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학문의 동쪽 확산

Eastward spread of Western learning

The eastward spread of Western learning (simplified Chinese: 西学东渐; traditional Chinese: 西學東漸) refers to the spread of Western technologies and ideologies in China since the late Ming dynasty, which is contrast with the westward spread of Eastern learning (simplified Chinese: 东学西传; traditional Chinese: 東學西傳) that introduced Chinese technologies and서양에 [1][2][3]대한 이데올로기

명명

"서양학"이라는 용어는 줄리어스 알레니서양학 요약과 같은 책 제목에서 그들이 [4]: 2 서양에서 가져온 지식을 지칭하기 위해 이 문구를 사용한 중국 예수회 선교사들에 의해 만들어졌다.양치차오에 따르면 서양의 학습은 수학, 기계학, 전기과학, 화학, 음향학, 광학, 천문학, 지질학, 의학, 역사, 지리학, 법률학, 광업, 군사 전략, 지식을 포함한 매우 광범위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청나라 말기부터 중국 연구자들은 서양의 지식이 중국으로 [4]: 3 유입된 과정을 검토하고 상세하게 기술하기 시작했다.1900년대 상하이신문 순보( shun報)는 서양의 영향으로 중국인들의 민족 의식이 부상하고 있음을 묘사하기 위해 '서양학 동향 확산'이라는 용어가 생겨났다.1915년 영윙자서전 '중미에서의 내 삶'을 중국어로 번역해 중국어 제목으로 사용하면서 이 [5]용어가 더욱 대중화됐다.1980년대 이후,[6] 이 용어는 중국에서 서양의 기술과 이데올로기의 확산을 묘사하기 위해 다양한 학술 기사에 자주 등장하고 있다.

역사

예수회 중국 선교단

산업혁명 이전 중국은 세계에서 [7]가장 강력하고 번영한 나라였다.그러나 중국과 서양 문명의 직접적인 접촉은 1600년 예수회 선교사들이 중국에 도착할 때까지 일어나지 않았다.중국 철학, 특히 유교계몽주의 유럽에 다시 불러오는 동안, 이 선교사들은 서양 문명을 중국에 [8]전파하는 선구자들이었다.중국 백과사전 시쿠콴슈에 따르면, 마테오 리치가 쓴 건쿤티이[천지구조설명]는 서양의 학문을 중국에 소개한 첫 번째 책이다.그 사명은 서양학문의 [10]동쪽 확산의 첫 물결로 널리 여겨졌다.

중국에서 기독교가 대중화되면서 서양의 지식이 높아지면서 실천과 증거에 중점을 둔 석학(石學)이 부상했다.석학들은 전통적인 사서오경 [10]외에 수학의 도입으로 학교 교육을 재정비했다.그러나 1717년 [11]청의 강희제중국 의식에 대한 경의의 부족으로 이 종교를 금지하기로 결정하면서 이러한 경향은 중단되었다.그 후, 로마 가톨릭 교회는 [10]1773년 예수회 중국 방문을 취소했다.

청말과 공화정 시대

1840년대 영국의 중국 침략은 중국을 세계에 개방하도록 강요했고, 이것은 서양 학문의 동쪽 확산의 제2의 물결을 이끌었다.두 차례의 아편 전쟁의 실패는 중국 정부가 서양의 학문을 흡수하도록 자극했다.이 과정에서 중국인은 점차 서양학문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점차 서양학문을 채택해 '중국학문은 실체, 서양학문은 응용'이라는 원칙을 세웠다.이 원칙 아래, 서양의 무기와 기계에 더 많은 중점을 두었다.한편, 중국의 선교사들은 서양의 이데올로기를 중국에 계속 전파했다.

1897년 청일전쟁에서 중국이 일본에 패하자 중국의 사상 지도자들은 중국을 제거에서 구할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했고, 이는 서구식 지식을 적극적으로 찾고 흡수하며 정치 개혁을 요구하게 되었다.일본은 그 시기에 서양 학문의 새로운 원천이 되었다.

청나라 말기 이후,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는 중국 유학생들이 이 운동에 기여하여, 특히 신문화운동 [13][14][15]기간 동안 중국 전통문화와 중국의 [12]현대화에 대한 비판에 기여했다.그 운동의 결과물 중 하나는 마르크스주의를 [16]포함한 서구 이데올로기의 중국화이다.중국이 겪은 굴욕의 세기와 메이지 유신의 성공에 대한 반성으로 중국인들은 중국의 전면적인 서구화를 요구하기 시작했고 중국 전통문화를 [7]옹호하는 세력과 논쟁을 벌였다.

레퍼런스

  1. ^ Liu, Dachun (2018). Western Learning Spreads Eastward (in Simplified Chinese). Beijing: China Renmin University Press. ISBN 978-7-300-26325-0. OCLC 1089442491.
  2. ^ Kuang, Shuping (2016-09-21). "Eastward Transmission of Western Learning and the Evolution of Modern Sports in Shanghai, 1843–1949".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History of Sport. 33 (14): 1606–1625. doi:10.1080/09523367.2017.1288106. ISSN 0952-3367. S2CID 152205041.
  3. ^ Koerbs, Christoph (2008), "East and West: China in the Transmission of Knowledge from East to West", in Selin, Helaine (ed.), Encyclopaedia of the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in Non-Western Cultures, Dordrecht: Springer Netherlands, pp. 712–717, doi:10.1007/978-1-4020-4425-0_9121, ISBN 978-1-4020-4425-0, retrieved 2022-06-14
  4. ^ a b Xiong, Yuezhi (2013). The eastward dissemination of western learning in the late Qing dynasty . Volume 1. Singapore: Silkroad Press. ISBN 978-981-4332-79-8. OCLC 834558621.
  5. ^ Yung, Wing (1973). 西学东渐记 (in Traditional Chinese). Taipei: Wen Hai Press Company. OCLC 23471698.
  6. ^ Lu, Di (2017). ""西学东渐"一词始于清末而非民初". China Terminology (1).
  7. ^ a b Li, Yining (2016-05-06). "新文化运动与西学东渐". Guangming Daily – via Peking University.
  8. ^ Cheng, Anne (2014). "Philosophy and the French Invention of Sinology: Mapping Academic Disciplines in Nineteenth Century Europe". China Report. 50 (1): 11–30. doi:10.1177/0009445513516533. ISSN 0009-4455. S2CID 142991146.
  9. ^ Zhao, Yunze; Sun, Ping (2018-05-11). A History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in China. Routledge. ISBN 978-1-317-51931-7.
  10. ^ a b c Lin, Li-Nan; Yang, Yong-Bo (2008). "The Gradual Spread of Western Learning to China and the Change in Practical Education Trend during the Period of Late Ming and Early Qing". Journal of Shenyang Normal University (Social Science Edition). 32 (5): 118–122. doi:10.3969/j.issn.1674-5450.2008.05.032.
  11. ^ Carter, James (2021-02-10). "The Yongzheng Emperor and Christianity in China". SupChina. Retrieved 2022-06-14.
  12. ^ Lin, Ren-Jie Vincent (2016-10-14). "Eastward Expansion of Western Learning: A study of Westernisation of China's modern education by Chinese government overseas-study scholarships".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48 (12): 1203–1217. doi:10.1080/00131857.2016.1182462. ISSN 0013-1857. S2CID 147793292.
  13. ^ Zhitian, Luo (2019-10-02). "Wholeness and individuality: Revisiting the New Culture Movement, as symbolized by May Fourth". Chinese Studies in History. 52 (3–4): 188–208. doi:10.1080/00094633.2019.1654802. ISSN 0009-4633. S2CID 211429408.
  14. ^ Sturniolo, Anthony (2016-08-01). "Influences of Western Philosophy and Educational Thought in China and their Effects on the New Culture Movement". History Theses.
  15. ^ Gao, Yang; Tian, Zhaojian (2016). "Philosophical translation in China and its influence on chinese social development in the last century" (PDF). PORTES, Revista mexicana de estudios sobre la Cuenca del Pacífico. 10 (20): 247–268. ISSN 1870-6800.
  16. ^ Xinyan, Wang (2013-08-01). "The Eastward Spread of Western Learning and the Sinicization of Marxist Philosophy". Social Sciences in China. 34 (3): 5–19. doi:10.1080/02529203.2013.820553. ISSN 0252-9203. S2CID 145333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