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ssi Hanhimäki
Jussi HanhimäkiJussi M. 하니메키(Hanhimäki, 1965년 2월 3일 ~ )는 핀란드의 역사학자로, 냉전, 미국의 외교 정책, 대서양 횡단 관계, 국제 기구 및 난민을 전문으로 합니다.
배경
현재 제네바에 있는 국제 개발 연구 대학원에서 국제 역사[1] 정치학과 교수 겸 의장을 맡고 있습니다. 그는 이전에 런던 정치 경제 대학에서 가르쳤습니다. 그의 책 결함있는 건축가: Henry Kissinger와 American Foreign Policy는 그의 학자 동료들로부터 찬사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미국 언론에서는 미온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2][3] 2006년, Hanhimäki는 핀란드 아카데미로부터 핀란드 저명 교수로 임명되었습니다.[4] 그는 보스턴 대학교에서 석사, 미국사(1987)와 박사, 국제사(1993)를 취득했습니다. 그의 역사학 학사는 1986년 탐페레 대학교 출신입니다.[5]
일하다.
Hanhimäki는 12권의 책을 출판하거나 편집했습니다. 이 중 결함이 있는 건축가: Henry Kissinger and American Foreign Policy (2004)[6][7][8][9][10][11]는 미국 외교 정책의 역사에 대한 학술적 연구로 선도적인 학문적 학회인 미국 외교 관계 역사가 협회로부터 Bernath 강의 상을 수상했습니다.[12] 그는 냉전 역사 저널의 창립 편집자 중 한 명이며, Odd Arne Westad, The Cold War: A History in Documents and Ewitness Accounts (2003, 2004)와 함께 편집되었습니다. 그의 논문은 냉전사, 외교 및 국가 기함, 외교사, 대서양 횡단 연구 저널, 난민 조사 계간지, 폴리티크 에트랑제르, 울코폴리티크카 등에 실렸습니다.[4]
Hanhimäki의 가장 최근 저서는 "데탕트의 흥망성쇠"입니다. 미국의 외교정책과 냉전의 전환, 그리고 1945년 이후의 대서양 횡단 관계, 베네딕트 쇤본, 바바라 잔체타와 함께: 서론. 2013년 그는 베른하르트 블루마누와 함께 테러의 국제사를 출판했습니다. 서구적 경험과 비서구적 경험.
Hanhimäki는 2022년 대서양 횡단 연구 협회 연례 회의의 기조 연설자였습니다.[13] 그는 LSE IDEAs,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그리고 Harvard University에서 방문 펠로우십을 개최했습니다. 그는 스위스 국립 과학 재단, 핀란드 아카데미, 캐나다 사회 과학 인문 연구 위원회로부터 주요 연구 보조금을 받았습니다.[4]
서지학
- Hanhimäki, J., Rinnakkaiseloa patoamassa: Yhdysvallatja Paasikiven Linja: 1948-1956, 1996 (Svenska Handelshögskolans Studentkår)
- Hanhimäki, J., 불안정한 우정: 미국과 스칸디나비아 1945년부터 (Palgrave Macmillan)
- Hanhimäki, J., 공존: 미국, 러시아, 그리고 '핀란드 해법', 1945-1956, 1997 (켄트주립대 출판부)
- Best, A., Hanhimäki, J., Maiolo, J., Schultze, K., 20세기 국제사 2003 (Routledge)
- Hanhimäki, J., Westad, O. A., 냉전: 문서와 목격자 진술의 역사, 2003 (Oxford University Press)
- Hanhimäki, J., 결함있는 건축가: 헨리 키신저와 미국의 외교정책, 2004 (옥스퍼드대 출판부) ISBN978-0195172218
- 하니메키, J., 유엔: 아주 짧은 소개, 2008 (Oxford University Press)
- Basil, G., Hanhimäki, J., Soutou, G.-H. (eds), Routledge Handbook of Trans Atlantic Security, 2010 (Routledge)
- Hanhimäki, J., Schoenborn, B., Zanchetta, B. 1945년 이후 대서양 횡단 관계: 소개, 2012 (Routledge)
- Hanhimäki, J., Blumenau, B (eds), 국제 테러 역사: 서구와 비서구의 경험, 2013 (루트리지)
- 한히메키, J., 데탕트의 흥망성쇠: 미국의 외교정책과 냉전의 전환, 2013 (포토맥북스)
- Hanhimäki, J., Pax Transatlantica: 탈냉전시대의 미국과 유럽, 2021 (옥스퍼드대 출판부)
참고문헌
- ^ "Jussi M. Hanhimäki". Retrieved 28 April 2023.
- ^ Max Boot (September 26, 2004). "'The Flawed Architect': Sizing Up Kissinger". New York Times. Retrieved December 6, 2013.
- ^ Tom Donnelly (August 31, 2004). "The Kissinger Myths". New York Sun. Retrieved December 6, 2013.
- ^ a b c Jussi Hanhimäki의 대학원 홈페이지 http://graduateinstitute.ch/home/study/faculty/professors.html/_/people/hanhimaki
- ^ "Jussi Hanhimäki's CV" (PDF). Graduate Institute Professor Profile. Retrieved 28 April 2023.
- ^ Freedman, Lawrence D. (Mar–Apr 2005). "The Flawed Architect: Henry Kissinger and American Foreign Policy". Foreign Affai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12-14. Retrieved December 6, 2013.
- ^ Brands, H. W. (June 2006). "The Flawed Architect: Henry Kissinger and American Foreign Policy". American Historical Revie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12-14. Retrieved December 6, 2013.
- ^ Thompson, James (Summer 2005). "CRITIQUING KISSINGER'S FOREIGN POLICY ARCHITECTURE". Review of Politic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12-14. Retrieved December 6, 2013.
- ^ Jackson, Ian (July 2005). "The Flawed Architect: Henry Kissinger and American Foreign Policy". Contemporary Revie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12-14. Retrieved December 6, 2013.
- ^ Small, Melvin (June 2006). "Spider-Man Too". Diplomatic Histo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12-14. Retrieved December 6, 2013.
- ^ "THE FLAWED ARCHITECT: Henry Kissinger and American Foreign Policy". Publishers Weekly. August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12-14. Retrieved December 6, 2013.
- ^ "Prize Winners". Society for Historians of American Foreign Relation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1, 2013. Retrieved December 6, 2013.
- ^ "Podcast featuring TSA 2022 Keynote Lecturer Professor Jussi Hanhimäki". Transatlantic Studies Association. 2022-08-30. Retrieved 2023-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