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로보 포획(1941)
올로보 포획 | |||||||
---|---|---|---|---|---|---|---|
유고슬라비아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부 | |||||||
![]() 1963년 올로보 | |||||||
| |||||||
호전성 | |||||||
![]() | ![]() ![]() | ||||||
지휘관과 지도자 | |||||||
관련 단위 | |||||||
![]() | |||||||
힘 | |||||||
![]() | |||||||
사상자 및 손실 | |||||||
| 크로아티아 소식통에 따르면 최소 240명의 체트니크 | ||||||
민간인 테러 피해자: | |||||||
올로보 포획(Capture of Olovo, 1941년 11월 1일 ~ 1941년 12월 17일)은 유고슬라비아 육군(체트니크)의 체트니크 분리 연합군과 유고슬라비아 빨치산 간의 전투로, 유고 제2차 세계 대전 원년에 주둔한 크로아티아의 독립국 축국군을 상대로 벌인 전투였다.
배경
1941년 9월 21일 체트니크스는 올로보와 클라단즈 사이의 철도에 있는 나무다리를 지키는 민병대 경비병들을 공격했다. 그들은 다리를 손상시키지 않고 1명을 죽이고 9명의 민병대를 감금했다.[2] 9월 29일 체트니크스는 올로보와 자비도비치 사이의 나무다리를 불태웠다.[3]
10월 28일, 체트니크스와 협력하여 빨치산 로마니자 분대의 일부가 3일간의 전투 끝에 마을 크네시나를 사로잡았다. 크로아티아 내무반과 무슬림 민병대는 크네시나에서 도망쳐 올로보까지 후퇴했다.[4]
1941년 11월 14일 스레하르스키 얀코 대위가 올로보 수비대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사라예보 예비대대의 4번째 회사는 안테 마린코비치 중위가 지휘했다.[5]
폭력
Four Chetnik companies with 400 Chetniks and parts of Partisan Romanija Detachment (Knežina, Bjelogoračka and Crepoljska companies) and Zvijezda Detachment (Nišić battalion and Crnovrška and Vlahinjska company) with total of 800 Partisans organized an unsuccessful attack on Olovo on 1 November 1941.[6][7]
올로보에 주둔한 축군은 미하일로 루키치가 지휘하는 도모브란 3군단에 속했다. 1941년 12월 중순 올로보의 수비대는 크로아티아 내무반 2개 중대, 180명의 민병대, 40개의 겐다르메스, 그리고 산포전지로 구성되었다.[8] 올로보 주변의 북동쪽 진지는 1개 기관총이 시행한 사라예보 예비대대(크로아티아 홈 가드 166명) 제4사단의 방어를 받았다. 남동쪽 자리는 제6보병연대 17대 중대(크로아티아 홈 가드 70명, 1개 소대 없이)가 차지했다. 서방의 입장은 130명과 40명의 민병대로 구성된 민병대에 의해 방어되었다. 올로보 기차역 서쪽 지점에서 두 개의 산악용 포대가 운행되었다. 제6보병연대 17사단 1개 소대는 예비역으로, 옆구리는 폰제르카 마을에서 50명의 민병대에 의해 보호되었다.[9]
공격적
포병준비
일부 현대 크로아티아 보고서에 따르면 1941년 11월 1-24일 기간 동안 약 240명의 체트니크들이 액시스를 통제하는 올로보에 대한 공격 중에 사망했다.[10] 11월 17일 오전 7시 저항세력은 올로보 수비대를 공격했다.[11] 체트니크 포병대는 민병대 초소를 파괴해 24명의 민병대가 사망하고 부상했으며 나머지 6명은 도주했다.[12] 체트니크 포병대는 당시 하나의 기관총으로 지원받은 사라예보 예비대대의 제4사단이 방어한 이른바 '스티제나'라는 오로보 수비대의 가장 중요한 위치를 겨냥했다. 기관총의 위치는 체트니크 포병대에 의해 순식간에 파괴되었다. 또 다른 기관총이 대체품으로 보내졌으나 체트니크 포병에도 의해 순식간에 파괴되었다.[13]
보병 공격 및 올로보 포획
오전 10시경 저항세력은 포격을 중지하고 보병 저항세력의 소총 사격으로 대체했다. 사라예보 예비군 제4대대대 사령관 안테 마린코비치(Ante Marinkovichi)는 이번 공격 도중 부상을 입었고, 그의 회사는 12시 30분 '스티제나'에서 후퇴해야 했다. 이 회사는 예비소대 1개 소대에 의해 진압된 후 "스티제나"를 짧은 시간 동안 탈환했다가 더 많은 체트니크군의 공격을 받고 퇴각했다. 체트니크스가 "스티제나"를 영구적으로 사로잡았을 때, 그들은 다른 반란자들에게 그들의 성공에 대한 신호로 빨대를 불태웠다. 이로 인해 반란군들의 사기가 높아져 자신들의 위치에서 후퇴하기 시작한 올로보 수비대의 진지를 더욱 맹렬하게 공격하게 되었다. 수비대 사령관 스트레하르스키가 자신의 병력을 사로잡지 않기 위해 마을 솔룬 서쪽 위치로 후퇴한다. 1941년 12월 17일 올로보는 체트니크와 파르티니 반란군에 의해 탈환되었다.[14]
12월 18일 스트레하르스키는 그의 군대가 카레바 치우프리야에 도달할 때까지 포격을 받아 후퇴를 계속했다.[15]
여파
1941년 말 당-체트니크 공동정부는 여전히 올로보를 포함한 많은 동부 보스니아 마을에 존재했다.[16]
전후 유고슬라비아 소식통들은 1942년 1월 21일 독일 750연대의 718 보병사단 소속 750연대가 체트니크의 약한 저항 끝에 올로보를 탈환했다고 강조한다.[17] 1943년 파르티안 2 여단은 올로보를 탈환하고 기차역과 마차 및 장비를 불태웠다.
참조
- ^ (Institut 1953, 페이지 242): "프리오 제 istoj lichno chetnik to je njhov vo voa Radovan Trivun Iz Belih Voda,..."
- ^ (Institut 1953, 페이지 242): "다나 21. 루이나 1941. 체트니치 수나팔리 스트라두 - 밀리치제 나 모스트우 슘스코 드라브네 ž엘제즈니체 나 km 75-9 올로보 이 비엘리샤, 코타라 클라단즈. Ovom prilikom poginuo je jedan milicioner a 9 ih je zarobljeno. "
- ^ (Institut 1953, 페이지 242): "Dana 29. rujna o. g. chetnici su Zapalili drveni most sumske jeeljeznice na pruzi Zavidoviii—Olovo."
- ^ (Institut 1953, p. 395): "Prema izvještaju zapovjednika oružničke postaje Knežina,poslije trodnevne borbe sa četnicima, 28.listopada oko 20 sati pošto je utrošio svo streljivo, sa svojim oružnicima i milicionerima probio je četnički obruč i povukao se u Olovo oko koga su sada skupljeni jači četnički odredi. Cine se napori, da se pomochu milicionera i vojske ovaj obruch probije i ponovno zauzme s.크네시나 .... Kneziinu su oslobodile jedinice Romaniskog partizanskog odeda u saradnji sa chetnicima. 디엘로비 이토그 오데다 블로키랄리 수 올로보."
- ^ (Institut 1953, p. 395): "Na 14. prosinca dužnost zapoviednika 4. sata i posade Olovo preuzeo je djel. satnik Sreharski Janko, iz Sarajevske doknadne bojne. ... tj. 4. sata Sarajevske doknadne bojne i nakon što je ranje n zapoviednik tog sata poručnik Ante Marinković, "
- ^ 호놀로지아 나로드노블로빌라치코그 라타 1941-1945, 베오그라드: 보즈노이즈다바치키 자보드 1964, 페이지 147 "Delovi Romanijskog NOP adda i NOP adderda -Zvijezda-i 체티리 체트니치케 체테 이즈브실리 네우스페도 나파드 올로보"
- ^ (Institut 1953, p. 121): "Olovo su opsjedale jedinice Romaniskog NOP odreda (Knežinska, Bieloeoračka i Crepoliska četa) i NOP odreda »Zvijezda« (Nišički bataljon, Crnovrška i Vlahinjska četa), ka 0 i oko četiri čete četnika. 우베무, 올로보 제나팔로 오코 1.200 보라카, od kojih 800 partizana i 400 chetnika."
- ^ Terzić, Velimir (1957). Oslobodilacki rat naroda Jugoslavije 1941-1945. Vojni istoriski Institut Jugoslovenske narodne armije. p. 145.
Zbog toga, a i zbog priprema za oslobođenje Olova, obustavljeni su dalji napadi na Vareš. U Olovu su se ...
- ^ (Institut 1953, 페이지 466)
- ^ (Institut 1953, 페이지 466): "...보르바마 프리 나파디마 나 올로보 이 오콜리니 아이말리 imali 240 mrtvih I ranjenih cetnika I da se nisu nadali Izlova takvog odpora."
- ^ (Institut 1953, 페이지 466)
- ^ (Institut 1953, 페이지 466): "..."Četnici su otpočeli napada j oko 7 sati, topničkom vatrom- Prvo zrno udarilo je preciznim punim pogodkom u stražaru gdje se je nalazila milicija, stražaru uništila i tom prilikom je poginulo ili ranjeno oko 24 milicionera i tako ostalo svega 6 ljudi sposobnih na tome položaju za borbu. 오바즈 오스타탁 세 제 오드마 라즈베가오."
- ^ (Institut 1953, 페이지 466)
- ^ Hercegovine, Društvo istoričara Bosne i (1962). Godišnjak Društva istoričara Bosne i Hercegovine: Annuaire de la Société historique de Bosnie et Herzégovine. Društvo istoričara Bosne i Hercegovine. p. 112.
Приликом ослобођења Олова 17. де- пембра 1941. године и ликвидације појединих упоришта његове спољне ... Из сарајевске чете Одреда»Звијезда« један вод са четнички настројеним командиром напустио је положаје на ...
- ^ (Institut 1953, 페이지 466, 467)
- ^ (크리스티아 2012, 페이지 204)
- ^ 호놀로지아 나로드노블로빌라치코그 라타 1941-1945, 베오그라드: 보즈노이즈다바치키 자보드 1964
원천
- Christia, Fotini (12 November 2012). Alliance Formation in Civil Wa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07-02302-4.
- Institut (1953). Zbornik dokumenata i podataka o narodno-oslobodilačkom ratu jugoslovenskih naroda: knj. 1-35. Borbe u Bosni i Hercegovini 1941-1945, knjiga 2 - oktobar-decembar 1941. IV. Vojno-istoriski institut Jugoslovenske armij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