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니스 메이저

Canis Major
카니스 메이저
별자리
Canis Major
약어CMA
일반적카니스마조리스
발음/ˌkeɪnɪs ˈmeɪdʒər/, genigive /ˈkeɪnɪs məˈdʒɒrɪs/
상징성큰 개
우측 상승06h 12m.5 ~ 07h 27m.5
탈위임-11.03° ~ -33.25°[1]
면적섭씨 380도(43위)
주요별8
바이어/플램스티드
별들
32
행성이 있는 별7
3.00보다m 밝은 별5
10.00 pc 내 별(32.62 ly)1
가장 밝은 별시리우스(α CMa) (-1.46m)
메시에 물체1
유성우0
테두리
별자리
+60° ~ -90° 사이의 위도에서 볼 수 있다.
2월 한 달 중 21:00(오후 9시)에 가장 잘 보인다.

카니스 메이저(Canis Major)는 남반구에 있는 별자리다.2세기에는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에 포함되었으며, 현대 별자리 88개에 해당한다.그것의 이름은 "더 작은 개"인 카니스 마이너와 대조적으로 "더 큰 개"라는 라틴어로, 두 형상 모두 사냥꾼 오리온의 별자리를 따라 하늘을 통과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표현된다.은하수는 카니스 메이저를 통과하며 몇몇 열린 성단이 국경 안에 놓여 있는데, 특히 M41이 가장 눈에 띈다.

카니스 메이저에는 '개별'로 알려진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시리우스가 있다.태양계와의 근접성 때문에 밝다.이와는 대조적으로, 별자리의 다른 밝은 별들은 매우 먼 거리에 있고 높은 광도를 가진 별들이다.진도 1.5에서 엡실론 카니스 마조리스(Adhara)는 별자리 중 두 번째로 밝은 별이며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자외선의 근원이다.그 다음 밝기는 황백색 초거성 델타(웨젠) 1.8, 청백색 거성 베타(미르잠) 2.0, 청백색 초거성 에타(알루드라) 32.0, 백색 분광형 제타(후루드) 3.0 등이다.붉은 초거성 VY 카니스 마조리스(VY Canis Majoris)는 알려진 가장 큰 별 중 하나이며, 중성자RX J0720.4-3125의 반지름은 5km에 불과하다.

역사와 신화

서양 천문학에서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시리우스가 KAK라는 이름을 지었다.바빌로니아인들의 SI.DI는 오리온을 향한 화살로 여겨졌고, 카니스 메이저의 남쪽 별들과 인형들의 일부는 기원전 1100년경에 만들어진 <삼성각약>에서 BAN이라는 이름을 가진 활로 여겨졌다.바빌로니아 천문학과 점성술의 후기 요약본에서 MUL이라는 제목을 붙였다.APIN, 화살인 시리우스는 전사 닌루타와 연결되었고, 활은 엔릴의 딸 이스타르와 연결되었다.[2]니누르타는 대양 여신 티아맛을 큰 활로 죽였다고 전해지는 후대의 신 마르두크와 연계되어 바빌론에서 주신으로 숭배되었다.[3]고대 그리스인들은 활과 화살 묘사를 개의 묘사로 대체했다.[4]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 A는 카니스 소령(Canis Major에 있다.

그리스 신화에서 카니스 메이저는 제우스유로파에게 준 선물인 개 라엘랩스를 대표하거나, 때로는 다이애나의 님프프로크리스의 사냥개, 또는 오로라케팔루스에게 준 개를 대표했는데, 그 속도가 너무 좋아서 제우스가 하늘로 끌어올렸다.[5]그것은 또한 산토끼레푸스를 쫓거나 황소인 황소 타우루스와 [6]싸우는 것을 돕는 오리온의 사냥개들 중 하나를 대표한다고 여겨졌으며, 아라토스, 호머, 헤시오드가 이런 식으로 언급하고 있다.고대 그리스인들은 개 한 마리를 지칭하지만, 로마 시대에 이르러서는 카니스 마이너(Canis Minor)가 오리온의 두 번째 개로 등장한다.대체 이름으로는 카니스 세퀸스와 카니스 알터 등이 있다.[5]카니스 시리우스는 1521년 알폰신 테이블에 사용된 이름이었다.[5]

로마 신화는 카니스 소령을 커스토스 유로패(Custos Europae)라고 부르는데, 유로를 지키면서도 목성에 의해 황소 형태로 유괴되는 것을 막지 못한 개, 그리고 '감시자'인 수위 레테우스(Janis Lethaeus)라고 부른다.[7]중세 아랍 천문학에서 이 별자리는 17세기 작가 에드먼드 칠메드에 의해 알켈렙 알라크바로 표기된 "위대한 개"인 알칼브악바가 되었다.이슬람 학자 아부 라얀뷔르누는 오리온을 "거인의 개"인 칼브 알 자바르라고 불렀다.[5]튀니지메라지그 중에서 목자들은 건조하고 더운 계절의 통로를 표시하는 여섯 개의 별자리를 주목한다.그 중 하나인 메르젬은 카니스 메이저와 카니스 마이너의 별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2주간의 무더위의 전령이다.[8]

서기 1632-33년에 제작된 마누치르 글로브에 묘사된 카니스 메이저.스웨덴의 아딜너 컬렉션.

비서양 천문학에서

콴탄 상공에서 관측된 카니스 메이저(북쪽은 우측 상단에 있음)

중국 천문학에서 카니스 메이저의 현대 별자리는 베르밀리오버드(Vermilion Bird, Nan Fang Zhu Qué)에 위치하는데, 이 별들은 별들의 여러 별자리로 분류되었다.군시장(軍場; Junshì)은 3, 베타, 1, 시 2 포함된 별과 레푸스의 일부 별들의 원형 패턴이었다.[9]어떤 스타들이 무엇을 묘사했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야생 수탉은 군사 시장의 중심에 있었다.슐레겔은 스타 오미크론파이 카니스 마조리스가 그들일 수도 있다고 [10]보도했고, 베타나2 누도 제안했다.[11]시리우스는 침략과 약탈을 나타내는 천체늑대 티아른( ( ti)이다.[12][11]울프의 남동쪽은 별자리 후쉬(弧矢), 천체 활과 화살이었는데, 이는 델타, 엡실론, 에타, 카파 카니스 마조리스, 델타 벨로룸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대안으로 화살은 오미크론2 에타가 그리고 시리우스(늑대)를 겨냥하였고 활은 카파, 엡실론, 시그마, 델타, 164 카니스 마조니스, 파이오미크론 피피스로 구성되었다.[13]

마오리족이나 투아모투스족 모두 카니스 메이저의 모습이 다른 별자리에도 흡수되기도 했지만 뚜렷한 실체로 인식했다.푸타히누이노레화(Te Putahi-nui-o-rehua)와 테 카후이-타쿠루아(Te Kahui-Takurua)라고도 불리는 테후잉가-레화(Te Huinga-o-rehua)는 주변 별들과 함께 카니스 마이너와 카니스 메이저를 모두 포함하는 마오리 별자리였다.[14][15]연관성이 있는 것은 카니스 메이저에서 정의되지 않은 별 무리로부터 형성된 레화의 거울 푸카와누이라고도 불리는 타우마타오레화였다.[16][17]그들은 시리우스 레화(Sirius Reha)와 다카루아(Takarua)라고 불렀는데, 레화는 다양한 마오리족 그룹과 다른 폴리네시아 우주론에서 다른 별들에 적용되는 이름이었다.[18][19]투아모투족은 카니스 소령을 무이항가-헤티카-오-타쿠루아 소령으로 '다카루아 준위대'라고 불렀다.[20]

쇼알하벤 강의 타룸바족은 운불라(배트)와 그의 두 아내 머럼불(브라운 스네이크 부인), 무드타(흑뱀 부인)로 카니스 메이저의 별 3개를 보았다. 남편을 따라다니는데 질려 여자들은 그가 구멍에서 웜뱃을 사냥하는 동안 그를 묻으려 한다.그가 창을 들고, 세 마리 모두 무노우라 별자리로서 하늘에 놓인다.[21]빅토리아 부롱족에게는 시그마 카니스 메이저리스우누르군 사람(이 별의[22] 공식 명칭이 되었으며, 옆구리 별 델타와 엡실론은 그의 두 아내였다.[23]달(미탄, "토종 고양이")은 더 많은 아내(엡실론)를 유인하려 했으나 우누르군이트가 그를 폭행했고 그는 그 후 줄곧 하늘을 떠돌아다녔다.[24]

특성.

카니스 메이저(Canis Major)는 남반구의 여름(또는 북반구의 겨울) 하늘에 있는 별자리로, 북쪽으로는 모노케로스(Conoceros와 Canis Minor 사이에 있다), 동쪽과 남동쪽으로는 Puppis, 남서쪽으로는 Columba, 서쪽으로는 Lepus와 접한다.1922년 국제천문연맹이 채택한 이 별자리의 약자는 'CMA'[25]이다.1930년 벨기에 천문학자 외젠 델포테가 설정한 공식 별자리 경계는 4각형으로 정의된다. 적도 좌표계에서는 이러한 경계들의 우측 상승 좌표가 06h 12m.5와 07h 27m.5 사이에 있는 반면, 표고 좌표는 -11.03°와 -33.25°[1] 사이에 있다.380 평방도(하늘의 0.921%)를 덮고 있으며, 크기는 현재 인식되고 있는 88개의 별자리 중 43위에 해당한다.[26]

특징들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카니스 메이저의 별들; 선명하게 하기 위해 선이 추가되었다.

별들

카니스 메이저는 많은 밝은 별들 때문에 눈에 띄는 별자리 입니다.여기에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알파 카니스 메이저리스)뿐만 아니라 진도 2.0 이상의 다른 별 3개가 포함된다.[6]게다가, 두 개의 다른 별들은 밤하늘의 다른 모든 별들보다 더 많이 빛났다고 생각되는데, 아드하라(Epsilon Canis Majaris)는 약 470만년 전 -3.99로 빛났고, 미르잠(Beta Canis Majaris)은 약 442만년 전 -3.65로 정점을 찍었다.또 다른 NR Canis Majoris는 약 287만년 후에 진도 -0.88로 가장 밝을 것이다.[27]

독일 지도 제작자 요한 바이어 알파 오미크론을 통해 별자리에서 가장 탁월한 별에 이름을 붙이는 것이, 누 3인접한 별과 자이와 Omicron,[28]로 두가지의 더욱 심오 쌍는 동안 그에 따른 관찰자들은 열심히 센트에서 파악하기 별자리의 남쪽 지방에 있어 그 별들 지정을 포함한 그리스의 편지들을 이용했다.매독유럽.[3] 바이엘의 시골 사람 요한 엘레르트 보데는 나중에 시그마, 타우, 오메가 추가했고,[29] 프랑스의 천문학자 니콜라스 루이스라카유는 a~k(현재 사용되고 있는 별은 없지만)를 추가했다.[29]존 플램스티드는 31개의 별에 달했고, 라카유가 3개의 카니스 메이저리스를 컬럼바에 델타 컬럼바에 배치했다(플램스테드는 컬럼바를 별개의 별자리로 인식하지 않았다).[30]그는 또한 자신의 10개, 13개의 카니스 마조니스라는 두 별을 각각 카파1, 카파라고2 이름 붙였지만, 프랜시스 베일리와 존 베비스 같은 후속 지도 제작자들은 이 전 별을 떨어뜨려 카파를2 유일한 카파로 남게 되었다.[28]플램스티드의 Nu12, Nu3, Nu1, Xi2, Xi1, Omicron, Omicron2 상장은 모두 유효하다.[31]

런던 c.1825에서 발행된 별자리 카드 세트인 천왕성의 거울에 묘사된 카니스 메이저.그 옆에는 레푸스와 컬럼바(일부 단절)가 있다.

시리우스는 겉보기 등급 -1.46의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이며, 8.6광년의 거리에서 지구와 가장 가까운 별 중 하나이다.그것의 이름은 그리스어로 "scorching" 또는 "searing"에서 왔다.시리우스는 또한 2진수 별이다; 그것의 동반자인 시리우스 B는 지구상 관측자들에게 시리우스 A보다 8.4배에서 1만배 정도 더 희미하게 보이는 백색 왜성이다.[32]두 사람은 50년마다 서로 공전한다.그들의 가장 가까운 접근법은 1993년에 마지막으로 발생했으며 2020년과 2025년 사이에 가장 큰 분리가 될 것이다.시리우스는 고대 이집트 달력의 기초였다.[6]그 별은 바이엘의 별 지도책 위에 위대한 개의 입을 표시했다.[33]

측면으로 시리우스와 함께 베타와 감마 카니스 마조리스가 있다.미르잠 또는 무르짐이라고도 불리는 베타(Beta)는 진도 2.0의 청백색 베타 세페이 변광성(Beta Cephei variable star)으로, 6시간에 걸쳐 수백분의 1의 크기만큼 변한다.[34]미르잠은 지구로부터 5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전통적인 명칭은 시리우스보다 몇 분 먼저 떠오르듯이 시리우스의 '안내자'로서의 위치를 가리키며 '아나운서'라는 뜻이다.[6]뮬리핀으로도 알려진 감마는 진폭 4.12의 더 희미한 별이며, 실제로는 분광형 B8의 청백색의 밝은 거성이다.IIe는 지구에서 441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35]시리우스와 감마 사이에 놓여 있는 이오타 카니스 마조리스(Iota Canis Majaris)는 베타 세페이 변수로 분류된 또 다른 별로, 1.92시간 동안 진도 4.36에서 4.40까지 다양하다.[36]스펙트럼 타입 B3Ib의 멀리 떨어진 청백색의 초거성 항성으로 태양보다 약 46,000배, 2500광년 거리에서는 시리우스보다 300배 더 멀리 떨어져 있다.[37]

엡실론, 오미크론2, 델타, 에타 카니스 마요르시스는 중세 아랍 전통에서 알 아드자리(Al Adzari)로 불렸다.[38]바이엘의 지도책 위에 개의 오른쪽 허벅지를 표시하는 것은 아드하라라고도 알려진 [33]엡실론 카니스 마조리스(Epsilon Canis Majaris이다.진도 1.5로, 카니스 메이저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이고, 하늘에서 23번째로 밝은 별이다.그것은 지구에서 약 404광년 떨어진 분광형 B2Iab의 청백색 초거성이다.[39]이 별은 하늘에서 가장 밝게 알려진 극자외선원 중 하나이다.[40]그것은 2진수 별이고, 2진수는 7.4이다.그것의 전통적 이름은 " 처녀들"이라는 뜻으로, 별들의 그룹에서 엡실론만으로 옮겨졌다.[41]근처에는 베젠이라고도 불리는 델타 카니스 마조리스가 있다.그것은 지구에서 약 1605광년 떨어진 곳에서 스펙트럼 타입 F8Iab과 진도 1.84의 황백색 초거성이다.[42]웨젠은 '체중'이라는 전통적 명칭으로 태양보다 17배, 광도 5만 배나 크다.만약 태양계의 중심에 위치한다면, 그것은 지름이 태양의 200배이기 때문에 지구로 뻗어나갈 것이다.겨우 1,000만년 전에, Wezen은 그것의 핵심에 수소를 융합하는 것을 중단했다.그것의 바깥쪽 봉투는 팽창하고 식기 시작했으며, 향후 10만년 안에 그것의 중심핵이 점점 더 무겁고 무거운 원소를 융합하면서 붉은 초거성이 될 것이다.일단 철심을 갖게 되면 초신성으로 무너지고 폭발할 것이다.[43]아다하라와 웨젠 사이에 자리 잡은 시그마 카니스 마요르시스는 부롱족과 봇조발룩족에게 우누르군족으로 알려져 있으며,[23] 3.43과 3.51의 크기 사이에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스펙트럼 타입 K7Ib의 붉은 초거성이다.[44]

알루드라라고도 불리는 에타 카니스 마조리스(Eta Canis Majoris)는 진광도가 176,000배, 직경이 태양의 약 80배인 분광형 B5Ia의 청백색 초거성이다.[45]알파 시그니형 변광성(Aludra)으로 분류되는 알루드라는 4.7일 동안 진도 2.38에서 2.48까지 밝기가 다양하다.[46]그것은 112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아다하라 서쪽에는 지구에서 약 362광년 떨어진 곳에 규모 3.0의 제타 카니스 마조리스 또는 푸루드가 있다.[47]분광형 이항성으로, 성분들이 1.85년마다 서로 공전하며, 스펙트럼 타입 B2의 주별을 나타내는 결합 스펙트럼이다.5V.[48]

이 별들과 시리우스 사이에는 오미크론1, 오미크론2, 파이 카니스 메이저리스가 놓여 있다.오미크론은2 태양보다 약 21배나 큰 거대한 초거성 별이다.[49]불과 700만년 [49]전만 해도 핵심 수소의 공급을 소진하고 헬륨을 가공하고 있다.[50]주기적인 비방사성 맥동을 거치는 알파 시그니 변수로서 밝기가 24.44일 간격 동안 진도 2.93에서 3.08까지 순환한다.[51]오미크론은1 스펙트럼 타입 K2의 주황색 K형 초거성이다.5Iab은 겉보기 크기 3.78과 3.99 사이에서 변화하는 불규칙 변수 항성이다.[52]태양보다 약 18배 정도 질량이 크며, 6만 5천배의 광도로 빛난다.[53]

시리우스 북쪽에 테타와 무 카니스 마조리스가 있고, 테타는 별자리에 바이엘이 있는 가장 북쪽에 있는 별이다.[54]약 80억년 전, 스펙트럼 타입 K4의 오렌지색 거성이다.III는 태양만큼 거대하지만 태양의 지름이 30배까지 확장되었다.[55]Mu는 1244광년 거리에 위치한 다중 항성계통으로, 작은 망원경으로 보면 규모 5.3의 황후와 규모 7.1의 푸르스름한 별로 식별할 수 있다.[56][57]더 밝은 별은 스펙트럼 타입 K2의 거성이다.III,[56] 동반자는 스펙트럼 타입 B9의 주계열성이다.5V.[58] Nu1 Canis Majoris는 진도 5.7, 278광년 떨어져 있는 노란색의 후두의 거대 별이다. 이것은 육안시경의 문턱에 있다.그것은 진도 8.1의 동반자를 가지고 있다.[6]

이 별자리의 남쪽 한계에는 카파와 람다 카니스 마요리스가 있다.지구에서 본 것과 유사한 스펙트럼과 서로 인접한 스펙트럼이지만, 그것들은 관련이 없다.[26]카파는 스펙트럼 타입 B2Vne의 감마 카시오페아 변수로서,[59] 1963년과 1978년 사이에 진도 3.96 정도에서 3.52까지 50% 밝게 빛났다.[60]그것은 약 659광년 떨어져 있다.[61]람다는 지구에서 약 423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겉보기 크기 4.48의 청백색 B형 주계열성 왜성이다.[62]넓이는 태양의 3.7배, 질량은 5.5배이며, 광도는 940배로 빛난다.[54]

VY Canis Majoris 주변의 매우망원경 이미지

캐니스 메이저는 또한 많은 변덕스러운 별들의 고향이기도 하다.EZ Canis Majoris는 3.766일의 기간에 걸쳐 6.71과 6.95의 크기 사이에서 변화하는 스펙트럼 타입 WN4의 Wolf-Rayet 별이다. 변동성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별의 바람과 회전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63]VY Canis Majoris지구에서 약 3,8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원격 적색 초거성 물질이다.알려진 가장 큰 별들 중 하나이며(때로는 가장 큰 별이라고도 한다)[64] 또한 가장 밝은 별 중 하나이며, 반경이 태양의 1,420배에서 2,200배까지 다양하며, 광도는 태양보다 약 30만배 더 크다.그것의 현재 질량은 약 17 ± 8 태양 질량이며, 초기 질량인 25–32 태양 질량에서 물질을 제거했다.[65][66]VY CMa는 또한 중심별의 강한 항성 바람에 의해 방출된 물질에 의해 만들어진 붉은 반사 성운에 둘러싸여 있다.W Canis Majoris탄소 항성으로 알려진 적색 거성의 일종으로 반정형 변수로서 160일 동안 규모 6.27과 7.09 사이의 범위를 가진다.[67]시원한 별인 이 별의 표면 온도는 약 2,900K이고 반지름은 태양의 234배이며, 지구로부터 1,444–1,450광년으로 추정된다.[68]다른 극한 크기에는 RX J0720.4-3125가 있는데, 이는 반지름이 약 5km인 중성자 별이다.[69]기절할 정도로 기절하며 겉보기 크기는 26.6이다.[70]그것의 스펙트럼과 온도는 몇 년 동안 불가사의하게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변화의 본질은 분명하지 않지만, 별의 억양 디스크 흡수 같은 사건에 의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69]

타우 카니스 메이저리스(Tau Canis Majoris)는 1.28일 동안 규모 4.32~4.37까지 차이가 나는 베타 리래형 에클립싱 다성계다.[71]그것의 4대 성분의 별은 뜨거운 O형 별들로 태양의 80배에 달하는 질량과 50만 배의 광도로 빛나지만, 각각의 성질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진도 10의 항성인 다섯 번째 성분은 13,000 천문단위(0.21 ly)의 거리에 놓여 있다.이 시스템은 겨우 500만년 전이다.[72]UW Canis Majoris는 지구에서 3000광년 떨어진 또 다른 베타 리래형 별이다. 이것은 최소 5.3에서 최대 4.8까지 범위의 에클립 바이너리다.4.4일의 기간을 가지고 있다.[6] 구성 요소는 두 개의 거대한 청색 별이며, 하나는 스펙트럼 타입 O7.5–8 Iab의 청색 초거성인 반면, 동반자는 스펙트럼 타입 O9.7Ib의 약간 차갑고 덜 진화하고 덜 발광성이 낮은 초거성이다.이 별들은 태양보다 20만 배, 6만 3천 배 더 밝다.그러나 기절하는 별은 19개의 태양 질량에서 1차 질량의 16까지 더 거대하다.[73] R 카니스 메이저리스는 또 다른 에클립 바이너리로, 1.13일 동안 진도 5.7에서 6.34까지 다양하며,[74] 93년마다 이 두 개의 항성을 공전한다.궤도 주기의 짧음과 두 주요 성분 사이의 낮은 비율이 이것을 특이한 알골형 계통으로 만든다.[75]

7개의 항성계에는 행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Nu2 Canis Majoris는 스펙트럼 타입 K1의 노쇠한 오렌지 거성이다.약 64광년 거리에 위치한 겉보기 등급 3.91의 III.[76]태양보다 약 1.5배, 태양보다 약 11배의 광도를 가진 이 행성은 목성보다 2.6배 큰 행성에 의해 763일 동안 궤도를 돈다.[77]HD 47536은 마찬가지로 행성계를 가진 것으로 밝혀진 노쇠한 오렌지색 거성으로 태양이 노화하여 거인이 되면서 수십억년 후 태양계의 운명을 좌우하게 된다.[78]반대로 HD 45364는 2008년에 두 개의 행성이 발견된 스펙트럼 타입 G8V의 태양보다 약간 작고 차가운 107광년 거리의 별이다.궤도 주기가 228일, 342일인 이 행성들은 3:2 궤도 공진을 가지고 있어 시스템을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79]HD 47186은 두 개의 행성을 가진 태양과 같은 또 다른 별이다; 내측:HD 47186 b—궤도를 완성하는 데 4일이 걸리며, 외부는 핫 해왕성으로 분류되었다.HD 47186 c—는 편심 3.7년 주기 궤도를 가지고 있으며 토성과 유사한 질량을 가지고 있다.[80]HD 43197은 약 183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태양과 같은 항성으로, 목성 크기의 행성과 편심 궤도를 가지고 있다.[81]

Z 카니스 메이저리스는 1987년, 2000년, 2004년, 2008년 두 개의 크기만큼 밝아진 FU 오리온성 별허빅 에이/베 별 등 두 개의 주계열성으로 구성된 불과 30만 년 전의 항성 체계다.[82][83]보다 거대한 Herbig Ae/Be 별은 내경 20AU(3.0×10km9)와 외경 50AU(7.5×10km9)의 불규칙한 대략 구형 먼지 고치에 싸여 있다.고치에는 그 둘레의 각도가 5~10도 정도 되는 빛이 비치는 구멍이 뚫려 있다.두 별 모두 시스템을 형성한 원래의 구름에서 남겨진 커다란 낙하 물질 봉투에 둘러싸여 있다.두 별 모두 길이가 11.7광년인 허빅 애/비 별의 물질을 분출하고 있다.[84]한편 FS캐니스메이져리스는 먼지 껍데기를 나타내는 적외선 방출의 또 다른 별이지만 동반자로부터 물질을 흡수해 온 주계열성으로 보인다.이 별들은 성간 먼지에 상당한 기여를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85]

하늘하늘한 물체

은하수의 띠는 성간 먼지 구름에 의해 잘록하게 가려질 뿐 카니스 메이저를 거친다.별자리의 북동쪽 구석뿐만 아니라 아다하라, 웨젠, 알루드라 사이의 삼각형 영역에서도 밝으며 쌍안경으로 많은 별들이 보인다.Canis Major는 여러 개의 열린 클러스터를 자랑한다.[86]메시에 물체M41(NGC 2287)로, 지구에서 약 2300광년 떨어진 4.5의 시각적 크기를 결합한 열린 성단이다.시리우스 남쪽 4도에 위치한 이 별은 대조적인 파란색, 노란색, 주황색 별을 포함하고 있으며, 실제로는 직경이 25광년 정도 되는 보름달의 겉보기 크기를 포괄하고 있다.[87]그것의 가장 빛나는 별들은 이미 거성으로 진화했다.가장 밝은 별은 스펙트럼 타입 K3의 규모 6.3의 별이다.이 항성은 불과 670광년 거리에 있지만, 이 항성은 12개의 카니스 메이저리스가 있다.[88]발견자 캐롤라인 허셜의 이름을 따서 캐롤라인의 성단으로 알려진 NGC 2360은 뮬리핀 서쪽 3.5도에 위치한 열린 성단으로, 총 겉보기 크기는 7.2이다.지름 15광년 정도로 지구에서 3700광년 떨어져 있으며,[89] 약 22억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90]NGC 2362는 지구에서 5200광년 떨어진 작고 컴팩트한 열린 클러스터다.약 60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중 타우 카니스 마조리스가 가장 밝은 멤버다.[6]위젠에서 북동쪽으로 3도 정도 떨어져 있으며, 쌍안경으로 볼 때 별들이 타우 주위에 옹기종기 모여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지름이 12광년 정도 되는 지역을 덮고 있다.회원 스타들이 불과 몇 백만 년밖에 되지 않아 매우 젊은 오픈 클러스터다.NGC 2362에서 남서쪽으로 2도 떨어져 있는 NGC 2354는 규모 6.5의 더 희미한 개방 성단으로, 쌍안경으로 약 15개의 멤버별이 보인다.[87]NGC 2360에서 북동쪽으로 30인치 정도에 위치한 [91]NGC 2359(토르 헬멧 또는 오리 성운)는 카니스 메이저의 비교적 밝은 방출 성운으로, 지구에서 10,000광년 떨어진 곳에 대략 10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이 성운은 HD 56925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 성운 안에 포함된 불안정한 울프-레이에 별이다.[92]

ESO 489-056은 1600만 광년 거리에 위치한 불규칙한 왜소 은하다.[93]

2003년, 이 지역의 많은 별들이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위성 은하인 카니스 메이저 왜성으로 발표되었다.그러나, 그것이 붕괴된 왜성 은하를 나타내는 것인지, 아니면 실제로 은하수의 얇고 두꺼운 원반과 나선팔 개체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남아 있다.이 지역에 대한 조사는 별도의 왜소성 나선은하가 아닌 은하계의 후광 및 두꺼운 디스크 개체군과 일치하는 10개의 RR Lyrae 변수만을 산출했다.[94]한편, NGC 2298, Puppith에 있는 구상 성단은, 카니스 메이저 왜소계의 일부로 보이는, 극도로 금속이 빈약하여, 은하수의 두꺼운 원반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고, 그 대신 추론적 기원이라는 것을 암시한다.[95]

NGC 2207과 IC 2163은 지구에서 1억 2천 5백만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대면 상호작용 나선은하의 한 쌍이다.약 4천만년 전에, 두 은하는 가까운 만남을 가졌고 현재 더 멀리 떨어져 움직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작은 IC 2163은 결국 NGC 2207에 통합될 것이다.교류가 계속되면 가스와 먼지가 뒤엉켜 두 은하에서 광범위한 항성 형성이 촉발될 것이다.[96]1975년 NGC 2207(타입 Ia SN 1975a),[97] 1999년(타입 Ib SN 1999ec),[98] 2003년(타입 1b 초신성 SN 2003H),[99] 2013년(타입 II 초신성 SN 2013ai)에서 초신성이 관찰되었다.[100]1600만 광년 거리에 위치한 [93]ESO 489-056은 불규칙한 왜성과 저표면 밝기 은하로 알려진 가장 낮은 금속성 중 하나이다.[101]

참조

인용구

  1. ^ a b c "Canis Major, Constellation Boundary". The Constellations. Retrieved 15 November 2012.
  2. ^ Rogers, John H. (1998). "Origins of the Ancient Constellations: I. The Mesopotamian traditions". Journal of the British Astronomical Association. 108 (1): 9–28. Bibcode:1998JBAA..108....9R.
  3. ^ a b Wagman 2003, 페이지 71.
  4. ^ Rogers, John H. (1998). "Origins of the Ancient Constellations: II. The Mediterranean Traditions". Journal of the British Astronomical Association. 108 (2): 79–89. Bibcode:1998JBAA..108...79R.
  5. ^ a b c d 1963년, 페이지 117.
  6. ^ a b c d e f g Ridpath & Tirion 2001, 페이지 98–99.
  7. ^ 1963년, 페이지 118.
  8. ^ Oxby, Claire (October 1999). "A Review of African Ethno-Astronom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Saharan Livestock-Keepers". La Ricerca Folklorica (40): 57–58. doi:10.2307/1479768. JSTOR 1479768.
  9. ^ 슐레겔 1967, 페이지 428.
  10. ^ 슐레겔 1967, 페이지 430.
  11. ^ a b Ridpath, Ian. "Canis Major – the Greater Dog". Star Tales. Retrieved 1 March 2014.
  12. ^ 슐레겔 1967, 페이지 431.
  13. ^ 슐레겔 1967, 페이지 434.
  14. ^ 1941 페이지 212.
  15. ^ 1941년, 페이지 215.
  16. ^ 1941년, 페이지 258.
  17. ^ 마켐슨 1941 페이지 247.
  18. ^ 마켐슨 1941 페이지 249.
  19. ^ 1941 페이지 254.
  20. ^ 마켐슨 1941 페이지 236.
  21. ^ Ridley, William (1875). Kámilarói, and other Australian languages (PDF) (2nd ed.). Sydney, New South Wales: T. Richards, government printer. pp. 144–45.
  22. ^ "Naming Stars". IAU.org. Retrieved 30 July 2018.
  23. ^ a b Hamacher, Duane W.; Frew, David J. (2010). "An Aboriginal Australian Record of the Great Eruption of Eta Carinae". Journal of Astronomical History & Heritage. 13 (3): 220–34. arXiv:1010.4610. Bibcode:2010JAHH...13..220H.
  24. ^ Smyth, Robert Brough (1878). The Aborigines of Victoria: with Notes Relating to the Habits of the Natives of other Parts of Australia and Tasmania. Melbourne, Victoria: J. Ferres, government printer. pp. 433–34.
  25. ^ Russell, Henry Norris (1922). "The New International Symbols for the Constellations". Popular Astronomy. 30: 469–71. Bibcode:1922PA.....30..469R.
  26. ^ a b Bagnall, Philip M. (2012). The Star Atlas Companion: What You Need to Know about the Constellations. New York, New York: Springer. pp. 99–106. ISBN 978-1-4614-0830-7.
  27. ^ Tomkin, Jocelyn (April 1998). "Once and Future Celestial Kings". Sky and Telescope. 95 (4): 59–63. Bibcode:1998S&T....95d..59T.
  28. ^ a b Wagman 2003, 페이지 73.
  29. ^ a b Wagman 2003, 페이지 74.
  30. ^ 웨그먼 2003, 페이지 368.
  31. ^ Wagman 2003, 페이지 73–74.
  32. ^ Holberg, J.B. (2007). Sirius: Brightest Diamond in the Night Sky. Chichester, United Kingdom: Praxis Publishing. p. 214. ISBN 978-0-387-48941-4.
  33. ^ a b Wagman 2003, 페이지 504.
  34. ^ Kaler, James B. (4 May 2007). "Mirzam".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Retrieved 2 January 2012.
  35. ^ "Gamma Canis Majoris – Star in Cluster".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Retrieved 16 February 2014.
  36. ^ Watson, Christopher (4 January 2010). "Iota Canis Majoris". AAVSO Website.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Retrieved 2 March 2014.
  37. ^ Kaler, James B. (26 February 2010). "Iota Canis Majoris".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Retrieved 2 March 2014.
  38. ^ Knobel, Edward B. (1895).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55 (8): 429–38. Bibcode:1895MNRAS..55..429K. doi:10.1093/mnras/55.8.429.
  39. ^ "Epsilon Canis Majoris – Double Star".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Retrieved 16 February 2014.
  40. ^ Wilkinson, E.; Green, J.C.; McLean, R.; Welsh, B. (1996). "Extreme Ultraviolet Spectrum of ɛ Canis Majoris Between 600–920 Å". Bull. Am. Astron. Soc. 28 (2): 915. Bibcode:1996BAAS...28..915W.
  41. ^ Kunitzsch, Paul; Smart, Tim (2006).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2nd rev. ed.). Cambridge, Massachusetts: Sky Pub. p. 23. ISBN 978-1-931559-44-7.
  42. ^ "Delta Canis Majoris – Variable Star".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Retrieved 16 February 2014.
  43. ^ Kaler, James B. "Wezen". Stars website. University of Illinois. Retrieved 17 February 2014.
  44. ^ Watson, Christopher (4 January 2010). "Sigma Canis Majoris". AAVSO Website.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Retrieved 24 February 2014.
  45. ^ Jerzykiewicz, M.; Molenda-Zakowicz, J. (2000). "Empirical Luminosities and Radii of Early-Type Stars after Hipparcos" (PDF). Acta Astronomica. 50: 369–80. Bibcode:2000AcA....50..369J.
  46. ^ Watson, Christopher (3 May 2013). "Eta Canis Majoris". AAVSO Website.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Retrieved 5 February 2014.
  47. ^ "Zeta Canis Majoris – Cepheid Variable".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Retrieved 17 February 2014.
  48. ^ Kaler, James B. (2 February 2007). "Furud". Stars website. University of Illinois. Retrieved 17 February 2014.
  49. ^ a b Tetzlaff, N.; Neuhäuser, R.; Hohle, M. M. (January 2011). "A Catalogue of Young Runaway Hipparcos Stars within 3 kpc from the Sun".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10 (1): 190–200. arXiv:1007.4883. Bibcode:2011MNRAS.410..190T. doi:10.1111/j.1365-2966.2010.17434.x. S2CID 118629873.
  50. ^ Kaler, James B. "Omicron-2 Canis Majoris".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Retrieved 24 February 2014.
  51. ^ Lefèvre, L.; Marchenko, S. V.; Moffat, A. F. J.; Acker, A. (November 2009). "A systematic study of variability among OB-stars based on HIPPARCOS photometry". Astronomy and Astrophysics. 507 (2): 1141–1201. Bibcode:2009A&A...507.1141L. doi:10.1051/0004-6361/200912304.
  52. ^ Watson, Christopher (4 January 2010). "Omicron1 Canis Majoris". AAVSO Website.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Retrieved 15 February 2014.
  53. ^ Kaler, James B. "Omicron1 Canis Majoris".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Retrieved 24 February 2014.
  54. ^ a b Kaler, James B. (8 March 2013). "Theta Canis Majoris". Stars website. University of Illinois. Retrieved 18 February 2014.
  55. ^ da Silva, L.; Girardi, L.; Pasquini, L.; Setiawan, J.; von der Lühe, O.; de Medeiros, J.R.; Hatzes, A.; Döllinger, M.P.; Weiss, A. (2006). "Basic Physical Parameters of a Selected Sample of Evolved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58 (2): 609–23. arXiv:astro-ph/0608160. Bibcode:2006A&A...458..609D. doi:10.1051/0004-6361:20065105. S2CID 9341088.
  56. ^ a b "18 Canis Majoris".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Retrieved 18 February 2014.
  57. ^ Consolmagno, Guy (2011). Turn Left at Orion: Hundreds of Night Sky Objects to See in a Home Telescope – and How to Find Them. Cambridge, United King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81. ISBN 978-1-139-50373-0.
  58. ^ "HD 51251 – Star in double system".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Retrieved 18 February 2014.
  59. ^ Watson, Christopher (4 January 2010). "Kappa Canis Majoris". AAVSO Website.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Retrieved 24 February 2014.
  60. ^ Kaler, James B. (1 March 2013). "Kappa Canis Majoris".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February 2017. Retrieved 24 February 2014.
  61. ^ "Kappa Canis Majoris – Be Star".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Retrieved 2 March 2014.
  62. ^ "Lambda Canis Majoris – Star".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Retrieved 2 March 2014.
  63. ^ IUE Mega 캠페인:HD 50896 (WN5)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 452 #1, pp의 풍구조와 변동성L57 (1995년 10월) 비스코드:1995ApJ...452L..57S
  64. ^ Alcolea, J; Bujarrabal, V; Planesas, P; Teyssier, D; Cernicharo, J; De Beck, E; Decin, L; Dominik, C; Justtanont, K; De Koter, A; Marston, A. P; Melnick, G; Menten, K. M; Neufeld, D. A; Olofsson, H; Schmidt, M; Schöier, F. L; Szczerba, R; Waters, L. B. F. M (2013). "HIFISTARSHerschel/HIFI observations of VY Canis Majoris". Astronomy & Astrophysics. 559: A93. arXiv:1310.2400. Bibcode:2013A&A...559A..93A. doi:10.1051/0004-6361/201321683. S2CID 55758451.
  65. ^ Wittkowski, M.; Hauschildt, P.H.; Arroyo-Torres, B.; Marcaide, J.M. (2012). "Fundamental Properties and Atmospheric Structure of the Red Supergiant VY CMa based on VLTI/AMBER spectro-interferometry". Astronomy & Astrophysics. 540: L12. arXiv:1203.5194. Bibcode:2012A&A...540L..12W. doi:10.1051/0004-6361/201219126. S2CID 54044968.
  66. ^ Kamiński, T; Gottlieb, C. A; Menten, K. M; Patel, N. A; Young, K. H; Brünken, S; Müller, H. S. P; McCarthy, M. C; Winters, J. M; Decin, L (2013). "Pure rotational spectra of TiO and TiO2 in VY Canis Majoris". Astronomy and Astrophysics. 551 (2013): A113. arXiv:1301.4344. Bibcode:2013A&A...551A.113K. doi:10.1051/0004-6361/201220290. S2CID 59038056.
  67. ^ Otero, Sebastian Alberto (7 November 2011). "W Canis Majoris". AAVSO Website.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Retrieved 12 March 2014.
  68. ^ van Belle, Gerard T.; Paladini, Claudia; Aringer, Bernhard; Hron, Josef; Ciardi, David (2013). "The PTI Carbon Star Angular Size Survey: Effective Temperatures and Non-sphericity". The Astrophysical Journal. 775 (1): 45. arXiv:1307.6585. Bibcode:2013ApJ...775...45V. doi:10.1088/0004-637X/775/1/45. S2CID 43847096.
  69. ^ a b Hohle, M.M.; Haberl, F.; Vink, J.; de Vries, C.P.; Turolla, R.; Zane, S.; Méndez, M. (2012). "The Continued Spectral and Temporal Evolution of RX J0720.4-3125".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23 (2): 1194–99. arXiv:1203.3708. Bibcode:2012MNRAS.423.1194H. doi:10.1111/j.1365-2966.2012.20946.x. S2CID 55696761.
  70. ^ Kaplan, D.L.; van Kerkwijk, M.H.; Marshall, H.L.; Jacoby, B.A.; Kulkarni, S. R.; Frail, D.A. (2003). "The Nearby Neutron Star RX J0720.4-3125 from Radio to X-rays". The Astrophysical Journal. 590 (2): 1008–1019. arXiv:astro-ph/0303126. Bibcode:2003ApJ...590.1008K. doi:10.1086/375052. S2CID 17115753.
  71. ^ Watson, Christopher (4 January 2010). "Tau Canis Majoris". AAVSO Website.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Retrieved 21 March 2014.
  72. ^ Kaler, James B. "Tau Canis Majoris".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Retrieved 22 March 2014.
  73. ^ Bagnuolo, William G. Jr.; Gies, Douglas R.; Hahula, Michael E.; Wiemker, Rafael; Wiggs, Michael S. (1994). "Tomographic Separation of Composite Spectra. 2: The Components of 29 UW Canis Majoris". The Astrophysical Journal. 423: 446–55. Bibcode:1994ApJ...423..446B. doi:10.1086/173822.
  74. ^ Watson, Christopher (4 January 2010). "R Canis Majoris". AAVSO Website.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Retrieved 18 February 2014.
  75. ^ Budding, E.; Butland, R. (2011). "Observations and Analysis of the System R Canis Majori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18 (3): 1764–73. Bibcode:2011MNRAS.418.1764B. doi:10.1111/j.1365-2966.2011.19597.x.
  76. ^ "7 Canis Majoris – Variable Star".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Retrieved 26 February 2014.
  77. ^ Wittenmyer; Endl, Michael; Wang, Liang; Johnson, John Asher; Tinney, C.G.; O'Toole, S.J. (2011). "The Pan-Pacific Planet Search. I. A Giant Planet Orbiting 7 CMa". Astrophysical Journal. 743 (2): 184–91. arXiv:1111.1007. Bibcode:2011ApJ...743..184W. doi:10.1088/0004-637X/743/2/184. S2CID 26948630.
  78. ^ "Distant World in Peril Discovered from La Silla: Giant Exoplanet Orbits Giant Star". ESO for the Public (Press release). Garching, Germany: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22 January 2003. Retrieved 16 March 2014.
  79. ^ Correia, A. C. M.; Udry, S.; Mayor, M.; Benz, W.; Bertaux, J.-L.; Bouchy, F.; Laskar, J.; Lovis, C.; Mordasini, C.; Pepe, F.; Queloz, D. (2009). "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XVI. HD 45364, a Pair of Planets in a 3:2 Mean Motion Resonance". Astronomy and Astrophysics. 496 (2): 521–26. arXiv:0902.0597. Bibcode:2009A&A...496..521C. doi:10.1051/0004-6361:200810774. S2CID 119235349.
  80. ^ Bouchy, François; Mayor, Michel; Lovis, Christophe; Udry, Stéphane; Benz, Willy; Bertaux, Jean-Loup; Delfosse, Xavier; Mordasini, Christoph; Pepe, Francesco; Queloz, Didier; Ségransan, Damien (2009). "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XVII. Super-Earth and Neptune-mass Planets in Multiple Planet Systems HD 47186 and HD 181433". Astronomy and Astrophysics. 496 (2): 527–31. arXiv:0812.1608. Bibcode:2009A&A...496..527B. doi:10.1051/0004-6361:200810669. S2CID 117778593.
  81. ^ Naef, Dominique; Mayor, Michel; Lo Curto, Gaspare; Bouchy, François; Lovis, Christophe; Moutou, Claire; Benz, Willy; Pepe, Francesco; Queloz, Didier; Santos, Nuno C.; Ségransan, Damien; Udry, Stéphane; Bonfils, Xavier; Delfosse, Xavier; Forveille, Thierry; Hébrard, Guillaume; Mordasini, Christoph; Perrier, Christian; Boisse, Isabelle; Sosnowska, Danuta (2010). "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XXIII. 8 Planetary Companions to Low-activity Solar-type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523: A15. arXiv:1008.4600. Bibcode:2010A&A...523A..15N. doi:10.1051/0004-6361/200913616. S2CID 118845989.
  82. ^ Szeifert, T.; Hubrig, S.; Schöller, M.; Schütz, O.; Stelzer, B.; Mikulášek, Z. (2010). "The Nature of the Recent Extreme Outburst of the Herbig Be/FU Orionis Binary Z Canis Majoris". Astronomy and Astrophysics. 509: L7. arXiv:0912.3889. Bibcode:2010A&A...509L...7S. doi:10.1051/0004-6361/200913704. S2CID 14928968.
  83. ^ Whelan, E.T.; Dougados, C.; Perrin, M. D.; Bonnefoy, M.; Bains, I.; Redman, M.P.; Ray, T.P.; Bouy, H.; Benisty, M.; Bouvier, J.; Chauvin, G.; Garcia, P.J.V.; Grankvin, K.; Malbet, F. (2010). "The 2008 Outburst in the Young Stellar System Z CMa: The First Detection of Twin Jets". 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720 (1): L119–24. arXiv:1008.0111. Bibcode:2010ApJ...720L.119W. doi:10.1088/2041-8205/720/1/L119. S2CID 119237775.
  84. ^ Canovas, H.; Min, M.; Jeffers, S.V.; Rodenhuis, M.; Keller, C.U. (2012). "Constraining the Circumbinary envelope of Z Canis Majoris via Imaging Polarimetry". Astronomy & Astrophysics. 543 (A70): 8 pp. arXiv:1205.3784. Bibcode:2012A&A...543A..70C. doi:10.1051/0004-6361/201117762. S2CID 53690653.
  85. ^ Miroshnichenko, Anatoly S. (2007). "Toward Understanding the B[e] Phenomenon. I. Definition of the Galactic FS CMa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667 (1): 497–504. Bibcode:2007ApJ...667..497M. CiteSeerX 10.1.1.548.81. doi:10.1086/520798.
  86. ^ Crossen, Craig; Rhemann, Gerald (2004). Sky Vistas: Astronomy for Binoculars and Richest-Field Telescopes. New York, New York: Springer. pp. 113–15. ISBN 978-3-211-00851-5. Canis Major.
  87. ^ a b Kambic, Bojan (2009). Viewing the Constellations with Binoculars: 250+ Wonderful Sky Objects to See and Explore. New York, New York: Springer. pp. 230–32. ISBN 978-0-387-85355-0.
  88. ^ De Laet, Rony (2011). The Casual Sky Observer's Guide: Stargazing with Binoculars and Small Telescopes. New York, New York: Springer. pp. 95–97. ISBN 978-1-4614-0595-5.
  89. ^ O'Meara, Stephen James (2002). The Caldwell Objects. Cambridge, United King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31–33. ISBN 978-0-521-82796-6.
  90. ^ Mermilliod, Jean-Claude; Mayor, Michel (1990). "Red Giants in Open Clusters. III - Binarity and Stellar Evolution in Five Intermediate-age Clusters: NGC 2360, 2423, 5822, 6811, and IC 4756". Astronomy and Astrophysics. 273 (1): 61–72. Bibcode:1990A&A...237...61M.
  91. ^ Thompson, Robert and Barbara (2007). Illustrated Guide to Astronomical Wonders: From Novice to Master Observer. Sebastopol, California: O'Reilly Media, Inc. p. 144. ISBN 978-0-596-52685-6.
  92. ^ Levy, David H. (2005). Deep Sky Objects. Amherst, New York: Prometheus Books. p. 108. ISBN 978-1-59102-361-6.
  93. ^ a b "Stars Fleeing a Cosmic Crash". ESA/Hubble Picture of the Week. Retrieved 14 August 2013.
  94. ^ Mateu, Cecilia; Vivas, A. Katherina; Zinn, Robert; Miller, Lissa R.; Abad, Carlos (2009). "No Excess of RR Lyrae Stars in the Canis Major Overdensity". The Astronomical Journal. 37 (5): 4412–23. arXiv:0903.0376. Bibcode:2009AJ....137.4412M. doi:10.1088/0004-6256/137/5/4412. S2CID 18967866.
  95. ^ O'Meara, Stephen James (2011). Deep-Sky Companions: The Secret Deep. Cambridge, United King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39. ISBN 978-0-521-19876-9.
  96. ^ 윌킨스 & 던 2006 페이지 456.
  97. ^ Kirshner, Robert P.; Arp, H.C.; Dunlap, J.R. (1976). "Observations of Supernovae – 1975a in NGC 2207 and 1975b in the Perseus Cluster". Astrophysical Journal. 207 (1): 44–52. Bibcode:1976ApJ...207...44K. doi:10.1086/154465.
  98. ^ Jha, S.; Garnavich, P.; Challis, P.; Kirshner, R.; Berlind, P. (1999). "Supernova 1999ec in NGC 2207". IAU Circular. 7269: 2. Bibcode:1999IAUC.7269....2J.
  99. ^ Bishop, David. "Bright Supernovae – 2003". Rochester University. Retrieved 7 March 2014.
  100. ^ Alain, Klotz; E., Conseil; M., Fraser; Joseph, Brimacombe; C., Inserra; N., Walton; N., Blagorodnova; M., Nicholl; S., Benetti; A., Pastorello; S., Valenti; S., Taubenberger; J., Smartt S.; K., Smith; D., Young; M., Sullivan; A., Gal-Yam; O., Yaron (2013). "Supernova 2013ai in NGC 2207 = Psn J06161835-2122329". Central Bureau Electronic Telegrams. 3431: 1. Bibcode:2013CBET.3431....1K.
  101. ^ Kunth, Daniel; Östlin, Goran (2000). "The Most Metal-poor Galaxies". The Astronomy and Astrophysics Review. 10 (1–2): 1–79. arXiv:astro-ph/9911094. Bibcode:2000A&ARv..10....1K. doi:10.1007/s001590000005. S2CID 15487742.

참고 문헌 목록

  • Allen, Richard Hinckley (1963) [1899].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New York, New York: Dover. ISBN 978-0-486-21079-7.
  • Makemson, Maud Worcester (1941). The Morning Star Rises: An Account of Polynesian Astronomy. New Haven, Connecticut: Yale University Press. Bibcode:1941msra.book.....M.
  • Ridpath, Ian; Tirion, Wil (2001). Stars and Planets Guide.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08913-3.
  • Schlegel, Gustaaf (1967) [1875]. Uranographie Chinoise (in French). Taipei, Republic of China: Ch'eng Wen Publishing Company.
  • Wagman, Morton (2003). Lost Stars: Lost, Missing and Troublesome Stars from the Catalogues of Johannes Bayer, Nicholas Louis de Lacaille, John Flamsteed, and Sundry Others. Blacksburg, Virginia: The McDonald & Woodward Publishing Company. ISBN 978-0-939923-78-6.
  • Wilkins, Jamie; Dunn, Robert (2006). 300 Astronomical Objects: A Visual Reference to the Universe. Buffalo, New York: Firefly Books. ISBN 978-1-55407-175-3.

외부 링크

좌표:Sky map 07h 00m 00s, −20° 00′ 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