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AA

MMAA
MMAA
사용 가능한 구조
PDBOrtholog 검색: PDBe RCSB
식별자
에일리어스MMAA, cblA, 메틸말론산뇨증(코발라민 결핍증) cblA형, 코발라민 관련 A의 대사
외부 IDOMIM : 607481 MGI : 1923805 HomoloGene : 14586 GenCard : MMAA
맞춤법
종.인간마우스
엔트레즈
앙상블
유니프로트
RefSeq(mRNA)

NM_172250
NM_001375644

NM_133823
NM_001363470
NM_001363471
NM_001363472

RefSeq(단백질)

NP_758454

NP_598584
NP_001350399
NP_001350400
NP_001350401

장소(UCSC)Chr 4: 145.6~145.66 MbChr 8: 79.99 ~80.02 Mb
PubMed 검색[3][4]
위키데이터
인간 보기/편집마우스 표시/편집

메틸말론산뇨 A형 단백질, MMAA라고도 알려진 미토콘드리아는 사람에게서 MMAA [5]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단백질이다.

기능.

이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은 코발라민미토콘드리아로 전이되는 데 관여하며, 아데노실코발라민 합성의 마지막 단계에서 사용됩니다.아데노실코발라민은 메틸말로닐-CoA 뮤타아제 [6]활성에 필요한 조효소이다.

임상적 의의

MMAA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메틸말론산혈증[5][7]관련이 있다.

레퍼런스

  1. ^ a b c GRCh38: 앙상블 릴리즈 89: ENSG00000151611 - 앙상블, 2017년 5월
  2. ^ a b c GRCm38: 앙상블 릴리즈 89: ENSMUSG000037022 - 앙상블, 2017년 5월
  3. ^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4. ^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5. ^ a b Dobson CM, Wai T, Leclerc D, Wilson A, Wu X, Doré C, Hudson T, Rosenblatt DS, Gravel RA (November 2002). "Identification of the gene responsible for the cblA complementation group of vitamin B12-responsive methylmalonic acidemia based on analysis of prokaryotic gene arrangements". Proc. Natl. Acad. Sci. U.S.A. 99 (24): 15554–9. Bibcode:2002PNAS...9915554D. doi:10.1073/pnas.242614799. PMC 137755. PMID 12438653.
  6. ^ "Entrez Gene: MMAA methylmalonic aciduria (cobalamin deficiency) cblA type".
  7. ^ Lerner-Ellis JP, Dobson CM, Wai T, Watkins D, Tirone JC, Leclerc D, Doré C, Lepage P, Gravel RA, Rosenblatt DS (December 2004). "Mutations in the MMAA gene in patients with the cblA disorder of vitamin B12 metabolism". Hum. Mutat. 24 (6): 509–16. doi:10.1002/humu.20104. PMID 15523652. S2CID 34883155.

외부 링크

추가 정보

이 기사에는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의 공공 도메인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