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미나슘
Viminacium![]() 비미나슘 | |
위치 | 세르비아 |
---|---|
지역 | 브라니체보 구 코스토락 |
좌표 | 44°44′13″N 21°13′32″E / 44.736980°N 21.225605°E |
유형 | 요새화, 로마 도시와 군단 요새 혼합 |
역사 | |
설립됨 | 1세기 |
사이트 노트 | |
공개 접근 | 네 |
비미나시움[1](비미나시움)비미나치움[2]) 또는 비미나티움은 로마 모시아 지방(오늘날의 세르비아)의 주요 도시(도심 수도)이자 군사 캠프였으며[3], 모시아 슈페리어[3](한 때 메트로폴리탄 대주교, 지금은 라틴어 십일장)의 수도였다. 2018년 현재 발굴된 부지는 3~4%에 불과하다.[4]
부지는 세르비아 동부의 현대 도시 코스톨락에서 12km(7.5mi) 떨어진 곳에 있다. 이 도시는 서기 1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절정에 이르러 4만 명의 주민이 거주한 것으로 추정되어 당시 발칸반도에서 가장 큰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5] 그것은 밀리터리스를 경유하는 로마 도로에 놓여 있다. 비미나치움은 5세기에 훈스에 의해 황폐화되었으나, 후에 저스틴에 의해 재건되었다. 6세기에 슬라브인이 도착하면서 완전히 파괴되었다. 오늘날 이 고고학 유적지는 총 450헥타르(1,100에이커)[3]를 차지하고 있으며, 사원, 거리, 광장, 원형경기장, 궁전, 해마, 로마 목욕탕 등의 유적을 포함하고 있다.[6]
비미나치움은 로마의 고고학 유적지에서 가장 많은 수의 무덤이 발견되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2018년 기준 1만5000여 점의 무덤이 발견됐다.[7]
역사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3/Viminatium.jpg/200px-Viminatium.jpg)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9/Skelet.jpg/200px-Skelet.jpg)
로마 모시아 슈페리어 지방의 수도인 비미나키움의 유적은 스타리 코스토락 마을과 드름노 마을의 영토에 위치하고 있으며, 코스토락 마을에서 약 12km 떨어져 있고 베오그라드에서 남동쪽으로 약 90마일 떨어져 있다. 비미나치움은 1세기부터 4세기까지 이 시기에 가장 중요한 로마 도시와 군사 캠프의 하나였다. 그것의 예외적인 전략적 중요성은 로마 제국의 북쪽 국경을 방어하는 역할과 이로 인해 주요 통신 및 상업 중심지로서의 역할에 반영되었다. 로마인들에게도 못지 않게 매력적인 것은 광석과 곡식이 풍부한 믈라바 강 계곡의 배후지였다. 로마 시대에는 북쪽에 있는 마을의 방어가 다뉴브강 남쪽 가지에 직접 맞닥뜨렸고, 서쪽에는 믈라바 강-이후에도 불구하고 비미나키움은 믈라바의 왼쪽 둑으로 퍼져나갔다. 위치, 육지, 수로 덕분에 비미나치움은 동서양의 문화의 접점이 불가피한 지역 중 하나를 대표했다. 비록 그것의 도로와 다른 교통 연결의 주요 기능은 군사적이고 전략적이었지만, 그것들은 또한 고대 전반에 걸쳐 매우 활기찬 교통을 제공했고, 확실히 비미나키움이 번영하는 방식과 중요한 무역 및 비즈니스 중심지에 기여했다.
일찍이 아우구스투스 (기원전 27년-기원전 14년)에 군단이 이곳에 주둔했을지도 모른다. AD 33/34년에 비미나키움과 라티아리아를 잇는 도로가 건설되었다. 클라우디우스(41-54)는 비미나키움, 오에스쿠스, 노바에를 모에사 군단 수용소로 수비했다.
비미나키움에서 증명된 첫 번째 군단은 서기 52년 달마티아에서 온 7세 클라우디아였다.[8]
비미나키움에는 로마 군단 7세 클라우디아가 주둔하고 있었고, 군영에서 가까운 민간인 거주지가 나타났다. 하드리안 통치 기간인 117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다. 수용소에는 6천 명의 병사가 주둔하고 있었고, 인근에는 30~4만 명의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었다. 3세기 전반에는 당시 로마 식민지의 지위, 지방 화폐의 화폐를 주조할 수 있는 권리를 획득했다는 사실에서 증명되었듯이, 도시는 본격적으로 발전하고 있었다. 여기서 1966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세사르'의 지위를 가지고 아들 카라칼라를 후계자로 선언했다.[7]
트라잔 천황(98~117년)은 데이키안 전쟁 때 이곳에 본부를 두고 있었다. 서기 239년 고르디안 3세(238-244)의 통치 기간 중 채굴 특권을 가진 식민지로서 레지옹 7세와 레지옹 4세를 수용하였다.[9]
묘소와 발굴된 무덤에는 251년 사망한 로마 황제 호스틸리안(Hostilian)이 묻혔다. 호스틸리안(Hostilian)은 데키우스 황제의 아들로, 오늘날 불가리아에 위치한 고대 도시인 아브루투스 부근에서 복병을 일으켜 살해되었다. 옛 원고에 따르면 호스틸리안 황제와 그의 어머니가 비미노키움으로 와서 북쪽 국경 수비 조직을 감독했으나 둘 다 페스트로 죽었다. 거리도 멀고 전염병 확산의 두려움 때문에 그는 모든 명예를 걸고 비미나키움에 묻혔다.[citation needed]
비미나치움은 모시아 슈페리어(Moesia Superior)의 지방 수도였다. 293-294년 늦은 봄, 디오클레티안은 자신의 영역을 여행했고, 새로운 모시아 슈페리어 마겐시스 지방의 수도로 비미나키움을 재조직했다. 그는 남부 지방의 그리스어와 달리 사람들이 라틴어로 썼다고 등록했다.[10] 비미나치움은 레조 7세의 클라우디아의 베이스캠프였으며, 얼마간 III 플라비아 펠릭스를 주최하였다. 그것은 12,000명의 사람들을 위한 공간이 있는 로마 원형 경기장을 가지고 있었다.[6]
382년에 도시는 고딕 전쟁 중에 테오도시우스와 그라티안의 만남의 장소였다.[11] 페르 노티티아 디그니타툼(Per Notitia Dignitatum)은 로마 다뉴브 함대의 구간을 주관했다.[12][13]
비미나치움은 441년 훈족 아틸라에 의해 파괴되었으나, 저스티니아누스 1세에 의해 재건되었다. 모리스의 발칸 유세 중 비미니키움은 582년 아바스에 의해 파괴되고 599년 다뉴브 강 북부에 위치한 다뉴브 강둑에서 아바군이 참패해 아바르 무적의 명성을 무너뜨렸다.[9]
위치 및 굴착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0/Valerianus_antoninianus_253_2250425.jpg/200px-Valerianus_antoninianus_253_2250425.jpg)
비미나치움은 베오그라드 동쪽 다뉴브 강에 있는 세르비아의 스타리 코스톨락(Old Kostolac)에 있다. 비미나치움은 1882년 세르비아의 고고학 창시자 미하일로 발트로비치(Mihayo Valtrovich)가 최초로 시작한 세르비아 최초의 고고학 발굴 장소지만, 자신은 비전문 고고학자(건축가였다). 그가 받은 유일한 도움은 12명의 죄수들로부터 수작업을 위한 것이었다. 왜냐하면 국가는 그에게 더 나은 노동력을 제공할 충분한 자원을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4]
그의 연구는 1890년대 중반 세르비아인 최초의 훈련된 고고학자 밀로제 바시치에 의해 계속되었다. 세르비아 왕비 드라고 오브레노비치(Draga Obrenovich)가 이곳을 방문해 추가 발굴을 위해 금도박 100점을 기증했는데, 이는 고대의 탐사에 세르비아에서 처음으로 기부된 것으로 평가된다.[4] 로마 군단 수용소와 공동묘지의 로마 도시 지역에서 지난 10년 동안 더욱 심해졌다. 많은 연구에 따르면 비미나키움 군대는 442m×385m(1,450ft×1,263ft)의 직사각형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며, 약 72에이커(29ha)의 면적에 있는 민간인 거주지의 서쪽 벽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다고 한다. 비미나치움의 레지오나리 캠프는 현재 경작 가능한 지역에 있어 연구자들이 비미나치움을 쉽게 접할 수 있지만, 불행하게도 강도들에게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베오그라드와 포아레바크의 국립박물관은 비미나키움에서 발견된 4만여 점의 유물이 있으며, 이 중 700여 점이 금과 은으로 만들어졌다. 그 중에는 희귀하고 귀중한 물건들이 많이 있다.
묘비와 석관은 종종 신화나 일상생활의 장면들을 구원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장식된다. 우리는 수많은 석조 건축물을 발견했다. 특히 흥미로운 것은 4세기 무덤의 프레스코화다. 젊은 여성들의 프레스코는 로마 예술의 예로서 높은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발굴 과정에서 원형극장이 발견되었는데, 1만 2천 석의 좌석이 발칸반도에서 가장 큰 원형극장 중 하나였다.
한 젊은 여성의 특정한 프레스코에는 비미나키움의 보석과 후기 고대의 가장 아름다운 프레스코라는 라벨이 붙어 있다. 이 프레스코화는 다소 유명한 모나리자와 닮았고, 현지 고고학자들은 이 프레스코화를 "Divina"라고 이름 붙였다. 여성은 더 높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황금색 헤밍 드레스를 입고 있다. "Divina"는 무덤의 중심 조각이며 아마도 무덤에 묻힌 여성을 상징할 것이다.[7]
5517호 무덤은 천상승자와 그리스도교도의 묘사가 특이하게 표현되어 있다. 기수 앞에는 턱이 활짝 열린 청록색 바지가 있다. 라이더 뒤에는 검붉은 색으로 물든 달리는 개가 있고, 그 등고선은 검푸르다. 나무들은 에덴동산의 방식으로 어둡고 연한 푸른색으로 칠해져 있다. 사냥 장면을 묘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이교도의 기독교로의 변신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기수는 기독교의 우상화에서 죄악, 잔인함, 적그리스도를 묘사하는 팬더와 정의, 은혜, 평화와 진리를 상징하는 개 사이에 배치된다. 이교도들은 붉은 색으로 묘사되어 천국에 오른 다음 파란색의 기수에서 변형된다. 그것은 3세기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7]
보온병처럼 벽돌 굽는 용광로가 있는 장인 상점이 발견되었다. 6개의 웅덩이가 발굴되었는데, 꽃과 동물을 모티브로 장식되어 있었다. 결장 사이에 뜨거운 공기가 순환하고 바닥 슬래브 아래 벽돌을 따뜻하게 하는 찜통이었다. 안마실은 보온병의 중앙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시설에서 등불이 발견돼 야간 목욕이 가능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물은 수로를 통해 자연낙하를 이용해 진행됐으며 지금까지 10km(6.2mi)의 수로가 탐사됐다.[7]
고고학적 유적
- 100만년 된 매머드 해골은 2009년 6월 비미나키움 유적지에서 발굴되었다.[14]
- 35cm(14인치)의 옥 조각의 놀라운 발견. 이 작품은 로마 시대에 현존하는 작업장의 가능성을 보여준다.[6]
1980년 헝가리, 유고슬라비아, 레바논이 시장에 등장한 은색 물체 사재기를 놓고 소유권 다툼을 벌이면서 세브소 보물 사건이 일어났다. 유고슬라비아 기자들은 수 년 동안 지속된 조사를 시작했다. 유고슬라비아 외곽에서 수많은 유물이 밀반입되어 불법으로 판매된 사실이 밝혀졌다. 비록 세브소 보물 자체는 이 유적에서 온 것은 아니지만, 당시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았고 보호가 낮았기 때문에, 비미나키움은 "많은 외국 소장품을 진가보다 낮게 팔아서" 발견물로 특별히 명명되었다.[15]
비미나키움 프로젝트의 책임자인 고고학자 미오미르 코라치는 2018년 4월 현재까지 발굴된 부지의 3~4%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비미나치움은 1990년대 중반부터 지질학적으로 탐험되었다. 덕분에 수많은 물체의 존재가 확인됐지만 2018년 현재까지도 발굴되지 않은 것은 히포드롬, 포럼, 황궁, 여러 사찰, 연극 등이었다.[4]
1세기부터 3세기까지 군부대 내 병원이 법의 규제를 받으면서 수용소 내 넓은 의료망이 존재했다는 증거가 있다. 의약품 생산을 위한 수술 기구와 장비의 잔해가 발견되었다(철사, 박격포). 1985년 안과의사 사무실에서 발견된 그러한 그릇들 중 하나에서 파스티유는 살아남았고, 약에 사프란 추출물이 들어 있다고 설명하는 각인된 비문이 있었다. 청동 상자에는 8개의 악기(트위저, 메스, 바늘, 백내장 바늘, 돌팔레트, 유리 발사마륨)가 들어 있었다. 파스티유는 아치형 카트리지에 보관되어 있었고, 그들 자신은 둥글고 평평하며 스핀들이었다. 그 기구들은 현대적인 것과 거의 차이가 없고, 그것, 그리고 약의 구성에 근거하여, 의사들이 백내장과 트라코마를 치료하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 발견은 세르비아에서 가장 중요한 의약품을 발견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과학 의학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갈렌 이전에 과학 기반의 의약과 약국이 발전했음을 보여준다. 게다가, 생존한 유럽의 로마 의료진에 대한 다른 발견은 4개뿐입니다(프랑스에서는 Lyon과 Rhims, 이탈리아에서는 Padua의 Morlingo 지역, 독일에서는 C쾰른). 이 약품에 대한 화학 검사는 소르본 분자구조고고고학연구소 전문가들이 2019년부터 시작했다. 완공된 후, 연구소는 비미나치움에서 발견된 두 가지 쓰여진 의학 요리법, 즉 콜리아 크로코드와 콜리아 스테이텀을 재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또한 두개골 개방의 외과적 절차인 트레패닝의 증거도 있다.[16][17]
- 2012년 6월, 발굴조사를 통해 많은 야생동물이 남아 있는 검투사 경기장이 발견되었다. - 곰과 낙타의 경기장이었습니다. 곰의 뼈대는 AD 2세기부터 시작되었는데, 그 당시 많은 경쟁적인 경기가 원형 경기장에서 열렸다. 곰은 다른 동물과 싸우거나 사람과 싸우다가 거의 확실히 죽었다. 낙타 한 마리가 약 1세기 후에 죽었다.[18]
- 2012년 6월 21일, 고고학자들은 AD 2세기와 3세기의 로마의 묘지를 아주 귀중한 보석 조각들과 죽은 보석들을 위해 다른 세계로 가는 길을 밝혀주는 석유 램프를 가지고 발견했다. 이 귀곡촌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용도가 정해지지 않은 거대한 용광로 잔해가 발견된 '산업단지'가 있다.[19]
- 2012년에 4,000년 된 여성 신상이 발견되었다.[7]
- 2013년에 요정들을 위한 제단이 발견되었다.[7]
- 2018년 4월 19일 묘소 발견이 발표되었다. 그것은 3세기에 지어졌고 매우 중요한 누군가의 안식처였다. 그것은 호스틸리안 묘지에서 북쪽으로 830m(2,720ft) 떨어진 북쪽 귀곡촌에 위치해 있다. 그 안에서 발견된 석조 조각과 장신구들은 "명백한" 것으로 묘사되었다. 그것들은 로마 황제의 머리, 칼을 들고 있는 젊은 남자, 독수리 날개 파편과 같은 다른 검의 일부를 포함한다. 묘소는 15m × 15m(49ft × 49ft)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중앙실은 6m × 8m(20ft × 26ft)이다. 아마도 제사를 지냈을 것이고 3면이 11개의 무덤으로 둘러싸여 있다. 한 묘소는 무덤 구덩이에서 화장한 사람의 무덤이고, 두 묘소는 나무로 만든 무덤 금고, 한 묘소는 아치형 벽돌로 만든 것이고, 나머지는 평범한 벽돌로 만든 것이다. 대부분의 무덤은 약탈당했다. 이 물체는 크러스트 크리스털 셰일(Sheel)의 큰 슬래브로 만들어졌으며, 두께 5~10cm의 유압 플라스터 4겹(2.0~3.9인치)이다. 지어졌을 때, 묘지는 이미 1미터(3피트 3인치)의 땅속으로 파고들어 있었다. 두 번이나 파괴되었다. 고대에 처음으로 완전히 파괴되었는데, 아마도 담나티오 암기의 일부분이었을 것이다. 이후 건물 자재를 재사용하기 위해 가져가는 과정에서 대부분 손상이 발생했다. 이 기간 동안 대부분의 손상은 거대한 사각형 모양의 슬래브로 만들어진 담장벽에서 발생했다. 입구가 있어야 할 북쪽 구간에서 발굴 작업이 계속되고 있다. 묘지 맞은편에는 아치형 묘지가 또 다른 탐방되고 있다.[4][20][21]
- 2018년 5월 31일, 두 개의 석관에 대한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그들은 온전했고, 두 개의 해골이 들어 있었고 금과 은으로 가득 차 있었다. 한 골격은 키가 큰 50대 중년 남자의 것으로, 옆에 은색 벨트 버클과 신발의 잔해가 있다. 다른 골격은 20대의 날씬하고 젊은 여성이다. 그녀의 옆에서 은빛 거울처럼 향수를 들고 있는 세 개의 고운 유리병이 발견되었다. 몸체는 황금 귀걸이와 여러 개의 값비싼 머리핀, 그리고 목걸이로 장식되어 있었다. 이 모든 것이 상위 계층의 구성원들을 가리킨다.[5] 둘 다 하나의 석관에 넣어 서로 붙들고 있었고, 다른 석관에는 항아리가 놓여 있었다. 남성은 180cm(71인치)의 키에 여성은 148cm(58인치)의 키였다. 남자 해골들의 상태를 보면 그가 어떤 힘들고 육체적인 일도 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자 가운은 진주, 금, 유리로 만든 구슬이 박혀 있고 보석이 박힌 작은 금반지가 들어 있는 것이 분명해 금박이었다. 그녀는 또한 독특한 허리 실버 키트를 가지고 있었다. 두 개의 머리핀은 뼈와 두 개의 제트기로 만들어졌으며 거울은 헤라클레스 매듭 모양의 손잡이를 가지고 있다. 약혼자의 이니셜로 추정되는 SIMP라는 글씨가 새겨진 황금 약혼반지도 발견된다.[7]
- 2019년 2월, 잘 보존된 무덤의 발견이 발표되었다. 그 사람의 키는 178cm(70인치)로 무덤에서 발견된 물건들은 청동자루가 달린 92cm(36인치) 길이의 두 가닥의 칼인데, 여전히 눈에 띄는 나무 딱지, 왼쪽 어깨 아래 큰 뼈 빗은 뼈와 골반을 가로질러 만들어진 것이다. 무덤은 대이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갔으며, 유물을 바탕으로 6세기에 이 지역을 메운 게르만 게피드 부족의 일원으로 결론이 났다. 현재까지 비미니카이움에는 106개의 게피드 무덤이 흩어져 있지만 이 지역은 아닌 것으로 확인돼 발굴조사를 계속한 결과 고립된 매장지 또는 귀곡촌 일부인 것으로 파악됐다. 106명 중 31명의 게피드인들은 흉노에게서 받은 관습인 두개골의 특징적인 변형을 가지고 있었다.[22]
- 보존 상태가 양호한 크고 큰 전함이 2020년 3월에 발견되었으며, 영구 고고학 전시회의 일부가 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23] 이후 여름철에는 2세기에서 4세기까지 납 석관이 여러 개 발견되었는데, 이 석관은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그 중 하나는 고대 그리스어로 새겨진 은 양피지가 들어 있었다.[24]
- 2020년 11월 로마 카스트럼(최소 50x70m(총 160x230ft))과 함께 로마 동전 등 유물이 다수 발견됐다.[25] 프린키움은 르조 7세 클라우디아의 주요 본부였다. 3,500m2(38,000평방피트)에 달하는 이 거대한 물체는 40개의 방과 호스트 사무실, 무기고, 사당, 금고와 성당, 군기와 휘장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고 있다. 중앙 구역은 페리스타일이 있는 안뜰이다. 단지 내에도 저수지와 분수대가 있어 식민지 주변 사방에서 물웅덩이가 형성돼 있다. 튼튼한 벽은 윗층의 존재를 가리킨다. 내부 유골은 장식용 타일(유리 아워 또는 나비 장식)으로 바닥을 포장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벽면은 붉은색과 흰색의 무늬, 꽃무늬, 비문, 보두리로 장식하였다. 금고에서는 데나리우스와 안토니니아누스 동전이 발견되었는데, 대부분 3세기 황제 갈리에누스, 클라우디우스 고딕투스, 아우렐리아누스를 묘사하고 있다.[24]
|
비미나치움항
로마 문서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에 따르면 로마 다뉴브 함대의 구역은 비미나키움에 정박해 있었다. 그 지역이 어떤 현대식 수로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다뉴브강은 오늘날보다 남쪽으로 더 멀리 흘러가고 있었거나, 혹은 어떤 큰 팔은 이 방향으로 주된 흐름으로부터 분리되어 수많은 해군 유물을 산출하는 현대식 화석 강바닥을 떠나고 있었다. 2019년, 다뉴브강(오늘날 드름노 탄광)으로 들어가는 믈라바의 옛 어귀에서 대형 철제 닻이 발견되었으나, 같은 날 밤 굴착기가 이를 파낸 뒤 도난당했다. 2020년 2월, 같은 지역에서 쐐기배(모노실)가 발견되었다.[13]
불과 한 달 뒤, 같은 옛 강바닥에서 묻힌 배의 발견이 발표되었다. 그것은 이전 발견에서 서쪽으로 500m(1,600ft)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었다. 이 배는 수심 7~8m(23~26ft)에서 발견됐다. 그것은 부분적으로 모래, 강의 충적 퇴적물, 그리고 부분적으로 습지 점토 퇴적물 속에 박혀 있었는데, 이때 강이 항로를 바꾸고 남아 있는 소바우 호수가 늪으로 변했다. 배 위층도 바람이 몰고 온 황토 등 층층이 뒤섞여 있었고, 잦은 홍수로 인한 진흙이 굳어 있었다.[13]
그것은 큰 굴착기에 의해 그것의 양동이에 널빤지가 발견되었을 때, 발굴되었고 부분적으로 손상되었다. 그 배는 구체적인 조건과 높은 습기 덕분에 매우 잘 보존되어 있다. 그것은 얕은 바다를 위해 만들어진 평탄한 배다. 보조 돛대의 마스트 케이싱도 살아남았으므로, 선미 노를 위한 방향타, 선미, 사각형 노루락처럼. 배의 보존된 부분은 길이가 9.5m(31ft)이지만 전체 배의 길이는 15m(49ft), 폭은 2.7m(8ft 10인치)로 추정된다. 그것은 확실히 전투함이었다. 왜냐하면 그것은 로스트룸의 잔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 옆에서 모노실 두 개가 발견되었다.[13]
정확한 데이트는 C4탄소 고정 기법을 적용해 진행된다. 그 지질학자는 강이 이곳을 흐르고 있을 때 시간대를 세우기 위해 발굴된 곳을 조사할 것이다. 비록 이 배가 심지어 선사시대일 수도 있다고 제안했지만, 모든 것은 로마식 배(로마, 비잔틴, 중세 초)를 가리킨다. 그 배는 세르비아에서 유일하게 발견된다. 없어진 부분을 포함하여 완전히 재구성되어 두 개의 모노실(모노실)과 함께 전시될 것이다.[13]
2021년 4월, 다른 선박의 발견이 발표되었다. 그것들은 다뉴브의 전 팔에서 발견되었는데, 7미터(23피트) 깊이의 진흙 퇴적물 속에 묻혀 비미나키움의 황금시대보다 더 오래된 시기를 가리킨다. 가장 큰 배는 길이 19m(62ft)로, 총 7척의 선박이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발견되었다. 도자기도 발견되었다. 탄소 연대 측정 결과, 가장 오래된 배는 기원전 1세기 배인 반면, 어떤 배는 15세기와 17세기 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것들은 모두 참나무로 만들어졌고, 나무를 묶는 데 사용된 쇠경련은 살아남았다. 최근의 선박 발견은 그 지역에 분명히 풍부하고 오래된 참나무 숲과 이전에 기록되지 않았던 1천년 이상 된 선박의 전통을 가리키며 비미나치움보다 앞서고 살아남았다.[26]
도무스 사이언톨리움 비미나키움
도머스 사이언티어럼 비미나키움은 고고학 공원 가장자리에 세워진 새로운 과학, 연구, 관광 센터다. 도무스는 로마의 별장 형태로 지어졌는데, 여러 아트리움 주위에 방과 실험실이 모여 있었다. 도무스는 고고학 박물관, 과학 도서관, 고고학 발견물 처리를 위한 실험실, 정보 센터, 회의실, 식당과 SPA 센터를 로마식 목욕탕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 연구원, 학생, 방문객들이 이용할 수 있는 침실도 있다. 가장 화려한 특징 중 하나는 후기 앤티크 스타일을 바탕으로 모자이크를 설치한 세르비아 모자이크 작가가 장식한 큰 회의실이다.
침실은 로마군 막사를 따라 스타일링되고 한 방에 6개의 침대가 있다. 이 단지는 중앙광장, 두 개의 토론장, 로마 군대의 전당을 본뜬 대형 식당 등이 포함된 '의회(군대) 캠프'라는 꼬리표가 붙은 고고학적 의회 중심지가 됐다. 과학적인 모임에 이용되지 않을 때, 단지 내 부분은 "로마 어린이 캠프"에 적응하는데, 그 옆에 있는 모험 공원은 로마 군단 훈련장 이후에 부분적으로 만들어졌다.[3] 그 실험들 중에는 화장이나 포도 재배와 같은 "로마 방식"으로 행해진 다른 관행을 재현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다.[3] 2018년 12월 인접한 어드벤처파크가 문을 연 사이 2018년 9월 재탄생한 로마인 훈련장 라임즈파크가 완공됐다. 면적은 2ha(4.9에이커)이며 48개의 명소로 구성되어 있다.[27]
2017년 비미나키움에는 10만 명의 관람객이 다녀갔는데, 이는 비미나키움 역사상 가장 많은 관광객이다.[3] 이 중 관광객을 위한 부두가 건설되면서 1만7000여 명이 배를 타고 왔다.[4] 인근 마을에는 국제여객항 '코스토락'이 건설 중이어서 2021년 말이나 2022년 초쯤 완공될 예정이다. 2021년 7월, 고고학 공원 비미나치움(Viminacium)이 항구에 대한 행정권을 부여받았다.[28]
2018년부터 매년 열리는 연극제 '비미나시금 축제'가 코스토락과 비미나시움 고고학공원에서 열리고 있다.[29]
주민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0/02/Roman_sarcophagus_in_front_of_the_National_museum_in_Po%C5%BEarevac.jpg/220px-Roman_sarcophagus_in_front_of_the_National_museum_in_Po%C5%BEarevac.jpg)
그 도시는 정점에 4만 명의 주민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5] 인간의 유해는 다른 사람들이 섞여 있음을 보여준다. 안면재건술은 고고학자 겸 법의학자 일리야 미키치가 마련한 세르비아 과학예술 아카데미 갤러리에서 2018년 전시회 '로마 라임즈와 세르비아의 도시'를 목적으로 여러 두개골에 걸쳐 이뤄졌다. 잔해들은 지중해와 같은 다양한 종류에 속하는 인구와 북유럽이나 흑인과 같은 이 지역에서도 특이한 개체군임을 보여준다. 이 서로 다른 얼굴들 중 몇몇은 재구성되었다.[30]
다른 중요한 발견들은 이빨이 가득 찬 두개골이나 긴 두개골을 포함한다. 비록 대중들이 즉시 "외계"라고 이름 붙였지만, 그것들은 실제로 인공 두개골 변형을 위한 특별한 기술의 산물이다. 이것은 어린이들의 머리를 묶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그 연장은 매우 아름답고 바람직하다고 여겨졌다. 미키치는 또 수많은 해골을 기준으로 비미노키움의 평균 수명은 35년인 반면 평균 키는 남성이 165cm(65인치), 여성은 155cm(61인치)로 나타났다고 밝혔다.[30]
교회사
모시아 프리마의 지방 수도로서, 비미나키움도 메트로폴리탄 대주교가 되었는데, 아마도 약 300년에서 400년 경으로 추정된다.
브라니체보의 세르비아 정교회 에파제는 비미나키움과 호름마르기의 후계자로 꼽힌다.
십일각
대교구는 1925년 라틴 카톨릭 메트로폴리탄 십일조 대주교 비미나치움(라틴어) / 비미나치오(이탈리아어)로 명목상 복원되었다.
- 1925년 7월 11일 - 1927년 6월 6일 - 알프레드-줄스 멜리송(1842-1927), 에메리테이트에 대한 승진, 이전 블루아 주교 (프랑스) (1907년 10월 10일 - 1925년 2월 9일) 및 칠리시아 이레노폴리스 티툴라 주교(1925년 2월 11일)
- 1928년 10월 30일 - 1940년 12월 10일 - 토마스 프랜시스 히키(1861-1940)
- 24 May 1941 - 14 March 1950 - Manoel da Silva Gomes (1874-1950), as emeritate; formerly Titular Bishop of Mopsuestia (11 April 1911 – 16 September 1912) as Auxiliary Bishop of Ceará (Brazil) (11 April 1911 – 16 September 1912), succeeding as Bishop of the same Ceará (16 September 1912 – 10 November 1915), Metropolitan Archbishop of Fortaleza (Brazil) (1915년 11월 10일 - 1941년 5월 24일);
- 1951년 2월 1일 - 1958년 10월 12일 - 세티미오 페로니(1878-1958), 노르시아(이탈리아) 전 주교(1928년 12월 17일 – 1951년 2월 1일);
- 10 June 1959 - 24 April 1970 - Jean-Baptiste Boivin (1898-1970), Society of African Missions (S.M.A.), as emeritate; previously Titular Bishop of Italian language (15 March 1939 – 14 September 1955) as last Vicar Apostolic of Costa d’Avorio (Ivory Coast = Côte d'Ivoire) (15 March 1939 – 9 April 1940), restyled only Apostolic Vicar of Abidjan (9 Apr1940년 – 1955년 9월 14일), 같은 아비잔의 초대 메트로폴리탄 대주교(1955년 9월 14일 – 1959년 6월 10일)를 승진시켰다.
- 1970년 12월 24일 - 2003년 7월 28일 - Franco Brambilla(1923-2003)
- 2007년 1월 6일 - 현직 - 스타니스와프 보이시흐 비엘구스
참고 항목
- 비미나키움 전투, 비잔틴의 아바스전 승리
- 세르비아와 코소보의 가톨릭 교구 목록
- 코스톨락 공항
- 유달리 중요한 고고학적 유적지
참조
- ^ Urbes et Loca: Moesia Superfor - Moesia Forecond - Dacia
- ^ 비미나치움 dare.ht.lu.se
- ^ a b c d e f Darko Pejović (23 April 2018). "Srbija leži na turističkoj imperiji" [Serbia is laying on the touristic empire]. Politika (in Serbian). p. 11.
- ^ a b c d e f Mirjana Sretenović (25 April 2018). "Istraženo svega 3% Viminacijuma" [Only 3 % of Viminacium is explored (interview with the Viminacium chief manager Miomir Korać)]. Politika (in Serbian). p. 13.
- ^ a b c Aleksandar Vasović (31 May 2018). "Serbian archaeologists find sarcophagus with two skeletons and jewellery in ancient city". Reuters.
- ^ a b c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28, 2010. Retrieved July 28, 2010.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 ^ a b c d e f g h Gradimir Aničić (4 June 2018). "Ljubav nastavljena u grobnicama" [Love continued in tombs]. Politika] (in Serbian). pp. 01 & 07.
- ^ 로마 지방: 그리고 로마와 발칸 반도는 기원전 80년~구글 북스 AD14
- ^ a b 고대 동전 수집 IV: 구글북스의 로마 지방 동전
- ^ 법 뒤에 살아라: 구글북스의 코덱스 에르모게니아누스의 세계
- ^ 로마 관문 안의 야만인: 로마 군사정책과 야만인들에 대한 연구, 구글 북스에서의 서기 375–425년
- ^ 노티시아 디그니타툼, 파스 오리엔트, XLI.
- ^ a b c d e Gradimir Aničić (23 March 2020). ""Isplovio" brod u Viminacijumu" [Ship in Viminacium "resurfaced"]. Politika (in Serbian). p. 8.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1, 2009. Retrieved June 22, 2009.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 ^ "Afera "Sevso" i druge krađe", Politika (in Serbian), p. 05, 26 May 2017
- ^ Rajna Popović (21 May 2018). "Istorija sačuvana u apotekama" [History preserved in pharmacies]. Politika (in Serbian). p. 07.
- ^ Olivera Milošević (11 July 2019). "Farmacija stara osam milenijuma" [Eight millennia old pharmacy]. Politika (in Serbian). p. 12.
- ^ Subašić, B. (June 22, 2012). "Viminacijum: Arena Krije Tragove Gladijatora I Zveri". novosti.rs. Retrieved May 4, 2016.
- ^ "Zlato I Nova Otkrića Viminacijuma". novimagazin.rs. June 21, 2012. Retrieved May 4, 2016.
- ^ "U Viminacijumu otkriven mauzolej" [Mausoleum discovered in Viminacium]. Politika (in Serbian). 20 April 2018.
- ^ Beta (19 April 2018). "U Viminacijumu otkriven mauzolej iz trećeg veka" [3rd century mausoleum discovered in Viminacium] (in Serbian). N1.
- ^ Gradimir Aničić (12 February 2019). "Археолошко откриће из времена Велике сеобе народа" [Archeological findings from the Great Migration period]. Politika (in Serbian). p. 8.
- ^ Аничић, Градимир. ""Испловио" брод у Виминацијуму". Politika Online. Retrieved 2020-03-25.
- ^ a b M.Dimitrijević (25 November 2020). "Otkriven Principijum Sedme Klaudijeve legije" [Principium of the Legio VII Claudia discovered]. Politika (in Serbian). p. 14.
- ^ Serbia, RTS, Radio televizija Srbije, Radio Television of. "Богатства Виминацијума опет изненађују, још једно вредно откриће". www.rts.rs. Retrieved 2020-11-24.
- ^ Radio Television Serbia (24 April 2021). "Arheolozi kod Kostolca otkrili brodove koji potiču iz prvog veka pre nove ere" [Archaeologists discovered 1st century B.C. ships at Kostolac] (in Serbian). N1.
- ^ Olivera Milošević (15 December 2018). "Љајић отворио "Авантура парк" у Виминацијуму" [Ljajić opened the Adventure park in Viminacium]. Politika (in Serbian). p. 09.
- ^ "Park Viminacijum upravljaće pristaništem u Kostolcu" [Viminacium Park will manage the Kostolac port]. Politika (in Serbian). 31 July 2021. p. 12.
- ^ Olivera Milošević (31 August 2021). "Završen treći "Viminacijum fest"" [Third "Viminacijum Fest" finished]. Politika (in Serbian). p. 13.
- ^ a b Aleksandra Mijalković (26 August 2018). "И црнац житељ Виминацијума" [Black man, inhabitant of Viminacium]. Politika-Magazin, No. 1091 (in Serbian). pp. 24–25.
- ^ GCatholic - 비미나키움의 적정 도시 보기
- ^ 가톨릭 계위 - 비미나키움(제목 참조)
소스 및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비미나키움 관련 매체를 보유하고 있다. |
자세한 내용은 비미나키움 공식 사이트를 참조하십시오.
- 국가 및 세계유산의 보석 - 비미나키움
- 유튜브에 비미나시움
- 유튜브에 비미나시움
- 비미나슘
- 그 동전들
- 동전 정보
- 더 많은 화폐 정보
- 비미나키움의 민트
- 프로젝트 비미나슘
- 비문 드 라 메시 수페리우레
- 비아토림페리온비미나시움
- 세르비아, 새로운 주요 관광명소 발굴
- Wilkes, J., R. Talbert, T. Elliott, S. Gillies. "Places: 207549 (Viminacium)". Pleiades. Retrieved March 8, 2012.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참고 문헌 목록
- М. Арсенијевић, Два мања налаза римског новца из Народног музеја у Пожаревцу, Viminacivm 12, Пожаревац 2001, 185–201.
- М. Арсенијевић, Каталог збирке римског царског новца од I до III в. Народног музеја у Пожаревцу, Viminacivm 13–14, Пожаревац 2003, 109–142.
- М. Арсенијевић, Периоди похрањивања остава римског новца током III века н. е. у Горњој Мезији, Гласник Српског археолошког друштва 20, Београд 2004, 225–234.
- M. Ascenijevich, M. Tapabivicki-Ilich, S. Redich, Dva nova tipa reversenih forestava kovnice Nikee sa nekropole Vike grobalja, Arhologia i prirodne na 2006, 107–110.
- M. Asenijevich, S. Redich, M. Tapavichki-Ilich, Jedan Redak Primarak Kovanja Avgusta Oktavijana Prona Proinacijuumu, Arhologia i prirodne na nauke 2, Be 2006, 87-90.
- I. 보그다노비치, 레졸타티 아르헤올로슈코-게오피지치키(Rezultati arholoshko-geofizzkih istratraivanja na lokalitetu „Kod Koraba") (istochna nekroda Vinacijua vijua), 아르헨ika i pria i pria i priza ija i 5(2009), 베오케 5(2009), 베그로드 2010, Beghiorg
- Б. Борић-Брешковић, Две оставе бакарног римског новца Виминацијума и Дакије, Зборник Народног музеја XIII-1, 1988, 89–101 и 8 табли.
- B. 보리치-브레슈코비치, 리버스네 프레드 나 노브쿠 코오롱이제 비미나시즈마, 마기스타스키 래드, 보그라드 1971년, 루코피스.
- Б. Борић-Брешковић, Новац колоније Виминацијума, Збирка Светозара Ст. Душанића (изд. Народни музеј Београд), Београд 1976.
- Б. Борић-Брешковић, Реверсне представе на новцу колоније Виминацијума, Зборник Народног музеја XII-1, 1986, 138–142.
- Б. Борић-Брешковић, Ковање Филипа II у Виминацијуму и проблем VI године виминацијумске ере, Нумизматичар 10, Београд 1987, 24–33.
- Б. Борић-Брешковић, Aureus Aurelijana (270–275), Римски цaрски градови и палате у Србији (ed. Д. Срејовић), Галерија САНУ, књ. Београд 1993, 363, кат. бр. 163.
- B. 보리치-브레슈코비치, 토코비 스레브르노그 노브카 우림스콤 i 프레드림스콤 페리오두, 안티치코 스레브로 우 스르비지, 베오그라드 1994, 33–45.
- Ђ. Бошковић, Извештај и кратке белешке са путовања, Старинар III, Београд 1931, 188–189.
- J. Brunshmid, Unedierte Münzen von Dacien und Moesien im Kroatschen Nationalmuseum in Argam, Numisamatische Zeitschrift XXXV, Wien 1903, 205–220.
- Д. Ђокић, Д. Јацановић, Топографска грађа Стига, Пожаревац, Viminacivm 7, Пожаревац 1992, 61–110.
- M. Ђорђевић, Римски камени саркофази из Виминацијума, Viminacivm 4–5/1989–1990, Пожаревац 1990, 133–147.
- Ј. Драгашевић, Археологијско-географска истраживања, Гласник српског ученог друштва 45, Београд 1877, 19–20.
- б. ррра, ура, у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 рара ра раророророрира рора рорира ра ра ра ра ра ра ророриририра ра ра рира ра ра ра р
- Б. Дрча, Допринос сврставању бронзаног новца валентинијанског периода у његове историјске оквире, Нумизматичар 22–23/1999–2000, Београд 2003, 93–104.
- Б. Дрча, Сепулкрални налаз посребреног новца Констанција и Констанса из Виминацијума, Нумизматичар 24–25/2001–2002, Београд 2005, 141–142.
- С. Душанић, Новац колоније Виминацијум и датуми из римске историје средине III века, I. Локална ера Виминацијума (The coins of colonia Viminacium and the dates from the roman history of the middle third century. I The local era of Viminacium), Старинар XII, Београд 1961, 141–143.
- M. 두샤니치, 보즈니치키 포즈노안티치키 낫피시 사 나셰그 라메사, 마기스타스키 래드, 보그라드 1973, 루코피스.
- S. 두샤니치, 비미노키움의 시대, 코반제 i 코브니체 안티치코그 I srednjovekovnog novca, 나로드니 무제즈 베오그라드, 베오그라드 1976, 53–58.
- E. 게오르크, 다이 뮌즈프래궁 폰 비미나치움, 다이 뮌즈프르궁 더 프로빈스 오베르-무에시엔, 누미스타티스체 자이츠히프트 68, 1935년, 35-43년
- ö. 고글, 다키아i es Moesiaii pénzek, Numizmatikai Közlöny V, 부다페스트 1906, 77.
- S. 골루보비치, 비미노키움 네크로폴리스, 고고학자 불가리카 3, 소피아 1999, 9–22.
- со. оуура, ууура ррара ррара ррара ира ира иа и,, ,, 10 10 10, 10а, 비미나시움 10, п п 10 п 1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83–100.
- с. гоу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ора рара рара ра рара рара раророророра роророророророророра ророра роророророророра ра ророророра ра ра р
- S. Golubovich, Moesia Supervior, LIMES XIII, Jordan 암만에서 열린 제16차 로마 프런티어 연구 국제회의의 진행 (2000년 9월), BAR International Series 1084 (II) 2002, 629–640.
- S. 골루보비치, 쥬얼리 및 아노도스 비미나키움, 고대 세계 3/2003, 트르나바 2004, 79–90의 화장 무덤의 의상 장식.
- S. 골루보비치, 비미나키움 우물 또는 희생적인 구덩이의 그레이브스?, 고대 로어 다뉴브강(VI C BC–VI C AD), 국제 고고학 회의 6–7. 2005, 불가리아-투트라칸, ed. 류드밀 F. 바갈린스키, 불가리아 과학 아카데미, 국립 고고학 박물관, 소피아 2007, 121–130.
- S. 골루보비치, 그로보비 우 오브리쿠 부나라 사 네크로폴라 비미노시즈마, 베오그라드 2008.
- S. 골루보비치, 이즈베슈타지 오아홀로슈킴은 트라시반지마 나 로카시지 코라바(비미나시금), 아헤올로슈키는 2/3, 베오그라드 2008, 46–50으로 사전 검색했다.
- S. 골루보비치, N. Mr.ich, S. C. Speal, Death by a Arrow – 152 비미나키움, XVINA ROMEC (로마 군사 장비 회의), Xantener Berichte 16, 2009, 55–63.
- S. 골루보비치, M. 코라치, 비미노키움 화장장(I–)III c. AD.), 중앙 및 동유럽의 장례 관행(기원전 10기 - 서기 3기), 브릴라-브라조프 2008, 109–118.
- V. 이바니셰비치, 카탈로그 노바 사 로칼리테타 스베틴자 우 코스톨쿠, 스타리나 XXXVIII, 1987-63.
- В. Иванишевић, Византијски новац (491–1092) из збирке Народног музеја у Пожаревцу, Нумизматичар 11, 1988, 87–99, сл. 1–96.
- Д. Јацановић, Келтски гроб из Костолца, Viminacivm 2, Пожаревац 1988, 7–14.
- Д. Јацановић, Остава републиканских римских денара из Виминацијума, Viminacivm 2, Пожаревац 1988, 25–39.
- Д. Јацановић, Каснолатенски лок. „Дунавац” у Костолцу, Гласник Српског археолошког друштва 13, Београд 1997, 127–134.
- M. 예레미치, 비미나키움 – 코스토락, 아르히테크투라 나 로칼리테투 "Vihete burdelja", 아르히데올로슈키는 1977년 19월 19일, 55–57년에 사전 조사를 했다.
- M. 예레미치, 비미나키움 – 코스토락, 그로브네 콘스트릭치예 네크로폴 나 로칼리테투 "Vihollosse burdelja", Arheoloshki는 19/1977, 57–60을 사전 검색했다.
- К. Јиречек, Војна цеста од Београда за Цариград, Зборник, књ. 1, Београд 1959.
- FC. 조도비치, 벨리카 카피자 – 림스카 nekropa i naselje, Arheoloshki는 1980/21/1980, Beograd 1980, 123–126을 준비했다.
- Ч. Јордовић, Виминацијум 1983–1989. година, Гласник Друштва конзерватора Србије 14, 1990, 63–65.
- Ч. Јордовић, Грнчарски и цигларски центар у Виминацијуму, Саопштења РЗ XXVI, Београд 1994, 95–106.
- А. Јовановић, Римске некрополе на територији Југославије, Београд 1984.
- Б. Јовановић, Некропола на Пећинама и старије гвоздено доба Подунавља, Старинар XXXVI, Београд 1985, 13–17.
- Ф. Каниц, Србија. Земља и становништво, од римског доба до краја XIX века, прва књига, Београд 1985, 177– 87.
- F. Kanitz, 세르비엔의 Römesche Studien, Denkschriften der Kaiserlichen Akad. Der Wiss. in Wien, 1892, 16–20.
- V. 콘디치, Lj. 조토비치, 비미노아키움 – 레줄타티 아르헤올로슈키는 1974년 이스트라비반야. 신, 아르헤올로슈키는 1974년 16/1974년, 94–98년을 준비했다.
- M. 코라치, 비미나치움 고분의 그림들, 다음 내용: 테트라공 시대(에드). D. 스레조비치), 베오그라드 1995, 166–183.
- M. 코라치, R. 파블로비치, N. Mr.ich, Viminacijum – Daljinska deteccija I GIS, Arhologia i prirodenne nauke I, Beograd 2006, 21–36.
- M. 코라치, N. Mr.ich, V. 스토야노비치, 프리메나 조라다라 유는 트라치바반지마 림스코그 아케두크타 나 비미나시주무, 아르헬로기자 이 프리로덴나우케 I, 베오그라드 2006, 37-46.
- M. 코라치, N. Mr.ich, M. Mikich, Kartiranje rimskog acvedukta na Viminacijumu pomochu 글로벌 시스테마 Za Pozicionanje, Arhologia i prirodne na nauke II(2006), Begrad 2006, 7–26.
- M. Korać, S. Marković, J. Obradović, Primena VR panorama u vizuelizaciji kulturnog nasleđa na interaktivnom CD ROM-u „VIMINACIUM LUMEN MEUM“, Arheologija i prirodne nauke II (2006), Beograd 2006, 97–104.
- M. 코라치, 비미노키움 그림, 디 말쿤스트 비미노키움(Slikarstvo Viminacijuma), 비미노키움 신기술 센터, 베오그라드 2007.
- M. 코라치, S. 골루보비치, N. Mr.ich, TOURTALIUM ROMANUM 세르비아IAE, Putevima 림스키 임페라토라, Center for New Technologies Viminacium, Beograd 2009.
- M. 코라치, N. Mr.ich, 전쟁터로 묘지. 비미나키움 묘지 16세 ROMEC(로마 군사 장비 회의), 잔테너 베리히테 16, 2009, 107–123에서 발견된 무기.
- M. 코소리치, 훔카 코돌카, 스타리나르 XI /1960, 베오그라드 1961, 197–198.
- L. F. Marsili, Danubius pannonico-mysicus 관측소 지리학, 천문학, hidrographiicis, historis, physis perilustratus, Hagae 1726.
- M. 미키치, V. 스토야노비치, N. Mr. Mr.ich, 프리메나 그라디오메트라 자 포테레비 자히티니흐 아르헤올로슈키는 트라시바냐 나 비미나시주무 – 로칼리테트 리트, 아르헨로지아나우케 2세(2006), 21-26–26.
- Ⅱ. 미키치, 트레파나치자 로반자 나 반치콤 비미나시주무 – 안트로폴로슈케 인포마시제, 아르헬로기자 이 프리로덴나우케 I(2006), 9-20.
- Ⅱ. 미키치, 네크로폴레 서베 나로다 나로다 비미나치즈무 – 안트로폴로슈스카 레비지자, 아하이카 1, 베오그라드 2007, 209–217.
- Ⅱ. 미키치, 듀스 귀곡촌 de la Grande 이주는 비미나치움, 발카니차 XXXVII/2007, 베오그라드 2008, 45–55를 배출한다.
- J. 밀코비치, 비미나키움 - 도시 재탄생, M.A. disc, Corcoran 예술대학 + Design, 2011, 70페이지, AAT 1506363.
- Г. Милошевић, Рановизантијска архитектура на Светињи у Костолцу, Старинар XXXVIII/1987, Београд 1988, 39–58.
- G. 밀로셰비치, 브라니체보, XLII/1991, еееоо 1993 1993, 187–1995.
- Б. Миловановић, Вегетабилни мотиви на надгробним споменицима из Виминацијума, Viminacivm 12, Пожаревац 2001, 109–134.
- B. 밀로바노비치, 귀걸이 – 비미나키움, 아노도스, 고대 세계 3/2003, 트르나바 2004, 131–143의 로마 여성성의 상징.
- Б. Миловановић, Случајни налази стаклених посуда из Виминацијума и околине, Гласник Српског археолошког друштва 21, Београд 2005, 293–317.
- B. 밀로바노비치, A. 레이치코비치, S. 뤼드지치, 스틸스코-티폴로슈케 오드 같은 i poreklo formi 나우슈니차 림스코그 시대, 우 스르비지, 아르헬로기자 이 프리로덴나우케 1, 2006–61–80.
- B. 밀로바노비치, A. 레이치코비치, S. 레디치치, 포수데 사 아플리시라몽 즈미자마 이즈 자나츠코그 센트라 비미나치움, 아르헬로기자 이 프리로드네 나우케 2, Beograd 2006, 69-76.
- B. 밀로바노비치, A. 레이치코비치, 델로비 올로브니흐 보다보디니쿠마, 아르헬로기자 이 프리로덴나우케 3, 베오그라드 2007, 25–30.
- B. 밀로바노비치, D. 로지치, D. 데스포토비치, 파르니 지드노프 슬리카르스트바 사 테르미 이즈 비미노아시주마, 아르헬로기자 이 프리로드네 나우케 3, 베오그라드 2007, 75–81.
- B. Milovanovich, Simbolikajanih životinja na nadgrobim stelama Iz Viminacijuma, Arhelogia i prirodne nauke 4, Beograd 2008, 15–25.
- B. 밀로바노비치, A. 레이치코비치, 레졸타티는 트라시반자 주고자파드노그 델라 로칼리테타 피리보지(비미나시금), 아르헬로히자 이 프리로덴나우케 5, 베오그라드 2009, 7-29.
- B. Milovanovich, Neki od hrichianskih 동기를 부여하다 u antikoj umetnosti, 즈보르니크 라도바 – Ikonografske studije 2, Beograd 2009, 99–106.
- M. 미르코비치, 림스키 그라도비 나 두나부, 베오그라드 1968.
- M. Mirković, Die christliche Kirche und das Christentum in de zentralillyrischen Provinzen im 4. und 6. Jahrhundert, Late Roman and Early Byzantine Cities on the Lower Danube from the 4th to the 6th Century A. D., International Conference, Poznań, Poland, 15–17 November 1995 (ed. A. B. B. Biernacki and P. P. P. Pawlik), Poznań 1997, 39–56.
- M. M. Mirkovich, 신기두눔의 레지오토리 캠프와 4~5세기, 6세기 방어 시스템의 비미나키움: 로마인과 바바리안, 스터디아 다누비아. 파스 로마니아에, 세리아 시모피아 1세, 로어 다뉴브 4-6회 로마 프론티어, 제2회 국제 심포지엄(Murighio / Halmirys, 1996년 8월 18일–24일), 부쿠레슈티 1998년 117–130.
- M. M. M. M. M. M. Siffslénde des spét 6. Jahrunderts bei Viminacium?, 1998년 9월 5일(에드)에 데르 라임즈 안 데르 unteren Donau von Diokletian bis Heraklos, Vortrége der Konferenz Svishtov, 불가리엔 1–5(에드). G. 폰 뷔로우 und A. Milcheva), Sofia 1999, 17–25.
- D. 로지치, N. Mr.ich, Vlaga – Uzrok 슈테테트 나 프레스코 슬리카르스트부, 아르할로기자 i prirodne nauke I(2006), 119–126.
- С. М. Ненадовић, А. Јуришић, Археолошки радови, Римске циглане у Новом Костолцу, Саопштења I, Београд 1956, 129–130.
- S. 니콜리치, A. 레이치코비치, 세라믹 발사마리아-보틀스: 비미나슘의 예, 스타리나르 LVI/2006, 베오그라드 2008, 327–336.
- S. Nikolich, A. Raichkovich, Moesia Supervior, Starinar LVIII, Beograd 2009, 135–146.
- Г. Орлов, Нове варијанте виминацијских монета царева Гордијана III и Филипа Оца, Зборник Филозофског факултета III, Beograd 1955, 29–43.
- B. 픽, 다이 안티켄 뮌젠 노르드그리첸란드 1: 데이시엔 und 모에시엔, 1898년 베를린.
- B. 픽, K. 레글링, 다이 안티켄 뮌젠 노르드그리첸랜드, I 2: 데이키엔 운트 모에시엔, 베를린 1910.
- M. Pindich, Retrospecktiva terenskih radova na ostacima Viminacijuma I novi Nalazi, Rimes u Jugoslaviji I, Beograd 1961, 125–130.
- И. Поповић, Pадионица оловних предмета или светилиште култа дунавских коњаника у Виминацијуму, Viminacivm 7, Пожаревац 1992, 29–56.
- I. 포포비치, 림스키 모네리 나키트 우 스르비지, 누미즈마티차르 16, 베오그라드 1993, 59–60, T. I-IV.
- М. Поповић, Светиња, нови подаци о рановизантијском Виминацијуму, Старинар XXXVIII/1987, Београд 1988, 1–37.
- М. Поповић, В. Иванишевић, Град Браничево у средњем веку, Старинар XXXIX/1988, Београд 1988, 125–179.
- M. Pravilovichi, Viminacium, Kostolac. 1. 페치네 – 림스카 네크로폴라, Arheoloshki는 21/1979, 118–123을 준비했다.
- A. 라이치코비치, S. 레디치, B. 밀로바노비치, 포수데 사 아플리시라메 지미자마 이즈 자나츠코그 센트라 비미나치움, 아르헬로기자 이 프리로덴 나우케 2, 베오그라드 2006, 69–76.
- A. Raichkovichi, S. Redchi, Keramichke i Opekarske Pechi – Lokacije „Pechine" I „ Livade Kod Chchuprije", Arhologia i prirodne na nauke 1, 2006–106.
- A. 라이치코비치, S. 레디치, D. 로기치, 테라코테 사 프로스토라 센트라 비미노아치즈마, 아르헬로히자 이 프리로덴 나우케 2, Beograd, 2006–77–86.
- A. Raichkkovichi, S. Vukovich, Keramicharska pechi sa istochne nekropole Viminacijuma, Arholologija i prirodne nauke 4, Beograd 2009, 7–14.
- S. 레디치치, A. 레이치코비치, V. 마일티치, 아르헤올로슈카는 트라치바반야 로칼리테타 스티그나 오스노부 조라다르스키 이스피티바냐, 아르헤롤로지야 1세 프리로드네 나우케 1, 2006년, 베오그라드, 47-56년.
- S. 뤼디치치, A. 라이치코비치, B. 밀로바노비치, 크라스테 섬유 유 그로보비마 비미니아시금스키오, 아르헬로기자 이 프리로덴나우케 2, 보그라드 2006, 27–45.
- S. 레디치치, A. 레이치코비치, S. 골루보비치, 호놀로지아 비미노시금스키흐 네크로폴라 우베틀루 프로나우제니훌라, 아르헬로지아 1세 프리로드네 나우케 1, 베오그라드 2006, 57-60.
- S. 레디치치, 비미노키움 동묘지의 군사 벨트, 16세 ROMEC(로마 군사 장비 회의), 잔테너 베리히테 16, 2009, 215–220.
- S. Redćich, Viminacium의 영토에 있는 VTERE FELIX 벨트 세트, Starinar LVII/2008, Beograd 2009, 155–161.
- Д. Рогић, Д. Деспотовић, Предлог рестаурације и презентације делова декоративног сликарства виминацијумских терми, Иконографске студије 2, 2008, 271–276.
- М. Ростовцевъ, Двь позне – античныя раписныя гробницы изъ Костолца (Viminacium) и Рька Девне (Marcianopolis), Петроградь 1915.
- Д. Спасић, Средњовековна некропола „Код гробља” у Старом Костолцу, Viminacivum 4–5/1989&‐1990, Пожаревац 1990, 157–175.
- Д. Спасић, Случајни налази келтског порекла са локалитета „Чаир” у Старом Костолцу, Viminacivum 7, Пожаревац 1992, 5–20.
- Д. Спасић, Једна гробна целина из Виминацијума, Гласник Српског археолошког друштва 12, Београд 1996, 99–106.
- Д. Спасић, Прилог проучавању традиције Скордиска у Виминацијуму, Гласник Српског археолошког друштва 13, Београд 1997, 33–45.
- Д. Спасић-Ђурић, Виминацијум: главни град римске провинције Горње Мезије, Пожаревац 2002.
- Д. Срејовић, Римске некрополе раног царства у Југославији, Старинар XIII–XIV/1962–1963년, еерр 1963, 49–84년.
- М. Станојловић, Скидање зидних слика из једног гроба у Виминацијуму августа–септембра 1990, Гласник Друштва конзерватора Србије 15, 1991, 53–58.
- М. Станојловић, Нека опажања о употребљеним малтерима за зидање и малтерисање гробова у Виминацијуму, Гласник Друштва конзерватора Србије 16, 1992, 56–59.
- М. Станојловић, Конзервација зидних слика скинутих из једног гроба у Виминацијуму, Гласник Друштва конзерватора Србије 18, 1994, 82–84.
- М. Станојловић, Могућа презентација конзервираних зидних слика из Виминацијума, Гласник Друштва конзерватора Србије 21, 1997, 59–60.
- В. Стојановић, М. Тапавички-Илић, Келтски гробови са Рудина у Старом Костолцу, Гласник Српског археолошког друштва 23, Београд 2007, 245–252.
- M. 타파비치키-일리치, 스코르디시안 도자기의 로마자화(비미나키움에서 발견한 그릇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레이 크레타리아에 로마네 액타 40, (2008), 195–197.
- M. Tapavički-Ilić, Finds of Dacian Pots from the Roman Graves in Viminacium, Proceedings of the 10th International Colloquium of Funerаry Archaeology, Funerary Practice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10th century B. C. to 3rd century A. D.), Editura Istros Muzeul Brăilei, Tulcea, Румунија, Brăila–Braşov 2008, 215–224.
- M. 타파비치키 일리치, 유약 도자기를 무덤재로 사용(비미나키움의 예에 나타나 있음), 에서: 칼리노와 중동의 후기 로마 유약 도자기에 유약 도자기를 사용하였다. 생산, 기능 및 유통, Carlino 2009, BAR International Series 2068, 2010, 123–131.
- Д. Тодоровић, Заштита меморија у Виминацијуму, Гласник Друштва конзерватора Србије 15, 1991, 164–165.
- M. Томовић, Прилог проучавању камених вотивних икона са територије Виминацијума, Viminacivm 4–5, Пожаревац 1989–1990, 89–132.
- м. п , п , п и с и и и и и и ии ии ии из из VINACIVMA, Viminacivm 6, Kilk р е е 1991 1991 1991–69–82.
- л. рруру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 рарарара рарара рарара рарара рара) у у уо оооо оооу, 비미나ac 4–1989, 193198.
- M. варрр, опппп,, ппппу у уо,,,, саар,саа, саар,с3/1886, 23–27; 116.
- M. Валтровић, Откопавање у Костолцу, Старинар 4/1887, 130.
- M. варрр, опппп,, паппу у о,,,,, саса 6 6 6 6, саар 6 66/1889, 112; 114–115.
- M. иа,, оаааакккпппппппп 17 17 17 17 17 17 17 17 17 17 17 17 17 17 17 17 17 17 17 17 17 17/1903, 2488еееееееееееее.
- M. Васић, Годишњак Српске краљевске академије 19/1905, 267–268.
- M. Васић, Новци колоније Виминацијума, Глас Српске краљевске академије LII, Београд 1896.
- M. Васић, Извештај Српској Краљевској Академији Наука о ископавањима у Костоцу у 1902, Годишњак Српске краљевске академије 16/1903, 201–228.
- N. 벌리치, 프르궁겐 데르 다키아 und 폰 비미나시움, 누미스타티스체 자이츠히프트 XXXIV, 비엔 1902, 139–141. J. 제일러, 레오리가네스 크리티엔스 데스 다뉴비엔 드 르엠파이어 로맹, 1918년 파리.
- Љ. Зотовић, Некрополе спаљених покојника на територији Горње Мезије, Лесковачки зборник VIII, Лесковац 1968, 19–30.
- Љ. Зотовић, Историјски услови развоја оријенталних култова у римским провинцијама на територији Југославије, Старинар XIX/1968, Београд 1969, 59–74.
- Љ. Зотовић, Промене у формама сахрањивања забележене на територији Југославије у времену од I до VI векa, Лесковачки зборник X, Леcковац 1970, 19–24.
- Lj. 조토피치, 비미노아키움, 아르흐디톨로슈키는 1953년 15월 47-50일 사전 조사를 했다.
- Љ. Зотовић, Рано хришћанство у Виминацијуму кроз изворе и археолошке споменике, Viminacivm 8–9/1994, Пожаревац 1994, 59–72.
- Lj. 지노비치, 비미나치움의 기독교, 다음 내용: 테트라공 시대(에드). D. 스레조비치), 베오그라드 1995, 336–348.
- Lj. 조토피치, 비미노키움의 데 파가니즘우스, 스타리나르 XLVII/1996, 베오그라드 1996, 127–137.
- M. 타파비치키-일리치, 스코르디시안 도자기의 로마자화(비미나키움에서 발견한 그릇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레이 크레타리아에 로마네 액타 40, (2008), 195.
- M. 코바치/M.모시아 슈페리어(세르비아), Zeitschrift für Papyographik 203, (2017), 164–176의 Ricl, New Gold and Silver Amull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