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만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정복

Ottoman conquest of Bosnia and Herzegovina

오스만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정복보스니아 왕국에 대한 오스만의 첫 공격이 있었던 1386년에 대략 시작된 과정이었다. 오스만 제국은 초기 공격 65년 이상 지난 1451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일부 지역에 오스만 국경지대의 임시 군사 행정부대인 보산스코 크라지슈테(보시안 프론티어)를 공식 창설했다.[1] 1463년, 왕국은 오스만에게 함락되었고, 이 영토는 그 확고한 지배하에 들어갔다. 헤르체고비나는 1482년까지 점차 오스만군에 함락되었다. 오늘날의 보스니아 서부가 오스만 공격에 굴복하는 데 또 한 세기가 걸렸고, 1592년 비하치가 붙잡히는 것으로 끝이 났다.

기원과 어원

오늘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로 알려진 모든 영토는 오스만 제국에 의해 단번에 정복되지 않았다. 오히려 오스만 제국을 정복하는데 수십 년이 걸렸다. 오스만 제국의 군사부대는 14세기 말 서부 발칸 반도의 봉건적 주요국들에 대해 많은 습격을 가했고, 그 중 일부는 보스니아 왕국 정복 훨씬 이전인 오늘날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영토로 들어갔다. 티무르타시-파샤가 주도한 오스만군의 첫 공습은 1384년 보스니아 동부 지역에서 일어났다.[2] 1388년 빌레차 전투는 오늘날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영토에서 오스만군이 벌인 첫 전투였다.마리카 전투(1371년)와 코소보 전투(1389년)에서 지역 봉건 영주들을 상대로 중요한 승리를 거두었다.

1392년 오스만족은 1346~1371년 세르비아 제국의 수도 스코페를 함락한 후 스코프코 크라지슈테를 설립하였다. 크라지슈테(крре)라는 용어는 원래 세르비아 제국이나 데스포테트의 행정단위로 황제나 폭포가 확고히 자리를 잡고 지배하지 못한 국경지역을 지정하였다.나는 적대적인 이웃 지방으로부터의 습격 때문에. 나중에 보산스코 크라지슈테(Bosansko Krajishte)라는 이름을 받게 될 군국화된 영토. 따라서 보스니아 프론티어랜드)는 스코페에 근거지를 둔 같은 오스만 행정부에 의해 통치되었다.[3]

보스니아 왕국과의 전쟁

1391년 티브르코 1세가 죽은 후 보스니아 왕국은 쇠퇴하였다. In the 1410s, local noblemen Hrvoje Vukčić of the House of Hrvatinić, Sandalj Hranić of the House of Kosača and Pavle Radenović of the House of Pavlović controlled large swaths of territory once controlled by Tvrtko, and effectively controlled the Kingdom by aligning themselves with competing branches of the House of Kotromanić. 1413년, 세르비아에서 스테판 라자레비치가 오스만과 싸우는 것을 돕는 동안, Hrvoje와 Sandalj 사이에 갈등이 고조되었다. 그 후, Hrvoje는 1414년 5월에 보스니아를 침공한 오스만과 동맹을 맺었고, 로 인해 헝가리 왕국의 군대의 잇따른 침공이 일어났다. 1415년 8월 도보즈 인근이나 라슈바 계곡에서 벌어진 대전에서 오스만군이 대승을 거두면서 이 지역의 세력균형을 뒤엎었다.[4]

보스니아에 오스만군이 최초로 상설 주둔한 것은 1414년 돈지 바쿠프(중세에는 보스니아 스코플레제로 알려져 있다) 인근 지역이 함락된 후였다. 1414년과 1418년 사이에 오스만 제국은 포차, 플레벨자, 차즈니치, 네베신제를 정복했다. 같은 해 동안 비셰그라드소콜도 붙잡혔다.

1415년 오늘날의 동부 헤르체고비나를 지배하던 산달지 흐라니치는 오스만 신하가 되었다.

이사베그 이사코비치(Isa-Beg Isakovich)는 1455년 서부 발칸 영토에서 최초의 오스만 검열소 중 하나를 조직했다.

이 기간이 끝날 무렵인 1460년대에는 오스만 제국이 오늘날의 동부 보스니아 전체를 지배하고, 샤맥 북쪽으로는 헤르체고비나 전체를 지배하고, 글래모치 북쪽으로는 헤르체고비나 전체를 지배하는 등 보스니아 왕국의 영토가 크게 축소되었다.[5]

산작스

오스만의 보스니아 왕국 정복은 1463년 스테판 토마셰비치 왕의 죽음으로 끝났다.[6]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헝가리 왕국자체 요새를 다시 점령했다. 마티아스 코르비누스의 궁정에서는 그 승리가 당시 헝가리 주권 하에 있던 보스니아 왕국의 회복으로 환영받았다.[7] 헝가리인들은 그 후 자제의 바나테를 결성했다.

같은 해 보스니아 크라지슈테가 보스니아 산작(山作)[8][better source needed]으로 변모했고 이사베그 이사코비치(Isa-Beg Isakovich)가 첫 산작비였다.

1463년 보스니아 왕국을 점령한 후, 마흐무드 파샤도 헤르체고비나를 침공하여 블라가를 포위했고, 그 후 헤르체그 스테판도 자신의 모든 영토를 블라게 북쪽의 제국으로 침공할 것을 요구하는 휴전을 승인했다.[9]

보스니아의 오스만 영토는 계속해서 새로 확립된 산작들로 확장되었는데, 1470년 헤르체고비나의 산작(Sanjak)은 보스니아 산작(Bosian Sanjak)과 같이 루멜리아의 베글러비에 종속되어 형성되었다. 1480년 즈보르니크의 산작이 형성되었으나 부딤의 베글러비에 종속되었다.

보스니아 왕국이 멸망했음에도 불구하고 훨씬 더 오래 저항한 몇몇 요새들이 있었다 – 헤르체고비나의 마지막 요새는 1481년에 무너졌다.[6] 코사차 가문은 1482년까지 생사바 두치를 오스만 속주로 유지하였다.

1481년, 메흐메드 2세가 죽은 후 마티아스 코르비누스가 다시 보스니아를 침공하여 브르흐보스나(사라예보)에 이르렀으나, 그 모든 이득은 1년 만에 취소되었다.[10]

1530년대에 헝가리 왕국은 사바강 남쪽 둑과 자제의 요새를 장악하고 있었다. 자체 요새는 마침내 1527년 오스만군에 점령되었다.[10][6] 베리슬라비치 가문은 1530년대에 우소라 지역이 차례로 굴복할 때까지 북쪽의 우소라 지역을 통제했다.[11]

보스니아 남서부의 일부 지역은 1537년에 형성된 클리스의 산작(Sanjak of Klis)으로 분할되어 루멜리아의 아이알레에 종속되었다.

여파

보스니아의 에얄렛은 1580년에 설립되었다.[12]

1592년과 비하치가 멸망할 때까지 중세 보스니아 주의 최서단 국경, 그리고 보스니아의 근대 서부 국경까지 도달하는 데까지 걸렸다. 그 후 현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영토는 1689년 까지 대체로 방해받지 않은 오스만 통치와 대 터키 전쟁 하에서 유지되었다.

참고 항목

참조

  1. ^ 이브라히마기치, 1998, 페이지 77 오스만 제1차 공격과 보스니아 (1451년)(22) 오스만 통치의 군사 및 영토 조직의 중간 형태로서 "보산스코 크라지슈테"가 성립되는 사이에 50년 이상이 흘렀다.[...] 22. 샤바노비치, 보산스키 파샬루크, 스트리트 35.
  2. ^ Handžić, Mehmed. "Rasprava h. Mehmeda Handžića o pitanjima vjere stanovništva BiH prije dolaska Turaka te islamizacije prostora BiH". www.bosnjacki-topraci.com (in Bosnian). New York: Association of Bosniaks. 1384 dolazi Timuraš paša sa vojskom i hara po istočnoj Bosni.
  3. ^ Evliya Çelebi (1967). Hazim Šabanović (ed.). Putopis - Kulturno nasljeđe (in Serbo-Croatian). Svjetlost. p. 279. 29. Skopski sandžak nije osnovan odmah poslije zauzimanja Skoplja, nego je od 1392. pa sve do pada Srbije (1459.) i Bosne (1463.) Skoplje bilo sjedište krajišnika koji su upravljali cijelim turskim područjem od Skoplja do Vrhbosne. Osnivanjem smederevskog i drugih sandžaka u Srbiji i bosanskog sandžaka to je krajište znatno smanjeno i izgubilo značaj koji je dotle imalo. Sredinom XVI. v. ono je postalo središnja oblast zasebnog skopskog sandžaka.
  4. ^ John Van Antwerp Fine (1994). The Late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Late Twelfth Century to the Ottoman Conquest.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pp. 468–469. ISBN 9780472082605. Retrieved 2013-01-26.
  5. ^ Safvet-beg Bašagić (1900). Kratka uputa u prošlost Bosne i Hercegovine, od g. 1463-1850 (in Serbo-Croatian). p. 17. Najprije razmotrimo kraljeve zemlje prije pada. Turci su imali li vlasti slijedeće zemlje i gradove: Nevesinje, Gacko, Zagorje, Podrinje, Taslidžu, Čajnič, Višegrad, Sokol, Srebrenicu, Zvomik, Šabac, Samac i Sarajevo s okolicom. Sva ostala Hercegovina do Glamoča bila je u rukama hercega Stjepana, na koju kralj nije mogo računati. Kad izvadimo još mnoge gradove po sjevernoj i zapadnoj Bosni, u kojima su gospodovali patarenski velikaši, kraljeva država bila je mala podrtina na zemljovidu današnje Herceg-Bosne [...]
  6. ^ a b c Pinson, Mark (1996) [1993]. The Muslims of Bosnia-Herzegovina, the Historic Development from Middle Ages to the Dissolution of Yugoslavia (Second ed.). United States of America: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p. 11. ISBN 0-932885-12-8. Retrieved 2012-05-06. The Ottomans conquered Bosnia in 1463; ... though last fortress in Herzegovina was to fall in 1481, and in Bosnia Jajce under Hungarian garrison actually held until 1527
  7. ^ Babinger, Franz (1992). Mehmed the Conqueror and His Time. Bollingen Series 96. Translated from the German by Ralph Manheim. Edited, with a preface, by William C. Hickman.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229. ISBN 0-691-09900-6. OCLC 716361786.
  8. ^ Enciclopedia Croatica (in Croatian) (III ed.). Zagreb: Naklada Hrvatskog Izdavalačkog Bibliografskog Zavoda. 1942. p. 149. Retrieved January 10, 2013. Krajišnik Isabeg imenovan je 1463 sandžakbegom novoustrojenog sandžaka Bosna
  9. ^ Safvet-beg Bašagić (1900). Kratka uputa u prošlost Bosne i Hercegovine, od g. 1463-1850 (in Serbo-Croatian). p. 20. U Hercegovini Mahmut paša je udario na nenadani otpor. Kršna zemlja Hercegovina sa golim brdima, tijesnim klancima i nepristupnim gradovima zadavaše turskom konjaništvu puno neprilika. Osim toga domaći bogumili junački su se borili uz svoga hercega i njegove sinove. Doduše Mahmut paša je dolinom Neretve sjavio do pod Blagaj i obsijedao ga; nu je li ga zauzeo ili je poslije nagodbe s hercegom predao mu se, nema sigurnih vijesti. Videći herceg Stjepan, da bez povoljna uspjeha, Mahmut paša ne će ostaviti Hercegovine, opremi najmlagjega sina Stjepana s bogatim darovima sultanu, da moli primirje. Na to Fatih ponudi, da gornju polovinu svojih zemlje ustupi Turskoj, a donju zadrži za se i za sinove. Mladoga Stjepana kao taoca zadrži u Carigradu, koji iza kratkog vremena pregje na islam pod imenom Ahmed beg Hercegović. Herceg Stjepan pristane na sultanovu ponudu, pa sklopi mir i ustupi Turcima svu gornju Hercegovinu do Blagaja. Na to Mahmud paša bude pozvan u Carigrad.
  10. ^ a b John Van Antwerp Fine (1994). The Late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Late Twelfth Century to the Ottoman Conquest.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p. 589. ISBN 9780472082605. Retrieved 2013-02-02.
  11. ^ Pavo Živković, Marija Brandić (May 2007). "Usora i Soli u prva dva stoljeća turske prevlasti". Povijesni zbornik: Godišnjak za kulturu i povijesno nasljeđe (in Croatian). Faculty of Philosophy, University of Osijek. 1 (1–2): 53, 58. ISSN 1846-3819. Retrieved 2012-09-02. Nakon što je tridesetih godina XVI. stoljeća Usora pala pod tursku vlast, nestankom posljednjeg Berislavića [...] Padom utvrđenog naselja Kobaša 1536. godine, turske vlasti od toga su naselja stvorile sjedište kadiluka i nahije.CS1 maint: 작성자 매개변수 사용(링크)
  12. ^ 이브라히마기치, 1998, 페이지 77 그리고 1463년 보스니아 함락으로부터 117년이 지나 보스니아에서 오스만 통치의 최초의 군사·행정·정치적 형태의 조직 형태로서 최초의 산작(sanjak)이 성립된 이후, 1580년 오스만 제국의 별도 지방으로서 보스니아 베글러블러블루크 또는 아얄레트[도]가 성립되기까지, 117년이 흘렀다.

추가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