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화의 법적 인정

Legal recognition of sign languages

수화 언어에 대한 법적 인식은 크게 다르다. 일부 국가(국가, 주, 지방 또는 지역)에서는 수화를 공용어로 인식하고, 다른 국가에서는 특정 영역(교육 등)에서 보호되는 지위를 가진다. 비록 정부가 헌법(또는 법률)에 "서명 언어"를 인식하도록 명기할 수 있지만, 어떤 서명이 있는 언어를 명시하지 못할 수 있다. 몇 가지 다른 서명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세계농아인연합(World Federation of the World Federation)이 채택하여 더욱 발전시킨 수화를 법적으로 인정하기 위해 가장 자주 사용하는 틀은 마아르트제 드 멀더 박사가 개발하였다.[1][2]

법적 인정 연장은 청각장애 문화의 주요 관심사다. 상징적 인지도는 수화 사용자들의 생활 개선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며, 수화 언어는 단순히 장애인을 위한 숙소로서가 아니라 언어 공동체에서의 의사소통 매체로 지원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3]

국가별 현황

호주.

아우슬란은 1987년과 1991년 호주 정부에 의해 "영어 이외의 공동체 언어"로 인식되었고 청각장애 공동체의 선호 언어로 인식되었다. 비록 이 인정서가 아우슬란에서 서비스 제공을 보장하지는 않지만, 청각장애인 교육과 아우슬란 영어 통역사에 의한 서비스 사용은 점점 더 흔해지고 있다.

현재, 청각장애인을 서명하는 것은 호주에서 다른 비영어권 언어 그룹과 같은 그룹을 형성하고 있으며, 공유된 역사, 사회생활 및 정체성에 의해 인식되고, 호주 청각장애인의 주요 의사소통 수단인 아우슬란에서 유창함에 의해 통합되고 상징되는 뚜렷한 하위 문화를 가지고 있다.이티

Australia's Language: The Australian Language and Literacy Policy (page 20). (Australian Government Publishing Service, Canberra, 1991)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의 수어(Exsterreichische Gebérdensprache, 또는 öGS)는 2005년 오스트리아 의회에서 인정되었다. 2005년 9월 1일, 오스트리아 헌법이 개정되어 제8조 제3항 다이 에스테라이히체 게베렌스프라체는 알스 고유스테네지 스프레이체 아네르칸트(Sprache anerkant)이다. Das Naier bestimmen die Gesetze.("오스트리아 수화는 독립된 언어로 인식된다. 세부 사항은 법률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4]

벨기에

프랑스 공동체

벨기에의 프랑스 공동체 의회는 2003년 10월 프랑스어 벨기에 수화법령으로 인정하였다. 인식에는 다음이 수반된다.

  1. 문화적 인식
  2. 모든 LSFB 관련 사안에 대해 프랑스 공동체 정부에 자문하기 위한 위원회 구성

데크레트 상대방에 따르면,[5] "수화어 인식에 관한 결정(Decret relationif ra la langue des signes)"에 따르면, "모든 장관이 자신의 권위와 관련된 분야에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반적인 조치와 손을 잡는 상징적 인식에 관한 것이다.[6]

플랑드르 공동체

플랑드르 수화(Dutch: Vlaamse Gebarentaal 또는 VGT)는 플랑드르 의회에서 2006년 4월 24일에 인식되었다. 인식에는 다음이 수반된다.

  1. 문화적 인정
  2. 모든 VGT 관련 사안에 대해 플랑드르 정부에 자문하기 위한 위원회 구성
  3. VGT 연구 개발 자금 지원

문화적 인식은 플랑드르에서 플랑드르 수화를 청각장애인 공동체의 언어로 인식하는 것을 수반한다. 이 '인식'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의미를 포괄한다. (1) 플랑드르 정부는 플랑드르에서 플랑드르 수화(Flemish Sign Language)가 청각장애인 공동체의 언어라는 사실의 정확성을 인정하며, (2) 플랑드르 정부도 사법 영역에서 이 언어의 존재를 인정하고 그에 따라 이를 취급하며 (3) 플랑드르미스어를 취급한다.정부는 이 언어에 대한 존경을 표한다.[7]

브라질

브라질 수화는 2002년 법적으로 인정받았지만 2005년 제정된 법은 포르투갈어를 대체할 수 없다고 규정했다.[8][9] 언어는 언어 병리과정의 일부로 가르쳐야 하며, LRIBAS는 선택적 학부 과목이다.

캐나다

2019년 6월 21일 통과된 '액세스 가능 캐나다법'은 '미국 수어(ASL), 퀘벡 수어 및 토착 수어(...)'를 캐나다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을 위한 주요 언어로 인정했다.[10] 캐나다 북극 공동체에서 사용되는 이누이트 수어(IUR)는 청각장애인 가족과 지역사회 구성원을 위해 가족과 커뮤니티에 의해 현지에서 개발되었다. 캐나다 남부에서 학교를 다닌 적이 있는 청각장애인 이누이트도 ASL을 배웠다.IUR는 2008년 누나부트 입법부에 데뷔했다.[11]

영국 수화에서 유래된 해양수화언어(MSL)는 캐나다 연해주에서는 빈사상태다.[12] 그것은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고, 학교에서 ASL로 대체되었다.[12] 1856년부터 1961년 6월까지 운영된 핼리팩스 청각장애학교(Halifax School for the Deaf)[12][13]는 MSL에서 가르쳤으며, 그 후 1995년 노바스코샤 암허스트에 있는 청각장애교육기관(Atlantic States Special Education Authority, 또는 APSEA)으로 개칭되었다.

칠리

칠레 수어(스페인어: Lengua de Segnas Chilena 또는 LSCh)는 장애인에게 동등한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2010년 법 제2만422호로 제정되었다. 법은 수화를 청각장애인들의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수단으로 인정하고 있다.[14]

체코

체코 수화는 수어법 155/1998 Sb("Zahkon o znakové iichi 155/1998 Sb")의 통과로 법적 인정을 받았다.[15]

덴마크

덴마크 수화는 2014년 5월 13일에 법적 인정을 받았다. 덴마크 의회는 "덴마크 수어 모니터링의 원칙과 지침을 마련하고 덴마크 수어에 대한 조언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덴마크 수어협의회를 설립했다."[16]

유럽 연합

유럽의회는 1988년 6월 17일 수화에 관한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17] 이 결의안은 모든 회원국이 그들의 수화를 청각장애인 공동체의 공식 언어로 인식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유럽의회[...]는 각 회원국에서 청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수화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것과 관련하여 위원회에 제안을 할 것을 요구한다.[18]

EP는 1998년에 또 다른 결의안을 발표했는데, 그 내용은 1988년 결의안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19] 2016년에 세 번째 결의안이 통과되었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유럽 최초의 청각장애인 여성 MEP 회장이자 유럽 청각장애인연합(European Union of the Deaf) 회장인 헬가 스티븐스가 초안을 작성했다. 이 결의안은 수화와 전문 수어통역사에 관한 것으로 청각장애 연구와 언어학에 관한 것이다.[20]

핀란드

핀란드 수화는 1995년 8월에 헌법에 인정되었다.

제17장 - 자신의 언어와 문화에 대한 권리[...] 수화를 사용하는 사람과 장애로 인해 통역 또는 번역 지원이 필요한 사람의 권리는 법률에 의해 보장된다.[21]

아이슬란드

아이슬란드 수화는 2004년 교육에서 법으로 인정되었다.

이 국가 커리큘럼 가이드는 처음으로 아이슬란드어가 아닌 학생들을 위한 아이슬란드어 특별 교육에 관한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청각장애 학생을 위한 아이슬란드어 특별교육과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교육에 관한 새로운 조항이 있다. 이주민과 청각장애인의 아이슬란드어 교육목표와 수화교육목표는 의무학교에서 언어예술(아이슬란드어)의 과목영역에 속한다.[...]수화는 청각장애아동의 언어, 성격, 사고력 발달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중요하다. 청각장애인들에게 수화는 지식의 가장 중요한 원천이며, 그들이 아이슬란드 문화와 청각장애인들의 문화에 참여하는 길이다. 수화는 모든 학교 일과 학생들의 삶과 일에 매우 중요하다.[22]

인도 아대륙

인도파키스탄 수어(IPSL)는 공식적으로 인식되지 않지만 인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23]

아일랜드

2016년 청각장애인 커뮤니티 법안을 위한 아일랜드 수어 인정 법안은 2017년 12월 14일 아일랜드 의회를 통과했고, 마이클 D 대통령이 법률로 서명했다. 그 해 12월 24일 [24][25]히긴스야 2017년 이전에는 청각장애인이 ISL 통역사를 가질 수 있는 자동 권리는 형사재판 절차 외에는 없었다. ISL 인정은 많은 법적 권리를 제공하고 교육, 의료, 미디어, 은행을 포함한 공공 서비스에 더 나은 접근을 제공한다.[26][27][28]

이탈리아

이탈리아 수화(Lingua dei Segni Italiana, LIS)는 2021년 5월 19일에 인식되었다. LIS 인식 반대론자들은 문법이 부족해서 언어가 아니라고 하지만, 문법은 연구되어 왔다.[29]

케냐

2010년 케냐 헌법케냐 수화를 인정하고 있으며, 제7.3b조에 따르면 케냐가 개발과 사용을 촉진할 것이라고 되어 있다. KSL은 120조 제1항에 "의회의 공용어는 키스와힐리, 영어 및 케냐 수어이며 의회의 업무는 영어, 키스와힐리, 케냐 수어로 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30]

몰타

몰타 수어(말타어: 링와 타스-신잘리 말티자(LSM)는 2016년 3월 몰타 의회에서 공식 인정받았다.[31]

멕시코

멕시코 수어(lengua de sengas mexicana, 또는 LSM)는 2003년에 "국가 언어"로 선언되었고, 공공 청각 장애 교육에서 사용하기 시작했다.[32] 멕시코청각장애 교육은 구술(말하기와 입읽기)에 초점을 맞췄고 LSM에서는 수업을 진행하는 학교가 거의 없었다.[33]

네팔

네팔 수화네팔 청각장애인의 공용어로 인식되지는 않았지만 네팔법을 유엔 장애인권리협약에 준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네덜란드

Roelof van Laar가 NGT를 인식하기 위한 2016년 법안을 설명했다.

네덜란드 수어(Dutch: Nederlandse Gebarentaal, 또는 NGT)는 2020년에 법으로 인정되었다. 기독교연합당은 2010년 NGT를 인정하는 법안을 상정했지만 통과되지 않았다.[34] 2016년 10월 하원의원 Roelof van Laar (Labour Party)와 Carla Dik-Faber (Christian Union)는 NGT를 공식 언어로 합법적으로 인정하는 법안을 발의했다.[35] 2019년 9월(반라르 탈당 후) 아트제 쿠이켄(민주당) 의원이 법안을 이어받았고, 제시카아이즈(민주당 66명) 의원이 쿠이켄과 딕 파브르에 합류했다.[36][37] 이달 말 국무회의 자문본부는 법안 본문이 여전히 너무 모호하고 어떤 문제를 다루려고 하는지, 어떻게 다루려고 하는지를 명확히 하지 않았다며 법안에 언급된 '농아문화'도 법적으로 인정받을 필요가 있는지, 그렇다면 그 용어가 무엇을 수반하는지 물었다.[38]

뉴질랜드

뉴질랜드 수화는 2006년 4월 6일 뉴질랜드 의회에서 법안이 통과되면서 영어와 마오리족에 가입하면서 세 번째 공용어가 되었다.[39]

2부 cl 6: 뉴질랜드 수화는 뉴질랜드의 공용어로 선언된다.

북마케도니아

마케도니아 수어(마케도니아어: ммаеоо,,,,,,,,,,,,,,,ized, roman, 로마자화: Makedonski znakoven jazik)는 공식적으로 "사람간의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방식"으로 인정되어 북마케도니아에서는 누구나 연구할 수 있도록 하는 법률에 의해 규제되고 있다. 법률은 또한 요청에 따라 통역자에게도 권리를 보장한다.[40]

북아일랜드

영국어아일랜드 수화2004년 북아일랜드 사무국에 의해 공용어로 인정되었다.[41]

노르웨이

노르웨이 수화는 에 의해 교육용으로 인정된다.[citation needed]

파푸아 뉴기니

파푸아 뉴기니 수화2015년 5월 이 나라의 네 번째 공용어가 되었다.[42]

필리핀

공화국법 제11106호 제3조는 필리핀 수화를 청각장애인이 관련된 모든 거래와 청각장애인의 교육언어 등에서 공식적인 의사소통의 매개체로 인정, 지원, 홍보한다고 명시하면서 필리핀 수화국가의 수어로 선포했다.[43][44]

페루

페루는 5월 21일 공식 가제트에 게재된 법에 의해 페루 수화공식적으로 인정했다. (다이아리오 오피셜 엘 페루아노[1]

포르투갈

74, 2(h): 교육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국가는 문화의 표현이자 교육의 접근과 기회균등을 위한 도구로서 포르투갈 수화를 보호·발전시킬 책임을 진다.[45]

러시아

러시아 수어(러시아어: руру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и Russki Zestovi Yazyk)은 법적 인정에 한계가 있다. 연방 장애인 보호법에 따르면, 그것은 개인간 의사소통에만 사용되는 언어로 간주되며, 국가 지원은 제공되지 않는다.[citation needed]

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 수화는 1995년에 법으로 인정되었다.[46]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공 수어(SASL)는 국가 헌법에 의해 언어로 구체적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수어(sign language)라는 문구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47] 2009년 11월 13일, 헌법심사위원회는 남아공의 12번째 공용어로 SASL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회의를 가졌다.[48]

대한민국.

2015년 12월 31일 '한국 국회는 한국 수화를 한국의 공용어 중 하나로 인정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고 밝혔다.[42]

스페인

발렌시아

제13조 제4항 : 일반인은 청각장애인의 수어(교육에 사용되어야 한다)를 보호와 존중을 받아 사용하게 한다.[49]

스리랑카

2010년 9월 23일 보고서에 따르면 스리랑카 수화가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50]

태국.

태국 수화는 1999년 8월 17일 영국 왕립 태국 정부를 대표하여 교육부총리가 서명한 결의안에서 "태국 청각장애인의 국가 언어"로 인식되었으며, 이는 청각장애인의 가정과 학교에서 언어 학습권을 확약하였다.[51] 찰스 레일리의 1999년 10월 13일 보고서에 따르면, "농아학교에서 청각장애인을 교사 및 수화 강사로 고용하고, 고등교육에서 청각장애인을 위한 통역사를 제공하는 등 구체적인 조치는 정부에 의해 취해질 것"[51]이라고 한다.

터키

터키 수화는 이 나라의 청각장애인들이 사용한다. 2005년 7월 1일, 터키 국회는 수화를 지칭하는 개정된 장애법(5378호)을 제정하였다. 15번 법에 따르면, 수화는 청각장애 교육에 사용되도록 되어 있고, 30번 법은 청각장애인에게 수어 통역을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표준화된 수화를 개발하는 것에 대해 의회에서 논의가 있었다.[52]

우간다

1995년 10월 8일, 우간다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 개발을 촉진하는 새로운 헌법을 채택했다.[53] 우간다 수화는 지정되지 않았다.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우간다 전국농아인협회 전무이사였던 25세의 알렉스 은데지는 1996년 의회에 선출되었다.[54]

XXIV(iii). 국가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 개발을 촉진해야 한다.

National Objectives and Directive Principles of State Policy, Constitution of Uganda

미국

연방정부는 어떤 언어도 말하거나 서명한 것을 공용어로 인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몇몇 미국 대학들은 외국어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미국 수화를 인정한다.[55]

우루과이

우루과이는 공식언어는 없지만 우루과이 수어(스페인어: Lengua de Sengua uruguaya, 또는 LSU)는 2001년 7월 10일 청각장애인의 언어로 법적으로 인정받았다.[56]

2008년 법률 18.437(레이 제너럴 드 에듀파시온, 2008년 12월 12일)에서 LSU는 우루과이 시민의 모국어(우루과이 스페인어, 우루과이 포르투갈어)로 간주된다. Comision de Politicas Linguristicas en la Educacion Publica (공교육언어정책위원회, Administrativeacon Nacional de Education Publica 또는 ANEP의 일부)의 정책 문서에서는 LSU를 청각장애 교육의 주요 언어가 될 것을 제안한다.[full citation needed]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 수화는 1999년 11월 12일 국가 헌법에 인정되었다.[citation needed]

짐바브웨

"수화 언어"로 분류된 짐바브웨 수화는 2013년 짐바브웨 헌법에 "수화 언어"로 인정되어 있다.[57]

참조

  1. ^ "The Legal Recognition of National Sign Languages WFD". Retrieved 1 June 2021.
  2. ^ De Meulder, Maartje (2015). "The Legal Recognition of Sign Languages". Sign Language Studies. 15 (4): 498–506. doi:10.1353/sls.2015.0018.
  3. ^ 사라 C. E. Batterbury, 2012년 언어 정책 11:253–272.
  4. ^ 크라우스네커, 베레나(2006) 타우브스툼 bis geberdensprachig. 죽으시오. 게베르덴스프라흐메인샤프트 소지올랭귀스트리스처 퍼스펙티브. Verlag Drava.
  5. ^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7 September 2006. Retrieved 7 May 2006.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6. ^ "... I'agit d'une 정찰 사관후보생들 d'execution généale permettant an chaque ministre consumeré de prendre les arrétés d'appplication 관련 de ses compenses..."
  7. ^ "Decreet houdende de erkenning van de Vlaamse Gebarentaal (Decree on the recognition of Flemish Sign Language)" (PDF). Die 'erkenning' omvat hierbij de drie betekennissen van het woord: (1) de Vlaamse overheid bevestigt de juistheid van het feit dat de Vlaamse Gebarentaal de taal is van de Dovengemeenschap in Vlaanderen, (2) de Vlaamse overheid aanvaardt het bestaan van die taal ook op juridisch vlak en behandelt ze als dustanig en (3) de Vlaamse overheid uit haar waardering voor deze taal.
  8. ^ 2002년 4월 24일 법.
  9. ^ 브라질령5626, 2005년 12월 22일.
  10. ^ "Accessible Canada Act S.C. 2019, c. 10". Canadian Ministry of Justice. 21 June 2019. Retrieved 16 April 2020.
  11. ^ "Inuit sign language makes debut in Nunavut legislature - CBC News".
  12. ^ a b c Davie, Emma (31 December 2019). "How the deaf community is preserving Maritime Sign Language". CBC News.
  13. ^ Marsh, James H. (1999). The Canadian Encyclopedia. Toronto, Ontario: McClelland & Stewart Inc. p. 640. ISBN 9780771020995. Retrieved 16 April 2020.
  14. ^ 레이 20422 BCN 입법아시온 칠레나, 2010년
  15. ^ "ZÁKON ze dne 11. června 1998 o znakové řeči a o změně dalších zákonů - Sbírka zákonů - Nakladatelství Sagit, a.s" (in Czech). Sagit.cz. 1 December 2000. Retrieved 11 September 2018.
  16. ^ "The Danish Sign Language Council — Dansk Sprognævn". www.dsn.dk.
  17. ^ "Published by: EUD". Policy.hu. Retrieved 11 September 2018.
  18. ^ "European Parliament Resolution on Sign Languages 1988".
  19. ^ "Resolution on sign languages for the deaf". Eur-lex.europa.eu. Retrieved 11 September 2018.
  20. ^ 수화 및 전문 수화 통역관
  21. ^ 17 § Oikeus Omaan Kiean kiean ja kulttuuriin [...] Viittomakielte kaytttevien tulkitsi turkitsemisja kénösapua tarvitsevien oien turvataan lailla. (핀란드 법무부: 수오멘 페루스터슬라키)
  22. ^ I aalnahmskra grunnskola가 폭발하여 fyrsta sinn이 settvi um séestaka islensenlu fyrir nemendur með Annað moðmahl en islensku. 아인니그 분출 나르누사 오그 타흐나르스켄슬루 피르나르루사 오그 타흐나르스켄슬루 피르나르라루사. Markmið fyrir íslenskukennslu nýbúa og heyrnarlausra og táknmálskennslu falla undir námssvið íslensku í grunnskóla. [...] Táknmál hefur grundvallarþýðingu fyrir þroska máls, persónuleika og hugsunar heyrnarlausra nemenda. Hjah heyrnarlausum er Taknahlið mikilvægasta uppspretta ekkingar og ata þtat i i slenskri menningu og menningu og heyrnarlaura. Táknmálið hefur mikla þýðingu fyrir alla vinnu í skólanum og fyrir líf og starf nemendanna.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Culture: Aðalnahmskrah Grunnskola: Almennur hluti Archived 2007-09-27 Wayback Machine)
  23. ^ Evans, Nicholas. Reciprocals and Semantic Typology. Amsterdam & Philadelphia: John Benjamins Publishing. p. 95. ISBN 9789027206794. Retrieved 18 April 2020.
  24. ^ "Irish Sign Language given official legal recognition". The Irish Times. Retrieved 16 January 2018.
  25. ^ "President signs Irish Sign Language bill into law". RTE.ie. 24 December 2017. Retrieved 16 January 2018.
  26. ^ "Dáil passes 'historic' sign language legislation". RTE.ie. 14 December 2017. Retrieved 14 December 2017.
  27. ^ "Irish Sign Language set to be given official status - Independent.ie". Independent.ie. Retrieved 14 December 2017.
  28. ^ "Irish sign language set to receive official recognition". Breaking News. 14 December 2017. Retrieved 14 December 2017.
  29. ^ Michle Brunelli: Grammatica della LIS 2011-07-22 웨이백 머신보관
  30. ^ "Constitution of Kenya, 2010". Kenya Law. Judiciary of Kenya. Retrieved 16 April 2020.
  31. ^ "Parliament gives Maltese sign language official recognition".
  32. ^ 레이 연방 파라 라스 페르소나스 콘 디스카피다드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원본 2015-06-16
  33. ^ 칼라 포로트, 다이앤 델링거, 앤디 이토우, 스티브 파크허스트(1992년, 1998년과 2001년 개정) 언어로서의 멕시코 수화의 정체성.오리지널. 보관됨. 여름 언어학 연구소.
  34. ^ "Erken Nederlandse gebarentaal als officiële taal" (in Dutch). Algemeen Dagblad. 3 October 2016. Retrieved 17 April 2020.
  35. ^ Beila Heilbron (3 October 2016). "PvdA en CU: erken gebarentaal als officiële taal" (in Dutch). NRC Handelsblad.
  36. ^ Attje Kuiken & Carla Dik-Faber (27 September 2019). "Voorstel van wet van de leden Van Laar en Dik-Faber ter erkenning van Nederlandse gebarentaal (Wet erkenning Nederlandse gebarentaal)" (PDF). Brief van de leden Kuiken en Dik-Faber (in Dutch). Senate of the Netherlands. Retrieved 17 April 2020.
  37. ^ Linda de Groot (5 September 2019). "Initiatiefwet: Nederlandse Gebarentaal erkennen als officiële taal". Nieuwsuur (in Dutch). NOS. Retrieved 17 April 2020.
  38. ^ "Samenvatting advies initiatiefwetsvoorstel erkenning Nederlandse gebarentaal" (in Dutch). Advisory Division of the Council of State. 30 September 2019. Retrieved 17 April 2020.
  39. ^ 맥키, R. 2007 눈알이 쏙쏙! 제3 공용어-뉴질랜드 수화. 뉴질랜드학 저널 NS 4-5.129-148
  40. ^ Закон за употреба на знаковниот јазик, Службен весник на Република Македонија, број 105, 21 август 2009, Скопје
  41. ^ "Paul Murphy announces recognition for sign language". Northern Ireland Office. 30 March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May 2011. Retrieved 22 June 2008. I am pleased to announce formal recognition for both British and Irish Sign Languages in Northern Ireland.
  42. ^ a b "Two Sign Languages Given Official Language Status". 23 February 2016.
  43. ^ "The Filipino Sign Language Act". Article 3, Republic act No. 11106 of 30 October 2018 (PDF). Official Gazette. Government of the Philippines.
  44. ^ Genalyn Kabiling (12 November 2018). "Filipino Sign Language declared as nat'l sign language of Filipino deaf". Manila Bulletin. Retrieved 12 November 2018.
  45. ^ Na realizasang da politica de Ensino incumbe ao Estado proteger e valorizar a lingua gentual portuguesa, inquisanto e cultural cultural e acesso a a a a e eduitu. (Culeia da Republica: Constitutuizang da republica portuguesa 2007-08-09 Wayback Machine보관
  46. ^ Zahkon o posunkovej rechi nepochujuch os osb 149/1995 Sb (청각장애인의 수화법 149/1995).
  47. ^ 제1장 - 창립 규정(1996) 오리지널. 웨이백 머신에 2011-06-29 보관
  48. ^ "Language issues: Proposed recognition of South African Sign Language as official language, Sepedi/ Sesotho sa Leboa issues: Briefings by Deaf SA, CRL Commission, Pan South African Language Boar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May 2010. Retrieved 19 May 2020.
  49. ^ La Generalitat garantira de l's de la llengua de signes priapia de les persones sordes, que haura de ser objecte d'ensenyament, protechi i i we respecte. (Corts Valencianes: Estatut d'Automomia de la Communitat Valenciana Archived 2007-09-26, 웨이백 머신에 보관)
  50. ^ "Sign language recognized in Sri Lanka". Colombo Page. Colombo, Sri Lanka. 23 September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September 2010.
  51. ^ a b "Archive: On The Green". Gallaudet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March 2016. Retrieved 20 May 2020.
  52. ^ "Agenda Item: People with Disabilities"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4 April 2007. Retrieved 20 May 2020.
  53. ^ WFD 뉴스, 1996년 4월.
  54. ^ "Alex Ndeezi". Members of the 10th Parliament. Retrieved 20 May 2020.
  55. ^ Wilcox, Sherman. "Universities That Accept ASL in Fulfillment of Foreign Language Requirements". University of New Mexico.
  56. ^ 레이 번호 17.378. 2001년 7월 10일 우루과이의 의회Lengua de Sennas Uruguaya como la Lengua natural de las personas y sordas y de comunidades en do el el la Republica.
  57. ^ "The following languages, namely Chewa, Chibarwe, English, Kalanga, Koisan, Nambya, Ndau, Ndebele, Shangani, Shona, sign language, Sotho, Tonga, Tswana, Venda and Xhosa, are the officially recognised languages of Zimbabwe." (Chapter 1, section 6, Constitution of Zimbabwe (final draft) Archived 2 October 2013 at the Wayback Machine).

원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