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폴리포프로테인 H

Apolipoprotein H
APOH
사용 가능한 구조물
PDB직교 검색: PDBe RCSB
식별자
별칭APOH, B2G1, B2GP1, BG, Apollipoprotein H
외부 IDOMIM: 138700 MGI: 88058 HomoloGene: 26 GeneCard: APOH
직교체
인간마우스
엔트레스
앙상블
유니프로트
RefSeq(mRNA)

NM_000042

NM_013475

RefSeq(단백질)

NP_000033

NP_038503

위치(UCSC)Cr 17: 66.21 – 66.26MbChr 11: 108.34 – 108.41Mb
PubMed 검색[3][4]
위키다타
인간 보기/편집마우스 보기/편집

β-glycoprotein2 1베타-2 당단백질 1아폴리포프로틴 H(Apo-H)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인간 내에서는 APOH 유전자에 의해 인코딩되는 38 kDa 다기능 플라즈마 단백질이다.[5]그 기능 중 하나는 심장올리핀을 결합하는 것이다.바인딩된 경우, Cardiolipin과 β-GP1의2 구조는 모두 구조에서 큰 변화를 겪는다.[6]Apo-H 구조 내에는 양극으로 충전된 아미노산(단백질 염기서열 위치 282-287),[7] Lys-Asn-Lys-Glu-Lys-Lys가 인광 결합에 관여한다(오른쪽 이미지 참조).null

β-GP1은2 흡착에 복합적으로 관여한다.그것은 혈소판의 아데노신 디프인산염(ADP) 매개 아그루틴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보인다.[8]일반적으로 β-GP1은2 혈청의 항응고 활성을 가정하지만(응고 인자를 억제함으로써) 혈액 인자의 변화는 그 활성을 역전시킬 수 있다.null

이전에는 아폴리포프로테인 H라고 불렸지만, 지단백질 분율에는 눈에 띄는 양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아포H는 오노머로 여겨진다.[9]null

억제 활동

β-GP1은2 혈소판에[10] 의한 세로토닌 방출을 완전히 억제하고 ADP 유도 집적의 후속 파동을 방지하는 것으로 보인다.β-GP1의2 활동은 응고, 음전하 화합물의 결합을 수반하는 것으로 보이며, 내인성 혈액 응고 경로의 접촉 활성화에 의한 응고를 억제한다.[11]β-GP1은2 혈소판의 프로트롬비나제 결합 부위가 감소하고 β-GP1의2 생리학적 혈청 농도에 트롬빈이 있을 때 콜라겐에 의한 활성화가 감소하여 응고에 있어 β-GP1의2 규제적 역할을 시사한다.[12]null

또한 β-GP1은2 혈소판이 있는 곳에서 인자 Xa의 생성을 억제한다.[13]β-GP1은2 또한 인자 XIIA의 활성화를 억제한다.[14]null

또한 β-GP1은2 단백질 C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인산염 세린:phosphatidylcholine vesicle에[15] 대한 활동을 차단하지만 단백질 C가 활성화되면 Apo-H가 활동을 억제하지 못한다.단백질 C는 인자 Va 분해에 관여하므로 Apo-H는 간접적으로 인자 Va의 저하를 억제한다.[16]이러한 억제 활성은 단백질 C의 아포-H 억제가 인지질 경쟁력이 있음을 암시하는 인광물질을 첨가함으로써 감소한다.[17]이는 특정 조건에서 Apo-H가 응고 특성을 취한다는 것을 나타낸다.null

병리학

항β-GP12 항체는 감염성 및 일부 전신 자가면역질환(예: 전신 루푸스 에리테마토스(SLE))[18]에서 모두 발견된다.자가면역 항인산소증후군 진단 테스트에서 항카르디올리핀 항체에 대한 긍정은 심장올리핀 추출물에 β-GP1이2 있어야 한다.[19][20]항β-GP12 항체는 혈전 형태의 루푸스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null

초밥2단백질영역

초밥_2
PDB 1g4g EBI.jpg
인간 베타-2 당단백질 1의 다섯 번째 영역의 NMR 구조
식별자
기호초밥_2
PfamPF09014
인터프로IPR015104

분자생물학에서 단백질 영역스시2는 베타-2 당단백질 1(β-GP12)의 다섯 번째 단백질 영역으로도 알려져 있다.이 단백질 영역은 진핵생물에서만 발견된다.아폴리포프로테인 H에서 처음 발견된 네 개의 도메인은 서로 닮았지만 다섯 번째 도메인은 다른 것으로 보인다.[21]null

구조

이 단백질 영역은 잘 정의된 4개의 항병렬 베타 가닥과 2개의 짧은 알파헬리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긴 고도로 유연한 루프로 구성되어 있다.[22]또한 다섯 번째 단백질 영역은 세 개의 내부 이황화 결합과 여분의 C-단자 루프를 제외하고 아폴리포프로틴의 다른 네 개와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21]null

함수

그것의 정확한 기능은 완전히 해명되어야 하지만, 음전하 화합물에 대한 β-GP1의2 결합과 항β-GP12 항체의 결합을 위한 후속 포획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2]β-GP1에2 대한 항체가 발달하면 항인산염증후군으로 이어져 임신 합병증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21]null

참조

  1. ^ a b c GRCh38: 앙상블 릴리스 89: ENSG000091583 - 앙상블, 2017년 5월
  2. ^ a b c GRCm38: 앙상블 릴리스 89: ENSMUSG00000000049 - 앙상블, 2017년 5월
  3. ^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4. ^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5. ^ "APOH - Beta-2-glycoprotein 1 precursor - Homo sapiens (Human) - APOH gene & protein". UniProt. Retrieved 5 May 2019.
  6. ^ Borchman D, Harris EN, Pierangeli SS, Lamba OP (1995). "Interactions and molecular structure of cardiolipin and beta 2-glycoprotein 1 (beta 2-GP1)". Clin. Exp. Immunol. 102 (2): 373–8. doi:10.1111/j.1365-2249.1995.tb03792.x. PMC 1553418. PMID 7586693.
  7. ^ Sheng Y, Sali A, Herzog H, Lahnstein J, Krilis SA (1996). "Site-directed mutagenesis of recombinant human beta 2-glycoprotein I identifies a cluster of lysine residues that are critical for phospholipid binding and anti-cardiolipin antibody activity". J. Immunol. 157 (8): 3744–51. PMID 8871678.
  8. ^ Nimpf J, Wurm H, Kostner GM (1985). "Interaction of beta 2-glycoprotein-I with human blood platelets: influence upon the ADP-induced aggregation". Thromb. Haemost. 54 (2): 397–401. doi:10.1055/s-0038-1657748. PMID 4082080.
  9. ^ Ağar C, de Groot PG, Levels JH, Marquart JA, Meijers JC (January 2009). "Beta2-glycoprotein I is incorrectly named apolipoprotein H". Journal of Thrombosis and Haemostasis. 7 (1): 235–6. doi:10.1111/j.1538-7836.2008.03223.x. PMID 19017258. S2CID 43329586.
  10. ^ Nimpf J, Wurm H, Kostner GM (1987). "Beta 2-glycoprotein-I (apo-H) inhibits the release reaction of human platelets during ADP-induced aggregation". Atherosclerosis. 63 (2–3): 109–14. doi:10.1016/0021-9150(87)90110-9. PMID 3827975.
  11. ^ Schousboe I (1985). "beta 2-Glycoprotein I: a plasma inhibitor of the contact activation of the intrinsic blood coagulation pathway". Blood. 66 (5): 1086–91. doi:10.1182/blood.V66.5.1086.1086. PMID 4052628.
  12. ^ Nimpf J, Bevers EM, Bomans PH, et al. (1986). "Prothrombinase activity of human platelets is inhibited by beta 2-glycoprotein-I". Biochim. Biophys. Acta. 884 (1): 142–9. doi:10.1016/0304-4165(86)90237-0. PMID 3768409.
  13. ^ Shi W, Chong BH, Hogg PJ, Chesterman CN (1993). "Anticardiolipin antibodies block the inhibition by beta 2-glycoprotein I of the factor Xa generating activity of platelets". Thromb. Haemost. 70 (2): 342–5. doi:10.1055/s-0038-1649577. PMID 8236146.
  14. ^ Schousboe I, Rasmussen MS (1995). "Synchronized inhibition of the phospholipid mediated autoactivation of factor XII in plasma by beta 2-glycoprotein I and anti-beta 2-glycoprotein I". Thromb. Haemost. 73 (5): 798–804. doi:10.1055/s-0038-1653871. PMID 7482406.
  15. ^ Keeling DM, Wilson AJ, Mackie IJ, Isenberg DA, Machin SJ (1993). "Role of beta 2-glycoprotein I and anti-phospholipid antibodies in activation of protein C in vitro". J. Clin. Pathol. 46 (10): 908–11. doi:10.1136/jcp.46.10.908. PMC 501616. PMID 8227406.
  16. ^ Matsuda J, Gohchi K, Kawasugi K, Gotoh M, Saitoh N, Tsukamoto M (1995). "Inhibitory activity of anti-beta 2-glycoprotein I antibody on factor Va degradation by activated-protein C and its cofactor protein S". Am. J. Hematol. 49 (1): 89–91. doi:10.1002/ajh.2830490116. PMID 7741146. S2CID 42539225.
  17. ^ Mori T, Takeya H, Nishioka J, Gabazza EC, Suzuki K (1996). "beta 2-Glycoprotein I modulates the anticoagulant activity of activated protein C on the phospholipid surface". Thromb. Haemost. 75 (1): 49–55. doi:10.1055/s-0038-1650220. PMID 8713779.
  18. ^ Kumar KS, Jyothy A, Prakash MS, Rani HS, Reddy PP (2002). "Beta2-glycoprotein I dependent anticardiolipin antibodies and lupus anticoagulant in patients with recurrent pregnancy loss". Journal of Postgraduate Medicine. 48 (1): 5–10. PMID 12082318.
  19. ^ McNeil HP, Simpson RJ, Chesterman CN, Krilis SA (1990). "Anti-phospholipid antibodies are directed against a complex antigen that includes a lipid-binding inhibitor of coagulation: beta 2-glycoprotein I (apolipoprotein H)". Proc. Natl. Acad. Sci. U.S.A. 87 (11): 4120–4. Bibcode:1990PNAS...87.4120M. doi:10.1073/pnas.87.11.4120. PMC 54059. PMID 2349221.
  20. ^ Hunt JE, McNeil HP, Morgan GJ, Crameri RM, Krilis SA (1992). "A phospholipid-beta 2-glycoprotein I complex is an antigen for anticardiolipin antibodies occurring in autoimmune disease but not with infection". Lupus. 1 (2): 75–81. doi:10.1177/096120339200100204. PMID 1301967. S2CID 35296154.
  21. ^ a b c Shi T, Giannakopoulos B, Iverson GM, Cockerill KA, Linnik MD, Krilis SA (2005). "Domain V of beta2-glycoprotein I binds factor XI/XIa and is cleaved at Lys317-Thr318". J Biol Chem. 280 (2): 907–12. doi:10.1074/jbc.M410291200. PMID 15522884.
  22. ^ a b Hoshino M, Hagihara Y, Nishii I, Yamazaki T, Kato H, Goto Y (December 2000). "Identification of the phospholipid-binding site of human beta(2)-glycoprotein I domain V by heteronuclear magnetic resonance". J. Mol. Biol. 304 (5): 927–39. doi:10.1006/jmbi.2000.4243. PMID 1112403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