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조지아 정서
Anti-Georgian sentiment카르트벨로비아라고도 알려진 반조지아 정서는 그루지야인이나 그루지야인 문화에 대한 혐오, 증오, 박해 등을 말한다.
아르메니아
2007년 7월 아르메니아에서 실시된 여론조사에 따르면 그루지야는 응답자 12%가 정치경제적 위협으로, 9%는 중요한 파트너로 보고 있다.[1] 2013년 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여성이 조지아인들과 결혼하는 것을 반대했다(70%의 반대, 29%[2]의 찬성). 이와는 대조적으로, 대다수는 조지아인들과 거래하는 것을 찬성했다(67% 대 31%.[3]
아제르바이잔
2013년 여론조사에 따르면, 아제르바이잔의 대다수의 응답자가 여성이 그루지야인과 결혼하는 것을 반대했다(94% 반대 vs 5% 찬성).[4] 이와는 대조적으로, 대다수가 조지아인들과 거래하는 것을 찬성했다(78% 대 20%).[5]
이란
그루지야 음케드룰리 문자로 만든 이란 그루지야인들이 만든 알라(Alah)라는 단어의 동상은 이란 페레이둔샤르(Freydunshahr. 1차 설치 시도에선 루르족의 반대로 설치되지 않았고, 120일이 지난 뒤 밤 몇 시간 동안만 설치했다가 철거하고 시외로 이동했다.[6][7]
러시아
러시아 인권 센터 메모리얼에 따르면 2006년 현재 "조지아 시민 또는 단지 그루지야 민족은 러시아에서 불법적인 체류 체제 준수 여부 검사의 대상이 된다"고 한다. 러시아 내 그루지야인들의 공포 분위기는 "먼저 TV에서 대중매체에 나오는 반조지아 소재가 많이 지원됐다"[8]고 했다.
러시아 텔레비전 방송국들은 주간 분석 및 정치 프로그램, 특별 시리즈를 통해 정부가 매일 뉴스 프로그램을 통해 그루지야인들을 배제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정당화했다. 예를 들어 10월 초 정부 소유의 채널원(Channel One)에 대한 일방적 뉴스 보도는 정부 관료와 기관의 입장을 독점적으로 제시하고 조직범죄를 포함한 법 위반과 정기적으로 조지아인들을 연결시켰다.
— "Singled Out: Russia's Detention and Expulsion of Georgians" (PDF). Human Rights Watch. 19 No. 5(D): 34–35. 2007.
특히 2008년 러-조지아 전쟁 기간과 이후 더욱 심해졌다.[9] 전쟁 후 몇 달 동안, 러시아에서 그루지야 주민들에 대한 차별은 극심했다. 스반테 코넬과 S. 프레데릭 스타르는 이 상황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10]
경찰, 세무, 소방 등 검열팀은 이 카페, 식당, 호텔, 유흥업소 등 러시아 그루지야족에 속하는 기업들로 보내졌다. 예정되었던 그루지야 문화 공연이 취소되었다. 택시 운전사들은 승객들에게 신분증을 요청하고, 그들이 조지아인 것으로 판명될 경우 서비스를 거부하도록 장려되었다. 그리고 러시아 대중매체에 대규모 반조지아 선전전이 펼쳐졌다.[10]
2008년 10월 초까지 "조지아 반대운동은 전면적인 마녀사냥으로 변모했다". 그루지야에 대한 제재는 주 두마(State Duma)가 통과했고, 그루지야 시민 비자는 절반으로 단축됐다.[10] 테무르 이아코바쉬빌리 그루지야 재령화 담당 국무장관은 러시아가 서방 언론에서 그루지야 반대 운동을 재정적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비난했다.[11] 그루지야 드림사가 사카쉬빌리 UNM을 대체한 2012~2013년 그루지야에서 리더십이 바뀐 뒤 "모스코프의 반조지적 언변은 이전 그루지야 정부가 자주 제기했던 강력한 이념적 반대가 사라지면서 부드러워졌고, 러시아는 그루지야 와인과 광천수에 대한 기존 금수조항을 해제했다"[12]고 주장했다.
2012년 블라디미르 푸틴 당시 총리는 기자들과의 만찬에서 러시아의 인기 소설 작가 보리스 아쿠닌이 "조지아 민족"이라는 이유만으로 러시아 야당을 지지한다고 밝힌 바 있다.[13]
2008년 8월 야당 운동가 알렉세이 나바니는 조지아인들을 "충돌자"로 지칭했다. 나발니는 이후 사과했지만 "그는 그 당시 그가 취했던 다른 입장을 고수한다"[14][15]고 말했다.
러시아 영화 올림푸스 인페르노(2008년)와 8월 8일(2012년)은 반(反)조지아 정서를 담고 있다.[citation needed]
압하지아
1957년, 1967년, 1979년 소련 기간 동안 압하지아에서 반-조지아 폭동이 일어났다. 이 사건들에 대한 보도는 1980년대 후반까지 크게 억제되었다.[16]
1992-93년 전쟁 동안, 조지아 민족은 압하스 분리주의 정부에 의한 인종 청소의 희생자들이었다.[17]
남오세티아
2008년 루소-조지아 전쟁 당시 남오세티야에서 그루지아인들의 민족청소는 남오세티야라고도 불리는 츠신발리 점령지에서 "남오세티야" 분리주의자들과 러시아군에 의해 이루어졌다.
참조
- ^ "Armenia National Voter Study July 2007" (PDF). IRI, USAID, Baltic Surveys Ltd./The Gallup Organization, ASA. p. 29.
- ^ "Approval of women marrying Georgians (%)". caucasusbarometer.org. Caucasus Barometer.
- ^ "Approval of doing business with Georgians (%)". caucasusbarometer.org. Caucasus Barometer.
- ^ "Approval of women marrying Georgians (%)". caucasusbarometer.org. Caucasus Barometer.
- ^ "Approval of doing business with Georgians (%)". caucasusbarometer.org. Caucasus Barometer.
- ^ "اصفهان پرس: مخالفت با نصب تندیس "الله " به زبان گرجی در فریدونشهر+عکس".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4-15. Retrieved 2015-04-27.
- ^ "اصفهان پرس: درگیری موافقان و مخالفان نصب تندیس در فریدونشهر/تشکیل شورای تأمین استان اصفهان".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02-06. Retrieved 2015-04-27.
- ^ Memorial Human Rights Center (2006). "On anti-Georgian campaign launched on the territory of Russia" (PDF). europarl.europa.eu.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6 December 2014.
- ^ "Russia and Georgia: The Americans arrive". The Economist. 14 August 2008.
...Mr Putin, cast as the hero of the war, flew to the Russian side of the Caucasus mountain range to hear hair-raising stories from refugees that ranged from burning young girls alive to stabbing babies and running tanks over old women and children. These stories were whipped up into anti-Georgian and anti-Western hysteria.
- ^ Jump up to: a b c Cornell, Svante E.; Starr, S. Frederick, eds. (2009). The Guns of August 2008: Russia's War in Georgia. New York: M. E. Sharpe. p. 63. ISBN 978-0765625083.
- ^ "Minister: Russia Behind Anti-Georgian Campaign in Western Media". Civil Georgia. 12 November 2008.
- ^ Gordadze, Thornike. "Georgia" (PDF). London School of Economics. p. 56.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6 December 2014.
- ^ 푸틴 vs. 아쿠닌 라디오 프리 유럽/라디오 프리덤
- ^ Coalson, Robert (2013-07-29). "Is Aleksei Navalny a Liberal or a Nationalist?". The Atlantic. Retrieved 2021-06-16.
- ^ "Alexey Navalny's blog" (in Russian). Retrieved 26 June 2021.
Конечно ни о каких дополнительных русских сухопутных войсках в ЮО речи сейчас идти не может
- ^ Minahan, James (2004). The Former Soviet Union's Diverse Peoples: A Reference Sourcebook. ABC-CLIO. p. 292.
- ^ Babayan, Nelli (2014). European Union and United States Democracy Promotion: EU, US, and Russia in the South Caucasus. Routledge. p. 56. ISBN 9781317750628.
The anti-Georgian policy of Abkhazia continued, officially demanding the departure of all ethnic Georgians from Abkhaz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