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아티아의 독립

Independence of Croatia
Franjo Tujman, 최초의 민주적 선출 및 현대 독립 크로아티아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

크로아티아 독립은 1990년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크리스마스 헌법선포하고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국민투표를 실시한 정치체제의 변화와 개헌으로 시작된 과정이다.

1991년 6월 독립을 공식 선언하고 유고슬라비아와의 연합 해체를 선언한 뒤 유럽연합(EU)과 유럽안보협력회의가 이를 촉구하자 3개월간의 유예 결정을 도입했다.그 기간 동안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이 시작되었다.

1991년 10월 8일 크로아티아 의회는 유고슬라비아와의 모든 관계를 끊었다.Badinter 중재 위원회는 그 문제에 대해 판결을 내려야 했다.마지막으로 1992년 1월, 유럽 경제 공동체(European Economic Community)와 유엔(UN)이 크로아티아를 외교적으로 승인한 후, 크로아티아의 독립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유엔에 가입하게 되었다.

배경

크로아티아 국회의사당

1941년부터 1945년까지의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크로아티아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영토 내에서 나치 독일과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지원을 받는 극단적 민족주의자파시스트 우스타슈에 의해 통치되는 크로아티아 독립국이라고 불리는 괴뢰 국가로 설립되었습니다.1945년부터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사회주의 연방단위가 되었다.유고비아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크로아티아 공산주의자 동맹이 운영하는 일당 국가이다.크로아티아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내에서 어느 정도의 자치권을 누렸다.1970년대 전환기에 크로아티아의 봄이라 불리는 크로아티아의 민족 시위 [1]운동은 유고슬라비아 지도부에 의해 진압되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1974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은 연방 단위에 자치권을 증가시켰고, 기본적으로 크로아티아의 봄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고 연방 [2]선거구의 독립을 위한 법적 근거를 제공했다.

1980년대 유고슬라비아의 정치 상황은 1986년 세르비아 SANU 각서와 1989년 보이보디나, 코소보,[3][4] 몬테네그로 쿠데타로 국가 긴장감이 고조되면서 악화되었다.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가 연방 내에서의 더 큰 자치권을 추구하기 시작하면서 민족주의 사상은 여전히 집권하고 있는 공산주의 연맹의 반열에 오르기 시작했다.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세르비아에서 권력을 잡았을 때, 그의 연설은 모든 [5][6]권력이 베오그라드에 집중되는 통일 유고슬라비아 국가의 지속을 선호했다.1989년 3월, 세르비아 공화국 정부가 코소보와 보이보디나 자치주에 대한 유효 권력을 재주장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세르비아 헌법 개정안이 채택되면서 유고슬라비아의 위기는 더욱 깊어졌다.그때까지 이들 지방에서는 여러 정치적 결정이 법제화돼 유고슬라비아 연방대통령급(공화국에서 6명,[7] 자치주에서 2명)으로 투표가 이뤄졌다.1989년 6월 28일 발표된 가지메스탄 연설에서 밀로셰비치는 현재의 "전투와 싸움"에 대해 현재 무장 교전은 없지만 아직 [8]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1989년 Vojislav Shéshelj가 제2차 세계대전 [9]지도자 몸칠로 주히치와 공개적으로 협력하면서 전반적인 정치 상황은 더욱 긴박해졌다.수년 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지도자 밀란 바비치는 몸칠로 주히치가 1990년대에 [10]크로아티아에서 세르비아인들을 재정적으로 지원했다고 증언했다.반대로, Franjo Tujman은 1980년대 후반 크로아티아 국가 [11]대의를 위해 크로아티아 디아스포라의 지지를 얻기 위해 국제 방문을 했다.

민주주의와 정치적 위기로의 이행

1989년 중반, 공산당 이외의 정당이 처음으로 허용되면서 일당제 체제로부터의 전환이 시작되었다.크로아티아에는 크로아티아 민주연합(크로아티아어:Franjo Tujman이 [12]이끄는 Hrvatska demokratska zajednica(HDZ)

1990년 1월, 공산당크로아티아 파벌의 느슨한 연방을 요구하면서 국가 노선을 따라 분열되었다.1990년 1월 20일 제14차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연맹 임시회의에서 공화국 대표단은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주요 문제에 대해 합의하지 못했다.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 대표단은 느슨한 연방을 요구했고, 밀로셰비치가 이끄는 세르비아 대표단은 이에 반대했다.그 결과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대표단은 [6][13][14]의회를 떠났다.세르비아는 1991년 [6]보이보디나 코소보 몬테네그로에서 반(反)관료혁명을 완수한 뒤 연방 대통령 8표 중 4표를 얻어 불리한 결정이 차단될 수 있어 연방 차원의 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이 상황은 다른 공화국들의 반대와 유고슬라비아 [15]연방 개혁 요구로 이어졌다.

1990년 2월, 요반 라스코비치크닌에서 세르비아 민주당을 창당했다.이 프로그램은 "크로아티아 지역의 분단은 시대에 뒤떨어져 있다"며 "세르비아인들의 이익과 일치하지 않는다"[16]고 밝혔다.당 프로그램은 지역의 민족구성을 반영해 지역·시정 노선을 재정비하는 것을 지지하고, 「특별 민족구도」의 자치권을 주장했다.이는 모든 세르비아인이 단일 국가에서 [17]살 수 있도록 유고슬라비아 내 국경을 다시 그려야 한다는 밀로셰비치의 입장을 반영했다.SDS의 주요 멤버는 밀라노 바비치밀라노 마르티치로, 둘 다 나중에 RSK 고위 관리가 되었다.이후 재판에서 바비치는 베오그라드에서 크로아티아 내 세르비아인들이 크로아티아인 다수에게 대량학살의 위협을 받는 것으로 묘사된 언론 캠페인이 있었고 그가 이 [18]선전의 희생양이 되었다고 증언했다.1990년 3월 4일 페트로바 고라에서 세르비아인 50,000명이 모인 회의가 열렸다.집회에 참석한 [16]사람들은 투지만을 겨냥해 부정적인 발언을 외치고 세르비아다를 [16]외치며 밀로셰비치에 [19][20]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정치적 움직임과 시민 불안

1990년 4월 말과 5월 초에 크로아티아에서 첫 다당 선거가 실시되었고, 프랑조 투지만의 승리로 민족주의 긴장이 [12]더욱 고조되었다.

1990년에는 긴장된 분위기가 팽배했다: 1990년 5월 13일, 자그레브에서 자그레브의 디나모 팀과 베오그라드의 크르베나 즈베즈다 팀의 축구 경기가 열렸다.그 경기는 축구팬들과 [21]경찰들 사이에서 폭력으로 번졌다.

1990년 5월 30일, 새로운 크로아티아 의회가 첫 회기를 열었다.투지만 대통령은 새로운 헌법과 주권 [22]국가 연합으로서의 유고슬라비아를 포함한 많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변화를 위한 선언문을 발표했다.

1990년 7월 25일, 크로아티아는 주권을 주장하고 효력을 발휘하는 헌법 개정을 했다. 즉, "사회주의자" 접두사가 국가 이름에서 삭제되었고, 크로아티아 대통령은 다른 변경 [23]사항들과 더불어 대통령직을 대신했다.1990년 7월 크로아티아 헌법의 변경은 세르비아인의 지위와 관련이 없으며, 세르비아인의 지위는 1974년 크로아티아 헌법(1974년 유고슬라비아 [24]헌법 기준)에 의해 부여된 것과 동일하다.

크로아티아의 민족주의 세르비아인들사보르를 보이콧하고 세르비아인이 거주하는 영토를 장악하고 도로를 봉쇄하고 자치권을 얻기 위해 투표했다.세르비아의 "자율주의"[25][26][27][28]곧 크로아티아로부터의 독립을 이루는데 점점 더 열중하게 될 것이다.

HDZ가 권력을 잡은 후, 그들은 공공 행정, 특히 [29]경찰에 고용된 세르비아인들을 숙청했다.크로아티아의 세르비아인들은 불균형한 공식 직책을 가지고 있었다: 1984년 크로아티아 공산주의자 연맹 회원 중 22.6%, 크로아티아에서 임명된 공무원 중 17.7%가 세르비아인이었으며, 내무부(경찰)[30][31]의 28-31%가 세르비아인이었다.1981년에는 [32]11.5%,[31] 1991년에는 크로아티아 전체 인구의 12.2%를 차지했다.이들 직책의 훨씬 더 많은 부분이 크로아티아에 있는 세르비아인들이 차지하고 있었고, [30]이는 세르비아인들이 공산주의 정권의 후견인이라는 인식을 심어주었다.

투지만 대통령은 1990년[33] 4월 16일 연설에서 크로아티아 역사학자 안테 나조르가 [33][better source needed]문맥에서 벗어난 것으로 묘사한 '아내가 [34]세르비아인이 아닌 것이 기쁘다'고 말한 것과 같은 서투른 발언을 여러 차례 했다.이 모든 것은 밀로셰비치의 매체에 의해 인위적으로 독립한 크로아티아가 새로운 "우스타셰 국가"라는 공포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왜곡되었다.한 예로, TV 베오그라드는 투지만이 독일 총리 헬무트 콜과 악수하는 것을 보여주며 그들이 "제4제국을 [35]강요할 계획"이라고 비난했다.새로운 투지만 정부는 민족주의적이고 세르비아인들에게 무감각했지만, [36]전쟁 전에는 세르비아인들에게 위협이 되지 않았다.

세르비아계가 거주하는 지역들이 세르비아 크라이나라고 불리는 거주지를 형성하려고 시도했을 때 정치적 위기는 고조되었다. 세르비아 크라이나는 크로아티아와 분리하려고 의도했다.크라이나에 있는 세르비아 지도부는 크로아티아 공화국 정부가 그들에 대한 주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았다.이 위기는 1990년 8월 로그 혁명으로 크로아티아계 세르비아인들이 나무를 베어 도로를 [25][37]봉쇄하는 데 사용하면서 시작되었다.크로아티아는 1990년 [38]스플리트에서 열린 유럽육상선수권대회를 개최하면서 크로아티아 관광에 차질이 빚어졌고 달마티아주에 경종을 울렸다.

1990년 12월 21일, 자유 민주주의[39]채택한 새로운 "크리스마스 헌법"이 통과되었다.헌법은 크로아티아를 "크로아티아 국가의 국가, 세르비아 국민인 다른 국가 및 소수민족으로 구성된 국가"로 정의했다.세르비아인의 지위는 명시적으로 언급된 국가(나로드)에서 소수민족과 함께 등재된 국가(나로디 만진)[24]로 바뀌었다.[40]이 헌법의 변경은 또한 세르비아 정치인들이 이전 사회당 헌법에 의해 세르비아인들이 부여받은 권리 중 일부를 빼앗은 것으로 읽혔고,[41] 크로아티아의 세르비아인들 사이에서 극단주의를 부추겼다.이는 크로아티아를 크로아티아인에게는 '국가', 세르비아인 및 기타 [24]소수민족에게는 '국가'라며 크로아티아인만을 입헌국가로 취급해 온 SR 크로아티아 헌법을 문자 그대로 해석한 것이 아니다.

1991년 2월 21일, 크로아티아는 [42]SFRY의 헌법과 법률을 최고 수준으로 선포하였고, 의회는 SFR 유고슬라비아로부터의 결별 절차(크로아티아어: 라즈드루젠제)와 다른 [43]주권 공화국과의 새로운 결별 가능성에 관한 공식 결의안을 제정하였다.

1990년 8월부터 1991년 [5][44]4월까지 세르비아 반군과 크로아티아 경찰이 연루된 200건 이상의 무장 사건이 보고되었다.

독립 주민투표 및 결정

1991년 5월 19일 크로아티아 당국은 크로아티아 [45]독립 국민투표를 실시했다.세르비아 지방 당국은 투표 보이콧을 요구했고, 크로아티아계 세르비아인들이 [46]그 뒤를 따랐다.결국 크로아티아 국민 대다수는 83.56%의 투표율로 유고슬라비아로부터의 독립을 지지했으며, 두 개의 국민투표 질문에 93.24%와 92.18%(나머지)[47]로 긍정적인 답변을 했다.

1991년 6월 25일, 그 나라는 SFRY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고, 구성 [48][49][50]공화국으로서의 지위를 끝내기 위한 노력을 마무리했다.의회의 그 결정은 좌파 정당 [51]대표들에 의해 부분적으로 거부되었다.

유럽경제공동체유럽안보협력회의즉각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가 유고슬라비아 [52]내전을 우려해 독립국가로 인정하지 않을 것을 촉구했다.1991년 중반,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이 이미 시작되었다.[53]세르비아계가 지배하는 크로아티아의 지역은 세르비아 [54]크라이나 공화국으로 나중에 알려진 세 개의 "세르비아 자치주"의 일부였으며,[55][56] 그 대부분은 1995년까지 크로아티아의 지배를 받지 못할 것이고,[57] 나머지 지역은 1998년에야 통제될 것이다.

크로아티아는 1991년 6월 26일 슬로베니아에 의해 처음으로 독립 국가로 인정받았다. 슬로베니아는 크로아티아와 [48]같은 날 독립을 선언했다.그러나 6월 29일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 당국은 긴장을 [58]완화하기 위해 독립선언을 3개월 유예하기로 합의했다.브리주니 협정은 7월 [59]7일 트로이카,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 슬로베니아 및 크로아티아 당국 회의에서 정식으로 서명됐다.리투아니아는 7월 [60]30일에 크로아티아를 인정한 유일한 국가였다.

바디터 중재위원회는 1991년 8월 27일 유럽경제공동체(EEC) 각료회의에 의해 구 유고슬라비아 [61]공화국들에 법률 자문과 인정 기준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5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는 [62]EEC의 헌법재판소장들로 구성되었다.

1991년 10월 8일 의회의 독립 선언 장소로 자그레브 슈비체바 거리의 INA 건물이 보안상의 이유로 선정되었다

모라토리엄 만료 전날인 10월 7일 유고슬라비아 공군[63][64]자그레브 정부청사 반스키 드보리를 공격했다.1991년 10월 8일, 모라토리엄이 만료되었고 크로아티아 의회는 유고슬라비아와의 [65]남은 모든 관계를 끊었다.최근 유고슬라비아의 공습으로 [66]촉발된 보안상의 우려로 인해 의회의 특정 회기가 자그레브 파바오 슈비치 거리에 있는 INA 건물에서 열렸다. 구체적으로는 유고슬라비아 공군이 국회의사당을 공격할 [67]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이 결정은 의회에서 만장일치로 내려졌고, 유일하게 빠진 국회 대표들은 1991년 [68]초 이후 불참한 세르비아 정당 소속 의원들이다.

일반적인 인식

독일은 세르비아인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진행 중인 폭력을 막기 위해 크로아티아를 신속하게 승인할 것을 주장했고, 헬무트 콜은 9월 4일 연방 의회에서 승인을 요청했다.콜의 입장은 프랑스, 영국[69][page needed], 네덜란드가 반대했지만, 양국은 독일의 일방적인 행동에 따라 공통된 접근을 추구하기로 합의했다.10월 10일, 크로아티아 의회가 독립 선언을 승인한 지 이틀 후, EEC는 크로아티아를 인정하는 결정을 두 달 동안 연기하기로 결정했다.독일 외무장관 한스 디트리히 겐처는 전쟁이 그때까지 끝나지 않았다면 EEC는 두 달 후에 크로아티아의 독립을 인정하기로 결정했다고 썼다.독일은 시한 만료 시점까지 전쟁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크로아티아를 정책과 의무로 인정하기로 결정했다.독일의 입장은 이탈리아와 덴마크가 지지했다.프랑스와 영국은 유고슬라비아의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는 일방적인 행동을 하지 말 것을 요청하는 유엔 결의안 초안을 작성함으로써 독일의 인정을 막으려 했다.[70]

1991년 11월 말부터 Badinter 위원회는 일련의 10가지 의견을 제출했다.위원회는 특히 유고슬라비아는 해체 단계에 있으며 유고슬라비아 공화국의 내부 경계는 자유롭게 [62]합의하지 않는 한 변경할 수 없다고 밝혔다.크로아티아의 전쟁 전 국경 보존 요인은 1971년과 1974년의 유고슬라비아 연방 헌법 개정으로, 주권은 연방 단위에 의해 행사되고 연방은 [2][71]헌법에 의해 특별히 권한을 이양받았다는 것을 인정하였다.국경은 1947년 [72]경계위원회에 의해 정의되었다.

결국 12월 14일 안보리 논의에서 독일이 유엔 결의에 불복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프랑스와 영국은 한발 물러섰다.12월 17일, EEC는 요청과 바드인터 중재위원회의 긍정적인 의견에 근거하여 [70]1992년 1월 15일에 크로아티아에 외교 승인을 공식 승인하기로 합의했다.

크로아티아 독립의 구체적인 문제에 대한 의견 제5호에서, 위원회는 새로운 크로아티아 헌법에 유럽 공동체가 요구하는 소수민족에 대한 보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크로아티아의 독립을 아직 인정해서는 안 된다고 판결했다. 결정에 대해 크로아티아의 Franjo Tujman 대통령은 Robert Badinter에게 서한을 보내 [73]적자가 시정될 것이라고 확언했다.

우크라이나와 라트비아는 12월 [60]둘째 주에 크로아티아의 독립을 인정하며 가장 먼저 대응했다.그 다음 주, 아이슬란드와 독일은 1991년 12월 19일,[60] 이 나라를 최초의 서유럽 국가로 인정했다.

바디터 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RSK는 12월 19일 크로아티아로부터의 분리를 공식 선언했지만,[74] 국가로서의 지위나 독립성은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12월 26일 유고슬라비아는 전쟁 [75]중 크로아티아에서 점령한 영토를 포함하는 작은 국가 계획을 발표했다.이 계획은 유엔 [76]총회에서 부결되었다

EEC가 예정한 1월 15일 이전에 크로아티아를 인정하기로 결정한 국가는 에스토니아, 교황청, [60]산마리노 등 3개국이다.유럽경제공동체는 1992년 1월 15일 크로아티아에 외교 승인을 승인했고, 유엔은 1992년 [77][78]5월 이를 승인했다.

★★

독립 선언 이후 부코바르와 두브로브니크[80]포위하고[79] 다른 곳에서 전투를 벌이면서 1992년 1월 3일의 휴전이 안정되고 [81]폭력의 현저한 감소로 이어질 때까지 전쟁은 확대되었다.

1991년 말, 제2유고비아는 1991년 [82]12월 총리 안테 마르코비치와 대통령직의 대통령 스제판 메시치가 사임하고 [83]1992년 4월 정식 해체될 때까지 과도정부가 대표하면서 사실상 국가로서의 존재가 중단되었다.

이 전쟁은 1995년 [56]8월 폭풍 작전의 결과로 크로아티아의 결정적인 승리로 사실상 끝났다.현재 크로아티아의 국경은 1995년 11월 에르두트 협정에 따라 세르비아가 지배하고 있는 동슬라보니아 지역이 크로아티아로 복구되면서 1998년 [57]1월에 체결되었다.

★★★★★

2002년부터 10월 8일은 크로아티아의 독립기념일로, 6월 25일은 국가기념일[84][85]지정되었다.앞서 1990년 첫 민주국회가 제정된 5월 30일은 [86][87]건국기념일로 기념돼 왔다.

공휴일은 아니지만 1월 15일은 크로아티아 언론과 [88]정치인들이 크로아티아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날로 지정했다.2002년 이 날 10주년 기념주화에서 크로아티아 국립은행25쿠나 [89]기념주화를 발행했다.

★★★

  1. ^ Vlado Vurušić (6 August 2009). "Heroina Hrvatskog proljeća" [Heroine of the Croatian Spring]. Jutarnji list (in Croat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August 2012. Retrieved 14 October 2011.
  2. ^ a b Rich, Roland (1993). "Recognition of States: The Collapse of Yugoslavia and the Soviet Union". Europe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4 (1): 36–65. doi:10.1093/oxfordjournals.ejil.a035834. Retrieved 18 October 2011.
  3. ^ 2005, 433Frucht 2005, 433Frucht 2005
  4. ^ "Leaders of a Republic In Yugoslavia Resign". The New York Times. Reuters. 12 January 198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November 2012. Retrieved 7 February 2010.
  5. ^ a b "Final report of the United Nations Commission of Experts established pursuant to security council resolution 780 (1992), Annex IV – The policy of ethnic cleansing; Prepared by: M. Cherif Bassiouni". United Nations. December 28, 199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4, 2012. Retrieved March 19, 2011.
  6. ^ a b c 브라운&카림(1995), 페이지 116
  7. ^ "A Country Study: Yugoslavia (Former): Political Innovation and the 1974 Constitution (chapter 4)". The Library of Congress. Retrieved January 27, 2011.
  8. ^ Tim Judah (July 1, 2001). "Tyrant's defeat marks Serbs' day of destiny". The Guardian. Retrieved December 19, 2010.
  9. ^ "Vojislav Seselj indictment" (PDF). The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January 15, 2003. Retrieved October 8, 2010.
  10. ^ "Slobodan Milosevic Transcript, case NO. IT-94-1-T". December 4, 2002. Retrieved January 27, 2011.
  11. ^ Ivica Radoš (December 9, 2009). "Tuđmana je za posjeta Americi 1987. trebao ubiti srpski vojni likvidator" [During his visit to America in 1987, Tuđman was supposed to have been killed by a Serbian military assassin]. Večernji list (in Croatian). Styria Media Group. Retrieved October 8, 2010.
  12. ^ a b Branka Magas (13 December 1999). "Obituary: Franjo Tudjman". The Independ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November 2012. Retrieved 17 October 2011.
  13. ^ "Ivica Racan". The Times. April 30, 2007. Retrieved December 11, 2010.
  14. ^ Davor Pauković (1 June 2008). "Posljednji kongres Saveza komunista Jugoslavije: uzroci, tijek i posljedice raspada" [Last Congress of the League of Communists of Yugoslavia: Causes, Consequences and Course of Dissolution] (PDF). Časopis za suvremenu povijest (in Croatian). Centar za politološka istraživanja. 1 (1): 21–33. ISSN 1847-2397. Retrieved 11 December 2010.
  15. ^ Frucht (2005), 페이지 433
  16. ^ a b c Goldstein(1999), 페이지 214
  17. ^ Chuck Sudetic (August 5, 1991). "Serbs Refuse to Negotiate in Croatia".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January 24, 2011.
  18. ^ 바비치 평결, 9페이지
  19. ^ Ramet 2006, 페이지 382
  20. ^ "Yugoslavia: Demonstrations in Croatia and Vojvodina". UNCHR. May 1, 199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4, 2012. Retrieved December 11, 2010.
  21. ^ "The Day When Maksimir Stadium Went up in Flames". Dalje.com. May 13,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20, 2012. Retrieved January 19, 2011.
  22. ^ "Govor Franje Tuđmana u Saboru 30. svibnja 1990". Znameniti govori iz povijesti saborovanja (in Croatian). Croatian Parliament. Retrieved 2012-12-05.
  23. ^ "Odluka o proglašenju Amandmana LXIV. do LXXV. na Ustav Socijalističke Republike Hrvatske". Narodne novine (in Croatian) (31/1990). July 25, 1990. Retrieved July 12, 2012.
  24. ^ a b c 보나치 스켄데로비치 & 재렙 2004, 737–739페이지.
  25. ^ a b "Armed Serbs Guard Highways in Croatia During Referendum". The New York Times. 20 August 1990. Retrieved 31 October 2012.
  26. ^ Nohlen, Dieter; Stöver, Philip (2010).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Nomos Verlagsgesellschaft. p. 401. ISBN 978-3-8329-5609-7. Retrieved 27 December 2011.
  27. ^ Chuck Sudetic (2 October 1990). "Croatia's Serbs Declare Their Autonomy".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November 2012. Retrieved 11 December 2010.
  28. ^ Eastern Europe and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Routledge. 1998. pp. 272–278. ISBN 978-1-85743-058-5. Retrieved 16 December 2010.
  29. ^ "Croatia in Yugoslavia, 1945–91".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Retrieved November 18, 2010.
  30. ^ a b Bjelajak, Junec, Boduszynski, Draschtak, Graovac, Kent, Mali, Pavlovich, Vuich(2009), 페이지 239
  31. ^ a b Roksandić, Drago (1991). Srbi u Hrvatskoj od 15. stoljeća do naših dana. Zagreb: Vjesnik. pp. 157–158. U razdoblju poslije 1981. godine, kada Srbi sačinjavaju 11,5 posto stanovništva, precizno 1984. godine, Vjeran Katunarić nalazi da su Srbi u Hrvatskoj 17,7 posto političkih rukovodilaca, 12,5 posto privrednih rukovodilaca, 11,9 posto pripadnika "sistemske inteligencije", [...]
  32. ^ 밀로셰비치 기소, 29페이지
  33. ^ a b Ante Nazor (2013-01-26). "Laž je da Tuđman 'izbacio' Srbe iz Ustava" [The lie is that Tuđman 'banned' Serbs from the Constitution] (in Croatian). Dnevno.h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10-27. Retrieved 2013-02-23.
  34. ^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 Croatia: Overview". Minority Rights Group International. UNCHR. 2008. Retrieved June 29, 2012.
  35. ^ Stephen Engelberg (September 1, 1991). "Carving out a Greater Serbia". New York Times. Retrieved June 29, 2012.
  36. ^ 브라운&카림(1995), 119페이지
  37. ^ "Roads Sealed as Yugoslav Unrest Mounts". The New York Times. Reuters. 19 August 1990. Retrieved 31 October 2012.
  38. ^ Danko Plevnik (28 November 2009). "Vrdoljak je zahtijevao: Osvojite Knin s 2000 policajaca iz Splita" [Vrdoljak demanded: Seize Knin with 2000 policemen from Split]. Slobodna Dalmacija (in Croatian). Retrieved 31 October 2012.
  39. ^ Sabor (22 December 1990). "Ustav Republike Hrvatske". Narodne novine (in Croatian) (56/1990). Retrieved 27 December 2011.
  40. ^ 마르티치 평결 2007, 페이지 44-49.
  41. ^ 페시치 1996, 10-11페이지"합헌"할 수 있는 권리는 각 국가 내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유고슬라비아 공화국 영토에 거주하는 국가 간에도 인정되었다.어떤 경우, 이러한 민족 디아스포라 공동체는 유고슬라비아 국가의 합헌성을 그들이 살고 있는 영토로 국가 "홈랜드"의 주권을 확장할 수 있는 권리를 주는 것으로 보았다.1991년 크로아티아 인구의 12%를 차지하는 세르비아계도 그랬다.나중에, 이 지위는 크로아티아 세르비아인들에게 크로아티아에서 분리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고, 크로아티아는 그들을 새로운 헌법에서 "소수자"로 지정함으로써 이 지위를 거부할 권리를 부여함으로써 엄청난 문제를 야기할 것이다.
  42. ^ Croatian Parliament (February 21, 1991). "Ustavni zakon o dopunama Ustavnog zakona za provedbu Ustava Republike Hrvatske". Narodne novine (in Croatian) (8/1991). Retrieved 12 July 2012.
  43. ^ Croatian Parliament (21 February 1991). "Rezolucija o prihvaćanju postupaka za razdruženje SFRJ i o mogućem udruživanju u savez suverenih republika". Narodne novine (in Croatian) (8/1991). Retrieved 12 July 2012.
  44. ^ 데이비드 C.이스비, "유고슬라비아 1991: 분쟁 중인 군대", Jane's Intelligence Review 394, 402(1991년 9월)
  45. ^ "Odluka o raspisu referenduma" [Decision to hold a referendum]. Narodne novine (in Croatian) (21/1991). 2 May 1991. Retrieved 27 December 2011.
  46. ^ Sudetic, Chuck (20 May 1991). "Croatia Votes for Sovereignty and Confederation".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12 December 2010.
  47. ^ "Izviješće o provedenom referendumu" [Report on performed referendum] (PDF) (in Croatian). State Election Committee. 22 May 1991.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7 February 2012. Retrieved 27 December 2011.
  48. ^ a b Chuck Sudetic (26 June 1991). "2 Yugoslav States Vote Independence To Press Demands".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November 2012. Retrieved 12 December 2010.
  49. ^ "Deklaracija o proglašenju suverene i samostalne Republike Hrvatske" [Declaration on proclamation of sovereign and independent Republic of Croatia]. Narodne novine (in Croatian) (31/1991). 25 June 1991. Retrieved 12 December 2010.
  50. ^ "Ustavna odluka Sabora Republike Hrvatske o suverenosti i samostalnosti Republike Hrvatske". Narodne novine (in Croatian) (31/1991). 1991-05-26. Retrieved 2011-06-25.
  51. ^ "Šeks: Dio lijevoga bloka odbio glasovati za samostalnost". Novi list (in Croatian). HINA. 25 June 2012. Retrieved 29 November 2012.
  52. ^ Riding, Alan (26 June 1991). "Europeans Warn on Yugoslav Split".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12 December 2010.
  53. ^ Sudetic, Chuck (6 October 1991). "Shells Still Fall on Croatian Towns Despite Truce".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16 December 2010.
  54. ^ "Croatia Clashes Rise; Mediators Pessimistic". The New York Times. 19 December 199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November 2012. Retrieved 29 July 2012.
  55. ^ Roger Cohen (2 May 1995). "CROATIA HITS AREA REBEL SERBS HOLD, CROSSING U.N. LINE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31 October 2012.
  56. ^ a b Dean E. Murphy (8 August 1995). "Croats Declare Victory, End Blitz". Los Angeles Times. Retrieved 18 December 2010.
  57. ^ a b Chris Hedges (16 January 1998). "An Ethnic Morass Is Returned to Croatia".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May 2013. Retrieved 18 December 2010.
  58. ^ Sudetic, Chuck (29 June 1991). "Conflict in Yugoslavia; 2 Yugoslav States Agree to Suspend Secession Proces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12 December 2010.
  59. ^ "Brioni Declaration" (PDF). University of Uppsala Department of Peace and Conflict Research database. 8 July 1991.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4 March 2012. Retrieved 12 July 2012.
  60. ^ a b c d "Date of Recognition and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European Integration (Croatia). Retrieved 18 December 2011.
  61. ^ Sandro Knezović (February 2007). "Europska politika u vrijeme disolucije jugoslavenske federacije" [European Politics at the Time of the Dissolution of the Yugoslav Federation] (PDF). Politička Misao (in Croatian). University of Zagreb, Faculty of Political Sciences. 43 (3): 109–131. ISSN 0032-3241. Retrieved 18 June 2012.
  62. ^ a b Pellet, Allain (1992). "The Opinions of the Badinter Arbitration Committee: A Second Breath for the Self-Determination of Peoples" (PDF). Europe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3 (1): 178–185. doi:10.1093/oxfordjournals.ejil.a0358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1-05-29.
  63. ^ "Yugoslav Planes Attack Croatian Presidential Palace". The New York Times. 8 October 1991. Retrieved 13 December 2010.
  64. ^ Williams, Carol J. (8 October 1991). "Croatia Leader's Palace Attacked". Los Angeles Times. Retrieved 23 January 2011.
  65. ^ Croatian Parliament (8 October 1991). "Odluka [Klasa: 021-03/91-05/07]". Narodne novine (in Croatian) (53/199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September 2009. Retrieved 12 July 2012.
  66. ^ "Govor predsjednika Hrvatskog sabora Luke Bebića povodom Dana neovisnosti" [Speech of Luka Bebić, Speaker of the Croatian Parliament on occasion of the Independence day] (in Croatian). Sabor. 7 October 2008. Retrieved 28 December 2011.
  67. ^ Dražen Boroš (8 October 2011). "Dvadeset godina slobodne Hrvatske" [Twenty years of free Croatia] (in Croatian). Glas Slavonije. Retrieved 29 December 2011.
  68. ^ "Šeks: Odlukom od 8. listopada 1991. konačno utvrđena neovisnost" (in Croatian). Nova TV/Dnevnik.hr. 7 October 2011. Retrieved 29 November 2012.
  69. ^ 루카치, 모라나(2013).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에 대한 독일의 인정: 영국과 미국 언론의 사건 묘사자르브뤼켄: AV Akademikerverlag.ISBN 978-3639468175
  70. ^ a b Lucarelli, Sonia (2000). Europe and the breakup of Yugoslavia: a political failure in search of a scholarly explanation. Martinus Nijhoff Publishers. pp. 125–129. ISBN 978-90-411-1439-6. Retrieved 27 December 2011.
  71. ^ Čobanov, Saša; Rudolf, Davorin (2009). "Jugoslavija: unitarna država ili federacija povijesne težnje srpskoga i hrvatskog naroda – jedan od uzroka raspada Jugoslavije" [Yugoslavia: a unitary state or federation of historic efforts of Serbian and Croatian nations—one of the causes of the breakup of Yugoslavia]. Zbornik radova Pravnog fakulteta u Splitu (in Croatian). University of Split Faculty of Law. 46 (2). ISSN 1847-0459. Retrieved 10 December 2010.
  72. ^ Kraljević, Egon (November 2007). "Prilog za povijest uprave: Komisija za razgraničenje pri Predsjedništvu Vlade Narodne Republike Hrvatske 1945.-1946"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public administration: commission for the boundary demarcation at the government's presidenc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roatia, 1945–1946] (PDF). Arhivski Vjesnik (in Croatian). Croatian State Archives. 50 (50): 121–130. ISSN 0570-9008. Retrieved 20 June 2012.
  73. ^ Roland Rich (1993). "Recognition of States: The Collapse of Yugoslavia and the Soviet Union" (PDF). Europe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4 (1): 48–49.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April 21, 2012. Retrieved November 30, 2011.
  74. ^ Statehood and the law of self-determination.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02. pp. 79–81. ISBN 978-90-411-1890-5. Retrieved 28 December 2011.
  75. ^ "Serb-Led Presidency Drafts Plan For New and Smaller Yugoslavia". The New York Times. 27 December 1991. Retrieved 28 December 2011.
  76. ^ "A/RES/49/43 The situation in the occupied territories of Croatia" (PDF). United Nations. 9 February 199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9 May 2015. Retrieved 28 December 2011.
  77. ^ Stephen Kinzer (24 December 1991). "Slovenia and Croatia Get Bonn's Nod".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June 2012. Retrieved 29 July 2012.
  78. ^ Paul L. Montgomery (23 May 1992). "3 Ex-Yugoslav Republics Are Accepted Into U.N."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November 2012. Retrieved 29 July 2012.
  79. ^ Sudetic, Chuck (18 November 1991). "Croats Concede Danube Town's Los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15 December 2010.
  80. ^ Binder, David (9 November 1991). "Old City Totters in Yugoslav Siege".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16 December 2010.
  81. ^ Sudetic, Chuck (3 January 1992). "Yugoslav Factions Agree to U.N. Plan to Halt Civil War".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16 December 2010.
  82. ^ Central and South-Eastern Europe 2003. Routledge. 2002. p. 174. ISBN 9781857431360. Retrieved 31 October 2012.
  83. ^ Stjepan Mesić (2004). The Demise of Yugoslavia: A Political Memoir.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p. 422. ISBN 9789639241817. Retrieved 31 October 2012.
  84. ^ "Zakon o izmjenama i dopuni Zakona o blagdanima, spomendanu i neradnim danima u Republici Hrvatskoj". Narodne novine (in Croatian) (96/2001). November 7, 2001. Retrieved July 12, 2012.
  85. ^ "Ceremonial session of the Croatian Parliament on the occasion of the Day of Independence of the Republic of Croatia". Official web site of the Croatian Parliament. Sabor. 7 October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March 2012. Retrieved 29 July 2012.
  86. ^ "Dan državnosti - Tri rođendana: Svaki datum ima povijesno značenje za Hrvatsku". Večernji list (in Croatian). 24 June 2011. Retrieved 25 June 2011.
  87. ^ "Croatians celebrate Statehood Day". The Voice of Croatia. Retrieved 2019-10-08.
  88. ^ "Obilježena obljetnica priznanja" [Recognition Anniversary Marked] (in Croatian). Croatian Radiotelevision. 15 January 2011. Retrieved 29 December 2011.
  89. ^ "Commemorative 25 Kuna Coins in Circulation". Croatian National Bank. 19 May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December 2011. Retrieved 29 December 2011.
  90. ^ 20. lipanj 1990. - Prijedlog o promjeni imena i grba države [20 June 1990 - Proposal on the change of name and coat of arms of the state] (Motion picture, TV kalendar). Zagreb, Croatia: Croatian Radiotelevision. 2015-06-20.

원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