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노스테롤

Lanosterol
라노스테롤
Lanosterol skeletal.svg
Ball-and-stick model of lanosterol
이름
IUPAC 이름
라노스타-8,24-디엔-3β-ol
우선 IUPAC 이름
(1R,3aR,5aR,7S,9aS,11aR)-3a,6,9a,11a-펜타메틸-1-[(2R)-6-메틸헵트-5-en-2-yl]-2,3,3a,4,5a,7,9,9a,9a,9a-[2a]
식별자
3D 모델(JSmol)
체비
첸블
켐스파이더
ECHA 정보 카드 100.001.105 Edit this at Wikidata
메쉬 라노스테롤
유니
  • InChI=1S/C30H50O/c1-20(2)10-9-11(3)22-14-18-30(8)24-12-13-25-27(4,5)26(31)16-17-28(25,6)23(24)15-1929(22,307-21,22)
    키: CAHGLMLTWQZNJ-BQNIITSRSA-N ☒N
  • InChI=1/C30H50O/c1-20(2)10-9-11(3)22-14-18-30(8)24-12-13-27(4,5)26(31)16-17-28(25,6)23(24)15-1929(22,307-22,26,26,22,22,22-22
    키: CAHGCLMLTWQZNJ-BQNIITSRBP
  • C[C@H](CCC=C(C)[C@H]1CC[C@]2(C)C1CC3=C2CC[C@H]4C(C)(C)[C@H](O)CC[C@]34C
특성.
C30H50O
몰 질량 426.71 g/1 000
녹는점 138 ~ 140 °C (280 ~284 °F, 411 ~413 K)
달리 명시되지 않은 한 표준 상태(25°C[77°F], 100kPa)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됩니다.

라노스테롤사환식 트리테르페노이드이며 모든 동물과 곰팡이 스테로이드에서 파생되는 화합물이다.반면에 식물 스테로이드제는 사이클로아르테놀[1]통해 생산된다.

다른 스테로이드 생합성에서의 역할

효소 촉매 작용 하에서 라노스테롤의 정교화는 스테로이드 핵심 구조로 이어진다.14-CYP51에 의한 라노스테롤의 탈메틸화는 결국 콜레스테롤을 생성한다.

중간체 이소펜테닐피로인산(IPP), 디메틸알릴피로인산(DMAPP), 게라닐피로인산(GPP) 및 스쿠알렌과 함께 라노스테롤 합성 경로의 단순화된 버전이 나와 있다.일부 중간값은 생략됩니다.

생합성

묘사 일러스트 효소
파르네실 피로인산염 2분자는 NADPH에 의해 환원되어 스쿠알렌을 형성한다. Cholesterol-Synthesis-Reaction10.png 스쿠알렌합성효소
스쿠알렌은 2,3-옥시도스쿠알렌(스쿠알렌에폭시드)으로 산화된다. Squalene epoxide biosynthesis.png 스쿠알렌모노옥시게나아제
2,3-옥시도스칼렌은 프로토스테롤 양이온으로 변환되고 최종적으로 라노스테롤로 변환된다. Cholesterol-Synthesis-Reaction12.png 라노스테롤합성효소
(스텝 2) Cholesterol-Synthesis-Reaction13.png (스텝 2)

조사.

라노스테롤은 눈의 수정체를 [2]선명하게 유지하는 핵심 성분으로 확인되었다.전임상연구는 라노스테롤이 백내장의 반전 및 예방을 위한 가능한 약제라는 것을 밝혀냈다.개를 대상으로 한 생체 내 실험에서 라노스테롤 주입 [3]후 6주 이내에 백내장이 유의미하게 반전되는 것을 보여주었다.2018년 라노스테롤은 노화 또는 물리적 스트레스 [4]요인으로 인해 렌즈가 흐려지는 피험자의 렌즈 선명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하다

라노스테롤은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안과 제품의 성분으로 백내장을 예방합니다.그러나 라노스테롤의 용해성과 생물학적 가용성은 수성 [5]제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헬리오스타틱스 바이오테크놀로지는 라노스테롤을 수용성 제품에 사용할 [6]수 있도록 가용화하는 방법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Schaller, Hubert (May 2003). "The role of sterols in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Progress in Lipid Research. 42 (3): 163–175. doi:10.1016/S0163-7827(02)00047-4. PMID 12689617.
  2. ^ Huff, M; Telford, D (July 2005). "Lord of the rings – the mechanism for oxidosqualene:lanosterol cyclase becomes crystal clear". Trends in Pharmacological Sciences. 26 (7): 335–340. doi:10.1016/j.tips.2005.05.004. PMID 15951028.
  3. ^ Zhao, Ling; Chen, Xiang-Jun; Zhu, Jie; Xi, Yi-Bo; Yang, Xu; Hu, Li-Dan; Ouyang, Hong; Patel, Sherrina H.; Jin, Xin; Lin, Danni; Wu, Frances; Flagg, Ken; Cai, Huimin; Li, Gen; Cao, Guiqun; Lin, Ying; Chen, Daniel; Wen, Cindy; Chung, Christopher; Wang, Yandong; Qiu, Austin; Yeh, Emily; Wang, Wenqiu; Hu, Xun; Grob, Seanna; Abagyan, Ruben; Su, Zhiguang; Tjondro, Harry Christianto; Zhao, Xi-Juan; Luo, Hongrong; Hou, Rui; Jefferson, J.; Perry, P.; Gao, Weiwei; Kozak, Igor; Granet, David; Li, Yingrui; Sun, Xiaodong; Wang, Jun; Zhang, Liangfang; Liu, Yizhi; Yan, Yong-Bin; Zhang, Kang (July 2015). "Lanosterol reverses protein aggregation in cataracts". Nature. 523 (7562): 607–611. Bibcode:2015Natur.523..607Z. doi:10.1038/nature14650. PMID 26200341. S2CID 4469138.
  4. ^ Shen, Xinyue; Zhu, Manhui; Kang, Lihua; Tu, Yuanyuan; Li, Lele; Zhang, Rutan; Qin, Bai; Yang, Mei; Guan, Huaijin (11 July 2018). "Lanosterol Synthase Pathway Alleviates Lens Opacity in Age-Related Cortical Cataract". Journal of Ophthalmology. 2018: 1–9. doi:10.1155/2018/4125893. PMC 6079410. PMID 30116630.
  5. ^ Dashynski, D.M., Santhoshkumar, P., Padte, A.S. 등라노스테롤과 같은 옥시스테롤이 백내장의 수정체 선명도를 회복하지 못한다.Sci Rep 9, 8459 (2019)https://doi.org/10.1038/s41598-019-44676-4
  6. ^ Heliostatix.org

추가 정보

  • Corey, E. J.; Russey, William E.; de Montellano, Paul R. Ortiz (October 1966). "2,3-Oxidosqualene, an Intermediate in the Biological Synthesis of Sterols from Squalene".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88 (20): 4750–4751. doi:10.1021/ja00972a056. PMID 5918046.
  • Abe, Ikuro.; Rohmer, Michel.; Prestwich, Glenn D. (1 September 1993). "Enzymatic cyclization of squalene and oxidosqualene to sterols and triterpenes". Chemical Reviews. 93 (6): 2189–2206. doi:10.1021/cr00022a009.
  • Eschenmoser, A.; Ruzicka, L.; Jeger, O.; Arigoni, D. (1955). "Zur Kenntnis der Triterpene. 190. Mitteilung. Eine stereochemische Interpretation der biogenetischen Isoprenregel bei den Triterpenen" [For knowledge of the triterpenes. Part 190. A stereochemical interpretation of the biogenetic isoprene rule in triterpenes]. Helvetica Chimica Acta (in German). 38 (7): 1890–1904. doi:10.1002/hlca.1955038072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