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밀로이드증

Amyloidosis
아밀로이드증
Amyloid fibril formation and classic facial features of AL amyloidosis.jpg
눈가[1] 피하 출혈(브루징)이 있는 AL 아밀로이드증의 클래식한 얼굴 특징
전문혈액학, 내분비학, 류마티스학, 심장학
증상피로감, 체중감소, 다리의 붓기, 호흡곤란, 출혈, 선 채로 향하는[2] 가벼운 느낌
통상적인 개시55[2]~65세
원인들유전적 또는[3] 후천적
진단 방법조직 생검[2]
치료근본적인 원인을 향한 지원적 치료, 투석, 장기 이식[3]
예후처리로[3] 개선
빈도수.연간 3 ~ 13 per million (AL 아밀로이드증)[2]
사망.인구 1,000명당 1명(선진국)[3]

아밀로이드증아밀로이드 섬유로 알려진 비정상적인 단백질이 [4]조직에 축적되는 질병 집단이다.아밀로이드증과 [5]관련된 몇 가지 비특이적이고 모호한 징후와 증상이 있다.피로, 말초부종, 체중감소, 호흡곤란, 두근거림, 선[5]현기증 등이 에 해당한다.AL 아밀로이드증에서 특정 지표는 혀의 확대와 경골 자반 [5]주위 자반증을 포함할 수 있다.야생형 ATTR 아밀로이드증에서 비심장 증상은 양손목터널증후군, 요추척추협착증, 이두근건파열, 소섬유신경증,[5] 자율기능장애 등이다.

아밀로이드증은 약 36가지 종류가 있는데, 각각의 아밀로이드증은 단백질[6]오접힘으로 인한 것입니다.이 36개의 단백질 중에서 19개는 국소적인 형태로, 14개는 전신적인 형태로, 그리고 3개의 단백질은 둘 [6]중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이 단백질들은 유전적 영향뿐만 아니라 후천적인 환경적 [6]요인에 의해서도 불규칙해질 수 있다.전신 아밀로이드증의 가장 일반적인 4가지 유형은 경쇄(AL), 염증(AA), 투석 관련(AβM2), 유전 및 노년(ATTR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성[7] 뉴로파시)[2]이다.

소변에서 단백질발견되거나 장기종대있거나 여러 말초신경에 문제가 발견되고 [2]그 이유가 불분명한 경우 진단이 의심될 수 있습니다.진단은 조직 [2]생검을 통해 확인된다.다양한 표시로 인해 진단에 [3]도달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치료는 관련된 [2]단백질의 양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이것은 때때로 근본적인 [2]원인을 확인하고 치료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습니다.AL 아밀로이드증은 연간 백만 명당 약 3-13명, AA 아밀로이드증은 연간 [2]약 2백만 명당 약 2명꼴로 발생한다.이 두 종류의 보통 발병 연령은 55세에서 60세 [2]사이이다.치료를 받지 않으면 기대수명은 6개월에서 4년 [2]사이이다.선진국에서는 매년 약 1,000명당 1명이 전신 아밀로이드증으로 [3]사망한다.아밀로이드증은 적어도 1639년부터 [2]기술되어 왔다.

징후 및 증상

아밀로이드시스 큐티스의 피부 특징은 크로미카 이상이다.(A) 아랫다리, (B) 등과 허리, (C) 허리에 고색소 및 저색소 황반. (D) 윗팔 개별 물집.

아밀로이드증의 표시는 광범위하며 아밀로이드 축적 부위에 따라 달라진다.신장과 심장은 관련된 가장 흔한 장기이다.

신장

신장아밀로이드 퇴적물은 사구체 모세혈관중정맥 영역을 포함하며, 노폐물을 여과, 배설하고 혈장 [8]단백질을 유지하는 기관의 능력에 영향을 미칩니다.이것은 소변에서 높은 수준의 단백질과 네프로제 [8]증후군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AL 및 AA 유형을 포함한 여러 유형의 아밀로이드증은 네프로제 [9]증후군과 관련이 있다.AL과 AA 아밀로이드증 환자의 약 20%와 40-60%는 [9]투석이 필요말기 신장 질환으로 진행됩니다.

심장

심장에 아밀로이드 증착은 확장기 및 수축기 심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심전도 변화가 있을있으며, 방실 블록이나 축농결절 [medical citation needed]기능 장애와 같은 저전압 및 전도 이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심장 초음파 검사에서 심장은 수축기 기능이 [10]정상에서 약간 감소하는 제한적인 충전 패턴을 보인다.AA 아밀로이드증은 보통 심장을 [11]아낀다.심장 아밀로이드증은 호흡 곤란, 피로, [12]부종을 포함한 심부전 증상을 보일 수 있다.심장 아밀로이드증이 진행됨에 따라, 아밀로이드 퇴적물은 정상적인 리듬을 유지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혈액을 펌프질하고 채우는 심장의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심장 기능의 악화와 사람들의 삶의 [12]질 저하로 이어진다.

신경계

아밀로이드증이 있는 사람들은 중추신경계에 관여하지 않지만 감각신경과 자율신경계 [medical citation needed]질환에 걸릴 수 있다.감각신경장애는 대칭적인 패턴으로 발달하고 근위부로 진행됩니다.자율신경 장애는 기립성 저혈압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변비, 메스꺼움 또는 초기 [10]포만감과 같은 비특이적 위장 증상과 함께 더 서서히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경병적 징후는 아밀로이드증의 [13]병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아밀로이드증이 있는 사람들은 신경계가 [8]관여하는 위치와 정도에 따라 다양한 장기 시스템에서 기능 장애를 경험할 수 있다.예를 들어, 말초 신경 장애는 다른 말초 [13]신경에 따른 아밀로이드증의 분포에 따라 발기부전, 요실금 및 변비, 동공 기능 장애, 감각 상실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중추신경계의 아밀로이드증은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 심부전, 영양실조, 감염 또는 [13]사망을 포함할 수 있는 더 심각하고 체계적인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위장 및 부속 기관

위장계에서의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축적은 광범위한 아밀로이드 장애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장기의 [14]관여 정도에 따라 다른 징후를 보인다.잠재적 증상으로는 체중 감소, 설사, 복통, 속쓰림(위장관 역류), 위장 [14]출혈 등이 있다.아밀로이드증은 간을 포함한 부소화기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황달, 지방변, 거식증, 복부 수분 축적 및 비장 확장을 [14]동반할 수 있습니다.

간에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축적되면 약 3분의 1의 [11]사람에게 나타나는 간 손상의 두 가지 생체 지표인 혈청아미노전달효소알칼리인산가수분해효소가 상승할 수 있다.간 비대증은 흔하다.반면 비장 비대증은 5%의 [10]사람에게서 드물게 나타난다.혈액 도말에서 하웰 졸리 의 존재로 이어지는 비장 기능 장애는 아밀로이드증이 [10]있는 사람의 24%에서 발생한다.흡수불량은 AL 아밀로이드증의 8.5%, AA 아밀로이드증의 2.4%에서 나타난다.관찰된 흡수 불량에 대한 한 가지 제안된 메커니즘은 장내 융모 끝의 아밀로이드 퇴적물(음식의 흡수를 위해 이용 가능한 장 영역을 늘리는 손가락 모양의 돌기)이 융모의 기능을 침식하기 시작하고, 스프루와 같은 [11]그림을 나타낸다.

분비선

갑상선부신 모두 침투할 수 있습니다.아밀로이드증 환자의 10-20%가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부신 침윤은 기립성 저혈압과 저혈중 나트륨 농도의 증상이 자율신경 장애와 [10]심부전에 기인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더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아밀로이드 침전물은 당뇨병 환자췌장에서 발생하지만 기능적으로 중요한지는 알 수 없습니다.췌장 아밀로이드의 주요 성분은 섬 아밀로이드 폴리펩타이드 또는 '아밀린'으로 알려진 37-아미노산 잔류 펩타이드이다.이는 B세포의 분비과립에 인슐린과 함께 저장되며 인슐린과 함께 분비된다.(Rang and Dale's Pharmacology, 2015)[citation needed]

근골격계

아밀로이드 단백질은 무릎 안쪽에 가장 많이 쌓이고 손, 손목, 팔꿈치, 엉덩이, 발목 순으로 관절 통증을 [15]일으킨다.고령(80세 이상)인 남성의 경우 무릎관절 활액조직에 야생형 트란스티레틴 아밀로이드가 침착될 위험이 크지만, 주로 심장실에서 야생형 트란스티레틴이 침착된다.ATR 퇴적물은 요추 협착 [16]수술을 받은 환자의 인대 플라붐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베타 2-마이크로글로불린 아밀로이드증은 남성이 손목터널증후군[17]걸릴 위험이 높다.Aβ2MG 아밀로이드증(혈투석과 관련된 아밀로이드증)은 활막 조직에 축적되는 경향이 있어 무릎, 엉덩이, 어깨 및 뇌간 [17]관절의 활막 조직에 만성 염증을 일으킨다.아밀로이드 경쇄가 어깨 관절에 침착되면 어깨가 넓어지는 원인이 되며, "어깨 [17]패드 사인"이라고도 합니다.아밀로이드 경쇄 퇴적물은 또한 양쪽 대칭성 [17]다관절염을 일으킬 수 있다.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혈장 세포 이상증을 일으키지 않고 골수에 침착되는 것을 아밀로이드종이라고 합니다.그것은 경추, 요추, 그리고 천골에서 흔히 발견된다.영향을 받는 사람들은 뼈 용융, 요추 부전, 그리고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으로 인해 뼈의 통증을 나타낼 수 있다.척추 골절도 [17]흔하다.

드물게 아밀로이드 자반증은 눈 주위에 멍이 든 출혈에 걸리기 쉬운 것으로 "너구리 눈"이라고 불립니다.아밀로이드 자반증은 혈관에 아밀로이드가 퇴적되고 아밀로이드와 결합 [10]후 기능을 상실하는 두 개의 응고 단백질인 트롬빈과 X 인자의 활동이 감소하여 발생합니다.

구강

조직의 아밀로이드 침전물은 구조의 확대를 야기할 수 있다.AL 아밀로이드증 환자의 20%는 혀가 비대하여 수면 무호흡, 삼키기 어려움, 맛의 [11]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혀의 비대는 ATTR이나 AA [10]아밀로이드증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아밀로이드가 목에 침착되면 목이 [10]쉬게 될 수 있다.

병인 발생

아밀로이도스는 단백질이 잘못 접히는 [18][19]질병으로 간주될 수 있다.아밀로이드 퇴적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진 단백질의 대부분은 분비된 단백질이다. 그래서 아밀로이드의 잘못된 접힘과 형성은 세포 밖, 세포 [18]공간에서 일어난다.지금까지 아밀로이드 형성에 취약한 것으로 확인된 37개의 단백질 중 4개만 세포질이다.[18]대부분의 아밀로이드 형성 단백질은 상대적으로 작지만, 그렇지 않으면 질병과 관련된 아밀로이드를 [18]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들 사이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유사성에 대한 증거는 현재 없다.아밀로이드 질환의 3분의 1은 유전성이며, 이 경우 보통 [18]초기 발병 연령이 있습니다.아밀로이드 관련 질환의 절반은 산발적이고 발병 연령이 늦다 – 이 경우 단백질 집적은 단백질 조절의 노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드물게 아밀로이드 [18]질환과 관련된 치료도 있다.

아밀로이드 형성 단백질은 베타 시트 [18][19]구조를 가진 독특한 섬유질 형태로 응집된다.아밀로이드의 베타 시트 형태는 단백질 분해에 내성이 있어 분해되거나 [5]분해될 수 없습니다.그 결과 아밀로이드는 체내 세포외 공간에 [5]축적된다.아밀로이드 섬유를 형성하는 과정은 중간 올리고머 형태를 가진 것으로 생각된다.올리고머와 아밀로이드 섬유 둘 다 세포에 독성이 있을 수 있고 적절한 장기 [20]기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서로 다른 응집종의 상대적 중요성은 관련된 단백질과 영향을 [19]받는 장기 시스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진단.

아밀로이드증의 진단은 일반적으로 조직 [2]생검을 필요로 한다.생체검사는 특징적인 아밀로이드 퇴적물의 증거를 위해 평가된다.티슈는 여러 가지 얼룩으로 처리되어 있습니다.아밀로이드의 진단에서 가장 유용한 얼룩은 콩고의 붉은색인데, 이것은 편광과 결합되어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현미경으로 볼 때 사과 녹색으로 보이게 합니다.또한 티오플라빈 T염색을 [21]사용해도 좋다.DPD 스캔 또는 SAP 스캔과 같은 여러 이미징 기법도 [22]사용되고 있습니다.

조직 샘플은 생체 검사 또는 영향을 받는 내부 장기에서 직접 얻을 수 있지만,[23][24] 생검의 첫 번째 부위는 획득하기 쉽기 때문에 "지방 패드 생검"으로 알려진 피하지방입니다.복부 지방 조직 검사는 완전히 민감하지 않고 잘못된 음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음성 결과가 [23][24]아밀로이드증의 진단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하지만, 직장 점막, 침샘, 입술, 또는 골수 생검을 포함한 다른 덜 침습적인 생검 방법들도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23] 영향을 받는 장기의 직접적인 생검은 여전히 불필요할 수 있다.

관절의 아밀로이드 증착에서는 T1T2 가중 MRI 영상 [15]모두에서 신호가 감소합니다.아밀로이드종에서는 가돌리늄 주입으로 낮은 T1 신호와 낮은 T2 신호가 [17]있을 것이다.

는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종류 다양한 방법:비정상적인 단백질의 혈관(단백 전기 영동 법이나 라이트 체인 결정에)의 검출, 특히 항체의 아밀로이드는 조직(면역 조직 화학)에서 발견되는 바인딩입니다;혹은 단백질과 해당 문자열의 개별 아미노산의 식별의 채굴에서 결정될 수 있다.[21]면역 조직 화학은 대부분의 경우 AA 아밀로이드증을 확인할 수 있지만, AL 아밀로이드증의 [11]많은 사례를 놓칠 수 있다.질량분석에 의한 레이저 미세해부는 아밀로이드증의 [25]다른 형태를 식별하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이다.

AL은 이전에 가장 흔한 형태의 아밀로이드증으로 여겨졌고, 진단은 종종 비정상적인 면역글로불린 또는 면역글로불린의 일부를 생성하는 기억 B 세포인 플라즈마 세포 이형증에 대한 탐색으로 시작된다.소변이나 혈청의 면역영동은 AL 아밀로이드증 [10]환자의 90%에서 양성입니다.면역화합 전기영동은 일반 전기영동보다 민감하지만 일부 센터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AL아밀로이드증은 임상적으로 의심되지만 전기영동은 [10]음성인 사람에게 지배적인 혈장세포를 찾는 골수생검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선택할 수 있다.

ATR은 현재 아밀로이드증의 가장 흔한 형태로 간주되고 있으며 더 이상 희귀 [26]질환으로 간주되지 않는다.야생형 ATTR(ATTRv) 또는 가족성 트란스티레틴 관련 아밀로이드증은 혈장 세포 이상 징후가 없는 가족력 신경병 또는 심부전 환자에게 의심된다.ATTR은 변이된 형태의 트란스티레틴을 분리하는 등전초점을 사용하여 식별할 수 있습니다.발견들은 [10]아밀로이드증에 걸리기 쉬운 트란스티레틴의 알려진 특정한 돌연변이를 찾기 위해 유전자 검사를 통해 입증될 수 있다.

AA는 오랜 감염이나 염증성 질환이 있는 사람의 임상적 근거에서 의심된다.AA는 면역 조직 화학적 [10]염색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분류

과거 분류 시스템은 임상적 요인에 기초했다.1970년대 초반까지, 단일 아밀로이드 물질에 대한 생각이 우세했다.아밀로이드 퇴적물의 장기 분포와 임상 소견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술 분류 시스템이 제안되었다.대부분의 분류 시스템에는 관련 임상 조건이 확인되지 않은 1차(특발성) 아밀로이드증과 2차 아밀로이드증(만성 염증 질환에 대한 2차)이 포함되었다.일부 분류 체계에는 골수종 관련, 가족성, 국소 아밀로이드증이 포함되었다.

아밀로이드 분류의 현대 시대는 1960년대 후반에 아밀로이드 섬유를 용해시키는 방법의 개발과 함께 시작되었다.이 방법들은 과학자들이 아밀로이드의 [medical citation needed]화학적 성질을 연구할 수 있게 해주었다.원인에 기초하지 않은 1차 아밀로이드증, 2차 아밀로이드증 및 기타(예: 노인성 아밀로이드증)와 같은 기술 용어는 유용한 정보를 거의 제공하지 않으며 더 이상 권장되지 않는다.

아밀로이드 질환의 현대적인 분류는 A라는 글자가 앞에 붙는 대부분의 퇴적물을 만드는 단백질의 약자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예를 들어, 트랜스스티레틴에 의해 야기되는 아밀로이드증은 "ATTR"[medical citation needed]이라고 불린다.퇴적 패턴은 사람마다 다르지만 거의 항상 하나의 아밀로이드 유발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증착은 체계적일 도 있고(많은 다른 장기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 장기 고유의 것일 수도 있습니다.많은 아밀로이도스는 전구 [medical citation needed]단백질의 돌연변이로 인해 유전된다.

다른 형태는 면역 글로불린 경쇄의 과잉 생산(알루미늄 아밀로이드증) 또는 만성 염증의 급성단백질의 지속적인 과잉 생산(AA 아밀로이드증을 초래[medical citation needed]있음)과 같이 과잉 또는 비정상적인 단백질 생성을 일으키는 다양한 질병 때문이다.

지금까지 [27]약 60개의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확인되었다.이들 중 적어도 36명은 인간의 [28]질병과 관련이 있다.

모든 아밀로이드 섬유 단백질은 문자 "A"로 시작하고 그 뒤에 단백질 접미사(및 해당되는 사양)가 뒤따른다.인체에서 [29]발견된 아밀로이드 섬유 단백질 목록은 아래를 참조하십시오.

섬유단백질 전구체단백질 대상 기관 시스템 및/또는 현지화 후천적 또는 유전적
AL 면역글로불린 경쇄 일반적으로 CNS를 제외한 모든 장기 S, L 아.
아. 면역글로불린중쇄 CNS를 제외한 모든 장기 S, L A
AA (아포) 혈청 아밀로이드 A CNS를 제외한 모든 장기 S A
특성 트란스티레틴, 야생형

Transthyretin, 바리안트

주로 남성, 폐, 인대, 테노시노비움에서 심장

PNS, ANS, 심장, 눈, 렙토민즈

S

S

A

H

Aβ2M β2-마이크로글로불린, 야생형

β2-마이크로글로불린, 변종

근골격계

ANS

S

S

A

H

AAPOAI 아폴리포단백 AI, 변종 심장, 간, 신장, PNS, 고환, 후두(C)

단자 변형), 피부(C 단자 변형)

S H
AApoAII 아폴리포단백질AII, 변종 신장 S H
AAPOAIV 아폴리포단백질AIV, 야생형 신장수질 및 전신 S A
AAPCII 아폴리포단백 CII, 변종 신장 S H
AAPOCIII 아폴리포단백 C III, 변종 신장 S H
AGel 겔솔린, 변종 신장, PNS, 각막 S H
ALys Lysozyme, 바리안트 신장 S H
ALECT2 백혈구화학요인자-2 신장, 주로 S A
AFib 피브리노겐 a, 변종 신장, 주로 S H
ACY 시스타틴 C, 변종 CNS, PNS, 스킨 S H
에브리 ABriPP, 바리안트 CNS S H
ADANb ADanPP, 바리안트 CNS L H
Aβ 단백질 전구체, 야생형

Aβ단백질 전구체, 변이체

CNS

CNS

L

L

A

H

알파동기 α-시뉴클레인 CNS L A
아타우 타우 CNS L A
APRP 프리온 단백질, 야생형

프리온 단백질 변이체

프리온단백질변이체

CJD, 치명적인 불면증

CJD, GSS 증후군, 치명적인 불면증

PNS

L

L

S

A

H

H

ACal (프로)칼시토닌 C세포갑상선종양

신장

L

S

A

A

AIAPP 섬아밀로이드폴리펩티드c 랑게르한스 섬, 인슐린종 L A
AANF 심방성 자연이뇨인자 심방 L A
APRO 프로락틴 뇌하수체 프로락틴종, 노화 뇌하수체 L A
AIN 인슐린 이원성, 국소 주사 L A
ASPCd 폐계면활성제단백질 L A
ACor 각막모신 각질상피, 모낭 L A
AMED 락타데린 노인성 대동맥, 미디어 L A
AKer 케라토 에피텔린 각막, 유전 L A
ALAC 락토페린 각막 L A
AOAP 치원성 아멜로아세포관련단백질 치원성 종양 L A
ASEM1 세메노겔린 1호 방광충류 L A
ANNF 엔푸르비타이드 이원성 L A
ACATKe 카테프신 K 종양 관련 L A
AEFEMP1e EGF함유섬유린양세포외

매트릭스단백질1(EFEMP1)

간문 정맥, 노화 관련 L A

대안

오래된 임상 분류 방법은 아밀로이도스를 전신 또는 국소화라고 한다.

다른 분류는 프라이머리 또는 [medical citation needed]세컨더리입니다.

또한 퇴적된 조직을 바탕으로 중간엽(중배엽에서 유래한 오르간) 또는 실질엽(외배엽 또는 [medical citation needed]내배엽에서 유래한 오르간)으로 나뉜다.

치료

치료는 존재하는 아밀로이드증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항암화학요법제인 고용량 멜파란과 줄기세포 이식을 통한 치료가 초기 연구에서 유망하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1단계와 2단계 AL 아밀로이드증에 [25]권장된다.그러나 줄기세포 이식을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은 2025%에 불과하다.시클로포스파미드-보르테조미브-덱사메타손을 포함한 화학요법 치료는 현재 [5]이식 대상이 아닌 AL 아밀로이드증 환자에게 권장되는 치료 옵션이다.

AA에서는 기본 상태를 치료하면 증상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AA 아밀로이드증에 의한 염증이 있는 사람에게는 인플릭시맙, 에타넬셉트 등의 종양괴사인자(TNF)-알파 억제제가 평균 20개월 동안 사용된다.TNF-α 억제제가 효과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인터류킨-1 억제제(예를 들어 아나킨라, 카나키누맙, 릴로나셉트) 및 인터류킨-6 억제제(예를 들어 토실리주맙)를 고려할 [31]수 있다.

ATTR 아밀로이드증의 관리는 야생형 또는 [5]변종 분류에 따라 달라집니다.둘 다 올바르게 접힌 [5]단백질의 불안정성을 방지하는 저독성 경구제인 타파미디스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연구에 따르면 타파미디스[5]심부전으로 인한 사망률과 입원률을 낮췄다.이전에는 변종 ATR 아밀로이드증의 경우 간 이식이 유일한 효과적인 [5]치료법이었다.새로운 치료법으로는 디플루니살, 이노테르센, 파티시란이 있다.

Diflunisal은 잘못 접힌 돌연변이 TTR 단백질에 결합하여 Tafamidis의 작동 방식처럼 TTR 단백질의 축적을 막습니다.확실성이 낮은 증거는 말초 신경 장애의 악화와 질병 [32]진행에 따른 장애를 완화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노테르센은 야생형 및 돌연변이 TTR의 유전자 발현을 차단하여 아밀로이드 전구체를 감소시킨다.적당한 확실성의 증거는 그것이 말초 신경 장애의 악화를 완화시킨다는 것을 암시한다.돌연변이 TTR 관련 아밀로이드증이 있는 사람의 inotersen 사용에 대한 장기적인 효과와 안전성은 2021년 현재도 3상 임상 시험에서 평가되고 있다.디플루니살과 이노테르센 모두 삶의 질 저하를 완화할 수 있지만, 이 효과에 대한 증거는 명확하지 않다.[32]심장 ATTR이 있는 사람의 경우 inotersen 사용의 효과는 결정적이지 않으며 추가 [33]조사가 필요합니다.2018년, 이노테르센은 유럽 의약품청에 의해 유전성 트란스티레틴 [34]아밀로이드증이 있는 성인의 다발성 뉴로파시를 치료하도록 승인되었다.이후 캐나다, 유럽연합 및 [35]미국에서 사용이 승인되었습니다.

파티시란은 이노테르센과 비슷한 기능을 한다.적당한 확실성의 증거는 파티시란이 말초 신경 장애의 악화와 질병 진행 장애의 완화를 시사한다.또한, 저확실성 증거는 파티시란이 삶의 질을 낮추고 위약 대비 부작용의 비율을 약간 줄인다는 것을 시사한다.사망률에 [32]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는 없다.변종 심장 ATTR을 가진 사람들의 파티시란 사용에 대한 초기 데이터를 검토한 결과 사망률과 입원을 줄일 수 있지만, 이는 여전히 조사 중이며 추가 [33]조사가 필요하다.2018년 영국 NICE는 파티시란을 유전성 트란스티레틴 관련 아밀로이드증으로 [36]추천하지 않았다.그러나 2019년 7월 현재 추가 검토가 [37]이루어지고 있다.그러나 [38]미국에서는 이 사용이 승인되었습니다.

심장 ATR 아밀로이드증에서 inotersen과 patisiran의 역할은 여전히 [5]연구되고 있다.

2021년, CRISPR 유전자 편집 기술을 사용한 임상 시험에서 [39]파티시란을 투여한 몇몇 참가자는 "TTR 수치가 평균 81% 또는 그 이상 80~96% 감소"했다.

Vutrisiran은 2022년 6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의해 [40]성인의 유전성 트란스티레틴 매개(HATTR) 아밀로이드증의 다발성 신경병증 치료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

서포트 그룹

아밀로이드증에 걸린 사람들은 아밀로이드증 연구 컨소시엄, 아밀로이드증 재단, 아밀로이드증 지원 그룹, [41][42]호주 아밀로이드증 등의 단체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다.

예후

예후는 아밀로이드증의 종류와 영향을 받는 장기 체계에 따라 다르다.치료되지 않은 AL 심장 아밀로이드증의 예후는 6개월의 [43]중간 생존으로 좋지 않다.보다 구체적으로, AL 아밀로이드증은 Nt-proBNP 및 심트로포닌과 [44]같은 심바이오마커를 기반으로 I, II 또는 III 단계로 분류될 수 있다.생존율은 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지만, 최근 치료법의 발전으로 I, II, III 단계의 중위 생존율이 각각 [44]91.2, 60, 7개월로 향상되었다.

AA 아밀로이드증이 있는 사람의 결과는 기초 질환, 영향을 받는 장기에 따라 다르며 혈청 아밀로이드 A 단백질 [5]농도와 상관관계가 있다.

ATTR, 돌연변이 ATTR 및 야생형 ATTR을 가진 사람들은 AL을 가진 사람들에 비해 예후가 더 좋으며 10년 [10][45]이상 생존할 수 있다.생존 시간은 성별이나 나이와 관련이 없지만, 심장 기능의 감소의 일부 척도는 생존 시간의 [45]단축과 관련이 있습니다.

노인성 전신 아밀로이드증은 부검[46][47]받은 110세 이상 인구의 70%가 주요 사인으로 밝혀졌다.

역학

아밀로이드증은 AL, ATTR, [48]AA의 세 가지 가장 일반적인 형태와 함께 인구 100,000명당 30명의 추정 유병률을 가지고 있다.진단 시 중앙 연령은 [11]64세입니다.

AL은 연간 인구 약 12명당 발병률이 가장 높으며 미국과 유럽연합에서 [48][5]추정 발병률은 30,000 - 45,000명이다.

AA 아밀로이도스는 개발도상국에서 가장 흔한 형태이며 결핵, 골수염, 기관지 확장술로 인한 오랜 감염을 합병할 수 있다.AA 아밀로이드증은 혈청 아밀로이드 A(SAA) 단백질의 세포외 퇴적 증가에 의해 발생한다.SAA 단백질 수치는 감염, 염증, 악성종양을 [49]통해 직간접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서양에서 AA 아밀로이드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류마티스 관절염, 염증성 장질환, 건선, 가족성 지중해열이다.[10]

장기 혈액 투석(14-15년)을 받는 사람은 일반적으로 [11]신장에 의해 걸러지는 HLA 1 복합체의 경쇄 축적으로 아밀로이드증이 발생할 수 있다.

야생형 트랜스스티레틴(ATTR) 아밀로이드증은 [50]사후에 노인 4분의 1에서 발견된다.ATTR은 13-19%의 사람들에게서 발견되며, 이는 매우 흔한 형태의 전신 아밀로이드증이다.[51]

조사.

ATTR 관련 신경병증에 대한 치료법에는 최근 FDA [53]승인을 받은 작은 간섭 RNA(파티시란) 또는 안티센스 이노테르센 [52]형태의 TTR 특이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포함된다.ATTR 아밀로이드증 치료에 대한 연구는 간이식, 잘못 접힌 단백질을 안정시키는 경구약(타파미디스와 디플루니살 포함), 그리고 아직 연구 중인 새로운 치료제(파티시란 [54]포함)를 비교했다.이용 가능한 연구에 따르면, 간 이식은 여전히 고도 ATR 아밀로이드증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며, 단백질 안정화 약물은 질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지만 간 이식의 지연을 정당화하기에 불충분하며, 파티시란과 같은 새로운 약물은 추가적인 [54]연구가 필요하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Hawkins P (29 April 2015). "AL amyloidosis". Wikilit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December 2015. Retrieved 19 December 2015.
  2.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Hazenberg BP (May 2013). "Amyloidosis: a clinical overview". Rheumatic Disease Clinics of North America. 39 (2): 323–345. doi:10.1016/j.rdc.2013.02.012. PMID 23597967. S2CID 21506928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une 2022. Retrieved 1 December 2021.
  3. ^ a b c d e f Pepys MB (2006). "Amyloidosis". Annual Review of Medicine. 57: 223–241. doi:10.1146/annurev.med.57.121304.131243. PMID 16409147.
  4. ^ "AL amyloidosis". rarediseases.info.nih.gov. Genetic and Rare Diseases Information Center (GAR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April 2017. Retrieved 22 April 2017.
  5.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Gertz MA, Dispenzieri A (July 2020). "Systemic Amyloidosis Recognition, Prognosis, and Therapy: A Systematic Review". JAMA. 324 (1): 79–89. doi:10.1001/jama.2020.5493. PMID 32633805. S2CID 220385853.
  6. ^ a b c Picken MM (2020). "The Pathology of Amyloidosis in Classification: A Review". Acta Haematologica. 143 (4): 322–334. doi:10.1159/000506696. PMID 32392555. S2CID 218600304.
  7. ^ Ando Y, Coelho T, Berk JL, Cruz MW, Ericzon BG, Ikeda S, et al. (February 2013). "Guideline of transthyretin-related hereditary amyloidosis for clinicians". Orphanet Journal of Rare Diseases. 8: 31. doi:10.1186/1750-1172-8-31. PMC 3584981. PMID 23425518.
  8. ^ a b c "Amyloidosis & Kidney Disease".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November 2021. Retrieved 19 November 2021.
  9. ^ a b Lewis JB, Neilson EG (2018). "Glomerular Diseases". In Jameson J, Fauci AS, Kasper DL, Hauser SL, Longo DL, Loscalzo J (eds.).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20 ed.). McGraw Hil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November 2021. Retrieved 29 November 2021.
  10.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Falk RH, Comenzo RL, Skinner M (September 1997). "The systemic amyloidose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7 (13): 898–909. doi:10.1056/NEJM199709253371306. PMID 9302305.
  11. ^ a b c d e f g Ebert EC, Nagar M (March 2008). "Gastrointestinal manifestations of amyloidosis".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103 (3): 776–787. PMID 18076735.
  12. ^ a b Kyriakou P, Mouselimis D, Tsarouchas A, Rigopoulos A, Bakogiannis C, Noutsias M, Vassilikos V (December 2018). "Diagnosis of cardiac amyloidosis: a systematic review on the role of imaging and biomarkers". BMC Cardiovascular Disorders. 18 (1): 221. doi:10.1186/s12872-018-0952-8. PMC 6278059. PMID 30509186.
  13. ^ a b c Kaku M, Berk JL (October 2019). "Neuropathy Associated with Systemic Amyloidosis". Seminars in Neurology. 39 (5): 578–588. doi:10.1055/s-0039-1688994. PMID 31639841. S2CID 204850185.
  14. ^ a b c Rowe K, Pankow J, Nehme F, Salyers W (May 2017). "Gastrointestinal Amyloidosis: Review of the Literature". Cureus. 9 (5): e1228. doi:10.7759/cureus.1228. PMC 5464793. PMID 28611935.
  15. ^ a b Takahashi N, Glockner J, Howe BM, Hartman RP, Kawashima A (May 2016). "Taxonomy and Imaging Manifestations of Systemic Amyloidosis". Radiologic Clinics of North America. 54 (3): 597–612. doi:10.1016/j.rcl.2015.12.012. PMID 27153791.
  16. ^ Eldhagen, P.; Berg, S.; Lund, L. H.; Sörensson, P.; Suhr, O. B.; Westermark, P. (June 2021). "Transthyretin amyloid deposits in lumbar spinal stenosis and assessment of signs of systemic amyloidosis".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89 (6): 895–905. doi:10.1111/joim.13222. ISSN 1365-2796. PMC 8248398. PMID 3327447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March 2022. Retrieved 18 March 2022.
  17. ^ a b c d e f Nguyen TX, Naqvi A, Thompson TL, Wilson RH (Spring 2018). "Musculoskeletal Manifestations of Amyloidosis: A Focused Review". Journal of Surgical Orthopaedic Advances. 27 (1): 1–5. PMID 29762107.
  18. ^ a b c d e f g Chiti F, Dobson CM (June 2017). "Protein Misfolding, Amyloid Formation, and Human Disease: A Summary of Progress Over the Last Decade". Annual Review of Biochemistry. 86: 27–68. doi:10.1146/annurev-biochem-061516-045115. PMID 28498720.
  19. ^ a b c Merlini G, Seldin DC, Gertz MA (May 2011). "Amyloidosis: pathogenesis and new therapeutic option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9 (14): 1924–1933. doi:10.1200/JCO.2010.32.2271. PMC 3138545. PMID 21483018.
  20. ^ Gertz MA, Rajkumar SV (2010). Amyloidosis. Totowa, N.J.: Humana. ISBN 978-1-60761-631-3.
  21. ^ a b Dember LM (December 2006). "Amyloidosis-associated kidney diseas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17 (12): 3458–3471. doi:10.1681/ASN.2006050460. PMID 1709306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December 2011.
  22. ^ Sachchithanantham S, Wechalekar AD (2013). "Imaging in systemic amyloidosis". British Medical Bulletin. 107: 41–56. doi:10.1093/bmb/ldt021. PMID 23896486.
  23. ^ a b c Merlini G, Dispenzieri A, Sanchorawala V, Schönland SO, Palladini G, Hawkins PN, Gertz MA (October 2018). "Systemic immunoglobulin light chain amyloidosis". Nature Reviews. Disease Primers. 4 (1): 38. doi:10.1038/s41572-018-0034-3. PMID 30361521. S2CID 530231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une 2022. Retrieved 25 December 2020.
  24. ^ a b Wechalekar AD, Gillmore JD, Hawkins PN (June 2016). "Systemic amyloidosis". Lancet. 387 (10038): 2641–2654. doi:10.1016/S0140-6736(15)01274-X. PMID 26719234. S2CID 4762107.
  25. ^ a b Rosenzweig M, Landau H (November 2011). "Light chain (AL) amyloidosis: update on diagnosis and management". Journal of Hematology & Oncology. 4 (1): 47. doi:10.1186/1756-8722-4-47. PMC 3228694. PMID 22100031.
  26. ^ Kazi, DS (2020). "Cost-Effectiveness of Tafamidis Therapy for Transthyretin Amyloid Cardiomyopathy. Circulation". Circulation. 141 (15): 1214. doi:10.1161/CIRCULATIONAHA.119.045093.
  27. ^ Mok KH, Pettersson J, Orrenius S, Svanborg C (March 2007). "HAMLET, protein folding, and tumor cell death".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354 (1): 1–7. doi:10.1016/j.bbrc.2006.12.167. PMID 17223074.
  28. ^ Pettersson-Kastberg J, Aits S, Gustafsson L, Mossberg A, Storm P, Trulsson M, et al. (November 2008). "Can misfolded proteins be beneficial? The HAMLET case". Annals of Medicine. 41 (3): 162–176. doi:10.1080/07853890802502614. PMID 18985467. S2CID 31198109.
  29. ^ Benson MD, Buxbaum JN, Eisenberg DS, Merlini G, Saraiva MJ, Sekijima Y, et al. (December 2020). "Amyloid nomenclature 2020: update and recommendations by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Amyloidosis (ISA) nomenclature committee". Amyloid. 27 (4): 217–222. doi:10.1080/13506129.2020.1835263. PMID 33100054. S2CID 225073269.
  30. ^ a b c 표 5-12인치: 제8판
  31. ^ ter Haar NM, Oswald M, Jeyaratnam J, Anton J, Barron KS, Brogan PA, et al. (September 2015).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autoinflammatory diseases".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74 (9): 1636–1644. doi:10.1136/annrheumdis-2015-207546. hdl:2445/108897. PMID 26109736. S2CID 18876892.
  32. ^ a b c Magrinelli F, Fabrizi GM, Santoro L, Manganelli F, Zanette G, Cavallaro T, Tamburin S, et al. (Cochrane Neuromuscular Group) (April 2020). "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familial amyloid polyneuropathy".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4: CD012395. doi:10.1002/14651858.CD012395.pub2. PMC 7170468. PMID 32311072.
  33. ^ a b Marques N, Azevedo O, Almeida AR, Bento D, Cruz I, Correia E, et al. (October 2020). "Specific Therapy for Transthyretin Cardiac Amyloidosi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9 (19): e016614. doi:10.1161/JAHA.120.016614. PMC 7792401. PMID 32969287.
  34. ^ "Tegsedi". Europeans Medicines Agenc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October 2020. Retrieved 12 March 2021.
  35. ^ Mathew V, Wang AK (6 May 2019). "Inotersen: new promise for the treatment of hereditary transthyretin amyloidosis". Drug Design, Development and Therapy. 13: 1515–1525. doi:10.2147/DDDT.S162913. PMC 6507904. PMID 31118583.
  36. ^ "Patisiran for treating hereditary transthyretinrelated amyloidosi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July 2019. Retrieved 20 July 2019.
  37. ^ "Patisiran for treating hereditary transthyretin-related amyloidosis [ID1279] Guidance NICE".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Ni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July 2019. Retrieved 20 July 2019.
  38. ^ Hoy SM (October 2018). "Patisiran: First Global Approval". Drugs. 78 (15): 1625–1631. doi:10.1007/s40265-018-0983-6. PMID 30251172. S2CID 52813638.
  39. ^ Gillmore JD, Gane E, Taubel J, Kao J, Fontana M, Maitland ML, et al. (August 2021). "CRISPR-Cas9 In Vivo Gene Editing for Transthyretin Amyloidosi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85 (6): 493–502. doi:10.1056/NEJMoa2107454. PMID 34215024. S2CID 235722446.
  40. ^ "Alnylam Announces FDA Approval of Amvuttra (vutrisiran), an RNAi Therapeutic for the Treatment of the Polyneuropathy of Hereditary Transthyretin-Mediated Amyloidosis in Adults". Alnylam. 13 June 20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une 2022. Retrieved 14 June 2022 – via Business Wire.
  41. ^ "Amyloidosis - NORD (National Organization for Rare Disorders)". NORD (National Organization for Rare Disorde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March 2016. Retrieved 15 March 2016.
  42. ^ "Amyloidosis primary cutaneous – Disease – Organizations – Genetic and Rare Diseases Information Center (GARD) – NCATS Program". rarediseases.info.nih.go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March 2016. Retrieved 15 March 2016.
  43. ^ Merlini G (December 2017). "AL amyloidosis: from molecular mechanisms to targeted therapies". Hematology.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Education Program. 2017 (1): 1–12. doi:10.1182/asheducation-2017.1.1. PMC 6142527. PMID 29222231.
  44. ^ a b Falk RH, Alexander KM, Liao R, Dorbala S (September 2016). "AL (Light-Chain) Cardiac Amyloidosis: A Review of Diagnosis and Therapy".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68 (12): 1323–1341. doi:10.1016/j.jacc.2016.06.053. PMID 27634125.
  45. ^ a b Xin Y, Hu W, Chen X, Hu J, Sun Y, Zhao Y (November 2019). "Prognostic impact of light-chain and transthyretin-related categories in cardiac amyloidos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ellenic Journal of Cardiology. 60 (6): 375–383. doi:10.1016/j.hjc.2019.01.015. PMID 30742933. S2CID 73419672.
  46. ^ Coles LS, Young RD (May 2012). "Supercentenarians and transthyretin amyloidosis: the next frontier of human life extension". Preventive Medicine. 54 (Suppl): S9-11. doi:10.1016/j.ypmed.2012.03.003. PMID 22579241.
  47. ^ "Searching for the Secrets of the Super Old". Science. 26 September 2008. pp. 1764–176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March 2013. Retrieved 22 February 2013.
  48. ^ a b Lin HM, Gao X, Cooke CE, Berg D, Labotka R, Faller DV, et al. (June 2017). "Disease burden of systemic light-chain amyloidosi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Current Medical Research and Opinion. 33 (6): 1017–1031. doi:10.1080/03007995.2017.1297930. PMID 28277869. S2CID 205541963.
  49. ^ Brunger AF, Nienhuis HL, Bijzet J, Hazenberg BP (March 2020). "Causes of AA amyloidosis: a systematic review". Amyloid. 27 (1): 1–12. doi:10.1080/13506129.2019.1693359. PMID 31766892. S2CID 208299494.
  50. ^ Tanskanen, Maarit; Peuralinna, Terhi; Polvikoski, Tuomo; Notkola, Irma‐Leena; Sulkava, Raimo; Hardy, John; Singleton, Andrew; Kiuru‐Enari, Sari; Paetau, Anders; Tienari, Pentti J.; Myllykangas, Liisa (1 January 2008). "Senile systemic amyloidosis affects 25% of the very aged and associates with genetic variation in alpha2‐macroglobulin and tau: A population‐based autopsy study". Annals of Medicine. 40 (3): 232–239. doi:10.1080/07853890701842988. ISSN 0785-3890. PMID 1838288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une 2022. Retrieved 18 March 2022.
  51. ^ Hasib Sidiqi M, Gertz MA (May 2021). "Immunoglobulin light chain amyloidosis diagnosis and treatment algorithm 2021". Blood Cancer Journal. 11 (5): 90. doi:10.1038/s41408-021-00483-7. PMC 8124067. PMID 33993188.
  52. ^ Buxbaum JN (July 2018). "Oligonucleotide Drugs for Transthyretin Amyloidosi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9 (1): 82–85. doi:10.1056/nejme1805499. PMID 29972750. S2CID 49658028.
  53. ^ Office of the Commissioner. "Press Announcements - FDA approves first-of-its kind targeted RNA-based therapy to treat a rare disease". www.fda.go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September 2018. Retrieved 11 August 2018.
  54. ^ a b Cristóbal Gutiérrez H, Pelayo-Negro AL, Gómez Gómez D, Martín Vega MÁ, Valero Domínguez M (July 2020). "Overview of treatments used in transthyretin-related hereditary amyloidosis: a systematic review". European Journal of Hospital Pharmacy. 27 (4): 194–201. doi:10.1136/ejhpharm-2018-001823. PMC 7335620. PMID 3258707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