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시아 프리마
Moesia Prima프로빈시아 모시아 프리마 모시아 프리마 | |
---|---|
로마 제국의 현 | |
ca. 293 – ca. 602 | |
![]() 로마 제국 | |
자본 | 비미나슘 |
역사 | |
역사시대 | 후기 고대 |
• 행정개혁 | ca. 293 |
• 파괴 | ca. 602년 |
모시아 프리마(/ primmi/ˈ, -siə, -si,, -siə/;[1][2] 라틴어: 모시아; 그리스어: μο μσα)[3]는 다뉴브 강의 남쪽 둑을 따라 오늘날 세르비아의 중앙부에 위치한 후기 로마 제국의 국경 지방이었다. 지방 수도는 세르비아의 현대 코스토락 근처에 있는 비미나키움이었다.
역사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8/Viminacium_camp_l%C3%A9gionnaire.jpg/270px-Viminacium_camp_l%C3%A9gionnaire.jpg)
모시아 프리마 성은 3세기 말 모시아 슈페리어 지방을 두 개의 별도 성으로 분할한 로마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284~305)의 행정 개혁 과정에서 만들어졌다. 북쪽으로는 모시아 프리마, 남쪽으로는 다르다니아.
293년–294년 어느 때,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모시아 슈페리어르를 거쳐 수도 비미나키움으로 왔다. 그 방문 동안 그는 Moesia Superior Margensis 또는 Moesia Prima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지방을 만들었다. 마르겐시스라는 용어는 지방을 흐르는 마르구스 강의 이름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황제는 또한 남부 지방의 그리스어와 달리 지방의 주민들이 라틴어로 썼다고 등록했다.[4]
처음에 모시아 프리마 주는 모시아 교구에 속했다. 아마도 콘스탄티누스 1세(306~337년) 황제 휘하에서 모시아 교구가 둘로 갈라져 북쪽의 다키아 교구와 남쪽의 마케도니아 교구를 이루었을 것이다. 모시아 프리마 주는 일리리쿰의 프라에토리아 현에 속하는 다키아 교구의 일부가 되었다.
기독교를 로마 제국의 공식 종교로 재창립한 황제 조비앙(363~364)은 신기두눔의 모시아 프리마에서 태어났다. 초기 생애에서 후기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는 373년 모시아 프리마의 군 사령관을 지냈다.[5] 382년 로마의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와 그라티안은 고딕 전쟁 중에 모시아 프리마의 수도 비미나키움에서 만났다.[6]
모시아 프리마의 다누비아 국경선은 라임의 요새에 의해 보호되었다. 그 지방에는 두 개의 로마 군단이 주둔하고 있었다. 싱기두눔의 레지오 4세 플라비아 펠릭스, 비미나키움의 레지오 7세 클라우디아. 프래이펙투스 군단(Praepensus regionis septimae Claudiae)의 자리는 쿠패(세르비아 골루바크)의 국경 요새에 있었다.[7]
국경 지방으로서, 모시아 프리마는 야만적인 침략의 지속적인 위협을 받고 있었다. 5세기 중엽에는 441년 신기두눔과 비미나치움을 빼앗은 아틸라의 흉노들에 의해 지방이 황폐화되었다. 이 지방은 후에 오스트로고트족, 게피드족, 헤룰리족 등 다양한 게르만족의 침략을 받았다.
지방을 확보하기 위한 주요 노력은 535년경 비미나키움과 싱기두눔을 재건하여 국경 요새를 이전의 군사적 중요성으로 복원한 저스티니아누스 1세(527~565)의 시기에 이루어졌다.[8]
535년 황제 저스티니아누스 1세(527-565)는 모시아 프리마 지방을 포함한 다키아 교구의 모든 지방에 대한 교회적 관할권을 가진 지역적 영장으로서 저스티니아나 프리마 대주교를 창설하였다.[9]
6세기 내내 모시아 프리마는 슬라브족의 침략을 자주 받았다. 이 지방도 침략을 받았으나 582-584년 전쟁 때 싱기두눔과 비미나치움을 점령한 아바스족이 있었다.[10] 모리스 황제가 아바스와 슬라브인을 상대로 군사작전을 벌이는 동안 모시아 프리마는 군사작전의 거점 역할을 했다.
602년 모리스 황제가 함락된 후 모시아 프리마의 비잔틴 방어선이 마침내 무너졌다. 7세기 초, 아바스와 슬라브인은 싱기두눔과 비미노치움을 토벌하여 불태우고 멸망한 모시아 프리마의 내부는 마침내 슬라브 세르비아인에 의해 정착되었다.[11]
도시 및 마을
모시아 프리마의 주요 성읍은 다음과 같다. 비미나시움(시리아 아엘리움; 현대 코스토락)과 싱기두눔(벨그라드)이다.
참고 항목
참조
- ^ Lena Olausson; Catherine Sangster, eds. (2006). Oxford BBC Guide to Pronunci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 ^ Daniel Jones (2006). Peter Roach; James Hartman; Jane Setter (eds.). Cambridge Pronouncing Dictiona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 ^ "C. Suetonius Tranquillus, Vitellius Maximilian Ihm, Ed". perseus.tufts.eud.
- ^ 법 뒤에 살아라: 구글북스의 코덱스 에르모게니아누스의 세계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6-07. Retrieved 2016-06-06.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 ^ 로마 관문 안의 야만인: 로마 군사정책과 야만인들에 대한 연구, 구글 북스에서의 서기 375–425년
- ^ 노티시아 디그니타툼 또는 XLI.
- ^ 카즈단 1991, 페이지 1904.
- ^ 2016년식, 47-86페이지.
- ^ 휘트비 1988, 페이지 142.
- ^ Curta(2001), Fischer Weltgeschichte의 Byzanz도 비교한다.
원천
- 프로코피우스 H.B. 편집. 드윙 7권. 롭 고전 도서관 케임브리지, 미사: 하버드 대학 출판부와 런던 허친슨, 1914–40. 그리스어 텍스트와 영어 번역.
- 모리스의 스트라테기콘: 비잔틴 군사전략 편람. 조지 T. 데니스 필라델피아 1984년, 2001년 재인쇄.
- Fischer Weltgeschichte, 밴드 13, "Byjanz" (pp. 139ff.) 프란츠 게오르크 마이어, 프랑크푸르트 a. M. (1973) (독일어)
- Curta, Florin (2001). The Making of the Slavs: History and Archaeology of the Lower Danube Region, c. 500–700.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urta, Florin (2006). Southeastern Europe in the Middle Ages, 500–1250.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vjetićanin, Tatjana (2006). Late Roman Glazed Pottery: Glazed Pottery from Moesia Prima, Dacia Ripensis, Dacia Mediterranea and Dardania. Belgrade: National Museum.
- Given, John (2014). The Fragmentary History of Priscus. Merchantville, New Jersey: Evolution Publishing.
- Janković, Đorđe (2004). "The Slavs in the 6th Century North Illyricum". Гласник Српског археолошког друштва. 20: 39–61.
- Kazhdan, Alexander (1991). "Singidunum". The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3.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 1904.
- Mirković, Miroslava B. (2017). Sirmium: Its History from the First Century AD to 582 AD. Novi Sad: Center for Historical Research.
- Mócsy, András (2014) [1974]. Pannonia and Upper Moesia: A History of the Middle Danube Provinces of the Roman Empire. New York: Routledge.
- Popović, Radomir V. (1996). Le Christianisme sur le sol de l'Illyricum oriental jusqu'à l'arrivée des Slaves. Thessaloniki: Institute for Balkan Studies.
- Turlej, Stanisław (2016). Justiniana Prima: An Underestimated Aspect of Justinian’s Church Policy. Krakow: Jagiellonian University Press.
- Whitby, Michael (1988). The Emperor Maurice and his Historian: Theophylact Simocatta on Persian and Balkan warfare. Oxford: Clarendon Press.
- Zeiller, Jacques (1918). Les origines chrétiennes dans les provinces danubiennes de l'Empire romain. Paris: E. De Boccard.
외부 링크
- (프랑스어로) 베오그라드 대학교 모시아 슈페리어 비문
- 모시아 지방의 도시와 모시아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