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개의 폭탄, 하나의 위성
Two Bombs, One Satellite인민의 역사 중화민국(PRC) |
---|
![]() |
이력 |
여러 세대의 리더십 |
![]() |
두 개의 폭탄, 하나의 위성(중국어: ǎà pin pin pin pin pin pin pin pin pin pin pin pin pin pin pin two two two two project two two two two)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초기 핵 및 우주 개발 프로젝트이다.두 개의 폭탄은 원자폭탄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지칭하는 반면, 한 개의 위성은 인공위성을 지칭한다.중국은 1966년 지대지 미사일과 원폭을 결합해 1964년과 1967년 각각 첫 원자폭탄과 첫 수소폭탄 실험을 한 뒤 1970년 [1][2]첫 인공위성 둥팡훙(東方紅) 발사에 성공했다.
역사
제안과 소련의 원조
1940년대와 50년대에 첸웨이창, 첸쉐젠, 덩자셴, 펑환우, 첸산창 등 저명한 과학자들이 중국 [3][4][5]본토로 돌아왔다.
1955년 1월 마오쩌둥은 중국 공산당 [6]서기국 회의에서 원자폭탄 개발 의사를 밝혔다.
1956년, 저우언라이, 첸이, 리푸춘, 녜룽젠에 의해 수백 명의 전문가들이 중국의 과학 발전을 위한 계획을 세우기 위해 소집되었고, 결국 1956년부터 1967년까지의 기간 동안의 발전의 개요를 만들었다.[7]
1958년 마오는 핵폭탄, 미사일,[6] 인공위성의 개발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동시에 소련은 1957년 12월 10일 미국, 영국, 소련이 향후 2~3년간 핵무기 실험을 중단해야 한다고 제안했음에도 1955년부터 중국에 중요한 지원을 해왔고, 중국은 이를 [8][9][10]지지했다.
대약진과 문화혁명
1958년 이래, "두 개의 폭탄, 하나의 위성"에 대한 연구는 반우익 운동과 대약진 운동으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고, 이로 인해 수천만 명의 중국 [9]기근으로 사망자가 발생했다.게다가 1950년대 후반 중-소 분단 이후 소련은 점차 중국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고 1958년까지 모든 전문가를 소환했다.그때까지, 중국은 소련의 [6][9][10][11][12]도움으로 최초의 실험용 핵 더미를 만들었다.
1961-62년, 중국 공산당과 중국 정부 고위 관리들 사이에 "2개의 폭탄, 하나의 위성"[13] 프로젝트를 계속 진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견 충돌이 있었다.결국 1962년 11월 저우언라이, 녜융전 등이 이끄는 중앙위원회가 설립돼 프로젝트가 [11][13]진행됐다.
1966년, 마오는 문화 혁명을 일으켰다.학자들과 지식인들은 "징검다리 올드 나인"으로 여겨졌고 널리 [11]박해를 받았다.1968년, "2개의 폭탄, 하나의 위성" 프로그램을 연구한 주요 과학자들 중 야오퉁빈은 구타당했고 자오주장은 [14][15]자살했고 궈융화는 비행기 [16]추락으로 사망했다.1971년 9월까지 칭하이(靑海)에 있는 중국 핵센터의 직원 4,000명 이상이 박해를 받았다.이들 중 310명 이상이 영구 불구가 됐고 40명 이상이 자살했으며 5명이 [17]처형됐다.(특히 미국과 영국) 해외에서 학력을 가진 많은 연구자들이 [18]스파이로 간주되었다.1966년 [11]8월 마오쩌둥(毛澤東) 총리가 작성한 특별 명단 때문에 첸쉐센 등 소수의 과학자만이 혁명에서 보호받았다.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3/20120729%E9%9D%92%E6%B5%B7%E6%B9%96%E8%A5%BF%E6%B5%B7%E9%95%87%E4%B8%AD%E5%9B%BD%E5%8E%9F%E5%AD%90%E5%BC%B9%E7%88%86%E7%82%B8%E7%BA%AA%E5%BF%B5%E7%A2%91_-_panoramio.jpg/220px-20120729%E9%9D%92%E6%B5%B7%E6%B9%96%E8%A5%BF%E6%B5%B7%E9%95%87%E4%B8%AD%E5%9B%BD%E5%8E%9F%E5%AD%90%E5%BC%B9%E7%88%86%E7%82%B8%E7%BA%AA%E5%BF%B5%E7%A2%91_-_panoramio.jpg)
마일스톤 스케줄
- 1964년 10월 16일, 중국의 첫 원자폭탄이 롭 누르(코드명 "프로젝트 596")에서 성공적으로 폭발하여 중국은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핵무기를 [9]보유한 국가가 되었다.
- 1966년 10월 27일, 핵폭탄을 실은 중국의 첫 지대지 미사일(둥펑-2)이 성공적으로 발사되어 폭발했다.[9][19]
- 1967년 6월 17일, 중국의 첫 수소 폭탄이 Lop Nur에서 성공적으로 폭발했다.[9][20]
- 1969년 9월 22일, 중국의 첫 지하 핵실험이 Lop [21][22]Nur에서 성공적으로 폭발했다.
- 1970년 4월 24일, 중국의 첫 인공위성 Dong Fang Hong I가 성공적으로 우주로 발사되었고, 중국은 자체 [23]로켓을 사용하여 우주선을 궤도에 올린 다섯 번째 국가가 되었다.
여파 및 추모
문화대혁명 이후 덩샤오핑은 중국의 새로운 최고 지도자가 되었고 "볼루안 판정" 프로그램을 시작했다.과학자들과 지식인들이 부활했고, 특히 야오 통빈은 "순교자"[24]로 추앙받았다.덩은 지식과 인재를 존중해야 하며 지식인을 무시하는 잘못된 사고방식은 [25]반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986년, "2개의 폭탄, 1개의 위성" 프로그램을 연구한 4명의 주요 과학자들은 덩에게 중국이 첨단 기술의 발전을 촉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덩샤오핑의 승인으로 863 프로그램이 출범했다.[26]
1999년, "2개의 폭탄, 1개의 위성"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공헌을 한 23명의 과학자들이 2개의 폭탄과 1개의 위성 공로상을 받았다.[27][28]2015년 [29]중국과학원 화이로 캠퍼스에 '2폭탄 1위성 기념관'이 개관했다.
수상자 | 들판 | 투고 | 모교 |
---|---|---|---|
천팡윈(1916년 ~ 2000년 | 라디오 일렉트로닉스 | 위성. | 국립 남서부 연합 대학교 |
천닝관(1923~2016) | 금속 물리학 폭발물리학 | 원자폭탄과 수소폭탄 | 국립 탕산공과대학 예일 대학교 |
청개자(1918년~2018년) | 핵물리학 | 원자폭탄과 수소폭탄 | 저장 대학 에든버러 대학교 |
덩자현(1924~1986) | 핵물리학 | 원자폭탄과 수소폭탄 | 국립 남서부 연합 대학교 퍼듀 대학교 |
궈융화이(1909년 ~ 1968년) | 공기역학 | 원자폭탄, 수소폭탄 및 미사일 | 베이징 대학 토론토 대학교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
황위유(1916~2011) | 엔지니어링 사이버네틱스 | 미사일 | 국립중앙대학교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
펑환우(1915~2007) | 이론 물리학 | 원자폭탄과 수소폭탄 | 칭화 대학 에든버러 대학교 |
첸지(1917년-1983년) | 우주 물리학 | 위성. | 국립중앙대학교 |
첸삼창(1913~1992년) | 핵물리학 | 원자폭탄과 수소폭탄 | 칭화 대학 파리 대학교 콜레주 드 프랑스 |
첸쉐젠(1911~2009) | 항공학 엔지니어링 사이버네틱스 | 로켓, 미사일 및 위성 | 국립 자오퉁 대학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
런신민(1915~2017) | 항공학 | 로켓, 미사일 및 위성 | 국립중앙대학교 군부 부속 충칭 병기학교 미시간 대학교 |
쑨자동(1929~) | 항공학 | 미사일 및 위성 | 하얼빈 공업대학 주코프스키 공군사관학교 |
도서우에(1917~2012) | 항공학 | 미사일과 로켓 | 국립 남서부 연합 대학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
왕다웅(1915~2011) | 광학 | 원자폭탄과 위성 | 칭화 대학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셰필드 대학교 |
왕간창(1907~1998) | 핵물리학 | 원자폭탄과 수소폭탄 | 칭화 대학 베를린 대학교 |
왕희지(1921~) | 우주 기술 | 로켓과 위성 | 국립 남서부 연합 대학교 버지니아 폴리테크닉 인스티튜트 및 주립 대학교 |
우지량(1917~2008) | 화학 야금 | 원자 폭탄 | 국립 북서부 공학 연구소 카네기 공과대학 |
양가치(1919년 ~ 2006년) | 자동화 | 위성. | 국립 자오퉁 대학 하버드 대학교 |
야오퉁빈(–東), 1922년 | 항공 우주 재료 및 기술 | 미사일과 로켓 | 국립 탕산공과대학 버밍엄 대학교 |
유민(1926~2019) | 핵물리학 | 수소 폭탄 | 베이징 대학 |
자오주장(1907~1968) | 기상학 지구물리학 | 위성. | 칭화 대학 베를린 대학교 |
저우광자오(1929~) | 이론 물리학 | 원자폭탄과 수소폭탄 | 칭화 대학 베이징 대학 |
주광야(1924~2011) | 핵물리학 | 원자폭탄과 수소폭탄 | 국립 남서부 연합 대학교 미시간 대학교 |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China in Space: Carrying Forward the Spirit of Two Bombs and One Satell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y 2016. Retrieved 31 May 2016.
- ^ "China builds "two bombs, one satellite" memorial museu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October 2015. Retrieved 31 May 2016.
- ^ Hvistendahl, Mara (2018-03-14). "A revered rocket scientist set in motion China's mass surveillance of its citizens". Science. Retrieved 2020-07-15.
- ^ "Deng Jiaxian". China Internet Information Center. Retrieved 2020-07-15.
- ^ "Qian Sanqiang". Atomic Heritage Foundation. Retrieved 2020-07-15.
- ^ a b c "毛泽东与两弹一星". Renmin Wang (in Chinese). 2013-05-27. Retrieved 2020-07-14.
- ^ "我国制定《1956-1967年科学技术发展远景规划》".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Chinese). Retrieved 2020-07-14.
- ^ "Sino-Soviet Nuclear Relations: An Alliance of Convenience? Wilson Center". www.wilsoncenter.org. Retrieved 2020-07-15.
- ^ a b c d e f "Chinese Nuclear Program". Atomic Heritage Foundation. Retrieved 2020-07-14.
- ^ a b "周恩来与"两弹一星"人才建设". Yanhuang Chunqiu. Retrieved 2020-07-14.
- ^ a b c d "周恩来与中央专门委员会--周恩来纪念网". Renmin Wang. Retrieved 2020-07-14.
- ^ "China's 'Manhattan Project'; Or, How Mao Learned to Love—and Build—the Bomb".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020-07-14.
- ^ a b Song, Chundan. "1962:在两弹一星的"至暗"时刻". Week In China. Retrieved 2020-07-14.
- ^ ""两弹一星"元勋姚桐斌".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in Chinese). Retrieved 2020-07-14.
- ^ "Centennial held in Beijing in memory of ZHAO Jiuzhang". Chinese Academy of Sciences. Retrieved 2020-07-14.
- ^ Chen, Ziyan. "Two asteroids named after well-known Chinese scholar couple". China Daily. Retrieved 2020-07-14.
- ^ Wang, Jingheng. "青海核武基地的劫难". Yanhuang Chunqiu (in Chi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7-14. Retrieved 2020-07-14.
- ^ Yan, Jing (2014-08-16). "王大珩:邓小平口中的"扫厕所专家"". Sohu (in Chinese). Retrieved 2020-07-14.
- ^ "1966: China launches its first nuclear missile". China Internet Information Center. Retrieved 2020-07-14.
- ^ Peng, Jichao. "中国第一颗氢弹的研发与爆炸". Yanhuang Chunqiu. Retrieved 2020-07-14.
- ^ Norris, Robert S.; Burrows, Andrew S.; Fieldhouse, Richard W. (1994). Nuclear Weapons Databook, Vol. 5: British, French, and Chinese Nuclear Weap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 ^ "China's nuclear tests: dates, yields, types, methods, and comments". Center for Nonproliferation Studies. June 199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December 2013. Retrieved 20 January 2014.
{{cite journal}}
:Cite 저널 요구 사항journal=
(도움말) - ^ "PRC1: NSSDCA - Spacecraft - Details". NASA. Retrieved 2020-07-14.
- ^ "记"两弹一星"元勋姚桐斌:助推中国火箭上天". China Internet Information Center (in Chinese). 2013-03-11. Retrieved 2020-07-14.
- ^ Shen, Qianfang (2019-01-30). "邓小平: 尊重知识, 尊重人才". Renmin Wang (in Chinese). Retrieved 2020-07-14.
- ^ "National High-tech R&D Program (863 Program)". Consulate General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New York. 2016-03-05. Retrieved 2020-07-14.
- ^ "1964: "Two bombs and one satellite" launch successfully". China Dail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June 2016. Retrieved 31 May 2016.
- ^ "两弹一星". China Internet Information Center (in Chinese). 2002-09-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January 2019. Retrieved 31 May 2016.
- ^ "China builds "two bombs, one satellite" memorial museum". China Military Online. 2015-09-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1-13. Retrieved 2019-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