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키포트리올

Calcipotriol
칼키포트리올
Calcipotriol.svg
Calcipotriol-from-xtal-Mercury-3D-balls-thin.png
임상자료
상명다이보넥스, 도보넥스, 소릴룩스
기타 이름캘시포트리엔 (USAN )
AHFS/Drugs.com모노그래프
메드라인플러스a608018
라이센스 데이터
임신
범주
  • AU: B3
경로:
행정
주제 관리
ATC 코드
법적현황
법적현황
약동학 데이터
생체이용가능성5~6%
신진대사
배설담도
식별자
  • (1R,3S,5E)-5-{2-[(1R,3aS,4Z,7aR)-1-[(2R,3E)-5-cyclopropyl-5-hydroxypent-3-en-2-yl]-7a-methyl-octahydro-1H-inden-4-ylidene]ethylidene}-4-methylidenecyclohexane-1,3-diol
CAS 번호
펍켐 CID
IUPHAR/BPS
드러그뱅크
켐스파이더
유니
케그
체비
켐벨
CompTox 대시보드 (EPA)
ECHA InfoCard100.119.473 Edit this at Wikidata
화학 및 물리적 데이터
공식C27H40O3
어금질량412.614 g·190−1
3D 모델(JSmol)
  • O[C@H]1CC(\C(=C)[C@H](O)C1)=C\C=C2/CCC[C@]4([C@H]]2CC[C@H]4[C@H](/C=C/[C@H](O)C3CC3)C)c
  • InChI=1S/C27H40O3/c1-17(6-13-25(29)20-8-9-20)23-11-12-24-19(5-4-14-27(23,24)3)7-10-21-15-22(28)16-26(30)18(21)2/h6-7,10,13,17,20,22-26,28-30H,2,4-5,8-9,11-12,14-16H2,1,3H3/b13-6+,19-7+,21-10-/t17-,22-,23-,24+,25-,26+,27-/m1/s1 checkY
  • 키:LWQQLNNNIPYSNX-UOSTWAQSA-N checkY
☒NcheckY (이게 뭐야?) (iii)

칼시포트리올(Calcipotrieen)은 비타민 D의 일종인 칼시포트리올(Calcitriol)의 합성 파생물이다.[medical citation needed]건선 치료에 쓰인다.[medical citation needed]시뇨성 피부 상태에서는 장기간 바르는 것이 안전하다.[medical citation needed]

1985년 특허를 받았고 1991년 의료용 허가를 받았다.[1]미국에서는 '도보넥스', 북미 이외의 지역에서는 '다이보넥스', 독일에서는 '소르쿠탄'이라는 상명으로 판매되고 있다.[citation needed]

그것은 세계보건기구의 필수 의약품 목록에 올라 있다.[2]

의학적 용법

만성 플라크 건선은 캘시포트리올의 주요 의학적 용법이다.[3]그것은 또한 탈모증의 치료에도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4]

콘트라인커뮤니케이션

과민성, 얼굴에서의 사용, 고칼슘혈증, 또는 비타민 D 독성의 증거가 칼시포트리올 사용에 대한 유일한 억제책이다.[5]

주의사항에는 과도한 자연광이나 인공광에 노출되는 것이 있는데, 이는 캘시포트리올이 광감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5]

역효과

주파수에 의한 부작용:[3][5][6][7]

매우 일반적(> 10% 주파수)
  • 태우기
  • 가려움증
  • 피부 자극
공통(1~10% 주파수)
일반적이지 않음(0.1~1% 주파수)
희소수(< 0.1% 주파수)

상호작용

약물 상호작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5]

약리학

작용기전

건선 치료에서 칼시포트리올의 효능은 골다공증 연구에서 다양한 형태의 비타민D를 받는 환자들이 관찰되면서 처음 눈에 띄었다.뜻밖에도 건선을 앓았던 일부 환자들은 병변 수의 급격한 감소를 경험했다.[8]

건선을 전치하는 데 있어서 칼시포트리올의 정확한 메커니즘은 잘 이해되지 않는다.다만 칼슘대사를 조절하는 데 있어 캘시트리올만큼 활성도가 1% 미만인 반면 비타민D 수용체(VDR)는 캘시트리올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비타민D 수용체는 스테로이드/시강항 수용체 슈퍼패밀리에 속하며, 면역체계의 갑상선, 뼈, 신장, T세포 등 여러 조직의 세포에서 발견된다.T세포는 건선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VDR에 대한 캘시포트리올의 결합은 세포 분화와 증식 관련 유전자의 T세포 유전자 전사를 변조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마우스 연구에서는 귀와 등피부에 국소적인 캘시포트리올 투여가 각질세포에 의한 상피세포 유래 사이토카인 TSLP 생성을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시켰고, 고농도에서 아토피피피부염을 유발했다.[9]캘시포트리올 적용에 따른 TSLP 생산의 이러한 상향 조절은 비타민 D 수용체/RXRα와 비타민 D 수용체/RXRβ 이성질체의 공동 활성화를 통해 매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건선은 일반적으로 Th1/Th17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부분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적절한 농도의 칼시포트리올 치료는 Ts2 반응과 연계된 TSLP 생산을 통해 Th1/Th17 염증을 억제함으로써 건선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10]다만 이 부분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약동학

도포와 전신 섭취 후, 칼치포트리올은 빠른 간 대사를 거친다.캘시포트리올은 MC1046(α,β-불포화 케톤 아날로그)에 대사되며, 이후 1차 대사물인 포화 케톤 아날로그 MC1080에 대사된다.그리고 나서 MC1080은 천천히 석회화산으로 대사된다.[11]

칼시포트리올의 대사물은 모화합물보다 덜 강력하다.

화학

칼시포트리올은 흰색에서 거의 흰색 결정 화합물이다.

참조

  1. ^ Fischer J, Ganellin CR (2006).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John Wiley & Sons. p. 452. ISBN 9783527607495.
  2.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2nd list (2021).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45533. WHO/MHP/HPS/EML/2021.02.
  3. ^ a b Rossi S, ed. (2013). Australian Medicines Handbook (2013 ed.). Adelaide: The Australian Medicines Handbook Unit Trust. ISBN 978-0-9805790-9-3.
  4. ^ Kim DH, Lee JW, Kim IS, Choi SY, Lim YY, Kim HM, et al. (August 2012). "Successful treatment of alopecia areata with topical calcipotriol". Annals of Dermatology. 24 (3): 341–4. doi:10.5021/ad.2012.24.3.341. PMC 3412244. PMID 22879719.
  5. ^ a b c d "Dovonex, Calcitrene Ointment (calcipotriene) dosing, indications, interactions, adverse effects, and more". Medscape Reference. WebMD. Retrieved 26 January 2014.
  6. ^ "CALCIPOTRIENE (calcipotriene) solution [E. FOUGERA & CO. A division of Fougera Pharmaceuticals Inc.]". DailyMed. E. FOUGERA & CO. A division of Fougera Pharmaceuticals Inc. May 2012. Retrieved 26 January 2014.
  7. ^ "PRODUCT INFORMATION DAIVONEX® CREAM Calcipotriol 50 microgram/g" (PDF). TGA eBusiness Services. LEO Pharma Pty Ltd. 28 April 2011. Retrieved 26 January 2014.
  8. ^ Morimoto S, Kumahara Y (March 1985). "A patient with psoriasis cured by 1 alpha-hydroxyvitamin D3". Medical Journal of Osaka University. 35 (3–4): 51–4. PMID 4069059.
  9. ^ Li M, Hener P, Zhang Z, Kato S, Metzger D, Chambon P (August 2006). "Topical vitamin D3 and low-calcemic analogs induce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in mouse keratinocytes and trigger an atopic dermatiti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3 (31): 11736–41. Bibcode:2006PNAS..10311736L. doi:10.1073/pnas.0604575103. PMC 1544239. PMID 16880407.
  10. ^ Wong T, Hsu L, Liao W (2013-02-01). "Phototherapy in psoriasis: a review of mechanisms of action". Journal of Cutaneous Medicine and Surgery. 17 (1): 6–12. doi:10.2310/7750.2012.11124. PMC 3736829. PMID 23364144.
  11. ^ "Enstilar (calcipotriene and betamethasone dipropionate) Foam, 0.005%/0.064% for topical use. Full Prescribing Information" (PDF). Parsippany, NJ: LEO Pharma Inc. 2015.

외부 링크

  • "Calcipotriene". Drug Information Portal.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