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평화론
Democratic peace theory민주평화론은 민주주의가 다른 확인된 민주주의 국가들과 무력 충돌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1][2] 민주평화론을 지지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민주국가들 사이의 평화를 동기부여하는 몇 가지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민주평화론의 변형은 자유주의와 공화주의 형태의 민주주의가 서로 전쟁을 벌일 가능성이 적다는 것을 강조한다.[3][4] 민주평화의 변형은 그것의 "monadious"(민주주의가 일반적으로 그들의 국제관계에서 더 평화롭다), "dynadi" (민주주의가 다른 민주주의 국가들과 전쟁을 벌이지 않는다), "systemic"(국제체제에서 더 민주적인 국가가 국제체제를 더 평화롭게 만든다)을 가지고 있다.[5]
규범과 정체성 측면에서 보면 민주주의 대중이 다른 민주주의 국가들과의 상호작용에서 더 비둘기파적이고, 민주적으로 선출된 지도자들은 분쟁(국내 정치와 국제 정치 모두에서)에서 평화적 해결에 더 의존할 가능성이 높다는 가설이 제기된다. 구조적 제약이나 제도적 제약 측면에서는 제도적 견제와 균형, 지도자들의 대중에게 대한 책임감, 그리고 더 큰 승리를 거둔 연합은 비용 대비 편익 비율이 분명히 있지 않는 한 민주적 지도자들이 전쟁에 나가기 어렵게 만든다는 가설이 있다.
이러한 구조적 제약은 민주정치의 투명한 성격과 함께 민주주의 지도자들이 전쟁에 동원하고 기습 공격을 개시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며, 이로 인해 공포와 의도치 않게 전쟁으로 확대되는 것을 감소시킨다. 민주주의 정치체제의 투명한 성격과 숙의 논쟁(야당, 언론, 전문가, 관료의 개입)은 민주주의 국가들이 자신들의 의도를 쉽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관객 비용 개념은 민주주의 지도자들이 위협으로부터 물러나는 것으로부터 그들의 대중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처벌될 것이기 때문에 민주주의 지도자들이 발행한 위협은 더 심각하게 받아들여질 것을 수반한다. 이는 국가들에 의한 오해와 오산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이 이론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들은 종종 그것이 인과관계를 혼동한다는 이유로 그렇게 한다; "민주주의"와 "전쟁"의 상이한 개념화는 다른 결과를 낳는다; 민주평화의 인과적 메커니즘은 이론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 그리고 누락된 변수들은 민주적 완두콩보다 상관관계를 더 잘 설명한다.ce [6][7][8]이론 민주주의 국가들 간의 평화의 상관관계에 대한 대안적인 설명으로는 제도, 상업, 동맹, 정치적 안정을 중심으로 한 주장이 있다.
역사
1960년대까지 민주평화론이 엄격하거나 과학적으로 연구되지는 않았지만,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와[10] 정치 이론가 토머스 파인의 작품에서 이 개념의 기본 원칙이 18세기 초에 주장되어 왔다. 칸트는 그의 수필 '영원한 평화: 1795년에 쓰여진 철학적 스케치'에서 이 이론을 예시했다. 비록 입헌 공화국만이 있는 세상은 영속적인 평화를 위해 필요한 몇 가지 조건 중 하나일 뿐이라고 생각했지만 말이다. 칸트의 이론은 자기 방어를 하지 않는 한 국민 대다수가 전쟁에 나가기 위해 투표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모든 나라가 공화국이라면 침략자는 없을 것이기 때문에 전쟁을 끝낼 것이다. 이전 작품에서 인용은 적었지만, 토마스 페인은 공화국의 평화로운 본성에 대해 비슷하거나 더 강한 주장을 했다. 페인은 1776년 "상식"에서 "유럽 공화국들은 모두 평화로울 것이다"라고 썼다. 페인은 공화국이 그렇지 않을 상황에 대한 자부심으로 왕들이 전쟁을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11][12] 프랑스의 역사학자 겸 사회학자 알렉시스 드 토크빌도 미국의 민주주의(1835–1840)에서 민주주의 국가들이 전쟁을 할 가능성이 낮다고 주장했다.[a]
범죄학자인 딘 밥스트가 이 주제에 대해 가장 먼저 통계적 연구를 했다. 이 이론을 지지하는 그의 학술 논문은 1964년 위스콘신 사회학자에 발표되었다.[14] 그는 1972년 무역 저널 산업 연구소에 약간 더 대중화된 버전을 발표했다.[15] 두 버전 모두 처음에는 거의 관심을 받지 못했다.
멜빈 스몰과 J. 데이비드 싱어는 응답했다; 그들은 두 개의 "예외"를 가진 민주주의 국가들 사이에 전쟁이 없다는 것을 발견했지만, 이러한 패턴이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부인했다. 이 논문은 예루살렘 국제관계학 저널에 실렸으며, 마침내 이 이론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켰고, 학문적 논쟁을 시작했다.[16] 정치학자 마이클 W의 1983년 논문. 도일은 그 이론을 대중화하는 데 더욱 기여했다. 루돌프 J. 럼멜은 또 다른 초기 연구자였고 그의 후기 작품에서 이 주제에 상당한 관심을[citation needed] 끌었다.
마오즈와 압돌랄리는 이 연구를 전쟁보다 작은 갈등으로 확대했다.[17][incomplete short citation] 브레머, 마오즈, 루셋은 가능한 많은 교란 변수를 통제한 후 민주주의와 평화 사이의 상관관계가 유의미하다는 것을 발견했다.[18][19] 이것은 그 이론을 사회과학의 주류로 이동시켰다. 국제관계 등에서 리얼리즘 지지자들은 새로운 반론을 많이 제기하며 화답했다. 다른 연구자들은 민주주의가 어떻게 평화를 유발할 수 있는지,[20] 민주주의가 동맹과 협력과 같은 대외관계의 다른 측면에도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보다 체계적인 설명을 시도했다.[21]
이러한 선구적인 작품 이후 그 분야에는 수많은 추가 연구가 있었다.[b] 대부분의 연구는 방법론적 논쟁이나 의심스러운 사건들이 완전히 해결되지는[23] 않았지만, 민주평화의 어떤 형태가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정의들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b/World_population_by_political_regime.png/220px-World_population_by_political_regime.png)
민주평화론에 대한 연구는 "민주주의"와 "평화"(또는 더 자주 "전쟁")를 정의해야 한다.
민주주의 정의
민주주의는 다른 이론가들과 연구원들에 의해 다르게 정의되어왔다; 이것은 그들의 발견의 일부의 변동을 설명한다. 몇 가지 예:
스몰앤싱어는 (1) 정부 정당처럼 야당이 자유롭게 출마할 수 있는 정기 선거를 치르는 국가, (2) 성인 인구의 최소 10%가 투표할 수 있는 국가, (3) 정부 집행부와 동등하게 지배하거나 즐기는 의회가 있는 국가라고 정의한다.[24]
도일은 (1) "자유주의 정권"은 시장이나 사유재산경제학을 가지고 있고, (2) 그들은 내부적으로 주권적인 정책을 가지고 있고, (3) 그들은 법권을 가진 시민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4) 그들은 대표 정부를 가지고 있다고 요구한다. 성인 남성의 30%가 투표를 할 수 있거나 모든 남성이 충분한 재산을 확보함으로써 투표권을 획득할 수 있었다. 그는 다른 연구원들보다 세습 군주들에게 더 큰 권력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그는 프랑스의 루이빌리프의 통치를 자유주의 정권으로 간주한다.[25][incomplete short citation]
레이는 적어도 성인 인구의 50%가 투표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선거를 통해 한 독립 정당에서 다른 정당으로의 평화적이고 헌법적인 행정권 이양이 최소한 한 건 있어야 한다고 요구한다. 이 정의는 종종 민주적인 것으로 보이는 긴 기간을 제외한다. 예를 들어 1800년까지 미국, 1979년까지의 독립에서 1979년까지의 인도, 1993년까지의 일본은 모두 일당 지배하에 있었기 때문에 이 정의에 따라 계산되지 않을 것이다.[26]
럼멜은 "민주주의는 자유민주주의를 의미하며, 권력을 가진 사람들은 비밀 투표와 넓은 선거권을 가지고 경쟁적인 선거에서 선출된다(성인 남성의 최소한 2/3를 포함시키는 것으로 느슨하게 이해됨), 언론, 종교, 조직의 자유가 있는 곳, 그리고 통치자들이 헌법에 입각한 법률의 틀이 있는 곳이다"라고 말한다.t는 종속적이며 동등한 권리를 보장한다."[27]
비이항분류
위의 정의는 2진법으로, 국가를 민주국가와 비민주국가로 분류한다. 대신 많은 연구자들이 더 정교하게 갈은 비늘을 사용해 왔다. 한 예는 1800년 이후 매년 민주주의와 독재정치 두 가지 척도로 각 주를 채점하는 폴리티 데이터 시리즈와 그 외 여러 가지다.[c] 폴리티 데이터의 사용은 다양했다. 어떤 연구자들은 민주주의의 규모와 호전성의 상관관계를 연구했고, 또 어떤 연구자들은 민주주의 점수가 높고 독재정치의 점수가 낮은 모든 주들을 민주주의라고 부르는 것에 의해 그것을 이진 분류로 취급했다. 그러나 다른 연구자들은 이 두 점수의 차이를 사용했고, 때로는 이것을 이진 분류로 만들었다.고드름[31]
젊은 민주주의 국가들
몇몇 연구자들은 민주주의 평화에 대한 가능한 예외들 중 많은 것들이 적어도 관련 민주주의 국가들 중 한 곳이 매우 젊었을 때 일어났다고 관찰했다. 따라서 그들 중 다수는 한정자를 추가했는데, 일반적으로 평화는 3년 이상 된 민주주의에 적용된다고 명시하고 있다.[25][incomplete short citation][32][27][33] 럼멜은 이 정도면 "민주적 절차가 받아들여지고, 민주적 문화가 정착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라고 주장한다. 게다가, 이것은 다른 주들이 실제로 국가를 민주주의로 인정하게 할 수도 있다.[27]
맨스필드와 스나이더는 성숙한 자유민주주의 국가들 사이에는 전쟁이 없었다는 것에 동의하면서도 민주주의로 이행하는 국가들은 특히 전쟁에 관여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술한다. 그들은 민주화하는 국가들이 안정된 민주국가, 안정된 독재국가 또는 심지어 독재국가로 이행하는 국가들보다 훨씬 더 전쟁적이라는 것을 발견한다. 그래서 그들은 분석에서 이러한 전쟁들을 제거하는 데 있어서 주의를 제안한다. 왜냐하면 이것은 민주화의 과정의 부정적인 측면을 숨길 수 있기 때문이다.[34][35][36] 앞선 연구의 통계적 결과에 대한 재분석은 위의 민주화와 전쟁의 관계는 행정부에 충분한 권력, 독립성, 제도적 힘이 부족한 민주화된 국가들에게만 유효하다고 말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37] 한 리뷰는 민주화하는 국가들의 전쟁 위험의 증가는 주변 국가들 중 다수가 비민주적인 경우에만 일어난다는 몇 가지 다른 연구 결과를 인용한다.[21] 만약 젊은 민주주의 국가들 사이의 전쟁이 분석에 포함된다면, 몇몇 연구와 리뷰들은 젊은지든 기성지든 모든 민주주의 국가들이 서로 덜 자주 전쟁에 참여한다는 더 강력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충분한 증거를 여전히 발견한다;[38][21][39] 반면에 일부는 그렇지 않다.[40]
정의 전쟁
국제 전쟁에 대한 양적 연구는 보통 전쟁을 1년 동안 전투에서 1000명 이상이 전사하는 군사적 충돌로 정의한다. 이것은 전쟁에 관한 많은 연구를 위한 자료도 제공한 전쟁의 상관 관계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정의다. 문제의 군사적 충돌은 대부분 이 문턱을 훌쩍 넘거나 밑도는 것으로 드러났다.[41]
일부 연구자들은 다른 정의를 사용해 왔다. 예를 들어, Weart는 전쟁을 200명 이상의 전투 사망자로 정의한다.[33] 루셋은 고대 그리스를 볼 때, 국가 허가 하에 있는 양측 군대와 관련된 실질적인 전투 참여만 필요로 한다.[42]
군국화된 주간 분쟁(MIDs)은 전쟁 프로젝트 상관관계 분류에서 전쟁보다 충돌이 적다. 그러한 갈등은 전투 사망자가 없는 무력 과시 이상도 아닐 것이다. MIDs와 전쟁은 "군사화된 주간 분쟁" 또는 MICs이다. MIDs는 전쟁에 앞서 일어난 충돌을 포함한다. 그래서 MIDs와 MICs의 차이는 그것이 보이는 것보다 적을 수 있다.
통계적 분석과 자유도에 대한 우려는 실제 전쟁 대신 MID를 사용하는 주요 원인이다. 전쟁은 비교적 드물다. 평균 30 MIDs 대 1 전쟁의 비율은 분석을 위한 더 풍부한 통계 환경을 제공한다.[43]
모나디치 대 디아디치 평화
대부분의 연구는 민주국가들이 서로 싸우지 않는다는 디아디드 평화에 관한 것이다. 민주주의가 전반적으로 더 평화롭다는 단결적인 평화를 지지하는 연구자는 극소수였다. 최근의 몇몇 논문들은 약간의 단조로운 효과를 발견한다. 뮐러와 울프는 이들을 열거하면서 "평균적으로 민주주의가 다른 주들에 비해 약간은, 그러나 강하게는, 덜 전쟁적일 수도 있다"는 데 동의하지만, "비교적인 설명은 필요하지도 않고 설득력도 없다"고 일반적인 견해는 밝혔다. 그들은 민주주의가 비민주주의에 대한 그들의 호전성에 있어서 매우 다양했다는 것에 주목한다.[44]
가능한 예외
일부 학자들은 확률론적 이유로 민주평화를 지지한다. 민주주의가 처음 생겨난 이래로 많은 전쟁이 일어났기 때문에, 민주주의가 다른 한 쌍의 국가들처럼 자유롭게 서로 싸웠다면, 우리는 민주주의 국가들 사이에 많은 전쟁이 일어났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민주평화론 지지자들은 그 수가 많다고 주장한다. 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덜하다.[18][45][46][25][incomplete short citation] 그러나, 그 이론의 반대자들은 이것이 잘못되었다고 주장하며 민주주의 국가들 사이에 수많은 전쟁의 예가 있다고 주장한다.[40]
역사적으로 민주평화론의 골치 아픈 사례로는 시칠리아 원정, 1812년 전쟁, 미국 남북전쟁, 파쇼다 위기, 에콰도르와 페루의 갈등, 코드전쟁, 스페인-미국전쟁, 카르길전쟁 등이 있다.[47][48][49][50][51][52] 도일은 파키샤 전쟁과 레바논 공군의 6일 전쟁 개입을 거론한다.[25][incomplete short citation] 문헌에 제시된 경우의 총수는 최소 50건이다. 그 데이터 브레머 한가지 예외는 French-Thai 전쟁 1940년을 보여 줬는데 사용하여;[45]Gleditsch, 아마도 별도로 처리되어야 한다의 특별한 경우:민주 국가들 사이에 전쟁 발발의 교전자의, 전, 그리고 복잡한 큰 전쟁 중에 부수적인 상태로 핀란드와 영국 사이에 세계 대전 중 전쟁의 상태를 본다.co지정학적, 외교적 경계의 변화가 거의 없다.[53][54][55] 그러나 영국은 핀란드와 실제로 전쟁을 하기보다는 소련과의 동맹관계를 보여주기 위해 핀란스에 대해 소규모의 군사행동을 몇 차례 감행했다. 포트나 페이지에서는 1974년 터키의 키프로스 침공과 카르길 전쟁에 대해 예외로 논의하면서 후자가 가장 의미 있다고 본다.[56] 그러나 이들 국가가 진정으로 민주적인 국가라는 지위는 논쟁의 대상이다. 예를 들어, 1898년 스페인에서는, 엘 투토 파키피코라고 알려진 통제된 절차에서 두 정당이 번갈아 정부 내에서 활동했고, 지역 권력자인 카키케들은 선거 결과를 조작하는 데 사용되었고, 그 결과 시스템에 대한 원망은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쌓이고 중요한 민족주의 운동과 노동조합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마찬가지로 키프로스에 대한 터키의 개입은 그리스의 군사 정부가 후원한 쿠데타로 키프로스 선출 정부가 폐지된 후에야 일어났다.
그 이론을 진정으로 안정되고 진정한 민주주의 국가들로만 한정하는 것은 그들의 경제에 해를 끼칠지도 모르는 무력 충돌에서 동기가 거의 없는 매우 제한적인 고도로 번영하는 국가들로 이어지게 되는데, 그 이론은 정의에 의해 사실상 유지될 것으로 기대될 수도 있다.
민주주의의 평화의 어느 옹호자는 그의 이유는 민주주의 사이의 모든 전쟁을 배제할 민주주의 충분히 제한의 정의를 선택할 설명해 줍니다 무엇"폄하하는 홍보 부라 할 수 있":학생들과 정치인들은 그러한 주장의 주장은 민주주의 간의 전쟁 가능성이 적다보다 감명 받을 것이다.[57]
민주주의의 신조로 인한 통계적 어려움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1/1d/Number_of_nations_1800-2003_scoring_8_or_higher_on_Polity_IV_scale.png/350px-Number_of_nations_1800-2003_scoring_8_or_higher_on_Polity_IV_scale.png)
전쟁 연구의 한 가지 문제는, 현실주의자 존 미어스하이머가 말했듯이, "지난 2세기 동안 민주주의는 수적으로 적었고, 따라서 민주주의가 서로 싸울 수 있는 위치에 있었던 기회는 거의 없었다"[59]는 것이다. 민주주의는 최근까지 매우 드물었다. 도일의 민주주의와 같은 민주주의에 대한 정의조차 느슨한 것은 19세기 말 이전에 겨우 12개의 민주국가만을 찾았을 뿐이며, 그들 중 상당수는 단명하거나 제한적인 독점권을 가지고 있다.)[25][incomplete short citation][60] 프리덤 하우스는 1900년에 보편적 참정권이 있는 독립국가를 찾지 못한다.[61]
이 이론의 지지자인 웨이먼은 "만약 우리가 민주주의간 전쟁이 있었는지 여부에 전적으로 의존한다면, 민주평화의 안정에 대한 자신감을 쌓기 위해서는 수십 년 이상의 평화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한다.[58]
충돌을 줄이는 연구
많은 연구자들은 갈등이 훨씬 더 흔해졌기 때문에, 대신 적은 충돌을 연구함으로써 이러한 한계에 대응해 왔다. 전쟁보다 더 많은 미드(MID)가 있었다; 전쟁 상관관계 프로젝트는 지난 2세기 동안 수천을 헤아린다. 한 리뷰에는 민주주의 국가 쌍이 다른 주 쌍에 비해 MID에 덜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된 많은 연구들이 나열되어 있다.[21]
또 다른 연구는 두 주가 민주화된 후 1년 이내에 MID의 확률이 감소하고 5년 이내에 거의 0으로 감소한다는 것을 발견했다.[62]
자유주의 간 MID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한 연구는 제3자가 개입할 가능성이 적으며, 적대감의 대상이 통상 도발과 비례하여 대응하고, 분쟁으로 인해 인명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가장 흔한 행동은 "자재나 인력의 확보"[58]였다.
연구는 국가들 간의 분쟁이 평화적으로 해결될 확률은 그 분쟁에 관여하는 덜 민주적인 국가가 보여주는 민주주의의 정도에 의해 긍정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발견한다. 민주주의 국가들 간의 분쟁은 적어도 하나의 비민주적인 국가가 관련된 분쟁보다 현저하게 짧다. 민주국가는 서로 분쟁에 휘말릴 때 제3자 중재에 순응할 가능성이 높다.[21]
군사력의 위협이나 사용을 포함한 국제적 위기에서, 한 연구는 당사자들이 민주주의 국가라면, 상대적인 군사력은 누가 승리하는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비제국주의가 개입되었을 때와는 다르다. 이러한 결과는 상충하는 당사자들이 공식적인 동맹국이라도 마찬가지다.[63] 마찬가지로, 현재 진행 중인 군국화 분쟁에 동참한 국가들의 행동에 대한 연구는 독재국가들에게만 권력이 중요하다고 보고한다: 민주주의는 분쟁에서 양측의 권력에 그들의 연대를 기하는 것 같지 않다.[64]
갈등개시
2017년 검토 연구에 따르면, "민주주의가 최소한 민주주의 국가들 사이에서 평화를 유발하고, 민주주의와 평화 사이의 관찰된 상관관계가 거짓이 아니라고 결론지을 충분한 증거가 있다"고 한다.[65]
대부분의 연구들은 누가 분쟁에 관여했는지만 살펴봤고 누가 분쟁을 시작했는지에 대한 문제는 무시했다. 많은 갈등에서 양측은 상대방이 이니시에이터였다고 주장한다. 여러 연구자들은 갈등 개시에 대한 기존 데이터가 특히 신뢰할 수 없을 수 있기 때문에 갈등 개시를 연구하는 것은 가치가 제한적이라고 주장해 왔다.[66] 그렇더라도 여러 연구들이 이를 조사해 왔다. 레이트너와 스탬은 독재국가들이 독재국가들에 대항하는 민주국가들보다 민주국가들에 대한 충돌을 더 자주 일으킨다고 주장한다.[67] Quackenbush와 Rudy는 Repeat and Stam의 결과를 확인하면서 민주주의가 비제국주의자들이 서로에게 하는 것보다 비제국주의자들과의 전쟁을 더 자주 시작한다는 것을 발견한다.[68] 다음의 몇 가지 연구는 분쟁 시작과 관련하여 서로 다른 형태의 기관들을 가진 독재국가들이 어떻게 다른지를 연구했다. 개인주의적이고 군사적인 독재는 한 정당 국가들과 같은 다른 형태의 독재체제에 비해 특히 분쟁 개시를 쉽게 할 수 있지만, 다른 개시자가 있는 전쟁에서 표적이 될 가능성이 더 높다.[69][70][71][72]
한 2017년 연구는 민주주의가 비민주적 국가들만큼 평화적으로 국경 분쟁을 해결할 가능성이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73]
내부 폭력 및 집단학살
![]() | 이 섹션은 위키백과 편집자의 개인적인 감정을 진술하거나 주제에 대한 원론적인 주장을 제시하는 개인적인 성찰, 개인적인 에세이 또는 논쟁적인 에세이처럼 쓰여진다. (2020년 6월) (이 과 시기 |
이 기사의 대부분은 국가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 대해 논하고 있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내부 조직적 폭력성이 적다는 증거도 있다. 예를 들어, 한 연구는 가장 민주적이고 가장 권위적인 국가는 내전이 거의 없고, 중간 정권이 가장 많다는 것을 발견했다. 내전의 확률은 더 큰 민주주의를 지향하든, 더 큰 독재 정치를 지향하든 간에 정치적 변화에 의해서도 증가한다. 중간정권은 정치교체 이후 시기와 관계없이 내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정권이다. 장기적으로는 중간정권이 독재국가보다 안정성이 떨어지고, 민주국가보다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민주화의 과정에서 가장 유력한 종착점이 지속적 민주주의다.[74] 아바디의 연구는 가장 민주적인 국가들이 가장 적은 테러리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75] Harff는 대량학살과 정치자살은 민주주의에서 드물다는 것을 발견한다.[76] 럼멜은 민주적인 정권이 될수록 그 정권의 반체제성은 줄어든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는 데모시드가 전투보다 6배나 많은 사람들을 죽였다는 것을 발견한다.[27]
데이븐포트와 암스트롱 2세는 다른 여러 연구와 주를 열거한다: "반복적으로 민주주의 정치 체제는 다양한 측정, 방법론, 시간, 국가, 맥락에 걸쳐 선형적으로 그렇게 함으로써 정치적 금지, 검열, 고문, 실종, 대량 살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은 "일부 수준 이하의 조치와 방법론적 기법으로 볼 때 민주주의는 인권 침해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이 수준 이상의 민주주의는 부정적이고 대략적인 선형으로 억압에 영향을 미친다"[77]는 것이다. 그들은 또한 30년 동안의 통계적 연구로 정치적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이라는 두 가지 변수만이 인권 침해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밝혀냈다고 말한다.[78]
아불로프와 골드만은 현대 중동과 북아프리카(MENA)를 중심으로 한 주의사항을 덧붙인다. 통계적으로 메나 민주주의는 한 나라를 내전의 시작과 발생 둘 다 더 쉽게 만들고, 메나 국가가 민주적일수록 격렬한 주내 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다. 게다가, 무정부주의자들은 전세계적으로나 MENA에서 내전에 대한 경향이 있는 것 같지 않다. 상관관계를 넘어 인과관계를 모색하면서 민주주의의 평화적 효과는 사회적으로 자기결정권과 국민주권에 대한 구독을 통해 부분적으로 매개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는 '민주적 민족주의'를 단순히 당면한 장애물이 아닌 장기적인 전제조건으로 평화와 민주주의에 전환시킬 수도 있다.[79]
설명
이 이론들은 전통적으로 민주적 규범에 초점을 맞춘 설명과 민주적 정치 구조에 초점을 맞춘 설명이라는 두 그룹으로 분류되어 왔다.[63][80] 그것들은 보통 민주주의의 낮은 수준의 내부 폭력을 위한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 국가들 사이의 작은 폭력에 대한 설명으로 의도된 것이다.
이러한 메커니즘 중 몇 가지는 유사한 시스템을 가진 국가에도 적용될 수 있다. "Never at War"라는 책은 과두정치의 평화를 위한 증거를 찾는다. 한 예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있는데, 그 곳에서는 브와디스와프 4세 바사의 제안과 같이 세움파가 전쟁을 위한 대부분의 왕실의 제안에 저항하고 거부권을 행사했다.[81]
민주규범
첫 번째 그룹의 한 예는 자유민주주의 문화가 지도자들을 협상과 타협에 익숙하게 만들 수도 있다는 것이다.[33][44] 인권에 대한 믿음이 민주주의 국가들, 특히 다른 민주주의 국가들에 대한 전쟁을 꺼리게 할 수도 있다는 또 다른 의견이다. 민주주의에 의해서도 식민주의의 쇠퇴는 비유럽 민족과 그들의 권리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82]
브루스 루셋은 또한 민주주의 문화가 지도자들이 갈등을 해결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게다가, 그는 19세기 말에 사회적 규범이 나타났다고 주장한다; 민주주의는 예를 들어, 민주주의 문화와 민주주의의 정도가 증가했을 때 강화되었던, 예를 들어, 프랜차이즈의 확대로 인해 서로 싸우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민주적 안정의 증가는 외교 문제에서 파트너들이 한 나라를 신뢰할 수 있는 민주적 국가로 인식하도록 했다. 두 차례의 세계 대전과 냉전 시대의 민주국가의 동맹도 규범을 강화했다. 그는 그리스 고대에서 이 규범의 덜 효과적인 흔적을 본다.[83]
한스 쾨클러는 초국가적 민주주의의 문제를 직접 민주주의의 절차를 통해 한 나라의 국제 문제에 참여함으로써 개인에게 힘을 실어주기 위해 연관시키고, 그는 민주주의 규범에 따라 유엔 기구의 구조조정을 요구한다. 그는 특히 스위스의 참여 민주주의 관행을 언급하고 있다.[20]
무소는 민주주의와 평화 모두를 설명하는 규범과 가치를 창조하는 것이 시장 중심의 발전이라고 주장한다. 덜 발달한 국가에서 개인은 종종 그룹 내 규범과 신념에 적합성을 강요하는 소셜 네트워크에 의존하고 그룹 리더에 대한 충성도에 의존한다. 반대로 시장에 일자리가 풍부할 때, 시장 지향 선진국처럼 개인은 똑같이 계약을 강제하는 강한 상태에 의존한다. 인지적 일과는 단체장보다는 주법을 준수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계약과 마찬가지로 개인 간의 차이를 용인한다. 그러므로 시장 민주주의의 유권자들은 공평한 '자유로운' 정부만을 받아들이고, 지도자들이 세계 시장에 대한 동등한 접근을 확보하고 그러한 접근을 무력하게 왜곡하는 사람들에 저항하는 그들의 이익을 추구하도록 제한한다. 그러므로 시장 민주주의 국가들은 잔인한 권력 정치에 대한 국제법의 우월성과 예측가능성에 대한 공통의 외교 정책 이해관계를 공유하고 폐쇄적인 무역과 제국주의적 선호에 대한 동등하고 개방적인 세계 무역을 공유한다. 시장 민주주의 국가들 간에 논쟁이 일어날 때, 그들은 다른 국가들보다 폭력사태로 번질 가능성이 적다. 왜냐하면 두 국가 모두, 심지어 더 강한 국가들조차도 권력 정치에 대한 법의 우월성에 대한 더 큰 장기적인 이익을 인식하기 때문이다.[84][85]
브루뮬러는 자유주의가 많은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갈등 해결의 자유주의적 규범이 다양하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구소련의 신생 독립국들의 조사 결과를 살펴봄으로써 그 지역의 자유주의가 민주평화 이론가들이 묘사한 보편주의자인 윌슨주의 자유주의보다 19세기 자유주의 민족주의와 더 흡사하다는 것을 증명하고, 그 결과 레지옹의 자유주의자들은 더욱 닮아 있음을 증명한다.on은 non-thematic보다 공격적이다.[80]
제시카 위크스와 마이클 톰즈의 2013년 연구는 조사 실험을 통해 동료 민주주의 국가들과 관련된 사건에서 대중들이 전쟁에 대한 지지도가 낮다는 것을 발견했다.[86]
민주주의 정치 구조
제도적 제약에 대한 사례는 다음과 같은 글을 쓴 임마누엘 칸트에게 돌아간다.[87]
[I]만약 전쟁이 선포되어야 한다고 결정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동의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 헌법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없다), 그들이 전쟁의 모든 재앙을 스스로 선포하는, 그런 형편없는 게임을 시작할 때 매우 조심할 것이라는 것만큼 자연스러운 것은 없다. 후자 중에는 싸워야 하는 것, 전쟁 비용을 자력으로 지불해야 하는 것, 황폐한 전쟁의 여파를 고치기 위해 고통스럽게 해야 하는 것, 그리고 악의 척도를 채우기 위해, 평화 그 자체를 부추기고 미래의 끊임없는 전쟁으로 인해 결코 청산될 수 없는 무거운 국가 부채에 몸을 싣는 것 등이 있을 것이다.리의
따라서 민주주의는 전쟁에서 죽거나 다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람들과 그들의 친척들과 친구들 (그리고 전쟁세의 대부분을 내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준다.[88] 그러나 이 단조로운 이론은 민주주의가 비민주적인 국가를 공격하는 이유를 설명해야 한다. 한 가지 설명은 이러한 민주주의 국가들이 위협을 받았거나 다른 방법으로 비민주적인 국가들에 의해 도발되었다는 것이다. 도일은 단결적인 평화의 부재는 단지 예상할 수 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자유주의 국가들이 서로 평화롭게 지내도록 만드는 동일한 이념이 억압된 외국 소수민족을 옹호하든 아니면 해외에 정착한 동포들을 복수하든 간에, 편협한 사람들과 이상주의 전쟁을 불러일으킨다.[89] 도일은 또한 자유주의 국가들이 서로에 대해 은밀한 작전을 수행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이 작전의 은밀한 성격 때문에 자유주의 국가가 이 문제에 적용하지 못하는 다른 특성의 홍보는 막을 수 있다.[90]
연구에 따르면 독재국가보다 민주국가들이 전쟁에서 승리할 가능성이 더 높다. 한 가지 설명은 민주주의가 내부의 정치적, 경제적 이유로 더 많은 자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민주주의 지도자들이 다른 민주국가들을 특히 만만치 않은 상대라고 인식하기 때문에 그들을 대상으로 선택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 연구는 주간전쟁이 정치체제의 운명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패배한 전쟁의 결과로 정치 지도자가 권력에서 떨어질 확률은 특히 민주주의 국가에서 높다는 것을 발견한다.[38]
겔피와 그리스도르프가 기술한 바와 같이, 자유주의 지도자들은 광범위한 이해 관계의 동의 없이 전쟁을 위해 국가의 자원을 동원하는 그들의 능력을 방해하는 제도화된 제약에 직면해 있다고 여러 연구들이 주장해 왔다.[63] 소련 후계국가의 시민과 엘리트들의 태도를 비교한 조사 결과는 이 주장과 일치한다.[80] 더욱이 이러한 제약조건은 다른 주에도 쉽게 명백하며 지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없다. 그러므로 민주주의는 무력 사용을 싫어하는 다른 주에 신뢰할 수 있는 신호를 보낸다. 이러한 신호들은 민주주의 국가들로 하여금 서로간의 충돌을 피할 수 있게 해주지만, 그들은 비제국주의 국가들로부터 공격성을 끌어낼 수도 있다. 민주주의는 무력 사용을 통해 어쩌면 선제적으로라도 그러한 침략에 대응하도록 압력을 받을 수도 있다. 또한 겔피와 그리스도르프가 기술한 바와 같이, 연구들은 민주주의 지도자들이 국제적 위기를 고조시키는 것을 선택할 때, 그들의 위협은 이러한 행동에 대한 상대적으로 큰 여론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매우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고 주장해왔다. 자유주의 국가들 사이의 논쟁에서, 그들의 협상 신호의 신뢰성은 그들이 동원되기 전에 평화적인 해결을 협상할 수 있게 한다.[63] 제프 카터의 2017년 연구는 민주국가들이 전쟁에 동원하는 것이 더 느리다는 증거를 발견했다.[91]
위의 마지막 두 가지와 유사한 게임 이론에 근거한 설명은 대중들의 참여와 공개 토론이 민주주의의 의도에 관한 명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다른 나라에 보낸다는 것이다. 반대로 비종교적 지도자들의 의도와 양보가 어떤 결과를 낳을지, 약속은 지켜질지 알기 어렵다. 따라서 분쟁 당사자들 중 적어도 한 사람이 비종교적이라면, 불신과 양보를 꺼리는 마음이 있을 것이다.[92]
그러나, 특정 유형의 국가에 대한 위험 요인은 칸트 시대 이후 바뀌었다. 위의 인용문에서 칸트는 공화국이 전쟁을 하지 않는 이유로 전쟁에 대한 대중의 지지 부족 – 첫째, 전쟁이 일어나면 민중들이 직간접적으로 고통을 겪을 것이라는 점을 지적한다. 미-이라크 분쟁으로 피폐해진 이라크 군인과 민간인의 수에 비해 미군 전사 또는 피폐자 수는 미국-이라크 분쟁으로 인해 피폐해진 이라크 군인과 민간인 수보다 훨씬 많다. 이것은 아마도 약한 상대들을 공격하려는 민주주의 국가들의 비교적 큰 의지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라크 전쟁은 적어도 초기에는 미국에서 매우 인기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전쟁의 사례는 대중들이 더 이상 그들의 군인들의 계속되는 소모를 받아들이지 않을 수도 있는 티핑 포인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콜먼은 경제적 비용 편익 분석을 사용하여 칸트와 유사한 결론을 도출한다. 콜먼은 독재와 자유민주주의의 극한 사례를 조사한다. 두 경우 모두 전쟁비용은 국민이 부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독재 정치에서 독재자는 전쟁의 모든 혜택을 받는 반면 자유 민주주의에서는 그 혜택이 국민 사이에 분산된다. 독재자에 대한 순이익은 자유민주주의 시민에 대한 순이익보다 높기 때문에, 독재자는 전쟁에 나설 가능성이 더 높다. 편익과 비용의 차이는 너무 클 수 있기 때문에 독재자는 순이익이 총 전쟁 비용을 초과할 때 복지를 파괴하는 전쟁을 시작할 수 있다. 반론적으로, 자유민주주의에서 개인에게 같은 전쟁이 주는 순이익은 부정적일 수 있기 때문에 전쟁을 선택하지 않을 것이다. 자유민주주의 국가들 사이에 정치적, 경제적 연계성을 확립함으로써 전쟁에 대한 이러한 거부감이 증대되어 그들 사이의 전쟁 비용을 더욱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자유민주주의 국가들은 특히 서로에 대해 전쟁을 벌일 가능성이 적다. 콜먼은 공격전과 방어전을 더욱 구분하며 자유민주주의 국가는 미래비용의 과도한 할인 때문에 이미 시작되었을지도 모르는 방어전을 치를 가능성이 적다는 것을 발견한다.[93]
브래드 르벡과 닐 나랑은 외교 정책 결정 과정에 관여하는 더 크고 더 다양한 행위자들로 인해 민주주의 국가들이 위기에서 의사결정 오류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적다고 주장한다.[94]
선택기 이론으로 브루스 부에노 데 메스키타, 제임스 D. 모로, 랜돌프 시버슨, 알라스테어 스미스는 민주주의 평화는 부분적으로 민주주의 지도자들이 큰 승리를 거둔 연합을 통해 권력을 유지하는 데서 비롯된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민주주의 지도자들이 전쟁에 더 많은 자원을 투입하고 전쟁에 유리하며, 승리 가능성이 높은 전쟁을 선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들은 민주주의 국가들로 하여금 서로를 피하게 하지만 약한 비민주 국가들과의 전쟁을 이끈다.[95]
관객비용
민주평화를 위한 두드러진 합리적 선택 논거는 민주주의가 권위주의 국가들보다 더 많은 청중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는 것인데, 이것은 민주주의가 국가간 분쟁에서 그들의 의도를 더 잘 전달하게 한다는 것이다.[96][97] 분쟁에서 민주국가의 신뢰성에 관한 논쟁은 국제관계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어왔다. MID와 ICB 데이터 집합을 사용하는 두 가지 연구 2001은 민주주의가 효과적인 위협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더 높다는 개념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했다.[98][63] 그러나 알렉산더 B의 2012년 연구. 다우니스와 토드 S. 젝서는 기존 데이터세트가 민주국가들이 더 효과적인 위협을 발령했는지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다.[99] 그들은 특히 주간 군사 위협과 결과를 위해 그들만의 데이터 세트를 구성했는데, 이것은 정권 유형과 효과적인 위협 사이의 관계를 발견하지 못했다.[8] MID 데이터 집합의 결함을 복호화한 2017년 연구는 궁극적으로 "분쟁 상호화에 있어 정권에 기초한 차이는 없으며, 이전의 발견은 주로 부호화된 데이터에 기초할 수 있다"[99]고 결론짓는다. 다른 학자들은 그 인과 논리와 경험적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민주적 신뢰성에 대해 논쟁을 벌여왔다.[100] 제시카 위크스의 연구는 일부 권위주의적인 정권 유형은 민주주의 국가들과 비슷한 시청료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101][102]
2021년의 한 연구는 미국인들이 민주주의가 위기에서 더 물러날 가능성이 있다고 인식했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것은 청중들의 비용 문학의 기대와 모순된다.[103]
비판
논리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비평계급이 몇 개 있다.[104] 그들은 대개 민주주의 국가들 사이의 전쟁이나 MID에 적용되지 않으며, 기성 민주주의 국가들에서의 조직적인 폭력에도 거의 적용되지 않는다. 게다가 민주주의 국가들 간의 전쟁 리스트도 있었다. 반증 사례로는 수백 명의 국가 사형 집행이 있는 세계에서 가장 권위적인 국가 중 하나인 사우디아라비아와 초대형 살인 사건을 일으킨 또 다른 권위주의 국가인 우즈베키스탄도 있다. 1987–1989년 스리랑카에서 일어난 JVP 폭동은 민주정권에 의해 정치적 살해가 저질러져 JVP 멤버나 지지자로 추정되는 최소 1만 3천명, 3만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사례다.[105]
통계적 유의성
한 연구는 민주주의 국가들 사이에 다른 어떤 두 국가들 간에 기대했던 것만큼 많은 전쟁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것의 저자들은 젊은 민주주의 국가들과 의심스러운 민주주의 국가들 사이의 전쟁, 그리고 아주 작은 전쟁들을 포함한다.[106]
다른 이들은 비록 민주평화에 대한 증거가 있을 수 있지만, 자료 샘플이나 기간이 너무 작아서 결정적인 결론을 평가할 수 없다고 말한다.[107][54][24] 예를 들어 고와는 민주국가의 수가 너무 적기 때문에 1939년 이전에는 민주평화의 증거가 대수롭지 않다는 것을 발견하고, 다음 기간에 대한 대체 현실주의적인 설명을 제공한다.[54] 고와의 통계 사용은 다른 여러 연구와 리뷰에서 서로 다르거나 반대되는 결과를 발견하는 등 비판을 받아왔다.[63][21] 그러나 이는 이론에 대한 가장 오래 지속되는 비판으로 볼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일부 지지자들은 최소한 전면전만 고려한다면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통계 표본이 제한적이거나 희박하다는 데 동의한다.[108]
민주주의와 전쟁에 대한 다소 제한적인 정의를 사용하는 한 연구에 따르면, 1816년부터 1992년까지 국가의 합동 민주주의 부부들 사이에 전쟁은 없었다. 민주적 성격에 관계없이 국가 간 전쟁이 순전히 무작위로 분배된다고 가정할 때, 민주주의 국가들간의 예상 분쟁 수는 10개 정도가 될 것이다. 그래서 레이는 그 증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주장하지만, 앞으로는 소수의 민주주의 간 전쟁이라도 그러한 증거를 없앨 수 있을 것이라고 여전히 생각할 수 있다.[21][d]
평화는 민주주의보다 먼저 온다.
더글러스 기블러와 앤드류 오우시아크는 연구에서 평화는 거의 항상 민주주의보다 우선하며 모든 국경 분쟁이 해결될 때까지는 국가가 민주주의를 발전시키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들 연구는 평화가 민주주의를 야기한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지만 민주주의가 평화를 야기한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73] 아자르 가트는 평화로 이어지는 것 자체가 민주주의가 아니라 경제적 번영과 인구 증가율 저하 등 근대화의 다른 측면이라고 주장한다.[109]
평화가 민주주의를 일으킨다는 가설은 심리적, 문화적 이론에 의해 뒷받침된다. 크리스티안 웰젤의 인간권한 이론은 실존적 안보는 해방적 문화적 가치와 민주적 정치조직에 대한 지지로 이어진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110] 이것은 진화심리학에 근거한 소위 섭정론에서도 따르게 된다.
비민주주의와의 전쟁
몇몇 연구들은 만약 비민주주의에 대한 전쟁이 포함된다면 민주주의가 독재국가보다 전쟁을 일으킬 가능성이 적다는 것을 확인하지 못한다.[111]
시그널링
민주주의가 의도를 더 쉽게 전달할 수 있다는 개념은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8]
정의, 방법론 및 데이터
일부 저자들은 국가가 경제적, 안보적 우려와 같은 자신의 객관적 이익과 동기의 결과로서 다른 국가의 정권 유형을 지속적으로 재해석한다고 주장함으로써 민주주의의 정의를 비판한다.[7] 예를 들어, 한 연구는 독일이 19세기 말에 서구의 의견수렴자들에 의해 민주주의 국가로 여겨졌다고 보고한다. 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 이전 몇 년 동안 미국, 프랑스, 영국과의 관계가 악화되기 시작했을 때 독일은 실제적인 재정비가 없는 상태에서 점차 독재국가로 재해석되었다.땡땡이 [112][113]잔돈 심민은 1989년과 1999년 사이에 밀로셰비치의 세르비아에 대한 서구적 인식에 대해서도 비슷한 비판을 하고 있다.[114] 럼멜은 이러한 비판에 대해 일반적으로 민주평화에 관한 연구는 민주주의에 대한 다른 나라의 인식에 초점을 두지 않으며, 세르비아의 특정한 경우, 1990년대 초 서구의 민주국가들이 밀로셰비치에 동의한 제한적 신용은 민주주의의 인정에 해당하지 않고 오직 한 사람당 인정에 해당한다고 주장함으로써 대답한다.가능한 대안적 지도자들이 훨씬 더 나쁠 수 있다는 [115]확신
일부 민주평화연구가들은 유사하게 사용된 전체 데이터 세트를 확인하고 수정하지 않고 일부 특정 충돌을 비(非)민주적 또는 정치체제로 임시 재분류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민주평화를 지지하는 사람들과 반대하는 사람들은, 비록 그럴듯한 사례가 시정을 위해 만들어질 수 있다 하더라도, 이것이 통계를 잘못 사용하는 것이라는 데 동의한다.[18][53][54] 신문인 아시아 타임즈의 한 군사 칼럼니스트는 이 이론을 진정한 스코틀랜드인 문제가 아닌 것으로 묘사하는 기자의 패션에 위의 비판을 요약했다: 예외는 "실제" 민주주의와 "실제" 전쟁 사이에 있지 않은 것으로 설명된다.[116]
일부 민주평화 연구자들은 행정관이 실질적으로 경쟁적인 선거로부터 결과를 얻어야 한다고 요구한다. 이는 제한적인 정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국립문서보관소는 "모든 면에서 1789년과 1792년 조지 워싱턴이 대통령 선거에 반대하지 않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선거관리대학의 원래 규정에서는, 대통령과 부통령에 대한 표의 구분이 없었다: 각 선거자는 투표에 참여하도록 요구되었다. 2위를 차지하여 부통령이 되는 두 명이 부통령이 될 것이다. 모든 선거인이 그의 투표 중 한 표를 워싱턴에 던졌고,[117] 존 애덤스는 다른 투표의 과반수를 받았다. 다른 후보들도 여럿 있었다. 그래서 부통령 선거는 경합되었다.)
스피로는 사용된 통계적 방법에 대해 몇 가지 다른 비판을 했다.[107] Russett과 Ray가 설명한 일련의 논문들은 예를 들어 다른 방법론으로 이에 대응했다.[118][21]
때때로 사용된 데이터 집합도 비판을 받았다. 예를 들어, 일부 저자들은 전쟁의 상관관계 데이터를 전투 사망자 수, 특히 내전에서 민간인 사망자를 포함시키지 않는다고 비판해왔다.[119] 코헨과 위크스는 사망자가 없고 일반적으로 매우 제한적인 폭력 위협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낚시 분쟁은 군사 분쟁의 대상에서라도 제외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120] Gleditsch는 전쟁의 상관관계 데이터 세트에 대해 몇 가지 비판을 했고, 수정된 데이터 세트를 생산했다.[121] Maoz와 Russett은 Polity I과 II 데이터 세트에 대해 여러 가지 비판을 했는데, 이 데이터 세트는 대부분 이후 버전에서 다루어져 왔다.[19][incomplete short citation] 이러한 비판은 일반적으로 사소한 문제로 간주된다.[citation needed]
가장 포괄적인 비판은 '민주주의'가 거의 정의되지 않고, 실체적 민주주의를 결코 지칭하지 않으며, 인과관계가 불명확하며, 100여건의 연구에서 반박되고, 200여건의 일탈 사례를 설명하지 못하며, 한 나라가 해외로 민주주의를 확장하려는 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이념적으로 추진되고 있다고 지적한다.[122] 대부분의 연구는 "민주주의"라는 복잡한 개념을 개념의 입체화를 시도하기보다는 이변수 변수로 취급한다. 연구도 민주주의의 종류가 수십 가지라는 사실을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에 특정 유형의 민주주의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하지 않거나 상이한 데이터세트를 가진 합의나 경제 민주주의 등 모든 유형에 대해 사실이라고 주장하지 않는 한 그 결과는 무의미하다.
마이크로 파운데이션스
민주주의 규범 설명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이 설명이 있는 미시적 발견들이 경험적 지지를 찾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초기 연구에서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자유주의적 규범의 존재와 그 이후의 전쟁 의지에 대한 그들의 영향력은 단지 추정되었을 뿐이지, 측정되지 않았다. 더욱이 이러한 규범들이 다른 정권 유형 내에서 부재하는지는 조사되지 않았다. 최근의 두 연구는 자유주의적 규범의 존재를 측정하고 전쟁 의지에 대한 이러한 규범의 가정된 영향을 조사했다. 두 연구의 결과는 자유민주주의 규범이 자유민주주의 민주국가 내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정권유형에도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게다가, 이러한 규범들은 전쟁 직전의 주간 분쟁 동안 다른 주를 공격하려는 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123][124]
세바스찬 로사토는 민주평화론이 몇 가지 잘못된 가정을 한다고 주장한다. 첫째로, 그것은 민주주의 대중들이 그들에게 부과되는 전쟁의 비용에 부정적으로 반응할 것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나 현대 전쟁에서는 사상자가 상당히 적은 경향이 있고 군인들은 대체로 자원 봉사자여서 전투의 위험을 감수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사망원가가 가장 무거운 그들의 가족과 친구들은 의병의 가족이나 친구들보다 정부를 비판할 가능성이 적다. 둘째로, 민주주의 평화 이론은 민족주의의 역할을 무시한다; 민주주의 대중들은 다른 것들과 마찬가지로 민족주의 정서에 의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만약 민주 대중이 그들의 국가를 위해 전쟁이 필요하다고 믿는다면, 대중들은 그것을 지지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민주 지도자들은 여론을 따라갈 만큼 지도할 가능성이 높다. 민주주의 지도자들은 종종 민족주의 정서의 힘을 알고 있으며, 따라서 전쟁이 국가의 생활 방식을 옹호하거나 확산시키기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전쟁에 관한 한 그것을 장려하려고 한다. 민주주의 지도자들은 이런 점에서 권위주의자들보다 더 합법적으로 대표되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기 때문에 심지어 조언자일 수도 있다. Rosato는 이것이 단지 방어 전쟁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공격에도 적용된다고 주장한다; 민주주의 대중들은 국익에 있어 공격적인 전쟁을 지지하는 민족주의적인 감정들에 의해 흥분될 수 있다.[7]
로자토는 또한 독재국가에서는 군부에 대한 민간 통제가 덜 보장되기 때문에 권위주의 지도자들이 전쟁에 나갈 동기가 줄어든다고 주장한다; 군부가 민간 지도부를 전복시킬 위험성이 항상 있고, 패배로 귀결되는 전쟁은 신속하게 쿠데타를 초래할 수 있다. 심지어 군사 독재자들조차 군 내부의 이견의 위험을 무릅쓰고 있다. 일반적으로 독재적인 지도자들은 또한 전쟁에 나갈 경우 그들을 파괴할 수 있는 정치적 사회적 혼란을 야기시킬 위험을 무릅쓴다. 반대로, 호전적인 민주 지도자들은 민주주의 국가의 평화주의 행위자들이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부의 합법성을 존중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민주적 절차의 정당성을 인정하는데 의존할 수 있다. 만약 반전 단체들이 합법적으로 민주주의에서 국가의 장기를 잡을 수 있다면, 반전 단체들은 추가적인 헌법적 수단 외에 그들을 반대할 수 있는 수단이 거의 없을 것이고, 이것은 역효과를 불러와 반전 단체들이 정당성을 잃게 할 것이다.[7]
2017년 한 연구에 따르면 중국 내 여론은 민주주의 국가의 여론과 마찬가지로 전쟁을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민주주의 국가의 여론은 권위주의 국가의 여론보다 일반적으로 전쟁에 더 반대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125]
제한된 결과
평화로운 것은 다양한 한계와 예선을 가지고 있을 수 있고 실제로 현실 세계에서는 그다지 큰 의미가 없을 수도 있다.
민주주의 평화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전쟁터에서 천명을 죽이지 않는 전쟁 충돌로 간주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들은 예를 들어 피를 흘리지 않는 코드 전쟁을 제외한다. 그러나, 연구는 또한 민주주의 국가들 사이의 덜 작은 충돌을 볼 때 평화롭다는 것을 발견했다.
자유민주주의 국가들은 1945년 이후 다른 주들에 비해 이러한 전쟁이 적다. 이는 세계인권선언에서 구체화된 비유럽인들에 대한 인식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82]
이와 관련, 때로는 자유민주주의에 의해 원주민에 대해 저질러진 인권침해 사건이다. 한 가지 대응은 19세기 이전의 유럽 식민지, 벨기에의 개인 소유의 콩고 자유주의 왕 레오폴트 2세, 그리고 요셉 스탈린의 소련에서와 같이 최악의 범죄들 중 많은 것들이 비제국주의에 의해 저질러졌다는 것이다. 영국은 1832년 개혁법 1832년 가맹점이 크게 확대된 직후인 1833년에 영국 영토의 노예제도를 폐지했다. (물론 노예거래의 폐지는 1807년에 제정되었고, 많은 DPT 지지자들은 1833년 주간 전쟁을 검토할 때 영국이 자유민주주의 국가라는 것을 부인할 것이다.)
헤르만과 케글리 주니어는 민주주의 국가들 사이의 개입은 예상된 모델에 의해 예측된 것보다 더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126] 그들은 더 나아가 민주주의가 비민주적인 국가들에 반대하는 것보다 다른 자유주의 국가에 개입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주장한다.[127] 마지막으로, 그들은 민주주의 국가들 사이의 이러한 개입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고 있고 세계는 미래에 이러한 개입을 더 많이 기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126][127][128] 사용된 방법론은 비판을 받아왔고 더 최근의 연구는 반대되는 결과를 발견했다.[66]
럼멜은 전 세계적으로 민주주의가 계속 증가하면 곧 전쟁과 반체제, 어쩌면 금세기 중반 전후나 그 이전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한다.[129] 공산주의의 몰락과 민주국가의 증가는 총전, 주간전쟁, 민족전쟁, 혁명전쟁, 난민과 실향민의 수가 갑작스럽고 극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동반하였다.[130] 한 보고서는 이러한 전쟁 감소의 두 가지 주요 원인이 냉전 그 자체의 종식과 탈식민지화라고 주장하지만, 또한 칸트 3대 요인이 물질적으로 기여했다고 주장한다.[131]
역사적 시대
경제사학자 조엘 모키르와 한스 요아힘 보트는 민주주의 국가들이 정복에 더 취약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그 국가들의 통치자들이 너무 심하게 구속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주의 절대주의 통치자들은 더 효과적으로 활동할 수 있다.[132]
비밀 작전
민주평화론의 비판자들은 민주주의 국가들 사이의 은밀한 작전과 군사 개입을 지적했고, 이러한 개입은 민주주의 국가들이 반드시 서로를 신뢰하고 존중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7] 알렉산더 B. 다우네스와 래리 로렌 릴리는 민주국가들이 행하는 은밀한 작전은 어떤 버전의 민주평화론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갖는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은밀한 작전은 규범과 견제와 균형을 강조하는 민주주의 평화 이론의 변형과 일관되지 않지만 은밀한 작전은 크고 작은 연합에 대한 선택적 이론의 개념에 의존하는 민주 평화 이론의 버전과 더 일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133]
2015년 마이클 포즈난스키의 연구는 민주주의가 다른 주의 민주주의적 성격이 붕괴되거나 붕괴될 것으로 예상할 때 그렇게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민주주의가 서로에 대한 은밀한 개입에 관여한다는 연구 결과를 조정한다.[134]
정보조작
차임 카우프만은 이라크전쟁의 주동자는 민주주의의 전쟁 제약이 민주정부가 정보를 통제하고 조작할 수 있는지 여부, 행정부의 미사여구에 역행하는 정보소견들을 억압할 수 있는지 여부, 강력한 야당과 강력한 언론이 있는지 여부에 달려 있음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135]
학술적 관련성 및 파생 연구
민주평화론은 백여 명의 저자들이 그에 관한 글을 발표한 연구 분야로 잘 정립되어 있다.[22] 여러 동료 검토 연구들은 도입부에서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이 이론을 경험적 사실로 받아들인다고 언급하고 있다.[23][136][92][137][138] 이마이 고스케와 제임스 로의 2021년 연구에 따르면, "민주주의와 갈등의 부정적인 연관성을 뒤집으려면 다른 다이애드보다 민주적인 디아이드에 47배 더 많은 교란자가 필요할 것이다. 이 숫자를 맥락에 놓고 보면 민주주의와 평화의 관계는 흡연과 폐암 사이의 관계보다 적어도 5배는 건실하다. 따라서 민주적 평화를 설명하려면 학자들이 문헌에서 이미 확인된 것보다 훨씬 더 강력한 교란자를 찾아야 할 것이다."[10]
임레 라카토스는 그가 말하는 '진보적 연구 프로그램'이 '탈진적'과 같은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탈진적'보다 낫지만, 연구 분야의 성장과 중요한 소설적 사실의 발견도 특징이라고 제안했다. 대조적으로, "퇴행적" 프로그램의 지지자들은 중요한 새로운 경험적 발견을 하지 않고, 오히려 경쟁자들로부터 그것을 방어하기 위해 그들의 이론에 조정을 적용한다. 일부 연구자들은 민주평화론이 이제 국제관계의 '진보적' 프로그램이라고 주장한다. 이들 저자들에 따르면, 이 이론은 이전에 지배적인 연구 프로그램인 국제관계에서의 현실주의에 의해 설명되었던 경험적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게다가 민주주의는 서로 전쟁을 하지 않거나, 드물게 한다는 초기 진술은 새로운 경험적 규칙성에 관한 문헌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es.[21][139][140]
다른 예는 몇몇 연구들에서 민주주의 더 서로 동맹을 맺는 다른 주들을 받을 수 있다 것을 발견하는 이들 4개 그룹 동맹 nondemocracies과 관련된 이상할 가능성이 있는 동맹 형성,[21]여러 studies[계량]은 민주주의 생김새가 다르고 좀 더 회유적인 방법으로 nondem에 비해 외교를 열기를 보여 준다.ocracies,[33]하나 연구는 비례 대표로 민주주의 일반적으로 더 평화로운 관계 없이 다른 쪽 관계에 관여한 성질의 것이다;[141]과 다른 연구는 비례 대표제와 분산되는 영토 자치권 긍정적으로 분쟁 이후 사회의 지속적인 평화와 관련된 보고하는 사례도 있습니다.[142]
전쟁을 도발하여 쿠데타
많은 민주국가들이 침략당하거나 침략자(쿠데타 직후)로서 전쟁에 의해 비민주적이 되고, 때로는 쿠데타 지도자가 그 전쟁을 도발하기 위해 노력하기도 했다.
칼 슈미트는 헌법을 전복시키는 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주권은 예외를 결정하는 사람이다."[143] 슈미트 총리는 또 "국가가 정치적 실체인 한 내부 평화에 대한 요구는 국내 적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데 중요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므로 모든 국가는 내적(內敵)의 선언을 위한 일종의 공식을 제공한다." 어떤 반대도 실제 외적의 꼭두각시로 그려지고 의도될 것이다.[144]
기타 설명
정치적 유사성
다른 설명에 대한 연구에 동기를 부여하는 한 가지 일반적인 비판은, 민주주의가 평화를 유발한다고 주장할 수 없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민주주의가 일반적으로 더 평화롭다는 증거는 매우 미미하거나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것은 단지 "공동 민주주의가 평화를 유발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을 뿐이다. Rosato에 따르면, 이것은 민주주의가 실제로 원인인지 아닌지에 대한 의구심을 갖게 한다. 왜냐하면, 만약 그렇다면, 모나디드 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이다.[7]
아마도 그러한 인식된 변칙에 대한 가장 간단한 설명(그러나 현실주의 로자토가 선호하는 것은 아니고, 아래의 현실주의 설명 섹션을 참조)은 민주주의는 민주적이기 때문에 서로 평화롭지 않고 오히려 비슷하기 때문에 서로 평화롭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상은 "독재적 평화" 효과에 대한 몇 가지 독립적인 관찰로부터 시작되었는데, 이는 두 국가 모두 비민주적이거나 둘 다 매우 그러했던 국가들 사이의 전쟁 가능성 감소(확실히 어떤 저자도 자신의 부재를 주장하지 않는다)에서 비롯되었다.[145][146] 이는 사실상 유사한 국가의 일부분들을 분석할 때 특정한 경우로서 민주평화가 나타난다는 가설을 낳게 되었다.[147] 또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유사성은 전쟁의 개연성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완전한 민주주의나 적나라한 독재국가 같은 강력한 정치체제의 일관성에만 영향을 미친다.
독재적 평화와 정치적 유사성에 기초한 설명은 비교적 최근의 전개로 그 가치에 대한 견해가 다양하다. 헨더슨은 정치적 유사성, 지리적 거리, 경제적 상호의존성을 주요 변수로 간주하여 모델을 구축하고, 민주평화는 위의 변수를 고려했을 때 사라지는 통계적 유물이라고 결론짓는다.[148] 베르너는 일반적으로 정치적 유사성으로 인한 갈등의 감소 효과를 발견하지만, 민주적인 다이애드가 특히 평화롭기 때문에, 동맹과 권력 평가에 관한 민주적, 독재적 다이애드 사이의 행동의 일부 차이를 언급했다.[147] 벡, 킹, 쩡은 신경망을 이용하여 높은 민주주의와 높은 독재 정권에 해당하는 두 개의 뚜렷한 낮은 확률 구역을 보여준다.[149][e] 피터슨은 다른 통계적 모델을 사용하며 독재적 평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으며 유사성에 기인하는 효과는 대부분 공동 민주주의의 평화적 효과에 의해 추진된다는 것을 발견한다.[150] 레이는 '정치적 유사성'에 대한 통계적 분석이 언어적 재분명에 의한 '공동민주주의'의 연장선상에 있는 주요 변수를 사용한다고 주장하면서 논리의 무게에 대해서도 논리에 따라 논쟁하고 있어, 새로운 분석에서도 전쟁 감소 효과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151] 베넷은 국가를 "민주주의", "자치주의" 그리고 "혼합"으로 3차 분류하는 것에 기초하여 직접적인 통계적 모델을 구축한다. 그는 독재적 왕조들이 참조 혼합 왕조와 관련하여 어떤 형태의 무력 충돌에도 들어갈 확률은 35%나 낮다는 것을 발견한다. 민주주의의 다이애드들은 55%의 가능성을 줄였다. 이 영향은 더 심각한 충돌을 볼 때 더 강해진다; 전쟁 (전투 사망자 1000명 이상)의 경우, 그는 민주적인 다이애드가 독재적인 다이애드보다 82% 낮은 위험을 가질 것으로 추정한다. 그는 독재적 평화가 존재하지만 민주적 평화가 분명히 더 강하다고 결론짓는다. 그러나 그는 그 규모의 극단을 제외하고는 정치적 유사성의 관련성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발견하지 못한다.[152]
다소 복잡한 그림을 요약하자면, 이 비판의 가치에 대한 입장은 네 가지 이상이다.
- 정치적 유사성, 그리고 몇 가지 보완적 변수들이 모든 것을 설명한다. 민주평화는 통계적 유물이다. 헨더슨은 이 견해에 동의한다.
- 정치적 유사성은 진정 효과가 있지만 민주주의는 그것을 더 강하게 만든다. 베르너는 아마 이 견해에 동의할 것이다.
- 일반적으로 정치적 유사성은 민주주의-독재적 규모의 극단을 제외하고는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민주적 평화와 독재적 평화는 따로 존재하며, 첫 번째 평화는 더 강하며, 설명이 다를 수 있다. 베넷은 이런 견해를 가지고 있고 킨셀라는 이것을 가능성으로 언급하고 있다.
- 정치적 유사성은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독재적 평화에 대한 증거가 없다. 피터슨과 레이는 이 견해의 피고인 중 한 명이다.
경제요인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1/World_GDP_Capita_1-2003_A.D.png/350px-World_GDP_Capita_1-2003_A.D.png)
자본주의 평화, 즉 자본주의 평화론은 주어진 경제 발전 기준(자본주의)에 따라 선진국들이 서로 전쟁을 벌이지 않았고, 하급 분쟁에 거의 들어가지 않았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이론들은 민주주의와 민주주의 국가들 간의 평화를 모두 설명함으로써 민주평화에 대한 설명으로 제시되어 왔다. 인과관계의 정확한 성질은 제안된 변수와 사용된 개념에 대한 지표의 측도에 따라 달라진다.
민주주의의 결정요인에 대한 대다수의 연구자들은 경제 발전이 안정적이고 건강한 민주주의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일차적인 요소라는 데 동의한다.[153][154] 따라서 일부 연구자들은 경제 발전도 평화 정착에 한 요인이 된다고 주장해 왔다.
무소는 선진시장 중심의 경제에서 위축된 문화가 민주주의와 평화를 둘 다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연구들은 민주주의만이 민주평화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 시장 중심의 경제 발전 수준이 낮으면 진보적 제도와 가치관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84][155][156][85] 헤그리와 수바는 이러한 기대를 확인했다.[157][158] 무사우는 두 민주주의 국가가 모두 세계 중앙값보다 훨씬 높은 경제 발전 수준을 가지고 있을 때만이 민주주의가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발견한다. 사실, 가장 가난한 21%의 민주주의 국가들, 그리고 현재 민주주의 국가들 중 가장 가난한 4~5%는 다른 종류의 나라들보다 훨씬 더 서로 싸울 가능성이 높다.[85] 무소, 헤그르, 오닐은 적어도 관련 민주주의 국가들 중 한 곳이라도 경제 발전 수준이 매우 낮다면, 민주주의는 전쟁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지만, 그들은 또한 무역을 통제할 때, 민주주의의 평화화 효과가 중요한 두리(duri)가 될 만큼 충분히 높은 발전을 했다는 것을 발견한다.ng 1885–1992년 및 1992년.[159] 이 두 연구 결과의 차이는 표본 추출에 기인할 수 있다. 무소의 2005년 연구는 가난한 나라들이 실제로 서로 싸울 수 있는 이웃 국가들만을 관찰했다. 사실 1920년과 2000년 사이의 덜 발달한 국가들 간의 군국화 충돌의 89%는 직접적인 인접국들 사이에 있었다.[160] 그는 그 결과가 무역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을 것 같지 않다고 주장한다. 선진국은 큰 경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무역 상호의존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161][162] 사실, 발달된 민주주의와 무역의 상호의존성의 상관관계는 거의 0.06이다([163][improper synthesis?]Peerson의 r - 통계학자들이 실질적으로 상관관계가 없다고 간주함).
두 세계대전은 모두 경제적으로 발전했다고 볼 수 있는 나라들 사이에서 싸웠다. 무소는 독일과 일본 모두 냉전시대 구소련이나 오늘날 사우디 아라비아처럼 국가가 관리하는 경제를 가지고 있어서 그의 시장 규범이 부족했다고 주장한다.[164] 헤그레는 민주주의가 선진국들, 그리고 읽고 쓰는 능력이 높은 나라들을 위해서만 시민 평화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반대로 내전의 위험은 민주주의 국가만을 위한 개발과 함께 감소한다.[153]
가트츠케는 경제적 자유(무소의 시장규범과는 전혀 다른 개념)나 금융의존성이 발달한 민주평화를 설명하며, 이들 국가들도 이러한 차원에 약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165][166][167] 럼멜은 가츠케의 방법론을 비판하며 그의 결과가 무효라고 주장한다.[168]
앨런 다포, 존 R. 오닐과 브루스 루셋은 가트츠케와 무소의 연구에 도전했다.[169]
몇몇 연구는 민주주의, 더 많은 무역이 더 큰 경제적 상호의존성을 야기하고 더 많은 정부간 기구에 가입하는 것이 전쟁의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발견한다. 이것은 영구적인 평화에 대한 칸트의 초기 이론과 비슷하기 때문에 종종 칸트 평화 이론이라고 불린다. 특히 무역과 민주주의의 영향에 초점을 맞출 때 종종 "자유 평화" 이론이라고도 불린다. (자유 무역이 평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이론은 꽤 오래되어 코브덴주의라고 불린다.) 많은 연구자들은 이러한 변수들이 서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각각은 별개의 진정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에 동의한다. 예를 들어, 상당한 양의 무역을 교환하는 국가에서는 호혜적인 파괴 전쟁을 반대하는 경제적 이익 집단이 존재할 수 있지만, 민주주의에서는 그러한 집단이 더 많은 힘을 가질 수 있고, 정치 지도자들은 그들의 요청을 더 잘 받아들일 가능성이 있다.[170][171][172] Weede는 자유 무역과 경제적 상호의존성의 평화 효과가 민주주의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전자는 경제 발전과 궁극적으로는 민주주의를 생산함으로써 직간접적으로 평화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154] Weede는 또한 이 관점을 지지하는 몇몇 다른 작가들도 열거했다. 그러나 최근의 몇몇 연구들은 무역에서 아무런 영향도 받지 않고 오직 민주주의에서만 발견된다.[173][174]
목록에 오른 작가들 중 어느 누구도 자유무역만이 평화를 유발한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그렇더라도 평화유지에 있어 자유무역이냐 민주주의냐의 문제는 예를 들어 독재국가에 대한 경제제재와 제한을 적용하는 실효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 잠재적으로 상당한 실질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칸트의 3개 조항을 민주평화론에 재도입한 사람은 마이클 도일이었다. 그는 자유주의 국가들의 태평양 연합이 지난 2세기 동안 성장해 왔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 쌍의 국가가 단지 둘 다 자유민주주의 국가라는 이유만으로 평화로워질 것이라는 것을 부인한다; 만약 그것이 충분하다면, 자유주의 국가들은 약한 자유주의 국가들에 대해 공격적이지 않을 것이다. (멕시코와의 미국 관계의 역사가 보여주듯이) 오히려 자유민주주의는 국제기구와 환대(칸트의 다른 두 조항)에 필요한 조건이며, 세 가지 모두 평화를 만들기에 충분하다.[25][175] 다른 칸트주의자들은 삼합회의 세 명 모두가 반드시 참석해야 한다는 도일의 주장을 되풀이하지 않고, 대신 세 명 모두 전쟁의 위험을 줄인다고 명시하고 있다.
임마누엘 왈러슈타인은 지배적인 정당들 사이에 공유된 이익을 창출하여 잠재적으로 해로운 호전성을 억제하는 것이 글로벌 자본주의 체제라고 주장해 왔다.[176]
토니 네그리와 마이클 하트는 세계 자본주의에 얽힌 이해의 네트워크는 개별 국가들의 쇠퇴로 이어지고, 외부도 없고 외부의 적도 없는 세계 제국이 부상하게 된다고 주장하면서 비슷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 결과 그들은 "제국주의, 중간제국주의, 반제국주의 전쟁의 시대는 끝났다. (...) 우리는 사소한, 내부적인 갈등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모든 제국 전쟁은 내전이고, 경찰의 행동이다."[177]
기타 설명
그 이론을 뒷받침하는 많은 연구들이 평화의 많은 가능한 대안적 원인들을 통제해왔다. 제어되는 요인의 예로는 지리적 거리, 지리적 인접성, 권력 지위, 동맹 관계, 군국화, 경제 부와 경제 성장, 권력 비율, 정치적 안정 등이 있다. 이런 연구들은 방법론에 따라 매우 다른 결과를 종종 발견해내고 변수를 포함시켜 비판을 초래했다. DPT는 민주주의가 군사적 충돌의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것이라고 명시하지 않는다. 언급된 많은 연구들은 다른 요소들도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했다.[38][151][172]
평화에서 민주주의에 이르는 역인도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여러 연구가 통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 연구는 전쟁에 관여하는 다이애드가 공동 민주주의의 감소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고, 이는 결국 추가 전쟁의 확률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밝혀내면서 동시 인과 이론을 뒷받침한다. 그래서 그들은 민주화와 민주국가들 사이의 논쟁은 체제를 안정시키기 위해 매우 이른 시기에 대외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178] 또 다른 연구는 평화가 민주주의를 전파하는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를 확산시키는 것이 평화를 확산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전쟁이 임박하면 민주주의를 파괴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는 주장에는 다른 종류의 역인화가 있다. 왜냐하면 전쟁에 대한 준비에는 정치적 제약이 포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민주주의 평화의 발견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179] 그러나, 이 가설은 저자들이 전쟁 전 기간의 정의에 따라, 그러한 영향이나 매우 경미한 것을 발견하는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시험되었다. 그래서 그들은 이 설명이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한다.[43] 이 설명은 다이디치 효과보다 약하지만 단디치 효과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dubious ]
위아트는 민주주의가 나타났다가 사라지면 평화로움이 빠르게 나타나고 사라진다고 주장한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더 느리게 변하는 변수가 설명일 가능성은 낮다.[33] 그러나 와트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정량적 분석을 내놓지 않아 비판을 받아왔다.[180]
이웃 국가들 사이에 전쟁이 매우 강하게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 Gleditsch는 민주주의 국가 사이의 평균 거리가 약 8000마일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는데, 이것은 모든 국가들 사이의 평균 거리와 같다. 그는 민주주의 평화에 의해 변형된 전쟁을 예방하는 데 거리감이 미치는 영향은 전쟁의 발생을 설명할 수 있는 한 충분히 설명한다고 믿는다.[53]
국제기구의 2020년 연구에 따르면 갈등의 가능성을 줄이는 것은 민주주의가 아니라 여성의 참정권이 보장되는지 여부였다. 이 연구는 "여성의 보다 평화적인 선호는 일변도의 평화뿐만 아니라 (즉, 민주주의 국가들 사이의) 일변도의 민주적 평화도 만들어 낸다"고 주장했다.[181]
현실주의 설명
국제관계의 현실주의 지지자들은 일반적으로 민주주의나 그 부재가 아니라 권력에 대한 고려와 평가가 평화나 전쟁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 구체적으로, 많은 현실주의 비평가들은 민주주의 혹은 자유주의, 평화에 기인하는 효과는 사실 어느 쪽이든 현실주의 요인에 의해 야기되는 민주주의 국가들 간의 동맹 관계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파버와 고와는 민주주의 국가들 사이의 평화가 1945년부터의 기간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증거를 발견하며, 그러한 평화를 공산주의 국가들로부터의 위협이 민주주의 국가들로 하여금 서로 동맹하도록 강요했던 냉전의 유물이라고 여긴다.[182] 미어스하이머는 독일의 위협에 의해 야기된 1945년 이전의 영미 평화에 대한 유사한 분석을 제공한다.[183] 스피로는 민주주의 국가들 간의 전쟁의 여러 예를 발견하며, 그 이론에 찬성하는 증거가 다른 작가들이 보도하는 것처럼 그렇게 방대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주장하면서, 나머지 증거는 공동의 목적을 가진 동맹국들 간의 평화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민주국가들이 서로 동맹하려는 경향이 다소 더 클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이것을 민주평화의 유일한 실질적인 효과로 간주한다.[107] 로자토는 민주주의 평화에 대한 대부분의 중요한 증거들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관찰되어 왔고, 그것이 팍스 아메리카나의 일부로서 미국의 지배력에 의해 강요되고 유지되는 나토와 그 위성국가들과 동일시될 수 있는 넓은 동맹 안에서 일어났다고 주장한다. 로자토의 주장의 요점 중 하나는 냉전 기간 동안 다른 자유민주주의와 개방전쟁을 벌인 적은 없지만, 1973년 칠레 쿠데타, 아약스 작전(1953년 이란 쿠데타), PBSucc 작전 등 여러 차례 민주국가의 정치문제에 미국이 공공연히 또는 은밀하게 개입했다는 점이다.에스(1954년 과테말라 쿠데타); 로자토의 견해에 따르면, 이러한 개입은 "제국주의 평화"[7]를 유지하려는 미국의 의지를 보여준다.
그러한 비판에 대한 가장 직접적인 반대 논거는 민주주의 국가들 사이의 평화가 동맹 관계에 반영되는 "공동의 이익"을 위해 지배할 때 조차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연구였다.[63][21] 구체적인 사안과 관련해 레이는 냉전을 바탕으로 한 설명을 통해 공산권 내부에서도 평화로울 것이라고 예측해야 하지만, 예외는 소련 침공,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중-베트남 전쟁 등이다. 레이는 또 터키 키프로스 침공(그리스의 준타가 키프로스 침공), 포클랜드 전쟁, 축구 전쟁 등 적어도 관련국들 중 하나가 비종교 국가였을 때 외부 위협이 서구권의 충돌을 막지 못했다고 주장한다.[38] 또한, 한 연구에서는 "냉전 이후 세계가 민주주의 국가들 사이에 점점 더 많은 평화적 왕년의 수를 축적함에 따라 점점 더 케케묵어 간다"[184]는 설명에 주목한다. 미국의 우위에 대한 로자토의 주장 역시 통계적 근거를 뒷받침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아왔다.[185]
일부 현실주의 작가들 역시 민주평화 지지자들의 해설을 먼저 상세히 비판하면서, 추측되는 모순이나 약점을 지적하기도 한다.
Rosato는 민주주의가 어떻게 평화를 유발할 수 있는지에 대한 대부분의 설명을 비판한다. 규범적 제약에 근거한 논쟁은 민주주의가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전쟁을 방지하는 규범을 위반한다는 사실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그는 주장한다. 같은 이유로 그는 여론의 중요성에 근거한 주장을 반박한다. 지도자들의 더 큰 책임에 근거한 설명에 대해, 그는 역사적으로 독재적인 지도자들이 값비싼 전쟁에 연루되었을 때 민주적인 지도자들보다 더 자주 제거되거나 처벌받았다는 것을 발견한다. 끝으로 그는 민주주의가 위기 중에도 서로를 신뢰와 존중으로 대한다는 주장과 민주주의가 복합적이고 다양한 집단과 의견을 동원하는 데 더디게 작용해 전쟁의 시작을 방해해 다른 저자들의 지지를 이끌어낼 수도 있다고 비판하기도 한다.[7] 또 다른 현실주의자 Layne은 비동맹 민주주의 강대국들 사이에서 일어났던 위기와 벼랑 끝 전술을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분석한다. 그는 전쟁에 대한 제도적 또는 문화적 제약의 증거를 찾지 못했다. 실제로, 양쪽 모두 전쟁에 찬성하는 대중적 정서가 있었다. 그 대신, 모든 경우에 있어서, 한쪽은 그 당시의 전쟁을 무릅쓸 여유가 없다고 결론짓고, 필요한 양보를 했다.[186]
로자토의 반대는 논리적이고 방법론적인 오류로 주장되어 왔고, 기존의 통계 연구와 모순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23] 루셋은 자신의 글에서 연구된 위기 중 일부를 재조사하고 다른 결론에 도달함으로써 라인에게 대답한다; 루셋은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이 격화를 막거나, 그렇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118] 또한, 최근의 한 연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국제 분쟁의 결과는 경쟁국들의 상대적인 군사력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만, 두 경쟁국가가 모두 민주국가라면 이는 사실이 아니다; 이 경우 저자들은 위기의 결과가 경쟁국들의 군사적 역량과 무관하다고 생각한다.y를 현실주의적인 기대치로.[63] 마지막으로, 여기의 두 현실주의 비판은 아래에서 논의된 게임 이데올로기적 설명과 같이 가능한 새로운 설명을 무시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187]
핵억제력
다른 종류의 현실주의 비판은 평화를 유지하는 데 있어 핵무기의 역할을 강조한다. 현실주의적인 측면에서 이는 핵보유국 간의 분쟁의 경우 상호확증파괴로 인해 양쪽이 합리적으로 "승리"라고 할 수 있는 것을 예견하지 못하기 때문에 각각의 권력평가는 무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188] 1999년 인도와 파키스탄의 카르길 전쟁은 비록 작은 지역 분쟁이었고 대량살상무기의 사용 위협이 그것의 분리에 기여하였지만,[56] 이 논쟁의 대표적인 예로 인용되었다.[189]
민주평화의 일부 지지자들은 현실주의적 요소도 중요하다는 것을 부인하지 않는다.[118] 이 이론을 지지하는 연구는 또한 동맹 관계와 주요 권력 지위 같은 요소들이 주간 분쟁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1]
영향
민주평화론은 정치학자들 사이에서 극도로 분열되어 왔다. 이상주의적이고 고전적인 자유주의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지배적인 현실주의 이론에 반대한다.
미국에서는 거대 양당의 대통령들이 이 이론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1994년 국정연설에서 당시 민주당 소속이었던 빌 클린턴 대통령은 "궁극적으로 우리의 안보를 보장하고 항구적인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최선의 전략은 다른 곳에서 민주주의의 발전을 지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주의는 서로를 공격하지 않는다"[190]고 말했다. 2004년 기자회견에서 당시 공화당 소속이었던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내가 민주주의에 강한 이유는 민주주의가 서로 전쟁을 벌이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왜 대부분의 사회 사람들은 전쟁을 좋아하지 않는지, 그리고 그들은 전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한다... 나는 평화를 촉진하기 위해 민주주의에 큰 신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나는 중동, 더 넓은 중동에서 앞으로 나아갈 길은 민주주의를 고취하는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다."[191][f]
1999년 연설에서 크리스 패튼 당시 유럽 대외관계담당 집행위원은 "EU가 부분적으로 자유주의적 가치를 보호하기 위해 결성되었기 때문에 우리가 목소리를 내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전략적인 이유로도 합리적이다. 자유 사회는 서로 싸우거나 나쁜 이웃이 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193] 유럽안보전략은 "우리의 안보를 위한 최선의 보호는 잘 통치된 민주국가들의 세계"라고 명시하고 있다.[194] 토니 블레어 또한 그 이론이 옳다고 주장했다.[195]
전쟁을 개시하기 위한 정당성으로서
일부 사람들은 민주평화론이 민주적 개혁운동에서 항구적인 평화를 가져오기 위해 비종교적 국가들과의 전쟁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다고 우려한다.[196] 우드로 윌슨(Woodrow Wilson)은 1917년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 전쟁과 짐머만 전보로 인한 미국 선박 침몰 사건을 거론하면서도 "민주국가의 협력 없이는 평화를 위한 확고한 콘서트는 결코 유지될 수 없다" "세계는 반드시 안전을 위해 만들어져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며 의회에서 독일과의 전쟁을 선포할 것을 요청했다. 민주주의"[197][g] R. J. 럼멜은 이 이론에 근거하여 민주주의를 확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전쟁의 주목할 만한 지지자였다.
민주평화론이 2003년 이라크전쟁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됐다는 지적도 있고, 이 명분이 이미 전쟁이 시작된 뒤에야 이용됐다는 주장도 있다.[198] 게다가 위데는 정당성이 극히 약하다고 주장해 왔는데, 그 이유는 이라크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완전한 독재국가인 비민주주의에 둘러싸인 국가를 강제로 민주화하는 것은 적어도 전쟁의 위험을 줄이는 것만큼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일부 연구 결과에서는 하나의 민주주의와 하나의 독재체제로 형성된 다이애드가 있다). 가장 전쟁적인 것으로서, 몇몇은 전쟁의 위험이 비제국주의로 둘러싸인 민주주의 국가에서 크게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한다.[154][verification needed] 위데에 따르면 미국과 동맹국들이 그가 여전히 권고하지 않는 민주평화에 바탕을 둔 강제 민주화의 근거적 전략을 채택하고 싶다면 적어도 한두 개의 안정된 민주국가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국가에 개입하기 시작해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것이 최선일 것이다. 또한 외부의 힘을 이용해 민주주의 국가를 만들려는 시도는 종종 실패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Gleditsch, Christiansen, Hergre는 개입주의에 의한 강제 민주화는 처음에는 부분적인 성공을 거두기도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불안정한 민주화 국가를 만들기도 한다고 주장한다.[66]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오스트리아, 서독, 일본의 민주화와 같이 영구적이고 안정적인 성공을 거둔 시도들은 대부분 이미 선진 경제사회 구조를 가진 나라들을 참여시켰고, 전체 정치 문화의 급격한 변화를 암시했다. 내부 민주화 운동을 지원하고 외교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더 성공적이고 비용이 덜 들 수도 있다. 따라서, 이론과 관련 연구가 제대로 이해되었다면, 실제로 민주적인 십자군에 반대하는 주장이 될 수도 있다.[33][36][198]
마이클 하스는 아마도 숨겨진 규범적 의제에 대한 가장 신랄한 비평을 썼다. 제기된 사항 중: 표본추출 조작으로 인해, 이 연구는 민주주의가 비민주적 국가들과 정당하게 싸울 수 있고, 신생 민주주의 국가들을 쫓아낼 수 있으며, 심지어 민주주의를 강요할 수 있다는 인상을 준다. 그리고 허술한 정의 때문에 민주주의가 비민주적인 관행을 계속하면서도 마치 자연 그대로의 민주주의처럼 표본에 남아 있다는 우려는 없다.[199]
이러한 비판은 폭력적인 수단으로 민주주의를 강요하려는 거의 모든 역사적 시도가 실패했음을 발견한 데이비드 킨에 의해 확인된다.[200]
아자르 개트의 인류 문명 전쟁에 따르면, 민주 사회가 다른 형태의 정부들보다 더 평화롭게 되는 몇 가지 관련적이고 독립적인 요소들이 있다.[201]
- 부와 편안함: 민주주의 사회의 번영은 평화로 연결되었다. 왜냐하면 현대 이전보다 가정에서의 호화로운 생활로 인해 민간인들이 전쟁과 군복무의 어려움을 견디지 못하기 때문이다. 부의 증가는 위안을 통한 전쟁을 줄이는 데 일조했다.[202]
- 대도시 서비스 사회: 육군 신병 대다수는 농촌 출신이거나 공장 노동자 출신이다. 많은 사람들은 이런 종류의 사람들이 전쟁에 적합하다고 믿는다. 그러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군대는 컴퓨터화된 데이터에 더 의존하는 정보에서 선진화된 서비스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고, 도시화된 사람들은 이 서비스를 위해 더 많이 채용되었다.[203]
- 성적 혁명: 알약으로 인한 성관계의 가능성과 노동시장에의 여성의 참여가 남성들의 전쟁열기를 덜게 한 또 다른 요인이 될 수 있다. 젊은이들은 군대의 가혹함과 정절을 위해 삶의 쾌락을 뒤로하고 떠나는 것을 더 꺼린다.[204]
- 더 적은 수의 젊은 남성: 더 많은 기대수명이 있어서 더 적은 수의 젊은 남성들을 낳는다. 젊은 수컷이 가장 공격적이고 군대에 가장 많이 입대하는 수컷이다. 발달된 사회에서 더 적은 수의 젊은 남성들이 더 평화로운 것을 설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가족당 자녀 수 감소(출산율 감소): 현대에 들어서기 전에는 항상 아이를 잃는 것이 힘들었지만, 현대에 와서 한 두 명의 아이만 갖는 가정이 늘어나면서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부모가 전쟁 중에 아이를 잃는 위험을 무릅쓰는 것은 더욱 어려워졌다. 하지만, Gat은 현대에 있어서 아이들의 기대수명이 높지 않았고 더 큰 가족이 필요했기 때문에 이 주장이 어려운 주장이라는 것을 인정한다.[206]
- 여성 프랜차이즈: 여성들은 남성들보다 덜 공격적이다. 따라서 여성들은 심각한 폭력에 대한 성향이 덜하고 남성들만큼 그것을 지지하지 않는다.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여성들은 선출됨으로써 정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더 많은 여성들을 선출하는 것은 자유민주주의 국가들이 특정 문제에 더 적극적으로 접근하는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207]
- 핵무기: 핵무기가 큰 권력 전쟁을 치르지 않는 이유일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은 핵전쟁이 상호확증파괴(MAD)를 초래할 것이라고 믿는다. 이는 핵전쟁에 관련된 두 나라 모두 양쪽이 모두 소멸될 때까지 상대방을 공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국가들이 전멸될 것을 두려워하여 상대방을 공격하기를 원하지 않는 결과를 낳는다.[208]
관련 이론
유럽 평화
1945년 이후 유럽의 주요 일반 전쟁이 없었던 것은 자유민주주의 유럽 국가들 자체의 협력과 통합 때문인가(유럽연합이나 프랑코-독일 간 협력), 1989년까지 소련과 미국의 개입으로 인한 강제적인 평화, 그리고 미국의 개입으로 인한 강제적인 평화에 기인한 것인가에 대해 상당한 논쟁이 있다.그 이후 테스 혼자 또는 둘 다의 조합이다.[209][210]
이 이론에 대한 논쟁은, 2012년 노벨 평화상이 유럽연합에 수여되었을 때, 유럽의 평화를 만드는 데 있어 그것의 역할로 인해 대중의 주목을 끌었다.[211]
참고 항목
참고 및 참조
메모들
- ^ 유럽에 이를 정도로 한 한국에 뿐만 아니라 여러 이웃 민족 사이에서 동시에 내에서 시작될 때 평등의 원칙이 전해지면서", 이러한 여러 나라의 다른 언어, 관습, 그리고 법임에도 불구하고 주민들, 항상 평화의 전쟁과 사랑의 동등한 두려움에서 서로 닮는다. 허사였다 또는 화난 왕자들 팔 전쟁을 위해;그들 자신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일반적 무관심과 친선의 손으로 검의 떨어진다 어떤 종류에 의해 잠잠해진다 야심 찬. 전쟁이 일어나기가 더."[13]
- ^ 참조 최종 후보, 파르티잔이다,과 전체 저서 목록이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1을 그 문제에 더 나은 소개의 일부 최근 논문이 부족하다.[22]
- ^ 다른 그러한 순위 스티브 찬과 Ze'ev Maoz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28] 또한 참조하 SIPRI[29]와 피터 D. 왓슨 센터 갈등 그리고 협력.[30]
- ^ 는 1999년 카르길 전쟁, 기간 고려된 이후, 민주주의와 전쟁의 목표 요구 사항 레이의 연구에서 설정을 만족시킨다.
- ^ 비록 그 텍스트로 논의 되지 않았지만(그림 2) 보여 주는 수치가 민주적 평화 더 강하다는 것을 암시합니다.[독창적인 연구?]
- ^ "역사는 많지 않전쟁 민주주의를 가르쳐 왔다. 민주주의 – 당신은 사무실에 대한 민주주의에 있으면, 투표하라고 달리지 않아요.(웃음.)전쟁을 약속합니다. 당신은 민주주의에서 공직에 나를 위해 투표, 나는 당신의 이익을 대변할 겁니다. 나를 위해 투표, 나는 당신의 어린 여자 아이들은 학교, 아니면 개선된 건강 관리에 진학하도록 돕겠다고 말하고 있다."[192]
- ^ 세계 월드 1차 대전, 그의 14개(1918년), 후에 윌슨의 비전지만, 다른 측면에서"거의지만 칸트 윌슨의 글 손을 이끌어로 소리."민주주의 언급하지 않았다. 그들은 둘 다 칸트의 국제 법과 태평양 노조 포함했다. 그 14포인트의 3분 열 나흗날 국제 연맹에 제공되는 평화로운 나라 간의 경제적 장벽을 없애는 것을 지정했습니다.[32]
참조
- ^ Russett, Bruce (1993). Grasping the Democratic Peace: Principles for a Post-Cold War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1-4008-2102-0.
- ^ Hegre, Håvard (2014). "Democracy and armed conflict". Journal of Peace Research. 51 (2): 159–172. doi:10.1177/0022343313512852. ISSN 0022-3433. S2CID 146428562.
- ^ Doyle, Michael W. (May 15, 2017), "Kant, Liberal Legacies, and Foreign Affairs*", Immanuel Kant, Routledge, pp. 503–533, doi:10.4324/9781315252629-22, ISBN 978-1-315-25262-9, retrieved August 13, 2021
- ^ Deudney, Daniel H. (2007). Bounding Power: Republican Security Theory from the Polis to the Global Vill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1-4008-3727-4.
- ^ Reiter, Dan (October 25, 2012), "Democratic Peace Theory", Political Sc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obo/9780199756223-0014, ISBN 978-0-19-975622-3, retrieved August 13, 2021
- ^ Hobson, Christopher (2017). "Democratic Peace: Progress and Crisis". Perspectives on Politics. 15 (3): 697–710. doi:10.1017/S1537592717000913. ISSN 1537-5927. S2CID 149278000.
- ^ Jump up to: a b c d e f g h 로제 와인을 말한다. 2003년.
- ^ Jump up to: a b c Downes, Alexander B.; Sechser, Todd S. (2012). "The Illusion of Democratic Credibility". International Organization. 66 (3): 457–489. doi:10.1017/S0020818312000161. ISSN 0020-8183. JSTOR 23279964. S2CID 154325372.
- ^ Jump up to: a b 땐 2013을.
- ^ Jump up to: a b Imai, Kosuke; Lo, James (2021). "Robustness of Empirical Evidence for the Democratic Peace: A Nonparametric Sensitivity Analysis". International Organization. 75 (3): 901–919. doi:10.1017/S0020818321000126. ISSN 0020-8183.
- ^ 레비&톰슨 2011년.
- ^ 1945년 페이지의 주 27Paine.
- ^ Alexisde토크빌. 1988년,를 대신하여 서명함. 659–660.
- ^ 바브스트 1964.
- ^ 밥스트 1972.
- ^ Small & Singer 1976, 페이지 50–69.
- ^ 마오즈 & 압돌리 1989. (
- ^ Jump up to: a b c 브레머 1992.
- ^ Jump up to: a b Maoz & Russett 1993. CATEREFMaozRussett1993(
- ^ Jump up to: a b 쾨클러 1995.
-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j k l 레이 2003.
- ^ Jump up to: a b 럼멜 N.D.
- ^ Jump up to: a b c 킨셀라 2005.
- ^ Jump up to: a b 스몰 앤 싱어 1976.
- ^ Jump up to: a b c d e f 도일 1983.
- ^ Ray 1995, 페이지 100.
- ^ Jump up to: a b c d 럼멜 1997.
- ^ 마오즈 1997.
- ^ SIPRI N.D.
- ^ 피터 D. 왓슨 분쟁 및 협력 센터.
- ^ Gleditsch 1992.
- ^ Jump up to: a b 러셋 1993. sfn 오류: 다중 표적(2×): CITREFRussett1993(도움말)
- ^ Jump up to: a b c d e f Weart 1998.
- ^ 맨스필드 & 스나이더 2002.
- ^ 맨스필드 & 스나이더 2005.
- ^ Jump up to: a b 오웬 2005년
- ^ 브라운관 2004.
- ^ Jump up to: a b c d 레이 1998.
- ^ 헤그레 2004.
- ^ Jump up to: a b 슈워츠 & 스키너 2002 페이지 159.
- ^ 레이 1995, 페이지 103.
- ^ 러셋 1993, 페이지 50. sfn 오류: 다중 표적(2×): CITREFRussett1993(도움말)
- ^ Jump up to: a b 무사 & 시 1999.
- ^ Jump up to: a b 뮐러 & 울프 2004.
- ^ Jump up to: a b 브레머 1993.
- ^ Gelditsch 1992.
- ^ 2005년 화이트.
- ^ 조지 & 베넷 2005, 페이지 52.
- ^ 스타인손 2018.
- ^ 슐츠 2001, 페이지 161–196.
- ^ 헬만 & 헤르보스 2008.
- ^ 러셋 2006.
- ^ Jump up to: a b c Gleditsch 1995.
- ^ Jump up to: a b c d 고와 1999.
- ^ 마오즈 1997, 페이지 165.
- ^ Jump up to: a b 2004년 포트나 페이지
- ^ 레이 1998, 페이지 89.
- ^ Jump up to: a b c 웨이맨 2002.
- ^ 메어스하이머 1990 페이지 50.
- ^ 도일 1997, 페이지 261.
- ^ 민주주의의 세기 1999.
- ^ 헨젤, 고어츠 & 다일 2000.
- ^ Jump up to: a b c d e f g h 겔피 & 그리스도르프 2001.
- ^ 베르너 & 렘케 1997.
- ^ 2017년을 반복한다.
- ^ Jump up to: a b c Gleditsch, Christiansen & Hegre 2004.
- ^ Repeat & Stam 2003.
- ^ 콰켄부시 & 루디 2006.
- ^ 페케니 & 맥주 2003.
- ^ 페케니 & 버틀러 2004.
- ^ 라이앤슬레이터 2006.
- ^ Peceny, Mark; Beer, Caroline C.; Sanchez-Terry, Shannon (2002). "Dictatorial Peace?".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6 (1): 15–26. doi:10.1017/S0003055402004203. ISSN 0003-0554. JSTOR 3117807. S2CID 229169370.
- ^ Jump up to: a b Gibler & Owsiak 2017.
- ^ 헤그레 외 2001년
- ^ 아바디 2004.
- ^ 하프 2003.
- ^ Davenport & Armstrong II 2004, 페이지 1.
- ^ 데이븐포트 & 암스트롱 II 2003.
- ^ Abulof & Goldman 2015.
- ^ Jump up to: a b c 브라운관 1997.
- ^ 프로스트 2000, 페이지 9–11, 114, 181, 323.
- ^ Jump up to: a b 라블로 & 그레디치 2000.
- ^ 루셋 1993, 페이지 5–11, 35, 59–62, 73–4. sfn 오류: 다중 표적(2×): CITREFRusset1993(도움말)
- ^ Jump up to: a b 무사 2000.
- ^ Jump up to: a b c 무소 2005.
- ^ Tomz, Michael R.; Weeks, Jessica L. P. (2013). "Public Opinion and the Democratic Peace".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107 (4): 849–865. doi:10.1017/S0003055413000488. ISSN 0003-0554. JSTOR 43654037. S2CID 8593119.
- ^ 칸트 1795.
- ^ 러셋 1993, 페이지 30. sfn 오류: 다중 표적(2×): CITREFRussett1993(도움말)
- ^ 도일 1997, 페이지 272.
- ^ 도일 1997, 페이지 292.
- ^ Carter, Jeff (2017). "The Political Cost of War Mobilization in Democracies and Dictatorships".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61 (8): 1768–1794. doi:10.1177/0022002715620469. ISSN 0022-0027. S2CID 150763546.
- ^ Jump up to: a b 레비 & 라진 2004.
- ^ 콜먼 2002년
- ^ LeVeck, Brad L; Narang, Neil (2017). "The Democratic Peace and the Wisdom of Crowds".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61 (4): 867–880. doi:10.1093/isq/sqx040. ISSN 0020-8833.
- ^ de Mesquita, Bruce Bueno; Morrow, James D.; Siverson, Randolph M.; Smith, Alastair (1999). "An Institutional Explanation of the Democratic Peace".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3 (4): 791–807. doi:10.2307/2586113. ISSN 0003-0554. JSTOR 2586113.
- ^ Fearon, James D. (September 1994). "Domestic Political Audiences and the Escalation of International Disput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88 (3): 577–592. doi:10.2307/2944796. JSTOR 2944796.
- ^ Tomz, Michael (2007). "Domestic Audience Costs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 Experimental Approach". International Organization. 61 (4): 821–40. CiteSeerX 10.1.1.386.7495. doi:10.1017/S0020818307070282. ISSN 0020-8183. S2CID 154895678.
The seminal article is Fearon 1994.
- ^ 슐츠 2001.
- ^ Jump up to: a b Downes, Alexander B.; Sechser, Todd S. (2012). "The Illusion of Democratic Credibility". International Organization. 66 (3): 457–489. doi:10.1017/S0020818312000161. ISSN 0020-8183. JSTOR 23279964. S2CID 154325372.
- ^ Snyder, Jack; Borghard, Erica D. (2011). "The Cost of Empty Threats: A Penny, Not a Pound".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105 (3): 437–456. doi:10.1017/s000305541100027x. ISSN 0003-0554. S2CID 144584619.
- ^ Weeks, Jessica L. (2008). "Autocratic Audience Costs: Regime Type and Signaling Resolve". International Organization. 62 (1): 35–64. doi:10.1017/S0020818308080028. ISSN 0020-8183. JSTOR 40071874. S2CID 154432066.
- ^ Weeks, Jessica L. P. (2014). Dictators at War and Peace. Cornell University Press. ISBN 978-0-8014-5296-3. JSTOR 10.7591/j.ctt1287f18.
- ^ Kertzer, Joshua D.; Renshon, Jonathan; Yarhi-Milo, Keren (2021). "How Do Observers Assess Resolve?". British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51 (1): 308–330. doi:10.1017/S0007123418000595. ISSN 0007-1234. S2CID 197463343.
- ^ 푸흐 2005.
- ^ Harff, Barbara (2017).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ass Atrocities and Genocide" (PDF). In Gleditish, N. P. (ed.). R.J. Rummel: An Assessment of His Many Contributions. SpringerBriefs on Pioneers in Science and Practice. 37. New York City, New York: Springer. pp. 111–129. doi:10.1007/978-3-319-54463-2_12. ISBN 978-3-319-54463-2. Retrieved August 30, 2021 – via Springer. At pp. 117–118.CS1 maint: 포스트스크립트(링크)
- ^ 슈워츠 & 스키너 2002.
- ^ Jump up to: a b c 스피로94번길
- ^ Wayman 1998.
- ^ Gat 2017.
- ^ 웰젤 2013.
- ^ 캐쉬맨 2013, 5장
- ^ 오렌 1995.
- ^ Joas & Knöbl 2013, 페이지 226.
- ^ 심민 1999.
- ^ 럼멜 1999.
- ^ 아시아 타임즈 2006.
- ^ 국가기록원
- ^ Jump up to: a b c 러셋 1995.
- ^ 삼바니스 2001.
- ^ 코헨 & 위크 2006.
- ^ Gleditsch 2004.
- ^ 하스 2014.
- ^ 박커 2017.
- ^ 박커 2018.
- ^ Bell, Mark S.; Quek, Kai (2017). "Authoritarian Public Opinion and the Democratic Peace". International Organization. 72 (1): 227–242. doi:10.1017/S002081831700042X. ISSN 0020-8183. S2CID 158756298.
- ^ Jump up to: a b 헤르만 & 케글리, 1995년 주니어.
- ^ Jump up to: a b 헤르만 & 케글리, 1996년 주니어.
- ^ 헤르만 & 케글리, 1997년 주니어.
- ^ 민주평화시계 N.D.
- ^ 체계적 평화를 위한 센터 2006.
- ^ Human Security Report 2005.
- ^ Mokyr & Voth 2010 페이지 25-26.
- ^ Downes, Alexander B.; Lilley, Mary Lauren (2010). "Overt Peace, Covert War?: Covert Intervention and the Democratic Peace". Security Studies. 19 (2): 266–306. doi:10.1080/09636411003795756. ISSN 0963-6412. S2CID 153379252.
- ^ Poznansky, Michael (2015). "Stasis or Decay? Reconciling Covert War and the Democratic Peace".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n/a. doi:10.1111/isqu.12193. ISSN 0020-8833.
- ^ Kaufmann, Chaim (2004). "Threat Inflation and the Failure of the Marketplace of Ideas: The Selling of the Iraq War". International Security. 29 (1): 5–48. doi:10.1162/0162288041762940. ISSN 0162-2889. JSTOR 4137546. S2CID 57571584.
- ^ 오웬 2004.
- ^ 무쏘 & 쉬 2016.
- ^ Gelpi & Griesdorf 2002.
- ^ 체르노프 2004.
- ^ 해리슨 2010.
- ^ 르블랑 & 찬 2003.
- ^ 비닝스뵈 2005.
- ^ 슈미트 & 1985년 [1922년], 1장.
- ^ Schmitt & 2008 [1927], 페이지 46.
- ^ Raknerud & Hegre 1997.
- ^ 벡 & 잭맨 1998.
- ^ Jump up to: a b 베르너 2000.
- ^ 헨더슨 2002.
- ^ 벡, 킹 앤 쩡 2004.
- ^ Petersen 2004.
- ^ Jump up to: a b 레이 2005.
- ^ 베넷 2006.
- ^ Jump up to: a b 헤그레 2003.
- ^ Jump up to: a b c Weede 2004.
- ^ 무소 2002.
- ^ 무사 2003.
- ^ 헤그레 2000.
- ^ 수바 2004.
- ^ 무소, 헤그르 & 원날 2003.
- ^ 무소 2005, 페이지 68-69.
- ^ Musseau 2005, 페이지 70 그리고 각주 5.
- ^ 무소, 헤그레 & 원날 2003, 페이지 283.
- ^ 무소 2005, 페이지 77.
- ^ 무소 2002-2003, 페이지 29.
- ^ Gartzke 2005. 2005
- ^ 가츠케 2007.
- ^ Gwartney, Lawson & Gartzke 2005.
- ^ 럼멜 2005.
- ^ Dafoe, Allan; Oneal, John R.; Russett, Bruce (2013). "The Democratic Peace: Weighing the Evidence and Cautious Inference".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57 (1): 201–214. doi:10.1111/isqu.12055. ISSN 0020-8833.
- ^ Russett & Oneal 2001.
- ^ 라고지오 & 루셋 2004.
- ^ Jump up to: a b Oneal & Russett 2004.
- ^ 괴너 2004.
- ^ 킴앤루소 2005.
- ^ 도일 1997.
- ^ 사타나 2010, 231페이지.
- ^ 하르트&네그리 2000.
- ^ Reuveny & Li 2003.
- ^ 2001년을 반복한다.
- ^ 레이 2000.
- ^ Barnhart, Joslyn N.; Trager, Robert F.; Saunders, Elizabeth N.; Dafoe, Allan (2020). "The Suffragist Peace". International Organization. 74 (4): 633–670. doi:10.1017/S0020818320000508. ISSN 0020-8183. S2CID 221130902.
- ^ 파버 & 고와 1995.
- ^ 메어스하이머 1990.
- ^ 라블로 & 글레디치 2000 페이지 2
- ^ Slantchev, Alexandrova & Gartzke 2005.
- ^ 레이네 1994.
- ^ 리스 엔디
- ^ 저비스 2002.
- ^ The Nation 2006.
- ^ 클린턴 2000.
- ^ 2004년 언론장관실.
- ^ 2006년 언론장관실.
- ^ 패튼 1999.
- ^ EEAS 전략 계획 2003.
- ^ Jon Stewart 2008과 함께하는 데일리 쇼.
- ^ 1997년, 페이지 59.
- ^ 윌슨 1917.
- ^ Jump up to: a b 루셋 2005.
- ^ 하스 1997.
- ^ 2006년.
- ^ 2006년 갓
- ^ Gat 2006, 페이지 597–598.
- ^ Gat 2006, 페이지 600–602.
- ^ Gat 2006, 페이지 603–604.
- ^ Gat 2006, 페이지 604–605.
- ^ Gat 2006, 페이지 605–606.
- ^ Gat 2006, 페이지 606–607.
- ^ Gat 2006, 페이지 608–609.
- ^ 미어스하이머 2010.
- ^ 루카렐리 N.D.
- ^ 조이너 2012.
참고 문헌 목록
- Abadie, Alberto (2004). "Poverty, Political Freedom, and the Roots of Terrorism" (PDF). NBER Working Paper Seri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September 6, 2005.
- Abulof, Uriel; Goldman, Ogen (2015). "The Domestic Democratic Peace in the Middle East" (PDF). International Journal of Conflict and Violence. 9 (5).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9, 2015.
- Babst, Dean V. (1964). "Elective Governments—A Force For Peace". The Wisconsin Sociologist. 3 (1): 9–14.
- Babst, Dean V. (April 1972). "A Force For Peace". Industrial Research: 55–58.
- Bakker, Femke E. (2017). "Do liberal norms matter? A cross-regime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normative explanation of the democratic peace thesis in China and The Netherlands" (PDF). Acta Politica. 52 (4): 521–543. doi:10.1057/s41269-016-0002-4. hdl:1887/74424. ISSN 0001-6810. S2CID 148403388.
- Bakker, Femke E. (May 15, 2018). "Hawks and Doves. Democratic Pace Theory Revisited". Leiden University.
- Beck, Nathaniel; King, Gary; Zeng, Langche (2004). "Theory and Evidence in International Conflict: A Response to de Marchi, Gelpi, and Grynaviski" (PDF).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8 (2): 379–389. doi:10.1017/s0003055404001212. S2CID 16772841.
- Beck, Nathaniel; Jackman, Simon (1998). "Beyond Linearity by Default: Generalized Additive Model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2 (2): 596–627. doi:10.2307/2991772. JSTOR 2991772.
- Bennett, Scott D. (2006). "Toward a Continuous Specification of the Democracy-Autocracy Connection".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50 (2): 313–338. doi:10.1111/j.1468-2478.2006.00404.x.
- Binningsbø, Helga Malmin (2005). "Consociational Democracy and Postconflict Peace. Will Power-Sharing Institutions Increase the Probability of Lasting Peace after Civil War?" (PDF).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13th Annual National Political Science Conference, Hurdalsjøen, Norway, 5–7 January 2005.
- Braumoeller, Bear F (1997). "Deadly Doves: Liberal Nationalism and the Democratic Peace in the Soviet Successor States".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41 (3): 375–402. doi:10.1111/0020-8833.00049. hdl:2027.42/146804. JSTOR 2600789.
- Braumoeller, Bear F (2004). "Hypothesis Testing and Multiplicative Interaction Terms" (PDF). International Organization. 58 (4): 807–820. CiteSeerX 10.1.1.462.5361. doi:10.1017/s0020818304040251. S2CID 56361860.[데드링크]
- Bremer, Stuart A. (June 1992). "Dangerous Dyads: Conditions Affecting the Likelihood of Interstate War, 1816–1965". The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36 (2): 309–341. doi:10.1177/0022002792036002005. JSTOR 174478. S2CID 144107474.
- Bremer, Stuart A. (1993). "Democracy and Militarized Interstate Conflict, 1816–1965". International Interactions. 18 (3): 231–249. doi:10.1080/03050629308434806.
- Cashman, Greg (2013). What Causes War?: An Introduction to Theories of International Conflict (2nd ed.). Rowman & Littlefield.
- Chan, Steve (1997). "In Search of Democratic Peace: Problems and Promise". Mershon International Studies Review. 41 (1): 59–91. doi:10.2307/222803. JSTOR 222803.
- Chernoff, Fred (2004). "The Study of Democratic Peace and Progress in International Relations". International Studies Review. 6 (1): 1079–1760. doi:10.1111/j.1079-1760.2004.00372.x.
- Clemens, Jr., Walter C. (2002). "Complexity Theory as a Tool for Understanding and Coping with Ethnic Conflict and Development Issues in Post-Soviet Eurasia".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Peace Studies. 7 (2): 1–15.
- Clinton, Bill (January 28, 2000). "1994 State Of The Union Address". The Washington Po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16, 2000. Retrieved January 22, 2006.
- Cohen, Dara K.; Weeks, Jessica (2006). "Red Herings? Fishing Disputes, Regime Type, and Interstate Conflict" (PDF). Presented at the Stanford International Relations Workshop.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March 21, 2006.
- Coleman, Charles D. (2002). "Why Don't Democracies Go to War?" (PDF). Tullock Festschrift..
- Davenport, Christian; Armstrong II, David A (2003). "Peace by Piece: Towards an Understanding of Exactly How Democracy Reduces State Repression" (PDF). Presented at the Midwest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61st Annual Meeting, Chicago. April 3–6,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October 25, 2005.
- Davenport, Christian; Armstrong II, David A (2004). "Democracy and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A Statistical Analysis from 1976 to 1996" (PDF).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8 (3): 538–554. doi:10.1111/j.0092-5853.2004.00086.x.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September 4, 2006.
- Democracy's Century: A Survey of Global Political Change in the 20th Century. Freedom House. 1999.
- "Democratic Peace Clock". 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8, 2006.
- Doyle, Michael W. (Summer 1983a). "Kant, Liberal Legacies, and Foreign Affairs". Philosophy and Public Affairs. 12 (3): 205–235. JSTOR 2265298.
- Doyle, Michael W. (Autumn 1983b). "Kant, Liberal Legacies, and Foreign Affairs, Part 2". Philosophy and Public Affairs. 12 (4): 323–353. JSTOR 2265377.
- Doyle, Michael W. (1997). Ways of War and Peace. New York: W.W. Norton. ISBN 978-0-393-96947-4.
- A Secure Europe in a Better World: European Security Strategy. Brussels: EEAS Strategic Planning. December 12,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5, 2015.
- Frost, Robert I. (2000). The northern wars: war, state and society in northeastern Europe, 1558–1721. Harlow, England; New York: Longman's. ISBN 978-0-582-06429-4.
- Gartzke, Erik (2007). "The Capitalist Peace".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51 (1): 166–191. doi:10.1111/j.1540-5907.2007.00244.x.
- Gat, Azar (2006). War in Human Civiliz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Gat, Azar (2017). The Causes of War and the Spread of Peace: Will War Rebound?. Oxford University Press.
- Gelpi, Christopher F.; Griesdorf, Michael (2001). "Winners or Losers? Democracies in International Crisis, 1918–94" (PDF).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5 (3): 633–647. doi:10.1017/s0003055401003148. S2CID 146346368.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February 13, 2005. Retrieved January 30, 2019.
- George, Alexander L.; Bennett, Andrew (2005). Case Studies and Theory Development in the Social Sciences. MIT Press. ISBN 978-0-262-30307-1. OCLC 944521872.
- Gibler, Douglas M.; Owsiak, Andrew (2017). "Democracy and the Settlement of International Borders, 1919–2001".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62 (9): 1847–1875. doi:10.1177/0022002717708599. S2CID 158036471.
- Gleditsch, Nils P. (1992). "Democracy and Peace". Journal of Peace Research. 29 (4): 369–376. doi:10.1177/0022343392029004001. JSTOR 425538. S2CID 110790206.
- Gleditsch, Nils P (1995). "Geography, democracy and peace". International Interactions. 20 (4): 297–314. doi:10.1080/03050629508434853.
- Gleditsch, Nils Petter; Christiansen, Lene Siljeholm; Hegre, Håvard (2004). "Democratic Jihad? Military Intervention and Democracy" (PDF). Paper Prepared for the 45th Annual Convention of the International Studies Association, 17–20 March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September 27, 2007.
- Goenner, Cullen F (2004). "Uncertainty of the Liberal Peace" (PDF). Journal of Peace Research. 41 (5): 589–605. doi:10.1177/0022343304045977. S2CID 527035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June 25, 2006. Retrieved April 8, 2006.
- Gowa, Joanne (1999). Ballots and Bullets: The Elusive Democratic Peac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07022-3.
- Gwartney, James; Lawson, Robert; Gartzke, Erik (2005). Economic Freedom of the World: Annual Report 2015. Fraser Institute. ISBN 978-0-88975-22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4, 2006.
- Haas, Michael (1997). "Deconstructing the Democratic Peace". In Haas, Michael (ed.). Deconstructing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New York: Norton. pp. 127–148.
- Haas, Michael (2014). Deconstructing the 'Democratic Peace': How a Research Agenda Boomeranged. Los Angeles, CA: Publishinghouse for Scholars.
- Hardt, Michael; Negri, Antonio (2000). Empir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00671-3.
- Harff, Barbara (2003). "No Lessons Learned from the Holocaust? Assessing Risks of Genocide and Political Mass Murder since 1955" (PDF).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7 (1): 57–73. doi:10.1017/S0003055403000522. S2CID 5480418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March 22, 2006.
- Harrison, Ewan (2010). "The Democratic Peace Research Program and System Level Analysis". Journal of Peace Research. 47 (2): 155–165. doi:10.1177/0022343309356490. S2CID 143880244.
- Hegre, Havard (2000). "Development and the Liberal Peace: What does it Take to Be a Trading State?". Journal of Peace Research. 37: 5–30. doi:10.1177/0022343300037001001. S2CID 110399907.
- Hegre, Håvard (2004). The Limits of the Liberal Peace (PDF) (Ph.D. Thesis). University of Oslo.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July 20, 2007.
- Hegre, Håvard; Ellington, Tanja; Gates, Scott; Gleditsch, Nils Petter (2001). "Towards A Democratic Civil Peace? Opportunity, Grievance, and Civil War 1816–1992".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5 (1): 33–48. doi:10.1017/S0003055401000119. S2CID 75218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6, 2004.
- Hegre, Håvard (2003). "Disentangling Democracy and Development as Determinants of Armed Conflict (required)" (PDF).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Studies Associ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September 27, 2007.
- Hellmann, Gunther; Herborth, Benjamin (2008). "Fishing in the mild West: democratic peace and militarised interstate disputes in the transatlantic community". Review of International Studies. 34 (3): 481–506. doi:10.1017/S0260210508008139. ISSN 1469-9044. S2CID 144997884.
- Henderson, Errol (2002). Democracy and War, the End of an Illusion?. Boulder: Lynne Reiner.
- Hensel, Paul R.; Goertz, Gary; Diehl, Paul F. (2000). "The Democratice Peace and Rivalries" (PDF). Journal of Politics. 64 (4): 1173–88. doi:10.1111/0022-3816.00052. S2CID 15464183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May 13, 2005.
- Hermann, Margaret G.; Kegley, Jr., Charles W. (1995). "Military Intervention and The Democratic Peace". International Interactions. 21 (1): 1–21. doi:10.1080/03050629508434857.
- Hermann, Margaret G.; Kegley, Jr., Charles W. (1996). "How Democracies Use Intervention: A Neglected Dimension in Studies of the Democratic Peace". Journal of Peace Research. 33 (3): 309–322. doi:10.1177/0022343396033003005. S2CID 145500606.
- Hermann, Margaret G.; Kegley, Jr., Charles W. (February 1997). "Putting Military Intervention into the Democratic Peace: A Research Note". Comparative Political Studies. 30 (1): 78–107. doi:10.1177/0010414097030001004. S2CID 154775077.
- Hermann, Margaret G.; Kegley, Jr., Charles W. (June 1998). "The U.S. Use of Military Intervention to Promote Democracy: Evaluating the Record". International Interactions. 24 (2): 91–114. doi:10.1080/03050629808434922.
- Human Security Report 2005: War and Peace in the 21st Centur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ISBN 978-0-19-530739-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19, 2006. Retrieved January 19, 2006.
- Jervis, Robert (2002). "Theories of War in an Era of Leading-Power Peace" (PDF).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6 (1): 1–14. doi:10.1017/s0003055402004197. S2CID 15483925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March 19, 2005.
- Joas, Hans; Knöbl, Wolfgang (2013). War in social thought: Hobbes to the pres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 Joyner, James (2012). "Why NATO Should Have Won the Nobe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7, 2012.
- Kim, Hyung Min; Rousseau, David L. (2005). "The Classical Liberals Were Half Right (or Half Wrong): New Tests of the 'Liberal Peace', 1960–88" (PDF). Journal of Peace Research. 42 (5): 523–543. doi:10.1177/0022343305056225. S2CID 1454415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September 27, 2007. Retrieved December 10, 2013.
- Kant, Immanuel (1795). "Perpetual Peace: A Philosophical Sketch".
- Keen, David (2006). Endless War? Hidden Functions of the War on Terror. London: Pluto Press.
- Kegley, Jr., Charles W.; Raymond, Gregory A.; Hermann, Margaret G. (Winter–Spring 1998). "The Rise and Fall of the Nonintervention Norm: Some Correlates and Potential Consequences". The Fletcher Forum of World Affairs. 22 (1): 81–101.
- Kinsella, David (2005). "No Rest for the Democratic Peace" (PDF).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9 (3): 453–457. CiteSeerX 10.1.1.631.8946. doi:10.1017/s0003055405051774. S2CID 146639676.
- Köchler, Hans (1995). Democracy and the International Rule of Law: Propositions for an Alternative World Order. Springer. ISBN 978-3-211-82764-2.
- Lagazio, Monica; Russett, Bruce (2004). "A Neural Network Analysis of Militarized Disputes, 1885–1992: Temporal Stability and Causal Complexity" (PDF). In Diehl, Paul (ed.). The Scourge of War: New Extensions on an Old Problem.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ISBN 978-0-472-11395-8.
- Lai, Brian; Slater, Dan (2006). "Institutions of the Offensive: Domestic Sources of Dispute Initiation in Authoritarian Regimes, 1950–1992".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50 (1): 113–126. doi:10.1111/j.1540-5907.2006.00173.x.
- Layne, Christopher (Autumn 1994). "Kant or Cant: The Myth of the Democratic Peace". International Security. 19 (2): 5–49. doi:10.2307/2539195. JSTOR 2539195. S2CID 60168646.
- Leblang, David; Chan, Steve (2003). "Explaining Wars Fought by Established Democracies: Do Institutional Constraints Matter?". Political Research Quarterly. 56 (4): 385–400. doi:10.1177/106591290305600401. S2CID 15382975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12, 2006.
- Levy, Gilat; Razin, Ronny (2004). "It Takes Two: An Explanation for the Democratic Peace" (PDF). Journal of the European Economic Association. 2 (1): 1–29. doi:10.1162/154247604323015463. ISSN 1542-4766. S2CID 12114936.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January 18, 2005.
- Levy, Jack S.; Thompson, William R. (2011). Causes of War. John Wiley & Sons.
- Lucarelli, Sonia (n.d.). Final Report: Peace and Democracy: The Rediscovered Link: The EU, NATO and the European System Ofliberal-Democratic Security Communities (PDF). NATO.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June 26, 2011.
- Mansfield, Edward D.; Snyder, Jack (2002). "Democratic Transitions, Institutional Strength, and War" (PDF). International Organization. 56 (2): 297–337. doi:10.1162/002081802320005496. S2CID 553235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September 13, 2006.
- Mansfield, Edward D.; Snyder, Jack (2005). Electing to Fight: Why Emerging Democracies Go to War. MIT Press. ISBN 978-0-262-13449-1.
- Maoz, Zeev (Summer 1997). "The Controversy over the Democratic Peace: Rearguard Action or Cracks in the Wall?". International Security. 22 (1): 162–198. doi:10.2307/2539333. JSTOR 2539333.
- Mearsheimer, John J. (Summer 1990). "Back to the Future: Instability in Europe after the Cold War". International Security. 15 (1): 5–56. doi:10.2307/2538981. JSTOR 2538981. S2CID 153793930.
- Mearsheimer, John J (2010). "Why is Europe Peaceful Today?". European Political Science. 9 (3): 387–397. doi:10.1057/eps.2010.24. ISSN 1680-4333. S2CID 141256617.
- Mokyr, Joel; Voth, Hans-Joachim (2010). "Understanding Growth in Europe, 1700–1870: Theory and Evidence" (PDF). In Broadberry, Stephen; ORourke, Kevin H. (eds.). The Cambridge Economic History of Modern Europe: 1700–1870. 1. pp. 7–42. doi:10.1017/CBO9780511794834.003. ISBN 9780511794834.
- Mousseau, Michael (2000). "Market Prosperity, Democratic Consolidation, and Democratic Peace".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44 (4): 472–507. doi:10.1177/0022002700044004004. S2CID 154558655.
- Mousseau, Michael (2002). "An Economic Limitation to the Zone of Democratic Peace and Cooperation". International Interactions. 28 (April): 137–164. doi:10.1080/03050620212100. S2CID 6235007.
- Mousseau, Michael (2002–2003). "Market Civilization and its Clash with Terror". International Security. 27 (3 (Winter)): 5–29. doi:10.1162/01622880260553615. S2CID 26190384.
- Mousseau, Michael (2003). "The Nexus of Market Society, Liberal Preferences, and Democratic Peace: Interdisciplinary Theory and Evidence".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47 (4): 483–510. doi:10.1046/j.0020-8833.2003.00276.x. S2CID 18258407.
- Mousseau, Michael (2005). "Comparing New Theory with Prior Beliefs: Market Civilization and the Democratic Peace". Conflict Management and Peace Science. 22 (1): 63–77. doi:10.1080/07388940590915327. S2CID 31307288.
- Mousseau, Michael; Shi, Yuhang (2016). "A Test for Reverse Causality in the Democratic Peace Relationship" (PDF). Journal of Peace Research. 36 (6): 639–663. doi:10.1177/0022343399036006003. ISSN 0022-3433. S2CID 3638199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July 17, 2012.
- Mousseau, Michael; Hegre, Håvard; Oneal, John R. (2003). "How the Wealth of Nations Conditions the Liberal Peace". Europea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9 (4): 277–314. doi:10.1177/1354066103009002005. S2CID 143411095.
- Müller, Harald; Wolff, Jonas (2004). "Dyadic Democratic Peace Strikes Back" (PDF).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5th Pan-European International Relations Conference the Hague, September 9–11,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June 25, 2006.
- "Musharraf Moved Nuclear Weapons in Kargil War". The Nation. July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3, 2007.
- Oneal, John R.; Russett, Bruce (1999). "The Kantian Peace: The Pacific Benefits of Democracy, Interdependence,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PDF). World Politics. 52 (1): 1–37. doi:10.1017/S0043887100020013. S2CID 153557783. Archived from the original (– Scholar search) on October 28, 2005.
- Oneal, John R.; Russett, Bruce (2001). "Causes of Peace: Democracy, Interdependence,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1885–1992" (PDF). Paper Presented at the 2001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September 11, 2006.
- Oneal, John R.; Russett, Bruce (2004). "Rule of Three, Let it Be? When More Really Is Better" (PDF). Revised Version of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Peace Science Society.
- Oren, Ido (1995). "The Subjectivity Of The 'Democratic' Peace: Changing U.S. Perceptions Of Imperial Germany". International Security. 20 (2): 147–184. doi:10.2307/2539232. JSTOR 2539232. S2CID 15379572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18, 2006.
- Owen, John M (2004). "Democratic Peace Research: Whence and Whither?". International Politics. 41 (4): 605–617. doi:10.1057/palgrave.ip.8800096. ISSN 1384-5748. S2CID 144053631.
- Owen, John M. IV (November–December 2005). "Iraq and the Democratic Peace". Foreign Affairs. doi:10.2307/20031781. JSTOR 2003178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1, 2005.
- Page Fortna, Virginia (2004). Peacetime: cease-fire agreements and the durability of peac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 Patten, Chris (1999). "Human Rights Discussion Forum; Speech by The Rt Hon Chris Patten, CH. Plenary Session Brussels – Charlemagne building – 30 November 1999 – SPEECH/99/193". Retrieved February 23, 2019.
- Paine, Thomas (1945). Foner, Philip S. (ed.). The Complete Writings of Thomas Paine. New York: The Citadel Press.
- Peceny, Mark; Butler, Christopher K. (2004). "The Conflict Behavior of Authoritarian Regimes". International Politics. 41 (4): 565–581. doi:10.1057/palgrave.ip.8800093. S2CID 144243106.
- Peceny, Mark; Beer, Carolne C. (2003). "Peaceful Parties and Puzzling Personalist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7 (2): 339–342. doi:10.1017/S0003055403000716. S2CID 145169371.
- Pugh, Jeffrey (April 2005). "Democratic Peace Theory: A Review and Evaluation". CEMPROC Working Paper Seri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15, 2018. Retrieved June 14, 2017.
- Quackenbush, Stephen L.; Rudy, Michael (2006). "Evaluating the Monadic Democratic Peace" (PDF).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Midwest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Chicago, Illinois, April 20–23,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September 5, 2006.
- Raknerud, Arvid; Hegre, Havard (1997). "The Hazard of War: Reassessing the Evidence for the Democratic Peace". Journal of Peace Research. 34 (4): 385–404. doi:10.1177/0022343397034004002. S2CID 145495178.
- Ravlo, Hilde; Gleditsch, Nils Peter (2000). "Colonial War and Globalization of Democratic Values" (PDF). Paper Presented to the Workshop on 'Globalization and Armed Conflict' at the Joint Session of Workshops, European Consortium for Political Research Copenhagen, 15–19 April 200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June 25, 2006.
- Ray, James Lee (1995). Democracy and International Conflict.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ISBN 978-1-57003-041-3.
- Ray, James Lee (1998). "Does Democracy Cause Peace?".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1: 27–46. doi:10.1146/annurev.polisci.1.1.27.
- Ray, James Lee (2000). Democracy and Peace Through the Ages: According to Spencer Weart. Prepared for delivery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Washington DC, August 30 – September 3, 2000.
- Ray, James Lee (2003). "A Lakatosian View of the Democratic Peace Research Program" (PDF). In Colin and Miriam Fendius Elman (ed.). Progress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MIT Press.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June 25, 2006.
- Ray, James Lee (2005). "Constructing Multivariate Analyses (of Dangerous Dyads)" (PDF). Conflict Management and Peace Science. 22 (4): 277–292. doi:10.1080/0738894050033917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April 8, 2006.
- Reiter, D. (2001). "Does Peace Nature Democracy?". Journal of Politics. 63 (3): 935–948. doi:10.1111/0022-3816.00095. S2CID 154824443.
- Reiter, Dan (January 25, 2017). "Is Democracy a Cause of Peace?".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Politics. doi:10.1093/acrefore/9780190228637.013.287. ISBN 978019022863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15, 2017.
- Reiter, Dan; Stam, Allan C. (2003). "Identifying the Culprit: Democracy, Dictatorship, and Dispute Initiation".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7 (2): 333–337. doi:10.1017/S0003055403000704. S2CID 144246979.
- Reuveny, Rafael; Li, Quan (2003). "The Joint Democracy – Dyadic Conflict Nexus: A Simultaneous Equations Model". Journal of Politics. 47 (3): 325–346. doi:10.1111/1468-2478.4703002.
- Risse, Thomas (n.d.). "Democratic Peace – Warlike Democracies? A Social Constructivist Interpretation of the Liberal Argument" (PDF). vub.ac.be.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3, 2017. Retrieved May 4, 2018.
- Rosato, Sebastian (2003). "The Flawed Logic of Democratic Peace Theory".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7 (4): 585–602. doi:10.1017/s0003055403000893. S2CID 17654114.
- Roser, Max (March 15, 2013). "Democracy". Our World in Data. Retrieved January 16, 2021.
- Rummel, R. J (n.d.). "Democratic Peace Bibliography Version 3.0". Freedom, Democracy, Peace; Power, Democide, and Wa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4, 2005. Retrieved October 2, 2005.
- Rummel, Rudolph J. (1983). "Libertarianism and international violence".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27: 27–72. doi:10.1177/0022002783027001002. S2CID 145801545.
- Rummel, Rudolph J. (1997). Power Kills: Democracy as a Method of Nonviolence. Transaction Publishers.
- Rummel, Rudolph J. (1999). "A Reply to Shimmin". Peace Magazine. 15 (5): 8.
- Rummel, R.J. (October 19, 2005). "CATO and Gartzke Are At It Again". freedomspea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19, 2008.
- Russett, Bruce (1993). Grasping the Democratic Pea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03346-4.
- Russett, Bruce (2006). "Thucydides, Ancient Greece, and the Democratic Peace". Journal of Military Ethics. 5 (4): 254–269. doi:10.1080/15027570601037798. ISSN 1502-7570. S2CID 144838597.
- Russett, Bruce; Layne, C.; Spiro, D. E.; Doyle, M. W. (October 1995). "The Democratic Peace: And Yet It Moves". International Security. 19 (4): 164–75. doi:10.2307/2539124. JSTOR 2539124.
- Russett, B.; Oneal, J.R.; David, D. R. (1998). "The Third Leg of the Kantian Tripod for Peac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Militarized Disputes, 1950–85". International Organization. 52 (3): 441–467. doi:10.1162/002081898550626.
- Russett, Bruce; Oneal, John R. (2001). Triangulating Peace: Democracy, Interdependence,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 W. Norton & Company. ISBN 978-0-393-97684-7.
- Russett, Bruce (2005). "Bushwhacking the Democratic Peace". International Studies Perspectives. 6 (4): 395–408. doi:10.1111/j.1528-3577.2005.00217.x.
- Satana, Nil S. (2010). "Causes and Prevention of Armed Conflicts". In P.Bilgin; P.D. Williams; M. Sekiguchi; J. K. Galbraith; S. T. Inayatullah; J. Wiener; R. A. Schrire; I.L. Murphy (eds.). Global Security and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1. United Kingdom: EOLSS Publications. ISBN 978-1-84826-338-3.
- Schmitt, Carl (1985) [1922]. Political Theology: Four Chapters on the Concept of Sovereignty. Translated by Schwab, George. Cambridge: MIT Press.
- Schmitt, Carl (2008) [1927]. The Concept of the Political. 1927. Translated by Schwab, George (Expanded e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73884-0.
- Schultz, Kenneth A. (2001). Democracy and Coercive Diplomacy. Cambridge Studi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10.1017/cbo9780511491658. ISBN 978-0-521-79227-1.
- Schwartz, Thomas; Skinner, Kiron K. (2002). "The Myth of the Democratic Peace". Orbis. 46 (1): 159–172. doi:10.1016/s0030-4387(01)00113-2.
- Shimmin, Kevin (1999). "Critique of R. J. Rummel's "Democratic Peace" Thesis". Peace Magazine. 15 (5): 6.
- Slantchev, Branislav L.; Alexandrova, Anna; Gartzke, Erik (2005). "Probabilistic Causality, Selection Bias, and the Logic of the Democratic Peace" (PDF).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9 (3): 459–462. doi:10.1017/s0003055405051786. S2CID 1132058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December 25, 2005.
- Small, Melvin; Singer, David J. (1976). "The War Proneness of Democratic Regimes, 1816–1965". Jerusalem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1: 50–69.
- Souva, Mark (2004). "Institutional Similarity and Interstate Conflict". International Interactions. 30 (3): 263–281. doi:10.1080/03050620490492213. S2CID 155016152.
- Spiro, David E. (Autumn 1994). "Give Democratic Peace a Chance? The Insignificance of the Liberal Peace". International Security. 19 (2): 50–86. doi:10.2307/2539196. JSTOR 2539196. S2CID 59478839.
- Steinsson, Sverrir (2018). "Do liberal ties pacify? A study of the Cod Wars". Cooperation and Conflict. 53 (3): 339–355. doi:10.1177/0010836717712293. ISSN 0010-8367. S2CID 157673952.
- Tocqueville, Alexis de (1988). Mayer, J. P. (ed.). Democracy in America. New York: Harper Perennial.
- Wayman, Frank (2002). "Incidence of Militarized Disputes Between Liberal States, 1816–1992".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Studies Association, New Orleans, La., Mar. 23–27, 20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5, 2008.
- Weede, Erich (2004). "The Diffusion of Prosperity and Peace by Globalization" (PDF). The Independent Review. 9 (2).
- Weart, Spencer R. (1998). Never at War.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070170.
- Welzel, Christian (2013). Freedom Rising: Human Empowerment and the Quest for Eman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Werner, Suzanne; Lemke, Douglas (1997). "Opposites Do Not Attract: The Impact of Domestic Institutions, Power, and Prior Commitments on Alignment Choicesl".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41 (3): 529–546. doi:10.1111/0020-8833.00055. hdl:2027.42/146950.
- Werner, Suzanne (2000). "The Effect of Political similarity on the Onset of Militarized Disputes, 1816–1985". Political Science Quarterly. 53 (2): 343–374. doi:10.1177/106591290005300207. S2CID 154817029.
- White, Matthew (2005). "Democracies Do Not Make War on One Another. ...or Do The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30, 2005.
- Wilson, T. Woodrow (April 2, 1917). "Message to Congres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22, 2006.
- "Conflict Data Set".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SIPRI). 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17, 2005. Retrieved October 3, 2005.
- "Data". Peter D. Watson Center for Conflict and Cooperation. 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27, 2005. Retrieved October 3, 2005.
- "No True Scotsman Fights a War". Asia Times. January 31,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5, 2019.CS1 maint: 잘못된 URL(링크)
- "U. S. Electoral College: Historical Election Results 1789-1996". www.archives.gov.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20, 2017. Retrieved May 4, 2018.
- "Global Conflict Trends". Center for Systematic Peace. April 4,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16, 2006. Retrieved October 1, 2005.
- "President and Prime Minister Blair Discussed Iraq, Middle East". Office of the Press Secretary, the White House. November 12,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3, 2011. Retrieved October 3, 2005.
- "President Thanks U.S. and Coalition Troops in Afghanistan". Office of the Press Secretary, the White House. March 1,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3, 2011. Retrieved December 26, 2008.
- "Interview". The Daily Show with Jon Stewart. September 18, 2008.
추가 읽기
- Archibugi, Daniele (2008). The Global Commonwealth of Citizens. Toward Cosmopolitan Democrac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1349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5, 2010.
- Beck, N.; Tucker R (1998). "Democracy and Peace: General Law or Limited Phenomenon?". Annual Meeting of the Midwest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 브라운, 마이클 E, 션 M. 린 존스, 스티븐 E. 밀러. 민주평화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MA: MIT 프레스, 1996. ISBN 0-262-52213-6.
- Cederman, Lars-Erik (March 1, 2001). "Back to Kant: Reinterpreting the Democratic Peace as a Macrohistorical Learning Proces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5: 15–31. doi:10.1017/S0003055401000028. S2CID 145488643.
- 데븐포트, 크리스찬 2007. "국가 탄압과 국내 민주 평화" 뉴욕: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 다부디, 쇼레쉬 & 소우, 아다마: 짐바브웨의 민주주의와 평화: EPU 연구 보고서: 2008년 12월호, Stadtschlaining 2008
- Fog, Agner (2017). Warlike and Peaceful Societies: The Interaction of Genes and Culture. Open Book Publishers. doi:10.11647/OBP.0128. ISBN 978-1-78374-403-9.
- Hayes, Jarrod (2012). "The democratic peace and the new evolution of an old idea". Europea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18 (4): 767–791. doi:10.1177/1354066111405859.
- 헤그레 H. 2014. "민주주의와 무력충돌" Journal of Peace Research. 51(2): 159–172.
- 훅, 스티븐 W, 에드 이론과 실천에서의 민주평화 (켄트 주립대 언론, 2010)
- Huth, Paul K 등. 20세기의 민주주의 평화와 영토 분쟁.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2003. ISBN 0-521-80508-2.
- 이스샬롬, 피키 (2013) 민주평화 : 정치 전기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3)
- 얀, B. (2005년) "Kant, Mill, Illiberal Legacies in International Affairs." 국제기구, 59(1), 177–207.
- Levy, Jack S. (1988). "Domestic politics and war".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History. 18 (4): 653–73. doi:10.2307/204819. JSTOR 204819.
- 립슨, 찰스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 민주주의가 어떻게 분리된 평화를 만들었는가. 프린스턴 대학 출판부: 2003. ISBN 0-691-11390-4.
- Müller, Harald (2004). "The Antinomy of Democratic Peace". International Politics. 41 (4): 494–520. doi:10.1057/palgrave.ip.8800089. S2CID 144940132.
- Owen, John M. (Autumn 1994). "Give Democratic Peace a Chance? How Liberalism Produces Democratic Peace". International Security. 19 (2): 87–125. doi:10.2307/2539197. JSTOR 2539197. S2CID 154645374.
- Peterson, Karen K. (2004). "Laying to Rest the Autocratic Peace". Presented at "Journeys in World Politics," University of Iowa.
- Terminski, Bogumil (2010). "The Evolution of the Concept of Perpetual Peace in the History of Political-Legal Thought". Perspectivas Internacionales. 10 (1): 277–291.
외부 링크
지원하는
- 럼멜의 웹사이트
- "의회적 안보정책 통제"(paks) EU-25 및 이라크전에서의 군사안보정책에 대한 의회 통제. 독일 하인리히 하이네 대학교 뒤셀도르프에서 DFG가 자금을 지원한 연구 프로젝트
비판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