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879U - Socks with ballansing pads - Google Patents
Socks with ballansing pad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3879U KR20170003879U KR2020160002429U KR20160002429U KR20170003879U KR 20170003879 U KR20170003879 U KR 20170003879U KR 2020160002429 U KR2020160002429 U KR 2020160002429U KR 20160002429 U KR20160002429 U KR 20160002429U KR 20170003879 U KR20170003879 U KR 20170003879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lance pad
- balance
- pad
- foot
- s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2—Reinforc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1—Decoration; Marking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5—Hosiery made essentially of a multi-ply constru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7—Hosiery with an added sole, e.g. sole made of rubber or leather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2—Therapeutic us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균형패드가 구비된 양말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은, 발바닥의 용천혈 부위에 배치된 제 1 균형패드, 및 발바닥의 족궁과 재거돌기 하방 부위에 배치된 제 2 균형패드를 포함하되, 제 1 균형패드는, 중심부가 용천혈 부위를 지지 및 자극하여, 사용자의 전, 후 신체 균형을 보정하고, 제 2 균형패드는 발바닥의 족궁과 재거돌기 하방 부위를 지지하여, 사용자의 좌, 우 신체 균형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o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alance pad disposed on the back of the foot sole, and a second balance pad disposed on the foot of the foot, And a second balance pad for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foot and the lower part of the jiggle, so that the first balance pad can support the user's body, And corrects the left and right body balance of the user.
Description
본 고안은 균형패드가 구비된 양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k provided with a balance pad.
일반적으로, 신발에 포함되는 인솔은 땀의 흡수와 사용자가 보행시 신발이 지면에 닿을 경우, 인체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시켜주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어 왔다. In general, the insole included in the shoe has been provided for the purpose of absorbing sweat and mitigating the impact on the human body when the shoe reaches the ground when the user is walking.
그러나, 발바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많은 혈자리가 존재하며, 발바닥 각각의 부위는 신체의 건강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또한, 발뼈의 배열이 비정상적일 경우, 올바른 보행을 할 수 없으며, 신체 골격의 균형을 잃게 되어, 목, 허리, 및 어깨 등의 부위에 영향을 주어 통증을 호소하게 되고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However, as shown in Fig. 1, there are many hemispheres in the sole, and each of the sole regions is closely related to the health of the body. In addition, when the arrangement of the footbone is abnormal, it is impossible to perform a proper walking, and the balance of the body skeleton is lost, thereby affecting the neck, waist, shoulder and the like, causing pain and easily feeling fatigue.
따라서, 근래에는 신발에 포함되는 인솔의 기능이, 단순한 쿠션의 기능이 아닌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갖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Therefore, in recent years, the function of the insole included in the shoe has been developed not only as a function of a simple cushion but also in a direction having a function of improving the health of the user.
하지만, 기능성이 부족한 인솔이 구비된 신발을 착용하거나 신발을 착용하지 않은 실내에서 장시간 생활하는 사람들은 신체의 불균형으로 인한 피로감 또는 허리 및 척추의 통증 등을 호소하고 있다. However, those who live in a room that is not equipped with insoles or shoes that are not equipped with functional insoles are suffering from fatigue due to physical imbalance or back and spine pain.
따라서, 기능성이 부족한 인솔이 구비된 신발을 착용하거나 실내에서 장시간 생활하는 사람들을 위한 신체의 균형을 잡아주고,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켜 줄 수 있는 양말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ock which can balance the body for the people who wear shoes with insoles having insufficient function or live for a long time in the room, and can improve the health of the user.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1627호(고안의 명칭: 깔창이 구비된 양말)에는 양말의 바닥면에 쿠션을 갖는 패드부가 착설되되, 패드부는 네오프렌이 포함된 재질로 이루어지며, 패드부는 후단이 상향 돌출되어 양말의 후면에 착설된 발목보호부가 형성되어 있는 깔창이 구비된 양말을 개시하고 있다.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No. 10-1401627 (entitled Socks with Insole) is provided with a pad portion having a cushion on the bottom surface of a sock, the pad portion being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neoprene, And a rear end protruding upward to form an ankle protecting portion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sock.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말을 신고 장시간 생활하는 사용자를 위해, 신체의 균형을 잡아주는 기능이 구비된 균형패드를 포함하는 밸런싱 양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lancing sock including a balance pad having a function of balancing the body for a user who wears socks for a long period of tim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다만,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subjects,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not mentioned a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can be understood.
상술한 내용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균형패드가 구비된 양말은, 발바닥의 용천혈 부위에 배치된 제 1 균형패드, 및 발바닥의 족궁과 재거돌기 하방 부위에 배치된 제 2 균형패드를 포함하되, 제 1 균형패드는 용천혈 부위를 자극하고 지지하여, 사용자의 전, 후 신체 균형을 보정하고, 제 2 균형패드는 발바닥의 족궁과 재거돌기 하방 부위를 지지하여, 사용자의 좌, 우 신체 균형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technical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sock provided with the balance pa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alance pad disposed on the part of the foot of the foot, Wherein the first balance pad stimulates and supports the molar region and corrects the user's body balance before and after the second balance pad, and the second balance pad adjusts the lower portion of the crotch of the soles and the jiggle Thereby correcting the left and right body balance of the user.
전술한 본 고안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고안은 신체의 균형을 잡아주는 기능이 구비된 균형패드를 포함하는 밸런싱 양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of the above-mention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lancing sock including a balance pad provided with a function of balancing the body.
따라서, 양말을 착용한 사용자 신체의 전후 및 좌우 균형을 잡아주는 효과가 발휘된다. Therefore, the effect of catching the front, rear, and left and right of the user's body wearing socks is exerted.
또한, 용천혈이 자극되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효과가 발휘된다.In addition, the dragon blood is stimulated and the blood circulation is smoothly effected.
한편,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ffects at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that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r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possible.
도 1은 발 바닥의 각 부위와 관련된 신체 부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패드가 구비된 양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균형패드가 배치되는 발바닥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균형패드의 정면도 및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균형패드의 정면도 및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 1 균형패드, 제 2 균형패드 및 제 3 균형패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패드가 구비된 양말을 착용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1 shows the body parts associated with each part of the foot floor.
2 is a view showing a sock including a balance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the position of the sole on which the balance pad is dispos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balance pa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balance pa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irst balance pad, a second balance pad, and a third balance pad, which are integrally form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sock equipped with a balance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패드가 구비된 양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ock including a balance pa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패드가 구비된 양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균형패드가 배치되는 발바닥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균형패드 및 제 2 균형패드가 배치되는 발바닥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균형패드, 제 2 균형패드, 및 제 3 균형패드가 배치되는 발바닥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2 is a view showing a sock provided with a balance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position of a sole on which a balance pad is disp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sole on which the first balance pad and the second balance pad are disposed, and FIG. 3 (b) Fig. 5 is a view showing positions of the sole on which the first balance pad, the second balance pad, and the third balance pad are dispos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은 제 1 균형패드(100), 제 2 균형패드(200), 및 제 3 균형패드(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2 and 3, a so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예가 상술한 구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바닥의 특정 부위를 지압하거나 지지하는 복수의 균형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balance pads for supporting or supporting a specific region of the sole.
먼저, 제 1 균형패드는(100)는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의 용천혈 위치에 배치된다. 용천혈은 손가락으로 발바닥을 누르면 발바닥의 앞쪽에 깊은 주름이 생기는데 그 주름의 중심, 즉, 가장 주름진 깊은 곳에 위치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균형패드(100)는 용천혈의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용천혈을 자극시키고, 양말을 착용한 사용자의 전, 후 신체 균형을 보정한다. First, the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균형패드의 정면도 및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는 제 1 균형패드(100)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4의 (b), (c)는 제 1 균형패드(100)를 I-I 면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4 shows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balance pa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 4A shows a front view of the
또한, 도 4에, 제 1 균형패드(100)는 둥근 삼각형 모양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균형패드(100)는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4, the
도 4를 참조하면, 제 1 균형패드(100)는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그 두께가 감소하며, 제 1 균형패드(100)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중심부는 용천혈을 자극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thickness of the
이때, 제 1 균형패드(100)는 용천혈의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전, 후 신체 균형을 보정함과 동시에 용천혈을 자극시켜 사용자의 신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이어서, 도 3의 (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은 발바닥의 족궁과 재거돌기 하방 부위에 배치된 제 2 균형패드(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 (a), the so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여기서 족궁이란, 발바닥의 아치 부분으로서, 전신에 체중과 그 외에 발생하는 하중을 떠받치는 받침대 역할을 하며, 바닥으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한다. The footbath is the arch of the sole, which acts as a pedestal supporting the weight and other loads on the whole body, absorbing the impact from the floor.
이러한 족궁은 중량을 받으면 평평해지고, 중량을 받지 않을 경우 원래의 위치로 전환되는데, 걷는 자세에 따라 족궁이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무릎, 엉덩이, 골반, 척추 등에 충격을 전이시킬 수 있다.These footbaths are flattened when they are weighted, and when they are not weight-bearing, they are convert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Depending on the walking posture, there may be a change in the height of the footbaths or the lowering of the footbaths. Such changes may cause shocks to the knees, hips, pelvis, Can be transferred.
또한, 재거돌기(sustentaculum tali)란 발꿈치뼈(Calcaneus)의 안쪽돌기로, 거골(talus)이 내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재거돌기의 기능이 약해지면 평발(flat foot)이 되어 발이 안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은 제 2 균형패드(200)에 의해, 단순히 족궁만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재거돌기의 하방 부위부터 받쳐주어, 기울어진 뒤꿈치를 세워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좌, 우 균형을 조정할 수 있다.Also, sustentaculum tali is a protrusion of the inside of the heel bone (Calcaneus), which helps the talus not tilt inward. When the function of the jigger is weakened, it becomes a flat foot and the foot tilts inward. Accordingly, the so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pported by the
구체적으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균형패드(200)는 제 1 형상(200A) 또는 제 2 형상(200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은 제 1 형상의 제 2 균형패드(200A) 또는 제 2 형상의 제 2 균형패드(200B)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정상이거나X자형 다리일 경우, 제 1 형상의 제 2 균형패드(200A)가 족궁과 재거돌기가 있는 내측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발을 바깥쪽으로 자주 삐거나O자형 다리 또는 퇴행성 무릎관절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일 경우, 제 2 형상의 제 2 균형패드(200B)가 바깥쪽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은 좌,우를 바꿔서 착용하는 것이 가능 하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A, the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형상의 제 2 균형패드(200A) 및 제 2 형상의 균형패드(200B)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대칭적으로 내외측에 동시에 구비되어, 사용 가능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alance pad 200A of the first shape and the balance pad 200B of the second shape have the same shape and are symmetrically provided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simultaneously, .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은 뒤꿈치 외측부에 위치하는 제 3 균형패드(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3 (b), the so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따라서, 제 3 균형패드(300)에 의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을 착용한 사용자의 뒤꿈치의 외측부를 받쳐주어, 좌, 우 균형을 더욱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형상의 제 2 균형패드(200A)와 제 2 형상의 제 2 균형패드(200B)의 정면도 및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FIG. 5 shows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balance pad 200A of a first shape and a second balance pad 200B of a second shap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5의 (a)는 제 1 형상의 제 2 균형패드를 도시하고 있고, 도 5의 (b)는 제 2 형상의 제 2 균형패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의 (c) 및 (e) 는 도 5의 (a)를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5의 (d) 및 (f) 는 도 5의 (b)를 II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형상의 제 2 균형패드(200 A)는 발바닥의 내측 족궁과 재거돌기 하방 부위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형상의 제 2 균형패드(200 A)는 발바닥의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제 1 형상의 제 2 균형패드(200 A)는 내측 족궁 즉, 발바닥의 아치 부분이 가장 높은 부분이 가장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Figure 5 (a) shows a second balance pad of a first shape and Figure 5 (b) shows a second balance pad of a second shape. 5 (c) and 5 (e)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II-II in FIG. 5 (a), and FIG. 5 III-III. ≪ / RTI > Referring to FIG. 5, the second balance pad 200 A of the first shape may be formed to support the inward foot arch and the downward displacement region of the foot bridge. 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alance pad 200 A of the first shape may be increased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sole. More preferably, the second balance pad 200 A of the first shape may have the thickest portion of the medial side of the arch, that is, the highest portion of the arch.
한편, 제 3 균형패드(300)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뒤꿈치의 외측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3 균형패드(300)는 발바닥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제 1 균형패드(100), 제 2 균형패드(200) 및 제 3 균형패드(200)는 탄성을 지니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제 1 균형패드(100), 제 2 균형패드(200) 및 제 3 균형패드(200)는 제 1 패브릭 및 제 2 패브릭을 포함하며, 제 1 패브릭 및 제 2 패브릭 사이에 공기 또는 스폰지, 섬유 재질의 원단을 덧댄 후, 가장자리 부분을 재봉하여 제조할 수 있다. The
또는 실리콘, 라텍스, 고무, 폴리우레탄과 같은 고분자 합성 수지에 핫멜트 시트를 부착하여 고주파나 일반 열융착 방식으로, 양말에 접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Or by attaching a hot-melt sheet to a polymer synthetic resin such as silicone, latex, rubber, or polyurethane, and adhering to the sock in a high-frequency or general heat-sealing manner.
이때, 제 1 균형패드(100), 제 2 균형패드(200) 및 제 3 균형패드(200)의 두께는 1mm 내지 10 m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 1 균형패드(100), 제 2 균형패드(200) 및 제 3 균형패드(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6 is a view showing a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균형패드(100) 및 제 2 균형패드(200), 및 제 3 균형패드(3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6, the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1 균형패드(100) 및 제 2 균형패드(200), 및 제 3 균형패드(300)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양말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바닥을 더욱 용이하게 자극시킬 수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th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패드가 구비된 양말은, 상술한 제 1 균형패드(100) 및 제 2 균형패드(200), 및 제 3 균형패드(300)가 부착 혹은 재봉되거나, 또는 양말의 제조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패드가 구비된 양말은 실리콘 등을 덧대어 착용감을 향상시키거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ocks having the balance pad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ttached or sewn together with the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패드가 구비된 양말을 착용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FIG. 7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sock equipped with a balance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패드가 구비된 양말은,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O자형 다리, 또는 X자형 다리를 가진 사용자 발바닥의 용천혈, 족궁 및 제거돌기의 하측부를 지지해 줌으로써, 사용자의 전, 후, 좌, 우의 균형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패드가 구비된 양말은 퇴행성 무릎 관절 통증이 있는 환자에게도 효과적일 수 있다. 이때, O자 다리 또는, 퇴행성 무릎 관절 통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 좌, 우 양말을 교체해서 착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sock equipped with the balance pa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O-shaped legs or the X-shaped legs of the user's sole, By supporting the lower par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balance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of the user. Thus, a sock with a balance pa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ffective for patients with degenerative knee pain. At this time, it may be more effective to replace left and right socks for O-legs or patients with degenerative knee pain.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패드가 구비된 양말을 제 1 균형패드(100)의 일 측면에 생체 신호 및 동작 측정센서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거나, 사용자의 동작 및 균형을 측정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ock including the balance pa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iving body signal and an activity measurement sensor on one side of the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esent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제 1 균형패드
200: 제 2 균형패드
300: 제 3 균형패드100: 1st balance pad
200: second balance pad
300: third balance pad
Claims (10)
상기 발바닥의 족궁과 재거돌기 하방 부위에 배치된 제 2 균형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균형패드는 상기 용천혈 부위를 자극 및 지지하여, 사용자의 전, 후 신체 균형을 보정하고,
상기 제 2 균형패드는, 상기 발바닥의 족궁과 재거돌기 하방 부위를 지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좌, 우 신체 균형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A first balance pad disposed at the molar region of the sole, and
And a second balance pad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oot and foot of the foot,
Wherein the first balance pad stimulates and supports the dragon blood region to correct a user's pre and post body balance,
And the second balance pad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foot sole and the jagged foot to correct the left and right body balance of the user.
상기 발바닥의 뒤꿈치의 외측부를 지지하는 제 3 균형패드를 더 포함하는, 양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ird balance pad for supporting an outer portion of the heel of the sole.
상기 양말의 상기 제 1 균형패드, 상기 제 2 균형패드 및 상기 제 3 균형패드가 부착되는 위치는
상기 제 1 균형패드, 상기 제 2 균형패드 및 상기 제 3 균형패드가 부착되지 않는 위치보다 더 두껍게 직조된 것인, 양말.3. The method of claim 2,
The position at which the first balance pad, the second balance pad and the third balance pad of the sock are attached
Wherein the first balance pad, the second balance pad, and the third balance pad are woven thicker than a position where they are not attached.
상기 제 1 균형패드는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며,
상기 제 2 균형패드는 상기 발바닥의 외곽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고,
상기 제 3 균형패드는 상기 발바닥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3. The method of claim 2,
The thickness of the first balance pad decreases from the center to the edge,
Wherein the second balance pad increases in thickness towar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ole,
And the third balance pad increases in thickness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sole.
상기 제 1 균형패드 상기 제 2 균형패드 및 상기 제 3 균형패드는
제 1 패브릭 및 제 2 패브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브릭 및 상기 제 2 패브릭 사이에 공기, 스폰지, 및 섬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양말.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balance pad, the second balance pad and the third balance pad
A first fabric and a second fabric,
Wherein the first fabric comprises one of air, sponge, and fiber between the first fabric and the second fabric.
상기 제 1 균형패드 상기 제 2 균형패드 및 상기 제 3 균형패드는
펠트, 실리콘, 라텍스, 고무, 폴리우레탄, EVA 등 고분자 합성 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인, 양말.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balance pad, the second balance pad and the third balance pad
Wherein the sock is one of a polymer synthetic resin such as felt, silicone, latex, rubber, polyurethane, and EVA.
상기 제 1 균형패드 상기 제 2 균형패드 및 상기 제 3 균형패드 중 어느 하나는 복수의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양말.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balance pad, the second balance pad and the third balance pad further comprise a plurality of protrusions.
상기 제 1 균형패드 상기 제 2 균형패드 및 상기 제 3 균형패드는
두께가 1mm 내지 10mm인 것인, 양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balance pad, the second balance pad and the third balance pad
And a thickness of 1 mm to 10 mm.
상기 제 1 균형패드 상기 제 2 균형패드 및 상기 제 3 균형패드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인, 양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balance pad, the second balance pad and the third balance pad
The socks being integrally formed.
상기 제 1 균형패드는
일 측면에, 생체신호, 동작 및 균형 중 어느 하나를 측정 가능한 센서가 구비된 것인, 양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alance pad
A sock comprising, on one side,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ny one of a vital sign, an activity and a balan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2429U KR20170003879U (en) | 2016-05-04 | 2016-05-04 | Socks with ballansing pad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2429U KR20170003879U (en) | 2016-05-04 | 2016-05-04 | Socks with ballansing pad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3879U true KR20170003879U (en) | 2017-11-15 |
Family
ID=6040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2429U KR20170003879U (en) | 2016-05-04 | 2016-05-04 | Socks with ballansing pad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03879U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2662B1 (en) | 2018-02-21 | 2018-06-28 | 주식회사 비케이에스 | Functional sock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1999344B1 (en) * | 2018-02-26 | 2019-07-11 | 김금석 | Socks |
KR102215564B1 (en) * | 2020-06-26 | 2021-02-15 | 조언식 | Socks for correction of bow-legs |
KR20230085719A (en) * | 2021-12-07 | 2023-06-14 |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 Socks for pinger pressure therapy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1627B1 (en) | 2012-10-12 | 2014-06-02 | 진상준 | A socks with heel insert |
-
2016
- 2016-05-04 KR KR2020160002429U patent/KR20170003879U/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1627B1 (en) | 2012-10-12 | 2014-06-02 | 진상준 | A socks with heel insert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2662B1 (en) | 2018-02-21 | 2018-06-28 | 주식회사 비케이에스 | Functional sock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1999344B1 (en) * | 2018-02-26 | 2019-07-11 | 김금석 | Socks |
WO2019164357A1 (en) * | 2018-02-26 | 2019-08-29 | 김금석 | Fitting foot functional socks |
KR102215564B1 (en) * | 2020-06-26 | 2021-02-15 | 조언식 | Socks for correction of bow-legs |
KR20230085719A (en) * | 2021-12-07 | 2023-06-14 |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 Socks for pinger pressure therap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851041B1 (en) | Toe separator pad | |
JP2010525917A (en) | Multi-elastic shoe insole structure | |
KR200480494Y1 (en) | A correcting apparatus for the toe | |
TW201340901A (en) | Insole for relief of over-pronation and knee joint str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6154436B2 (en) | Pre-assembled insole for heel and pumps | |
JP2010017514A (en) | Footwear, internal structure, and foot straightening method | |
KR20170003879U (en) | Socks with ballansing pads | |
KR100960562B1 (en) | Functional shoes insole providing kinesis to metatarsals | |
KR102140044B1 (en) | Calibration area customized foot orthotics | |
JP3195381U (en) | Sandal board and sandals | |
KR20190016498A (en) | Personalized shoes | |
JP3212230U (en) | socks | |
KR101460045B1 (en) | healing footwear | |
JP6608210B2 (en) | Indoor footwear | |
KR101178866B1 (en) | Functional shoes | |
JP6385030B2 (en) | Foot cover | |
JP2006193844A (en) | Health promoting sock | |
TWM393187U (en) | Adjustable foot arch stabilizing pad | |
JP3200517U (en) | Acupuncture orthoses and socks | |
KR200488994Y1 (en) | An insole with balancing pads | |
JP2020137984A (en) | Shoe insole | |
KR20180002000U (en) | Balancing pads sticking for a insole and a insole with balancing pads | |
JP3195854U (en) | footwear | |
JP5152814B2 (en) | Foot unit improvement tools and socks, supporters, socks, insoles, shoes using the same | |
KR102239837B1 (en) | Inso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