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창 일반(유럽연합)
Advocate general (European Union)이 기사는 에 관한 시리즈의 일부분이다. |
![]() |
---|
![]() |
유럽연합(EU)에서 주창자(프랑스어: avocats générau, 단수: avocat général)는 유럽사법재판소(ECJ)에서 복무하는 고위 관료다.프랑스 통신원 du gouvern ]을 본떠서 만든 주창자 자리는 1951년 파리 조약 체결 당시 유럽 사법 재판소와 함께 만들어졌다.
주창자는 소송사건에 참여하여 당사자에게 질문할 수 있으며, 그 후에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단, 새로운 법의 논점이 제기되지 않는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다.그들의 의견이 있은 후에야 비로소 사법부가 판단을 내리기 시작한다.주창자의 의견은 ECJ나 회원국의 법원에 구속력이 없지만, 그들의 결론은 종종 고려되고 이 사건의 재판소의 판결을 암시한다.[1][2][3][4]
2020년 이후 6년 임기로 임명된 총서기는 11명이며, 이 중 5명은 EU 내 최대 회원국(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폴란드)에서 선출되고 나머지 6명은 다른 회원국 간에 선임된다.본인과 그 동료 변호사에게 사건을 배당하는 임무를 맡기고, 대법원 판례에 대한 사법적 검토와 관련된 일부 권한을 가진 제1대 주창자는 이 11명 중 3년 임기로 선출된다.특별변론관은 또한 법정에서 일하는 판사들 중 일반재판소 이전에 임명될 수 있지만, 이 가능성은 현재 사용되지 않는다.
법적근거
파리 조약 체결로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즉 "정의의 법정"이라는 사법 기구가 설립되었다.프랑스 대표단은 서명까지 이어진 협상 과정에서 이 사건에 대한 반대나 의견의 일치를 볼 가능성에 분개했다.[4]따라서 나중에 법원에 임명된 첫 번째 주창자가 될 대표단의 일부인 Maurice Lagrange는 그러한 견해를 주창하는 주창자가 제시할 것을 제안했다.[5] 주창자는 프랑스 통신원 du gouvern[ fr][2009년 이후 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6][7][8]그 통신원은 최고 행정법원인 콩세일 데타에 법률 자문을 제공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이 비전은 1951년에 서명한 대로 법원 법령에 관한 의정서에서 시행되었고 그 이후로 사실상 그대로 유지되어 왔다.
구성
현재 유럽연합 조약(TEU) 제19조 및 유럽연합의 기능에 관한 조약(TFEU) 제252조의 규정에 따르면 유럽사법재판소도 27명(회원국당 1명)을 제외한 11명의 주창자를 두고 있다.[9][10]만장일치로 행동한 유럽 이사회는 ECJ가 요청하면 이 숫자를 늘릴 수 있다.[11]
대법원이 구성되자 두 명의 주창자를 임명하기로 결정되었는데, 한 명은 독일에서, 다른 한 명은 프랑스에서 임명되었다.영국과 이탈리아는 1973년에 가입했고 스페인은 1995년[12], 폴란드는 2013년에 가입했다.[13]영국이 2020년에 유럽연합을 탈퇴했기 때문에, 현재 5개의 회원국(가장 인구가 많은 국가)이 그들 자신의 지지자 총장을 임명할 자격이 있다.[10]다른 회원국들은 순환적으로 지지자를 임명한다(1981–1986년 1개, 1986–1995년 2개, 1995–2000년 4개, 2000–2015년 3개, 2015–2020년 5개, 2020년 이후 6개).[4][12][13]각각의 옹호자 장군이었고, 징계 해임이나 사퇸지 한학기 동안 이동식 것은 아니다;[8] 하지만, 나라에서 온 상임 위원 없이 인사의 회전 성질을 볼 때로 재임명될 수 있는 6년 임기, 이러한 확장 효과적으로 자신의 지지자를 5개 국가를 g. 제한된다en임기 종료 전에 자리를 비울 경우, 대개 같은 국가에서 임기의 남은 기간 동안 대체자가 임명된다.
1974년 이후, 최초의 지지 장성은 그러한 자격으로 복무하는 사람들 중에서 선출되었다.[14]1979년 이후 그들은 동료 옹호자들 사이에 그 사건들을 배포하는 일을 맡고 있다.[4]창간 후 30년 동안 각 주창자들 사이에서 그 위치가 순환되었지만,[7] 멜치오르 와첼렛은 처음으로 두 번 이상 선출되었고, 연임한 최초의 사람이었다.2019년 11월에는 절차규칙이 변경되어 3년으로 기한을 늘렸다.[15]새로운 규정에 의한 첫 선거는 2021년 10월에 일어났는데, 그 때 이미 3년 동안 그 직책을 맡고 있던 마키에 스즈푸나르가 선출되어 3년을 더 복무하게 되었다.[16]그러나 제1대 주창자는 다른 주창자보다 위에 있지 않으며 대부분의 경우 다른 10명의 동료들과 같은 위치에 있다.[8]
임용기준
옹호자들은 (ECJ 법 제2조의4 및 TFEU 제253조에 언급된) 판사와 임명 기준을 공유한다.후보자를 가려내고 직무적합성에 대한 구속력이 없는 의견을 내는 특별위원회(이하 "255조"라 한다)와 협의를 거쳐 국가정부 상호협의를 거쳐 임명한다.[17][a]주창자는 최고 국립법원에서 근무할 수 있는 자격이 있거나 "인정된 역량 있는" 변호사가 되어야 하며 독립성을 보여야 한다.법관들처럼, 옹호론자들은 취임 선서를 하고 일반적으로 법적인 박해로부터 면제된다.그들은 정치적 또는 행정적 사무소를 보유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으며 유럽 이사회가 면제를 허가하기로 결정한 경우에만 사법 재판소에서 그것 이외의 직업을 가질 수 있다.
절차 및 할당
ECJ 전 사례의 절차는 ECJ 회장과 제1대 주창자가 각각 수행하는 책임 있는 판사-보고관과 주창자를 할당하는 것이다.[4][9]일반적으로 제1대 주창자는 사건 배당 방식에 대해 전적인 재량권을 가지고 있지만, 몇 가지 비공식적인 규칙이 그 과정을 안내한다.[8]예를 들어, 특정 옹호자가 특정 광범위한 주제에서 전문화하는 약정은 종종 피하여 다른 관점에서 사건에 접근하여 법원이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더 많은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그러나 이 규칙은 엄격히 지켜지지 않으며, 특히 주창자가 특정 주제를 광범위하게 다루고 있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7][8]또한 제1대 주창자가 주창자 출신인 회원국이 당사자인 사건에 주창자를 배정하지 않는 것이 관례다.그 가이드라인에서 벗어나는 것은 논란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18]
역사적으로 모든 경우 지지자 장군의 의견을 듣고;그 조약은 만나서 반가워의 삶에 2003년에 처음 왔지만, 규칙은 사건이 법의 어떤 새로운 지점(2015년, 최근에 수치를 사용할 수 있으면 그 소송 사건의 43%정도, 이 이전의 추산 30%53%에 이르는 일이야)[19][20]번째를 하고 있다며 소개되었다.eadvoca장군의 의견은 필요하지 않다. 이 경우 법원은 주창자와 상의하고, 만약 그들이 동의할 경우, 법원의 판결만 내려진다.[21]그러나 그 사건이 그랜드 챔버에 올 때는 언제나 그런 의견을 수반한다.[20]변론총장은 구두변론 요청이 있을 경우 의견서를 여러 차례 제출할 의무가 있어, 그 중 한 경우인 벨기에 위원회 대 벨기에 폐기물(벨기에 폐기물)에서 세 가지 의견이 발표되었지만,[7] 두 번 이상 변론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드물다.[4]
ECJ 법령 제20조에 따르면, 당사자와의 상호 작용 중에 지명된 주창자가 참석한다.모든 주창자는 ECJ가 의견을 전달할 때 판결문 사전 사본을 추가로 받아 비공개 세션에 참여할 수 있지만, 판사와는 달리 법원의 심의 과정에 참여하지 않는다.[8]
주창자의 의견
Takis Trimidas에 따르면, 옹호하는 장군은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 봉사한다.[7]주창자는 재판소를 위한 사건 준비를 돕는다.더욱이, 그들의 의견은 제시된 법적 요점뿐만 아니라 기존의 판례법에 대한 연구를 제공하는 동시에 제시된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 제안된 해결책과 논리적 추론을 제공한다.[1]
프랑스 사법 담론의 유산인 간결하고 추상적인 경향이 있는 ECJ의 판단과는 달리,[6] 주창자의 의견은 이러한 기준에 부합할 필요가 없으며, 사실상 주창자의 일반적인 바람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22]역사적으로, 특히 1980년대까지, 옹호론자들의 의견은 ECJ의 사법 해석에 밀접하게 따랐지만, 그 이후로, 판결은 그들에게 다소 경건하지 않게 되었다.[5]
비록 주문은 통역 서비스의 작업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 그들은 이제는 점점 더 하나는 5이른바"피벗 언어",:프랑스어, 영어, 독일어, 스페인어와 이탈리아어, 그리고 이 광고의 초안을 잡고 있는 의견들이 법무관 장군(어떤 유럽 연합의 24공식 언어의)[4]의 네이티브 언어로 작성할 수 있다.voc일반적으로는 특히 그들 중 처음 두 곳에 쓰도록 권장된다.[23]장군의 제출은 필요한 경우 ECJ의 작동 언어인 프랑스어로 번역된다.[24]ECJ의 판단은 재판관 보고자와 그의 레페어드렌더(경사)가 절차의 언어를 이해해야 일부 준비가 가능하지만, 옹호자의 의견을 받은 후에야 초안을 작성한다.[24]
법무법원은 주창자의 의견에 구속되지 않으며 심지어 그것들을 다룰 필요도 없다.실제로 2004~2005년 재판에서는 주창자의[18] 의견을 인용한 판결이 39%(2017년 46% 안팎)에 그쳤다.[25]그러나 주창자의 의견은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1][2]양적 연구는 그 개념을 뒷받침하는 것 같다.2017년 조사된 109건의 판결 중 64%가 판결에 원칙적으로 동의했고, 나머지 9%는 일부에서만 동의했으며, 69%의 경우 법률 출처의 해석에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25]무효화만을 분석한 또 다른 연구에서는 ECJ가 인과적 추론을 하지 않도록 주의를 주었지만 반대인 상황이 사실인 경우에 비해 옹호자가 지지 의사를 표시할 경우 행동의 일부나 전체 행동을 중지할 가능성이 67%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26]
ECJ의 옹호자 목록
주: 현재 옹호론자들은 대담하다. 그들의 조건의 예상 끝은 이탤릭체로 언급된다.
나라 | 성과 이름 | 근속년수 | ||
---|---|---|---|---|
시작 | 끝 | 애즈 퍼스트 | ||
![]() | 모리스 라그랑주 | 1952 | 1964 | |
![]() | 카를 로메르 | 1953 | 1973 | |
![]() | 조셉 갠드 | 1964 | 1970 | |
![]() | 알랭 루이 두틸레 데 라모테 | 1970 | 1972 | |
![]() | 앙리 마야스 | 1972 | 1981 | 1975–1976 |
![]() | 알베르토 트라부치 | 1973 | 1976 | 1974–1975 |
![]() | 장피에르 워너 | 1973 | 1981 | 1976–1977 1979–1980 |
![]() | 게르하르트 레이슐 | 1973 | 1984 | 1977–1978 1980–1981 |
![]() | 프란체스코 카포토르티 | 1976 | 1982 | 1978–1979 1981–1982 |
![]() | 고든 슬라이언 | 1981 | 1988 | 1983–1984 |
![]() | 시모네 로제스 | 1981 | 1984 | 1982–1983 |
![]() | 피터 버로렌 반 테마트 | 1981 | 1986 | 1984–1985 |
![]() | 주세페 페데리코 만치니 | 1982 | 1988 | 1985–1986 |
![]() | 카를 오토 렌츠 | 1984 | 1997 | 1986–1987 1992–1993 |
![]() | 마르코 다르몬 | 1984 | 1994 | 1987–1988 1993–1994 |
![]() | 장 미초 | 1986 | 1991 | 1988–1989 |
![]() | 호세 루이스 다 크루즈 빌라사 | 1986 | 1988 | |
![]() | 발터 판 게르벤 | 1988 | 1994 | 1989–1990 |
![]() | 프랜시스 제프리 제이콥스 | 1988 | 2006 | 1990–1991 1994–1995 |
![]() | 주세페 테사우로 | 1988 | 1998 | 1991–1992 1995–1996 |
![]() | 클로스 크리스티안 굴만 | 1991 | 1994 | |
![]() | 조르주 코스마스 | 1994 | 2000 | 1997–1998 |
![]() | 마이클 벤디크 엘머 | 1994 | 1997 | |
![]() | 필리프 레거 | 1994 | 2006 | 1998–1999 |
![]() | 안토니오 마리오 라 페르골라 | 1995 | 1999 | 1996–1997 |
![]() | 니알 페넬리 | 1995 | 2000 | 1999–2000 |
![]() | 다마소 루이즈자라보 콜로머 | 1995 | 2009 | 2000–2001 |
![]() | 지그버트 앨버트 | 1997 | 2003 | 2001–2002 |
![]() | 장 미초 | 1997 | 2003 | 2002–2003 |
![]() | 안토니오 사기오 | 1998 | 2000 | |
![]() | 안토니오 티자노 | 2000 | 2006 | 2003–2004 |
![]() | 애드 겔호드 | 2000 | 2006 | 2004–2005 |
![]() | 크리스틴 스틱스하클 | 2000 | 2006 | 2005–2006 |
![]() | 줄리아네 코콧 | 2003 | 2027 | 2006–2007 |
![]() | 미겔 푸아레스 마두로 | 2003 | 2009 | 2007–2008 |
![]() | 엘리너 샤프스턴 | 2006 | 2020 | 2008–2009 |
![]() | 파올로 멘고찌 | 2006 | 2018 | 2009–2010 |
![]() | 이브 봇 | 2006 | 2019 | 2010–2011 |
![]() | 얀 마작 | 2006 | 2012 | 2011–2012 |
![]() | 베리카 트르스텐작 | 2006 | 2012 | |
![]() | 니일로 예스킨렌 | 2009 | 2015 | 2012–2013 |
![]() | 페드로 크루즈 빌랄론 | 2009 | 2015 | 2013–2014 |
![]() | 멜치오르 와첼렛 | 2012 | 2018 | 2014–2018 |
![]() | 닐스 월 | 2012 | 2018 | |
![]() | 마키에 스즈푸나르 | 2013 | 2024 | 2018–2024 |
![]() | 미할 보벡 | 2015 | 2021 | |
![]() | 헨리크 수그망스가르드 외에 | 2015 | 2021 | |
![]() | 마누엘 캄포스 산체스 보르도나 | 2015 | 2027 | |
![]() | 에브게니 탄체프 | 2016 | 2021 | |
![]() | 제라드 호건 | 2018 | 2021 | |
![]() | 조반니 피트루젤라 | 2018 | 2024 | |
![]() | 프리이트 피카메에 | 2019 | 2025 | |
![]() | 아타나시오스 란토스 | 2020 | 2027 | |
![]() | 장 리처드 드 라 투어 | 2020 | 2024 | |
![]() | 앤서니 콜린스 | 2021 | 2024 | |
![]() | 라일라 메디나 | 2021 | 2027 | |
![]() | 니콜라스 에밀리우 | 2021 | 2027 | |
![]() | 타마라치아페타 | 2021 | 2027 |
제너럴 코트
일반 재판소에서는 유럽 사법 재판소와 달리 특별히 지정된 옹호론자가 없으며, ECJ에 재직하는 지지자들은 일반 재판소의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27]다만, 「일반법원 절차규칙」 제3조에 따르면, 대통령·부원장·총법원장이 아닌 법관에게는 ECJ와 유사한 절차·기능·임무를 가지고 특정 사건에 대한 변호인의 역할을 요구할 수 있다.이들 판사는 유럽연합(EU)의 고등법원 재판부와 마찬가지로 사건의 판결에 관여하지 않고(법정법률 제49조) 사건조사와 당사자 심문에 참여할 수 있다.그러나 실제로, 일반 법원은 더 이상 그 힘을 사용하지 않는다.[27]
사실은 옹호론자들이 ECJ는 문제의 의견을 일반 일반 법원 앞의 경우에는 없는, 첫번째 지지자 장군조 62명이 규정은 ECJ(Réexamen 프랑스어로)[28]기준에 해당 cas 종합 법원의 결정 이후 한달의 기간 내에 적절한 요청을 제기한 특별한 검토 절차를 촉발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e현장 흙ey는 일반 법원의 판결은 "연합법의 일관성이 영향을 받는 것"의 위험성이 높다고 믿는다.이 절차는 2021년 10월 현재 16차례 진행됐으며 8건이 심의 단계로 진행됐다.[4]
메모들
- ^ 비록 공식적으로 구속력이 없지만, 그 의견들은 지금까지 주목되어 왔고, 덤롭스키 등이 말하듯이, 사실상의 구속력이 있다.
외부 링크
- 파리 조약(프랑스어)에 부속된 원래의 법원 법령에 관한 조약의 관련 조항
- 유럽연합(EU) 사법재판소 법령(2016년 8월 기준)
- 일반법원의 절차규칙(2015년 4월 기준)
참조
- ^ a b c Właź, Aureliusz (2021-10-10). "Instytucje Unii Europejskiej" (PDF) (in Polish). p. 26.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18-11-04. Retrieved 2021-10-10.
- ^ a b Koszowski, Maciej (2012). "Granice związania orzecznictwem Trybunału Sprawiedliwości Unii Europejskiej". In Grochalski, Stefan Marek (ed.). Granice państwa jako granice jurysdykcji w Unii Europejskiej (in Polish). Dąbrowa Górnicza: Wyższa Szkoła Bankowa. pp. 38, 46–47. ISBN 978-83-62897-26-1.
- ^ O'Leary, Naomi. "Irish judge appointed as advocate general to Courts of Justice of EU". The Irish Times. Retrieved 2021-10-10.
- ^ a b c d e f g h Mańko, Rafał (October 2019). "Role of Advocates General at the CJEU" (PDF). European Parliamentary Research Service.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20-09-27. Retrieved 2021-10-09.
- ^ a b Clément-Wilz, Laure (2012). "The Advocate General: A Key Actor of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Cambridge Yearbook of European Legal Studies. 14: 587–613. doi:10.5235/152888712805580435. ISSN 1528-8870. S2CID 155764411.
- ^ a b Turenne, Sophie (2012). "Advocate Generals' Opinions or Separate Opinions? Judicial Engagement in the CJEU". Cambridge Yearbook of European Legal Studies. 14: 723–744. doi:10.5235/152888712805580309. ISSN 1528-8870. S2CID 156034977.
- ^ a b c d e Tridimas, Takis (1997-12-01). "The Role of the Advocate General in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Law: Some Reflections". Common Market Law Review. 34 (6): 1349–1387. doi:10.1023/A:1018373914230.
- ^ a b c d e f Léger, Philippe (2004-03-21). "Law in the European Union: The role of the advocate general". The Journal of Legislative Studies. 10 (1): 1–8. doi:10.1080/1357233042000318855. ISSN 1357-2334. S2CID 154930018.
- ^ a b "Presentation".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6-03. Retrieved 2021-10-10.
- ^ a b "Consequences of the United Kingdom's withdrawal from the European Union for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PDF).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2020-01-31.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20-02-03. Retrieved 2021-10-10.
- ^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PDF). European Parliament.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09-04-07. Retrieved 2021-10-10.
- ^ a b "Joint declaration on Article 31 of the Decision adjusting the instruments concerning the accession of the new Member States to the European Union". 1995-01-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11-10. Retrieved 2021-10-10.
- ^ a b "Council Decision increasing the number of Advocates-General of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European Council. 2013-06-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10-11. Retrieved 2021-10-10.
- ^ "Court of Justice: Rules of Procedure".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74-12-2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10-11. Retrieved 2021-10-10.
- ^ "Amendments of the Rules of the Procedure of the Court of Justice". 2019-12-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10-11. Retrieved 2021-10-10.
- ^ "Mr Maciej Szpunar is elected First Advocate General of the Court of Justice" (PDF).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2021-10-08.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21-10-08. Retrieved 2021-10-10.
- ^ Dumbrovsky, Tomas; Petkova, Bilyana; Van Der Sluis, Marijn (2014). "Judicial appointments : the article 255 TFEU advisory panel and selection procedures in the Member States". Common Market Law Review. 51: 455–482. ISSN 0165-0750.
- ^ a b Ritter, Cyril (2006-03-29). "A New Look at the Role and Impact of Advocates-General – Collectively and Individually". Columbia Journal of European Law. Rochester, NY. 12 (3). SSRN 892970 – via SSRN.
- ^ "Annual Report 2015: Judicial Activity" (PDF).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August 2016.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16-09-24. Retrieved 2021-10-10.
- ^ a b Bobek, Michal (2015).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In Arnull, Anthony; Chalmers, Damian (eds.). The Oxford handbook of European Union law (1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153–177. ISBN 978-0-19-967264-6. OCLC 918968460.
{{cite book}}
: CS1 maint: 날짜 및 연도(링크) - ^ Sozański, Jarosław (2010). Trybunał Sprawiedliwości (in Polish). Warsaw-Poznań: Polskie Wydawnictwo Prawnicze „Iuris”. p. 208. ISBN 978-83-89363-82-4.
- ^ Kulinich, Iana (2020). "SOME REMARKS ON THE LEGAL INSTITUTION OF THE ADVOCATE GENERAL". European Integration Studies. 16 (1): 81–90. ISSN 1588-6735.
- ^ McAuliffe, Karen (2012-03-08). "Language and law in the European Union: the multilingual jurisprudence of the ECJ". In Solan, Lawrence M.; Tiersma, Peter M. (eds.). The Oxford Handbook of Language and Law (1 ed.). Oxford University Press. p. 208. doi:10.1093/oxfordhb/9780199572120.001.0001. ISBN 978-0-19-957212-0.
- ^ a b McAuliffe, Karen (2017), Nicola, Fernanda; Davies, Bill (eds.), "Behind the Scenes at the Court of Justice: Drafting EU Law Stories", EU Law Stori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35–57, doi:10.1017/9781316340479.003, ISBN 978-1-316-34047-9, retrieved 2021-10-10
- ^ a b Šadl, Urška; Sankari, Suvi (2017-01-01). "The Elusive Influence of the Advocate General on the Court of Justice: The Case of European Citizenship". Yearbook of European Law. 36: 421–441. doi:10.1093/yel/yex001. ISSN 0263-3264.
- ^ Arrebola, Carlos; Mauricio, Ana Julia; Portilla, Héctor Jiménez (2016). "An Economic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he Advocate General on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PDF). Cambridge Journal of International and Comparative Law. 5: 82–112. doi:10.4337/cilj.2016.01.05. S2CID 146742530.
- ^ a b Wägenbaur, Bertrand (2013).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 commentary on statue [sic] and rules of procedure. München: C.H. Beck. pp. 510–511. ISBN 978-3-406-60325-9. OCLC 826895523.
- ^ "Review decisions – list of results". InfoCur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10-11. Retrieved 2021-10-11.
추가 읽기
- Burrows, Noreen; Greaves, Rosa (2007). The Advocate General and EC Law.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29900-3.
- Moser, Philip; Sawyer, Katrine (2008-01-01). Making Community Law: The Legacy of Advocate General Jacobs at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Edward Elgar Publishing. ISBN 978-1-84844-143-9.
- Bobek, Michal (2012). "A Fourth in the Court: Why Are There Advocates General in the Court of Justice?". Cambridge Yearbook of European Legal Studies. 14: 529–561. doi:10.5235/152888712805580516. ISSN 1528-8870. S2CID 154709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