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단백질)

Ran (protein)
PBB Protein RAN image.jpg
사용 가능한 구조물
PDB직교 검색: PDBe RCSB
식별자
별칭RAN, ARA24, Gsp1, TC4, Ran, 멤버 RAS 종양유족
외부 IDOMIM: 601179 MGI: 1333112 HomoloGene: 68143 GeneCard: RAN
직교체
인간마우스
엔트레스
앙상블
유니프로트
RefSeq(mRNA)

NM_006325
NM_001300796
NM_001300797

NM_009391

RefSeq(단백질)

NP_001287725
NP_001287726
NP_006316

NP_033417

위치(UCSC)Chr 12: 130.87 – 130.88MbChr 5: 129.1 – 129.1Mb
PubMed 검색[3][4]
위키다타
인간 보기/편집마우스 보기/편집

Ran (RAs 관련 핵 단백질)은 GTP 결합 핵 단백질로 알려져 있으며 인간에서 RAN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이다.란(Ran)은 25 kDa의 작은 단백질로, 세포핵간상(間相) 동안 안팎으로 운반하는 데 관여하며 유사분열에도 관여한다.그것은 라스 슈퍼 패밀리의 일원이다.[5][6][7]

란(Ran)은 핵공기 복합체를 통한 RNA와 단백질의 번역에 필수적인 작은 G단백질이다.Ran의 돌연변이가 DNA 합성을 방해하는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Ran 단백질은 DNA 합성 및 세포 주기 진행의 제어에도 관여되어 왔다.[8]

함수

런 사이클

런 사이클의 도식적 표현

Ran은 두 가지 뉴클레오티드 바인딩 형태로 세포 안에 존재한다: GDP 바인딩과 GTP 바인딩.Ran GDP는 Ran의 뉴클레오티드 교환 인자RCC1의 작용을 통해 RanGTP로 변환된다. RCC1은 RanGUEF(Ran Guanine nucleotide Exchange Factor)로도 알려져 있다.Ran의 본질적인 GTPase-activity는 Ran GTPase 활성화 단백질(RanGAP)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활성화되며, Ran-binding 단백질(RanBP)과의 복잡한 형성에 의해 촉진된다.GTPase-activation은 RanGTP를 Ran GDP로 변환하여 Ran 사이클을 종료한다.

Ran은 세포 내에서 자유롭게 확산될 수 있지만, RCC1과 RanGAP은 세포 내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RanGTP와 Ran GDP의 농도도 국지적으로 달라 다른 세포 과정의 신호 역할을 하는 농도 구배를 생성한다.RCC1은 염색질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핵 에 위치한다.RanGAP은 효모에 세포질이며 식물과 동물의 핵 봉투에 묶여 있다.포유류 세포에서는 뉴클레오폴린 RANBP2(Nup358)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SOMO를 수정하여 핵공기 복합체의 세포질에 부착한다.Ran 사이클에서 부속 단백질의 위치 차이는 핵 내에서 RanGTP 대 RanGDP 비율이 높고, 핵 밖에서 RanGTP 대 RanGDP 비율이 반비례적으로 낮다.뉴클레오티드 결합 상태 란(Ran)의 경사로 외에도 단백질 자체의 경사로가 있는데, 세포질보다 핵에 Ran의 농도가 높다.세포질 Ran GDP는 소단백질 NUTF2(핵 운반 인자 2)에 의해 핵으로 수입되는데, RCC1은 그 후 Ran on Ran에 대한 GTP의 GDP 교환을 촉진할 수 있다.

단계간 핵 수송의 역할

핵공극에서 핵 세포질 이동에 대한 런 사이클 관여

란씨는 카리오페린과 상호작용하고 화물 분자를 묶거나 방출하는 능력을 변화시킴으로써 핵 봉투를 가로지르는 단백질의 수송에 관여하고 있다.핵 국산화 신호(NLS)를 함유한 화물 단백질은 수입에 의해 묶여 핵으로 운반된다.핵 안에서는 RanGTP는 수입 화물을 수입하기 위해 결합하고 방출한다.핵에서 세포질 속으로 빠져 나가야 하는 화물은 란GTP와 함께 3차 복합체에서 수출하기 위해 결합된다.핵 바깥의 RanGTP에 RanGDP를 가수분해하면 복잡한 분리 및 수출 화물이 방출된다.

유사분열에서의 역할

유사분열 중 Ran 사이클은 염색체가 분리된 후 유사분열 스핀들 조립과 핵 봉투 재조립에 관여한다.[9][10]프로 페이즈 동안 핵 모공에서 RanGTP-Ran GDP 비율의 가파른 경사는 핵 봉투가 새고 분해되면서 분해된다.랑그TP 농도는 뉴클레오티드 교환 인자인 RCC1이 염색체에 붙어 있기 때문에 염색체 주위에서 높게 유지된다.[11]RanBP2(Nup358)와 RanGAP는 키네토코어로 이동하여 스핀들 섬유를 염색체에 부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또한 RanGTP는 핵 수송 메커니즘과 유사한 메커니즘에 의해 스핀들 어셈블리를 촉진한다: NuMATPX2와 같은 스핀들 어셈블리 인자의 활성도는 가져오기 바인딩에 의해 억제된다.랑그TP는 임베딘을 방출함으로써 이러한 요인을 활성화하여 유사분열 스핀들의 조립을 촉진한다.텔로파아제에서는 딸 핵의 개혁적 핵 봉투에서 소변 핵융합을 위해 RanGTP 가수분해와 뉴클레오티드 교환이 필요하다.

란 및 안드로겐 수용체

란(RAN)은 안드로겐 수용체(AR) 공동활성제(ARA24)로 안드로겐 수용체 내에서 서로 다른 길이의 폴리글루타민으로 차등적으로 결합된다.AR에서 폴리글루타민 반복 확장은 척추볼바 근육 위축(케네디병)과 연결된다.AR 내의 폴리글루타민 확장에 따라 AR의 RAN 공동 활성화가 감소하며, 이러한 약한 공동 활성화가 척추 및 척수 근육 위축의 발달 과정에서 부분 안드로겐 불감증을 초래할 수 있다.[12][13]

상호작용

Ran이 다음 항목과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됨:

규정

Ran의 표현은 microRNA miR-10a의해 억제된다.[32]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GRCh38: 앙상블 릴리스 89: ENSG00000132341 - 앙상블, 2017년 5월
  2. ^ a b c GRCm38: 앙상블 릴리스 89: ENSMUSG000029430 - 앙상블, 2017년 5월
  3. ^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4. ^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5. ^ Moore MS, Blobel G (May 1994). "A G protein involved in nucleocytoplasmic transport: the role of Ran". Trends Biochem. Sci. 19 (5): 211–6. doi:10.1016/0968-0004(94)90024-8. PMID 7519373.
  6. ^ Avis JM, Clarke PR (October 1996). "Ran, a GTPase involved in nuclear processes: its regulators and effectors". J. Cell Sci. 109 (10): 2423–7. doi:10.1242/jcs.109.10.2423. PMID 8923203.
  7. ^ Dasso M, Pu RT (August 1998). "Nuclear transport: run by Ran?". Am. J. Hum. Genet. 63 (2): 311–6. doi:10.1086/301990. PMC 1377330. PMID 9683621.
  8. ^ Sazer S, Dasso M (April 2000). "The ran decathlon: multiple roles of Ran". J. Cell Sci. 113 (7): 1111–8. doi:10.1242/jcs.113.7.1111. PMID 10704362.
  9. ^ Gruss OJ, Vernos I (September 2004). "The mechanism of spindle assembly: functions of Ran and its target TPX2". J. Cell Biol. 166 (7): 949–55. doi:10.1083/jcb.200312112. PMC 2172015. PMID 15452138.
  10. ^ Ciciarello M, Mangiacasale R, Lavia P (August 2007). "Spatial control of mitosis by the GTPase Ran". Cell. Mol. Life Sci. 64 (15): 1891–914. doi:10.1007/s00018-007-6568-2. PMID 17483873. S2CID 8687055.
  11. ^ Carazo-Salas RE, Guarguaglini G, Gruss OJ, Segref A, Karsenti E, Mattaj IW (July 1999). "Generation of GTP-bound Ran by RCC1 is required for chromatin-induced mitotic spindle formation". Nature. 400 (6740): 178–81. Bibcode:1999Natur.400..178C. doi:10.1038/22133. PMID 10408446. S2CID 4417176.
  12. ^ Hsiao PW, Lin DL, Nakao R, Chang C (July 1999). "The linkage of Kennedy's neuron disease to ARA24, the first identified androgen receptor polyglutamine region-associated coactivator". J. Biol. Chem. 274 (29): 20229–34. doi:10.1074/jbc.274.29.20229. PMID 10400640.
  13. ^ Sampson ER, Yeh SY, Chang HC, Tsai MY, Wang X, Ting HJ, Chang C (2001).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drogen receptor associated coregulators in prostate cancer cells". J. Biol. Regul. Homeost. Agents. 15 (2): 123–9. PMID 11501969.
  14. ^ a b c Plafker K, Macara IG (2000). "Facilitated nucleocytoplasmic shuttling of the Ran binding protein RanBP1". Mol. Cell. Biol. 20 (10): 3510–21. doi:10.1128/MCB.20.10.3510-3521.2000. PMC 85643. PMID 10779340.
  15. ^ Kutay U, Izaurralde E, Bischoff FR, Mattaj IW, Görlich D (1997). "Dominant-negative mutants of importin-beta block multiple pathways of import and export through the nuclear pore complex". EMBO J. 16 (6): 1153–63. doi:10.1093/emboj/16.6.1153. PMC 1169714. PMID 9135132.
  16. ^ Percipalle P, Clarkson WD, Kent HM, Rhodes D, Stewart M (1997). "Molecular interactions between the importin alpha/beta heterodimer and proteins involved in vertebrate nuclear protein import". J. Mol. Biol. 266 (4): 722–32. doi:10.1006/jmbi.1996.0801. PMID 9102465.
  17. ^ Roig J, Mikhailov A, Belham C, Avruch J (2002). "Nercc1, a mammalian NIMA-family kinase, binds the Ran GTPase and regulates mitotic progression". Genes Dev. 16 (13): 1640–58. doi:10.1101/gad.972202. PMC 186374. PMID 12101123.
  18. ^ Cushman I, Bowman BR, Sowa ME, Lichtarge O, Quiocho FA, Moore MS (2004). "Computational and biochemical identification of a nuclear pore complex binding site on the nuclear transport carrier NTF2". J. Mol. Biol. 344 (2): 303–10. doi:10.1016/j.jmb.2004.09.043. PMID 15522285.
  19. ^ Stewart M, Kent HM, McCoy AJ (1998). "Structural basis for molecular recognition between nuclear transport factor 2 (NTF2) and the GDP-bound form of the Ras-family GTPase Ran". J. Mol. Biol. 277 (3): 635–46. doi:10.1006/jmbi.1997.1602. PMID 9533885.
  20. ^ a b Steggerda SM, Paschal BM (2000). "The mammalian Mog1 protein is a guanine nucleotide release factor for Ran". J. Biol. Chem. 275 (30): 23175–80. doi:10.1074/jbc.C000252200. PMID 10811801.
  21. ^ a b Ren M, Villamarin A, Shih A, Coutavas E, Moore MS, LoCurcio M, Clarke V, Oppenheim JD, D'Eustachio P, Rush MG (1995). "Separate domains of the Ran GTPase interact with different factors to regulate nuclear protein import and RNA processing". Mol. Cell. Biol. 15 (4): 2117–24. doi:10.1128/MCB.15.4.2117. PMC 230439. PMID 7891706.
  22. ^ Hillig RC, Renault L, Vetter IR, Drell T, Wittinghofer A, Becker J (1999). "The crystal structure of rna1p: a new fold for a GTPase-activating protein". Mol. Cell. 3 (6): 781–91. doi:10.1016/S1097-2765(01)80010-1. PMID 10394366.
  23. ^ Becker J, Melchior F, Gerke V, Bischoff FR, Ponstingl H, Wittinghofer A (1995). "RNA1 encodes a GTPase-activating protein specific for Gsp1p, the Ran/TC4 homologue of Saccharomyces cerevisiae". J. Biol. Chem. 270 (20): 11860–5. doi:10.1074/jbc.270.20.11860. PMID 7744835.
  24. ^ Bischoff FR, Klebe C, Kretschmer J, Wittinghofer A, Ponstingl H (1994). "RanGAP1 induces GTPase activity of nuclear Ras-related Ran". Proc. Natl. Acad. Sci. U.S.A. 91 (7): 2587–91. Bibcode:1994PNAS...91.2587B. doi:10.1073/pnas.91.7.2587. PMC 43414. PMID 8146159.
  25. ^ Renault L, Kuhlmann J, Henkel A, Wittinghofer A (2001). "Structural basis for guanine nucleotide exchange on Ran by the regulator of chromosome condensation (RCC1)". Cell. 105 (2): 245–55. doi:10.1016/S0092-8674(01)00315-4. PMID 11336674. S2CID 12827419.
  26. ^ Azuma Y, Renault L, García-Ranea JA, Valencia A, Nishimoto T, Wittinghofer A (1999). "Model of the ran-RCC1 interaction using biochemical and docking experiments". J. Mol. Biol. 289 (4): 1119–30. doi:10.1006/jmbi.1999.2820. PMID 10369786.
  27. ^ Chook YM, Blobel G (1999). "Structure of the nuclear transport complex karyopherin-beta2-Ran x GppNHp". Nature. 399 (6733): 230–7. Bibcode:1999Natur.399..230C. doi:10.1038/20375. PMID 10353245. S2CID 4413233.
  28. ^ a b Shamsher MK, Ploski J, Radu A (2002). "Karyopherin beta 2B participates in mRNA export from the nucleus". Proc. Natl. Acad. Sci. U.S.A. 99 (22): 14195–9. Bibcode:2002PNAS...9914195S. doi:10.1073/pnas.212518199. PMC 137860. PMID 12384575.
  29. ^ Tickenbrock L, Cramer J, Vetter IR, Muller O (2002). "The coiled coil region (amino acids 129-250) of the tumor suppressor protein adenomatous polyposis coli (APC). Its structure and its interaction with chromosome maintenance region 1 (Crm-1)". J. Biol. Chem. 277 (35): 32332–8. doi:10.1074/jbc.M203990200. PMID 12070164.
  30. ^ Fornerod M, Ohno M, Yoshida M, Mattaj IW (1997). "CRM1 is an export receptor for leucine-rich nuclear export signals". Cell. 90 (6): 1051–60. doi:10.1016/S0092-8674(00)80371-2. PMID 9323133. S2CID 15119502.
  31. ^ Brownawell AM, Macara IG (2002). "Exportin-5, a novel karyopherin, mediates nuclear export of double-stranded RNA binding proteins". J. Cell Biol. 156 (1): 53–64. doi:10.1083/jcb.200110082. PMC 2173575. PMID 11777942.
  32. ^ Ørom UA, Nielsen FC, Lund AH (2008). "MicroRNA-10a binds the 5'UTR of ribosomal protein mRNAs and enhances their translation". Mol Cell. 30 (4): 460–71. doi:10.1016/j.molcel.2008.05.001. PMID 1849874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