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티아 데 랑게
Titia de Lange티티아 데 랑게 | |
---|---|
![]() 2011년 빌체크 시상식 티티아 데 랑게 | |
태어난 | 티티아 데 란지 1955년 11월 11일 ) |
국적 | 네덜란드어 |
모교 | 암스테르담 대학교(Ph.D) |
로 알려져 있다. | |
수상 |
|
과학 경력 | |
필드 | 분자생물학, 세포생물학, 유전학 |
기관 | |
박사학위 자문위원 | 피에트 보르스트 |
웹사이트 | delangelab |
티티아 드 랑게(1955년 11월 11일 로테르담 출생)는 앤더슨 암연구센터장, 레온 헤스 교수, 록펠러 대학교 실험실 세포생물유전학부장을 맡고 있다.[1]
드 랭은 1981년 암스테르담 대학에서 "인간 β-글로빈 유전자 로커스의 크로마틴 구조"에 관한 석사학위를 취득했고, 이후 1985년 같은 기관에서 피에 보르스트와 함께 트라이파노솜의 표면 항원 유전자에 관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85년 그녀는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의 해롤드 바머스 연구소에 들어갔다. 1990년부터 그녀는 록펠러 대학에서 교수직을 맡고 있다. 2011년 드 랑지는 생물 의학 분야에서 빌체크 상을 받았다.[2] 2013년 그녀는 텔로미어에 대한 연구로 3백만 달러 상당의 생명과학 분야의 획기적인 상을 받았다.[3]
2000년에 그녀는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특파원이 되었다.[4]
경력
티티아 드 랭지는 암스테르담 대학에 다녔고 그곳에서 생화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다.[5] 네덜란드 암 연구소에서 근무하면서 암스테르담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기도 했다.[5] 1985년, 그녀는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박사후 펠로우쉽 직책을 수락했다. 1990년에 드 랭지는 록펠러 대학에서 그녀만의 연구소를 시작했다.[5] 그녀는 현재 레온 헤스 교수와 록펠러 대학교의 앤더슨 암 연구 센터장을 맡고 있다.[6] 그녀는 2013년 말단소립에 관한 연구로 생명과학 분야의 획기적인 상을 수상했는데, 이는 가닥을 함께 묶고 보호해 주는 분자의 복합체를 지도화함으로써 염색체의 끝을 보호하는 방법과 암의 게놈 불안정성에 대한 그들의 역할을 밝혀냈다. 그녀의 연구는 DNA 구조를 밝히는데 있어 진전을 이루는 것 외에도 노화와 암에 대한 이해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7]
리서치
티티아 드 랭지는 원래 네덜란드에서 고등학교를 마친 후 화학을 공부하고 싶었지만 학생과 교사들 모두 화학에서 여성이 부족하여 생물학을 대신 생화학 트랙으로 공부하도록 설득했다.[5] 암스테르담 대학에서 그녀는 국립 의학 연구소의 멘토 리차드 플라벨 밑에서 일했고 그곳에서 석사 논문을 완성했다.[5] 그녀의 논문은 매우 희귀한 탈라세미아 형태인 β-탈라세미아의 DNA 번역에 초점을 맞췄다.[8] 그의 연구는 β-글로빈 유전자의 불활성화를 초래한 DNA 변환을 통해 β-탈라세미아에 걸린 환자를 밝혀냈다.[8] 드 랭지는 "그곳에서 처음으로 과학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알게 됐다"고 말했다. …매우 활기차고 경쟁력 있는 국제 연구실이었다. 아주 재미있어서 과학에 머물게 되었답니다."[5]
De Lange는 네덜란드 암 연구소에서 박사 학위를 받는 동안 텔로미어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5] 텔로메레스는 점차 연구의 주안점이 되었다. 드 랭지는 1985년 박사학위를 받은 뒤 1985년부터 1990년까지 해롤드 바머스 연구소의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박사후 펠로우십을 마쳤다.[5] De Lange는 UCSF에서 일하는 동안 텔로미어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다. de Lange는 정자 세포가 체세포보다 몇 킬로바이트 쌍의 텔로미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9] 그녀는 또한 종양 세포가 상당히 짧은 텔로미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9] 이 연구는 암뿐만 아니라 노화에서 텔로미어의 역할을 확립하는 데에도 큰 의미가 있었다. 텔로미어는 염색체 끝에 있는 반복적인 뉴클레오티드 시퀀스로, 부적절한 DNA 수리에 따른 보호 요소 역할을 한다.[10] 텔로미어의 뉴클레오티드 시퀀스는 TTAGGG.[10] 사람이 나이를 먹을수록 모든 DNA 시퀀스가 완전히 복제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DNA 복제의 각 라운드에 따라 텔로미드가 점차 짧아진다.[10] 염색체 끝은 다양한 경로, ATM 또는 ATR 키나아제와 관련된 DNA 손상 신호 경로, 이중 가닥 파괴 수리 경로, 비동맥종단 접합 또는 동종학 방향 수리 등으로 인해 위협받는다.[11]
록펠러 대학에서 그녀의 연구는 텔로미어와 관련된 단백질과 DNA 복구 과정으로부터 텔로미어를 보호하는 그들의 역할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맞췄다.[5] 처음 몇 년 동안 그녀는 인간 말단소립의 주요 단백질 성분을 식별하는 데 많은 시간과 자원을 할애했다.[5] 1995년에 그녀는 텔로메릭-반복 결합 인자 단백질 1(TRF1)을 식별하고 정제했다.[12] 바스 판 슈테엔셀의 도움으로 데 랑지는 텔로미어와 관련된 단백질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다.[5] 그녀는 TRF1이 텔로미어의 길이를 규제하는 데 결정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13] 그녀는 연구에서 TRF1이 텔로머레이즈의 작용을 억제할 것을 제안했다.[13] 텔로머레이즈는 말단소립을 연장시킬 수 있는 RNA 의존 DNA 중합효소로 말단소립 DNA의 유지에 필수적이다.[9][12] 텔로머레이즈는 DNA 복제 과정에서 발생하는 텔로미어의 단축에 대항할 수 있다.[14] 그녀와 그녀의 공동 조사자인 바스 판 슈테엔젤과 아가타 스모그노르제프스카도 TRF2 단백질을 발견했고, 다른 기능 외에도 텔로미어의 종단간 퓨즈를 방지한다는 것을 발견했다.[15]
드 랭지의 주요 발견 중 하나는 잭 그리피스와의 협력에서 텔로미어의 t-루프 구조의 발견이었다.[16] 이는 TRF2에 의해 2중 루프(t 루프)로 선형 텔로메릭 DNA를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전자현미경을 통해 밝혀졌다.[14] 이러한 구조적인 변화는 TRF2가 텔로미어의 끝을 격리시킬 수 있게 해주는데, 텔로미어는 DNA의 한 가닥을 덮어줌으로써 텔로미어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14] 이 메커니즘은 자연 염색체 종단에 의한 DNA 손상 검문소의 부적절한 활성화로부터 보호한다.[14] 이전의 연구는 염색체의 끝을 보호하는 것 외에도, 말단 복합체들은 세포들이 임의의 DNA 파괴와 자연 염색체의 끝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관찰했다.[14]
2005년 데 랑지는 6개의 말단백질들이 역동적인 단백질 복합체를 형성한다는 결정적인 깨달음에 도달했는데, 그녀는 염색체의 끝을 보호하는 기능을 위해 쉼터인을 명명했다.[17] 6개의 쉼터 서브유닛은 TRF1, TRF2, TIN2, Rap1, TPP1, POT1이다.[17] 쉼터인 하위유닛은 텔로미어와 연관된 유일한 단백질은 아니지만 염색체 끝단 옆 영역에 축적되지 않는 기준을 충족함으로써 다른 단백질과 차이가 있으며, 그 기능은 텔로미어로 제한되며 세포 주기 내내 텔로미어에 존재한다.[17] 보호막은 보호 염색체 끝이 손상된 DNA로 오인될 수 있는 DNA 복구 경로에 의해 부적절하게 처리되지 않고 말단소립자를 DNA 손상 감시로부터 원천적으로 숨길 수 있도록 한다.[17]
티티아 데 랑지의 연구는 텔로미어 연구 분야에서 매우 귀중한 것으로 증명되었고 게놈 유지뿐만 아니라 암 발달에 대한 더 큰 이해로 이어졌다.[5] 그녀의 연구는 종양 발달에 있어 텔로미어의 중요한 역할에 대한 더 많은 연구를 촉진시켰다.
수상
De Lange is the recipient of several awards including the 2001 Paul Marks Prize for Cancer Research, the 2008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Cancer Center Prize, the 2010 AACR Clowes Memorial Award, the 2011 Vanderbilt Prize in Biomedical Science, the 2011 Vilcek Prize in Biomedical Science, the 2013 Breakthrough Prize in Life Sciences, the 2014 GaIrdner International Award와 2017 Rosenstiel Award.[6][8]
그녀는 미국예술과학아카데미, 유럽분자생물학기구, 로열더치과학아카데미 등 여러 기구의 선출직 위원이다.[6]
참조
- ^ De Lange, Titia (October 10, 2018). "The Rockefeller University De Lange lab". delangelab.rockefeller.edu. Retrieved October 10, 2018.
- ^ "Titia de Lange receives 2011 Vilcek Prize in Biomedical Science Newswire". The Rockefeller University. February 22, 2011. Retrieved April 11, 2018.
- ^ "Cori Bargmann, Titia de Lange win inaugural Breakthrough Prizes worth $3 million". Rockefeller University's Newswire. February 20, 2013. Retrieved April 11, 2018.
- ^ "Titia de Lange".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Retrieved July 19, 2015.
- ^ a b c d e f g h i j k l "Titia de Lange: The Complex Puzzle of Chromosome Ends - Rita Allen Foundation". ritaallen.org. Retrieved November 23, 2017.
- ^ a b c "Titia de Lange, Ph.D." vumc.org. Vanderbilt University Medical Cent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 2017. Retrieved November 27, 2017.
- ^ "Breakthrough Prize – Life Sciences Breakthrough Prize Laureates – Titia de Lange". breakthroughprize.org. Retrieved March 16, 2019.
- ^ a b c Kiusis, D, Vanin, E, deLange, T, Flavel, R. A, & Grosveld, F. G. (1983) β-글로빈 유전자가 β-탈라세미에서 DNA 변환에 의해 비활성화됨. 자연, 306, 662. JUR. https://dx.doi.org/10.1038/306662a0에서 검색됨
- ^ a b c T. de Lange, L. Shue, R.M. Myers, D.R. Cox, S.L. Naylor, A.M. Killery, H.E. Varmus (1990) 인간 염색체의 구조와 변동성 몰. 세포. 비올. 10: 518-527. http://mcb.asm.org/content/10/2/518.long에서 검색됨
- ^ a b c 왕, R. C. 스모그오르제프스카, A. & Lange, T. De. (2004) 호몰로지 재결합 인간 텔로미어, 119, 355–368에서 T-루프 크기의 삭제를 생성한다. https://dx.doi.org/10.1016/j.cell.2004.10.011에서 검색됨
- ^ T. de Lange(2011) 피난처가 텔로미어 엔드 보호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제75회 CSH Simple. 콴트, 75: 167-177 1월 5일. https://dx.doi.org/10.1101/sqb.2010.75.017에서 검색됨
- ^ a b L. Chong, B. van Steensel, D. 브로콜리, H. Erdjument-Bromage, J. Hanish, P. 온도계, T. de Lange(1995) 인간의 말단백질이다. 과학 270: 1663-1667. doi에서 검색됨: 10.1126/과학.270.5242.1663
- ^ a b B. van Steensl과 T. de Lange(1997) 인간 말단백질 TRF1에 의한 말단소자 길이 조절. 자연 385: 740-744. :10.1038/385740a0에서 검색됨
- ^ a b c d e J. D. 그리피스, L. 코모, S. 로젠필드, R. 스탠셀, A. 비안치, H. 모스, T. 드 랭(1999) 포유류 텔로메레스는 커다란 이중 루프에서 끝난다. 97: 503-514. (1266. https://dx.doi.org/10.1016/S0092-8674(00)80760-6에서 검색됨
- ^ B. 판 슈테엔젤, A. 스모그로제프스카, T. 데 랑게(1998) TRF2는 인간의 말단소립자를 종단간 퓨즈로부터 보호한다. 92호 401-413호 https://dx.doi.org/10.1016/S0092-8674(00)80932-0에서 검색됨
- ^ "Titia de Lange - 2013 Breakthrough Price in Life Sciences". Breakthrough Prize. Retrieved November 23, 2017.
- ^ a b c d T. de Lange (2005) 쉼터: 인간의 말단소립을 형성하고 보호하는 단백질 복합체. 유전자와 개발 19: 2100-210. (983) doi에서 검색됨: 10.1101/gad.1346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