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릭스 과타리

Félix Guattari
펠릭스 과타리
펠릭스 과타리
태어난
피에르펠릭스 과타리

(1930-03-30) 1930년 3월 30일
죽은1992년 8월 29일 (1992-08-29) (62세)
모교파리 대학교
시대20세기 철학
지역서양철학
학교대륙철학, 후기마르크스주의, 프로이토-마르크스주의, 정신분석학, 후기구조주의,[1][2]
기관파리 8세 대학교
주요 관심사
정신분석학, 마르크스주의 철학, 정치철학, 언어철학, 기호학[1]
주목할 만한 아이디어
조립, 희망-생산, 탈영토화, 생태학, 정신분열[1] 분석

Pierre-Félix Guattari (/ ɡw əˈt ɑː트리/gw ə-TAR-ee, ɛʁ ɡ와타 ʁ디(, 1930년 3월 30일 ~ 1992년 8월 29일)는 프랑스의 정신분석학자, 정치철학자, 기호학자, 사회운동가, 각본가였습니다. 그는 질 들뢰즈정신분열 분석을, 아른 æ스와 생태학을 공동으로 설립했으며, 들뢰즈와의 문학 및 철학적 협력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그들의 이론적 작업인 자본주의와 정신분열의 두 권인 반 오이디푸스(1972)와 천 의 고원(1980)으로 가장 알려져 있습니다.

전기

라보르드 진료소

과타리는 프랑스 파리 북서쪽의 노동자 계급 교외빌뇌브레사블롱에서 태어났습니다.[3] 그의 아버지는 공장장이었고, 그는 10대 때 트로츠키주의 정치 운동에 종사하다가 1950년대 초 프랑스의 정신분석학자 자크 라캉 밑에서 공부하고 훈련했습니다.[4] 그 후, 그는 라캉의 제자인 정신과 의사 장 우리의 지시로 평생을 라보르데의 실험적인 정신과에서 일했습니다. 그는 과타리의 고등학교 선생님이었던 우리의 형 페르낭드의 제안으로 루아르 지역의 사우메리에 있는 사설 정신과 진료소에서 우리를 처음 만났습니다. 과타리는 설립된 지 2년 후인 1955년에 우리를 따라 라보르드로 갔습니다.[5] 라 보르도는 철학, 심리학, 민족학, 사회복지학의 많은 학생들 사이에 대화의 장이었습니다.

La Borde에서 개발된 한 가지 특히 새로운 방향은 고전적인 분석가/분석가의 중단과 그룹 치료의 공개적인 대립을 지지하는 쌍으로 구성되었습니다.실천은 프로이트 학파의 개인주의적 분석 방식과 대조적으로 복잡한 상호작용 속에서 여러 주체들의 역동성을 연구했습니다. 그것은 과타리를 광범위한 지적, 문화적 영역(철학, 민족학, 언어학, 건축학 등)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철학적 탐구와 정치적 참여로 이끌었습니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1955년부터 1965년까지, 과타리는 트로츠키주의 신문인 라보이 코뮤니스트(La Voie Communiste)를 편집하고 기고했습니다.[6] 그는 이탈리아 자치주의자들뿐만 아니라 반식민주의 투쟁을 지지했습니다. Guattari는 1960년대 초에 많은 정신과 의사들을 모아 1965년 11월에 기관 심리치료 협회를 만든 G.T.P.S.I.에도 참여했습니다. 그는 다른 무장세력들과 함께 철학, 정신분석, 민족학, 교육, 수학, 건축 등에 관한 연구를 하는 F.G.E.R.I(기관연구그룹연합)와 그 리뷰인 Recherche(연구)를 설립했습니다. F.G.E.R.I.는 젊은 히스패닉계를 위한 그룹, 프랑스-중국 우정 (민중공동체 시대), 알제리베트남 전쟁에 대한 반대 활동, M.N.E.F. 참여, UN.E.F., 정신과 남성 간호사들을 위한 심리학적 학술지원 사무소(B.A.P.U.), 대학 실무그룹(G.T.U.)의 조직, 그리고 교육활동방법에 대한 교육센터(C.E.M.E.A.)의 교육과정 개편, 1958년 간호사 협회(Amicales d'infirmiers)의 설립, 건축에 대한 연구와 "학생과 젊은 노동자"를 위한 주간 병원 건설 프로젝트.

1967년, 그는 OSARLA(중남미 혁명에 대한 연대와 원조 조직)의 창립자 중 한 명으로 나타났습니다. 1968년, Guattari는 Daniel Cohn-Bendit, Jean-Jacques Lebel, Julian Beck을 만났습니다. 그는 1968년 5월 프랑스의 대규모 시위에 참여했고, 3월 22일부터 시작했습니다. Guattari가 Vincennes 대학에서 Gilles Deleuze를 만난 것은 1968년 이후였습니다. 그리고 나서 그는 그 책의 서문에서 미셸 푸코가 "비파시스트적인 삶에 대한 소개"라고 묘사한 안티 오이디푸스 (1972)의 기초를 닦기 시작했습니다. 1970년에 그는 기관 형성 연구 및 연구 센터(Center for the Study and Research of Institutional Formation [fr])를 설립하여 Rechches 저널에서 탐구된 접근법을 개발했습니다. 1973년, Guattari는 동성애에 관한 Recherches를 발행한 것에 대해 "공공의 품위에 대한 모욕"을 저지른 혐의로 재판을 받고 벌금형을 받았습니다.[7] 1977년, 그는 1980년대에 그의 "생태학"으로 환경 운동에 참여하기 전에 "새로운 자유의 공간"을 위한 CINEL을 만들었습니다.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파리페레 라체즈 묘지에 있는 과타리의 무덤

Guattari는 자본주의 하에서 생산된 주요 상품을 주체성 그 자체로 보았습니다.[8]: 254 과타리는 소비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상품과 경험의 지속적인 구매를 통해 만족할 수 있는 새로운 욕구를 가진 소비주체를 배출하는 것이 전제조건이라고 말합니다.[8]: 254

Guattari는 그의 마지막 인 Chaosmosis(1992)에서 "어떻게 그것을 생산하고, 수집하고, 풍부하게 하고, 그것을 돌연변이 가치의 우주와 양립시킬 수 있도록 영구적으로 재창조할 것인가?"라는 주관의 질문으로 돌아갔습니다. 이 고민은 정신분석학과 횡단성(1957년부터 1972년까지의 논문집)부터 겨울의 해(1980년-1986년), 정신분석학 지도(1989년)에 이르기까지 들뢰즈와의 공동작업, 철학이란 무엇인가(1991년)에 이르기까지 그의 모든 작품에 걸쳐 진행됩니다. 카오스모시스에서 Guattari는 (1) 물질적, 에너지적 및 기호적 플럭스, (2) 구체적이고 추상적인 기계적 , (3) 가치의 가상 우주 및 (4) 유한한 실존 영역의 네 가지 함수 측면에서 주관성을 분석할 것을 제안합니다.[9] 이 계획은 Guattari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주관성 생산에 관여하는 구성 요소의 이질성을 파악하려고 시도합니다. 여기에는 기호적 구성 요소뿐만 아니라 "a-significing semiological 차원"(이들이 가질 수 있는 모든 기호적 기능과 병렬적 또는 독립적으로 작동함)도 포함됩니다.[10]

죽음과 사후 출판물

1992년 8월 29일, 요르고스 벨초스가 진행한 그리스 TV 인터뷰 2주 후,[11] 과타리는 심장마비라보르드에서 사망했습니다.[12][13]

1995년, 과타리의 카오스오피의 사후 발표는 실험적인 라 보르데 클리닉의 책임자로서의 과타리의 작업과 들뢰즈와의 협력에 관한 에세이와 인터뷰를 출판했습니다. 이 컬렉션에는 들뢰즈가 공동 서명한 (그는 반 오이디푸스와 천의 고원을 공동 집필한) "기계를 원하는 기계를 위한 대차대조표 프로그램"과 "모두 파시스트가 되고 싶어 한다"와 같은 에세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정신분석학을 발전시키고 분석에 대한 보다 실험적이고 집단적인 접근법을 추구하는 과정인 "스키조 분석학"에 대한 Guattari의 이론을 소개합니다.

1996년, 과타리의 수필, 강의, 인터뷰의 또 다른 모음집인 "Soft Sverversion"이 출판되었는데, 이 책은 1980년대의 그의 사상과 활동의 전개를 추적합니다. 예술, 영화, 청소년 문화, 경제, 권력 형성에 대한 그의 분석은 "미세 정치", "시조 분석", "여성 되기"와 같은 개념을 발전시킵니다." 포스트 미디어 시대에 세계 자본주의(그가 "통합 세계 자본주의"라고 부르는)의 표준화 및 균질화 과정에 대해 주체성을 해방하고 정치적, 창조적 저항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예를 들어, 그는 사회적 관행(욕망과 제도의 표현에 일정한 유연성이 있는 무의식적인 경제)에 대한 일정 수준의 관찰을 구분하고, 실질적으로 분리된 세계에서 정의하기 위해 "미세 정치"라는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다른 사람들의 담론에 관심을 갖기 위해 일하는 사람들"[14]의 개입 분야

작동하다

영어로 번역된 작품

  • 들뢰즈, 질레스 그리고 펠릭스 과타리. 1972. Anti-Oedipus. 트랜스. 로버트 헐리, 마크 시엠, 헬렌 R 레인. 런던과 뉴욕: 연속체, 2004. 자본주의와 정신분열증 1권. 2권. 1972-1980. 로안티 오이디페의 트랜스. 파리: 레 에디션 드 미뉴트. ISBN0-8264-7695-3.
  • 1975. 카프카: 마이너 문학향하여. 트랜스. 다나 폴란. 문학의 이론과 역사 30. 미니애폴리스와 런던: U of Minnesota, 1986. 카프카의 트랜스: 문학적인 광산을 붓습니다. 파리: 레 에디션 드 미뉴트. ISBN 0-8166-1515-2.
  • 1980. 천 개의 고원. 트랜스. 브라이언 마스미. 런던과 뉴욕: 연속체, 2004. 자본주의와 정신분열증 2권. 2권. 1972-1980. Mille plateaux의 트랜스. 파리: 레 에디션 드 미뉴트. ISBN 0-8264-7694-5.
  • 1991. 철학이란 무엇인가? 트랜스. 그레이엄 버셸과 휴 톰린슨. 런던과 뉴욕: 베르소, 1994. Qu'est-cequela 철학의 트랜스? 파리: 레 에디션 드 미뉴트. ISBN 0-86091-686-3.
  • 1979. 기계의 무의식: 스키조 분석의 에세이. 트랜스. 테일러 애드킨스.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Semiotext(e), 2011. L'inconcient mechinque의 트랜스: 에사이쉬조 분석. 파리: 리처치. ISBN 2-8622-201-08
  • 1977. 분자혁명: 정신의학과 정치학. 트랜스. 로즈마리 쉬드. 하몬즈워스: 펭귄, 1984. ISBN 0-14-055160-3.
  • 1989a. 정신분석학 지도집. 트랜스 앤드류 고피. 런던과 뉴욕: Bloomsbury, 2013. 지도 제작 정신분석학의 트랜스. 파리: Editions Galilée ISBN 978-2718603490
  • 1989b. 3대 생태학 트랜스. 이안 핀다르와 폴 서튼. 런던과 뉴욕: 연속체, 2000. 레트로이 에콜로지스의 트랜스. 파리: 갈릴레 판본. ISBN 1-84706-305-5.
  • 1992년 카오스모시스 에티코-미학적 패러다임. 트랜스. 폴 베인스와 줄리안 페파니스. 블루밍턴과 인디애나폴리스: 인디애나 UP, 1995 카오스모세의 트랜스. 파리: 갈릴리를 편집합니다. ISBN 0-909952-25-6.
  • 1995. 혼돈철학(Texts and Interviews 1972~1977). 에드 실베레 로트링거 기호 텍스트(e) 외부 에이전트 서버. 뉴욕: 기호 텍스트(e). ISBN 1-57027-019-8.
  • 1996. Soft Subversion (Texts and Interviews 1977 ~ 1985). 에드 실베레 로트링거 트랜스. 데이비드 엘. 달콤하고 쳇 위너. 기호 텍스트(e) 외부 에이전트 서버. 뉴욕: 기호 텍스트(e). ISBN 1-57027-030-9.
  • 1996. The Guattari Reader. 에드 게리 제노스코 블랙웰 독자 여러분.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 주: 블랙웰. ISBN 0-631-19708-7.
  • 2006. 반 오이디푸스 논문. Ed. Stéphane Nadaud. 트랜스. Kélina Gotman. 뉴욕: 기호 텍스트(e). ISBN 1-58435-031-8.
  • 2015. 비행선: 또 다른 가능성의 세계를 위해. 블룸스버리 학술원. ISBN 978-147250-735-8.
  • 2015. 기계 에로스: 일본에 대한 글. 에드 개리 지노스코와 제이 헤트릭. 유니보컬 출판. ISBN 978-193756-120-8.
  • 2015. 정신분석과 횡단성: 텍스트와 인터뷰 1955-1971. MIT 출판부. ISBN 978-158435-127-6
  • 과타리, 펠릭스, 루이스 이나시오 룰라실바. 2003. 보스 없는 파티: 과타리와 룰라로부터 반자본주의에 대한 교훈 에드 게리 제노스코 아비터출판사입니다. ISBN 978-189403-718-1.
  • 과타리, 펠릭스, 토니 네그리. 1985. 우리와 같은 공산주의자들: 새로운 자유의 공간, 새로운 동맹의 노선. 트랜스. 마이클 라이언. 기호 텍스트(e) 외부 에이전트 서버. 뉴욕: Semiotext(e), 1990. 누벨의 트랜스. 드 리버테. 파리: 베돈. ISBN 0-936756-21-7.
  • 과타리, 펠릭스, 수엘리 롤닉 1986년 브라질의 분자 혁명. 뉴욕: Semiotext(e), 2008. 마이크로폴리티카의 트랜스: 카토그라피아데세조. ISBN 1-58435-051-2.

번역되지 않은 작품

참고: 이 작품들에서 발견된 많은 수필들은 개별적으로 번역되었으며 영어 모음집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 레볼루션 몰레쿨레어(1977, 1980). 1980년 버전(에디션 10/18)은 1977년 버전과 상당히 다른 에세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레자네 다히버, 1980-1985 (1986).
  • 언 어매드'UIQ. Scenario는 Graem Thomson & Silvia Maglioni의 시각 에세이를 편집하고 편집했습니다(Paris, Editions Amsterdam, 2012). 이 에디션에는 다양한 스크린플레이와 미발표 아카이브 선택사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타 협업:

  • L'intervention institution nelle (Paris: Petite Bibliothèque Payot, n. 382 - 1980). 제도 교육학에 관해. 자크 아르도이노와 G. 라파사드, 제라르 멘델, 르네 루로.
  • Pratique de' institution nel et politicalique (1985). 장 우리랑 프랑수아 토스켈스랑.
  • 데시데리오 에리볼루지오네. 인터비스타 a cura di Paolo Bertetto (밀란: Squilibri, 1977). 프랑코 베라르디(비포)와 파올로 베르테토와의 대화.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a b c d Lecercle, Jean-Jacques (October 2012). Ducange, Jean-Numa; Sibertin-Blanc, Guillaume (eds.). "Machinations deleuzo-guattariennes". Actuel Marx. Paris: P.U.F. 52 (2): 108–120. doi:10.3917/amx.052.0108. eISSN 1969-6728. ISBN 978-2-13-059331-7. ISSN 0994-4524 – via Cairn.info.
  2. ^ 사이먼 초트, 탈구조주의를 통한 마르크스: Lyotard, Derrida, Foucault, Deleuze, Continuum, 2010, ch. 5.
  3. ^ Guattari (1989, ix).
  4. ^ Shatz, Adam (2010). "Desire was everywhere. Review of Dosse F. 2010, 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 Intersecting Lives. Columbia, translated by Deborah Glassman". London Review of Books. 32 (24).
  5. ^ Robcis, Camille (2021). Disalienation. Politics, Philosophy and Radical Psychiatry in Postwar Franc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75–77.
  6. ^ Guattari (1989, x).
  7. ^ Massumi, Brian (1993). A User's Guide to Capitalism and Schizophrenia: Deviations from Deleuze and Guattari. Cambridge, Massachusetts: MIT Press. p. 144. ISBN 0-262-63143-1.
  8. ^ a b Simpson, Tim (2023). Betting on Macau: Casino Capitalism and China's Consumer Revolution. Globalization and Community series.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ISBN 978-1-5179-0031-1.
  9. ^ Guattari (1992, 124).
  10. ^ Guattari (1992, 4).
  11. ^ "Entretien avec Félix Guattari à la télévision grecque Archive at the Wayback Machine 2016-03-09"(그리스 텔레비전에서의 Felix Guattari 인터뷰), Revue Chimères, 2009년 2월 4일 (프랑스어)
  12. ^ "부고: 1992년 8월 31일 인디펜던트, 제임스 커크업펠릭스 과타리
  13. ^ 1992년 9월 3일, 뉴욕 타임즈, 앨런 라이딩의 "정신분석학자이자 철학자인 펠릭스 과타리, [sic] Is Dead 62"
  14. ^ Guattari, Félix; Rolnik, Suely (2007). Micropolitiques (in French). Empêcheurs de Penser en Rond. ISBN 978284671158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