 쿠란 20:51 쿠란 20:51–52
- ^ 쿠란 26장 23절 쿠란 26:23
- ^ Heribert Husse (1998). Islam, Judaism, and Christianity: Theological and Historical Affiliations. Markus Wiener Publishers. p. 94. ISBN 9781558761445.
- ^ Sohaib Sultan (2011). "Meeting Pharaoh". The Koran For Dummies. John Wiley & Sons. p. 131. ISBN 978111805398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Heribert Busse (1998). Islam, Judaism, and Christianity: Theological and Historical Afflictions. Markus Wiener Publishers. p. 95. ISBN 9781558761445.
- ^ Moiz Ansari (2006). Islam And the Paranormal: What Does Islam Says About the Supernatural in light of the Qur'an, Sunnah and Hadith. iUniverse, Inc. p. 185. ISBN 978059537885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April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자체 확인 소스]
- ^ Francis E.Peters (1993). A Reader on Classical Islam.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23. ISBN 97806910004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une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Raouf Ghattas; Carol Ghattas (2009). A Christian Guide to the Qur'an: Building Bridges in Muslim Evangelism. Kregel Academic. p. 179. ISBN 978082542688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ne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쿠란 28장 38절 쿠란 28:38
- ^ Heribert Busse (1998). Islam, Judaism, and Christianity:Theological and Historical Affiliations. Markus Wiener Publishers. p. 97. ISBN 9781558761445.
- ^ Patrick Hughes; Thomas Patrick Hughes (1995). Dictionary of Islam. Asian Educational Services. p. 459. ISBN 97881206067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Raouf Ghattas; Carol Ghattas (2009). A Christian Guide to the Quran:Building Bridges in Muslim Evangelism. Kregel Academic. p. 125. ISBN 978082542688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쿠란 7:136
- ^ Halim Ozkaptan (2010). Islam and the Koran- Described and Defended. p. 41. ISBN 978055774043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Quran translation Comparison Quran 10:90 Alim". www.alim.org. Retrieved 16 December 2020.
- ^ Francis.E.Peters (1993). A Reader on Classical Islam.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24. ISBN 97806910004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Brannon.M.Wheeler (2002). Moses in the Quran and Islamic Exegesis. Routledge. p. 107. ISBN 978070071603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April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쿠란 2장 60절 쿠란 2:60
- ^ Kenneth.W.Morgan (1987). Islam, the Straight Path: Islam interpreted by Muslims.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 98. ISBN 978812080403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쿠란 7장 143절 쿠란 7:143
- ^ Iftikhar Ahmed Mehar (2003). Al-Islam: Inception to Conclusion. BookSurge Publishing. p. 121. ISBN 978141073272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쿠란 20:85 쿠란 20:85–88
- ^ Patrick Hughes; Thomas Patrick Hughes (1995). Dictionary of Islam. Asian Educational Services. ISBN 97881206067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April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Brannon M. Wheeler (2002). Prophets in the Quran: An Introduction to the Quran and Muslim Exegesis.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p. 205. ISBN 978082644956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Elwood Morris Wherry; George Sale (2001). A Comprehensive Commentary on the Quran: Comprising Sale's Translation and Preliminary Discourse with Additional Notes and Emendations. Vol. 1. Routledge. p. 314. ISBN 978041524527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April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Zeʼev Maghen (2006). After Hardship Cometh Ease: The Jews As Backdrop for Muslim Moderation. Walter De Gruyter Inc. p. 136. ISBN 978311018454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Zeʼev Maghen (2006). After Hardship Cometh Ease: The Jews As Backdrop for Muslim Moderation. Walter De Gruyter Inc. p. 133. ISBN 978311018454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쿠란 2장 68절 쿠란 2:68
- ^ John Miller; Aaron Kenedi; Thomas Moore (2000). God's Breath: Sacred Scriptures of the World – The Essential Texts of Buddhism, Christianity, Judaism, Islam, Hinduism, Sufism. Da Capo Press. p. 406. ISBN 978156924618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Patrick Hughes; Thomas Patrick Hughes (1995). Dictionary Of Islam. Asian Educational Services. p. 364. ISBN 97881206067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Jalāl al-Dīn Rūmī (Maulana), Jawid Ahmad Mojaddedi (2007). The Masnavi. Oxford University Press. p. 237. ISBN 978019921259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a b c d Felicia Norton Charles Smith (2008). An Emerald Earth: Cultivating a Natural Spirituality and Serving Creative Beauty in Our World. TwoSeasJoin Press. pp. 10–11. ISBN 978061523546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쿠란 18장 66절 쿠란 18:66
- ^ a b John Renard (2008). Friends of God: Islamic Images of Piety, Commitment, and Servanthoo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85. ISBN 978052025198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a b Muhammad Hisham Kabbani (2003). Classical Islam And The Naqshbandi Sufi Tradition. Islamic Supreme Council of America. p. 155. ISBN 97819304091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June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Gerald T. Elmore (1999). Islamic Sainthood in the Fullness of Time: Ibn Al-Arabi's Book of the Fabulous Gryphon. Brill Academic Publishers. p. 491. ISBN 978900410991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April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a b 사히 알 부하리, 1:5:277
- ^ edited by M. Th. Houtsma (1993). E.J Brill's First Encyclopedia of Islam (1913–1936). Vol. 4. Brill Academic Publishers. p. 570. ISBN 97890040979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cite book}}
:author=
범용명(도움말)이 있습니다. - ^ 사히 알 부하리, 2:23:423
- ^ Silvani, written and researched by Daniel Jacobs ... Shirley Eber and Francesca (1998). Israel and the Palestinian Territories : the rough guide (2nd ed.). London: Penguin Books. pp. 531. ISBN 1858282489.
burial place of prophet musa.
- ^ Amelia Thomas; Michael Kohn; Miriam Raphael; Dan Savery Raz (2010). Israël & the Palestinian Territories. Lonely Planet. pp. 319. ISBN 9781741044560.
- ^ a b Urbain Vermeulen (2001). Egypt and Syria in the Fatimid, Ayyubid, and Mamluk Eras III: Proceedings of the 6th, 7th and 8th International Colloquium Organized at the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in May 1997, 1998, and 1999. Peeters Publishers. p. 364. ISBN 978904290970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al-Tabari, Abu Ja'far Muhammad ibn Jarir (1987). The History of al-Tabari: The Chrilden of Israel. Albany,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 86. ISBN 0791406881.
- ^ al-Tabari, Abu Ja'far Muhammad ibn Jarir (1987). The History of al-Tabari: The Children of Israel. Albany, New Yoro: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 86. ISBN 0791406881.
- ^ al-Tabari, Abu Ja'far Muhammad ibn Jarir (1987). The History of al-Tabari: The Children of Israel. Albany,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 86. ISBN 0791406881.
- ^ al-Tabari, Abu Ja'far Muhammad ibn Jarir (1987). The History of al-Tabari:The Children of Israel. Albany,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 86. ISBN 0791406881.
- ^ Brettler, Marc Zvi (2011). The Jewish Annotated New Testament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Bible Transl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297706.
- ^ a b "The Concept of Martyrdom in Islam". Al-Islam.org. Ahlul Bayt Digital Islamic Library Projec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March 2017. Retrieved 21 April 2017.
- ^ a b Haleem, M.A.S. Abdel (2011). The Qur'an: A New Transl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 44. ISBN 9780199535958.
- ^ Haleem, M.A.S. Abdel (2011). The Qur'an: A New Transl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535958.
- ^ Renard, John (2011). Islam and Christianity: Theological Themes in Comparative Perspective.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197. ISBN 9780520266780.
- ^ Renard, John (2011). Islam and Christianity: Theological Themes in Comparative Perspective.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77. ISBN 9780520266780.
- ^ Spencer C. Tucker (2010). The Encyclopedia of Middle East Wars: The United States in the Persian Gulf, Afghanistan, and Iraq Conflicts, Volume 1. ABC-CLIO. p. 1885. ISBN 978185109947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une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Diane Morgan (2010). Essential Islam: A Comprehensive Guide to Belief and Practice. ABC-CLIO. p. 118. ISBN 9780313360251.
- ^ Matt Stefon (2009). Islamic Beliefs And Practices. The Rosen Publishing Group. p. 28. ISBN 978161530017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Andrew Rippin; Jan Knappert (1990). Textual Sources for the Study of Isla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 71. ISBN 978022672063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June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Norman L. Geisler; Abdul Saleeb (2002). Answering Islam: The Crescent in Light of the Cross. Baker Books. p. 56. ISBN 97808010643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April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George W. Braswell (2000). What You Need to Know About Islam and Muslims. p. 22. ISBN 978080541829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une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Juan Eduardo Campo (2009). Encyclopedia of Islam. Infobase Publishing. p. 483. ISBN 978143812696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June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Norman Solomon; Richard Harries; Tim Winter (2006). Abraham's Children: Jews, Christians, and Muslims in Conversation.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p. 67. ISBN 97805670816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une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a b Juan Eduardo Campo (2009). Encyclopedia of Islam. Infobase Publishing. p. 483. ISBN 978143812696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Mohammad Zia Ullah (1984). Islamic Concept of God. Routledge. p. 34. ISBN 978071030076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April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James E. Lindsay (2005). Daily Life In The Medieval Islamic World. Greenwood Publishing Group. p. 178. ISBN 97803133227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December 2019. Retrieved 16 February 2020.
- ^ 쿠란 5장 44절 쿠란 5:44
- ^ Vincent J. Cornell (2006). Voices of Islam. Greenwood Publishing Group. p. 36. ISBN 978027598732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David Marshall (1999). God, Muhammad and the Unbelievers. Routledge. p. 136.[영구 데드링크]
- ^ Emmanouela Grypeou; Mark N. Swanson; David Richard Thomas (2006). The Encounter of Eastern Christianity With Early Islam. Baker Books. p. 300. ISBN 978900414938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Camilla Adang (1996). Muslim Writers on Judaism and the Hebrew Bible: From Ibn Rabban to Ibn Hazm. Brill Academic Publishers. p. 223. ISBN 978900410034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a b c d Camilla Adang (1996). Muslim Writers on Judaism and the Hebrew Bible: From Ibn Rabban to Ibn Hazm. Brill Academic Publishers. p. 229. ISBN 900410034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ne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a b Jacques Waardenburg (1999). Muslim Perceptions of Other Religions: A Historical Survey. Oxford University Press. p. 150. ISBN 978019535576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ul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a b Jacques Waardenburg (1999). Muslim Perceptions of Other Religions:A Historical Survey. Oxford University Press. pp. 153–154. ISBN 978019535576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une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Marion Katz (2007). The Birth of The Prophet Muhammad: Devotional Piety in Sunni Islam. Routledge. p. 64. ISBN 978041577127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Juan Eduardo Campo (2009). Encyclopedia of Islam. Infobase Publishing. p. 483. ISBN 978143812696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June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Henry Corbin (1983). Cyclical Time & Ismaili Gnosis. p. 189. ISBN 978071030048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April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a b c d e Norman Solomon; Timothy Winter (2006). Paul Nwyia in "Moses in Sufi Tradition",: Abraham's Children: Jews, Christians and Muslims in Conversation.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pp. 60–61. ISBN 97805670816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une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a b John Renard (2009). The A to Z of Sufism. Scarecrow Press. p. 137. ISBN 978081086827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Phyllis G. Jestice (2004). Holy People of the World: A Cross-Cultural Encyclopedia, Volume 1. ABC-CLIO. p. 475. ISBN 978157607355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Suresh K. Sharma; Usha Sharma (2004). Cultural and Religious Heritage of India: Islam. Mittal Publications. p. 283. ISBN 97881709996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une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Mehmet Fuat Köprülü; Gary Leiser; Robert Dankoff (2006). Early Mystics in Turkish Literature. Routledge. p. 360. ISBN 978041536686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May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a b John Renard (1994). All the King's Falcons: Rumi on Prophets and Revelation. SUNY Press. p. 69. ISBN 97807914222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une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John Renard (1994). All the King's Falcons: Rumi on Prophets and Revelation. SUNY Press. p. 81. ISBN 97807914222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une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Ibn al-ʻArabī; R. W. J. Austin (1980). Bezels of Wisdom. Paulist Press. pp. 251–252. ISBN 0809123312.
- ^ Salman H.Bashier (2011). The Story of Islamic Philosophy: Ibn Tufayl, Ibn Al-'Arabi, and Others on the Limit Between Naturalism and Traditionalis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 107. ISBN 978-143843743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une 2016. Retrieved 7 January 2016.
- ^ Campo, Juan Eduardo (2009). Encyclopedia of Islam. Infobase Publishing. pp. 483–484. ISBN 978-1-4381-2696-8.
- ^ a b "SAHIH BUKHARI, BOOK 55: Prophets". www.iium.edu.my. Retrieved 11 August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