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하이드 울라스턴
William Hyde Wollaston윌리엄 하이드 울라스턴 | |
---|---|
![]() | |
태어난 | |
죽은 | 1828년 12월 22일( 치슬허스트, 영국 | 62세)
국적. | 영국의 |
모교 | 케임브리지 대학 곤빌 카이우스 칼리지 |
로 알려져 있다 | 오스뮴, 팔라듐 및 로듐의 발견 카메라 루시다 에너지 절약 빙하초록 전기화학 울라스톤 프리즘 울라스톤선 울라스톤 가로 렌즈 중탄산염 코이닝 |
어워드 | 코플리 메달 (1802) 크로온 메달 (1809) 왕실 훈장 (1828) 베이커리안 메달 (1802, 1805, 1818, 1828) |
과학 경력 | |
필드 | 화학 물리 |
제22대 왕립학회 회장 | |
재직중 1820–1820 | |
선행 | 조지프 뱅크스 |
에 의해 성공자 | 험프리 데이비 |
윌리엄 하이드 울라스턴(William Hyde Wollaston, 1766년 8월 6일 ~ 1828년 12월 22일)은 영국의 화학자이자 물리학자이다.그는 또한 백금 광석을 가단성 [1]잉곳으로 가공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인생
그는 유명한 아마추어 천문학자 프랜시스 울라스톤 (1737–1815)과 그의 아내 알테아 하이드 사이의 아들로 노퍽의 이스트 데레햄에서 태어났습니다.그는 17명의 아이들 중 하나였지만, 가정은 경제적으로 부유했고 지적 자극적인 환경을 즐겼다.그는 1774년부터 1778년까지 Charterhouse School에서 개인(및 원격) 교육을 받은 후 캠브리지의 Gonville and Caius College에서 과학을 공부했다.1793년에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1787년부터 1828년까지 [1]그의 대학의 펠로우였다.
그는 1789년부터 헌팅던에서 의사로 일했고 1797년 [1]런던으로 이사하기 전에 Burry St Edmunds로[2] 이사했다.그가 공부하는 동안, 울라스톤은 화학, 결정학, 야금학, 물리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800년, 그는 형들 중 한 명으로부터 많은 돈을 받은 후, 의학을 떠났다.그는 화학과 다른 과목에 대한 그의 관심사를 훈련받은 천직 밖에서 추구하는 데 집중했다.
그는 1793년 왕립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그곳에서 영향력 있는 회원이 되었다.그는 [1]1820년에 그것의 회장으로 일했다.1822년 그는 미국 예술 과학 [3]아카데미의 외국인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울라스톤은 1828년 12월 28일 런던에서 사망했고 영국 [1][4]치슬허스트의 성 니콜라스 교회 묘지에 묻혔다.
일하다.
화학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하기 위해 1800년 스미스슨 테넌트와 파트너십을 맺은 후, 울라스톤은 백금 광석을 실질적인 양으로 가공하는 최초의 물리 화학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부자가 되었다.그는 사망 직전까지 공정의 세부사항을 비밀에 부쳐 20년 동안 영국에서 유일하게 금과 같은 품질을 가졌지만 가격이 [1]훨씬 저렴한 제품을 공급함으로써 막대한 이익을 남겼다.
백금을 정제하는 과정과 관련된 화학 분석을 통해 Wollaston은 1802년 팔라듐(기호 Pd)과 1804년 [1]로듐(기호 Rh)을 발견했다.
앤더스 구스타프 에케버그는 탄탈룸을 1802년에 발견했지만, 울라스톤은 탄탈룸이 니오브와 동일하다고 선언했다.나중에 하인리히 로즈는 1846년에 콜럼비아와 탄탈이 정말로 다른 원소라는 것을 증명했고 그는 콜럼비아의 이름을 "니오브"로 바꾸었다. (니오브와 탄탈은 같은 주기 그룹에 속하며 화학적으로 유사하다.)
이 광물인 울라스토나이트는 결정학과 광물 [1]분석에 대한 그의 공헌으로 나중에 울라스톤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Wollaston은 또한 전기에서 중요한 일을 수행했다.1801년, 그는 마찰로 인한 전기가 볼타성 [5]말뚝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다는 것을 보여주는 실험을 했다.말년에 그는 전기 실험을 했는데, 이는 마이클 패러데이보다 10년 전에 우연히 전자기 유도를 발견한 결과였고, 이는 전기 모터의 최종 설계보다 앞선 것입니다.패러데이는 울라스톤의 이전 작품을 인정하지 않고 최초의 작동 전기 모터를 만들고 그의 결과를 발표했다.하지만 Wollaston의 왕립학회 모터 시연은 실패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Humphry Davy는 패러데이의 "이상한" [6]실험을 칭찬한 같은 논문에서 그의 이전 작품을 인정했다.울라스톤은 또한 배터리의 아연판을 산 밖으로 끌어올려 아연이 항상 배터리에 있는 것처럼 빨리 용해되지 않도록 하는 배터리를 발명했다.
그의 광학 작업은 또한 중요했는데,[7][8] 그는 분광학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인 태양 스펙트럼의 어두운 간격에 대한 관찰로 기억된다.그는 울라스톤 프리즘과 반사각계를 [9]포함한 카메라 루시다(1807)를 발명했다.그는 또한 1812년에 메니스커스 렌즈라고 불리는 카메라 렌즈를 위한 첫 번째 렌즈를 개발했다.이 렌즈는 카메라 옵스쿠라에 의해 투사되는 이미지를 개선하도록 설계되었다.렌즈의 모양을 바꿈으로써, 울라스톤은 더 평면적인 이미지를 투영할 수 있었고, 그 날의 많은 양볼록 렌즈에서 문제가 되던 왜곡을 상당 부분 없앴다.
Wollaston은 또한 "액체 물과 수증기가 담긴 유리 용기"인 크라이오포러스를 고안했다.증발에 의한 급속 [10]동결을 증명하기 위해 물리학 강좌에서 사용됩니다."그는 1805년에 그의 베이커식 강의인 "타악기의 힘에 대하여"를 에너지 보존의 초기 공식인 고트프리드 라이프니츠의 시각의 원리를 옹호하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당뇨병 환자의 혈청에서 포도당의 존재를 증명하려는 울라스톤의 시도는 그가 이용할 수 있는 제한된 감지 수단 때문에 성공하지 못했다.그의 1811년 논문 "당뇨병을 [11]앓고 있는 사람들의 혈액에 설탕이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는 당이 혈류로 들어가지 않고 위에서 신장으로 직접 림프관을 통해 이동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울라스톤은 "점액질 물질과 농질의 물질 사이의 기준을 확립하는 실험들"이라는 제목의 에딘버러 의대생 찰스 다윈의 논문을 언급함으로써 이 이론을 지지했다.그리고 일부 [12]질병에서 동물 몸의 흡수 혈관의 역행 움직임에 대한 설명입니다."그 의대생은 유명한 찰스 로버트 다윈의 삼촌이었다.
Wollaston은 예언적으로 만약 일단 기본 원자의 상대적인 무게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얻으면, 철학자들은 단순한 숫자의 결정에 만족하지 않고, 어떻게 기본 입자들이 우주에 놓여져 있는지에 대한 기하학적 개념을 얻어야 할 것이라고 예언했다.Jacobus Henricus van't Hoff의 La Chimie dans l'Espace는 이 [13]예언의 첫 번째 실질적인 실현이었다.
Wollaston은 1814년에 영국식 갤런을 채택하도록 권장한 왕실 위원회의 일부였다.또한 1814년, 울라스톤은 [14]중탄산염이라는 이름을 만들었다.그는 1818년과 1828년[1] 사이에 정부의 경도 위원회에서 일했고 미터법 채택을 반대하는 왕실 위원회의 일원이었다.[15]
울라스톤은 너무 아파서 1828년에 그의 마지막 베이커식 강의를 할 수 없었고 11월 20일에 그것을 읽은 헨리 워버튼에게 받아썼다.
영예와 상
- 영예와 상
- 왕립학회 펠로우, 1793년
-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1813년.
레거시
그를 기리기 위해 다음과 같은 이름을 붙였다.
- 울라스톤 메달[4]
- 월라스톤, 달 충돌[16] 크레이터
- 캐나다 서스캐처원주 울라스톤호 2,681km2(1035평방마일)의 담수호[17]
- 칠레의 울라스톤 섬은 그의[18]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 울라스톤 포어랜드, NE [19]그린란드
- 캐나다 [20]울라스톤 반도
- 울라스토나이트, 연쇄 규산염[21] 광물
- Wollaston 와이어, 매우 가는 백금[22] 와이어
Wollaston은 과학계에서 그의 역사적 지위를 보완할 만한 명성을 얻지 못했다고 언급되어 왔다: 그의 동시대인 Thomas Young, Humphry Davy, 그리고 John Dalton은 훨씬 더 잘 알려지게 되었다.
이에 대한 다른 이유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울라스톤 자신이 그의 발견을 발표하는 데 체계적이지도 않고, 심지어 팔라듐의 경우 익명으로(처음에는) 출판하기도 했다.또한, 아마도 그의 현대 유산에서 더 중요한 것은, 그의 개인 소장 서류는 접근할 수 없었고, 그의 노트는 그가 죽은 직후에 사라졌고 1세기 이상 동안 그렇게 남아있었다; 이것들은 마침내 캠브리지 대학에서 1960년대 말에 수집되었고 최초의 포괄적인 전기는 201년에 멜빈 유셀만에 의해 완성되었다.5, 30년 [23][24]이상 연구한 결과입니다.
출판물
- 타악의 힘으로 1805년
- Wollaston, William Hyde (1808). "On Super-Acid and Sub-Acid Salts". Phil. Trans. 98: 96–102. doi:10.1098/rstl.1808.0006.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c d e f g h i 멜빈 C.우셀만:William Hyde Wollaston Encyclopédia Britanica, 2013년 3월 31일 회수
- ^ Biographical Index of Former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783–2002 (PD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July 2006. ISBN 978-0-902198-84-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4 March 2016. Retrieved 28 January 2020.
- ^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W" (PDF).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Retrieved 7 August 2014.
- ^ a b Hartog, Philip Joseph; Lees, Charles Herbert (1900). Lee, Sidney (e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Vol. 62. London: Smith, Elder & Co. . In
- ^ "Telegraphic 저널: 전기 및 과학 발전의 주간 기록"(1864, Truscott, Son & Simmons):1801년 울라스톤 박사는 그의 보호막대로 물을 분해하기 위해 보통의 마찰전기를 사용했다.따라서 그는 전기 기계의 힘을 연속 전류로 전달할 수 있었다.
- ^ Davy, H Humphry (1823). "On a New Phenomenon of Electro-Magnetism".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London. 113: 153–159. doi:10.1098/rstl.1823.0015.
- ^ William Hyde Wollaston (1802) "프리즘 반사에 의한 굴절력과 분산력을 조사하는 방법", 왕립학회 철학거래, 92:365–380; 특히 페이지 378 참조.
- ^
OpenStax Astronomy, "천문학의 분광학"OpenStax CNX.2016년 9월 29일 http://cnx.org/contents/1f92a120-370a-4547-b14e-a3df3ce6f083@3
- ^ Hammond, John; Austin, Jill (1987). The camera lucida in art and science. Taylor & Francis. p. 16.
- ^ Smith, B A (1980). "Wollaston's cryophosphorus-precursor of the heat pipe". Physics Education. 15 (5): 310–314. Bibcode:1980PhyEd..15..310S. doi:10.1088/0031-9120/15/5/006.
- ^ Wollaston, W. H. (1811). "On the non-existence of sugar in the blood of persons labouring under diabetes mellitu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101: 96–105. doi:10.1098/rstl.1811.0006.
- ^ "Charles Darwin and the history of the early use of digitalis". Bulletin of the New York Academy of Medicine. 10 (2): 496–506. 1934.
- ^ 존 테오도르 메르츠, 19세기 유럽사상사(1903) 제1권
- ^ Wollaston, WH (January 1814). "I. A Synoptic scale of chemical equivalent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104: 1–22. doi:10.1098/rstl.1814.0001. S2CID 96774986.
- ^ Martini, Albert (2014). The Renaissance of Science: The Story of the Atom and Chemistry. Florida: Maitland.
- ^ "Wollaston". Gazetteer of Planetary Nomenclature. United States Geological Society. Retrieved 20 December 2018.
- ^ Francis, Daniel (8 July 2014). "Wollaston Lake". The Canadian Encyclopedia. Retrieved 20 December 2018.
- ^ Rolfo, Mariolina; Ardrizzi, Giorgio. "Cabo de Hornos". Patagonia & Tierra del Fuego Nautical Guide (2nd ed.). ISBN 978-88-85986-34-3.
- ^ "Catalogue of place names in northern East Greenland". Geological Survey of Denmark. Retrieved 9 July 2019.
- ^ "Wollaston Peninsula". The Columbia Gazetteer of North America. bartleby.com. 2000. Retrieved 11 October 2008.
- ^ Spencer, Leonard James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28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 In Chisholm, Hugh (ed.).
- ^ "William Hyde Wollaston: Research in Physics, Chemistry and Physiology". Carl Zeiss A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July 2011. Retrieved 9 July 2009.
- ^ Levitt, Theresa (2016). "Isis: A journal of the History of Science Society". Isis. 107 (3): 637–638. doi:10.1086/688432.
- ^ Usselman, Melvyn C. (1978). "The Platinum Notebooks of William Hyde Wollaston". Platinum Metals Review. 22: 100.
추가 정보
- "Wollaston, William Hyde (WLSN782WH)". A Cambridge Alumni Database. University of Cambridge.
- Pearson, Tilmon H.; Ihde, Aaron J. (1951). "Chemistry and the Spectrum Before Bunsen and Kirchhoff".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28 (5): 267–271. Bibcode:1951JChEd..28..267P. doi:10.1021/ed028p267.
- Hinde, P. T. (1966). "William Hyde Wollaston: The Man and His "Equivalent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243 (12): 673–676. Bibcode:1966JChEd..43..673H. doi:10.1021/ed043p673.
- 키프니스, 알렉산더 (1993) 로듐을 발견한 남자.로듐 익스프레스No 0: 30 – 34; "http://sites.google.com/site/rhodiumexpress/ 로듐의 발견"Loc. cit.1번 : 30 ~34ISSN 0869-7876
- Rouse Ball, Walter William (2009). A History of the Study of Mathematics at Cambridge Univers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16. ISBN 978-1-108-00207-3.
- Usselman, Melvyn C. (2015). Pure Intelligence: The Life of William Hyde Wollast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 424. ISBN 978-0-226-24573-7.
외부 링크
- 로듐 및 팔라듐:발견을 둘러싼 이벤트
-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London: Smith, Elder & Co. 1885–1900. .
- Poliakoff, Martyn. "Palladium". The Periodic Table of Videos. University of Nottingh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