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가어(말라위)

Tonga language (Malawi)

통가(본명 치퉁가)는 말라위은하타 만구에서 주로 쓰이는 반투어다.[3] 연사는 17만 명으로 추산된다.[4] Mdawuku wa Atonga (MWATO) (구 Nkhata Bay Tonga Heritage)에 따르면, 말라위와 이웃 국가들에도 상당한 수의 연사들이 살고 있다고 한다.

말라위의 통가 언어는 텀부카어와 유사하다고 설명되어 있으며, 터너의 사전(1952년)[5]에는 "통가 민족은 빠른 말솜씨, 슬루어 또는 많은 단어의 마지막 음절인 쿨리라쿨리야가 되고 쿠쿠라가 되고 쿠토아가 된다"는 코멘트가 추가되어 텀부록 텀부카와는 다른 단어들만 나열되어 있다. 통가(나야사), 즉 말라위안 통가(Malawian Tonga)는 텀부카(Tumbuka)와 함께 글로톨로그 분류로 한 그룹으로 묶인다.

말라위안 통가는 구트리에 의해 N15 구역에 있는 것으로 분류되는 반면, 잠비아 통가는 M64 구역으로 분류되어 다른 언어로 간주될 수 있다.

말라위 통가권 지역의 촌장 은하타 만

톤즈

통가 언어는 톤으로, 기본 음조는 하이(High)와 비(non-High)이다. 텀부카와는 달리 높은 음색은 단어의 음절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단어로 다른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6]

통가의 동사 뿌리는 대부분 무톤이지만, 줄기의 마지막 음절에 음조가 있는 방굴라 'shout'이나 삼빌라 'learn/swim'과 같은 소수도 있다. 어조가 최종일 때는 동사 bangula "shout"에서와 같이 음절로 역행하여 그 결과를 bangǔla(여기서 ǔ은 상승 어조를 나타낸다)[6]하는 경향이 있다.

텐스

치퉁가 시제의 일부는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6]

습관적 또는 지속적:

  • Ndibina – 나는 춤을 추고 있다(root -vin-)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음절 동사 또는 동사는 -t(u)-를 이 시제에 추가한다.

  • Nditurgha – 나는 먹고, 먹고 있다(뿌리 -ly-)
  • Ndénda – 나는 걷고/여행하고 있다(root -end-)

프리젠트 퍼펙트

  • Ndavina - 나는 춤을 췄다.
  • Ndargha - 나는 먹었다.
  • 엔다옌다 - 나는 걸어왔다.

과거 단순:

  • Ndinguvina – 나는 춤을 추었다.
  • 딩구르하 – 나는 먹었다.
  • 딩웬다 – 나는 걸었다.

과거의 습관:

  • Ndavianga – 나는 춤을 추거나 춤을 추곤 했다.
  • Ndarghanga – 나는 밥을 먹거나 먹곤 했다.
  • Ndayendanga – 나는 걷고 있거나 종종 걷곤 했다.

단순한 미래:

  • Ndvinengi – 나는 춤을 출 것이다.
  • Ndirgungi – 나는 먹을 것이다.
  • ndiyendengi – 나는 걸을 것이다.

통가의 예

통가, 텀부카 등 북부 말라위 언어의 민담의 예는 말라위 대학 언어연구센터가 실시하는 북부 말라위 언어지도 조사에서 제시된다.[7] 치퉁가 버전은 다음과 같다.

푸우엔디칼루루루(치퉁가)

푸우왕구루타 콰치페엠파 바쿠르가 쿠 ŵ탄투. 파쿠핑가 엄지 라키, 완구치타 쿠망가 치탈리 엔디 쿠브와라 싱고 라키. Ndipu Pakwenda, 썸다 라잔가 쿠불리 콰키.

페니포 wanguwa pa nthawa, Kalulu wanguza kuvuli kwaki ndipu wanguti "Nado, 썸다 랑게!" 후우왕구티 "아와 우푸시카 은구, 원아 칭위이치 은다망가 소누 은디구자 팍완다" 칼루루 왕구카나 닌두 왕구티 "티켄기 쿠 음팔라 이카티여루즈기" 음팔라 잉구두무와 멜랑두 은디 쿠체케타 칭기위 초 푸우왕구망야 썸다. ŵ구구치토 엄지야 ndya파스카 칼루루루. 주와 리니야키 로 칼루루 와옌당가, 푸우 왕구무사니야 은디푸 왕구티, "나또 음치라 완구!" 칼루루 왕구티 "ake! Yiwi Fuwu m'chira ngangu." 푸우왕우카나니두왕우티, "나도토엔광우" 캉굴루타쿠엠팔라쿠티이카이에루즈기 쿠 음팔라 쿠와, 음란두 웡구토웨 푸우. 짱구두무와 음치라 와쿠 칼루루 엔디 쿠파스카 푸우.

(번역: 거북이와 토끼

거북이는 사람들에게 음식을 구걸하러 갔다. 가방을 메기 위해 긴 끈에 묶어 목에 걸고 다녔다. 그가 걸어가자 가방이 그의 뒤로 다가오고 있었다.

오는 길에 헤어가 뒤에 다가와서 "찾았어, 내 가방!" 거북이는 "아냐, 거짓말이야, 내가 지금 묶은 이 끈을 봐, 내가 가면서 잡아당기고 있어"라고 말했고, 하레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법원으로 가자, 우리들을 심판할 거야"라고 말했다. 법원은 그 사건을 조사하고 그가 가방을 묶었던 거북이의 끈을 잘랐다. 그들은 그 가방을 가지고 헤레에게 주었다. 또 다른 날, 토끼가 걷고 있을 때, 거북이가 그를 발견하고는 "나 꼬리가 잡혔어!"라고 말했다. 하레는 "말도 안 돼, 이건 내 꼬리야, 거북이"라고 말했다. 거북이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내가 가진 것은 내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들은 판결을 내리기 위해 법원으로 갔다. 그 법정에서, 그 사건은 거북이에게 유리하게 돌아갔다. 그들은 하레의 꼬리를 잘라 거북이에게 주었다.)

(이 이야기의 텀부카 버전은 텀부카 언어# 텀부카의 예에서 비교를 위해 찾을 수 있다.)

Mdawuku wa a Tonga (MWATO)

2017년 8월에는 통가 언어와 문화를 알리기 위해 원래 은하타만 통가유산으로 알려진 문화기구가 설립되었다. 그러나 설립 직후 명칭이 Mdawuku wa a Tonga(MWATO)로 변경되었다.[8][9][10] 이 단체는 통가 출신의 유명한 말라위안을 기리고 파크 타운 밴드로 알려진 밴드를 후원하는데, 이 밴드의 특기는 정장과 모자를 쓰고 남녀가 춤을 추는 이다.[11][12] (이 댄스는 반주에 사용되는 호너 아코디언에서 따온 이름이다.)

원래 조직위원장인 맥스웰 메즈와 반다 목사는 2017년 조직의 목표 중 하나가 통가어를 보존하는 것이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지는데, 통가어를 특히 젊은이들 사이에서 삼켜버렸다고 한다. "우리는 젊은 사람들 사이에서 이 언어를 부활시키고 싶다. 그렇지 않으면 그대로 두면 10년 후에는 언어가 없어질 것이다."[13]

참조

  1. ^ Ethnologue의 통가 (2015년 제18회 에드워드)
  2. ^ Juni Filip Maho, 2009. 새로 업데이트된 Guthrie 목록 온라인
  3. ^ 말라위 대학 언어연구센터가 제작한 북 말라위 언어지도
  4. ^ 통가에트놀로그에서 존스톤과 맨드리크(2001)의 말을 인용하여 말했다.
  5. ^ 터너, 텀부카~통가-영어사전. 1952년 블랜타이어(말라위), 헤터윅 프레스.
  6. ^ Jump up to: a b c 서기(1994년) 음텐제 "말라위안 통가 동사의 음" 1994년 5월 8일, 제8/9호 인문학 저널.
  7. ^ 언어 지도 조사, 페이지 60-64.
  8. ^ 통가유산은 무다후쿠 와퉁가(Nyasa Times, 2017년 9월 4일 ~ )로 명칭을 변경한다.
  9. ^ Mdawka wa a Tonga 의식을 그리워하는 Mutharika (Nation 신문, 2018년 8월 18일 ~ )
  10. ^ Mwato는 5개년 계획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있다(Nation 신문, 2019년 8월 17일).
  11. ^ Mdawuku wa a Tonga Saturday (Daily Times 신문, 2019년 8월 16일)
  12. ^ 82년간의 호날라 공연 (국가신문, 2015년 2월 13일)
  13. ^ 통가스는 문화유산단 창단을 앞두고 있다(국가신문, 2017년 8월 18일).

외부 링크