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틀리아

Antlia
안틀리아
별자리
Antlia
약어개미
일반적반미아과
발음/ˈæntliə/, genigive /-lii/
상징성공기 펌프[1]
우측 상승09h 27m 05.1837s11h 05m 55.0471s[2]
탈위임−24.5425186°–−40.4246216°[2]
면적섭씨 239도(62위)
주요별3
바이어/플램스티드
별들
9
행성이 있는 별2
3.00보다m 밝은 별0
10.00 pc 내 별(32.62 ly)2
가장 밝은 별α 개미(4.25m)
메시에 물체0
유성우없음
테두리
별자리
히드라
팍시스
벨라
센타우루스
+45° ~ -90° 사이의 위도에서 볼 수 있다.
4월 한 달 중 21:00(오후 9시)에 가장 잘 보인다.

앤틀리아(Antlia,/;ntli from/; 고대 그리스어 isτλα)는 남천반구있는 별자리다.그것의 이름은 라틴어그리스어로 "펌프"를 의미하고, 그것은 공기 펌프를 의미한다.원래 앤틀리아 공압의 별자리는 18세기에 니콜라스 루이스라카유에 의해 세워졌다.이미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그것의 비특정(단어) 명칭은 존 허셜에 의해 선호되었다가 이를 공식적으로 받아들인 천문학계의 환영을 받았다.아르고 나비스호(벨라호)의 돛 일부를 구성하는 별들의 북쪽, 앤틀리아는 북쪽 49도 남쪽 위도에서 완전히 보인다.

앤틀리아는 희미한 별자리인데, 가장 밝은 별은 주황색 거성알파 앤틀리아에인데, 이것은 겉보기 크기 4.22와 4.29 사이의 변광성이 의심되는 별이다.S 앤티애(S Antliae)는 한 항성이 다른 항성 앞을 지날 때 밝기가 변화하면서 에클립싱 바이너리 항성계통이다.공통의 봉투를 공유하면서, 별들은 매우 가까워져서 언젠가는 하나의 별을 형성하기 위해 합쳐질 것이다.알려진 외부 행성을 가진 두 개의 항성계통 HD 93083WASP-66은 나선 은하 NGC 2997Antlia 왜소 은하와 마찬가지로 Antlia 안에 놓여 있다.

역사

요한 보데가 앤틀리아를 더블실린더 공기펌프로 묘사

프랑스의 천문학자 니콜라스-루이 데 라카유는 1751~52년 프랑스 물리학자 데니스 파핀이 발명한 공기 펌프를 기념해 프랑스어로 된 이 별자리를 '라 머신 루마티크(공압 기계)'라고 처음 묘사했다.[4][5][6] 라카유는 희망봉에서 2년간 머무르는 동안 거의 만 개의 남쪽 별들을 관찰하고 목록화하여 유럽에서는 볼 수 없는 남천구 미지의 지역에서 14개의 새로운 별자리를 구상했다.그는 계몽시대를 상징하는 악기를 기리기 위해 하나 빼고는 모두 이름을 붙였다.[a][7]라카유는 안틀리아를 파핀의 초기 실험에 사용된 단일기통 진공펌프로 묘사했고, 독일 천문학자 요한 보데는 보다 진보된 이중기통 버전을 선택했다.[6]라카유는 1763년 차트에서 앤틀리아 공압아에게 라틴어로 이름을 붙였다.영국의 천문학자 존 허셜은 1844년 라카유 자신이 그의 별자리를 축약하여 때때로 이렇게 한 단어로 이름을 줄일 것을 제안하였다.[8]이것은 보편적으로 채택되었다.[9]국제천문연맹은 1922년 88개의 현대 별자리 중 하나로 채택했다.[10]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보여지기는 했지만, 앤틀리아의 별들은 너무 희미해서 고대 별자리에서는 일반적으로 비유적인 사물, 즉 하나의 일부로 인식되지 못했다.[6]현재 앤틀리아를 구성하는 별들은 그 후 세기 동안 별자리/옛 별자리 아르고 나비스(Argo Navis)와 연관된 하늘의 영역에 있다.이것은 거대한 크기 때문에 1763년 라카유에 의해 선체, 똥 갑판, 돛으로 갈라졌다.[11][12]리드패스는 그들의 희미한 빛 때문에, 앤틀리아의 별들이 아르고 나비스의 고전적인 묘사 중 일부를 구성하지 않았다고 보고한다.[13]

비서양 천문학에서

중국 천문학자들은 그들의 위도에서 현대의 안틀리아가 무엇인지 볼 수 있었고, 그것의 별들을 두 개의 다른 별자리에 통합시켰다.안틀리아 남부의 여러 별은 중국 남부의 한 지역을 나타내는 '둥우'의 일부분이었다.[6]나아가 엡실론, 에타, 테타 앤트리아에가 천체 신전에 편입되었는데, 이 천체에는 현대 핍시스의 별들도 포함되어 있었다.[6]

특성.

238.9 평방도, 따라서 하늘의 0.579%를 차지하고 있는 앤틀리아는 88개의 현대 별자리 중 면적별로 62위를 차지하고 있다.[14]남반구에서 그것의 위치는 전체 별자리49°N의 남쪽 관측자들에게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14][b]바다뱀 히드라는 북쪽 국경의 길이를 따라 달리고, 나침반 피시스와 돛 벨라, 센타우루스 센타우르스는 각각 서쪽, 남쪽, 동쪽을 향해 선회한다.국제천문연맹이 채택한 이 별자리의 약칭은 "Ant"[10]이다.1930년 벨기에 천문학자 외젠 델포르테가 설정한 공식 별자리 경계는 동쪽, 남쪽, 그리고 다른 10개의 면(다른 두 개의 추기경 나침반 점을 마주함)을 가진 다각형으로 정의된다([c]오른쪽 상단에 infobox로 표시됨).적도 좌표계에서 이들 경계선의 우측 상승 좌표는 09h 26.5m 11h 05.6m 사이에 있는 반면, 탈락 좌표는 -24.54°와 -40.42°[2] 사이에 있다.

특징들

육안으로 본 앤틀리아 별자리

별들

라카유는 바이엘 9개의 을 지정하여, 옆에 있는 두 개의 별을 제타(Zeta)로 결합하여 그들에게 알파(Alpha)를 통해 테타(Teta)로 표시하였다.굴드는 나중에 십분의 일, 이오타 앤트리아에를 더했다.베타와 감마 앤트리아(현재의 HR 4339와 HD 90156)는 1930년에 별자리 경계가 묘사된 후 이웃 별자리 히드라에 머물게 되었다.[16]별자리의 경계선 안에는 겉보기 등급 6.5보다 밝거나 같은 42개의 별이 있다.[d][14]이 별자리의 가장 밝은 두 별인 알파엡실론 앤트리아이는 붉은 색조를 띠며 빛난다.[18]알파(Alpha)는 스펙트럼 타입 K4의 오렌지색 거성이다.III겉보기 크기 4.22와 4.29 사이의 변광성이 의심되는 별이다.[19]그것은 지구에서 320 ± 10광년 떨어져 있다.[20]태양의 480~555배 정도의 광도를 가지고 빛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모든 핵심 연료를 탄소로 변환하여 미라 변광성(Mira variable star)으로 발돋움하고 있는 노쇠한 별일 가능성이 높다.[21]지구에서 590 ± 3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22]엡실론 앤트리아이는 스펙트럼 타입 K3 IIIa의 진화된 오렌지색 거성으로, 태양의 약 69배,[23] 약 1279개의 광도를 가질 정도로 부었다.[24]그것은 약간 가변적이다.[25]앤틀리아의 반대쪽 끝에서 이오타 앤틀리아이는 마찬가지로 스펙트럼 타입 K1 III의 오렌지색 거성이다.[26]202 ± 2광년 떨어져 있다.[27]

알파 근처에는 지구에서 450 ± 10광년 떨어진 이항성델타 앤트리아에가 있다.[28]1차 항성은 분광형 B9청백 주계열성이다.5V와 진도 5.6, 2차 항성은 스펙트럼 타입 F9Ve와 진도 9.6의 황백 주계열성이다.[29] 제타 앤트리아이는 광학 쌍성이다.더 밝은 별인 제타1 410 ± 40 광년 거리에 있고 규모 6.20과 7.01의 두 의 흰색 주계열성으로 구성된 진정한 2진법 항성계임에도 불구하고 5.74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30][31]기절하는 별인 제타2 앤트리아이는 386 ± 5광년 거리에[32] 있으며, 크기는 5.9이다.[33]에타 앤트리아이는 스펙트럼 타입 F1V와 진도 5.31의 황백색 항성으로 구성된 또 다른 이중으로, 진도 11.3의 동반자를 가지고 있다.[31]테타 앤티애도 마찬가지로 이중으로, 아마도 A형 주계열성과 황색 거성으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다.[34]S 항성계15.6시간 동안 겉보기 등급이 6.27에서 6.83까지 변하는 은밀한 이진성 항성계통이다.[35]이 시스템은 W Ursae Majoris 변수로 분류된다. 1차 시스템은 2차 변수보다 더 뜨겁고, 크기 감소는 후자가 전자 앞에 지나가면서 발생한다.궤도주기에서 성분의 성질을 계산해 보면 1차 항성은 질량이 1.94배, 직경은 2.026배, 2차 항성은 질량이 0.76배, 직경은 1.322배임을 알 수 있다.[36]두 별은 공통의 봉투를 가지고 있고 별의 물질을 공유하는 것과 비슷한 광도스펙트럼 타입을 가지고 있다.[37]이 시스템은 약 50억에서 60억년 정도 된 것으로 생각된다.이 두 별은 결국 합쳐져 하나의 빠른 회전 별을 형성할 것이다.[36]

T 앤티애(T Antliae)는 5.9일 동안 진도 8.88에서 9.82 사이의 스펙트럼 유형 F6Iab과 고전 세페이드 변수황백색 초거성이다.[38]U 앤티애(U Antliae)는 적색 C형 탄소성(carbon star)으로, 규모 5.27~6.04의 불규칙 변수다.[39]910 ± 50 광년 거리에서는 태양보다 약 5819배 정도 빛을 발한다.[40][24]BF Antliae는 진도 0.01만큼 변하는 델타 스쿠티 변수다.[41]HR 4049는 AG Antliae라고도 하며 스펙트럼 타입 B9의 특이한 열변성 노화 항성이다.5Ib-II. 질량[42] 손실이 심하며, 429일의 기간으로 규모 5.29와 5.83 사이의 알려진 변광성의 어떤 등급에도 속하지 않는 독특한 변수다.[43]지구에서 약 6000광년 떨어져 있다.[44]UX Antliae는 R Coronarae Borealis 변수로, 기준 외관상 크기가 약 11.85이며, 불규칙 조광은 진도 18.0 이하로 낮아진다.[45]발광성과 외딴 별인 이 별은 황백색 F형 별과 비슷한 스펙트럼을 가진 초거성이지만 수소가 거의 없다.[46]

NGC 2997의 합성 이미지

HD 93083은 태양보다 작고 차가운 스펙트럼 타입 K3V의 주황색 왜성이다.2005년 HARPS 분광기방사상 속도법에 의해 발견된 행성을 가지고 있다.토성만큼 거대한 이 행성은 평균 거리 0.477AU로 항성을 143일 공전한다.[47] WASP-66은 분광형 F4V의 태양과 같은 별이다.목성 질량의 2.3배인 행성은 4일마다 궤도를 돌고 있으며, 2012년 통과 방법에 의해 발견되었다.[48]DEN 1048-3956은 지구에서 약 13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스펙트럼 타입 M8의 갈색 왜성이다.진도 17에서 그것은 너무 희미해서 도움을 받지 않은 눈으로 볼 수 없다.표면 온도는 약 2500K이다.각각 4~5분 동안 지속되는 두 개의 강력한 플레어가 2002년에 검출되었다.[49] 2MASS 0939-2448은 아마도 약 500, 700K의 유효 온도와 약 25, 40배의 질량을 가진 두 개의 시원하고 희미한 갈색 왜성으로 이루어진 계통이다. 두 물체 모두 600K와 30개의 목성 질량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50]

하늘하늘한 물체

갤럭시 ESO 376-16은 지구에서 약 230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51]

앤틀리아는 많은 희미한 은하들을 포함하고 있으며,[52] 그 중 가장 밝은 은하는 진도 10.6의 NGC 2997이다.[53]Sc형식의 느슨한 면상 나선은하 입니다.대부분의 아마추어 망원경에서는 뚜렷하지 않지만, 그것은 사진에서 젊은 별들의 밝은 군집과 많은 어두운 먼지 차선을 보여준다.[33]1997년에 발견된 앤틀리아 왜성지방 은하군에 속하는 14.8m 왜소 나선 은하다.[54]2018년, 이 발견은 은하수의 위성 은하인 앤틀리아 2의 엡실론 앤틀리아에 근처에서 매우 낮은 표면 밝기 은하를 발표하였다.[55]

아벨 S0636으로도 알려진 앤틀리아 성단히드라-센타우루스 슈퍼클러스터에 위치한 은하단이다.처녀자리 군집포낙스 군집 다음으로 로컬 그룹에서 세 번째로 가까운 군집이다.[56]성단의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40.5Mpc(132.1Mly) ~ 40.9Mpc(133.4Mly)[57]이며, 별자리의 남동쪽 구석에 위치하며, 각각 남부와 북부의 주요 구성원으로서 거대한 타원 은하 NGC 3268NGC 3258을 자랑하며, 총 약 234개의 은하를 포함하고 있다.[52]

메모들

  1. ^ 예외는 테이블 마운틴의 이름을 딴 멘사다.다른 13개(안틀리아와 함께)는 카엘룸, 크레시누스, 포르낙스, 호로슘, 현미경, 노마, 옥탄스, 픽토르, 피시스, 레티쿨룸, 조각가, 텔레스코피움이다.[7]
  2. ^ 비록 별자리의 일부가 기술적으로 49°N과 65°N 사이의 관측자들에게 수평선 위로 떠오르지만, 수평선 몇 도 내의 별들은 모든 의미와 목적을 관측할 수 없다.[14]
  3. ^ 델포트는 국제천문연맹에 별자리 경계 표준화를 제안했는데, 그들은 이에 동의하고 그에게 주역을[15] 맡겼다.
  4. ^ 규모 6.5의 물체는 교외-농촌 전환 밤하늘에서 도움을 받지 않은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희미한 물체 중 하나이다.[17]

참조

인용구

  1. ^ Bakich, Michael E. (1995). The Cambridge Guide to the Constellations. Cambridge, United King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44921-2.
  2. ^ a b c "Antlia, constellation boundary". The Constellations. Retrieved 14 February 2014.
  3. ^ "The 100 Nearest Star Systems". Research Consortium on Nearby Stars. 1 January 2012. Retrieved 2 May 2016.
  4. ^ Ridpath, Ian. "Lacaille's Southern Planisphere of 1756". Star Tales. Self-published. Retrieved 25 August 2015.
  5. ^ Lacaille, Nicolas Louis (1756). "Relation abrégée du Voyage fait par ordre du Roi au cap de Bonne-espérance". Mémoires de l'Académie Royale des Sciences (in French): 519–592 [589].
  6. ^ a b c d e Ridpath, Ian. "Antlia". Star Tales. Retrieved 3 December 2007.
  7. ^ a b Wagman 2003, 페이지 5-6.
  8. ^ Herschel, John (1844). "Farther Remarks on the Division of Southern Constellation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6 (5): 60–62. doi:10.1093/mnras/6.5.60a.
  9. ^ Wagman 2003, 페이지 25.
  10. ^ a b Russell, Henry Norris (1922). "The New International Symbols for the Constellations". Popular Astronomy. 30: 469. Bibcode:1922PA.....30..469R.
  11. ^ Birren, Peter (2002). Objects in the Heavens. Bloomington, Indiana: Trafford Publishing. pp. 9, 45. ISBN 978-1-55369-662-9.
  12. ^ Webb, Thomas William (1962). Celestial objects for common telescopes. Vol. 2. New York, New York: Dover Publications. p. 36. ISBN 978-0-486-20918-0.
  13. ^ Ridpath, Ian (2002). Stars and Planets. New York, New York: Smithsonian Handbooks. pp. 65, 122. ISBN 978-0-7894-8988-3.
  14. ^ a b c d Ridpath, Ian. "Constellations: Andromeda–Indus". Star Tales. self-published. Retrieved 26 August 2015.
  15. ^ Ridpath, Ian. "Constellation boundaries: How the modern constellation outlines came to be". Star Tales. self-published. Retrieved 1 June 2016.
  16. ^ Wagman 2003, 페이지 29.
  17. ^ Bortle, John E. (February 2001). "The Bortle Dark-Sky Scale". Sky & Telescope. Retrieved 26 August 2015.
  18. ^ Arnold, H.J.P.; Doherty, Paul; Moore, Patrick (1999). The Photographic Atlas of the Stars. Boca Raton, Florida: CRC Press. p. 97. ISBN 978-0-7503-0654-6.
  19. ^ Watson, Christopher (18 January 2010). "Alpha Antliae". AAVSO Website.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Retrieved 25 July 2014.
  20. ^ Brown, A. G. A.; et al. (Gaia collaboration) (August 2018). "Gaia Data Release 2: Summary of the contents and survey properties". Astronomy & Astrophysics. 616. A1. arXiv:1804.09365. Bibcode:2018A&A...616A...1G. doi:10.1051/0004-6361/201833051. 이 소스에 대한 가이아 DR2 기록 VizieR.
  21. ^ Kaler, James B. "Alpha Antliae".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Retrieved 25 July 2014.
  22. ^ Brown, A. G. A.; et al. (Gaia collaboration) (August 2018). "Gaia Data Release 2: Summary of the contents and survey properties". Astronomy & Astrophysics. 616. A1. arXiv:1804.09365. Bibcode:2018A&A...616A...1G. doi:10.1051/0004-6361/201833051. 이 소스에 대한 가이아 DR2 기록 VizieR.
  23. ^ Pasinetti-Fracassini, L.E.; Pastori, L.; Covino, S.; Pozzi, A. (February 2001). "Catalogue of Stellar Diameters (CAD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67 (2): 521–24. arXiv:astro-ph/0012289. Bibcode:2001A&A...367..521P. doi:10.1051/0004-6361:20000451. S2CID 425754.
  24. ^ a b McDonald, I.; Zijlstra, A. A.; Boyer, M. L. (2012). "Fundamental Parameters and Infrared Excesses of Hipparcos Star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27 (1): 343–57. arXiv:1208.2037. Bibcode:2012MNRAS.427..343M. doi:10.1111/j.1365-2966.2012.21873.x. S2CID 118665352.
  25. ^ Koen, Chris; Eyer, Laurent (March 2002). "New Periodic Variables from the Hipparcos Epoch Photometry".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31 (1): 45–59. arXiv:astro-ph/0112194. Bibcode:2002MNRAS.331...45K. doi:10.1046/j.1365-8711.2002.05150.x. S2CID 10505995.
  26. ^ "Iota Antliae".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Retrieved 29 July 2014.
  27. ^ Brown, A. G. A.; et al. (Gaia collaboration) (August 2018). "Gaia Data Release 2: Summary of the contents and survey properties". Astronomy & Astrophysics. 616. A1. arXiv:1804.09365. Bibcode:2018A&A...616A...1G. doi:10.1051/0004-6361/201833051. 이 소스에 대한 가이아 DR2 기록 VizieR.
  28. ^ Brown, A. G. A.; et al. (Gaia collaboration) (August 2018). "Gaia Data Release 2: Summary of the contents and survey properties". Astronomy & Astrophysics. 616. A1. arXiv:1804.09365. Bibcode:2018A&A...616A...1G. doi:10.1051/0004-6361/201833051. 이 소스에 대한 가이아 DR2 기록 VizieR.
  29. ^ Huélamo, N.; Neuhäuser, R.; Stelzer, B.; Supper, R.; Zinnecker, H. (July 2000). "X-ray emission from Lindroos binary systems". Astronomy & Astrophysics. 359: 227–41. arXiv:astro-ph/0005348. Bibcode:2000A&A...359..227H.
  30. ^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S2CID 18759600.
  31. ^ a b Eggleton, P. P.; Tokovinin, A. A. (September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S2CID 14878976.
  32. ^ Brown, A. G. A.; et al. (Gaia collaboration) (August 2018). "Gaia Data Release 2: Summary of the contents and survey properties". Astronomy & Astrophysics. 616. A1. arXiv:1804.09365. Bibcode:2018A&A...616A...1G. doi:10.1051/0004-6361/201833051. 이 소스에 대한 가이아 DR2 기록 VizieR.
  33. ^ a b Ridpath 2017, 페이지 76–78
  34. ^ Kaler, James B. (12 April 2013). "Theta Antliae".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Retrieved 25 March 2016.
  35. ^ Watson, Christopher (4 January 2010). "S Antliae". AAVSO Website.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Retrieved 22 May 2014.
  36. ^ a b Gazeas, K.; Stȩpień, K. (2008). "Angular momentum and mass evolution of contact binarie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90 (4): 1577–86. arXiv:0803.0212. Bibcode:2008MNRAS.390.1577G. doi:10.1111/j.1365-2966.2008.13844.x. S2CID 14661232.
  37. ^ Csizmadia, Sz.; Klagyivik, P. (2004). "On the properties of contact binary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26 (3): 1001–05. arXiv:astro-ph/0408049. Bibcode:2004A&A...426.1001C. doi:10.1051/0004-6361:20040430. S2CID 118989357.
  38. ^ Watson, Christopher (4 January 2010). "T Antliae". AAVSO Website.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Retrieved 25 July 2014.
  39. ^ Otero, Sebastian (3 November 2011). "U Antliae". AAVSO Website.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Retrieved 25 July 2014.
  40. ^ Brown, A. G. A.; et al. (Gaia collaboration) (August 2018). "Gaia Data Release 2: Summary of the contents and survey properties". Astronomy & Astrophysics. 616. A1. arXiv:1804.09365. Bibcode:2018A&A...616A...1G. doi:10.1051/0004-6361/201833051. 이 소스에 대한 가이아 DR2 기록 VizieR.
  41. ^ Chang, S.-W.; Protopapas, P.; Kim, D.-W.; Byun, Y.-I. (2013). "Statistical Properties of Galactic δ Scuti Stars: Revisited". The Astronomical Journal. 145 (5): 10. arXiv:1303.1031. Bibcode:2013AJ....145..132C. doi:10.1088/0004-6256/145/5/132. S2CID 118900730. 132.
  42. ^ Geballe, T.R.; Noll, K.S.; Whittet, D.C.B.; Waters, L.B.F.M. (1989). "Unusual features of the 1–4 micron spectrum of HR 4049". The Astrophysical Journal. 340: L29. Bibcode:1989ApJ...340L..29G. doi:10.1086/185431.
  43. ^ VSX (4 January 2010). "AG Antliae". The International Variable Star Index.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Retrieved 15 June 2013.
  44. ^ Brown, A. G. A.; et al. (Gaia collaboration) (August 2018). "Gaia Data Release 2: Summary of the contents and survey properties". Astronomy & Astrophysics. 616. A1. arXiv:1804.09365. Bibcode:2018A&A...616A...1G. doi:10.1051/0004-6361/201833051. 이 소스에 대한 가이아 DR2 기록 VizieR.
  45. ^ Otero, Sebastian (23 November 2012). "UX Ant". The International Variable Star Index. Retrieved 14 July 2014.
  46. ^ Kilkenny, D.; Westerhuys, J. E. (1990). "Spectroscopy of 'RCB' stars-IV. UX ANT". The Observatory. 110: 90–92. Bibcode:1990Obs...110...90K.
  47. ^ Lovis, C.; Mayor, M.; Bouchy, F.; Pepe, F.; Queloz, D.; Santos, N.C.; Udry, S.; Benz, W.; Bertaux, J.-L.; Mordasini, C.; Sivan, J.-P. (2005). "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III. Three Saturn-mass planets around HD 93083, HD 101930 and HD 102117". Astronomy and Astrophysics. 437 (3): 1121–26. arXiv:astro-ph/0503660. Bibcode:2005A&A...437.1121L. doi:10.1051/0004-6361:20052864. S2CID 119492030.
  48. ^ Hellier, Coel; Anderson, D. R.; Collier Cameron, A.; Doyle, A. P.; Fumel, A.; Gillon, M.; Jehin, E.; Lendl, M.; Maxted, P. F. L.; Pepe, F.; Pollacco, D.; Queloz, D.; Ségransan, D.; Smalley, B.; Smith, A. M. S.; Southworth, J.; Triaud, A. H. M. J.; Udry, S.; West, R. G. (2012). "Seven transiting hot Jupiters from WASP-South, Euler and TRAPPIST: WASP-47b, WASP-55b, WASP-61b, WASP-62b, WASP-63b, WASP-66b and WASP-67b".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26 (1): 439–50. arXiv:1204.5095. Bibcode:2012MNRAS.426..739H. doi:10.1111/j.1365-2966.2012.21780.x. S2CID 54713354.
  49. ^ Burgasser, Adam J.; Putman, Mary E. (10 June 2005). "Quiescent Radio Emission from Southern Late-Type M Dwarfs and a Spectacular Radio Flare from the M8 Dwarf DENIS 1048–3956". The Astrophysical Journal. 626 (1): 486–497. arXiv:astro-ph/0502365. Bibcode:2005ApJ...626..486B. doi:10.1086/429788. S2CID 13286883.
  50. ^ Leggett, Sandy K.; Cushing, Michael C.; Saumon, Didier; Marley, Mark S.; Roellig, Thomas L.; Warren, Stephen J.; Burningham, Ben; Jones, Hugh R. A.; Kirkpatrick, J. Davy; Lodieu, Nicolas; Lucas, Philip W.; Mainzer, Amy K.; Martín, Eduardo L.; McCaughrean, Mark J.; Pinfield, David J.; Sloan, Gregory C.; Smart, Richard L.; Tamura, Motohide; Van Cleve, Jeffrey E. (2009). "The Physical Properties of Four ~600 K T Dwarfs". The Astrophysical Journal. 695 (2): 1517–1526. arXiv:0901.4093. Bibcode:2009ApJ...695.1517L. doi:10.1088/0004-637X/695/2/1517. S2CID 44050900.
  51. ^ "Mapping the nearby Universe". www.spacetelescope.org. Retrieved 25 September 2017.
  52. ^ a b Streicher, Magda (2010). "Deepsky Delights: Antlia, the Machine Pneumatique". Monthly Note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Southern Africa. 69 (5–6): 107–12. Bibcode:2010MNSSA..69..107S.
  53. ^ 무어 & 티리온 1997
  54. ^ Nemiroff, R.; Bonnell, J., eds. (23 April 1997). "Antlia: A New Galactic Neighbor".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NASA. Retrieved 9 April 2012.
  55. ^ Torrealba, G.; Belokurov, V.; Koposov, S. E.; Li, T. S.; Walker, M. G.; Sanders, J. L.; Geringer-Sameth, A.; Zucker, D. B.; Kuehn, K.; Evans, N. W.; Dehnen, W. (2019). "The hidden giant: Discovery of an enormous Galactic dwarf satellite in Gaia DR2".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88 (2): 2743–2766. arXiv:1811.04082. Bibcode:2019MNRAS.488.2743T. doi:10.1093/mnras/stz1624. S2CID 118867213.
  56. ^ Smith Castelli, Analía V.; Bassino, Lilia P.; Richtler, Tom; Cellone, Sergio A.; Aruta, Cristian; Infante, Leopoldo (June 2008). "Galaxy populations in the Antlia cluster – I. Photometric properties of early-type galaxie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6 (4): 2311–22. arXiv:0803.1630. Bibcode:2008MNRAS.386.2311S. doi:10.1111/j.1365-2966.2008.13211.x. S2CID 9042703.
  57. ^ Dirsch, B.; Richtler, T.; Bassino, L.P. (2003). "The globular cluster systems of NGC 3258 and NGC 3268 in the Antlia cluster". Astronomy & Astrophysics. 408 (3): 929–39. arXiv:astro-ph/0307200. Bibcode:2003A&A...408..929D. doi:10.1051/0004-6361:20031027. S2CID 763415.

원천

외부 링크

좌표:Sky map 10h 00m 00s, −30° 00′ 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