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니아와 코소보의 통일
Unification of Albania and Kosovo![](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b/bc/Albania_Kosovo_Locator.png/300px-Albania_Kosovo_Locator.png)
알바니아와 코소보의[a] 통일은 2008년 코소보가 독립을 선언한 뒤 부활한 정치적 발상이다.[1] 이 아이디어는 대 알바니아라는 불가지론적 개념과 연관되어 있다.[2][3][4] 2010년대 현재 코소바인의 93%가 알바니아계 민족이다.
역사
1981년 코소보 유고슬라비아에서의 시위 동안 코소보가 알바니아로 통일될 가능성을 우려했다.[5] 1990년대 초 알바니아 정치인들의 발언은 모순적이었다.[6] 1999년 세르비아 경찰에 의해 결국 살해된 알바니아 국민연합의 창시자인 정치 활동가 우크신 호티는 알바니아와의 코소보 통일을 매우 성대한 지지자였다.[7] 2001년 알바니아 민주당 출신 정치인 아르벤 이마미는 알바니아와의 코소보 단일화가 당의 목표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이 발언은 자신의 당내에서 비판에 부딪혔다.[8]
아흐티사리 계획은 알바니아의 정체성이 아닌 다민족적 "코소바르"를 채택함으로써 코소보의 독립을 조건화했다.[9] 그럼에도 불구하고 갤럽 조사에서는 코소보 알바니아인의 75%가 한 나라에서 알바니아와 통일된 생활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바니아 국민의 68%가 코소보와의 알바니아 통일을 선호했던 알바니아에서도 같은 지지가 나타났다.[9] 2017년 벤 블루시 등 일부 알바니아 주류 정치인들이 통일을 지지하며 나섰다.[10] 코소보에서는 정당인 베테벤도제가 통일을 지지한다. 두 나라 사이의 정치적 연합은 알바니아를 코소보를 자국의 영토로 간주하는 세르비아와 외교 갈등을 일으킬 수도 있다.
하심 타치 대통령은 2019년 5월 유럽연합(EU)의 느린 통합 절차가 가속되지 않을 경우 코소보와 알바니아 통일을 위한 국민투표를 제안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를 타시가 두 나라를 통합하려는 진정한 의도 없이 "자신을 스포트라이트에 머물게 하려는 시도"라고만 보는 시각도 있다.[11]
여론
![]() |
알바니아와의 코소보 통일을 지지하는 여론 조사에도 불구하고 알바니아 정치인들의 목표는 국가 통일보다는 나토와 EU에 진입하는 것이었다.[12] 일부 로마 가톨릭 신자와 정통 기독교 알바니아인들은 상당수의 이슬람교도들을 새로운 주 안으로 들여오는 발칸 지역의 통일이 가능해질 경우 알바니아에 대한 "무슬림화"가 증가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13]
양국 2504명을 대상으로 한 2019년 오픈소사이어티 재단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코소바르 알바니아계 응답자의 79.4%가 알바니아와 코소보 간 통일에 찬성한 반면 알바니아계 응답자는 82.9%로 나타났다. 통일세를 낼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코소보 응답자의 66.1%가 찬성했는데 알바니아는 45.5%에 불과했다.[14]
참고 항목
메모들
참조
- ^ Sharon L. Wolchik; Jane Leftwich Curry (2011). Central and East European Politics: From Communism to Democracy. Rowman & Littlefield. p. 390. ISBN 978-0-7425-6734-4.
Undoubtedly, Kosovo's independence has revived the idea of the national unification of Albanians
- ^ Tristan James Mabry; John McGarry (2013). Divided Nations and European Integr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 175.
- ^ Lenard J. Cohen; Jasna Dragović-Soso (2008). State Collapse in South-Eastern Europe: New Perspectives on Yugoslavia's Disintegration. Purdue University Press. p. 194.
- ^ Winston Langley (2013). Encyclopedia of Human Rights Issues Since 1945. Routledge.
- ^ Howard Clark (2000). Civil Resistance in Kosovo. Pluto Press. pp. 44–. ISBN 978-0-7453-1569-0.
- ^ Geert-Hinrich Ahrens (6 March 2007). Diplomacy on the Edge: Containment of Ethnic Conflict and the Minorities Working Group of the Conferences on Yugoslavia. Woodrow Wilson Center Press. p. 323. ISBN 978-0-8018-8557-0.
CSCE mission of May 1992 judged that “on the question of the relations with Albania and of a possible unification, the answers were unclear, vague, and sometimes contraddictory
- ^ Heike Krieger (12 July 2001). The Kosovo Conflict and International Law: An Analytical Documentation 1974-1999.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75. ISBN 978-0-521-80071-6.
- ^ Maria Koinova (1 July 2013). Ethnonationalist Conflict in Postcommunist States: Varieties of Governance in Bulgaria, Macedonia, and Kosovo.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 197. ISBN 978-0-8122-0837-5.
- ^ a b Tristan James Mabry; John McGarry; Margaret Moore; Brendan O'Leary (30 May 2013). Divided Nations and European Integr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 182. ISBN 978-0-8122-4497-7.
- ^ https://koha.net/?id=27&l=153816
- ^ "Thaci's Pan-Albania Union Plea Scorned as Populism". Balkan Insight. 2019-06-03. Retrieved 2019-06-09.
- ^ Henry H. Perritt (2010). The Road to Independence for Kosovo: A Chronicle of the Ahtisaari Pl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94. ISBN 978-0-521-11624-4.
- ^ Lesser, Ian O.; Larrabee, F. Stephen; Zanini, Michele; Vlachos-Dengler, Katia (2001). Greece's new geopolitics. Santa Monica: Rand Corporation. p. 51. ISBN 9780833032331.
- ^ Demi, Agron; Çeka, Blendi (2019). Kosovo-Albania Interaction, knowledge, values, beliefs, cooperation and unification (PDF) (Report). Open Society Foundations. p. 38-39. Retrieved 2021-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