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테네그로의 동방 정교회
Eastern Orthodoxy in Montenegro몬테네그로의 동방 정교회는 몬테네그로의 동방 정교 기독교 신자, 종교 단체, 기관 및 단체를 가리킨다. 이 교단은 이 나라에서 가장 큰 기독교 교단이다. 2011년 최근 인구조사에 따르면 몬테네그로 시민 44만6858명(72.07%)이 동방 정교회 기독교인으로 등록했다. 몬테네그로의 동방 정교회 사람들 대다수는 세르비아 정교회의 신봉자다. 1993년 창립 이후 종교 비정부기구(NGO)의 지위를 갖고 있는 비수교적이고 인정받지 못하는 몬테네그린 정교회를 지지하는 비율은 미미하다.[1][2][3]
현재 몬테네그로 메트로폴리탄과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정교회의 영장류는 조아니키제 2세로, 1219년 교구 설립 이후 56대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교구의 자리는 1484년부터 세틴제 수도원이다.
인구통계학
2011년 공식 인구조사에 따르면 몬테네그로의 동방 정교회 기독교인 44만6858명 중 24만6733명(55.22%), 몬테네그로인 세르비아인 17만5052명(39.17%), 기타 민족 25만5073명(5.61%)이 있다.
몬테네그로의 세르비아 정교회
세르비아 정교회의 4개의 에파치(다이오케스)가 몬테네그로 영토를 덮고 있으며, 그 중 2개는 전적으로 국경 안에 있으며, 2개는 부분적으로 다음과 같다.
- 몬테네그로와 리토랄의 메트로폴리탄주(Montenegro and Littoral)는 세틴제 수도원에 자리하고 있다.[4]
- 부딤랴와 니키시치의 에파정부와, 베란 근처의 주르셰비 스투포비에 자리를 잡고,[5]
- Milesheva의 Eparchy of Milesheva는 부분적으로 몬테네그로의 북서 지역, 주로 플레블자 시(Plejvlja Munities)와 이웃 세르비아의 남서 지역을 포괄한다.
- 자음엘제(Zahumlje)와 헤르체고비나(Herzegovina)의 에파제는 몬테네그로의 남서쪽 구석에 있는 헤르체그 노비 시(Herceg Novi Nocity)의 작은 해안 지역도 망라하고 있다.
2006년 세르비아 정교회의 주교회의는 몬테네그로의 영역을 교구가 커버하는 주교로 구성된 몬테네그로를 위한 지역 주교 협의회를 구성하기로 결정했다. 같은 결정으로 몬테네그로 메트로폴리탄과 리토랄은 지역 주교회의 회장으로 임명되었다.[6] 17세기 오스트로그 수도원은 몬테네그로의 종교적 랜드마크이자 가장 인기 있는 순례지다.[7]
독립 교회 및 종교 NGO
근대에는 몬테네그로에서 동방 정교회의 넓은 범위 내에서 일부 독립된 단체와 단체들이 등장하여, 이 나라에서 정식적인 세르비아 정교회의 전통적인 입장에 도전하였다. 대안 종교 운동은 몬테네그로에 분리 독립(자율적) 정교회를 만드는 데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지금까지 대중으로부터 제한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몬테네그린 정교회 (1993)
1993년 미국의 정교회와 세르비아 정교회 수도사 안토니제 아브라모비치(Antonije Abramoviche)가 이끄는 집단은 몬테네그로의 독립을 주창했던 소수 정당인 몬테네그로의 자유동맹으로부터 지지를 받고 당시 몬테네그로 정교회로 알려진 별도의 종교단체를 설립했다.[8] 안토니제는 지지자들에 의해 몬테네그로의 메트로폴리탄으로 선언되었지만 그의 운동은 이렇다 할 지지를 얻지 못했다. 그것은 여전히 인식되지 않았고, 비수상적이라는 딱지가 붙었다. 1996년 미라시 데데이치(Mirash Dedeich)의 뒤를 이어 1990년대 초 동방 정교회에 의해 회고된 논란이 많은 사제, 데데이치는 2006년 달성한 몬테네그로의 국가 독립이 자신의 조직에 대한 보다 폭넓은 정치적 지지를 확보하기를 바라며 MOC의 재편을 시도했다.[9] MOC(1993년)는 2001년부터 종교 NGO로 인정받고 있다.
몬테네그린 정교회(2018년)
2018년 몬테네그로 정교회(MOC) 사제단이 분열해 단체를 결성했다.[10] 이 분할은 분할이 된 후 2018년 6월 이탈리아 정교회(이탈리아어: 치에사 오르토도사 디탈리아(Chiesa Ortodossa d'Italia)는 우크라이나 정교회-키예프 총대주교가 관할하는 이탈리아[citation needed] 정교회의 분열이다.[10][11] MOC-2018 창설은 새로운 기구의 등장이 대중의 큰 관심을 받았기 때문에 몬테네그린 정교회에 도전장을 내밀었다.[12]
참고 항목
참조
- ^ Cattaruza & Michels 2005 페이지 235-253.
- ^ 모리슨 & 차고로비치 2014, 페이지 151-170.
- ^ 얀키치 2016, 페이지 110–129.
- ^ 몬테네그로와 리토랄 주의 공식 페이지
- ^ 부디믈자와 니키시치의 에파제 공식 페이지
- ^ 몬테네그로 정교회 교구협의회 코뮈니케(2010)
- ^ 바타코비치 2005, 페이지 122.
- ^ 2014년 부첸나우 85쪽
- ^ 얀키치 2016, 페이지 120-121.
- ^ a b 베체르네 노보스티(2018): Raskol raskolnika: Crnogorska pravorvasna crkva se podelila u dve frakcije.
- ^ 치에사 오르토도사 디 이탈리아: 컨티네츠지온
- ^ 슬로보단(2019): 노비 라스코롤니카: 사모즈바니 미트로폴리트 네포스토제치 이탤리잔스케 오드레카오 미라샤[영구적 데드링크]
원천
- Aleksov, Bojan (2014). "The Serbian Orthodox Church". Orthodox Christianity and Nationalism in Nineteenth-Century Southeastern Europ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65–100.
- Bataković, Dušan T., ed. (2005). Histoire du peuple serbe [History of the Serbian People] (in French). Lausanne: L’Age d’Homme.
- Buchenau, Klaus (2014). "The Serbian Orthodox Church". Eastern Christianity and Politics in the Twenty-First Century. London-New York: Routledge. pp. 67–93.
- Cattaruzza, Amaël; Michels, Patrick (2005). "Dualité orthodoxe au Monténégro". Balkanologie: Revue d'études pluridisciplinaires. 9 (1–2): 235–253.
- Ćirković, Sima (2004). The Serbs. Malden: Blackwell Publishing.
- Curta, Florin (2006). Southeastern Europe in the Middle Ages, 500–1250.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Džankić, Jelena (2016). "Religion and Identity in Montenegro". Monasticism in Eastern Europe and the Former Soviet Republics. London-New York: Routledge. pp. 110–129.
- Fine, John Van Antwerp Jr. (1994) [1987]. The Late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Late Twelfth Century to the Ottoman Conquest.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Fotić, Aleksandar (2008). "Serbian Orthodox Church".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New York: Infobase Publishing. pp. 519–520.
- Ivić, Pavle, ed. (1995). The History of Serbian Culture. Edgware: Porthill Publishers.
- Jelavich, Barbara (1983a). History of the Balkans: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 Jelavich, Barbara (1983b). History of the Balkans: Twentieth Century.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 Mileusnić, Slobodan, ed. (1989). Serbian Orthodox Church: Its past and present. 7. Belgrade: Serbian Orthodox Church.
- Morrison, Kenneth (2009). Montenegro: A Modern History. London-New York: I.B.Tauris.
- Morrison, Kenneth; Čagorović, Nebojša (2014). "The Political Dynamics of Intra-Orthodox Conflict in Montenegro". Politicization of Religion, the Power of State, Nation, and Faith: The Case of Former Yugoslavia and its Successor States. New York: Palgrave Macmillan. pp. 151–170.
- Pavlovich, Paul (1989). The History of the Serbian Orthodox Church. Serbian Heritage Books.
- Popović, Svetlana (2002). "The Serbian Episcopal sees in the thirteenth century". Старинар (51: 2001): 171–184.
- Radić, Radmila (2007). "Serbian Christianity". The Blackwell Companion to Eastern Christianity. Malden: Blackwell Publishing. pp. 231–248.
- Samardžić, Radovan; Duškov, Milan, eds. (1993). Serbs in European Civilization. Belgrade: Nova, Serb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Institute for Balkan Studies.
- Sotirović, Vladislav B. (2011). "The Serbian Patriarchate of Peć in the Ottoman Empire: The First Phase (1557–94)". 25 (2): 143–169.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 Wachtel, Andrew B. (2004). "How to Use a Classic: Petar Petrović-Njegoš in the Twentieth Century". Ideologies and National Identities: The Case of Twentieth-Century Southeastern Europe. Budapest: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pp. 131–153.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몬테네그로에 동방 정교회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