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13747B1 -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3747B1
KR102713747B1 KR1020190090884A KR20190090884A KR102713747B1 KR 102713747 B1 KR102713747 B1 KR 102713747B1 KR 1020190090884 A KR1020190090884 A KR 1020190090884A KR 20190090884 A KR20190090884 A KR 20190090884A KR 102713747 B1 KR102713747 B1 KR 102713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onding
memory device
semiconductor pilla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2710A (ko
Inventor
이남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0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3747B1/ko
Priority to US16/686,455 priority patent/US10998316B2/en
Priority to CN201911256351.8A priority patent/CN112310079B/zh
Publication of KR20210012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710A/ko
Priority to US17/224,859 priority patent/US1183087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3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3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24Group 14 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1/02532Silicon, silicon germanium, germa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7Doping during depositing
    • H01L21/02573Conductivity type
    • H01L21/02579P-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87Structure
    • H01L21/0259Microstructure
    • H01L21/02595Microstructure polycrystall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04Chemical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25With simultaneous mechanical treatment, e.g. mechanico-chemical polis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3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0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5/18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he devices being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the same subclass of H10B, H10D, H10F, H10H, H10K or H10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5/50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assemblies consisting of devices, the devices being individual devices of subclass H10D or integrated devices of class H10
    • H01L29/66363
    • H01L29/7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9Manufacture or treatment with simultaneous manufacture of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and memory ce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10DRAM devices comprising bipolar compon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50Peripheral circuit reg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81Disposition
    • H01L2224/0812Disposition the bonding area connecting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 H01L2224/08135Disposition the bonding area connecting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the bonding area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08145Disposition the bonding area connecting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the bonding area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81Disposition
    • H01L2224/0812Disposition the bonding area connecting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 H01L2224/08135Disposition the bonding area connecting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the bonding area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08145Disposition the bonding area connecting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the bonding area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01L2224/08147Disposition the bonding area connecting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the bonding area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the bonding area connecting to a bonding area disposed in a recess of the surface of th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3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3214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000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by connecting a bonding area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000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by connecting a bonding area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 H01L2224/808Bonding techniques
    • H01L2224/80894Direct bonding, i.e. joining surfaces by means of intermolecular attracting interactions at their interfaces, e.g. covalent bonds, van der Waals forces
    • H01L2224/80895Direct bonding, i.e. joining surfaces by means of intermolecular attracting interactions at their interfaces, e.g. covalent bonds, van der Waals forces between electrically conductive surfaces, e.g. copper-copper direct bonding, surface activated bo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000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by connecting a bonding area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 H01L2224/808Bonding techniques
    • H01L2224/80894Direct bonding, i.e. joining surfaces by means of intermolecular attracting interactions at their interfaces, e.g. covalent bonds, van der Waals forces
    • H01L2224/80896Direct bonding, i.e. joining surfaces by means of intermolecular attracting interactions at their interfaces, e.g. covalent bonds, van der Waals forces between electrically insulating surfaces, e.g. oxide or nitrid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838Bonding techniques
    • H01L2224/83894Direct bonding, i.e. joining surfaces by means of intermolecular attracting interactions at their interfaces, e.g. covalent bonds, van der Waals forces
    • H01L2224/83896Direct bonding, i.e. joining surfaces by means of intermolecular attracting interactions at their interfaces, e.g. covalent bonds, van der Waals forces between electrically insulating surfaces, e.g. oxide or nitrid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01L2924/143Digital devices
    • H01L2924/1434Memory
    • H01L2924/1435Random access memory [RAM]
    • H01L2924/1436Dynamic random-access memory [D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고직접화된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기술에 따른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은 제1기판 상에 수직형 사이리스터 및 워드라인을 포함하는 메모리셀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 제2기판에 주변회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셀어레이와 상기 주변회로부를 본딩시키는 단계; 상기 수직형 사이리스터의 일측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기판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직형 사이리스터의 일측 및 상기 주변회로부에 접속되는 비트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VERTICAL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VERTICAL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장치의 단위 셀은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와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저장 장치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의 단위 셀은 정보 저장 장치로 하나의 캐패시터를 사용한다.
메모리 장치의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기술적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다. 예를 들면, DRAM은 단위 셀의 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충분한 정전 용량(capacitance)을 확보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따라, 수직형 메모리 셀이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직접화된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은 제1기판 상에 수직형 사이리스터 및 워드라인을 포함하는 메모리셀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 제2기판에 주변회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셀어레이와 상기 주변회로부를 본딩시키는 단계; 상기 수직형 사이리스터의 일측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기판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직형 사이리스터의 일측 및 상기 주변회로부에 접속되는 비트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메모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주변회로부; 상기 주변회로부보다 위에 형성된 수직형 사이리스터,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을 포함하는 메모리셀어레이; 상기 메모리셀어레이와 상기 주변회로부 사이에 형성된 본딩 구조물; 및 상기 주변회로부와 메모리셀어레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관통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캐패시터를 제거하여 리프레쉬(Reflesh)가 필요없는 메모리 동작이 가능하여 시스템 친화적인 메모리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수직형 사이리스터(Vertical Thyristor)를 이용하여 4F2로 구현함으로써 고집적 메모리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캐패시터가 없는 메모리 장치를 형성함에 따라 공정 단순화가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게이트의 변형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23은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33은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단면도, 평면도 및 블록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실시예들은 휘발성과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집적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캐패시터-리스(Capacitor-less) 1T(1 Transistor) DRAM을 제안한다. 캐패시터-리스(Capacitor-less) 1T DRAM은 PNPN 구조의 사이리스터를 포함하는 사이리스터-베이스 RAM(Thyristor-based random access memory)이다. PNPN 구조의 사이리스터(Thyristor)를 수직하게 형성함으로써 셀 디멘젼(Cell Dimension)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예들은 웨이퍼 본딩(Wafer Bonding)을 통해 3 단자 배선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메모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단위 메모리셀과 주변회로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메모리 장치(100)는 메모리셀어레이(MCA) 및 주변회로부(PRP)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셀어레이(MCA)는 주변회로부(PRP)보다 상위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메모리셀어레이(MCA)는 제1본딩물질(114) 및 제1본딩패드(115)를 포함할 수 있고, 주변회로부(PRP)는 제2본딩물질(104) 및 제2본딩패드(105)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셀어레이(MCA)와 주변회로부(PRP)는 본딩 프로세스에 의해 서로 본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셀어레이(MCA)와 주변회로부(PRP)는 제1본딩물질(114)과 제2본딩물질(104)의 본딩 프로세스에 의해 본딩될 수 있다. 아울러, 메모리셀어레이(MCA)와 주변회로부(PRP)는 제1본딩패드(115) 및 제2본딩패드(105)의 본딩 프로세스에 의해 본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모리셀어레이(MCA)와 주변회로부(PRP)는 하이브리드 본딩 프로세스(Hybrid bonding process)에 의해 본딩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본딩 프로세스는 제1본딩물질(114) 대 제2본딩물질(104) 본딩프로세스 및 제1본딩패드(115) 대 제2본딩패드(105) 본딩 프로세스를 지칭할 수 있다.
제1본딩물질(114) 대 제2본딩물질(104)의 본딩프로세스는 산화물 대 산화물 본딩(Oxide to oxide bonding)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본딩패드(115) 대 제2본딩패드(105) 본딩 프로세스는 메탈 대 메탈 본딩(Metal to metal bonding)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메모리셀어레이(PRP)와 주변회로부(MCA)는 제1,2본딩물질(114, 104) 및 제1,2본딩패드(115, 105)을 사용하지 않고, 다이렉트본딩(Direct bonding)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셀어레이(MCA)와 주변회로부(PRP)는 SOI 기판에 직접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제1,2본딩패드(115, 105) 및 제1,2본딩물질(114, 104)을 이용한 본딩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주변회로부(PRP)는 메모리셀어레이(MCA)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회로(102)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회로부(PRP)의 제어회로(102)는, N-채널 트랜지스터, P-채널 트랜지스터, CMOS 회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회로부(PRP)는, 어드레스 디코더 회로, 리드 회로, 라이트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회로부(PRP)는 반도체 기판(101) 및 반도체 기판(101)의 표면에 제어회로(102)가 배열되는 구조일 수 있다. 반도체 기판(101)은 반도체프로세싱에 적합한 물질일 수 있다. 반도체 기판(101)은 실리콘을 함유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도체 기판(101)은 실리콘, 단결정 실리콘, 폴리실리콘, 비정질 실리콘, 실리콘저마늄, 단결정 실리콘저마늄, 다결정 실리콘저마늄, 탄소 도핑된 실리콘, 그들의 조합 또는 그들의 다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01)은 저마늄과 같은 다른 반도체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반도체 기판(101)은 Ⅲ/Ⅴ족 반도체기판, 예컨대 GaAs과 같은 화합물반도체기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회로(10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는 플라나 채널 트랜지스터(Planar channel transistor)일 수 있다. 제어회로(102) 내의 트랜지스터 구조는 플라나 채널 트랜지스터 외에 리세스채널 트랜지스터(Recess channel transistor), 매립게이트 트랜지스터(Buried gate transistor), 핀채널 트랜지스터(Fin channel transistor, FinFET)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주변회로부(PRP)는 제어회로(102)에 접속되는 복수의 상호접속구조물(1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호접속구조물(10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호접속구조물(103)은 복수의 비아 및 복수의 금속배선을 포함하는 다층 레벨 금속배선(MLM)을 포함할 수 있다. 상호접속구조물(103)은 하위 층간절연층(106)에 형성될 수 있다.
주변회로부(PRP)는 상호접속구조물(103) 상부의 제2본딩물질(1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본딩물질(104)은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본딩물질(104)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본딩물질(104)은 상호접속구조물(103) 및 하위 층간절연층(106)을 커버링할 수 있다. 제2본딩물질(104)은 본딩산화물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주변회로부(PRP)는 제2본딩패드(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본딩패드(105)는 제2본딩물질(104)을 관통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호접속구조물(103)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본딩패드(105)는 금속-베이스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본딩패드(105)는 본딩금속패드라고 지칭할 수 있다.
메모리셀어레이(MCA)는 복수의 메모리셀(100M), 하위 레벨 도전 라인(111) 및 상위 레벨 도전라인(112)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셀(100M) 각각은 워드라인(121) 및 수직형 사이리스터(Vertical Thyristor, 100V)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의 일부 측벽에 워드라인(121)이 위치할 수 있다.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의 일측(또는 하단부)에 하위 레벨 도전라인(111)이 접속될 수 있고,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의 타측(또는 상단부)에 상위 레벨 도전라인(112)이 접속될 수 있다. 하위 레벨 도전라인(111)은 소스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상위 레벨 도전라인(112)은 비트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워드라인(121)은 하위 레벨 도전라인(111)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상위 레벨 도전라인(112)은 워드라인(121)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메모리셀어레이(MCA)는 제1본딩물질(114) 및 제1본딩패드(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본딩물질(114) 및 제1본딩패드(115)는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본딩물질(114) 및 제1본딩패드(115)는 각각 제2본딩물질(104) 및 제2본딩패드(115)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본딩물질(114)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제1본딩패드(115)는 금속-베이스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본딩물질(114)은 본딩산화물이라고 지칭할 수 있고, 제1본딩패드(115)는 본딩금속패드라고 지칭할 수 있다.
메모리셀어레이(MCA)의 하위 레벨 도전라인(111) 및 상위 레벨 도전라인(112)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회로(102)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하위 레벨 도전라인(111)과 제어회로(102)는 상호접속구조물(103) 및 제1,2본딩패드(115, 105)를 통해 상호 접속될 수 있다. 상위 레벨 도전라인(112)과 제어회로(127)는 도전형 관통구조물(127)을 통해 상호 접속될 수 있다. 도전형 관통구조물(127)은 금속-베이스 물질로서, 비아라고 지칭할 수 있다.
메모리셀어레이(MCA)는 주변회로부(PRP)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 장치(100)는 PUC(Peri under Cell) 구조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변회로부(PRP)가 메모리셀어레이(MCA)보다 위에 위치하는 POC(Peri Over Cell)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셀(100M)은 주변회로부(PRP)보다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메모리셀(100M)은 하위 레벨 도전라인(111)과 상위 레벨 도전라인(112) 사이에 형성된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는 소스라인(113) 및 복수의 반도체필라(P1, P2, P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위 레벨 도전라인(111)과 상위 레벨 도전라인(112) 사이에서 소스라인(113) 및 반도체필라들(P1, P2, P3)이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다.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의 최하단부는 소스라인(113)일 수 있고, 소스라인(113) 상에서 반도체필라들(P1, P2, P3)이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다. 반도체필라들(P1, P2, P3)는 제1반도체필라(P1), 제2반도체필라(P2) 및 제3반도체필라(P3)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라인(113) 상에 제1반도체필라(P1)가 형성될 수 있고, 제1반도체필라(P1) 상에 제2반도체필라(P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반도체필라(P2) 상에 제3반도체필라(P3)가 형성될 수 있다. 제3반도체필라(P3)는 상위 레벨 도전라인(112)에 접촉할 수 있다.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는 반도체물질들의 스택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는 실리콘 물질, 실리콘 게르마늄 물질, 갈륨비소(GaAs) 물질 또는 질화갈륨(GaN)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는 수직하게 중첩되는 도핑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수직하게 중첩되는 제1반도체필라(P1), 제2반도체필라(P2) 및 제3반도체필라(P3)는 서로 다른 불순물로 도핑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불순물은 서로 다른 도전형 또는 서로 다른 불순물 농도를 지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반도체필라(P1), 제2반도체필라(P2) 및 제3반도체필라(P3)는 실리콘 물질일 수 있다. 따라서, 제1반도체필라(P1), 제2반도체필라(P2) 및 제3반도체필라(P3)는 각각 '제1실리콘필라, 제2실리콘필라 및 제3실리콘필라'라고 지칭할 수 있다. 제1반도체필라(P1)는 제1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고, 제2반도체필라(P2)는 제2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으며, 제3반도체필라(P3)는 제3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다. 제1불순물과 제3불순물은 동일 도전형일 수 있고, 제2불순물은 제1 및 제3불순물과는 다른 도전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불순물과 제3불순물은 N형 불순물일 수 있고, 제2불순물은 P형 불순물일 수 있다. 제1반도체필라(P1)는 제1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될 수 있고, 제2반도체필라(P2)는 제2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되지 않을 수 있고, 제3반도체필라(P3)는 제3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고농도로 도핑된"이란 용어는, 고농도로 도핑되지 않은 것들보다 불순물의 농도가 더 높음을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반도체필라(P1)는 제2반도체필라(P2) 및 제3반도체필라(P3)보다 높은 불순물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제1반도체필라(P1)는 N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실리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반도체필라(P2)는 P형 불순물이 도핑된 실리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반도체필라(P3)는 N형 불순물이 도핑된 실리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반도체필라(P1)에 도핑된 N형 불순물은 제2반도체필라(P2)에 도핑된 P형 불순물 및 제3반도체필라(P3)에 도핑된 N형 불순물보다 높은 농도를 가질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1반도체필라(P1), 제2반도체필라(P2) 및 제3반도체필라(P3)는 실리콘물질의 에피택셜 성장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반도체필라(P1), 제2반도체필라(P2) 및 제3반도체필라(P3)는 각각 에피택셜 실리콘 필라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3반도체필라(P1, P2, P3)가 수직으로 정렬된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는 제1 내지 제3반도체필라(P1, P2, P3)가 수평으로 정렬된 구조에 비해 실질적으로 감소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셀(100M)에서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의 점유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의 소스라인(113)은 제2반도체필라(P2)와 동일한 불순물로 도핑되어 있을 수 있다. 소스라인(113)은 P형 불순물이 도핑된 실리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라인(113)에 도핑된 P형 불순물은 제2반도체필라(P2)에 도핑된 P형 불순물보다 높은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는 하위 레벨 도전라인(111)과 상위 레벨 도전라인(112) 사이에서 수직하게 배열된 실리콘물질들의 스택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는 N형 불순물과 P형 불순물이 교번하여 도핑된 실리콘 물질들의 스택일 수 있다. 소스라인(113)과 제2반도체필라(P2)가 P형 불순물로 도핑되고, 제1반도체필라(P1)와 제3반도체필라(P3)가 N형 불순물로 도핑되므로,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는 PNPN 구조의 사이리스터일 수 있다. 제2반도체필라(P2)는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의 P 베이스 영역일 수 있고, 제3반도체필라(P3)는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의 N 베이스 영역일 수 있다. 데이터는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의 고저항 특성과 저저항 특성을 이용하여 저장될 수 있다.
워드라인(121)은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워드라인(121)은 텅스텐-베이스 물질, 예를 들어, 텅스텐, 텅스텐질화물, 텅스텐실리사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워드라인(121)과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 사이에 게이트절연층(122)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22)은 실리콘산화물, 실리콘질화물, 고유전율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122)의 상단부는 벤딩될 수 있다.
워드라인(121)은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워드라인(121)은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의 제2반도체필라(P2)의 측벽을 서라운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반도체필라(P2)의 일측 측벽 상에 게이트 절연층(122) 및 워드라인(121)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반도체필라(P2)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들 상에 게이트절연층(122) 및 워드라인(121)이 형성될 수 있다.
워드라인(121)에 인가된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를 동작시킬 수 있다.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의 제2반도체필라(P2)는 스토리지층(Storage layer)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2반도체필라(P2)에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모리셀(100M)은 캐패시터 없이 제2반도체필라(P2)를 스토리지(storage)로 사용할 수 있다.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의 제1반도체필라(P1)는 캡핑층(123)에 의해 에워싸일 수 있다. 캡핑층(123)은 워드라인(121)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캡핑층(123)은 게이트절연층(122) 및 소스라인(113)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웃하는 메모리셀(100M)은 셀간 분리층(124, 125)에 의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셀간 분리층(124, 125)은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셀간 분리층(124, 125)은 제1분리층(124) 및 제2분리층(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분리층(124)은 이웃하는 워드라인(121)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제2분리층(125)은 이웃하는 제3반도체필라(P3)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상위 레벨 도전라인(112)은 제3반도체필라(P3)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위 레벨 도전라인(112)와 제3반도체필라(P3) 사이에 콘택층(126)이 형성될 수 있다. 콘택층(126)은 N형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콘택층(126)은 제3반도체필라(P3)의 상부에 N형 불순물을 도핑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위 레벨 도전라인(112)은 도전형 관통구조물(127)에 의해 주변회로부(PRP)의 제어회로부(102)에 연결될 수 있다. 도전형 관통구조물(127)은 금속-베이스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형 관통구조물(127)은 비아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전형 관통구조물(127)은 셀간 분리층(124, 125)을 관통할 수 있고, 아울러 제1본딩물질(114) 및 제2본딩물질(104)을 관통하여 상호접속구조물(103)에 접속될 수 있다. 상위 레벨 도전라인(112)이 비트라인을 포함하는 경우, 주변회로부(PRP)의 제어회로(102)는 센스앰프를 포함할 수 있다.
워드라인(121)은 워드라인콘택(128)을 통해 주변회로부(PRP)의 제어회로(102)에 연결될 수 있다. 워드라인콘택(128)은 금속-베이스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워드라인콘택(128)은 도전형 관통구조물(127)과 동일하게 비아라고 지칭할 수 있다. 워드라인콘택(128)은 셀간 분리층(124, 125)을 관통할 수 있고, 아울러 제1본딩물질(114) 및 제2본딩물질(104)을 관통하여 상호접속구조물(103)에 접속될 수 있다. 워드라인콘택(128)에 금속배선(112')이 접속될 수 있다. 금속배선(112')은 상위 레벨 도전라인(112)과 동일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워드라인콘택(128)을 통해 워드라인(121)에 연결되는 주변회로부(PRP)의 제어회로(102)는 워드라인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위 레벨 도전라인(112)과 워드라인(121)은 수직하게 정렬될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상위 레벨 도전라인(112)과 워드라인(121)은 수직하게 교차할 수 있다. 소스라인(113), 하위 레벨 도전라인(111) 및 상위 레벨 도전라인(112)은 주변회로부(PRP)의 상부 평면에 평행하는 제1방향(D1)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워드라인(121)은 제1방향(D1)에 교차하는 제2방향(D2)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는 제3방향(D3)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워드라인(121)은 소스 라인(113)보다 상위 레벨에 배치될 수 있고, 소스라인(113)과 워드라인(121)은 수직하게 정렬될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소스 라인(113)과 워드라인(121)은 수직하게 교차할 수 있고, 하위 레벨 도전라인(111), 소스 라인(113) 및 상위 레벨 도전라인(112)은 중첩될 수 있다. 하위 레벨 도전라인(111), 소스 라인(113) 및 상위 레벨 도전라인(112)은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스라인/하위 레벨 도전라인(113/111)의 스택과 상위 레벨 도전라인(112)의 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레벨 도전라인(112)이 하위 레벨에 위치할 수 있고, 소스라인/하위 레벨 도전라인(113/111)의 스택이 상위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도 24 내지 도 3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게이트의 변형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게이트절연층(122A)이 각각의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의 양측벽에 형성되고, 게이트(121A)는 복수의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의 측벽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라인 형상일 수 있다. 게이트(121A)은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의 양측벽에 위치하는 수직형 더블 게이트 구조일 수 있으며, 더블 게이트 구조는 일측 끝단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수직형 더블 게이트 구조는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를 형성한 후에 게이트물질 증착 및 에치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수직형 더블 게이트 구조는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의 양측벽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스페이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게이트절연층(122B)이 각각의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의 양측벽에 형성되고, 게이트(121B)는 복수의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의 측벽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라인 형상일 수 있다. 게이트(121B)는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의 양측벽에 위치하는 더블 게이트 구조일 수 있으며, 더블 게이트 구조는 양측끝단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121B)는 폐루프(Closed-loop) 형상일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게이트절연층(122C)이 각각의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을 에워싸는 형상일 수 있고, 게이트(121C)는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을 에워싸면서 어느 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의 횡단면은 써클 형상일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 수직형 사이리스터(100V)의 횡단면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23은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11)이 준비될 수 있다. 제1기판(11)은 반도체프로세싱에 적합한 물질일 수 있다. 제1기판(11)은 반도체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11)은 실리콘을 함유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기판(11)은 실리콘, 단결정 실리콘, 폴리실리콘, 비정질 실리콘, 실리콘저마늄, 단결정 실리콘저마늄, 다결정 실리콘저마늄, 탄소 도핑된 실리콘, 그들의 조합 또는 그들의 다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11)은 저마늄과 같은 다른 반도체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기판(11)은 Ⅲ/Ⅴ족 반도체기판, 예컨대 GaAs과 같은 화합물반도체기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기판(11)은 후속 백그라인딩에 의해 제거되는 희생 기판일 수 있다.
제1기판(11)의 표면에 희생도프드영역(12)이 형성될 수 있다. 희생도프드영역(12)은 제1도펀트의 도핑공정(12I)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도펀트의 도핑공정(12I)은 이온임플란트(Ion implant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희생도프드영역(12)은 제1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도펀트는 N형 도펀트, P형 도펀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도펀트는 보론과 같은 P형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P형 도펀트의 이온임플란트에 의해 희생도프드영역(12)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희생도프드영역(12)은 'P형 도프드영역'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희생도프드영역(12)에 도핑된 P형 도펀트는 고농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희생도프드영역(12)에 도핑된 P형 도펀트는 1×1019∼5×1020 atoms/cm3의 고농도를 가질 수 있다. 희생도프드영역(12)은 '고농도 P형 도프드영역(highly doped p-type doped region)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희생도프드영역(12)은 고농도 P형 실리콘물질(highly doped p-type silicon material), 즉 P+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희생도프드영역(12)은 후속 백그라인딩에 의해 제거되는 희생 도프드영역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희생도프드영역(12) 상에 예비필라영역(1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비필라영역(13)은 에피택셜성장(Epitaxial growth)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비필라영역(13)은 제2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비필라영역(13)은 인 또는 비소와 같은 N형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비필라영역(13)은 약 2000Å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비필라영역(13)은 'N형 도프드영역'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예비필라영역(13)에 도핑된 N형 도펀트는 고농도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비필라영역(13)에 도핑된 N형 도펀트는 1×1019 atoms/cm3보다 낮은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예비필라영역(13)은 N형 실리콘물질(N-type silicon material), 즉 N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필라영역(13) 상에 하드마스크층(14)이 형성될 수 있다. 하드마스크층(14)은 예비필라영역(13)에 대해 식각선택비를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드마스크층(14)은 실리콘산화물(silicon oxide), 실리콘질화물(silicon nitride), 비정질카본(amorphous carbon)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드마스크층(14)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미도시)를 이용하여, 예비필라영역(13)의 상부 표면을 노출시키기 위해 하드마스크층(14)이 식각될 수 있다. 마스크는 포토레지스트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하드마스크층(14)은 복수의 필라 형상(pillar shape)을 가질 수 있다. 즉, 하드마스크층(14)은 필라 형상들의 규칙적인 어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반도체필라(13N)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반도체필라(13N)를 형성하기 위해, 하드마스크층(14)을 이용하여 예비필라영역(13)을 식각할 수 있다. 하드마스크층(14)이 복수의 필라 어레이를 가지므로, 예비필라영역(13)은 복수의 제1반도체필라(13N)로 식각될 수 있다. 제1반도체필라(13N)는 필라 형상들의 규칙적인 어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웃하는 제1반도체필라(13N) 사이에 분리트렌치(13T)가 정의될 수 있다. 분리트렌치(13T)에 의해 이웃하는 제1반도체필라(13N)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분리트렌치(13T)의 깊이는 제1반도체필라(13N)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분리트렌치(13T)의 저면(Bottom surface)은 희생도프드영역(12)의 상부 표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반도체필라(13N)의 높이는 약 2000Å일 수 있다. 분리트렌치(13T)의 깊이는 제1반도체필라(13N)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분리트렌치(13T)의 깊이는 약2000Å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분리트렌치(13T)의 깊이는 제1반도체필라(13N)의 높이보다 더 클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제1반도체필라(13N)의 횡단면은 사각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반도체필라(13N)의 횡단면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제1반도체필라(13N)는 N형 실리콘 필라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물질(15A)로 분리트렌치(13T)를 채울 수 있다. 절연물질(15A)은 보이드없이 분리트렌치(13T)를 채울 수 있다. 절연물질(15A)은 갭필 특성이 우수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물질(15A)은 산화물, 질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절연물질(15A)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물질(15A)은 분리트렌치(13T)를 채우면서 하드마스크층(14)을 커버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속하여, 절연물질(15A)은 제1반도체필라(13N)의 상부 표면이 노출되도록 평탄화될 수 있다. 절연물질(15A)의 평탄화는 화학적기계적연마(CMP)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절연물질(15A)의 평탄화에 의해 제1분리층(15)이 형성될 수 있다.
절연물질(15A)의 평탄화 공정시에 하드마스크층(14)도 평탄화되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분리층(15)의 상부 표면과 제1반도체필라(13N)의 상부 표면은 동일 레벨일 수 있다. 즉, 제1분리층(15)의 상부 표면과 제1반도체필라(13N)의 상부 표면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제1분리층(15)은 이웃하는 제1반도체필라(13N)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리층(15) 및 제1반도체필라(13N) 상에 도전물질(16A)이 형성될 수 있다. 도전물질(16A)은 제1반도체필라(13N)의 높이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전물질(16A)은 금속, 금속질화물, 금속실리사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물질(16A)은 텅스텐, 티타늄질화물, 텅스텐질화물, 티타늄실리사이드, 텅스텐실리사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전물질(16A)은 텅스텐실리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물질(16A) 상에 캡핑물질(17A)이 형성될 수 있다. 캡핑물질(17A)은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캡핑물질(17A)은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캡핑물질(17A)은 하드마스크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워드라인(16)이 형성될 수 있다. 워드라인(16)을 형성하기 위해, 라인 앤드 스페이스 형상의 마스크층(도시 생략)을 이용하여 캡핑물질(17A) 및 도전물질(16A)을 식각할 수 있다. 이웃하는 워드라인(16) 사이에 게이트분리트렌치(16T)가 형성될 수 있다. 워드라인(16) 상에는 캡핑층(17)이 형성될 수 있다. 캡핑층(17)은 캡핑물질(17A)의 식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워드라인(16)은 제1반도체필라(13N)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워드라인(16)은 게이트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드라인(16) 사이에 제2분리층(18)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분리층(18)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분리층(18)은 게이트분리트렌치(16T)를 채울 수 있고, 워드라인(16)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평탄화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층(19)이 형성될 수 있다. 마스크층(19)은 포토레지스트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층(19)는 복수의 오프닝(19H)을 포함할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오프닝(19H)의 횡단면은 사각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일 수 있고, 복수의 오프닝(19H)은 규칙적인 어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스크층(19)을 이용하여 캡핑층(17) 및 워드라인(16)을 순차적으로 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수직형 오프닝(20)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형 오프닝(20)은 캡핑층(17) 및 워드라인(16)을 관통하는 깊이를 가질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수직형 오프닝(20)의 횡단면은 마스크층(19)의 오프닝(19H)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수직형 오프닝(20)의 저면은 제1반도체필라(13N)의 상부 표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수직형 오프닝(20)의 폭(또는 직경)은 제1반도체필라(13N)의 폭보다 더 클 수 있고, 이로써 수직형 오프닝(20)의 저면은 제1분리층(15)의 일부 표면을 더 노출시킬 수 있다. 아울러, 수직형 오프닝(20)에 의해 제1반도체필라(13N)와 워드라인(16)이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수직형 오프닝(20)은 수직한 측벽(Vertical sidewall)을 가질 수 있다. 수직형 오프닝(20)은 워드라인(16)의 양측벽을 노출시키지 않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수직형 오프닝(20)은 워드라인(16)을 절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탑뷰로 볼 때, 수직형 오프닝(20)은 워드라인(16)에 의해 에워싸이는 형상이 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층(19)을 제거한 후에, 수직형 오프닝(20)에 게이트절연층(21)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21)은 수직형 오프닝(20)을 완전히 채우지 않을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21)은 수직형 오프닝(20)의 저면 및 측벽을 커버링하도록 컨포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21)은 실리콘산화물, 실리콘산화질화물, 고유전율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21)의 일부는 워드라인(16) 및 캡핑층(17)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21)은 워드라인(16)과 제1반도체필라(13N) 사이를 분리시킬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21) 상에 희생층(22)이 형성될 수 있다. 희생층(22)은 게이트절연층(21) 상에 컨포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21) 및 희생층(22)은 수직형 오프닝(20)을 완전히 채우지 않을 수 있다. 희생층(22)은 게이트절연층(21)에 대해 식각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희생층(22)은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에치백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에치백 공정에 의해 희생층(22)의 일부 및 게이트절연층(21)의 일부가 식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형 오프닝(20)의 저면에서 희생층(22)의 일부 및 게이트절연층(21)의 일부가 식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에치백 공정에 의해 제1반도체필라(13N)의 상부 표면이 노출될 수 있다. 수직형 오프닝(20)의 측벽에는 게이트절연층(21)과 희생층(22)의 스택이 잔류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21)은 수직형 오프닝(20)의 측벽을 커버링하는 스페이서 형상(Spacer shape)일 수 있다. 희생층(22)은 게이트절연층(21)의 측벽을 커버링하는 스페이서 형상일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게이트절연층(21)은 수직형 오프닝(20)의 측벽을 커버링하는 링형 스페이서(ring shape spacer)일 수 있다. 희생층(22)은 게이트절연층(21)의 측벽을 커버링하는 링형 스페이서일 수 있다.
희생층(22)의 에치백 이후에, 수직형 오프닝(20)의 하향 확장에 의해 제1반도체필라(13N)의 상부 표면이 일정 깊이 리세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희생층(22)의 측벽에 자기 정렬되어 제1반도체필라(13N)의 상부 표면이 식각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희생층(22)을 제거할 수 있다. 희생층(22)이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인산을 이용한 습식식각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희생층(22)을 제거한 후에, 수직형 오프닝(20)의 측벽에 게이트절연층(21)이 잔류할 수 있다.
수직형 오프닝(20)은 제1반도체필라(13N)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형 오프닝(20)에 에피택셜층(23)이 형성될 수 있다. 에피택셜층(23)은 수직형 오프닝(20)을 보이드없이 채울 수 있다. 에피택셜층(23)은 제1반도체필라(13N) 상에서 수직형 오프닝(20)을 채울 수 있고, 이에 따라 에피택셜층(23)은 필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에피택셜층(23)은 제3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도펀트는 에피택셜층(23)을 성장하는 동안에, 인시튜로 도핑될 수 있다. 제3도펀트는 제2도펀트와 다른 물질일 수 있다. 제3도펀트는 P형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에피택셜층(23)은 P형 에피택셜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에피택셜층(23)의 P형 도펀트는 고농도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피택셜층(23)의 P형 도펀트는 1×1019 atoms/cm3보다 낮은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피택셜층(23)에 제4도펀트가 도핑될 수 있다. 제4도펀트는 제3도펀트와 다른 물질일 수 있다. 제4도펀트는 N형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4도펀트는 고농도로 도핑될 수 있다. 이온임플란트에 의해 N형 도펀트가 도핑될 수 있다. N형 도펀트는 1×1019∼5×1020 atoms/cm3의 고농도를 가질 수 있다.
N형 도펀트를 도핑함에 따라 에피택셜층(23)의 상부영역은 제3반도체필라(23N)로 정의될 수 있다. 에피택셜층(23)의 하부영역은 초기 에피택셜층의 도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에피택셜층(23)의 하부영역을 제2반도체필라(23P)라고 약칭한다.
위와 같이, N형 도펀트를 도핑함에 따라 에피택셜층(23)은 제2반도체필라(23P) 및 제3반도체필라(23N)로 구분될 수 있다. 제1반도체필라(13N) 상에 제2반도체필라(23P)가 형성될 수 있고, 제2반도체필라(23P) 상에 제3반도체필라(23N)가 형성될 수 있다. 제3반도체필라(23N)의 상부 표면과 캡핑층(17)의 상부 표면은 동일 레벨일 수 있다.
제2반도체필라(23P)의 상부 표면은 워드라인(16)의 상부 표면과 동일 레벨이거나, 워드라인(16)의 상부 표면보다 높은 레벨일 수 있다. 제3반도체필라(23N)는 제2반도체필라(22P)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2반도체필라(23P)의 하단부는 제1반도체필라(13N)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제3반도체필라(23N)는 제1반도체필라(13N)보다 높은 농도의 N형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반도체필라(23P)는 제3반도체필라(23N)보다 낮은 농도의 P형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반도체필라(23N)는 고농도 N형 도펀트를 포함하고, 제2반도체필라(23P)는 고농도 N형 도펀트보다 낮은 농도의 P형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반도체필라(23P)는 P형 에피택셜 실리콘(p-type epitaxial silicon)일 수 있고, 제3반도체필라(23N)는 고농도 N형 에피택셜 실리콘(highly doped n-type epitaxail silicon)일 수 있다.
제2반도체필라(23P) 및 제3반도체필라(23N)가 수직형 오프닝(20)을 채우므로, 수직형 오프닝(20)은 필라형 구조물로 채워질 수 있다. 제1반도체필라(13N), 제2반도체필라(23P) 및 제3반도체필라(23N)의 스택은 수직형 필라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제1반도체필라(13N), 제2반도체필라(23P) 및 제3반도체필라(23N)의 스택은 실리콘물질들의 스택일 수 있다. 제1반도체필라(13N), 제2반도체필라(23P) 및 제3반도체필라(23N)의 스택은 에피택셜 실리콘들의 스택일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위 레벨 도전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하위 레벨 도전라인은 소스라인(24P) 및 제1도전라인(24L)의 스택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라인(24P)은 고농도 P형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라인(24P)은 고농도 P형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라인(24P)은 이웃하는 제3반도체필라(23N)들을 상호 접속시킬 수 있다. 소스라인(24P) 및 제1도전라인(24L)을 형성하기 위해, 소스라인물질과 도전물질의 증착 이후에, 도전물질과 소스라인물질의 식각이 수행될 수 있다. 소스라인(24P) 및 제1도전라인(24L)은 워드라인(16)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도전라인(24L) 상에 제1본딩물질(2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본딩물질(25)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본딩물질(25)의 일부는 제2분리층(18)을 커버링할 수 있다.
제1본딩물질(25)을 관통하여 제1도전라인(24L)에 연결되는 제1본딩패드(26)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본딩패드(26)는 금속-베이스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메모리셀어레이(MC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회로부(PRP)가 준비될 수 있다. 주변회로부(PRP)는 제2기판(31), 제2기판(31)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회로(32), 상호접속구조물(33) 및 제2본딩물질(34)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회로(32)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호접속구조물(33)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호접속구조물(33)은 다층레벨금속배선(MLM)을 포함할 수 있다. 상호접속구조물(33)은 제어회로(32)의 일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상호접속구조물(33)은 층간절연층(도면부호 생략, 도 2의 '106' 참조)에 형성될 수 있고, 층간절연층 및 상호접속구조물(33) 상에 제2본딩물질(3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본딩물질(34)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본딩물질(25) 및 제2본딩물질(34)은 동일 물질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2본딩물질(34)을 관통하여 상호접속구조물(33)에 연결되는 제2본딩패드(3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본딩패드(35)는 금속-베이스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본딩패드(26)와 제2본딩패드(35)는 동일 물질일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본딩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메모리셀어레이(MCA')와 주변회로부(PRP)를 본딩시킬 수 있다.
하이브리드 본딩 프로세스는 주변회로부(PRP)가 형성된 제2기판(31)을 뒤집어(또는 회전시켜) 메모리셀어레이(MCA')가 형성된 제1기판(11)과 본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본딩물질(25)과 제2본딩물질(34)이 본딩될 수 있고, 아울러 제1본딩패드(26)와 제2본딩패드(35)가 본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하이브리드 본딩 프로세스에 의해, 메모리셀어레이(MCA')가 형성된 제1기판(11)과 주변회로부(PRP)가 형성된 제2기판(31)이 본딩된 초기 기판 스택(D1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이브리드 본딩 프로세스는 메모리셀어레이(MCA')가 형성된 제1기판(11)을 뒤집어(또는 회전시켜) 주변회로부(PRP)가 형성된 제2기판(31)과 본딩시킬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기판 스택(D10)의 후면을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주변회로부(PRP)가 아래에 위치하도록 초기 기판 스택(D10)을 뒤집어 희생도프드영역(12) 및 제1기판(11)을 제거(도면부호 'WB' 참조)할 수 있다. 희생도프드영역(12) 및 제1기판(11)의 제거 공정은 백그라인딩(Backside grainding), 습식식각 및 CMP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백그라인딩 및 습식식각은 제1기판(11) 및 희생도프드영역(12)을 제거할 수 있으며, CMP 공정은 잔류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CMP 공정은 제1분리층(15)에서 정지할 수 있다. 희생도프드영역(12) 및 제1기판(11)의 제거 공정 이후에 제1반도체필라(13N)의 일측 표면이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기의 메모리셀어레이(MCA')보다 얇아진 메모리셀어레이(MCA)이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희생도프드영역(12) 및 제1기판(11)의 제거 공정 이후에, 메모리장치를 위한 기판 스택(D20)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 스택(D20)은 주변회로부(PRP) 및 메모리셀어레이(MCA)의 스택일 수 있다. 메모리셀어레이(MCA)는 주변회로부(PRP)보다 상위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메모리셀어레이(MCA)는 복수의 메모리셀(50)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메모리셀(50)은 소스라인(24P), 제3반도체필라(23N), 제2반도체필라(23P) 및 제1반도체필라(13N)의 스택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반도체필라(23N)는 하부 반도체필라(lower semiconductor pillar)라고 지칭할 수 있고, 제1반도체필라(13N)은 상부 반도체필라(upper semiconductor pillar)라고 지칭할 수 있으며, 제2반도체필라(23P)는 스토리지 필라(Storage pillar)라고 지칭할 수 있다. 소스라인(24P), 제3반도체필라(23N), 제2반도체필라(23P) 및 제1반도체필라(13N)의 스택은 PNPN 구조의 실리콘물질들의 스택이 될 수 있다. 제3반도체필라(23N)는 도 2의 제1반도체필라(P1)에 대응할 수 있고, 제2반도체필라(23P)는 도 2의 제2반도체필라(P2)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1반도체필라(13N)는 도 2의 제3반도체필라(P3)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셀어레이(MCA)의 메모리셀(50) 각각은 PNPN 구조의 수직형 사이리스터(50V)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셀어레이(MCA)에서 제2반도체필라(23P)는 스토리지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메모리셀어레이(MCA)는 워드라인(16)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워드라인(16)은 제2반도체필라(23P)의 측벽에 위치할 수 있다. 메모리셀어레이(MCA)에서 각각의 메모리셀은 1T(One transistor) 구조일 수 있다. 즉, 1T 구조는 워드라인(16), 제3반도체필라(23N), 제2반도체필라(23P) 및 제1반도체필라(13N)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반도체필라(23N) 및 제1반도체필라(13N)은 소스/드레인영역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메모리셀어레이(MCA)는 캐패시터가 없는 1T DRAM 셀어레이가 될 수 있다. 메모리셀어레이(MCA)는 캐패시터가 없으므로, 리프레시 동작이 필요없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층(41)이 형성될 수 있다. 콘택층(41)은 도펀트의 이온주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콘택층(41)은 제1반도체필라(13N)의 상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주변회로부(PRP)의 상호접속구조물(33)에 연결되는 비아(42)가 형성될 수 있다. 비아(42)를 형성하기 위해, 제1분리층(15), 제2분리층(18), 제1본딩물질(25) 및 제2본딩물질(34)을 관통하도록 비아홀(도면부호 생략)을 형성한 후, 비아홀 내에 도전물질을 채울 수 있다. 비아(42)는 금속-베이스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비아(42)는 도 1 내지 도 4의 도전형 관통구조물(127)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아(42)에 연결되는 상위 레벨 도전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상위 레벨 도전라인은 제2도전라인(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도전라인(43)은 콘택층(41) 및 비아(42)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제2도전라인(43)은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상일 수 있다. 제2도전라인(43)은 금속-베이스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도전라인(43)은 텅스텐, 텅스텐질화물, 텅스텐실리사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도전라인(43)을 형성하기 위해 텅스텐실리사이드층 증착 및 식각이 수행될 수 있다. 제2도전라인(43)은 메모리셀어레이(MCA)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제2도전라인(43)과 워드라인(16)은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메모리셀어레이(MCA)의 동작 동안에, 제2도전라인(43)은 비트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스택(D20)은 메모리셀어레이(MCA)와 주변회로부(PRP)를 포함하고, 메모리셀어레이(MCA)와 주변회로부(PRP)는 본딩 프로세스에 의해 서로 본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딩 프로세스에 의해 제1도전라인(24L), 제2도전라인(43) 및 워드라인(16)을 포함하는 3 단자 배선이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23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은 제1기판(11) 상에 수직형 사이리스터(50V) 및 워드라인(16)을 포함하는 메모리셀어레이(MCA)를 형성하는 단계, 제2기판(31)에 주변회로부(PRP)를 형성하는 단계, 메모리셀어레이(MCA)와 주변회로부(PRP)를 본딩시키는 단계, 수직형 사이리스터(50V)의 일측이 노출되도록 제1기판(11)을 제거하는 단계 및 수직형 사이리스터(50V)의 일측 및 주변회로부(PRP)에 접속되는 제2도전라인(43)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도전라인(43)은 비트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33은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11)이 준비될 수 있다. 제1기판(11)은 반도체프로세싱에 적합한 물질일 수 있다. 제1기판(11)은 반도체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11)은 실리콘을 함유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기판(11)은 실리콘, 단결정 실리콘, 폴리실리콘, 비정질 실리콘, 실리콘저마늄, 단결정 실리콘저마늄, 다결정 실리콘저마늄, 탄소 도핑된 실리콘, 그들의 조합 또는 그들의 다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11)은 저마늄과 같은 다른 반도체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기판(11)은 Ⅲ/Ⅴ족 반도체기판, 예컨대 GaAs과 같은 화합물반도체기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기판(11)은 후속 백그라인딩에 의해 제거되는 희생 기판일 수 있다. 제1기판(11)은 도 6의 제1기판(11)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제1기판(11)에 예비필라영역(1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비필라영역(13')은 제1도펀트의 도핑공정(13I)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도펀트의 도핑공정(13I)은 이온임플란트(Ion implant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예비필라영역(13')은 제1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도펀트는 N형 도펀트, P형 도펀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도펀트는 인 또는 비소와 같은 N형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N형 도펀트의 이온임플란트에 의해 예비필라영역(13')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예비필라영역(13')은 'N형 도프드영역'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예비필라영역(13')에 도핑된 N형 도펀트는 고농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비필라영역(13')에 도핑된 N형 도펀트는 1×1019∼5×1020 atoms/cm3의 고농도를 가질 수 있다. 도프드영역(12')은 고농도 N형 실리콘물질(highly doped n-type silicon material), 즉 N+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비필라영역(13')은 1000Å∼2000Å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비필라영역(13')의 깊이는 제1기판(11)을 깊이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깊이일 수 있다.
도 7의 예비필라영역(13)이 에피택셜성장에 의해 형성되고 있는 것과는 다르게, 예비필라영역(13')은 N형 불순물의 도핑공정(13I)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필라영역(13') 상에 하드마스크층(14)이 형성될 수 있다. 하드마스크층(14)은 예비필라영역(13')에 대해 식각선택비를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드마스크층(14)은 실리콘산화물(silicon oxide), 실리콘질화물(silicon nitride), 비정질카본(amorphous carbon)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드마스크층(14)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미도시)를 이용하여, 예비필라영역(13')의 상부 표면을 노출시키기 위해 하드마스크층(14)이 식각될 수 있다. 마스크는 포토레지스트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하드마스크층(14)은 복수의 필라 형상(pillar shape)을 가질 수 있다. 즉, 하드마스크층(14)은 필라 형상들의 규칙적인 어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반도체필라(13N)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반도체필라(13N)를 형성하기 위해, 하드마스크층(14)을 이용하여 예비필라영역(13')을 식각할 수 있다. 하드마스크층(14)이 복수의 필라 어레이를 가지므로, 예비필라영역(13')은 복수의 제1반도체필라(13N)로 식각될 수 있다. 제1반도체필라(13N)는 필라 형상들의 규칙적인 어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웃하는 제1반도체필라(13N) 사이에 분리트렌치(13T)가 정의될 수 있다. 분리트렌치(13T)에 의해 이웃하는 제1반도체필라(13N)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분리트렌치(13T)의 깊이는 제1반도체필라(13N)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1반도체필라(13N)의 높이는 약 2000Å일 수 있다. 분리트렌치(13T)의 깊이는 제1반도체필라(13N)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분리트렌치(13T)의 깊이는 약2000Å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분리트렌치(13T)의 깊이는 제1반도체필라(13N)의 높이보다 더 클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제1반도체필라(13N)의 횡단면은 사각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반도체필라(13N)의 횡단면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제1반도체필라(13N)는 N형 실리콘 필라일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물질(15A)로 분리트렌치(13T)를 채울 수 있다. 절연물질(15A)은 보이드없이 분리트렌치(13T)를 채울 수 있다. 절연물질(15A)은 갭필 특성이 우수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물질(15A)은 산화물, 질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절연물질(15A)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물질(15A)은 분리트렌치(13T)를 채우면서 하드마스크층(14)을 커버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속하여, 절연물질(15A)은 하드마스크층(14)의 상부 표면이 노출되도록 평탄화될 수 있다. 절연물질(15A)의 평탄화는 화학적기계적연마(CMP)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절연물질(15A)의 평탄화에 의해 제1분리층(15)이 형성될 수 있다.
절연물질(15A)의 평탄화 공정시에 하드마스크층(14)이 잔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분리층(15)의 상부 표면과 하드마스크층(14)의 상부 표면은 동일 레벨일 수 있다. 즉, 제1분리층(15)의 상부 표면과 하드마스크층(14)의 상부 표면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제1분리층(15)은 이웃하는 제1반도체필라(13N)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리층(15) 및 하드마스크층(14) 상에 복수의 워드라인(16)이 형성될 수 있다. 워드라인(16)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기로 한다. 워드라인(16)은 제1반도체필라(13N)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워드라인(16) 사이에 제2분리층(18)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분리층(18)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분리층(18)은 이웃하는 워드라인(16) 사이를 채울 수 있고, 워드라인(16)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평탄화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층(19)이 형성될 수 있다. 마스크층(19)은 포토레지스트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층(19)는 복수의 오프닝(19H)을 포함할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오프닝(19H)의 횡단면은 사각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일 수 있고, 복수의 오프닝(19H)은 규칙적인 어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스크층(19)을 이용하여 캡핑층(17) 및 워드라인(16)을 순차적으로 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수직형 오프닝(20)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형 오프닝(20)은 캡핑층(17) 및 워드라인(16)을 관통하는 깊이를 가질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수직형 오프닝(20)의 횡단면은 마스크층(19)의 오프닝(19H)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수직형 오프닝(20)의 저면은 하드마스크층(14)의 상부 표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수직형 오프닝(20)은 수직한 측벽(Vertical sidewall)을 가질 수 있다. 수직형 오프닝(20)은 워드라인(16)의 양측벽을 노출시키지 않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수직형 오프닝(20)은 워드라인(16)에 의해 에워싸이는 형상이 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층(19)을 제거한 후에, 수직형 오프닝(20)에 게이트절연층(21)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21)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하드마스크층(14)을 제거할 수 있다. 하드마스크층(14)이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인산을 이용한 습식식각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하드마스크층(14)을 제거하는 동안에 게이트절연층(21)의 하단부가 일부 제거될 수도 있다.
하드마스크층(14)을 제거한 후에, 수직형 오프닝(20)의 하향 확장에 의해 제1반도체필라(13N)의 상부 표면이 노출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21)의 하단부는 제1반도체필라(13N)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21) 아래에 하드마스크층(14)이 제거된 공간, 즉 리세스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형 오프닝(20)에 제2반도체필라(23P) 및 제3반도체필라(23N)의 스택을 형성할 수 있다. 제2반도체필라(23P) 및 제3반도체필라(23N)의 스택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기로 한다.
제1반도체필라(13N) 상에 제2반도체필라(23P)가 형성될 수 있고, 제2반도체필라(23P) 상에 제3반도체필라(23N)가 형성될 수 있다. 제3반도체필라(23N)의 상부 표면과 캡핑층(17)의 상부 표면은 동일 레벨일 수 있다.
제2반도체필라(23P)의 상부 표면은 워드라인(16)의 상부 표면과 동일 레벨이거나, 워드라인(16)의 상부 표면보다 높은 레벨일 수 있다. 제3반도체필라(23N)는 제2반도체필라(22P)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2반도체필라(23P)의 하단부는 제1반도체필라(13N)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제3반도체필라(23N)는 제1반도체필라(13N)보다 높은 농도의 N형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반도체필라(23P)는 제3반도체필라(23N)보다 낮은 농도의 P형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반도체필라(23N)은 고농도 N형 도펀트를 포함하고, 제2반도체필라(23P)는 고농도 N형 도펀트보다 낮은 농도의 P형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반도체필라(23P)는 P형 에피택셜 실리콘(p-type epitaxial silicon)일 수 있고, 제3반도체필라(23N)는 고농도 N형 에피택셜 실리콘(highly doped n-type epitaxail silicon)일 수 있다.
제2반도체필라(23P) 및 제3반도체필라(23N)가 수직형 오프닝(20)을 채우므로, 수직형 오프닝(20)은 필라형 구조물로 채워질 수 있다. 제1반도체필라(13N), 제2반도체필라(23P) 및 제3반도체필라(23N)의 스택은 수직형 필라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제1반도체필라(13N), 제2반도체필라(23P) 및 제3반도체필라(23N)의 스택은 실리콘물질들의 스택일 수 있다. 제1반도체필라(13N), 제2반도체필라(23P) 및 제3반도체필라(23N)의 스택은 에피택셜 실리콘들의 스택일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위 레벨 도전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하위 레벨 도전라인은 제2도전라인(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도전라인(43)은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상일 수 있다. 제2도전라인(43)은 금속-베이스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도전라인(43)은 텅스텐, 텅스텐질화물, 텅스텐실리사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도전라인(43)을 형성하기 위해 텅스텐실리사이드층 증착 및 식각이 수행될 수 있다. 제2도전라인(43)은 이웃하는 제3반도체필라(23N)들을 상호 접속시킬 수 있다.
제2도전라인(43)은 메모리셀어레이(MCA')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제2도전라인(43)과 워드라인(16)은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메모리셀어레이(MCA')의 동작 동안에, 제2도전라인(43)은 비트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소스라인을 형성하기 이전에, 제2도전라인(43)을 먼저 형성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4에서는 소스라인을 먼저 형성한 이후에 제2도전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제2도전라인(43) 상에 제1본딩물질(2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본딩물질(25)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본딩물질(25)의 일부는 제2분리층(18)을 커버링할 수 있다.
제1본딩물질(25)을 관통하여 제2도전라인(43)에 연결되는 제1본딩패드(26)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본딩패드(26)는 금속-베이스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메모리셀어레이(MCA')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일련의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장치를 위한 기판 스택(D20)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 스택(D20)은 주변회로부(PRP) 및 메모리셀어레이(MCA)의 스택일 수 있다. 메모리셀어레이(MCA)는 주변회로부(PRP)보다 상위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메모리셀어레이(MCA)는 복수의 메모리셀(50)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메모리셀(50)은 제3반도체필라(23N), 제2반도체필라(23P) 및 제1반도체필라(13N)의 스택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반도체필라(23N)는 하부 반도체필라(lower semiconductor pillar)라고 지칭할 수 있고, 제1반도체필라(13N)은 상부 반도체필라(upper semiconductor pillar)라고 지칭할 수 있으며, 제2반도체필라(23P)는 스토리지 필라(Storage pillar)라고 지칭할 수 있다. 제3반도체필라(23N), 제2반도체필라(23P) 및 제1반도체필라(13N)의 스택은 NPN 구조의 실리콘물질들의 스택이 될 수 있다. 메모리셀어레이(MCA)는 워드라인(16)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워드라인(16)은 제2반도체필라(23P)의 측벽에 위치할 수 있다. 메모리셀어레이(MCA)에서 각각의 메모리셀은 1T(One transistor) 구조일 수 있다. 즉, 1T 구조는 워드라인(16), 제3반도체필라(23N), 제2반도체필라(23P) 및 제1반도체필라(13N)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반도체필라(23N) 및 제1반도체필라(13N)은 소스/드레인영역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메모리셀어레이(MCA)는 캐패시터가 없는 1T DRAM 셀어레이가 될 수 있다. 메모리셀어레이(MCA)는 캐패시터가 없으므로, 리프레시 동작이 필요없다.
기판 스택(D20)은 주변회로부(PRP) 상에 메모리셀어레이(MCA)가 본딩될 수 있다. 주변회로부(PRP)는 제2기판(31), 제2기판(31)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회로(32), 상호접속구조물(33) 및 제2본딩물질(34)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회로(32)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호접속구조물(33)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호접속구조물(33)은 다층레벨금속배선(MLM)을 포함할 수 있다. 상호접속구조물(33)은 제어회로(32)의 일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상호접속구조물(33) 상에 제2본딩물질(3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본딩물질(34)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본딩물질(25) 및 제2본딩물질(34)은 동일 물질일 수 있다. 제2본딩물질(34)을 관통하여 상호접속구조물(33)에 연결되는 제2본딩패드(3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본딩패드(35)는 금속-베이스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본딩패드(26)와 제2본딩패드(35)는 동일 물질일 수 있다. 제1본딩물질(25)과 제2본딩물질(34)이 본딩될 수 있고, 아울러 제1본딩패드(26)와 제2본딩패드(35)가 본딩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회로부(PRP)의 상호접속구조물(33)에 연결되는 비아(42)가 형성될 수 있다. 비아(42)를 형성하기 위해, 제1분리층(15), 제2분리층(18), 제1본딩물질(25) 및 제2본딩물질(34)을 관통하도록 비아홀(도면부호 생략)을 형성한 후, 비아홀 내에 도전물질을 채울 수 있다. 비아(42)는 금속-베이스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비아(42)에 연결되는 상위 레벨 도전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상위 레벨 도전라인은 소스라인(24P) 및 제1도전라인(24L)의 스택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라인(24P)은 고농도 P형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라인(24P)은 고농도 P형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라인(24P)은 이웃하는 제3반도체필라(23N)들을 상호 접속시킬 수 있다. 소스라인(24P) 및 제1도전라인(24L)을 형성하기 위해, 소스라인물질과 도전물질의 증착 이후에, 도전물질과 소스라인물질의 식각이 수행될 수 있다. 소스라인(24P) 및 제1도전라인(24L)은 워드라인(16)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도전라인(24L)은 텅스텐실리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33에 따르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은 제1기판(11) 상에 수직형 사이리스터(50V), 워드라인(16) 및 비트라인을 포함하는 메모리셀어레이(MCA)를 형성하는 단계, 제2기판(31)에 주변회로부(PRP)를 형성하는 단계, 메모리셀어레이(MCA)와 주변회로부(PRP)를 본딩시키는 단계, 수직형 사이리스터(50V)의 일측이 노출되도록 제1기판(11)을 제거하는 단계 및 수직형 사이리스터(50V)의 일측 및 주변회로부(PRP)에 접속되는 소스라인(24P)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비트라인은 제2도전라인(43)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33에 따른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은 도 6 내지 도 23에 따른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과 대부분 동일할 수 있다. 단, 소스라인/제1도전라인(24P/24L)의 스택과 제2도전라인(43)의 형성 순서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1 : 반도체 기판 102 : 제어회로
103 : 상호접속구조물 104 : 제2본딩물질
105 : 제2본딩패드 111 : 제1도전라인
113 : 소스라인 112 : 제2도전라인
114 : 제1본딩물질 115 : 제1본딩패드
121 : 게이트 122 : 게이트절연층
123 : 캡핑층 124 : 제1분리층
125 : 제2분리층 100M : 메모리셀
100V : 수직형 사이리스터 MCA : 메모리셀어레이
PRP : 주변회로부

Claims (31)

  1. 제1기판 상에 수직형 사이리스터 및 워드라인을 포함하는 메모리셀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
    제2기판에 주변회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셀어레이와 상기 주변회로부를 본딩시키는 단계;
    상기 수직형 사이리스터의 일측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기판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직형 사이리스터의 일측 및 상기 주변회로부에 접속되는 비트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어레이는 상기 주변회로부보다 위에 위치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직형 사이리스터는 P형 불순물과 N형 불순물이 교대로 번갈이 도핑된 실리콘물질들의 스택을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형 사이리스터는 제1 P형 실리콘, 제1 N형 실리콘, 제2 P형 실리콘 및 제2 N형 실리콘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PNPN 구조를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직형 사이리스터는 라인형 실리콘 물질 및 상기 라인형 실리콘물질 상에 수직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필라형 실리콘물질을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라인형 실리콘 물질은 실리콘물질의 증착 및 식각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필라형 실리콘물질은 에피택셜 성장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직형 사이리스터는 P형 폴리실리콘, 제1 N형 에피택셜 실리콘, P형 에피택셜 실리콘 및 제2 N형 에피택셜 실리콘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PNPN 구조를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기판 상에 복수의 제1반도체필라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반도체필라들 각각의 상부에 상기 워드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워드라인들 각각 관통하는 복수의 수직형 오프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직형 오프닝들 각각의 측벽에 게이트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절연층 상에 상기 수직형 오프닝들 각각을 채우는 제2반도체필라 및 제3반도체필라의 스택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반도체필라들 상에 상기 제3반도체필라들을 상호접속시키는 소스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 상에 복수의 제1반도체필라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기판 상에 N형 실리콘물질을 에피택셜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제1반도체필라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N형 실리콘물질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반도체필라들 사이에 제1분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도체필라 및 제3반도체필라의 스택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직형 오프닝들 각각을 채우기 위해 P형 실리콘물질을 에피택셜 성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P형 실리콘물질의 상부영역에 N형 불순물을 도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P형 실리콘물질의 하부영역은 상기 제2반도체필라가 되고, 상기 N형 불순물의 도핑에 의해 상기 제3반도체필라가 형성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3반도체필라들 상에 P형 폴리실리콘을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P형 폴리실리콘을 식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워드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기판 상에 도전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물질 상에 캡핑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캡핑층과 도전물질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도전물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워드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워드라인들 사이에 제2분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을 준비하는 단계는,
    희생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희생 기판의 표면에 P형 불순물을 도핑하여 희생도프드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형 사이리스터는 상기 희생도프드영역 상에 형성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형 사이리스터의 일측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기판을 제거하는 단계는,
    백그라인딩, 습식식각 및 CMP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어레이와 주변회로부를 본딩시키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셀어레이 상부에 제1본딩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주변회로부 상부에 제2본딩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본딩물질과 제2본딩물질의 본딩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딩물질과 제2본딩물질은 각각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본딩 프로세스는 산화물 대 산화물 본딩(oxide to oxide bonding)을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딩물질과 제2본딩물질 각각을 관통하는 금속성 본딩패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딩 프로세스는 금속성 본딩패드들의 금속 대 금속 본딩(Metal to metal bonding)을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회로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기판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회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회로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호접속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회로는,
    상기 비트라인에 연결되는 센스앰프를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형 사이리스터의 일측 및 상기 주변회로부에 접속되는 비트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셀어레이의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주변회로부에 접속되는 비아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아 및 상기 수직형 사이리스터의 일측 상에 도전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트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도전물질을 식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2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주변회로부;
    상기 주변회로부보다 위에 형성된 수직형 사이리스터,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을 포함하는 메모리셀어레이;
    상기 메모리셀어레이와 상기 주변회로부 사이에 형성된 본딩 구조물; 및
    상기 주변회로부와 메모리셀어레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관통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형 사이리스터는,
    라인형 소스라인;
    상기 라인형 소스라인 상의 제1반도체필라;
    상기 제1반도체필라 상의 제2반도체필라; 및
    상기 제2반도체필라 상의 제3반도체필라를 포함하며,
    상기 라인형 소스라인은 인접한 제1반도체필라와 연결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22. 삭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형 소스라인과 상기 제2반도체필라는 P형 불순물로 도핑되고, 상기 제1반도체필라 및 상기 제3반도체필라는 N형 불순물로 도핑되며,
    상기 라인형 소스라인, 상기 제1반도체필라, 상기 제2반도체필라 및 상기 제3반도체필라의 스택은 PNPN 사이리스터를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형 소스라인은 P형 폴리실리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반도체필라는 제1 N형 에피택셜 실리콘을 포함하며,
    상기 제2반도체필라는 P형 에피택셜 실리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3반도체필라는 제2 N형 에피택셜 실리콘을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형 사이리스터는 상기 워드라인을 관통하는 형상을 갖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라인은 상기 수직형 사이리스터의 최상단부에 접속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조물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회로를 상기 비트라인에 접속시키는 비아를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회로는 센스앰프를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 구조물은,
    상기 메모리셀어레이의 수직형 사이리스터 아래에 위치하는 제1본딩산화물; 및
    상기 주변회로부 상에 위치하는 제2본딩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셀어레이와 상기 주변회로부는 상기 제1본딩산화물과 제2본딩산화물의 산화물 대 산화물 본딩을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 구조물은,
    상기 제1본딩산화물을 관통하는 제1본딩금속패드; 및
    상기 제2본딩산화물을 관통하는 제2본딩금속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셀어레이와 상기 주변회로부는 상기 제1본딩금속패드와 제2본딩금속패드의 금속 대 금속 본딩을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형 사이리스터 사이의 분리층을 더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
KR1020190090884A 2019-07-26 2019-07-26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KR102713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884A KR102713747B1 (ko) 2019-07-26 2019-07-26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US16/686,455 US10998316B2 (en) 2019-07-26 2019-11-18 Vertical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vertical memory device
CN201911256351.8A CN112310079B (zh) 2019-07-26 2019-12-10 垂直存储器装置及用于制造垂直存储器装置的方法
US17/224,859 US11830879B2 (en) 2019-07-26 2021-04-07 Vertical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vertical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884A KR102713747B1 (ko) 2019-07-26 2019-07-26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710A KR20210012710A (ko) 2021-02-03
KR102713747B1 true KR102713747B1 (ko) 2024-10-08

Family

ID=7418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884A KR102713747B1 (ko) 2019-07-26 2019-07-26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998316B2 (ko)
KR (1) KR102713747B1 (ko)
CN (1) CN1123100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696A (ko) 2019-09-02 2021-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소자
US11233043B2 (en) * 2019-09-02 2022-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P3985672B1 (en) * 2020-09-04 2024-01-24 Changxin Memory Technologies, Inc. Semiconductor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5568203A (zh) 2021-07-01 2023-01-03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半导体结构及其制作方法
CN115568204A (zh) 2021-07-01 2023-01-03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半导体结构及其制作方法
US12108588B2 (en) 2021-07-05 2024-10-01 Changxin Memory Technologies, Inc. Memo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13594163B (zh) * 2021-07-05 2023-12-19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存储器及其制造方法
US11985808B2 (en) 2021-07-05 2024-05-14 Changxin Memory Technologies, Inc. Memo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23553124A (ja) 2021-07-16 2023-12-20 チャンシン メモリー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半導体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CN116097921A (zh) 2021-08-31 2023-05-09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具有垂直晶体管的存储器器件及其形成方法
CN116097915A (zh) * 2021-08-31 2023-05-09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具有垂直晶体管的存储器器件及其形成方法
WO2023028890A1 (en) 2021-08-31 2023-03-09 Yangtze Memory Technologies Co., Ltd. Memory devices having vertical transistor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CN116391262A (zh) 2021-10-31 2023-07-04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具有垂直晶体管的存储器器件及其形成方法
WO2023070640A1 (en) 2021-10-31 2023-05-04 Yangtze Memory Technologies Co., Ltd. Memory devices having vertical transistors in staggered layouts
CN116391452A (zh) * 2021-10-31 2023-07-04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具有垂直晶体管和堆叠存储单元的存储器器件及其形成方法
US11587949B1 (en) 2021-11-15 2023-02-21 Changxin Memory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structure and semiconductor structure
CN118076090A (zh) * 2022-11-11 2024-05-24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半导体结构的制作方法及其结构
CN118632512A (zh) * 2023-03-02 2024-09-10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半导体结构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2941B2 (en) 2003-06-24 2006-05-30 Sang-Yun Lee Method for making a three-dimensional integrated circuit structure
US6600173B2 (en) * 2000-08-30 2003-07-29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Low temperature semiconductor layering and three-dimensional electronic circuits using the layering
US7378702B2 (en) * 2004-06-21 2008-05-27 Sang-Yun Lee Vertical memory device structures
KR20100070835A (ko) 2008-12-18 2010-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리스터를 갖는 메모리 셀 및 그것을 포함한 메모리 장치
KR20100080238A (ko) * 2008-12-31 2010-07-0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03731B1 (ko) * 2009-09-29 201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버티칼 낸드 전하 트랩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및 제조방법
US8519431B2 (en) 2011-03-08 2013-08-27 Micron Technology, Inc. Thyristors
JP6359332B2 (ja) * 2014-05-09 2018-07-1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9564199B2 (en) * 2014-09-25 2017-02-07 Kilopass Technology, Inc. Methods of reading and writing data in a thyristor random access memory
CN107431073A (zh) * 2015-03-25 2017-12-01 3B技术公司 采用薄膜晶体管的三维集成电路
KR101804666B1 (ko) * 2016-04-06 2017-12-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직 반도체 컬럼을 구비한 메모리 소자
JP2018163970A (ja) * 2017-03-24 2018-10-18 東芝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33145B1 (ko) * 2017-12-01 2023-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90123092A (ko) * 2018-04-23 2019-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KR102480631B1 (ko) * 2018-10-01 2022-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710A (ko) 2021-02-03
CN112310079A (zh) 2021-02-02
US11830879B2 (en) 2023-11-28
US20210225843A1 (en) 2021-07-22
CN112310079B (zh) 2024-05-14
US10998316B2 (en) 2021-05-04
US20210028174A1 (en)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13747B1 (ko)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수직형 메모리 장치 제조 방법
KR102683677B1 (ko) 수직형 메모리 장치
KR102509322B1 (ko) 에어갭을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690949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871887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reduced resistance of bit lin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928073B2 (en)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guard ring structures
US11222681B2 (en) 3D stacked high-density memory cell arrays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20120078917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KR20160124579A (ko) 에어갭을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를 구비한 메모리셀, 그를 구비한 전자장치
US10109634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ir ga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emory cell hav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20220406789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890676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with first and second gates over buried bit line
CN115621195A (zh)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US20240074165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2131950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KR20220068964A (ko) 반도체 장치
KR20230062490A (ko) 비트라인 콘택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TW202347629A (zh) 半導體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