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타-2 마이크로글로불린

Beta-2 microglobulin
B2M
사용 가능한 구조물
PDB직교 검색: PDBe RCSB
식별자
별칭B2M, 엔트레스:567, IMD43, 베타-2-마이크로글로불린, β2 마이크로글로불린
외부 IDOMIM: 109700 MGI: 88127 HomoloGene: 2987 GeneCard: B2M
직교체
인간마우스
엔트레스
앙상블
유니프로트
RefSeq(mRNA)

NM_004048

NM_009735

RefSeq(단백질)

NP_004039

NP_033865

위치(UCSC)Cr 15: 44.71 – 44.72MbChr 2: 122.15 – 122.15Mb
PubMed 검색[3][4]
위키다타
인간 보기/편집마우스 보기/편집

B2M으로도2 알려진 β 마이크로글로불린MHC 등급 I 분자의 성분으로, MHC 등급 I 분자는 모든 핵세포에 존재하는 α1, α2, α3 단백질을 가지고 있다(적혈구 제외).[5][6] 인간에서 β2 마이크로글로불린 단백질[7] B2M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다.[6][8]

구조 및 기능

MHC 클래스 I의 도식 표현

β2 마이크로글로불린은 세포 표면의 α3 체인 옆에 있다. α와3 달리 β에는2 투과된 부위가 없다. β2(즉, 세포로부터 더 멀리) 바로 위에 α1 사슬이 놓여 있는데, 그 자체가 α2 옆에 있다.

β2 마이크로글로불린은 MHC 등급 I 분자의 알파 체인뿐만 아니라 CD1(인간 내 유전자 5개), MR1, 신생아 Fc 수용체(FcRn), Qa-1(알로안티겐의 일종)과 같은 클래스 I 유사 분자와도 연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β2 마이크로글로불린 유전자는 다른 염색체에 있는 MHC(HLA) 로쿠스 바깥쪽에 있다.

추가적인 기능은 HFE 단백질과 연관되어 있으며, 장내세포의 근측막과 대식세포막의 철분 트랜스포터 페로포틴을 표적으로 하는 에서 헤피딘의 발현을 조절하여 음식에서 철의 섭취를 감소시키고 재활용된 적색 b로부터 철분 방출을 감소시킨다.각각 MPS(단핵핵 파괴세포 시스템)의 류드 세포. 이 기능의 상실은 철분 과잉과 혈색소증을 유발한다.[9]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감염에서는 바이러스성 단백질이 β2 마이크로글로불린에 결합되어 MHC 등급 I 분자의 조립과 플라즈마 막으로의 이동을 방해한다.

β2 마이크로글로불린 유전자에 부족한 마우스 모델이 설계되었다. 이러한 생쥐는 MHC 등급 I의 세포 표면 표현과 펩타이드 결합 홈의 안정성을 위해 β2 마이크로글로불린이 필요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실제로 β2 마이크로글로불린이 없는 경우 표면(베어 림프구 증후군 또는 BLS)에서 매우 제한된 양의 MHC 등급 I(클래식 및 비클래식) 분자를 검출할 수 있다. MHC 등급 I이 없으면 CD8+ T세포는 발육할 수 없다.(CD8+ T세포는 후천성 면역의 발달에 관여하는 T세포의 하위 집합이다.)[citation needed]

임상적 유의성

장기 투석 환자의 경우 투석 관련 아밀로이드증이라고 알려진 질환인 관절 공간에 침전하는 아밀로이드 섬유로 집적할 수 있다.

낮은 β2 마이크로글로불린 수치는 HIV가 진행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10]

β2 마이크로글로불린 수치다발성 골수종과 림프종에서 상승할 수 있지만, 이 경우 1차 아밀로이드증(아밀로이드 라이트 체인)과 2차 아밀로이드증(아밀로이드 관련 단백질)이 더 흔하다.[clarification needed] β2 마이크로글로불린의 정상값은 < 2 mg/L이다.[11] 단, 다발성 골수종과 관련하여 β2 마이크로글로불린의 수준은 스펙트럼의 반대쪽 끝에도 있을 수 있다.[12] 다발성 골수종에 대한 진단 시험에는 β2 마이크로글로불린 레벨 획득이 포함되며, 이 레벨은 중요한 예후 지표다. 2011년 현재 레벨이 4mg/L인 환자는 중위 생존 기간이 43개월인 반면 레벨이 4mg/L 이상인 환자는 중위 생존 기간이 12개월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13] 그러나 β2 마이크로글로불린 수치는 예후가 더 좋은 미확정 유의성(MGUS)의 단클로날 감마병증골수종(저등급)을 구별할 수 없다.[14][15]

이 유전자의 기능상실 돌연변이는 면역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암 환자들에게 보고되었다.[citation needed]

참조

  1. ^ a b c ENSG00000273686 GRCh38: 앙상블 릴리스 89: ENSG00000166710, ENSG00000273686 - 앙상블, 2017년 5월
  2. ^ a b c GRCm38: 앙상블 릴리스 89: ENSMUSG000060802 - 앙상블, 2017년 5월
  3. ^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4. ^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5. ^ "Entrez Gene: Beta-2-microglobulin".
  6. ^ a b Güssow D, Rein R, Ginjaar I, Hochstenbach F, Seemann G, Kottman A, Ploegh HL (November 1987). "The human beta 2-microglobulin gene. Primary structure and definition of the transcriptional unit". Journal of Immunology. 139 (9): 3132–8. PMID 3312414.
  7. ^ Cunningham BA, Wang JL, Berggård I, Peterson PA (November 1973). "The complete amino acid sequence of beta 2-microglobulin". Biochemistry. 12 (24): 4811–22. doi:10.1021/bi00748a001. PMID 4586824.
  8. ^ Suggs SV, Wallace RB, Hirose T, Kawashima EH, Itakura K (November 1981). "Use of synthetic oligonucleotides as hybridization probes: isolation of cloned cDNA sequences for human beta 2-microglobuli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78 (11): 6613–7. Bibcode:1981PNAS...78.6613S. doi:10.1073/pnas.78.11.6613. PMC 349099. PMID 6171820.
  9. ^ Hundall SD (2011). "Chapter 3: Iron, Heme, and Hemoglobin". Hematology: A Pathophysiologic Approach (1st ed.). pp. 17–25. ISBN 978-0-323-04311-3.
  10. ^ Rao M, Sayal SK, Uppal SS, Gupta RM, Ohri VC, Banerjee S (October 1997). "Beta-2-Microglobulin Levels in Human-Immunodeficiency Virus Infected Subjects". Medical Journal, Armed Forces India. 53 (4): 251–254. doi:10.1016/S0377-1237(17)30746-3. PMC 5531080. PMID 28769505.
  11. ^ Pignone M, Nicoll D; McPhee SJ (2004). Pocket guide to diagnostic tests (4th ed.). New York: McGraw-Hill. pp. 191. ISBN 0-07-141184-4.
  12. ^ "Amyloidosis". The Lecturio Medical Concept Library. Retrieved 28 June 2021.
  13. ^ Munshi NC, Longo DL, Anderson KC (2011). "Chapter 111: Plasma Cell Disorders". In Loscalzo J, Longo DL, Fauci AS, Dennis LK, Hauser SL (eds.).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8th ed.). McGraw-Hill Professional. pp. 936–44. ISBN 978-0-07-174889-6.
  14. ^ Rajkumar SV (2005). "MGUS and smoldering multiple myeloma: update on pathogenesis, natural history, and management". Hematology.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Education Program. 2005: 340–5. doi:10.1182/asheducation-2005.1.340. PMID 16304401.
  15. ^ Bataille R, Klein B (November 1992). "Serum levels of beta 2 microglobulin and interleukin-6 to differentiate monoclonal gammopathy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Blood. 80 (9): 2433–4. doi:10.1182/blood.V80.9.2433.2433. PMID 1421418.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