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나 오조프

Mona Ozouf
모나 오조프
Mona Ozouf 2014.jpg
2014년 모나 오조프
태어난 (1931-02-24) 1931년 2월 24일 (90세)
국적프랑스어
교육에콜 노르말 수페리우레 드 쥬네스가 가득하다.
직업철학자
역사학자
배우자자크 오조프

모나 오조프는 모나 아니그 소히에(Mona Annig Sohier, 1931년 출생) 프랑스의 역사학자 겸 철학자다. 브리트니의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는 데 열심인 학교 교사 집안에서 태어난 그녀는 에콜 노르말 수페리우레 쥬네즈에서 철학의 교사로 졸업했다.[1] 철학을 가르친 후, 그녀는 역사학자로 CNRS에 가입했다. 그녀의 연구와 저술은 프랑스 혁명과 프랑스 세속 교육 제도에 중점을 두고 있다. 주목할 만한 출판물로는 L'école, L'église et la République, 1871–1914 (1963년), La Féte révolutioner, 1789–1799 (1976년) 등이 있으며, Festivals와 프랑스 혁명 (1988)으로 영어로 출판되었다.[2][3]

전기

1931년 2월 24일 피니스테르라닐리스에서 태어난 모나 아니그 소히어는 교직원 얀 소히어(1901~1935)와 앤 르 덴의 딸이다. 1955년에 그녀는 역사학자 fr:Jacques Ozouf (1928–2006)와 결혼했다.[4]

그 후,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가 겨우 네 살이었을 때 돌아가셨고, 그녀는 어머니와 할머니에게 양육되었다. 그녀는 할머니와 마을 교회를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것 외에는 어머니가 교장으로 있는 학교 밖에서는 거의 허용되지 않았다. 그 결과 그녀는 손에 넣을 수 있는 모든 책을 읽으며 문학에 매료되었다.[4]

생브리우크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그녀는 1952년부터 에콜 노르말 수페리우레에서 철학을 공부했다. 많은 동료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그녀는 공산당에 입당했지만 1956년 헝가리 혁명이 진압된 후 4년 후, 정치에 관여하지 않기로 결심하면서 떠났다. 그녀는 한 기간 동안 철학을 가르쳤으나 국립도서관에서 데니스 리체트, 에마뉘엘 르로이 라두리, 프랑수아 푸레트 등의 역사학자들을 만난 후 역사로 전향했다. 그녀는 그들과 함께 1988년 프랑스 혁명의 비판 사전으로 영어로 출판된 "The Critical Dictionary of the French Revolution francaise"를 제작했다. 1977년 사망한 남편과 함께, 그녀는 1989년에 출판된 La République des instituters를 개발했다.[2]

프랑스 혁명의 인정받는 학자가 된 그녀는 1976년 자신의 신작 '라페 레볼루셔너'를 출간했다. 영어 번역, 축제 그리고 프랑스 혁명은 1988년에 출판되었다. 그녀가 검토한 여러 가지 다양한 축제의 상징과 이미지에 대한 그녀의 분석은 혁명과 프랑스 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에 크게 기여했다.[3]

오조프는 1995년 레모트 데 펨프(Les Mots des femes) 또는 여성단어(Women's Words)를 발표하면서 프랑스 역사상 뛰어난 여성 10명에 대한 분석에도 착수했다.[3]

수상 및 명예

오조프는 역사 작품으로 2004년 그랑프리 고베르,[5] 2007년 문학상 시노 두카,[6] 2007년 오르드레예술상,[7] 2009년 브레톤상 에르미네·프리 브라이즈상 등 많은 권위 있는 상과 영예를 받았다.[8][9]최근에는 국가훈장(2011년),[10] 레지옹 도뇌르 훈장(2014년),[11] 프리메라리가 프랑세즈(2015년),[12] 국가훈장 대관(2017년)으로 영예를 안았다.[13]

참조

  1. ^ "Biographie de Mona Ozouf" (in French). France Culture. Retrieved 10 March 2019.
  2. ^ a b "Mona Oznouf" (in French). Fnac. Retrieved 10 March 2019.
  3. ^ a b c Boyd, Kelly (1999). Encyclopedia of Historians and Historical Writing. Taylor & Francis. pp. 899–. ISBN 978-1-884964-33-6.
  4. ^ a b Raspiengeas, Jean-Claude (27 July 2018). "Mona Ozouf, une adolescente d'autrefois". La Croix (in French). Retrieved 10 March 2019.
  5. ^ "Mona Ouzouf". Prix-Litteraires.net. Retrieved 10 March 2019.
  6. ^ "Prix Mondial" (in French). Fondation Del Duca. Retrieved 10 March 2019.
  7. ^ Albanel, Christine (23 November 2007). "Nomination ou promotion dans l'ordre des Arts et des Lettres" (in French). Ministère de la Culture. Retrieved 10 March 2019.
  8. ^ "Remise du collier de l'Hermine à Mona Ozouf le 21 novembre à Guérande" (in French). Agence Bretagne Presse. 14 November 2009. Retrieved 10 March 2019.
  9. ^ "Le prix Breizh attribué à Mona Ozouf" (in French). Agence Bretagne Presse. 29 April 2009. Retrieved 10 March 2019.
  10. ^ "Ordre national du Mérite" (in French). Journal officiel de la République francaise. 15 May 2011. Retrieved 10 March 2019.
  11. ^ "Ordre national de la Légion d¨honneur" (in French). Journal officiel de la République francaise. 13 July 2014. Retrieved 10 March 2019.
  12. ^ Mazin, Cécile (14 October 2015). "Mona Ozouf, lauréate du Prix de la langue française 2015" (in French). AL ActuaLitté. Retrieved 10 March 2019.
  13. ^ "Décret du 18 novembre 2017 portant élévation aux dignités de grand'croix et de grand officier" (in French). JORF. 21 November 2017. Retrieved 10 March 2019.

추가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