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836A - Baby carrier using a magnetic type buckle and its wearing method - Google Patents

Baby carrier using a magnetic type buckle and its wea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836A
KR20180104836A KR1020170031620A KR20170031620A KR20180104836A KR 20180104836 A KR20180104836 A KR 20180104836A KR 1020170031620 A KR1020170031620 A KR 1020170031620A KR 20170031620 A KR20170031620 A KR 20170031620A KR 20180104836 A KR20180104836 A KR 20180104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baby
buckle
belt portion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6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9031B1 (en
Inventor
서정옥
Original Assignee
(주)에센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센루 filed Critical (주)에센루
Priority to KR1020170031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031B1/en
Priority to PCT/KR2017/008939 priority patent/WO2018169147A1/en
Publication of KR20180104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8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0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uck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sling using a magnetic buckle and a wea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by sling comprises: a pair of shoulder belt parts having a first length adjustable connection string formed at one end and having a first fixed-length fixing string formed at the other end; a waist belt part having one end fixed and coupled to each front end of the shoulder belt part, and having second and third length adjustable connection strings formed at both ends, respectively; a cover belt part having a front end fixed and coupled to the one end of the waist belt part, having a second fixing string formed at one en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ion string, and having a fourth connection string formed at the other en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fixed string; and a buckle including first and second bodies, and detachably coupling each of the shoulder, waist, and cover belt parts by mutual attachment/detachm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Description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 및 그 착용방법{Baby carrier using a magnetic type buckle and its wearing metho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band using a magnetic buckle,

본 발명은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 및 그 착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를 안을 시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면서 안정적으로 감싸 지지하는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 및 및 그 착용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band using a magnetic buckle and a method of wea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by band using a magnetic buckle which is easily and securely separated .

일반적으로, 아기띠는 아기를 안거나 업은 상태로 보호자의 신체에 밀착되도록 고정하는 기구를 의미하며, 아직 혼자서 걸을 수 없는 나이의 아기는 이동을 위하여 유모차에 탑승된 상태로 보호자와 함께 이동한다.Generally, a baby band means a device that fixes the baby in a state in which the baby is held or rai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caregiver, and a baby who can not walk alone can move with the caregiver while moving in the baby carriage.

유모차는 그 부피가 크기 때문에 유모차를 가지고 들어갈 수 없는 장소가 존재하므로, 유모차를 사용할 수 없을 때는 보호자가 아기를 안거나 업은 상태로 이동해야 한다.Since the stroller is bulky, there is a place where it is not possible to carry the stroller, so if the stroller can not be used, the caregiver should move the baby up or down.

이와 같이, 유모차를 사용할 수 없을 때에는 아기를 편하게 안거나 업기 위해 아기띠가 사용된다.Thus, when the stroller can not be used, the baby stroller is used to comfortably hold or lift the baby.

종래에는 아기띠가 보호자의 앞쪽으로 아기를 안은 상태에서 어깨에 걸칠 수 있는 띠 형상으로 구성되었다.Conventionally, a baby band is formed in a strip shape that can be worn on the shoulder while holding the baby in front of the guard.

이러한 아기띠는 아기의 체형을 고려하여 아기의 몸을 인체공학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그 부피가 커지므로 휴대하는데 큰 불편이 있었다.Such a baby band is constructed so that the baby's body can be ergonomically wrapped in consideration of the baby's body shape.

즉, 유모차를 가지고 외출을 할 경우, 아기를 안거나 업을 때의 사용을 위해서 함께 가지고 다니기에는 그 부피가 매우 크기 때문에, 처음부터 아기띠를 사용하여 아기를 업거나 안는 상태로 외출을 하거나 또는 큰 부피의 아기띠를 함께 가지고 이동해야 하므로 취급이 불편했다.In other words, when going out with a baby carriage, it is very bulky to carry the baby together for the use at the time of holding the baby up, so if the baby is used from the beginning, Handling was inconvenient because a large bulky baby band had to be moved with it.

이를 위해,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7528호가 제시되었다.For this purpos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67528 has been proposed in the past.

하지만, 종래 실용신안의 아기띠는, 아기띠 본체와 함께 "X" 형태로 착용되는 보조 아기띠 본체를 통해 구성이 간단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지만, 아기띠 본체 및 보조 아기띠 본체를 사용자의 체형에 대응하도록 조절할 수 없으므로 이동 중에 사용자의 어깨에서 이탈 및 이격가능하여 아기에게 위험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었다.However, the baby band of the conventional utility model has a simple structure through the auxiliary baby band body worn in the "X" form together with the baby band body, and at the same time the user can easily wear the baby band. Since the auxiliary baby band body can not be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user's body shape,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separate from the user's shoulder during movement, thereby causing a dangerous situation to the baby.

또한, 어깨로만 아기를 안을 수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에 아기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없으므로 외출 시 아기가 편안하게 쉬는 공간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baby can be held only by the shoulder, the baby can not be stably placed on the user's body.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providing a comfortable space for the baby when going ou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를 안을 시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면서 안정적으로 감싸 지지하는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 및 및 그 착용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by band and a method of wearing the baby band using the magnetic buckle which is easily and securely separated and fastened when the baby is inside the bab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일단에 길이가 조절되는 제 1 연결끈이 형성되고, 타단에 길이가 고정되는 제 1 고정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어깨벨트부와 일단이 상기 어깨벨트부의 각 선단과 고정 결합되며, 양단에 길이가 조절되는 제 2 연결끈 및 제 3 연결끈이 각각 형성되는 허리벨트부와 선단이 상기 허리벨트부의 일단에 고정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제 1 연결끈과 탈착되는 제 2 고정끈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제 1 고정끈과 탈착되는 제 4 연결끈이 형성되는 커버벨트부 및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의 상호 탈착에 의해 상기 어깨벨트부, 허리벨트부 및 커버벨트부가 개별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결속되기 위한 버클을 포함하되, 상기 버클의 제 1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자석과, 상기 제 1 자석의 상단에서 일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돌출부의 양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슬라이딩이 일방으로만 진행되기 위한 제 1 걸림턱부 및 상기 제 1 자석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슬라이딩이 일방으로만 진행되기 위한 제 1 걸림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클의 제 2 몸체는, 상기 제 2 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2 자석과, 상기 제 2 자석이 수용되도록 일정 깊이를 가진 채 상기 제 1 돌출부에 탈착되는 제 2 걸림홈부와, 상기 제 2 걸림홈부의 양 끝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 1 걸림턱부에 탈착되는 제 2 걸림턱부 및 상기 제 2 걸림홈부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걸림홈부에 탈착되는 제 2 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shoulder belt portions having a first connecting strap whose length is adjusted at one end and a first fixing strap whose length is fixed at the other end are formed, A waist belt portion having one end fixedly coupled to each end of the shoulder belt portion and having a second connecting cord and a third connecting cord each of which has a length adjusted at both ends thereof and a distal end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waist belt portion, And a fourth connecting cord to be detached from the first fixing strap is formed at the other end, and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And a buckle for releasably coupling the shoulder belt portion, the waist belt portion and the cover belt portion by mutual desorp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wherein the first body of the buckle includes a first body A first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magnet,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protrusion to allow the sliding to proceed only in one direction, A second magnet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body, and a second magnet disposed on an inner side of the second body, wherein the second magnet is disposed in the same line as the first magnet, A second engaging groove portion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projection with a predetermined depth to receive the magnet; a second engaging jaw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engaging groove portion and being detached from the first engaging jaw portion; And a second protruding portion which is arranged on the same line as the engaging groove portion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engaging groove por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어깨벨트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한 쌍의 어깨벨트부가 일정한 이격 거리를 유지한 채 상기 버클에 의해 상호 탈착되기 위한 제 5 연결끈 또는 제 3 고정끈이, 다른 하나에는 제 3 고정끈 또는 제 5 연결끈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the pair of shoulder belt portions may be provided with a fifth connecting strap or a third fixing strap, which is detachable by the buckle while maintaining the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shoulder belts The other one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fixing strap or a fifth connecting strap.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의 각 일단에는 내측을 향해 형성된 홈이 구비되되, 상기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가 상호 결속된 경우, 상기 제 1 몸체의 홈에 일정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 2 몸체가 상기 제 1 몸체로부터 이격되어 일방으로만 슬라이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has grooves formed inward at one end thereof. Wh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mutually coupled, The second body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and slide only in one direc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의 홈은 상기 제 1 돌출부의 일단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 2 몸체의 홈은 상기 제 2 돌출부의 일단에서 연장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ove of the first body extends from on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groove of the second body extends from one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의 양단에는 상기 제 1 걸림턱부와 동일 선상에서 연장형성된 제 3 걸림턱부가, 상기 제 2 걸림홈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돌출부와 탈착되기 위한 체결구가 더 마련되며, 상기 체결구는 양 끝단이 서로를 향해 돌출형성되되, 제 1 돌출부와 일방으로만 탈착가능하게 결속되어 제 3 걸림턱부와 대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ngagement protrusio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protrusions so as to extend in the same line as the first engagement protrusions. Inside the second engagement recesses, And the fastener is protruded at both ends toward each other and can be detachably coupled with the first protrusion only in one direction to face the third fasten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탄발력을 통해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호 탈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otrusion can be desorbe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fasten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벨트부는, 상기 커버벨트부의 내측 방향으로 절개되어 아기의 팔을 수용하는 제 1 공간부 및 상기 제 1 공간부와 이격 거리를 가진 채 상기 커버벨트부의 내측 방향으로 절개되어 아기의 다리를 수용하는 제 2 공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belt portion includes a first space portion that is cut inwardly of the cover belt portion to receive a baby's arm, and a second space por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pace portion, And a second space portion that is incised in a direction of the first space and accommodates the legs of the bab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의 양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 1 몸체를 관통하는 한 쌍의 관통구가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관통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제 1 돌출구의 내측을 향해 형성된 개구홈이 더 포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through-hole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protrusion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body are provided, and the first body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through- The opening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protrusion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protrus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 착용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어깨 부위에 한 쌍의 어깨벨트부를, 허리 부위에 허리벨트부를 각각 착용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아기를 안은 후 감싸도록 버클을 통해 상기 어깨벨트부에 커버벨트부를 결속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가 버클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어깨벨트부 및 허리벨트부를 각각 결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버클은 상기 어깨벨트부, 허리벨트부 및 커버벨트부가 개별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결속되기 위한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버클의 제 1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자석과, 상기 제 1 자석의 상단에서 일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돌출부의 양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슬라이딩이 일방으로만 진행되기 위한 제 1 걸림턱부 및 상기 제 1 자석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슬라이딩이 일방으로만 진행되기 위한 제 1 걸림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클의 제 2 몸체는, 상기 제 2 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2 자석과, 상기 제 2 자석이 수용되도록 일정 깊이를 가진 채 상기 제 1 돌출부에 탈착되는 제 2 걸림홈부와, 상기 제 2 걸림홈부의 양 끝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 1 걸림턱부에 탈착되는 제 2 걸림턱부 및 상기 제 2 걸림홈부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걸림홈부에 탈착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wearing a baby band using a magnetic buckle, comprising: wearing a pair of shoulder belts at the shoulder and waist belts at the waist respectively; Binding the cover belt portion to the shoulder belt portion via a buckle and binding the pair of shoulder belt portions and the waist belt portion through a buckle, respectively, wherein the buckle includes the shoulder belt portion, And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for individually and releasably coupling the cover belt portion, wherein the first body of the buckle includes: a first magnet disposed inside the first body; A first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And a first engaging groove portion that is disposed in the same line as the first magnet and that allows the sliding to proceed only in one direction, wherein the second body of the buckle includes: a second magnet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body; A second engaging groove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engaging groove portion and being detached from the first engaging jaw portion; and a second engaging jaw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engaging groove portion, And a second protrusion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second latching groove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latching groove.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어깨벨트부 및 커버벨트부의 각 선단이 허리벨트부의 일단에 고정 결합되어 일체를 이룸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아기가 안정적으로 안착가능하여 간편한 외출 시 안정성 및 실용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s of the pair of shoulder belt portions and the cover belt portion are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waist belt portion so that the baby can stably sit on the user's body, And practicality at the same time.

또한, 한 쌍의 어깨벨트부, 허리벨트부 및 커버벨트부의 개별적인 탈착 결속을 위한 버클이 자석력을 매개로 일방으로만 탈착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안착된 아기를 안정적으로 감싸 지지해줄 수 있기 때문에 탈착의 편의성 및 내구성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uckle for detachment and binding of the pair of shoulder belts, waist belts and cover belts individually is detachable only through the magnet force, the baby rested on the user's body can be stably wrapped It is possible to provide both desorption convenience and durability.

또한, 한 쌍의 어깨벨트부, 허리벨트부 및 커버벨트부의 개별적인 결속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사용자 및 아기의 신체에 맞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여 기능성 및 실용성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individual binding lengths of the pair of shoulder belt portions, the waist belt portion, and the cover belt portion are adjuste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hape to various forms suitable for the user and the baby body, thereby providing both functionality and practicality.

또한, 커버벨트부에는 제 1 공간부 및 제 2 공간부가 포함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안착된 아기의 팔 및 다리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주기 때문에 사용자와 아기의 일체화함에도 불구하고 아기의 행동이 보다 자유로운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are included in the cover belt portion, a space in which the baby's arms and legs seated on the user's body can move freely is secured, There is a more free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의 어깨벨트부 및 커버벨트부의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의 버클이 결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의 버클이 결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일측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의 버클이 결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다른 일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의 버클이 결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의 버클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의 버클이 탈착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band using a magnetic type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baby band using a magnetic type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eparated view of a shoulder belt portion and a cover belt portion of a baby band using a magnetic type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ckle of a baby band using a magnetic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 is a side view showing a buckle of a baby band using a magnetic type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b) is another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buckle of the baby band is bound by the magnetic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uckle of a baby band is bound by a magnetic type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buckle of a baby band using a magnetic type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IG.
8 is a view showing the principle of detachment of the buckle of the baby band using the magnetic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baby band using a magnetic type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is intended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e limited only by the terms of the appended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baby band using the magnetic type buck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의 어깨벨트부 및 커버벨트부의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인 바, 이를 바탕으로 설명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band using a magnetic type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baby band using a magnetic type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baby band using the magnetic type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houlder belt portion, and a cover bel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1000)는 어깨벨트부(1100), 허리벨트부(1300), 커버벨트부(1500) 및 버클(1700)을 포함한다.1 to 3, the baby band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houlder belt portion 1100, a waist belt portion 1300, a cover belt portion 1500, and a buckle 1700 .

어깨벨트부(1100)는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착용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써, 길이가 조절되는 제 1 연결끈(1130)이 일단에 형성되고, 길이가 고정되는 제 1 고정끈(1150)이 타단에 형성된다.The shoulder belt portion 1100 includes a pair of first and second fixing straps 1130 and 1150. The first fixing straps 1130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shoulder belt portion 1100 and have a length, Is formed at the other end.

이때, 한 쌍의 어깨벨트부(1100) 중 어느 하나에는, 한 쌍의 어깨벨트부(1100)가 일정한 이격 거리를 유지한 채 버클(1700)에 의해 상호 탈착되기 위한 제 5 연결끈(1170) 또는 제 3 고정끈(1190)이 더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of the pair of shoulder belt portions 1100 is provided with a fifth connecting strap 1170 for mutual detachment by the buckle 1700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shoulder belt portions 1100, Or a third fixing strap 1190 may be further provided.

한 쌍의 어깨벨트부(1100) 중 다른 하나에는 제 3 연결끈(1350) 또는 제 5 연결끈(1170)이 구비되어 탈착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다.The other one of the pair of shoulder belt portions 1100 may be detachably coupled with a third connection cord 1350 or a fifth connection cord 1170.

더욱이, 한 쌍의 어깨벨트부(110)에는 각각 제 5 연결끈(1170)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다양한 길이의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와 아기의 외출 및 이동 시에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pair of shoulder belt portions 110 are provided with the fifth connection straps 1170, various lengths can be expressed according to the body of the user, so that a sense of security can be provided when the user and the baby go out and move have.

어깨벨트부(1100)의 내부에는 아기의 하중에 의한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발생되는 가압력이 최소화되도록 충진재(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A filler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shoulder belt portion 1100 to minimize a pressing force generated on the shoulder portion of the user due to the load of the baby.

이러한 충진재는, 스펀지류 및 솜류 등의 충격 완화부재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작용하는 압박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어깨벨트부(1100)의 형상이 외압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Such a filler is provided as an impact mitigating member such as a sponge or a spatula so as to minimize the pressing force acting on the shoulder portion of the user and prevent the shape of the shoulder belt portion 1100 from being eas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

허리벨트부(1300)는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착용하는 것으로써, 일단이 어깨벨트부(1100)의 각 선단과 고정 결합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제 2 연결끈(1330) 및 제 3 연결끈(1350)이 양단에 각각 형성된다.The waist belt portion 1300 is worn on the user's waist so that the waist belt portion 1300 is fixed to each end of the shoulder belt portion 1100 at one end and has a second connecting cord 1330 and a third connecting cord 1350 are formed at both ends, respectively.

허리벨트부(1300)는 제 2 연결끈(1330) 및 제 3 연결끈(1350)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다양한 길이의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와 아기의 외출 이동 시에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Since the waist belt portion 1300 can express various lengths according to the body of the user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cord 1330 and the third connection cord 135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have.

허리벨트부(1300)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편안한 착용감을 유지하도록 충진재가 더 구비가능하며, 이러한 충진재로는 스펀지류 및 솜류 등의 충격 완화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Inside the waist belt portion 1300, a filler may be further provided to provide a comfortable fit for the user. The filler may be a shock-absorbing member such as a sponge or a spatula.

커버벨트부(1500)는 사용자로 하여금 아기를 안은 채 아기의 엉덩이 및 등 부위가 감싸지도록 착용하는 것으로써, 선단이 허리벨트부(1300)의 일단에 고정 결합된다.The cover belt portion 1500 is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waist belt portion 1300 by worn by the user so that the hip and back portion of the baby are wrapped while holding the baby.

커버벨트부(1500)는 일단에 제 1 연결끈(1130)과 탈착되는 제 2 고정끈(1530)이 형성되고, 타단에 제 1 고정끈(1150)과 탈착되는 제 4 연결끈(1550)이 형성된다.The cover belt unit 1500 includes a first fixing strap 1130 and a second fixing strap 1530 at one end and a fourth fixing strap 1150 at the other end and a fourth connecting strap 1550, .

이때, 커버벨트부(1500)의 양단에는 제 1 공간부(1570) 및 제 2 공간부(1590)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pace part 1570 and the second space part 1590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ver belt part 1500.

제 1 공간부(1570)는 커버벨트부(1500)의 내측 방향으로 절개되어 아기의 팔을 수용하기 때문에 아기의 팔이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와 아기 간의 유대감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first space 1570 is incised inward of the cover belt unit 1500 to accommodate the baby's arms, the arm of the baby can be freely moved, thereby maintaining the bond between the user and the baby.

제 2 공간부(1590)는 제 1 공간부(1570)와 이격 거리를 가진 채 커버벨트부(1500)의 내측 방향으로 절개되어 아기의 다리를 수용하기 때문에 아기의 다리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으므로 아기의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The second space 1590 is cut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cover belt unit 1500 with a distance from the first space 1570 to accommodate the legs of the baby so that the legs of the baby can freely mov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ody.

즉, 커버벨트부(1500)에는 제 1 공간부(1570) 및 제 2 공간부(1590)가 포함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안착된 아기의 팔 및 다리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주기 때문에 사용자와 아기의 일체화함에도 불구하고 아기의 행동을 보다 자유롭게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That is, since the cover belt portion 1500 includes the first space portion 1570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1590,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baby's arms and legs that are seated on the user's body can freely move, And even if the baby is integrated, it has the effect of keeping the baby's behavior more freely.

전술한 어깨벨트부(1100), 허리벨트부(1300) 및 커버벨트부(1500)는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크기에 따라 각각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사용자의 어깨 및 허리 부위에 각각 착용되어 고정가능하기 때문에 아기의 하중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여 돌볼 수 있는 편리성을 갖는다.The shoulder belt portion 1100, the waist belt portion 1300, and the cover belt portion 1500 described above are respectively adjustable in length according to various body sizes of the user, And has the convenience of being able to take care of flexibly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baby.

어깨벨트부(1100), 허리벨트부(1300) 및 커버벨트부(1500) 중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접하는 각 내측에는 사용자의 장시간 착용에 따라 발생가능한 땀 및 습기를 신속하게 건조시키는 통기성을 발휘하기 위한 매쉬원단부재(미도시)가 더 구비가능하며,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실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제공가능한 원단부재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inside of each of the shoulder belt portion 1100, the waist belt portion 1300 and the cover belt portion 1500 which is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user's body exhibits breathability that promptly dries sweat and moisture that can be generated by wear of the user for a long time (Not show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variously as long as it is a fabric member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viding practicality and air permeability.

이때, 매쉬원단부재는 3D 에어 매쉬(3-demension air mesh)소재로 이루어진 원단류로써, 그물망 구조를 형성한 채 외부 압력 및 충격을 완화하거나 또는 공기의 순환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때문에 사용자 및 아기에게 편안함과 시원함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sh fabric member is a fabric flow made of a 3D air mesh (3-demension air mesh) material, which forms a mesh structure while relieving external pressure and impact, or keeping the air circulation force constant, Comfort and coolness at the same time.

버클(1700)은 연결구(미도시)를 통해 제 1 내지 5 연결끈(1130, 1330, 1350, 1550, 1170) 및 제 1 내지 3 고정끈(1150, 1530, 1190) 상에 각각 구비되고, 이를 통해, 어깨벨트부(1100), 허리벨트부(1300) 및 커버벨트부(1500)가 개별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결속시키며,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The buckle 1700 is provided on the first to fifth connection strings 1130, 1330, 1350, 1550, 1170 and the first to third fixing strings 1150, 1530, 1190 through connectors (not shown) The shoulder belt portion 1100, the waist belt portion 1300, and the cover belt portion 1500 are individually and releasably bound togeth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given later.

본 실시예에서는 아기띠(1000)를 통한 사용자 및 아기의 일체화를 위해, 어깨벨트부(1100)에는 제 1 연결끈(1130), 제 5 연결끈(1170), 제 1 고정끈(1150) 및 제 3 고정끈(1190)이, 허리벨트부(1300)에는 제 2 연결끈(1330) 및 제 3 연결끈(1350)이, 커버벨트부(1500)에는 제 4 연결끈(1550) 및 제 2 고정끈(1530)이 구비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및 아기의 신체에 따라 변형가능한 구성을 이루기 위해 구비된다면, 전술한 제 1 내지 5 연결끈(1130, 1330, 1350, 1550, 1170) 및 제 1 내지 3 고정끈(1150, 1530, 1190)이 어느 하나의 형식에 제한되지 않은 채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cord 1130, the fifth connection cord 1170, the first fixing strap 1150, and the second connection cord 1150 are formed on the shoulder belt portion 1100 for integration of the user and the baby through the baby band 1000, The second fixing straps 1330 and the third connecting straps 1350 are attached to the waist belt portion 1300 and the fourth connecting straps 1550 and 1550 are fixed to the cover belt portion 1500, 1330, 1350, 1550, and 1170 described above, if they are provided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and the baby's body, And the first to third fixing straps 1150, 1530, and 1190 may be variously arranged without being limited to any one type.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의 버클이 결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의 버클이 결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일측면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의 버클이 결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다른 일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의 버클이 결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의 버클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의 버클이 탈착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인 바, 이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단, 도 4 내지 도 7에서 버클의 구성을 이미 도시하였으므로, 도 8에서는 버클의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buckle of a baby band is fastened using a magnetic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a)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buckle of a baby band is fastened using a magnetic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buckle of a baby band using the magnetic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buckle of a baby band using the magnetic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buckle of the baby band is separated using the magnetic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showing the buckle of the baby band using the magnetic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made on the basis thereof. However, since the buckle structure is already shown in Figs. 4 to 7, a detailed illustration of the buckle is omitted in Fig.

도 4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버클(1700)은 제 1 몸체(1730) 및 제 2 몸체(175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 1 몸체(1730) 및 제 2 몸체(1750)의 상호 탈착에 의해 어깨벨트부(1100), 허리벨트부(1300) 및 커버벨트부(1500)가 개별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결속된다.4 to 8, the buckle 1700 includes a first body 1730 and a second body 1750. The buckle 1700 includes a first body 1730 and a second body 1750, The belt portion 1100, the waist belt portion 1300, and the cover belt portion 1500 are individually and releasably bound.

제 1 몸체(1730)는 제 1 자석(1731), 제 1 돌출부(1732), 제 1 걸림턱부(1733) 및 제 1 걸림홈부(1734)로 이루어진다.The first body 1730 includes a first magnet 1731, a first protrusion 1732, a first locking protrusion 1733, and a first locking recess 1734.

제 1 자석(1731)은 제 1 몸체(1730)의 내측 중심부에 배치되어 제 1 몸체(1730)의 외부에서 일단이 관찰가능하며, 자체 자석력을 통해 탈착가능한 작동이 진행되도록 구현한다.The first magnet 1731 is disposed at an inner center portion of the first body 1730 so that one end of the first magnet 1731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1730,

제 1 돌출부(1732)는 제 1 자석(1731)의 상단에 접하여 일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일단이 제 1 자석(1731)의 외형에 대응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큰 형상으로 배치되어 제 1 자석(1731)을 외부의 충격 및 간섭으로부터 보호한다.The first protrusion 1732 is protruded in one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first magnet 1731 and has one end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magnet 1731 or arranged in a relatively large shape, From external impacts and interference.

제 1 돌출부(1732)는 일단이 제 1 자석(1731)의 형상에 따라 구비가능하되, 타단이 일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제 1 몸체(1730)의 외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The first protrusion 1732 may have one en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magnet 1731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o be elongated from the first end and exten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730.

제 1 걸림턱부(1733)는 길게 형성된 제 1 돌출부(1732)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제 1 몸체(1730)의 내측 방향으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형성된 깊이를 통해 슬라이딩 작동이 일방으로만 진행되도록 걸림 역할을 한다.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733 is formed to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elongated first protrusion 1732 and to have a depth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730, It plays a role.

이때, 제 1 몸체(1730)의 내측으로는 일방으로만 슬라이딩 작동이 진행되기 위한 슬라이딩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sliding surface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body 1730 so that the sliding operation is performed only in one direction.

제 1 돌출부(1732)의 양단에는 제 1 걸림턱부(1733)와 동일 선상에서 연장형성된 제 3 걸림턱부(1738) 더 마련될 수 있다.At both ends of the first protrusion 1732, a third latching protrusion 1738 extending in the same line as the first latching protrusion 1733 may be further provided.

제 3 걸림턱부(1738)는 제 1 걸림턱부(1733)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제 1 걸림턱부(1733)가 상대적으로 낮게 배치됨에 따라 작은 두께를 갖는다.The third engaging jaw 1738 is formed to have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engaging jaw 1733 and has a small thickness as the first engaging jaw 1733 is disposed relatively low.

제 3 걸림턱부(1738)는 길게 형성된 제 1 돌출부(1732)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제 1 몸체(1730)의 내측 방향으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형성된 깊이를 통해 슬라이딩 작동이 일방으로만 진행되도록 걸림 역할을 한다.The third engaging jaw 1738 is formed to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elongated first protrusion 1732 and to have a depth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730, It plays a role.

제 3 걸림턱부(1738)는 제 1 돌출부(1732)의 양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제 1 몸체(1730)를 관통하는 한 쌍의 관통구(1736)와 연계된다.The third engaging jaw 1738 is connected to a pair of through-holes 1736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projection 1732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body 1730.

즉, 한 쌍의 관통구(1736)는 제 1 돌출부(1732)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며, 제 1 돌출부(1732)의 외형을 따라 형성되어 제 3 걸림턱부(1738)와 연계될 수 있다.That is, the pair of through-holes 1736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first protrusion 1732, and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protrusion 1732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stopping protrusion 1738 .

한 쌍의 관통구(1736) 사이에는 제 1 몸체(1730)의 외측에서 제 1 돌출구의 내측을 향해 형성된 개구홈(1737)이 더 형성될 수 있다.An opening groove 1737 formed outside the first body 1730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protrusion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pair of through-holes 1736.

제 1 돌출부(1732)의 주위에 한 쌍의 관통구(1736) 및 개구홈(1737)이 형성됨으로써, 제 1 몸체(1730)과 제 2 몸체(1750) 간에 지속적인 탈착 작동이 진행되더라도 제 1 돌출부(1732) 주위에 발생된 내압으로 인해 제 1 돌출부(1732)의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다.A pair of through holes 1736 and an opening groove 1737 are formed around the first protrusion 1732 so that even if the continuous detachment operation progresses between the first body 1730 and the second body 1750, The durability of the first protrusion 1732 can be maintained by the withstand pressure generated around the first protrusion 1732.

제 1 걸림홈부(1734)는 제 1 자석(1731)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슬라이딩 작동이 일방으로만 진행되도록 걸림 역할을 한다.The first engaging groove 1734 is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magnet 1731 so that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first engaging groove 1734 can be guided only in one direction.

이때, 제 1 걸림홈부(1734)의 내측에는 일방으로만 슬라이딩 작동이 진행되기 위한 슬라이딩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sliding surface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latching groove 1734 so that the sliding operation is performed only in one direction.

한편, 제 1 몸체(1730) 일단에는 제 1 돌출부(1732)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제 1 몸체(1730)의 내측을 향해 형성되는 홈(1735)이 구비된다.A groove 1735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1732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173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body 1730.

제 1 몸체(1730) 및 제 2 몸체(1750)가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속된 경우, 제 1 몸체(1730)의 홈(1735)에 일정 압력이 가해지면 제 2 몸체(1750)가 제 1 몸체(1730)로부터 이격되어 일방으로만 슬라이딩 작동을 구현할 수 있다.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groove 1735 of the first body 1730 and the second body 175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1750, 1730 so that the sliding operation can be realized only in one direction.

제 2 몸체(1750)는 제 2 자석(1751), 제 2 걸림홈부(1752), 제 2 걸림턱부(1753) 및 제 2 돌출부(1754)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body 1750 includes a second magnet 1751, a second locking groove portion 1752, a second locking protrusion 1753, and a second protrusion 1754.

제 2 자석(1751)은 제 2 몸체(1750)의 내측 중심부에 배치되며, 자체 자석력을 통해 탈착가능한 작동이 진행되도록 구현한다.The second magnet 1751 is disposed at the inner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1750, and is operated so that the detachable operation proceeds through its own magnet force.

제 2 걸림홈부(1752)는 제 2 자석(1751)이 수용되도록 일정 깊이를 가진 채 제 1 돌출부(1732)에 탈착되는 작동이 일방으로만 진행되도록 걸림 역할을 한다.The second engaging groove 1752 engages with the first protrusion 1732 so that the second magnet 1751 can be received and inserted into the first protrusion 1732 with a predetermined depth.

이때, 제 2 몸체(1750)의 내측에는 일방으로만 슬라이딩 작동이 진행되기 위한 슬라이딩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sliding surface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body 1750 so that the sliding operation is performed only in one direction.

제 2 걸림홈부(1752)는 제 1 자석(1731) 및 제 1 돌출부(1732)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제 2 몸체(1750)의 내측 방향으로 깊이를 가지며, 걸림 역할을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제 1 자석(1731) 및 제 1 돌출부(1732)의 형상에 따라 그 외형이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The second engaging groove 1752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irst magnet 1731 and the first protrusion 1732 and has a depth inward of the second body 1750. If the second engaging groove 1752 has a shape capable of retaining the engagement, 1 magnet 1731 and the first protrusion 1732, the outer shape thereof can be variously changed.

여기서, 제 2 걸림홈부(1752)의 내측에는 제 1 돌출부(1732)와 탈착되기 위한 체결구(1756)가 더 마련될 수 있다.Here, a first protrusion 1732 and a fastener 1756 for detachment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latching groove portion 1752.

체결구(1756)는 탄발력을 가진 채 제 2 걸림홈부(1752)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며, 제 2 걸림홈부(1752)의 형상에 대응하는 외형을 가진 채 제 2 자석(1751)과 제 2 걸림홈부(1752) 사이에 배치된다.The fastener 1756 is accommodated in a space formed inside the second engaging groove 1752 with an elastic force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cond engaging groove 1752 and has a second magnet 1751 And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engagement grooves 1752.

체결구(1756)는 그 양 끝단이 서로를 향해 돌출형성되며, 제 1 돌출부(1732)와 일방으로만 탈착가능하게 결속되어 제 3 걸림턱부(1738)와 대면할 수 있다.The fastening tool 1756 is protruded at both ends toward each other and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protrusion 1732 only in one direction to face the third stopping protrusion 1738.

이때, 제 1 몸체(1730)와 제 2 몸체(1750)가 상호 결합될 경우, 체결구(1756)의 양단이 탄발력에 의해 제 1 돌출부(1732)의 형상에 대응하여 벌어졌다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여 제 3 걸림턱부(1738)와 대면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first body 1730 and the second body 1750 are coupled to each other, both ends of the fastening hole 1756 are opened by the elastic for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projection 1732, And faces the third stopping portion 1738.

제 1 몸체(1730)와 제 2 몸체(1750)가 일방으로 상호 분리될 경우, 체결구(1756)는 제 1 돌출부(1732)의 외형을 따라 제 3 걸림턱부(1738)와 이격되며, 탄발력에 의해 제 1 돌출부(1732)의 형상에 대응하여 벌어졌다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여 제 1 돌출부(1732)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When the first body 1730 and the second body 175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fastening tool 1756 is separated from the third fastening protrusion 1738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protrusion 1732,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first projection 1732, and returns to the original shape and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first projection 1732. [

제 2 걸림턱부(1753)는 제 2 걸림홈부(1752)의 양 끝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제 1 걸림턱부(1733)에 탈착가능하게 결속되기 위한 걸림 역할을 한다.The second stopping protrusion 1753 extends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stopping groove 1752 and is engaged with the first stopping protrusion 1733 in a detachable manner.

제 2 돌출부(1754)는 제 2 걸림홈부(1752)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제 1 걸림홈부(1734)에 탈착가능하도록 일방으로 돌출형성된다.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1754 is formed on the same line as the second retaining groove 1752 and protrudes from the first retaining groove 1734 so as to be detachable.

한편, 제 1 몸체(1730) 및 제 2 몸체(1750)에는 각각 연결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body 1730 and the second body 1750 may each have a connector (not shown).

버클(1700)은 연결구를 통해 제 1 내지 5 연결끈(1130, 1330, 1350, 1550, 1170), 제 1 내지 3 고정끈(1150, 1530, 1190) 상에 배치되어 제 1 몸체(1730)와 제 2 몸체(1750)의 상호 탈착 작동을 토대로 하여 어깨벨트부(1100), 허리벨트부(1300) 및 커버벨트부(1500)가 개별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결속되도록 구현가능하다.The buckle 1700 is disposed on the first to fifth connecting straps 1130, 1330, 1350, 1550, 1170, the first to third fixing straps 1150, 1530, The shoulder belt portion 1100, the waist belt portion 1300, and the cover belt portion 1500 are individually and releasably bound to each other based on the mutual desorption operation of the second body 1750. [

또한, 제 1 몸체(1730) 및 제 2 몸체(1750)의 각 일단에는 내측을 향해 형성된 홈(1735, 1755)이 더 구비되되, 제 1 몸체(1730)의 홈(1735)이 제 1 돌출부(1732)의 일단에서 연장형성되고, 제 2 몸체(1750)의 홈(1755)이 제 2 돌출부(1754)의 일단에서 연장형성된다.Each of the first body 1730 and the second body 1750 has grooves 1735 and 1755 formed at one ends of the first body 1730 and the second body 1750, 1732 and the groove 1755 of the second body 1750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1754. [

즉, 제 1 몸체(1730) 및 제 2 몸체(1750)의 각 일단에 홈(1735, 1755)이 형성됨으로써, 제 1 몸체(1730) 및 제 2 몸체(1750)가 상호 결속된 경우, 1 몸체의 홈(1735) 또는 제 2 몸체(1750)의 홈(1755) 중 어느 하나에 일정 압력을 가하여 제 1 몸체(1730) 및 제 2 몸체(1750)가 상호 이격되어 일방으로만 슬라이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body 1730 and the second body 175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forming the grooves 1735 and 1755 at one ends of the first body 1730 and the second body 1750, The first body 1730 and the second body 175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guided to slide only in one direction by applying a certain pressure to the groove 1735 of the second body 1750 or the groove 1755 of the second body 1750 have.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몸체(1730) 및 제 2 몸체(1750)의 탈착 작동에 있어서, 제 1 몸체(1730)와 제 2 몸체(1750)는 상호 일방으로만 탈착가능한 결속 관계를 갖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몸체(1730)와 제 2 몸체(1750)가 상호 분리되는 경우에만 일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제 1 몸체(1730)와 제 2 몸체(1750)가 상호 결속되는 경우에는 제 1 몸체(1730)와 제 2 몸체(1750)가 상호 분리되는 일방의 역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결속되거나 또는 제 1 몸체(1730)와 제 2 몸체(1750)가 상호 분리되는 일방의 수직 방향으로 결속될 수 있다.The first body 1730 and the second body 1750 have a binding relationship capable of being detached only from one another in the detachment operation of the first body 1730 and the second body 17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body 1730 and the second body 1750 are slid only in a case where the first body 1730 and the second body 175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when the first body 1730 and the second body 1750 are bonded to each other, The first body 1730 and the second body 1750 may be slidably coupled in one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or the first body 1730 and the second body 1750 may be bound to one an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

이하, 전술한 아기띠의 구성을 바탕으로 하여 사용자가 아기띠를 착용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아기띠의 구성은 이미 전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wearing the baby band on the basi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aby band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since the structure of the baby band has already been described above, a specific illustration is omitte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baby band using a magnetic type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아기띠(1000)를 착용하여 아기와 함께 외출 및 이동을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user wears the baby band 1000 to go out and move with the baby.

이를 위해, 사용자는 어깨 부위에 한 쌍의 어깨벨트부(1100)를 착용하고, 허리 부위에 허리벨트부(1300)를 각각 착용한다.To this end, the wearer wears a pair of shoulder belt portions 1100 on the shoulder portion and wears the waist belt portions 1300 on the waist portion.

이때, 사용자는 한 쌍의 어깨벨트부(1100) 및 허리벨트부(1300)의 순으로 착용하거나 또는 허리벨트부(1300) 및 한 쌍의 어깨벨트부(1100)의 순으로 착용가능하며 어느 하나의 순서로 한정하진 않는다.At this time, the user wears the shoulder belt portion 1100 and the waist belt portion 1300 in that order, or the waist belt portion 1300 and the pair of shoulder belt portions 1100 in that order, And the like.

사용자는 한 쌍의 어깨벨트부(1100) 및 허리벨트부(1300)를 착용한 이후에 아기를 안은 후 감싸도록 버클(1700)을 통해 어깨벨트부(1100)에 커버벨트부(1500)를 결속시킨다.The user binds the cover belt portion 1500 to the shoulder belt portion 1100 through the buckle 1700 so as to wrap the baby after wearing the pair of shoulder belt portions 1100 and the waist belt portion 1300 .

이때, 커버벨트부(1500)는 아기의 엉덩이 및 등 부위를 감싸 지지하며, 제 1 공간부(1570)에 아기의 팔이, 제 2 공간부(1590)에는 아기의 다리가 수용되어 장시간 외출 시에 아기에게 전달되는 압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ver belt unit 1500 covers the hips and the back of the baby, the baby's arms are housed in the first space 1570, the baby's leg is housed in the second space 1590, The pressure transmitted to the baby can be minimized.

사용자의 전면에 아기가 안착된 후에는 사용자가 버클(1700)을 통해 한 쌍의 어깨벨트부(1100) 및 허리벨트부(1300)를 각각 결속시킨다.After the baby is seated on the front of the user, the user binds the pair of shoulder belt portions 1100 and the waist belt portion 1300 through the buckle 1700,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1000)는 버클(1700)을 통해 한 쌍의 어깨벨트부(1100) 및 허리벨트부(1300)가 결속된 채 허리벨트부(1300)와 각각 고정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기 때문에 사용자와 아기 간에 안정적인 일체화를 이룸과 동시에 사용자 및 아기의 신체에 따라 변형가능하기 때문에 편리성을 갖는다.The baby band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ixedly coupled to the waist belt portion 1300 with the pair of shoulder belt portions 1100 and the waist belt portion 1300 bound to each other through the buckle 1700,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stable integr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baby,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body of the user and the baby.

이때, 버클(1700)은 어깨벨트부(1100), 허리벨트부(1300) 및 커버벨트부(1500)가 개별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결속되기 위한 제 1 몸체(1730) 및 제 2 몸체(1750)로 이루어진다. The buckle 1700 includes a first body 1730 and a second body 1750 for detachably coupling the shoulder belt portion 1100, the waist belt portion 1300 and the cover belt portion 1500 individually .

버클(1700)의 제 1 몸체(1730)는, 제 1 몸체(173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자석(1731)과, 제 1 자석(1731)의 상단에서 일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제 1 돌출부(1732)와, 제 1 돌출부(1732)의 양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슬라이딩이 일방으로만 진행되기 위한 제 1 걸림턱부(1733) 및 제 1 자석(1731)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슬라이딩이 일방으로만 진행되기 위한 제 1 걸림홈부(17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ody 1730 of the buckle 1700 includes a first magnet 1731 disposed inside the first body 1730 and a first protrusion 1730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magnet 1731 1732 and a first engaging protrusion 1733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protrusion 1732 to allow the sliding to proceed only in one direction and a first magnet 1731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magnet 1731, The first engaging groove 1734 may be formed in the first engaging groove 1734.

버클(1700)의 제 2 몸체(1750)는, 제 2 몸체(175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2 자석(1751)과, 제 2 자석(1751)이 수용되도록 일정 깊이를 가진 채 제 1 돌출부(1732)에 탈착되는 제 2 걸림홈부(1752)와, 제 2 걸림홈부(1752)의 양 끝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제 1 걸림턱부(1733)에 탈착되는 제 2 걸림턱부(1753) 및 제 2 걸림홈부(1752)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제 1 걸림홈부(1734)에 탈착되는 제 2 돌출부(1754)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1750 of the buckle 1700 includes a second magnet 1751 disposed inside the second body 1750 and a first protrusion 171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to accommodate the second magnet 1751 A second engaging tongue 1753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engaging tongue 1752 to be detached from the first engaging jaw 1733 and a second engaging tongue 1753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engaging tongue 1752, And a second protrusion 1754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protrusion 1752 and detached from the first protrusion groove 1734.

즉, 버클(1700)이 자석력을 매개로 일방으로만 탈착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안착된 아기를 안정적으로 감싸 지지해줄 수 있기 때문에 탈착의 편의성 및 내구성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buckle 170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only by one force via the magnet force, the baby that is seated on the body of the user can be stably wrapped, thereby providing both convenience of attachment and durability.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1000)는, 한 쌍의 어깨벨트부(1100) 및 커버벨트부(1500)의 각 선단이 허리벨트부(1300)의 일단에 고정 결합되어 일체를 이룸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아기가 안정적으로 안착가능하여 간편한 외출 시 안정성 및 실용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효과를 갖는다.As a result, in the baby band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ends of the pair of shoulder belt portions 1100 and the cover belt portion 1500 are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waist belt portion 1300, The baby can be stably placed on the body of the user, so that it has the effect of satisfying stability and practicality at the time of going out easily.

또한, 한 쌍의 어깨벨트부(1100), 허리벨트부(1300) 및 커버벨트부(1500)의 개별적인 탈착 결속을 위한 버클(1700)이 자석력을 매개로 일방으로만 탈착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안착된 아기를 안정적으로 감싸 지지해줄 수 있기 때문에 탈착의 편의성 및 내구성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Since the pair of shoulder belt portions 1100, the waist belt portion 1300 and the buckle 1700 for detachable binding of the cover belt portion 1500 can be detached only by one force of the magnet force, , The baby can be stably wrapped around the user's body, so that both convenience and durability can be provided.

또한, 한 쌍의 어깨벨트부(1100), 허리벨트부(1300) 및 커버벨트부(1500)의 개별적인 결속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사용자 및 아기의 신체에 맞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여 기능성 및 실용성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individual binding lengths of the pair of shoulder belt portions 1100, the waist belt portion 1300, and the cover belt portion 1500 are adjusted, it is possible to deform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user's and the baby's body, Both can be provided.

또한, 커버벨트부(1500)에는 제 1 공간부(1570) 및 제 2 공간부(1590)가 포함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안착된 아기의 팔 및 다리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주기 때문에 사용자와 아기의 일체화함에도 불구하고 아기의 행동이 보다 자유로운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ver belt unit 1500 includes the first space 1570 and the second space 1590,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baby's arms and legs, which are seated on the user's body, can freely move, Even though the baby is integrated, the behavior of the baby is more fre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00: 아기띠 1100: 어깨벨트부
1130: 제 1 연결끈 1150: 제 1 고정끈
1170: 제 5 연결끈 1190: 제 3 고정끈
1300: 허리벨트부 1330: 제 2 연결끈
1350: 제 3 연결끈 1500: 커버벨트부
1530: 제 2 고정끈 1550: 제 4 연결끈
1570: 제 1 공간부 1590: 제 2 공간부
1700: 버클 1730: 제 1 몸체
1731: 제 1 자석 1732: 제 1 돌출부
1733: 제 1 걸림턱부 1734: 제 1 걸림홈부
1735, 1755: 홈 1736: 관통구
1737: 개구홈 1738: 제 3 걸림턱부
1750: 제 2 몸체 1751: 제 2 자석
1752: 제 2 걸림홈부 1753: 제 2 걸림턱부
1754: 제 2 돌출부 1756: 체결구
1000: baby band 1100: shoulder belt part
1130: first connection string 1150: first fixing string
1170: fifth connecting string 1190: third fixing string
1300 waist belt portion 1330 second connecting strap
1350: third connecting cord 1500: cover belt part
1530: second fixing cord 1550: fourth connection cord
1570: first space part 1590: second space part
1700: buckle 1730: first body
1731: first magnet 1732: first protrusion
1733: first engaging jaw 1734: first engaging groove
1735, 1755: groove 1736: through hole
1737: opening groove 1738: third engaging jaw
1750: second body 1751: second magnet
1752: second engaging groove portion 1753: second engaging jaw
1754: second projection 1756: fastener

Claims (9)

일단에 길이가 조절되는 제 1 연결끈이 형성되고, 타단에 길이가 고정되는 제 1 고정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어깨벨트부;
일단이 상기 어깨벨트부의 각 선단과 고정 결합되며, 양단에 길이가 조절되는 제 2 연결끈 및 제 3 연결끈이 각각 형성되는 허리벨트부;
선단이 상기 허리벨트부의 일단에 고정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제 1 연결끈과 탈착되는 제 2 고정끈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제 1 고정끈과 탈착되는 제 4 연결끈이 형성되는 커버벨트부; 및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의 상호 탈착에 의해 상기 어깨벨트부, 허리벨트부 및 커버벨트부가 개별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결속되기 위한 버클;을 포함하되,
상기 버클의 제 1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자석과, 상기 제 1 자석의 상단에서 일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돌출부의 양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슬라이딩이 일방으로만 진행되기 위한 제 1 걸림턱부 및 상기 제 1 자석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슬라이딩이 일방으로만 진행되기 위한 제 1 걸림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클의 제 2 몸체는,
상기 제 2 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2 자석과, 상기 제 2 자석이 수용되도록 일정 깊이를 가진 채 상기 제 1 돌출부에 탈착되는 제 2 걸림홈부와, 상기 제 2 걸림홈부의 양 끝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 1 걸림턱부에 탈착되는 제 2 걸림턱부 및 상기 제 2 걸림홈부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걸림홈부에 탈착되는 제 2 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
A pair of shoulder belt portions having a first connecting cord whose length is adjusted at one end and a first fixing strap whose length is fixed at the other end;
A waist belt portion having one end fixedly connected to each end of the shoulder belt portion and having a second connecting cord and a third connecting cord each having a length adjusted at both ends;
And a fourth connecting cor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cover belt unit, wherein the second fixing strap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ion cord at one end, ; And
A buckle for detachably coupling the shoulder belt portion, the waist belt portion, and the cover belt portion by mutual detachment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he buckle including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The first body of the buckle includes:
A first magnet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body,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magnet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on both ends of the first protrusion, A first engaging step and a first engaging groove part arranged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magnet to allow the sliding to proceed only in one direction,
The second body of the buckle includes:
A second magnet disposed inside the second body; a second engaging groove portion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projection with a predetermined depth to receive the second magnet; And a second protruding portion which is arranged on the same line as the second engaging groove portion and is detached from the first engaging groove portion. The baby band according to claim 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어깨벨트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한 쌍의 어깨벨트부가 일정한 이격 거리를 유지한 채 상기 버클에 의해 상호 탈착되기 위한 제 5 연결끈 또는 제 3 고정끈이, 다른 하나에는 제 3 고정끈 또는 제 5 연결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of the pair of shoulder belt portions is provided with a fifth connecting string or a third fixing strap for mutually desorbing by the buckl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shoulder belts, And a fifth strap or a fifth connecting strap is further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의 각 일단에는 내측을 향해 형성된 홈이 구비되되,
상기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가 상호 결속된 경우, 상기 제 1 몸체의 홈에 일정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 2 몸체가 상기 제 1 몸체로부터 이격되어 일방으로만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has grooves formed inwardly at one ends thereof,
Wherein wh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second body is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and is slid only in one direction when a certain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rst body. Used baby ban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의 홈은 상기 제 1 돌출부의 일단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 2 몸체의 홈은 상기 제 2 돌출부의 일단에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roove of the first body extends from on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groove of the second body extends from one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의 양단에는 상기 제 1 걸림턱부와 동일 선상에서 연장형성된 제 3 걸림턱부가, 상기 제 2 걸림홈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돌출부와 탈착되기 위한 체결구가 더 마련되며,
상기 체결구는 양 끝단이 서로를 향해 돌출형성되되, 제 1 돌출부와 일방으로만 탈착가능하게 결속되어 제 3 걸림턱부와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hird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both ends of the first protrusion to extend in the same line as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a fastener for detaching the first protrusion from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Wherein the fastener is protruded at both ends toward each other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protrusion only in one direction to face the third engaging jaw.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탄발력을 통해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호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is detached from the first protrusion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faste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벨트부는,
상기 커버벨트부의 내측 방향으로 절개되어 아기의 팔을 수용하는 제 1 공간부; 및
상기 제 1 공간부와 이격 거리를 가진 채 상기 커버벨트부의 내측 방향으로 절개되어 아기의 다리를 수용하는 제 2 공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belt portion
A first space portion that is cut inwardly of the cover belt portion to receive a baby's arm; And
A second space part which is cut inwardly of the cover belt part with a distance from the first space part to receive the baby's leg;
Further comprising: a magnetic band-like member attached to the magnet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의 양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 1 몸체를 관통하는 한 쌍의 관통구가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관통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제 1 돌출구의 내측을 향해 형성된 개구홈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air of through-hole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protrusion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body,
Further comprising an opening groov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through-holes, the opening groove formed in one side of the first body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protrusion.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 착용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어깨 부위에 한 쌍의 어깨벨트부를, 허리 부위에 허리벨트부를 각각 착용하는 단계;
사용자가 아기를 안은 후 감싸도록 버클을 통해 상기 어깨벨트부에 커버벨트부를 결속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가 버클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어깨벨트부 및 허리벨트부를 각각 결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버클은 상기 어깨벨트부, 허리벨트부 및 커버벨트부가 개별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결속되기 위한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버클의 제 1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자석과, 상기 제 1 자석의 상단에서 일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돌출부의 양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슬라이딩이 일방으로만 진행되기 위한 제 1 걸림턱부 및 상기 제 1 자석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슬라이딩이 일방으로만 진행되기 위한 제 1 걸림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클의 제 2 몸체는,
상기 제 2 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2 자석과, 상기 제 2 자석이 수용되도록 일정 깊이를 가진 채 상기 제 1 돌출부에 탈착되는 제 2 걸림홈부와, 상기 제 2 걸림홈부의 양 끝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 1 걸림턱부에 탈착되는 제 2 걸림턱부 및 상기 제 2 걸림홈부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걸림홈부에 탈착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 착용방법.
A method of wearing a baby band using a magnetic buckle,
The user wearing a pair of shoulder belts at the shoulder and waist belts at the waist respectively;
Binding the cover belt portion to the shoulder belt portion through a buckle so that the user holds the baby and then covers the baby; And
The user binding the pair of shoulder belt portions and the waist belt portion through the buckle, respectively,
Wherein the buckle includes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for detachably coupling the shoulder belt portion, the waist belt portion, and the cover belt portion individually,
The first body of the buckle includes:
A first magnet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body,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magnet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on both ends of the first protrusion, And a first engaging groove portion that is disposed in the same line as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first magnet to allow the sliding to proceed only in one direction,
The second body of the buckle includes:
A second magnet disposed inside the second body; a second engaging groove portion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projection with a predetermined depth to receive the second magnet; And a second protruding portion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second engaging groove portion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engaging groove portion, wherein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engaging jaw portion Way.
KR1020170031620A 2017-03-14 2017-03-14 Baby carrier using a magnetic type buckle KR1023490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620A KR102349031B1 (en) 2017-03-14 2017-03-14 Baby carrier using a magnetic type buckle
PCT/KR2017/008939 WO2018169147A1 (en) 2017-03-14 2017-08-17 Baby strap using magnetic buckle, and wear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620A KR102349031B1 (en) 2017-03-14 2017-03-14 Baby carrier using a magnetic type buck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836A true KR20180104836A (en) 2018-09-27
KR102349031B1 KR102349031B1 (en) 2022-01-10

Family

ID=6352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620A KR102349031B1 (en) 2017-03-14 2017-03-14 Baby carrier using a magnetic type buck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9031B1 (en)
WO (1) WO2018169147A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402B1 (en) * 2019-10-18 2020-07-03 대한민국 buoyant swordproof vest
CN112716675A (en) * 2019-10-28 2021-04-30 张基用 Head anteversion correcting device
KR102361407B1 (en) 2021-06-22 2022-02-14 장기용 Waerable belt
KR102361408B1 (en) 2021-06-22 2022-02-14 장기용 Air infusion device and device for supportting the waist comprising the same
WO2022149920A1 (en) * 2021-01-08 2022-07-14 (주)동인기연 Waist belt
CN114847620A (en) * 2022-06-25 2022-08-05 广东足迹鞋业有限公司 Case knapsack suitable for child daily use
KR20240009780A (en) * 2022-07-14 2024-01-23 이길봉 Variable width baby carri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0444B2 (en) * 2016-08-26 2022-09-13 Bean Ventures LLC Baby carrier
CN116101358A (en) * 2019-01-28 2023-05-12 纽维尔品牌日本合同会社 Child care implement with seat
CN115736440A (en) 2019-06-06 2023-03-07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Magnetic fastener
WO2022056585A1 (en) * 2020-09-15 2022-03-24 Magnettica Pty Ltd A magnetic fastening buckle
CN115670180A (en) * 2021-07-21 2023-02-03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Infant carrier
WO2023101460A1 (en) * 2021-12-01 2023-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Locking system and wearable device including same
KR20240040389A (en) * 2022-09-21 2024-03-28 아날로그플러스 주식회사 Magnetic buckle for helme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98227A1 (en) * 2009-01-23 2011-12-08 Fidlock Gmbh Closure Device for Connecting Two Parts
KR20130003372U (en) * 2011-11-29 2013-06-07 이유리 baby carrier
KR20140070778A (en) * 2012-11-27 2014-06-11 김관영 Baby carrier
KR20160047259A (en) * 2014-10-22 2016-05-02 주식회사 와이케이비앤씨 Baby carri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1045U (en) * 2011-07-29 2011-10-13 日本エイテックス株式会社 Baby carrier
SE538604C2 (en) * 2013-10-07 2016-09-27 BabyBjörn AB baby carrier
JP2017012498A (en) * 2015-07-01 2017-01-19 アイデス株式会社 Baby band
JP3208413U (en) * 2016-08-26 2017-01-12 アイデス株式会社 Lullab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98227A1 (en) * 2009-01-23 2011-12-08 Fidlock Gmbh Closure Device for Connecting Two Parts
KR20130003372U (en) * 2011-11-29 2013-06-07 이유리 baby carrier
KR20140070778A (en) * 2012-11-27 2014-06-11 김관영 Baby carrier
KR20160047259A (en) * 2014-10-22 2016-05-02 주식회사 와이케이비앤씨 Baby carrier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402B1 (en) * 2019-10-18 2020-07-03 대한민국 buoyant swordproof vest
CN112716675A (en) * 2019-10-28 2021-04-30 张基用 Head anteversion correcting device
KR102246852B1 (en) * 2019-10-28 2021-04-30 장기용 Corrective apparatus for forward head posture
US11648144B2 (en) 2019-10-28 2023-05-16 Ki Yong Chang Device for correcting forward head posture
WO2022149920A1 (en) * 2021-01-08 2022-07-14 (주)동인기연 Waist belt
KR102361407B1 (en) 2021-06-22 2022-02-14 장기용 Waerable belt
KR102361408B1 (en) 2021-06-22 2022-02-14 장기용 Air infusion device and device for supportting the waist comprising the same
CN114847620A (en) * 2022-06-25 2022-08-05 广东足迹鞋业有限公司 Case knapsack suitable for child daily use
KR20240009780A (en) * 2022-07-14 2024-01-23 이길봉 Variable width baby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69147A1 (en) 2018-09-20
KR102349031B1 (en) 202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4836A (en) Baby carrier using a magnetic type buckle and its wearing method
JP3210531U (en) Hip seat carrier set
KR200447518Y1 (en) Carrier for baby
KR101046634B1 (en) Baby bag combined with baby bag with waist bag
KR101812529B1 (en) Baby carrier having hip-seat
JP2021506370A (en) Baby carrier with adjustable head support and its buckle
JP2005131146A (en) Baby carrier
KR101453460B1 (en) Baby carrying-strap convertible into a hip seat
KR200479899Y1 (en) Band for protecting waist combined with cushion member
KR200467949Y1 (en) A waded baby wrapper having hip-seat
KR200480794Y1 (en) Hipseat with a portable bag
KR102072217B1 (en) Baby Carrier Having Desorption Able Shoulder Strap
KR20180028422A (en) Sitting chair for work
KR20190041209A (en) Baby carrier tool having rear baby carrier and front baby carrier
KR20150011217A (en) Baby carrier
KR200467950Y1 (en) A waded baby wrapper having hip-seat
KR101918822B1 (en) A baby warmer enabled to change positions of clamp belt
KR101170961B1 (en) industrial safetybelt
KR20160046224A (en) Baby carrier
KR102028090B1 (en) Baby carrier and using method for baby carrier
KR200461100Y1 (en) Body attaching type mouse pad
JP2000070079A (en) Nursing belt
KR20170051038A (en) Baby carrier
JP5969684B1 (en) Backpack for school bag
JP2014217452A (en) Knapsack bag with hugging str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